KR20120132847A - 바코드를 이용한 이력추적 및 통합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바코드를 이용한 이력추적 및 통합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2847A
KR20120132847A KR1020110051212A KR20110051212A KR20120132847A KR 20120132847 A KR20120132847 A KR 20120132847A KR 1020110051212 A KR1020110051212 A KR 1020110051212A KR 20110051212 A KR20110051212 A KR 20110051212A KR 20120132847 A KR20120132847 A KR 20120132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tem
server
integrated management
bar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1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용식
Original Assignee
임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용식 filed Critical 임용식
Priority to KR1020110051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2847A/ko
Publication of KR20120132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28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 G06V30/2247Characters composed of bars, e.g. CMC-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코드를 이용한 이력추적 및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품의 생산 및 판매에 따라 규격화된 바코드를 생성하여 부착함으로써, 각각의 개별 상품에 대하여 해당 상품의 생산부터 가공, 포장, 운송, 입고, 소포장, 판매 및 급식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추적할 수 있다.
특히, 해당 상품의 이력자료를 통해 유해성 판단과 유효기간의 확인은 물론, 해당 상품이 유통과정의 어디에 존재하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문제 발생시 해당 상품의 효과적인 수거(리콜)가 가능하고, 문제가 발생된 상품의 유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상품 자체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상품의 생산, 유통 및 판매 분야에 대한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바코드를 이용한 이력추적 및 통합관리 시스템{System for history pursuit and integration management using the barcode}
본 발명은 바코드를 이용한 이력추적 및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품의 생산 및 판매에 따라 별도의 바코드를 생성하여 부착함으로써, 각각의 개별 상품에 대하여 해당 상품의 생산부터 가공, 포장, 운송, 소포장, 판매 및 급식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해당 상품의 이력자료를 통해 유해성 판단과 유효기간의 확인은 물론, 해당 상품이 유통과정의 어디에 존재하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문제 발생시 해당 상품의 효과적인 수거(리콜)가 가능하도록 한 바코드를 이용한 이력추적 및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바코드(Barcode)는 문자 또는 숫자로 이루어진 정보를 컴퓨터로 판독시키기 용이하도록 부호화된 라벨로, 세계상품코드(UPS : Universe Product Code)를 따르는 상품의 종류를 나타내거나, 상품판매매장 등에서 매출정보의 관리(POS : Point Of sales System) 등에 이용되며, 도서분류 또는 신분증명서 등에도 이용된다.
이러한 바코드는, 정보통신분야의 기술발달에 힘입어 상품의 판매관리 및 재고관리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품에 부착되는 대부분의 바코드는 국가표시, 제조업체코드, 자체상품코드 및 검증코드를 포함하는 13자리의 표준형 코드를 사용하는 바, 바코드가 부착된 상품의 종류(상품군)는 인식할 수는 있으나, 개별 상품에 대한 정보는 얻을 수가 없었다.
한편, 농수산물과 관련하여 식품표시제도와 원산지 표시제도가 시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품종간의 구별이 쉽지 않아 재배 및 생산과정 등에서 값싼 수입산이 국내산으로 판매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식품 브랜드들 간의 난립 등 많은 혼선이 빚어지고 있으며, 최근 들어서는 구제역이나 방사능 오염 및 유전자조작 등의 문제와 결부되어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불안함이 가속화되고 있으나, 이러한 문제 발생시 원인 확인, 상품의 생산지 및 문제 발생지를 추적해 낼 수 있는 방안이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는 농산물뿐만 아니고, 축산물, 수산물, 공산품 등에서도 동일하게 발생되고 있으며, 특히 원산지를 허위로 표시하더라도 소비자는 그 진위여부의 파악이 어려운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해당 상품의 생산부터 가공, 포장, 운송 및 판매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추적할 수 있는 바코드를 이용한 이력추적 및 통합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당 상품의 이력자료를 통해 유해성 판단과 유효기간의 확인은 물론, 문제 발생시 해당 상품의 효과적인 수거(리콜)가 가능하도록 한 바코드를 이용한 이력추적 및 통합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품의 생산 및 판매에 따라 별도의 바코드를 생성하여 부착함으로써, 각각의 개별 상품의 이력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바코드를 이용한 이력추적 및 통합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를 이용한 이력추적 및 통합관리 시스템은, 수신되는 물품정보 또는 제품정보에 기초하여 생산바코드, 생산품목바코드 및 판매품목바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 및 저장하고, 해당 바코드의 스캔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물품 또는 제품의 이력정보를 관리하는 통합관리서버; 및 관리자 제어 하에 해당 물품 또는 제품의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통합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통합관리서버에서 생성된 생산품목바코드 및 판매품목바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관리하며, 물품 또는 제품에 부착된 해당 바코드의 스캔정보를 상기 통합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업체서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업체서버는 가공업체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가공업체서버는 관리자 제어 하에 스캔된 해당 물품의 번호를 분석하고 위해 여부를 판별한 후, 해당 물품의 품목, 유효기간 및 중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물품정보를 상기 통합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가공업체서버로부터 수신된 물품정보에 기초하여 생산바코드 및 생산품목바코드를 생성하여 이력정보로 저장하고, 생성된 생산바코드 및 생산품목바코드를 상기 가공업체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업체서버는 운송업체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운송업체서버는 해당 물품의 운송시 관리자 제어 하에 해당 물품의 생산품목바코드가 스캔되어 입력되면, 입력된 생산품목바코드를 상기 통합관리서버로 전송하여 해당 물품의 위해 여부 및 유효기간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고, 해당 물품의 운송 완료 후 입고시 관리자 제어 하에 해당 물품의 생산품목바코드가 스캔되어 입력되면, 입력된 생산품목바코드를 상기 통합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운송업체서버의 요청에 따라 수신된 생산품목바코드를 분석하고 해당 물품에 매칭저장된 위해 여부 및 유효기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운송업체서버로 전송하며, 입고시 상기 운송업체서버로부터 생산품목바코드가 수신되면 해당 생산품목바코드를 분석하여 해당 물품의 이력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업체서버는 판매업체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판매업체서버는 관리자 제어 하에 해당 물품의 생산품목바코드가 스캔되어 입력되면, 입력된 생산품목바코드를 상기 통합관리서버로 전송하여 해당 물품의 위해 여부 및 유효기간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고, 관리자 제어 하에 입력된 제품정보를 상기 통합관리서버로 전송하며, 해당 제품의 판매시 관리자 제어 하에 해당 제품의 판매품목바코드가 스캔되어 입력되면, 입력된 판매품목바코드를 상기 통합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판매업체서버의 요청에 따라 수신된 생산품목바코드를 분석하고 해당 물품에 매칭저장된 위해 여부 및 유효기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판매업체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판매업체서버로부터 제품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제품정보에 기초하여 판매품목바코드를 생성하여 이력정보를 갱신하고, 생성된 판매품목바코드를 상기 판매업체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판매업체서버로부터 판매시 판매품목바코드가 수신되면 해당 판매품목바코드를 분석하여 해당 물품의 이력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생산바코드는 해당 물품의 개체번호, 생산업체 사업자번호 및 해당 물품의 구분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생산품목바코드는 해당 물품의 가공에 사용된 기계번호(작업자/작업라인), 생산일자, 표준부위코드, 중량 및 순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매품목바코드는 해당 제품의 가공에 사용된 기계번호(작업자/작업라인), 포장일자, 표준부위코드, 가격 및 순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물품의 입고시, 해당 단계에서의 재고량을 확인하고, 재고량이 기준량을 초과하면 경고메시지 및 경고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통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상품의 생산 및 판매에서 현재 상태에 대한 별도의 바코드를 생성하여 부착함으로써, 해당 상품의 개별적인 이력추적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해당 개별 상품의 생산부터 가공, 포장, 운송, 입고, 소포장 및 판매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정확한 이력정보에 의해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당 상품의 이력자료를 통해 유해성 판단과 유효기간의 확인은 물론, 문제 발생시 해당 상품의 효과적인 수거(리콜)가 가능하고, 문제가 발생된 상품의 유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해당 상품 자체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상품의 생산, 유통 및 판매 분야에 대한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바코드를 이용한 이력추적 및 통합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통합관리서버와 가공업체서버에서 수행되는 관리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통합관리서버와 운송업체서버에서 수행되는 관리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통합관리서버와 판매업체서버에서 수행되는 관리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통합관리서버와 조리업체서버에서 수행되는 관리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관리되는 생산바코드 및 생산품목바코드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해 관리되는 판매물품바코드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를 이용한 이력추적 및 통합관리 시스템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될 물품은 원재료, 1차 가공품 및 2차 가공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제품은 최종 가공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바코드를 이용한 이력추적 및 통합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력추적 및 통합관리 시스템(100)은 통합관리서버(110), 제1 가공업체서버(120), 제2 가공업체서버(130), 운송업체서버(140), 판매업체서버(150), 조리업체서버(160) 및 바코드리더(170)를 포함한다.
통합관리서버(110)는 해당 물품 및 제품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산바코드, 생산품목바코드 및 판매품목바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생산바코드, 생산품목바코드 및 판매품목바코드와 해당 물품 및 제품에 대한 정보를 매칭저장한 이력정보를 관리한다. 예를 들어, 생산바코드는 해당 물품 자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생산품목바코드는 해당 물품의 생산(가공)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판매품목바코드는 해당 제품의 판매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코드는 1차원 바코드 및 2차원 바코드(QR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FID를 이용하여 바코드와 동일한 기능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합관리서버(110)는 해당 물품 또는 제품의 생산, 운송 및 판매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에 대한 생산관리, 업체관리 및 재고관리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합관리서버(110)는 물품의 입고시, 해당 단계에서의 재고량을 확인하고, 재고량이 기준량을 초과하면 경고메시지 및 경고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담당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 업체서버는 관리자 제어 하에 해당 물품 또는 제품의 정보를 입력받아 통합관리서버(110)로 전송하고, 통합관리서버(110)에서 생성된 생산품목바코드 및 판매품목바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관리하며, 물품 또는 제품에 부착된 해당 바코드의 스캔정보를 통합관리서버(110)로 전송한다.
제1 가공업체서버(120)는 해당 물품을 생산 또는 수입하는 업체, 원재료를 1차가공하는 업체에서 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가공업체서버(120)는 해당 물품의 원산지정보, 위해(유해)성 판단 결과, 유통기한, 품목 및 중량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통합관리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가공업체서버(130)는 해당 물품을 생산 또는 수입, 원재료를 1차가공 및 제품 판매를 수행하는 업체에서 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가공업체는 농축산물을 생산하는 현지의 직판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운송업체서버(140)는 해당 물품 또는 제품을 운송하는 업체에서 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운송업체서버(140)는 해당 물품 또는 제품의 인수, 운송, 입고, 운송차량 내부환경, 창고 내부환경, 인수일, 운송기간 및 입고일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합관리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송업체서버(140)는 운송차량 내부환경 및 창고내부환경에 대하여 RFID 및 센서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운송업체서버(140)는 운송 담당자가 휴대하는 PDA를 포함할 수 있다.
판매업체서버(150)는 가공된 물품 또는 제품을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업체에서 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판매업체서버(150)는 해당 물품 또는 제품의 판매일자, 판매지역 및 구매자(소비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합관리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조리업체서버(160)는 가공된 물품 또는 제품을 조리하여 소비자에게 판매 또는 제공하는 업체에서 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업체는 음식점, 예식장, 기업체 조리부(식당) 및 학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코드리더(170)는 각 업체서버와 유무선으로 연동되어 생산바코드, 생산품목바코드 및 판매품목바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스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운송업체서버(140)와 연동하는 바코드리더기(170)는 운송 담당자가 휴대하는 PDA에 내장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코드리더(170)를 통해 스캔된 바코드정보는 각 서버를 통해 통합관리서버(110)로 전송되어 해당 물품 또는 제품의 이력관리에 이용될 수 있고, 각 서버가 통합관리서버(110)로부터 해당 물품 또는 제품에 대한 이력정보를 얻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소비자는 자신이 휴대한 단말기(바코드 인식 기능이 포함된 것)를 통해 해당 물품 또는 제품의 바코드를 스캔하고,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합관리서버(110)로부터 해당 물품 또는 제품의 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는 언제 어디에서라도 해당 물품 또는 제품에 대한 정확한 이력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유통되는 원재료의 변질 예방 및 자동신고가 가능할 수 있고, 바코드를 스캔하면 해당 물품의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각 구성 장치들이 실시간으로 정보를 갱신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통합관리서버와 가공업체서버에서 수행되는 관리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가공업체서버(120)는 생산 또는 수입된 물품의 바코드가 관리자 제어 하에 스캔되면(단계 S101), 해당 물품의 번호를 분석 및 저장하고(단계 S102), 해당 물품의 위해 여부를 판별한 후(단계 S103), 해당 물품의 품목, 유효기간 및 중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물품정보를 확인하여(단계 S104), 통합관리서버(11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물품의 위해 여부는 관리자 제어 하에 물품별 기준검사를 거쳐 판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가공업체서버(120)는 해당 물품이 위해한 것으로 판별되면(단계 S103), 담당관리자 및 통합관리서버(110) 중 적어도 한 곳에 통보할 수 있다(단계 S107). 해당 담당관리자는 위해 통보를 수신하면 해당 물품에 대한 생산중지, 폐기 및 보류 중 어느 하나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가공업체서버(120)는 해당 물품이 정상인 것으로 판별되면(단계 S105), 이를 통합관리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통합관리서버(110)는 제1 가공업체서버(120)로부터 수신된 물품정보에 기초하여 생산바코드 및 생산품목바코드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이력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단계 S106). 일 실시예에서, 통합관리서버(110)는 생성된 생산바코드 및 생산품목바코드를 제1 가공업체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공업체서버(120)는 전송받은 생산바코드 및 생산품목바코드를 해당 물품 또는 제품에 부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가공업체서버(120)는 해당 물품이 비정상인 경우(단계 S105), 이를 통합관리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S108). 예를 들어, 비정상 판정은 해당 물품의 유효기간 경과 등을 확인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제2 가공업체서버(130)에서도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도 1의 통합관리서버와 운송업체서버에서 수행되는 관리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운송업체서버(140)는 해당 물품의 운송시 관리자(운송 담당자) 제어 하에 해당 물품의 생산품목바코드가 스캔되어 입력되면(단계 S201), 입력된 생산품목바코드를 통합관리서버(110)로 전송하여 해당 물품의 위해 여부, 유효기간 및 재고량 확인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단계 S202). 일 실시예에서, 해당 물품이 정상인 경우, 운송업체서버(140)는 해당 운송업체정보를 통합관리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운송이 시작되면, 운송업체서버(140)는 해당 물품을 운반하는 차량의 정보(운송상태)를 수신하여 확인하고 이상 발생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단계 S204). 예를 들어, 이상 발생여부는 해당 차량에 설치된 온도센서 등의 감지데이터를 분석하여 기준값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운송업체서버(140)는 이상이 발생하면 이를 통합관리서버(110)로 통보하여 해당 물품의 리콜 및 폐기를 결정할 수 있다(단계 S208). 예를 들어, 이상 발생 통보는 위해 식품으로 판단된 물품 또는 이에 해당하는 신고, 유효기간의 경과 및 재고량의 기준량 초과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알려줄 수 있다.
운송업체서버(140)는 해당 물품의 운송 완료 후 창고 입고시 관리자 제어 하에 해당 물품의 생산품목바코드가 스캔되어 입력되면(단계 S205), 입력된 생산품목바코드를 통합관리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운송업체서버(140)는 입고시 전송되는 생산품목바코드와 더불어 해당 물품의 입고일자 및 입고되는 창고정보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통합관리서버(110)는 입고시 운송업체서버(140)로부터 수신된 생산품목바코드에 해당하는 물품의 이력정보에 수신된 입고일자 및 입고되는 창고정보를 매칭하여 갱신할 수 있다(단계 S206). 일 실시예에서, 통합관리서버(110)는 매칭저장된 이력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물품에 대한 창고 재고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단계 S207). 예를 들어, 창고 재고 관리는 통합관리서버(110)와 운송업체서버(140)가 연동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통합관리서버와 판매업체서버에서 수행되는 관리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판매업체서버(150)는 관리자(판매자) 제어 하에 해당 물품의 생산품목바코드가 스캔되어 입력되면(단계 S301), 입력된 생산품목바코드를 통합관리서버(110)로 전송하여 해당 물품의 위해 여부 및 유효기간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고(단계 S302), 관리자 제어 하에 입력된 제품정보와 생산품목바코드를 통합관리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S303). 예를 들어, 제품정보는 판매업체로 입고된 상태의 물품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품정보는 판매업체로 입고된 물품을 소포장으로 가공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합관리서버(110)는 전송된 생산품목바코드에 매칭된 물품의 유효기간이 경과된 경우, 이를 판매업체서버(150)로 통보하고 해당 물품을 리콜 및 폐기할 수 있다(단계 S309). 예를 들어, 해당 물품에 대한 리콜 및 폐기 확인은 해당 물품의 입고 및 판매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서 수행될 수 있다.
통합관리서버(110)는 전송된 생산품목바코드 및 제품정보에 기초하여 판매품목바코드를 생성하고 이력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단계 S304). 일 실시예에서, 생성된 판매품목바코드는 판매업체서버(150)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업체서버(150)는 전송된 판매품목바코드를 해당 제품에 부착할 수 있다.
해당 제품이 판매되면(단계 S305), 판매업체서버(150)는 판매시 스캔된 판매품목바코드를 통합관리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S306). 일 실시예에서, 판매업체서버(150)는 해당 제품의 판매품목바코드와 더불어 판매일자, 판매업체정보를 통합관리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관리서버(110)는 전송된 판매일자 및 판매업체정보를 해당 제품의 이력정보로 갱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단계 S307).
통합관리서버(110)는 해당 제품이 판매되면 해당 제품에 대한 재고 관리를 종료할 수 있다(단계 S308).
만약, 해당 제품이 판매되지 않은 경우(단계 S305), 통합관리서버(110)는 생성된 판매품목바코드에 기초하여 판매자(판매업체)에 대한 해당 제품의 재고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단계 S310). 예를 들어, 판매자 재고 관리는 통합관리서버(110)와 판매업체서버(150)가 연동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통합관리서버와 조리업체서버에서 수행되는 관리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조리업체서버(160)는 관리자(조리자) 제어 하에 해당 물품의 생산품목바코드 또는 판매품목바코드가 스캔되어 입력되면(단계 S401), 입력된 생산품목바코드 또는 판매품목바코드를 통합관리서버(110)로 전송하여 해당 제품의 위해 여부 및 유효기간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여 확인하고(단계 S402), 확인결과 비정상인 경우 해당 제품을 리콜 및 폐기할 수 있다(단계 S406).
해당 제품이 정상인 경우(단계 S402), 해당 제품이 조리되면(단계 S403), 조리업체서버(160)는 해당 제품의 조리일자 및 조리업체정보를 통합관리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관리서버(110)는 전송된 조리일자 및 조리업체정보를 해당 제품의 이력정보로 갱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단계 S404).
통합관리서버(110)는 해당 제품이 조리되면 해당 제품에 대한 재고 관리를 종료할 수 있다(단계 S405).
만약, 해당 제품이 조리되지 않은 경우(단계 S403), 통합관리서버(110)는 전송된 판매품목바코드 및 조리업체정보에 기초하여 조리자(조리업체)에 대한 해당 제품의 재고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단계 S407). 예를 들어, 조리자 재고 관리는 통합관리서버(110)와 조리업체서버(160)가 연동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관리되는 생산바코드 및 생산품목바코드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생산바코드 및 생산품목바코드는 해당 물품의 정보와 더불어 해당 물품 또는 제품의 일측면에 부착(인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생산바코드는 해당 물품의 개체번호, 생산업체 사업자번호 및 해당 물품의 구분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우의 경우, 개체번호는 해당 한우의 고유번호를 포함할 수 있고, 생산업체 사업자번호는 해당 한우의 도축업체의 사업자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구분코드는 야채, 청과, 건어, 정육, 수산 등을 구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생산품목바코드는 해당 물품의 가공에 사용된 기계번호(작업자/작업라인), 생산일자, 표준부위코드, 중량 및 순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우의 경우, 기계번호는 해당 한우를 도축한 작업자 또는 작업라인의 식별번호를 포함할 수 있고, 표준부위코드는 해당 한우의 부위를 식별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순번은 해당 부위를 물품으로 포장한 순서로 부여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해 관리되는 판매물품바코드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판매품목바코드는 해당 제품의 정보와 더불어 해당 물품 또는 제품의 일측면에 부착(인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판매품목바코드는 해당 제품의 가공에 사용된 기계번호(작업자/작업라인), 포장일자, 표준부위코드, 가격 및 순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우의 경우, 기계번호는 물품을 재가공하여 소포장한 작업자 또는 작업라인의 식별번호를 포함할 수 있고, 순번은 소포장한 순서로 부여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판매품목바코드는 개체번호, 개체정보, 매입처, 생산중량, 작업자, 입고일자, 유효일자 및 위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개체정보에 대한 링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해당 물품의 매입, 판매, 출고, 조회, 생산, 식재료 투입, 소포장 등의 단계별 진행에 있어, 바코드가 스캔되어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회원정보, 신용카드, 현금영수증, 거래명세서 등의 전산 및 결재정보를 이력정보로 저장하고, 해당 소비자 또는 담당자에게 문자, 메일, 음성안내, 서신발송 등의 과정을 통해 결재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바코드를 이용한 이력추적 및 통합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는 것이므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이력추적 및 통합관리 시스템
110 : 통합관리서버 120 : 제1 가공업체서버
130 : 제2 가공업체서버 140 : 운송업체서버
150 : 판매업체서버 160 : 조리업체서버
170 : 바코드리더

Claims (8)

  1. 수신되는 물품정보 또는 제품정보에 기초하여 생산바코드, 생산품목바코드 및 판매품목바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 및 저장하고, 해당 바코드의 스캔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물품 또는 제품의 이력정보를 관리하는 통합관리서버; 및
    관리자 제어 하에 해당 물품 또는 제품의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통합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통합관리서버에서 생성된 생산품목바코드 및 판매품목바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관리하며, 물품 또는 제품에 부착된 해당 바코드의 스캔정보를 상기 통합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업체서버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이용한 이력추적 및 통합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업체서버는 가공업체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가공업체서버는
    관리자 제어 하에 스캔된 해당 물품의 번호를 분석하고 위해 여부를 판별한 후, 해당 물품의 품목, 유효기간 및 중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물품정보를 상기 통합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가공업체서버로부터 수신된 물품정보에 기초하여 생산바코드 및 생산품목바코드를 생성하여 이력정보로 저장하고, 생성된 생산바코드 및 생산품목바코드를 상기 가공업체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를 이용한 이력추적 및 통합관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업체서버는 운송업체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운송업체서버는
    해당 물품의 운송시 관리자 제어 하에 해당 물품의 생산품목바코드가 스캔되어 입력되면, 입력된 생산품목바코드를 상기 통합관리서버로 전송하여 해당 물품의 위해 여부 및 유효기간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고, 해당 물품의 운송 완료 후 입고시 관리자 제어 하에 해당 물품의 생산품목바코드가 스캔되어 입력되면, 입력된 생산품목바코드를 상기 통합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운송업체서버의 요청에 따라 수신된 생산품목바코드를 분석하고 해당 물품에 매칭저장된 위해 여부 및 유효기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운송업체서버로 전송하며, 입고시 상기 운송업체서버로부터 생산품목바코드가 수신되면 해당 생산품목바코드를 분석하여 해당 물품의 이력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를 이용한 이력추적 및 통합관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업체서버는 판매업체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판매업체서버는
    관리자 제어 하에 해당 물품의 생산품목바코드가 스캔되어 입력되면, 입력된 생산품목바코드를 상기 통합관리서버로 전송하여 해당 물품의 위해 여부 및 유효기간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고, 관리자 제어 하에 입력된 제품정보를 상기 통합관리서버로 전송하며, 해당 제품의 판매시 관리자 제어 하에 해당 제품의 판매품목바코드가 스캔되어 입력되면, 입력된 판매품목바코드를 상기 통합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판매업체서버의 요청에 따라 수신된 생산품목바코드를 분석하고 해당 물품에 매칭저장된 위해 여부 및 유효기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판매업체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판매업체서버로부터 제품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제품정보에 기초하여 판매품목바코드를 생성하여 이력정보를 갱신하고, 생성된 판매품목바코드를 상기 판매업체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판매업체서버로부터 판매시 판매품목바코드가 수신되면 해당 판매품목바코드를 분석하여 해당 물품의 이력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를 이용한 이력추적 및 통합관리 시스템.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바코드는
    해당 물품의 개체번호, 생산업체 사업자번호 및 해당 물품의 구분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를 이용한 이력추적 및 통합관리 시스템.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품목바코드는
    해당 물품의 가공에 사용된 기계번호(작업자/작업라인), 생산일자, 표준부위코드, 중량 및 순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를 이용한 이력추적 및 통합관리 시스템.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품목바코드는
    해당 제품의 가공에 사용된 기계번호(작업자/작업라인), 포장일자, 표준부위코드, 가격 및 순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를 이용한 이력추적 및 통합관리 시스템.
  8.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물품의 입고시, 해당 단계에서의 재고량을 확인하고, 재고량이 기준량을 초과하면 경고메시지 및 경고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를 이용한 이력추적 및 통합관리 시스템.
KR1020110051212A 2011-05-30 2011-05-30 바코드를 이용한 이력추적 및 통합관리 시스템 KR201201328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212A KR20120132847A (ko) 2011-05-30 2011-05-30 바코드를 이용한 이력추적 및 통합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212A KR20120132847A (ko) 2011-05-30 2011-05-30 바코드를 이용한 이력추적 및 통합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2847A true KR20120132847A (ko) 2012-12-10

Family

ID=47516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1212A KR20120132847A (ko) 2011-05-30 2011-05-30 바코드를 이용한 이력추적 및 통합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284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6123A3 (ko) * 2014-09-05 2016-04-21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물류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격결정방법
KR20190111424A (ko) * 2018-03-22 2019-10-02 권기순 제품의 이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31151A (ko) * 2020-04-23 2021-11-0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선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6123A3 (ko) * 2014-09-05 2016-04-21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물류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격결정방법
KR20190111424A (ko) * 2018-03-22 2019-10-02 권기순 제품의 이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31151A (ko) * 2020-04-23 2021-11-0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선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051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nd providing provenance of product
EP3549078B1 (en) Process for rfid certification of carton content
US20020038267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 retail operations
JP2009116525A (ja) 商品情報照会システムおよび商品情報照会方法
CN103942631A (zh) Rfid溯源系统
CN105190663A (zh) 用于验证商品的系统
CN101165736A (zh) 管理rfid和其它数据的方法和装置
CN105279817A (zh) 新一代食品安全智能监控及追溯系统
McCathie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barcodes an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 supply chain management
KR20160067807A (ko) 실시간 재고 파악이 가능한 스마트 물류관리 시스템
Bertolini et al. Shrinkage reduction in perishable food supply chain by means of an RFID-based FIFO management policy
CN114026588A (zh) 用于食品存储和调理方面的增强食品安全的方法
TW201706922A (zh) 配送管理系統及配送管理方法
Šenk et al. Food product traceability by using automated identification technologies
CN102693513A (zh) 一种用于鲜活农产品流通及溯源的控制方法
KR20120132847A (ko) 바코드를 이용한 이력추적 및 통합관리 시스템
KR20100096510A (ko) 소비자 추적 방법 및 장치
JP2004246887A (ja) 商品識別システム
Chan Supply chain traceability systems—robust approaches for the digital age
KR20160120576A (ko) 생산물 이력관리 시스템 및 방법
Azevedo et al. RFID technology in retailing: an exploratory study on fashion apparels
CN102521726A (zh) 流通环节生猪食用安全追溯
Roy et al. Appraising and overcoming the barriers of RFID implementation in a process industry in New Zealand
AU2021101071A4 (en) Data science/ engineering in advanced supply chain process using block chain technology
JP5621894B2 (ja) 携帯端末、および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603

Effective date: 2014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