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2344A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2344A
KR20120132344A KR1020120049809A KR20120049809A KR20120132344A KR 20120132344 A KR20120132344 A KR 20120132344A KR 1020120049809 A KR1020120049809 A KR 1020120049809A KR 20120049809 A KR20120049809 A KR 20120049809A KR 20120132344 A KR20120132344 A KR 20120132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able
shell
housing
electrica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9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9375B1 (ko
Inventor
이쿠오 덴포우야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32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2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9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9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5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cables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6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metal grounding pan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복수의 케이블과 배선 기판을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커넥터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고, 박형화를 가능하게 하여, 노이즈의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판 형상의 도전성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상부 셸(10)과, 복수의 케이블(4)를 지지하고, 케이블(4)의 심선과 전기 접속되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판 형상의 도전성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하부 셸을 갖고, 상부 셸(10)과 하부 셸이 하우징을 사이에 끼워 조립되는 전기 커넥터로서, 상부 셸(10)은, 케이블(4)이 도출되는 측의 반대측에, 하우징 방향으로 절곡된 전벽편(前壁片;14)을 갖고, 전벽편(14)은,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5)와, 돌출부(15)에 인접한 구멍(14c)을 갖고, 돌출부(15) 및 구멍(14c)에 풀탭을 부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전기 케이블과 배선 기판의 배선을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나 휴대 전자 기기 등의 전자 기기에는, 많은 전자 부품이 탑재되고, 반도체 집적회로(LSI)나 그 외의 능동?수동 부품 등을 탑재한 배선 기판, 액정 디스플레이, RF 회로 등을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가 필요해진다. 그리고, 이들 전자 기기의 박형화(a reduction of a height)?소형화 등에 수반하여, 그 전기 커넥터에는, 고밀도 실장화에 대응함과 함께, 강성?내구성 등의 고신뢰성이 요구된다. 또한, 커넥터의 빼고 꽂기를 반복하여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그 취급이 용이하고, 전기 커넥터가 변형?손상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 커넥터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슬롯을 갖는 소켓과, 소켓에 접속된 래치 로드와, 소켓에 결합되도록 슬롯 내에 삽입되어, 서로 대향하는 측벽의 각각에 잠금부가 형성된 플러그와, 플러그에 형성된 풀탭(pull tap)을 구비하고, 래치 로드(latch rod)는, 풀탭이 손상되는 것으로부터 보호하고, 소켓으로부터 플러그를 접속 해제할 때에, 풀탭은, 래치 로드가 잠금부로부터 용이하게 해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풀탭이 용이하게 변형?손상되지 않도록 한 전기 커넥터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등록실용신안 제3161161호 공보
그런데, 상기와 같은 전기 커넥터의 기술에 대해서, 본 발명자가 검토한 결과, 이하와 같은 것이 분명해졌다.
예를 들면, 전자 기기의 조립이나 수리시, 전기 커넥터의 빼고 꽂기를 반복하여 행하는 경우가 있다. 그때, 전기 커넥터가 소형?박형인 경우, 손으로 조작을 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 때문에, 전기 커넥터의 착탈(빼고 꽂기)시, 케이블을 손으로 들고 뽑아 내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케이블의 심선이 단선될 뿐만 아니라, 전기 커넥터를 덮고 있는 셸이 변형되거나, 벗겨지거나 할 우려도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에서는, 플러그의 상면에 형성된 풀탭을 상방으로 잡아 당김으로써, 플러그를 소켓으로부터 접속 해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의 경우, 플러그의 상면 거의 중앙에 풀탭이 존재하기 때문에, 플러그를 소켓에 접속하여 풀탭을 접은 상태라도, 그 두께에 의해, 전기 커넥터 전체의 높이가 높아져 버린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박형화가 요구되는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커넥터로서는 부적절하다. 또한, 풀탭을 부착하기 위한 구멍이, 플러그의 상면 거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구멍에 의해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쉬워진다.
그래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복수의 케이블과 배선 기판을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커넥터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고, 박형화를 가능하게 하여, 노이즈의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그리고 그 외의 목적과 신규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記述)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본원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의 개요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춤 가능한 전기 커넥터로서, 판 형상의 도전성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1셸과, 복수의 케이블을 지지(holding)하고, 상기 케이블의 심선(core wire)과 전기 접속되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판 형상의 도전성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2셸을 갖고, 상기 제1셸과 상기 제2셸이 상기 하우징을 사이에 끼워 조립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셸은, 상기 케이블이 도출되는 측의 반대측에, 상기 하우징 방향으로 절곡된 벽편(壁片)을 갖고, 상기 벽편은, 상기 전기 커넥터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인접한 구멍을 갖고, 상기 돌출부 및 구멍에 풀탭을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원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1) 풀탭의 부착에 상부 셸의 측면의 구멍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전기 커넥터의 조립 후라도 풀탭을 자유롭게 착탈 가능하고, 풀탭의 유무를 조립 완료 후에 선택할 수 있다.
(2) 풀탭을 전기 커넥터의 외측에 접을 수 있기 때문에, 전기 커넥터 전체의 끼워맞춤 높이가 풀탭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3) 상부 셸의 상면에 관통구멍이 없기 때문에, 노이즈의 영향이 저감된다.
(4) 풀탭 부착용의 상부 셸 측면의 구멍의 하부가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풀탭을 부착하지 않는 경우라도, 그 돌출된 부분에 손가락 등을 걸어 전기 커넥터를 들어 올리는 것이 가능하여, 용이하게 커넥터를 접속 해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케이블측 커넥터 및 기판측 커넥터의 끼워맞춤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상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케이블측 커넥터 및 기판측 커넥터의 끼워맞춤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하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케이블측 커넥터 및 기판측 커넥터의 끼워맞춤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풀탭을 부착하지 않는 경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케이블측 커넥터 및 기판측 커넥터의 중앙 부분(도 3의 A-A선)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케이블측 커넥터 및 기판측 커넥터의 끼워맞춤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풀탭을 부착한 경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케이블측 커넥터 및 기판측 커넥터의 중앙 부분(도 5의 B-B선)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케이블측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풀탭을 부착하지 않는 경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케이블측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풀탭을 부착한 경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케이블측 커넥터의 조립 전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케이블측 커넥터의 상부 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우상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케이블측 커넥터의 상부 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좌상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케이블측 커넥터의 단자 부착 하우징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우상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케이블측 커넥터의 단자 부착 하우징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좌상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케이블측 커넥터의 하부 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우상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케이블측 커넥터의 하부 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좌상측으로부터 본 도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전(全)도면에 있어서, 동일 부재에는 원칙적으로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반복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케이블측 커넥터(100) 및 기판측 커넥터(300)의 끼워맞춤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1은 상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2는 하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3은, 케이블측 커넥터(100) 및 기판측 커넥터(300)의 끼워맞춤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케이블측 커넥터(100) 및 기판측 커넥터(300)의 중앙 부분(도 3의 A-A선)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풀탭(8)을 부착하지 않는 경우). 도 5는, 케이블측 커넥터(100) 및 기판측 커넥터(300)의 끼워맞춤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케이블측 커넥터(100) 및 기판측 커넥터(300)의 중앙 부분(도 5의 B-B선)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풀탭(8)을 부착한 경우).
우선, 도 1?도 6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의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한다. 도 1?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1)는, 복수의 케이블(4)의 말단에 부착되는 케이블측 커넥터(100)와, 배선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실장되어, 케이블측 커넥터(100)와 끼워맞춤 가능한 기판측 커넥터(300)로 이루어진다. 케이블측 커넥터(100)는, 기판측 커넥터(300)에 대하여 기판 수직 방향(Z 방향)으로부터 착탈 자유롭게 끼워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고, 기판측 커넥터(300)측(Z2 방향)으로 돌출된 끼워맞춤부(37)에 형성된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단자(21)가 기판측 커넥터(300)의 단자(350)(접촉부(353, 354))에 접촉함으로써, 복수의 케이블(4)의 각각과 기판 배선의 각각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케이블측 커넥터(100)는 끼워맞춤 방향(Z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Y2)을 향하여 케이블이 도출되어 있고, 당해 케이블 커넥터(100)의 장변(長邊)의 케이블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측(Y1 방향)의 측면 중앙 부근에, 돌출부 및 구멍이 있으며, 그곳에 풀탭(8)이 부착되어, 그 풀탭(8)을 상방으로 들어 올림으로써, 케이블측 커넥터(100)와 기판측 커넥터(300)와의 끼워맞춤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풀탭(8)은, 셀로판, PS 등의 가요성의 테이프이다. 또한, 풀탭(8)의 형상 및 재질은, 유연성이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고, 테이프에 한정되지 않고, 실, 끈 등이라도 좋다.
기판측 커넥터(300)는, 하우징(330)과, 하우징을 덮도록 부착되는 금속제의 셸(310)과, 하우징(330)의 하측으로부터 상방향(Z1 방향)으로 삽입, 부착되는 단자(350)를 갖는다. 기판측 커넥터(300)의 하우징(330)은, 길이 방향(X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고,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단자(21)와 동일한 간격(피치)으로 단자(350)를 지지하고 있다. 단자(350)는, 기판 접속부(351)와, 하우징(330)으로의 삽입부(352)와, U자 형상의 상대 단자와의 접촉부(353, 354)를 갖는다.
기판측 커넥터(300)가 케이블측 커넥터(100)와 끼워맞춤한 경우, 각각의 단자(21, 350)가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한편,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상부 셸(10)의 일부(14a)가, 기판측 커넥터(300)의 셸(310)의 외측면과 접촉함으로써, 쉴드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하부 셸(30)은, 기판측 커넥터(300)의 셸(310)의 대응 부분(부호 312)과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기판측 커넥터(300)의 길이 방향의 양단 내측에 있는 잠금용 볼록부(311)가,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양측면에 형성된 구멍(13b)에 끼워짐으로써 양 커넥터 사이에서의 잠금이 실현됨과 함께, 셸끼리(상부 셸(10), 하부 셸(30), 셸(310))가 접촉함으로써 쉴드성이 향상된다.
다음으로, 도 7?도 15에 의해,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7은,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풀탭을 부착하지 않는 경우). 도 8은,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풀탭을 부착한 경우). 도 9는,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조립 전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측면도이다. 도 7?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측 커넥터(100)는, 상부 셸(10)(제1셸)과, 복수의 단자(21)(도 2, 도 4 등 참조)를 일체 성형에 의해 지지한 하우징(20)과, 하부 셸(30)(제2셸)로 이루어진다.
복수의 단자(21)의 각각에는, 복수의 케이블(4)의 각각의 심선(4a)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케이블(4)로서,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이나 통상의 전선이 사용 가능하다. 도 9에서는, 일 예로서 케이블(4)이 동축 케이블의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에 나타내는 동축 케이블(4)은, 예를 들면, 구리선 등의 중심 도체(심선(4a)), 폴리에틸렌 등의 절연체, 편조(編組) 구리선 등의 외부 도체, 비닐 등의 절연성의 외피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동축 케이블(4)의 각각의 편조는, 도전성 금속의 그라운드 바(5)에 접속되어 있다. 그라운드 바(5)는, 또한 상부 셸(10) 및 하부 셸(30)과 전기 접속되어, 그라운드를 취하게 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은,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상부 셸(1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우상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11은 좌상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셸(10)은,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긴쪽 방향(X 방향)으로 연장하는 본체부(11)와, 이 본체부(11)의 길이 방향의 양측 단부로부터 하측(Z2 방향)을 향하여 절곡된 제1 걸림편(12), 제2 걸림편(13), 또한, 전(前)측(Y1측)에 있어서 하측을 향하여 절곡된 전벽편(前壁片;14)을 갖는다. 즉, 제1 걸림편(12), 제2 걸림편(13) 및 전벽편(14)은 각각, 커넥터(100)의 조립 상태에 있어서는 하우징(20)측으로 절곡된 것이고,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기판측 커넥터(300)에 대한 끼워맞춤 방향(Z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제1 걸림편(12), 제2 걸림편(13)은 각각 전후 방향(Y 방향, 짧은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위치 및, 길이 방향(X 방향, 긴쪽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걸림편(12)은, 전후 방향(Y 방향)에 있어서는 제2 걸림편(13)에 대하여 케이블(4)의 도출측(Y2측)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길이 방향(X 방향)에 있어서는 제2 걸림편에 대하여 내측(단자(21)측)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하부 셸 및 하우징의 피(被)걸림부에 대하여 끼워넣게(걸리게) 되어 있다.
상부 셸(10)의 전벽편(14)에는 복수의 구멍(14b, 14c)이 형성되어 있고, 구멍(14b)에는 하우징의 볼록부(29a)가 끼워넣음되어, 당해 구멍을 막아 버리기는 하지만, 구멍(14c)에는 볼록부(29b)가 끼워넣더라도 볼록부(29b) 사이에서는 구멍이 남아 있다. 즉 구멍(14c)은, 길이 방향(X 방향) 및 케이블 도출 방향(Y 방향)과 직교하는 높이 방향(끼워맞춤 방향, Z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고, 이 구멍(14c)의 존재에 의해,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조립 후에, 풀탭(8)을 당해 구멍(14c)에 부착 가능하기 때문에, 유저가 「풀탭을 부착함」, 「부착하지 않음」를 각각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구멍(14c)에 대응하는 부분의 전벽편(14)은, 전측(Y1측)에 돌출(부호 15) 형성됨으로써, 구멍(14c)을 크게 할 수 있어, 풀탭(8)을 부착하기 쉽게 되어 있다. 풀탭(8)을 부착함으로써, 풀탭(8)을 상방향(Z1)으로 잡아당겨 올림으로써, 케이블측 커넥터(100)를 기판측 커넥터(300)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또한, 풀탭(8)을 부착하지 않는 경우에는, 돌출부(15)나 볼록부(29)에 손가락을 걺으로써, 케이블측 커넥터(100)를 떼어낼 수 있다. 볼록부(29b)는 필수 구성이 아니며, 볼록부(29b)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만큼 길이 방향(Z 방향)에 있어서의 구멍(14c)을 넓게 확보할 수도 있다.
또한, 상부 셸(10)의 본체부(11)의 케이블측에는 소정 간격을 갖고 복수의 구멍(19)이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블(4)을 지지하여 그 외부 도체와 접속되는 그라운드 바(5)와 납땜 접속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들 구멍(19)은, 커넥터의 전후 방향(Y 방향)에 있어서, 제1 걸림편(12)과 거의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셸(10)의 본체부(11)의 양단 부근에, 하우징 방향(Z2 방향)으로 돌출되어 절곡된 설편(16)을 갖고, 하우징(20)의 홈(22b)(도 12 참조)에 끼워지게 되어 있다. 또한, 상부 셸(10)은, 평판 형상(판 형상)의 도전성 금속(스테인레스 등)판을, 금형으로 펀칭하고, 그 후 절곡 가공함으로써 성형된다.
도 12 및 도 13은,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단자 하우징(2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우상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13은 좌상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20)에는 길이 방향(X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고 복수의 단자(21)가 지지되는 본체부(22)와, 본체부(22)를 사이에 끼우도록 길이 방향의 양측단역(域)에 있어서 상부 셸(10)과 하부 셸(20)이 부착되는 영역(23)이 있다. 하우징(20)의 본체부(22)의 전방향(Y1 방향)의 측면에는, 전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볼록부(29a, 29b)가 형성되고, 조립시에 상부 셸(10)의 구멍(14b, 14c)에 끼워지게 되어 있다. 하우징(20)의 양측의 영역(23)에는, 전후 방향(Y 방향, 짧은쪽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릿(24)과, 하부 셸(30)의 측벽편(34)(도 9 및 도 14 등 참조)이 부착되는 부착부(26)와, 상부 셸의 제2 걸림편(13)이 부착되는 부착부(25)가 형성되어 있다. 부착부(26, 25)에는 각각 외측(X1, X2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된 억제부(26a, 25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0)의 길이 방향의 양단 부근에 홈(22b)을 갖고, 상부 셸(10)의 설편(16)이 끼워지게 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0)은, 예를 들면, 절연성의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고, 도전성 금속의 단자(21)와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도 14 및 도 15는,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하부 셸(3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우상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15는 좌상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셸(30)은, 길이 방향(X 방향)으로 연장하는 본체부(31)와, 이 본체부(31)의 길이 방향의 양측 단부로부터 상측(Z1 방향)을 향하여 절곡된 측벽편(34)과, 본체부(31)의 전측(Y1 방향)에 있어서 측면에서 볼 때 U자 형상으로 절곡된 삽입부(32, 33)를 갖는다. 또한, 측벽편(34)은, 조립시에 상부 셸(10)의 L편(12a)과 걸어맞춤하여 걸리기 때문에 측벽편(34)에 대하여 외측(X1, X2 방향)을 향하여 절곡된 절곡편(35)과, 상부 셸(10)의 제1 걸어맞춤편(12)과 걸어맞춤하여 전기 접속을 확보하기 위해 외측(X1, X2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돌기부(36)를 갖는다. 또한, 하부 셸(30)은, 상부 셸(10)과 동일하게, 평판 상(판 형상)의 도전성 금속(스테인레스 등)판을, 금형으로 펀칭하고, 그 후 절곡 가공함으로써 성형된다.
전술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케이블측 커넥터(100)는, 이하와 같이 조립된다.
(1) 단자(21)를 일체 성형한 하우징(20)에 대하여, 하부 셸(30)을 하측으로부터 상방향(Z1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하부 셸(30)의 삽입부(32, 33)가 하우징 본체부(22)의 대응하는 홈(22a)에 삽입되어 지지됨과 함께, 하부 셸(30)의 측벽편(34)이 하우징(20)의 부착부(26)에 부착된다. 이에 따라, 하부 셸(30)의 절곡편(35)이 하우징(20)의 억제부(26a)의 하측에 위치됨과 함께, 돌기부(36)가 제1 걸림편(12)의 슬라이드 궤도 상에 근소하게 돌출된 상태가 된다.
(2) 다음으로, 단자(21)의 단자 접속부(21a)에 대하여 케이블의 심선(4a)이 땜납 접속된다. 케이블(4)은, 그라운드 바(5)에 의해 정렬 지지된다. 또한, 그라운드 바(5)는 도전성의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블(4)은 동축 케이블이기 때문에, 그라운드 바(5)는,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도시하지 않음) 부분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케이블(4)을 지지하고 있다.
(3) 다음으로, 상부 셸(10)을 부착한다. 상부 셸(10)의 부착은, 우선, 상부 셸(10)을 하우징(20)의 상측(Z1측)에 위치시키고, 하우징(20)측(Z2측)을 향하여 이동시키며, 상부 셸(10)의 제1 걸림편(12)을, 하우징(20)의 슬릿(24)의 내부에 위치시킨다. 이때 하우징(20)에 대한 상부 셸(10)의 X 방향, Z 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그 후, 이, 상부 셸(10)과 하부 셸(30)이 하우징(20)을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하부 셸(30)에 대하여 상부 셸(10)을 슬릿(24)을 따라서 Y2 방향(짧은쪽 방향, 후(後)방향. 케이블(4)의 도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상부 셸(10)의 제1 걸림편(12)의 L자 형상의 L편(12a)이, 하부 셸(30)의 측벽편(34)의 절곡편(35)에 걸려, 상부 셸(10)과 하우징(20)과 하부 셸(30)이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상부 셸(10)의 구멍(19)으로 땜납을 유입시킴으로써, 그라운드 바(5)와 상부 셸(10)이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접속된다.
즉, 제1 걸림편(12)의 L자 형상의 L편(12a)이 하부 셸(30)의 절곡편(35)의 하측에 깊숙이 들어가 고정됨으로써 L편(12a)과 절곡편(35)과 억제부(26a)가 밀착된 상태가 되어, 하우징(20) 및 하부 셸(30)이 상부 셸(10)(본체부(11))을 향하여 밀어 붙여짐으로써 상부 셸(10)과 하우징(20)과 하부 셸(30)이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하부 셸(30)의 돌기부(36)가 제1 걸림편(12)의 내면과 접촉함으로써 상부 셸(10)과 하부 셸(30)과의 전기적 접속이 확보된다. 또한, 절곡편(35)의 상측에는, 하우징(20)의 일부인 억제부(26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 셸(10) 및 하부 셸(30)에 걸리는 상방향(Z1 방향)의 힘은, 최종적으로는 하우징(20)에서 받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하부 셸(30)의 돌기부(36)는, 하부 셸(30) 대신에 상부 셸(10)측에 형성해도 좋다.
한편, 상부 셸(10)의 제2 걸림편(13)은, 하우징(20)의 부착부(25)에 부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 걸림편(13)의 L자 형상의 L편(13a)이, 부착부(25)의 볼록형상의 억제부(25a) 아래에 끼워넣음된다. L편(13a)의 상측에는, 억제부(25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도 상방향(Z1 방향)의 힘은, 최종적으로는 하우징(20)에서 받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제2 걸림편(13)에는, 기판측 커넥터(300)의 잠금용 볼록부(311)와 끼워맞춤하기 위한 구멍(13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립시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부 셸(10)의 설편(16)의 선단을, 하우징(20)의 홈(22b)으로 끼워넣음한다. 이에 따라, 커넥터 조립 후, 상부 셸(10)이 전방향(Y1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또한, 하우징(20)의 전측(Y1 방향)의 측면에는 볼록부(29a, 29b)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이 상부 셸(10)의 대응하는 구멍(14b, 14c)에 끼워져, 상부 셸(10)과 하우징(20)과의 부착을 강고하게 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상부 셸(10)의 전측(Y1 방향)의 전벽편(14)에 돌출부(15)와 구멍(14c)을 형성하고, 거기에 풀탭(8)을 부착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풀탭(8)을 상방으로 들어 올림으로써, 용이하게 케이블측 커넥터(100)를 떼어낼 수 있다. 또한, 풀탭을 부착하지 않는 경우라도, 돌출부(15)나 볼록부(29)에 손가락을 걺으로써, 케이블측 커넥터(100)를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또한, 풀탭(8)의 부착에 상부 셸(10)의 측면의 구멍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조립 후라도 풀탭(8)을 자유롭게 착탈 가능하고, 풀탭의 유무를 조립 완료 후에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풀탭을 전기 커넥터의 외측으로 접을 수 있기 때문에, 전기 커넥터 전체의 끼워맞춤 높이가 풀탭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상부 셸의 상면에 관통구멍이 없기 때문에, 노이즈의 영향이 저감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그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1 : 전기 커넥터
4 : 케이블
5 : 그라운드 바
8 : 풀탭
10 : 상부 셸(제1셸)
11 : 본체부(제1 본체부)
12 : 제1 걸림편
12a : L편
13 : 제2 걸림편
13a : L편
13b : 구멍
14 : 전벽편
14a : 상부 셸의 일부
14b, 14c : 구멍
15 : 돌출부
16 : 설편
19 : 구멍
20 : 하우징
21 : 단자
21a : 단자 접속부
22 : 하우징 본체부
22a, 22b : 홈
23 : 영역
24 : 슬릿
25 : 부착부
25a : 억제부
26 : 부착부
26a : 억제부
29a, 29b : 볼록부
30 : 하부 셸(제2셸)
31 : 본체부
32, 33 : 삽입부
34 : 측벽편
35 : 절곡편
36 : 돌기부
37 : 끼워맞춤부
100 : 케이블측 커넥터
300 : 기판측 커넥터(상대 커넥터)
310 : 셸
311 : 잠금용 볼록부
330 : 하우징
350 : 단자
351 : 기판 접속부
352 : 삽입부
353, 354 : 접촉부

Claims (5)

  1.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춤 가능한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전기 커넥터는,
    판 형상의 도전성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1셸과,
    복수의 케이블을 지지(holding)하고, 상기 케이블의 심선(core wire)과 전기 접속되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판 형상의 도전성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2셸을 갖고,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기 제1셸과 상기 제2셸이 상기 하우징을 사이에 끼워 조립되고,
    상기 제1셸은, 상기 케이블이 도출되는 측의 반대측에, 상기 하우징 방향으로 절곡된 벽편을 갖고,
    상기 벽편은, 상기 전기 커넥터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인접한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및 상기 구멍에 가요성의 풀탭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풀탭을 들어 올림으로써, 상기 상대 커넥터로부터 상기 전기 커넥터의 떼어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의 양단 부분에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한쌍의 볼록부가 끼워맞춤하고,
    상기 구멍은, 상기 한쌍의 볼록부의 사이에서 공간 부분이 남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의 양단 부분에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한쌍의 볼록부가 끼워맞춤하고,
    상기 구멍은, 상기 한쌍의 볼록부의 사이에서 공간 부분이 남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120049809A 2011-05-27 2012-05-10 전기 커넥터 KR1014393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18988A JP5468042B2 (ja) 2011-05-27 2011-05-27 電気コネクタ
JPJP-P-2011-118988 2011-05-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2344A true KR20120132344A (ko) 2012-12-05
KR101439375B1 KR101439375B1 (ko) 2014-09-11

Family

ID=47200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9809A KR101439375B1 (ko) 2011-05-27 2012-05-10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468042B2 (ko)
KR (1) KR101439375B1 (ko)
CN (1) CN102801040B (ko)
TW (1) TWI49783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06568A (zh) * 2018-08-03 2018-11-13 武汉精测电子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自动拔线治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40511B (zh) * 2019-07-10 2021-09-21 貝爾威勒電子股份有限公司 全遮蔽式的排線連接器及其排線插頭
JP7427456B2 (ja) 2020-01-24 2024-02-05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ブラケットおよびコネクタ組立体
CN112134051A (zh) * 2020-09-24 2020-12-25 东莞立讯技术有限公司 板端连接器和连接器组件
JP7408156B2 (ja) * 2021-02-22 2024-01-05 株式会社サンセイアールアンドディ 遊技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4972U (ko) * 1985-10-09 1987-04-22
JP2003007401A (ja) * 2001-06-22 2003-01-10 Sumitomo Wiring Syst Ltd シールドコネクタ
CN200969446Y (zh) * 2005-02-18 2007-10-31 莫莱克斯公司 薄型闭锁连接器
TWM372566U (en) * 2009-05-12 2010-01-11 Tyco Electronics Holdings Bermuda No 7 Ltd Electrical connec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06568A (zh) * 2018-08-03 2018-11-13 武汉精测电子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自动拔线治具
CN108806568B (zh) * 2018-08-03 2023-09-12 武汉精测电子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自动拔线治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97839B (zh) 2015-08-21
JP5468042B2 (ja) 2014-04-09
KR101439375B1 (ko) 2014-09-11
JP2012248391A (ja) 2012-12-13
CN102801040B (zh) 2015-02-04
CN102801040A (zh) 2012-11-28
TW201310794A (zh) 2013-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1611B2 (en) I/O connector configured for cabled connection to the midboard
US9935401B2 (en)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EP2602882A1 (en) Electric connector
JP5717567B2 (ja) ケーブルアッセンブリ、コネクタ及び半導体試験装置
KR20120132344A (ko) 전기 커넥터
KR101502413B1 (ko) 전기 커넥터
US8790134B2 (en) Connector, cable assembly, and semiconductor testing device
TWI589063B (zh) 插頭連接器及其製造方法
JP6002620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11003291A (ja) 電線対基板コネクタ
CN106410541B (zh) 电连接器组件
JP2009176423A (ja) 移動通信端末機用プラグコネクタ
TWM461162U (zh) 連接器
JP6252969B2 (ja) 電気コネクタ
JP6965684B2 (ja) コネクタ
KR101544906B1 (ko) Pcb 실장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525169B1 (ko) Pcb 실장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CN212695392U (zh) 连接器组合的锁定结构
US10476205B2 (en) Plug with positioning cap
JP2016025019A (ja) 同軸型電気コネクタ
JP2017117562A (ja) 金属端子
JP6268901B2 (ja) 電気コネクタ
JP2015049975A (ja) 電気コネクタ用ハウジング及び電気コネクタ
JP2013109831A (ja) 同軸低背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