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2413B1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2413B1
KR101502413B1 KR1020120049799A KR20120049799A KR101502413B1 KR 101502413 B1 KR101502413 B1 KR 101502413B1 KR 1020120049799 A KR1020120049799 A KR 1020120049799A KR 20120049799 A KR20120049799 A KR 20120049799A KR 101502413 B1 KR101502413 B1 KR 101502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cable
housing
side connecto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9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2343A (ko
Inventor
이쿠오 덴포우야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32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2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2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2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5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cables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6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metal grounding pan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복수의 케이블과 배선 기판을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케이블의 인회 등에 있어서의 케이블로의 부하를 경감하고, 전기 커넥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해결 수단) 상부 셸은, 전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절곡된 제1 걸림편(12)을 갖고, 하부 셸은, 전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절곡된 측벽편(34)을 갖고, 전기 커넥터가 조립될 때, 상부 셸과 하부 셸이 하우징을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하부 셸에 대하여 상부 셸이 슬라이드 이동하고, 제1 걸림편(12)의 L편(12a)과 측벽편(34)의 절곡편(35)이 서로 걸어, 상부 셸과 하우징과 하부 셸이 일체적으로 고정되고, 상부 셸과 하부 셸과 그라운드 바(5)가 전기 접속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전기 케이블과 배선 기판의 배선을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나 휴대 전자 기기 등의 전자 기기에는, 많은 전자 부품이 탑재되고, 반도체 집적회로(LSI)나 그 외의 능동·수동 부품 등을 탑재한 배선 기판, 액정 디스플레이, RF 회로 등을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가 필요해진다. 그리고, 이들 전자 기기의 박형화(a reduction of a height)·소형화 등에 수반하여, 그 전기 커넥터에는, 고밀도 실장화에 대응함과 함께, 강성·내구성 등의 고신뢰성이 요구된다.
복수의 전기 케이블을 배선 기판과 접속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있다. 특허문헌 1의 전기 커넥터는, 복수의 콘택트와, 콘택트가 지지(holding)·고정됨과 함께 상대물이 끼워맞춤되는 끼워맞춤부를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을 덮는 2개의 셸을 구비하고, 한쪽의 셸의 장변(長邊)의 거의 중앙 위치에 대략 L자 형상을 한 걸어맞춤부를 형성하고, 그 걸어맞춤부를 다른 한쪽의 셸에 걸어맞춤시켜, 셸의 변형을 방지하고자 한 것이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5-243471호
그런데, 상기와 같은 전기 커넥터의 기술에 대해서, 본 발명자가 검토한 결과, 이하와 같은 것이 분명해졌다.
예를 들면, 전자 기기 내에서의 케이블의 인회(引回)시, 케이블을 손으로 들고 잡아 당기거나, 구부리거나 하는 경우가 있고, 그에 따라 케이블에 여분의 힘이 더해져, 경우에 따라서는, 케이블의 심선(core wire)이 단선될 우려가 있다. 특히, 일렬로 늘어선 케이블의 다발이 접속된 전기 커넥터의 경우, 그 케이블의 다발의 외측의 케이블에 가장 큰 부하가 걸린다. 또한, 전기 커넥터의 착탈(빼고 꽂기)시에, 케이블을 손으로 들고 뽑아 내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케이블의 심선이 단선될 뿐만 아니라, 전기 커넥터를 덮고 있는 셸이 변형되거나, 벗겨지거나 할 우려도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의 경우, 콘택트와 케이블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2매의 셸을 사이에 끼우는 구조로 되어 있고, 하방의 셸의 장변의 중앙부에 L자 형상의 걸어맞춤부를 갖고, 그 걸어맞춤부를 상방의 셸에 걸어 고정하여, 이에 따라, 셸의 변형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 구조에서는, 셸의 변형은 방지할 수 있을지도 모르지만, 케이블의 인회에 의한 케이블의 심선의 단선을 방지할 수는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복수의 케이블과 배선 기판을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케이블의 인회 등에 있어서의 케이블로의 부하를 경감하고, 전기 커넥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그리고 그 외의 목적과 신규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記述)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본원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의 개요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커넥터는, 판 형상의 도전성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1셸과, 복수의 케이블을 지지하고, 상기 케이블의 심선과 전기 접속되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판 형상의 도전성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2셸을 갖고, 상기 제1셸과 상기 제2셸이 상기 하우징을 사이에 끼워 조립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셸은, 제1 본체부와, 상기 전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상기 제1 본체부로부터 절곡된 제1 걸림부를 갖고, 상기 제2셸은, 제2 본체부와, 상기 전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상기 제2 본체부로부터 절곡된 제2 걸림부를 갖고, 상기 전기 커넥터가 조립될 때, 상기 제1셸과 상기 제2셸이 상기 하우징을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상기 제2셸에 대하여 상기 제1셸이 슬라이드 이동하고, 상기 제1 걸림부와 상기 제2 걸림부가 서로 걸어, 상기 제1셸과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2셸이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본원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1) 케이블의 인회에 의한 심선으로의 부하가 경감되어, 심선의 단선이 방지된다.
(2) 전기 커넥터 전체의 강성이 향상된다.
(3) 2매의 금속 셸을 물리적·전기적으로 접촉시킴으로써, 내노이즈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케이블측 커넥터 및 기판측 커넥터의 끼워맞춤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상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케이블측 커넥터 및 기판측 커넥터의 끼워맞춤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하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케이블측 커넥터 및 기판측 커넥터의 끼워맞춤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상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케이블측 커넥터 및 기판측 커넥터의 중앙 부분(도 3의 A-A선)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케이블측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케이블측 커넥터의 조립 전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케이블측 커넥터의 상부 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우상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케이블측 커넥터의 상부 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좌상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케이블측 커넥터의 단자 부착 하우징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우상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케이블측 커넥터의 단자 부착 하우징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좌상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케이블측 커넥터의 하부 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우상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케이블측 커넥터의 하부 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좌상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케이블측 커넥터의 조립에 있어서, 단자에 케이블을 위치 맞춤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케이블측 커넥터의 조립에 있어서, 상부 셸의 부착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조립 도중의 상태).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케이블측 커넥터의 조립에 있어서, 상부 셸의 부착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조립 후의 상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전(全)도면에 있어서, 동일 부재에는 원칙적으로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반복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케이블측 커넥터(100) 및 기판측 커넥터(300)의 끼워맞춤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1은 상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2는 하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3은, 케이블측 커넥터(100) 및 기판측 커넥터(300)의 끼워맞춤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케이블측 커넥터(100) 및 기판측 커넥터(300)의 중앙 부분(도3의 A-A선)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우선, 도 1∼도 4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의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한다.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1)는, 복수의 케이블(4)의 말단에 부착되는 케이블측 커넥터(100)와, 배선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실장되고, 케이블측 커넥터(100)와 끼워맞춤 가능한 기판측 커넥터(300)로 이루어진다. 케이블측 커넥터(100)는, 기판측 커넥터(300)에 대하여 기판 수직 방향(Z 방향)으로부터 착탈 자유롭게 끼워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고, 기판측 커넥터(300)측(Z2 방향)으로 돌출된 끼워맞춤부(37)에 형성된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단자(21)가 기판측 커넥터(300)의 단자(350)(접촉부(353, 354))에 접촉함으로써, 복수의 케이블(4)의 각각과 기판 배선의 각각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기판측 커넥터(300)는, 하우징(330)과, 하우징을 덮도록 부착되는 금속제의 셸(310)과, 하우징(330)의 하측으로부터 상방향(Z1 방향)으로 삽입, 부착되는 단자(350)를 갖는다. 기판측 커넥터(300)의 하우징(330)은, 길이 방향(X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으며,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단자(21)와 동일한 간격(피치)으로 단자(350)를 지지하고 있다. 단자(350)는, 기판 접속부(351)와, 하우징(330)으로의 삽입부(352)와, U자 형상의 상대 단자와의 접촉부(353, 354)를 갖는다.
기판측 커넥터(300)가 케이블측 커넥터(100)와 끼워맞춤한 경우, 각각의 단자(21, 350)가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한편, 케이블측 커넥터(100) 의 상부 셸(10)의 일부(14a)가, 기판측 커넥터(300)의 셸(310)의 외측면과 접촉함으로써, 쉴드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하부 셸(30)은, 기판측 커넥터(300)의 셸(310)의 대응 부분(부호 312)과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기판측 커넥터(300)의 길이 방향의 양단 내측에 있는 잠금용 볼록부(311)가,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양측면에 형성된 구멍(13b)에 끼워짐으로써 양 커넥터 사이에서의 잠금이 실현됨과 함께, 셸끼리(상부 셸(10), 하부 셸(30), 셸(310))가 접촉함으로써 쉴드성이 향상된다.
다음으로, 도 5∼도 12에 의해,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5는,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조립 전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측 커넥터(100)는, 상부 셸(10)(제1셸)과, 복수의 단자(21)(도 2, 도 4 참조)를 일체 성형에 의해 지지한 하우징(20)과, 하부 셸(30)(제2셸)로 이루어진다.
복수의 단자(21)의 각각에는, 복수의 케이블(4)의 각각의 심선(4a)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케이블(4)로서,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이나 통상의 전선이 사용 가능하다. 도 6에서는, 일 예로서 케이블(4)이 동축 케이블의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에 나타내는 동축 케이블(4)은, 예를 들면, 구리선 등의 중심 도체(심선(4a)), 폴리에틸렌 등의 절연체, 편조(編組) 구리선 등의 외부 도체, 비닐 등의 절연성의 외피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동축 케이블(4)의 각각의 편조는, 도전성 금속의 그라운드 바(5)에 접속되어 있다. 그라운드 바(5)는, 또한 상부 셸(10) 및 하부 셸(30)과 전기 접속되고, 그라운드를 취하게 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은,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상부 셸(1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7은 우상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8은 좌상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셸(10)은,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길이 방향(X 방향)으로 연장하는 본체부(11)와, 이 본체부(11)의 길이 방향의 양측 단부로부터 하측(Z2 방향)을 향하여 절곡된 제1 걸림편(12)(제1 걸림부), 제2 걸림편(13)(제3 걸림부), 또한, 전(前)측(Y1측)에 있어서 하측을 향하여 절곡된 전벽편(前壁片;14)을 갖는다. 즉, 제1 걸림편(12), 제2 걸림편(13) 및 전벽편(14)은 각각, 커넥터(100)의 조립 상태에 있어서는 하우징(20)측으로 절곡된 것이고,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기판측 커넥터(300)에 대한 끼워맞춤 방향(Z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제1 걸림편(12), 제2 걸림편(13)은 각각 전후 방향(Y 방향, 짧은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위치 및, 긴쪽 방향(X 방향,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걸림편(12)은, 전후 방향(Y 방향)에 있어서는 제2 걸림편(13)에 대하여 케이블(4)의 도출측(Y2측)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길이 방향(X 방향)에 있어서는 제2 걸림편에 대하여 내측(단자(21)측)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하부 셸 및 하우징의 피(被)걸림부에 대하여 끼워넣게(걸리게) 되어 있다.
또한, 상부 셸(10)의 본체부(11)의 케이블측에는 소정 간격을 갖고 복수의 구멍(19)이 형성되어 있고, 케이블(4)을 지지하여 그 외부 도체와 접속되는 그라운드 바(5)와 납땜 접속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들 구멍(19)은, 커넥터의 전후 방향(Y 방향)에 있어서, 제1 걸림편(12)과 거의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셸(10)의 본체부(11)의 양단 부근에, 하우징 방향(Z2 방향)으로 돌출되어 절곡된 설편(16)을 갖고, 하우징(20)의 홈(22b)(도 9 및 도 13 참조)에 끼워지게 되어 있다. 또한, 상부 셸(10)은, 평판 형상(판 형상)의 도전성 금속(스테인레스 등)판을, 금형으로 펀칭하고, 그 후 절곡 가공함으로써 성형된다.
도 9 및 도 10은,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단자 부착 하우징(2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우상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10은 좌상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20)에는 길이 방향(X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고 복수의 단자(21)가 지지되는 본체부(22)와, 본체부(22)를 사이에 끼우도록 길이 방향의 양측단역(域)에 있어서 상부 셸(10)과 하부 셸(20)이 부착되는 영역(23)이 있다. 하우징(20)의 본체부(22)의 전(前)방향(Y1 방향)의 측면에는, 전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볼록부(29a, 29b)가 형성되고, 조립시에 상부 셸(10)의 구멍(14b, 14c)에 끼워지게 되어 있다. 하우징(20)의 양측의 영역(23)에는, 전후 방향(Y 방향, 짧은쪽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릿(24)과, 하부 셸(30)의 측벽편(34)(제2 걸림부, 도 6 및 도 11 등 참조)이 부착되는 부착부(26)와, 상부 셸의 제2 걸림편(13)이 부착되는 부착부(25)가 형성되어 있다. 부착부(26, 25)에는 각각 외측(X1, X2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된 억제부(26a, 25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0)의 길이 방향의 양단 부근에 홈(22b)을 갖고, 상부 셸(10)의 설편(16)이 끼워지게 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0)은, 예를 들면, 절연성의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고, 도전성 금속의 단자(21)와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도 11 및 도 12는,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하부 셸(3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11은 우상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12는 좌상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셸(30)은, 길이 방향(X 방향)으로 연장하는 본체부(31)와, 이 본체부(31)의 길이 방향의 양측 단부로부터 상측(Z1 방향)을 향하여 절곡된 측벽편(34)(제2 걸림부)과, 본체부(31)의 전측(Y1 방향)에 있어서 측면에서 볼 때 U자 형상으로 절곡된 삽입부(32, 33)를 갖는다. 또한, 측벽편(34)은, 조립시에 상부 셸(10)의 L편(12a)과 걸어맞춤하여 걸리기 때문에 측벽편(34)에 대하여 외측(X1, X2 방향)을 향하여 절곡된 절곡편(35)과, 상부 셸(10)의 제1 계지편(12)과 걸어맞춤하여 전기 접속을 확보하기 위해 외측(X1, X2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돌기부(36)를 갖는다. 또한, 하부 셸(30)은, 상부 셸(10)과 동일하게, 평판 형상(판 형상)의 도전성 금속(스테인레스 등)판을, 금형으로 펀칭하고, 그 후 절곡 가공함으로써 성형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도 13은,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조립에 있어서, 단자(21)에 케이블(4)을 위치 맞춤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조립에 있어서, 상부 셸(10)의 부착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4는 조립 도중의 상태, 도 15는 조립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전술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케이블측 커넥터(100)는, 이하와 같이 조립된다.
(1) 단자(21)를 일체 성형한 하우징(20)에 대하여, 하부 셸(30)이 하측으로부터 상방향(Z1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하부 셸(30)의 삽입부(32, 33)가 하우징 본체부(22)의 대응하는 홈(22a)에 삽입되어 지지됨과 함께, 하부 셸(30)의 측벽편(34)이 하우징(20)의 부착 부분(26)에 부착된다. 이에 따라, 하부 셸(30)의 절곡편(35)이 하우징(20)의 억제부(26a)의 하측에 위치됨과 함께, 돌기부(36)가 제1 걸림편(12)의 슬라이드 궤도 상에 근소하게 돌출된 상태가 된다.
(2) 다음으로, 단자(21)의 단자 접속부(21a)에 대하여 케이블의 심선(4a)이 땜납 접속된다. 케이블(4)은, 그라운드 바(5)에 의해 정렬 지지된다(도 13 참조). 또한, 그라운드 바(5)는 도전성의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블(4)은 동축 케이블이기 때문에, 그라운드 바(5)는,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도시하지 않음) 부분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케이블(4)을 지지하고 있다.
(3) 다음으로, 상부 셸(10)을 부착한다. 상부 셸(10)의 부착은, 우선, 상부 셸(10)을 하우징(20)의 상측(Z1측)에 위치시키고, 하우징(20)측(Z2측)을 향하여 이동시켜, 상부 셸(10)의 제1 걸림편(12)을, 하우징(20)의 슬릿(24)의 내부에 위치시킨다(도 14의 상태). 이때 하우징(20)에 대한 상부 셸(10)의 X 방향, Z 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그 후, 이 상부 셸(10)과 하부 셸(30)이 하우징(20)을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하부 셸(30)에 대하여 상부 셸(10)을 슬릿(24)을 따라서 Y2 방향(짧은쪽 방향, 후(後)방향. 케이블(4)의 도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상부 셸(10)의 제1 걸림편(12)의 L자 형상의 L편(12a)이, 하부 셸(30)의 측벽편(34)의 절곡편(35)에 걸리고, 상부 셸(10)과 하우징(20)과 하부 셸(30)이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도 15의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상부 셸(10)의 구멍(19)으로 땜납이 유입됨으로써, 그라운드 바(5)와 상부 셸(10)이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접속된다.
즉, 제1 걸림편(12)의 L자 형상의 L편(12a)이 하부 셸(30)의 절곡편(35)의 하측에 깊숙이 들어가 고정됨으로써 L편(12a)과 절곡편(35)과 억제부(26a)가 밀착된 상태가 되어, 하우징(20) 및 하부 셸(30)이 상부 셸(10)(본체부(11))을 향하여 밀어 붙여짐으로써 상부 셸(10)과 하우징(20)과 하부 셸(30)이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하부 셸(30)의 돌기부(36)가 제1 걸림편(12)의 내면과 접촉함으로써 상부 셸(10)과 하부 셸(30)과의 전기적 접속이 확보된다. 또한, 절곡편(35)의 상측에는, 하우징(20)의 일부인 억제부(26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 셸(10) 및 하부 셸(30)에 걸리는 상방향(Z1 방향)의 힘은, 최종적으로는 하우징(20)에서 받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하부 셸(30)의 돌기부(36)는, 하부 셸(30) 대신에 상부 셸(10)측에 형성해도 좋다.
한편, 상부 셸(10)의 제2 걸림편(13)(제3 걸림부)은, 하우징(20)의 부착부(25)에 부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 걸림편(13)의 L자 형상의 L편(13a)이, 부착부(25)의 볼록 형상의 억제부(25a)(제4 걸림부)의 아래에 끼워넣음된다. L편(13a)의 상측에는, 억제부(25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도 상방향(Z1 방향)의 힘은, 최종적으로는 하우징(20)에서 받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제2 걸림편(13)에는, 기판측 커넥터(300)의 잠금용 볼록부(311)와 끼워맞춤하기 위한 구멍(13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립시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부 셸(10)의 설편(16)의 선단이, 하우징(20)의 홈(22b)으로 끼워넣음된다. 이에 따라, 커넥터 조립 후, 상부 셸(10)이 전방향(Y1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또한, 하우징(20)의 전측(Y1 방향)의 측면에는 볼록부(29a, 29b)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이 상부 셸(10)의 대응하는 구멍(14b, 14c)에 끼워져, 상부 셸(10)과 하우징(20)과의 부착을 강고하게 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상부 셸(10)의 제1 걸림편(12)의 L편(12a)과, 하부 셸(30)의 측벽편(34)의 절곡편(35)이 서로 걸림으로써, 그들 고정이 강고해지고, 케이블의 인회에 의한 심선으로의 부하가 경감되어, 전기 커넥터 전체의 강성이 향상된다. 특히, 일렬로 늘어선 케이블의 외측의 케이블에는, 케이블 인회시, 구부러지거나 하여 큰 부하가 걸리지만, 전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된 제1 걸림편(12)과 측벽편(34)에 의해, 그 부하가 전기 커넥터의 양단에 치우치는 일 없이, 커넥터 전체로 넓어지기 때문에, 전기 케이블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부 셸(10)의 제2 걸림편(13)의 L편(13a)과, 하우징(20)의 억제부(25a)와 서로 걸림으로써, 그들 고정이 강고해진다. 그 결과로서, 케이블측 커넥터 전체의 강성이 향상된다.
또한, 패키지 전체를 덮는 상부 셸과 하부 셸의 2매의 금속 셸을 물리적·전기적으로 접촉시킴으로써, 케이블측 커넥터 전체의 내노이즈성이 향상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그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1 : 전기 커넥터
4 : 케이블
5 : 그라운드 바
10 : 상부 셸(제1셸)
11 : 본체부(제1 본체부)
12 : 제1 걸림편(제1 걸림부)
12a : L편
13 : 제2 걸림편(제3 걸림부)
13a : L편
13b : 구멍
14 : 전벽편
14a : 상부 셸의 일부
14b, 14c : 구멍
16 : 설편
19 : 구멍
20 : 하우징
21 : 단자
21a : 단자 접속부
22 : 하우징 본체부
22a, 22b : 홈
23 : 영역
24 : 슬릿
25 : 부착부
25a : 억제부(제4 걸림부)
26 : 부착부
26a : 억제부
29a, 29b : 볼록부
30 : 하부 셸(제2셸)
31 : 본체부(제2 본체부)
32, 33 : 삽입부
34 : 측벽편(제2 걸림부)
35 : 절곡편
36 : 돌기부
37 : 끼워맞춤부
100 : 케이블측 커넥터
300 : 기판측 커넥터
310 : 셸
311 : 잠금용 볼록부
330 : 하우징
350 : 단자
351 : 기판 접속부
352 : 삽입부
353, 354 : 접촉부

Claims (7)

  1. 복수의 케이블의 말단에 부착되는 케이블측 커넥터와, 상기 케이블측 커넥터와 끼워맞춤 가능한 기판측 커넥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블측 커넥터의 복수의 단자가 상기 기판측 커넥터의 복수의 단자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케이블이 기판의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케이블측 커넥터는,
    판 형상의 도전성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1셸과,
    복수의 케이블을 지지(holding)하고, 상기 케이블의 심선(core wire)과 전기 접속되어 상기 기판측 커넥터의 복수의 단자에 접촉하는 상기 케이블측 커넥터의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판 형상의 도전성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2셸을 갖고,
    상기 제1셸과 상기 제2셸이 상기 하우징을 사이에 끼워 조립되고,
    상기 제1셸은, 제1 본체부와, 상기 케이블측 커넥터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상기 제1 본체부로부터 절곡된 제1 걸림부를 갖고,
    상기 제2셸은, 제2 본체부와, 상기 케이블측 커넥터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상기 제2 본체부로부터 절곡된 제2 걸림부를 갖고,
    상기 케이블측 커넥터가 조립될 때, 상기 제1셸과 상기 제2셸이 상기 하우징을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상기 제2셸에 대하여 상기 제1셸이 슬라이드 이동하고, 상기 제1 걸림부와 상기 제2 걸림부가 서로 걸어, 상기 제1셸과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2셸이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 걸림부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는 L자 형상이고, 상기 제2 걸림부에는 상기 제1 걸림부가 끼워맞춤하는 절곡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 또는 상기 제2 걸림부는 돌기부를 갖고, 상기 돌기부에 의해 상기 제1셸과 상기 제2셸이 전기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셸은, 상기 케이블측 커넥터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제3 걸림부를 갖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케이블측 커넥터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제4 걸림부를 갖고,
    상기 케이블측 커넥터가 조립될 때,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제1셸이 슬라이드 이동하고, 상기 제3 걸림부와 상기 제4 걸림부가 서로 걸어, 상기 제1셸과 상기 하우징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셸은, 상기 하우징 방향으로 돌출된 설편을 갖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설편에 대응하는 위치에 홈을 갖고,
    상기 제1셸이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케이블측 커넥터가 조립된 후, 상기 제1셸이 역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제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셸은, 상기 케이블측 커넥터의 짧은쪽 방향의 측면에 구멍을 갖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케이블측 커넥터의 짧은쪽 방향의 측면에 돌기부를 갖고,
    상기 케이블측 커넥터가 조립될 때, 상기 돌기부가 상기 구멍에 끼워맞춤하여, 상기 제1셸과 상기 하우징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120049799A 2011-05-27 2012-05-10 전기 커넥터 KR1015024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18987A JP5478556B2 (ja) 2011-05-27 2011-05-27 電気コネクタ
JPJP-P-2011-118987 2011-05-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2343A KR20120132343A (ko) 2012-12-05
KR101502413B1 true KR101502413B1 (ko) 2015-03-13

Family

ID=47200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9799A KR101502413B1 (ko) 2011-05-27 2012-05-10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478556B2 (ko)
KR (1) KR101502413B1 (ko)
CN (1) CN102801029B (ko)
TW (1) TWI5552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5441B1 (ko) 2013-12-30 2015-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알에프 커넥터 조립체
CN110247209A (zh) * 2019-05-23 2019-09-17 昆山雷匠通信科技有限公司 板对板型rf插座及其组件
CN110247202A (zh) * 2019-05-23 2019-09-17 昆山雷匠通信科技有限公司 板对板型rf插头
JP7363440B2 (ja) * 2019-12-10 2023-10-1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TWI727689B (zh) * 2020-03-04 2021-05-11 宏致電子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之扣合結構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9911U (ja) * 2005-01-19 2005-06-02 鴻松精密科技股▲ふん▼有限公司 薄型コネクタ
JP2005243471A (ja) * 2004-02-27 2005-09-08 D D K Ltd 電気コネクタ
JP2007172941A (ja) * 2005-12-20 2007-07-05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
KR20080086163A (ko) * 2007-03-22 2008-09-25 주식회사 후성테크 플렉시블 케이블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6972A (en) * 1990-07-11 1991-09-10 Amp Incorporated Low insertion force connector and contact
CN2520031Y (zh) * 2001-12-27 2002-11-06 宣得股份有限公司 连接器组合装置
JP2004247086A (ja) * 2003-02-12 2004-09-02 Sumitomo Wiring Syst Ltd 垂直嵌合型コネクタ
TWI341055B (en) * 2006-08-28 2011-04-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5074316B2 (ja) * 2007-09-06 2012-11-1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キット及びシールドケーブルハーネス
JP2009123500A (ja) * 2007-11-14 2009-06-04 Hosiden Corp 基板アセンブリー
JP4954863B2 (ja) * 2007-12-27 2012-06-2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ケーブル側電気コネクタ
CN201829647U (zh) * 2010-04-26 2011-05-11 陈松佑 电连接器
TWM402518U (en) * 2010-10-28 2011-04-21 P-Two Ind Inc The electrical conne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3471A (ja) * 2004-02-27 2005-09-08 D D K Ltd 電気コネクタ
JP3109911U (ja) * 2005-01-19 2005-06-02 鴻松精密科技股▲ふん▼有限公司 薄型コネクタ
JP2007172941A (ja) * 2005-12-20 2007-07-05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
KR20080086163A (ko) * 2007-03-22 2008-09-25 주식회사 후성테크 플렉시블 케이블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55280B (zh) 2016-10-21
CN102801029B (zh) 2015-09-23
CN102801029A (zh) 2012-11-28
JP5478556B2 (ja) 2014-04-23
JP2012248390A (ja) 2012-12-13
KR20120132343A (ko) 2012-12-05
TW201308772A (zh) 201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1550B2 (en) Connector
US8512071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a printed circuit board with soldering holes interconnected to a plurality of contacts
US8961230B2 (en) Connector
JP4364265B2 (ja) コネクタ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US8021187B2 (en) Electric connector
US10381776B2 (en) Connector assembly with an improved latch member having a shorter length
KR101502413B1 (ko) 전기 커넥터
JP2011119152A (ja) 電気コネクタ
US9318859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5315912B2 (ja) 多連装電気コネクタ
US9343832B2 (en) Plug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39375B1 (ko) 전기 커넥터
KR101588262B1 (ko) 전기 커넥터
JP2008097875A (ja) コネクタアセンブリ
KR20140142151A (ko) 플러그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US20120040542A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a printed circuit board to change arrangement of wires
CN106410541B (zh) 电连接器组件
JP2012114044A (ja) ケーブルコネクタ
JP2007234491A (ja) コネクタ
WO2010148228A1 (en) Wire-to-board connector
JP2017111931A (ja)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
JP2017016891A (ja)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JP6520417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装置
JP2012195250A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装置
KR20140001157U (ko) PCB 및 땜을 사용하지 않는 케이블용 microUSB 플러그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