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1857A -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 - Google Patents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1857A
KR20120131857A KR1020110050315A KR20110050315A KR20120131857A KR 20120131857 A KR20120131857 A KR 20120131857A KR 1020110050315 A KR1020110050315 A KR 1020110050315A KR 20110050315 A KR20110050315 A KR 20110050315A KR 20120131857 A KR20120131857 A KR 20120131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oling device
piezoelectric
diaphragm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0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5361B1 (ko
Inventor
비아체슬라브 스미르노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0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5361B1/ko
Priority to US13/418,975 priority patent/US20120301333A1/en
Publication of KR20120131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1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5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5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02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late-like flexible members, e.g. diaphragms
    • F04B43/04Pumps having electric drive
    • F04B43/043Micropumps
    • F04B43/046Micropumps with piezoelectric driv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72Fan mounting or fan specif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전 액추에이터를 이용한 냉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이 합체되어 형성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대기와 연통되어 공기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오프닝(opening)을 구비하는 하우징(housing)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가로질러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상부 및 하부 블로워실(blower chamber)로 구분하는 다이어프램(diaphragm) 및 상기 다이어프램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다이어프램의 상하 유동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압전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Cooling Device Using a Piezoelectric Actuator}
본 발명은 압전 액추에이터를 이용한 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를 포함하는 각종 전자장비는 지속적인 사용에 의해 열이 발생하게 되고 열이 발생하면 전자장비의 성능이 떨어지게 되므로, 각종 전자장비에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냉각 수단이 구비되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냉각수단으로 팬(fan) 타입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팬을 이용한 냉각 장치는 과도한 소음, 과도한 전력 소요, 제조 방법의 어려움, 소형화의 어려움 등의 단점이 있었기에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한 새로운 방식의 냉각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팬 타입의 냉각 장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소음이 적고, 전력 소요도 적으며, 제조가 간단할 뿐 아니라 소형으로 제조하기가 용이한 냉각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이 합체되어 형성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대기와 연통되어 공기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오프닝(opening)을 구비하는 하우징(housing)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가로질러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상부 및 하부 블로워실(blower chamber)로 구분하는 다이어프램(diaphragm) 및 상기 다이어프램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다이어프램의 상하 유동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압전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은 대칭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오프닝은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상부하우징에 구비되는 오프닝은 상부하우징의 측면 또는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하부하우징에 구비되는 오프닝은 하부하우징의 측면 또는 하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의 내주면에는 에어 채널 그루브(air channel groove)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에어 채널 그루브는 적어도 한 지점에서 상기 오프닝과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의 내주면은 상기 다이어프램의 상하 유동 형상에 상응하는 돔(dome)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이 합체되는 상부테두리와 하부테두리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하우징은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하우징은 사각 기둥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는 상기 다이어프램의 적어도 일면에 복수 개가 겹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이 합체되어 형성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대기와 연통되어 공기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오프닝(opening)을 구비하는 하우징(housing);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가로질러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상하로 적층된 형상의 복수의 블로워실(blower chamber)로 구분하는 복수의 다이어프램(diaphragm); 및 상기 복수의 다이어프램의 적어도 일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다이어프램에 상하 유동의 구동력을 각각 제공하는 복수의 압전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오프닝은 상기 각각의 블로워실이 대기와 연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블로워실 중 상기 상부하우징 또는 하부하우징의 주면에 인접하는 것에 구비되는 오프닝은 상부하우징 또는 하부하우징의 측면 또는 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블로워실 중 상기 상부하우징 또는 하부하우징의 측면과 다이어프램으로 형성되는 것에 구비되는 오프닝은 상부하우징 또는 하부하우징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블로워실 중 상기 상부하우징 또는 하부하우징의 측면과 다이어프램으로 형성되는 것은 이의 내부공간을 가로질러 구비되는 격벽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격벽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구가 구비되어 상하로 공기가 입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이 합체되어 형성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대기와 연통되어 공기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오프닝(opening)을 구비하는 하우징(housing);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격자 형태로 구분하여 복수의 개별공간으로 구분하는 격자분할 격벽; 상기 하우징의 개별공간을 가로질러 구비되어 상기 개별공간을 각각 복수의 블로워실(blower chamber)로 구분하는 다이어프램(diaphragm); 및 복수의 개별공간에 구비되는 상기 다이어프램의 적어도 일면에 각각 구비되어 각 개별공간에 구비된 상기 다이어프램에 상하 유동의 구동력을 각각 제공하는 복수의 압전 액추에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하나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개별공간을 가로질러 구비되어 상기 개별공간을 상하로 적층된 형상의 복수의 블로워실(blower chamber)로 각각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가 상하로 복수 개 적층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는,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이 합체되어 형성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대기와 연통되어 공기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오프닝(opening)을 구비하는 하우징(housing)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가로질러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상부 및 하부 블로워실(blower chamber)로 구분하는 다이어프램(diaphragm) 및 상기 다이어프램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다이어프램의 상하 유동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압전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가 상하로 복수 개 적층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는,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이 합체되어 형성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대기와 연통되어 공기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오프닝(opening)을 구비하는 하우징(housing)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가로질러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복수의 블로워실(blower chamber)로 구분하는 복수의 다이어프램(diaphragm) 및 상기 복수의 다이어프램의 적어도 일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다이어프램에 상하 유동의 구동력을 각각 제공하는 복수의 압전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상부하우징의 주면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하우징의 주면에는 하부로 인접하는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의 상부하우징에 구비된 결합돌기가 끼워져 고정되는 결합홈이 상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가 동일 평면에 복수 개 인접결합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는,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이 합체되어 형성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대기와 연통되어 공기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오프닝(opening)을 구비하는 하우징(housing)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가로질러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상부 및 하부 블로워실(blower chamber)로 구분하는 다이어프램(diaphragm) 및 상기 다이어프램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다이어프램의 상하 유동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압전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가 동일 평면에 복수 개 인접결합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는,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이 합체되어 형성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대기와 연통되어 공기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오프닝(opening)을 구비하는 하우징(housing)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가로질러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상부 및 하부 블로워실(blower chamber)로 구분하는 다이어프램(diaphragm) 및 상기 다이어프램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다이어프램에 상하 유동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압전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하우징의 일 측면에서 일 측부로 돌출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타 측면에는 타 측부로 인접하는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의 하우징의 일 측면에 구비된 결합돌기가 끼워져 고정되는 결합홈이 상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전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저전력으로 간단하게 냉각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소형으로 제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조 자체도 간단한 냉각 장치의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압전 액추에이터에 의해 다이어프램이 상하 이동만 하면 장치가 작동되므로 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냉각 장치의 제공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인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에 따른 일 실시 예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에 따른 일 실시 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B-B 부분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상부하우징 또는 하부하우징을 내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다이어프램이 결합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서 오프닝이 구비되는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오프닝의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인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서 압전 액추에이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PCB, FFC 등이 결합된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 및 내부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에서 사용되는 압전 액추에이터가 구비된 다이어프램을 도시한 평면도이이고,
도 12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가 복수 개 구비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에 따른 일 실시 예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에 따른 일 실시 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1000)는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이 합체되어 형성되는 내부공간(11)을 구비하고, 대기와 연통되어 공기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오프닝(opening)(111)(211)을 구비하는 하우징(housing)(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1)을 가로질러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11)을 상부 및 하부 블로워실(blower chamber)(12)(13)로 구분하는 다이어프램(diaphragm)(20) 및 상기 다이어프램(20)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다이어프램(20)의 상하 유동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압전 액추에이터(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냉각 장치의 구동을 압전 액추에이터가 담당하도록 하여 전력 소모가 적고,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며,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소형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기둥 형상일 수 있으며, 도시는 생략하지만 상기 하우징(10)은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물론, 상기 하우징(10)의 형상에는 제한은 없으며, 다양한 형상이 활용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10)이 사각 기둥 형상인 경우에는 모서리 부분에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을 결합하는 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므로 공간의 활용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은 대칭 형상일 수 있다. 즉, 동일한 형상의 것이 상하로 마주보면서 결합될 수 있다.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이 동일 형상인 경우에는 하나의 제조 라인에서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을 동시에 생산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조 비용의 절감이 가능할 수 있다. 물론,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은 이하 설명할 오프닝(opening)의 구비 위치나,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의 결합 방식에 따라 대칭 형상으로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냉각 장치의 활용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의 합체에 의해 내부공간(11)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이 냉각 장치로 활용되기 위해 대기와 연통된 상태로 공기가 입출되는 공간이 구비되어야 하는데, 이 역할을 하는 것이 내부공간(11)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이 합체되어 고정되면, 상기 내부공간(11)은 오프닝을 통해서만 대기와 연통되고 다른 부분은 모두 밀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은 각각 주면(110)(210)과 하우징의 높이를 정의하는 측면(130)(23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은 상호 합체에 의해 내부공간(11)을 형성해야 하는데, 상기 측면(130)(230)이 상기 내부공간(11)이 형성되는 높이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의 내주면은 이하 설명할 다이어프램(20)의 상하 유동 형상에 상응하는 돔(dome) 형상일 수 있다. 돔 형상으로 구비되면 다이어프램(20)이 공기를 압축할 때 다이어프램과 상부하우징(100) 또는 하부하우징(200) 사이의 공간이 최소화되므로 내부공간(11)에 머물던 공기가 모두 압축력을 받게 되므로 효율적으로 공기의 배출이 가능하여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의 내주면에는 에어 채널 그루브(air channel groove)(12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공간(11)을 형성하는 내주면에 에어 채널 그루브(120)가 형성되면 공기의 흐름이 유도될 수 있어 냉각 장치에서 공기의 배출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에어 채널 그루브(120)는 적어도 한 지점에서 이하 설명할 오프닝과 연통되어 상기 에어 채널 그루브(120)를 따라 흐르는 공기가 집중되어 배출 가능하므로 공기의 배출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내부공간(11)이 대기와 연통되어 공기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오프닝(opening)(111)(211)을 구비할 수 있다. 오프닝(111)(211)은 상기 내부공간(11)을 대기와 연통하여 공기의 출입이 가능하게 하는 공기의 통로에 해당한다. 상기 오프닝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 가능하고, 냉각 장치의 구비 위치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하우징(100) 또는 하부하우징(200)의 주면(110)(210), 측면(130)(23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주면(110)(210)에 구비되는 경우도 랜덤하게 또는 일정 규칙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정 규칙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다수의 오프닝이 원 형상으로 배치되거나, 2개 이상의 동심원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부하우징(100)에는 주면(110)에 구비되고, 하부하우징(200)에는 측면(230)에 배치되거나, 그 반대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다이어프램(diaphragm)(20)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1)을 가로질러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11)을 상부 및 하부 블로워실(blower chamber)(12)(13)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다이어프램(20)의 상부 및 하부 방향 유동을 모두 냉각 장치에 활용하여 냉각 장치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내부공간(11)을 상부 및 하부 블로워실(blower chamber)(12)(13)로 구분하여 상부 및 하부 블로워실(blower chamber)(12)(13)을 모두 냉각 공기가 입출되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다이어프램(20)이 상부로 유동하는 경우에는 상부 블로워실(12)의 공기는 빠져나가고, 하부 블로워실(13)로 공기가 유입되며, 상기 다이어프램(20)이 하부로 유동하는 경우에는 반대로 작동하는 메커니즘에 의해 상기 상부 및 하부 블로워실(blower chamber)(12)(13)을 모두 냉각 장치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의 효율성은 매우 높을 수 있다.
상기 다이어프램(20)은 수지판 또는 금속판의 한 면에 평면방향으로 신축하는 압전소자를 접착할 수 있는 유니몰프(unimorph)형, 수지판 또는 금속판의 양 면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신축하는 압전소자를 접착할 수 있는 바이몰프(bimorph)형, 수지판 또는 금속판의 한 면에 그 자체가 굴곡 변형하는 적층형 압전소자를 접착할 수 있는 바이몰프형, 나아가서는 다이어프램 전체가 적층형 압전소자로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일 수 있다. 어느 것이든, 압전소자에 교번전압(정현파 전압(sinusoidal voltage) 또는 직사각형파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판의 두께 방향으로 굴곡 진동하는 것이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다이어프램(20)은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이 합체되는 상부테두리(131)와 하부테두리(231)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즉, 상기 상부하우징(100)의 측면(130)과 상기 하부하우징(200)의 측면(230)이 합체되는 부분에 끼워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듯이, 일 실시예로 상기 다이어프램(20)은 사각 형상일 수 있으며, 모서리 부분에는 이하 설명할 상부 또는 하부하우징(100)(200)에 구비되는 고정돌기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홀(21)이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다이어프램(20)이 사각 형상일 경우이며, 다이어프램(20)이 원형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내부공간(11)을 가로지르면 충분하므로 상기 하우징(100)(200)의 모서리 부분까지 연장되지 않을 것이므로 별도의 관통홀은 불필요하다.
물론, 다이어프램(20)의 끼움 방식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는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에서 압전 액추에이터(Piezoelectric Actuator)(30)는 상기 다이어프램(20)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다이어프램(20)의 상하 유동의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30)는 압전소자와 전극으로 구성되어 전압의 인가시에 압전소자의 길이가 변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30)는 상기 다이어프램(20)의 일면 또는 양면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일면 또는 양면에 복수 개가 중첩되어 장착되는 방식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3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30)에 구비되는 전극과 연결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 인쇄회로기판) 또는 FFC(Flexible Flat Cable)(5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구조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1의 B-B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각 기둥 형상의 하우징(10)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기둥의 모서리 부분에 상기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을 결합할 수 있는 수단으로, 상부하우징(100)에 구비되는 고정 홈 또는 홀(112)과 하부하우징(200)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 홈 또는 홀(112)에 끼움고정되는 고정 돌기(212)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반대 형상으로 하부하우징에 고정 홈 또는 홀이 구비되고 상부하우징에 상기 고정 홈 또는 홀에 끼움고정되는 고정 돌기가 구비되거나, 고정 돌기의 일부는 상부하우징에 나머지는 하부하우징에 구비되는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고정 홀이 구비되는 경우에 상기 고정 홀에 단차가 형성되어 단차진 부부까지 고정돌기가 끼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은 대칭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의 형상이 동일하게 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상부하우징(100) 및 하부하우징(200)에 동일하게 고정 홈 또는 홀이 구비되고, 외부에서 별도의 고정쇠가 끼움되어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을 결합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고정 홈 또는 홀(112)과 고정 돌기(212)는 상기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이 상호 결합되는 경우에 정확한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센터링 어셈블리(centering assembly)로서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상부하우징 또는 하부하우징을 내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하우징(100) 또는 하부하우징(200)의 내주면에는 에어 채널 그루브(120)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상기 에어 채널 그루브(120)는 오프닝(111)(211)과 연통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다이어프램이 결합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다이어프램(20)은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이 합체되는 상부테두리와 하부테두리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이어프렘(20)의 끝단부는 상기 테두리의 일부에만 끼워지는 경우(a), 상기 테두리에 전부 끼워지는 경우(c), 상기 테두리에 구비된 고정돌기에 끼워지는 경우(b) 등이 가능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기 내부공간(11)을 가로지르면서 고정될 수 있는 방식이면 다양한 형상으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오프닝이 구비되는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오프닝(111)(211)은 상기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을 주면(110)(210) 또는 측면(130)(230) 등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오프닝은 상기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의 일 측면에 구비되어 일 방향으로 공기의 입출이 발생하게 할 수 있고(a), 상기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의 구조를 다르게 구비하도록 하여 상부하우징(100)의 상면으로 동심원 형상의 배치가 구비되는 오프닝이 구비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하부하우징(200)에 상기 상부하우징(100)으로 공기의 입출이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하우징(200)에 구비되는 오프닝 중 외측에 구비되는 것과 연통되는 내부 연통로()를 구비하도록 할 수 있으며(b), 상기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의 주면(110)(210)에 구비되어 상호 대칭되게 공기의 입출이 발생할 수도 있다(c)(d). 물론, 오프닝의 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이 가능하다. 나아가, 상부하우징(100)에는 주면(110)에 오프닝이 구비되고, 하부하우징(200)에는 측면(210)에 오프닝이 구비되는 구성도 가능하다(e).
상술한 오프닝의 구비 형상은 일 예시일 뿐이고 실제 상황에 부합되게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형상으로 오프닝이 구비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오프닝의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에서는 상부하우징과 하우하우징에 구비되는 오프닝의 위치가 동일한 경우는 하나만 도시하기로 하며, 오프닝의 위치가 다른 경우는 별도로 나우어서 도시한다. 본 발명인 압전 방식의 냉각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오프닝(111)이 상부하우징(100) 또는 하부하우징(200)의 다양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가령, 하우징(100)(200)의 일 측면(130)(230)에만 구비되는 경우가 가능하고(a), 하부하우징(200)에 내부 연통로(213)를 구비하여 상부하우징(100)에 구비되는 오프닝(111)과 연통되도록 하여 오프닝(111)이 상부하우징(100)의 상면에만 구비되도록 하는 방식이 가능하다(b). 또한, 하우징(100)(200)의 주면(110)(210)에 원 형상을 이루면서 형성되거나(c), 원 형상을 이루되 동심원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d). 또한,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에 구비되는 오프닝(111)의 형상이 상이할 수 있으며, 이를 도시하면 상부하우징(100)에는 주면(110)에 형성되고 하부하우징(200)에는 측면(230)에 형성될 수 있다(e).
도 9는 본 발명인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참고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다이어프램(20)에 구비되는 압전 액추에이터(30)에 전압을 인가하여 다이어프램(20)을 상부 혹은 하부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하여 냉각 장치를 작동시키게 된다.
도 8의 (a)는 다이어프램(20)이 상부로 유동하는 형상을 보여주는 것으로, 돔 형상으로 구비되는 상부하우징(100)의 내주면의 형상에 상응하게 다이어프램(20)이 유동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부 블로워실(12)의 공기는 오프닝(1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하부 블로워실(13)로 공기가 오프닝(211)을 통해 들어올 수 있다.
반대로, 도 8의 (b)는 다이어프램(20)이 하부로 유동하는 형상을 보여주는 것으로, 돔 형상으로 구비되는 하부하우징(200)의 내주면의 형상에 상응하게 다이어프램(20)이 유동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부 블로워실(12)로 공기가 오프닝(111)을 통해 들어오고, 하부 블로워실(13)의 공기가 오프닝(2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압전 액추에이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PCB, FFC 등이 결합된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 및 내부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사용되는 압전 액추에이터가 구비된 다이어프램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다이어프램(20)이 유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것이 압전 액추에이터(30)에 해당하며,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30)에는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므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수단으로 PCB, FFC(50)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의 (a) 및 도 11의 (a)에 도시되듯이, 본 발명에서 다이어프램(20)에는 일측으로 돌출되어 연장된 서포트(support)(22)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하우징(100)(200)의 일 측면에 상기 서포트(22)가 관통되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관통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22)의 상면에는 상기 PCB 또는 FFC(50)가 거치되면서 상기 하우징(100)(200)의 일 측면에 구비되는 관통홀에 끼움된 후 상기 다이어프램(20)의 최소한 일면에 구비되는 압전 액추에이터(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이어프램(20)에는 센터링 어셈블리인 고정 홈 또는 홀(112) 및 고정 돌기(212)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관통홀(21)이 구비되어 하우징(100)(200)의 합체와 동시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물론, 관통홀(21)을 구비하지 않는 방식도 가능하다.
도 10의 (b) 및 도 11의 (b)에 도시되듯이, 본 발명에서 다이어프램(20)은 원 형상으로 구비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100)(200)의 내부공간(11)에 끼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0)(200)의 일 측면에 상기 PCB 또는 FFC(50)가 끼움되는 끼움홈을 구비하고 상기 끼움홈에 PCB 또는 FFC(50)가 끼움된 상태고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다이어프램(20)의 최소한 일면에 구비되는 압전 액추에이터(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가 복수 개 구비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하나의 하우징(10)에서 내부공간(11)을 가로지르는 복수의 다이어프램(20)이 구비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2에 도시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는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이 합체되어 형성되는 내부공간(11)을 구비하고, 대기와 연통되어 공기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오프닝(opening)(111)(211)을 구비하는 하우징(housing)(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1)을 가로질러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11)을 상하로 적층된 형상의 복수의 블로워실(blower chamber)로 구분하는 복수의 다이어프램(diaphragm)(20) 및 상기 복수의 다이어프램(20)의 적어도 일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다이어프램(20)에 상하 유동의 구동력을 각각 제공하는 복수의 압전 액추에이터(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프닝(111)(211)은 상기 각각의 블로워실이 대기와 연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블로워실 중 상기 상부하우징(100) 또는 하부하우징(200)의 주면(110)(210)에 인접하는 것에 구비되는 오프닝은 상부하우징(100) 또는 하부하우징(200)의 측면(130)(230) 또는 주면(110)(210)에 구비되고, 상기 블로워실 중 상기 상부하우징(100) 또는 하부하우징(200)의 측면(130)(230)과 다이어프램(30)으로 형성되는 것에 구비되는 오프닝은 상부하우징(100) 또는 하부하우징(200)의 측면(130)(23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2의 복수의 다이어프램을 구비하는 실시예에서 블로워실 중 상부하우징(100) 또는 하부하우징(200)의 측면(130)(230)과 다이어프램(20)으로 형성되는 것은 이의 내부공간을 가로질러 구비되는 격벽(40)을 더 구비하여 별도의 냉각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a). 아울러, 상기 격벽(40)에 관통구(41)를 구비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공간을 넓게 활용하는 유동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4는 하나의 하우징(10)에서 내부공간(11)을 가로지르는 복수의 다이어프램(20)이 구비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4에 도시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는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이 합체되어 형성되는 내부공간(11)을 구비하고, 대기와 연통되어 공기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오프닝(opening)(111)(211)을 구비하는 하우징(housing)(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1)을 수평으로 격자 형태로 구분하여 복수의 개별공간(11a)으로 구분하는 격자분할 격벽(45)과, 상기 하우징(10)의 개별공간(11a)을 가로질러 구비되어 상기 개별공간(11a)을 각각 복수의 블로워실(blower chamber)로 구분하는 다이어프램(diaphragm)(30) 및 복수의 개별공간(11a)에 구비되는 상기 다이어프램(20)의 적어도 일면에 각각 구비되어 각 개별공간(11a)에 구비된 상기 다이어프램(20)에 상하 유동의 구동력을 각각 제공하는 복수의 압전 액추에이터(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이어프램(20)은 하나로 연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즉, 각 개별공간(11a)에 무관하게 하나의 대면적 다이어프램(20)을 사용하여 공유할 수 있다. 물론, 각 개별공간(11a)에 개별적으로 다이어프램(20)이 구비되도록 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다이어프램(20)은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0)의 개별공간을 가로질러 구비되어 상기 개별공간을 상하로 적층된 형상의 복수의 블로워실(blower chamber)로 각각 구분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4의 방식에 따라 제시될 수 있는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의 실시예이다. 이에서 보듯이 하우징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사이즈의 냉각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6은 개별적으로 제조된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를 상하로 적층하여 형성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이다.
도 16에 도시되듯이,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1000)가 상하로 복수 개 적층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1000)는,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이 합체되어 형성되는 내부공간(11)을 구비하고 대기와 연통되어 공기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오프닝(opening)(111)(211)을 구비하는 하우징(housing)(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1)을 가로질러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11)을 상부 및 하부 블로워실(blower chamber)로 구분하는 다이어프램(diaphragm)(20) 및 상기 다이어프램(20)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다이어프램(20)의 상하 유동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압전 액추에이터(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개의 냉각 장치(1000)는 상하 결합시 본드 결합제를 이용할 수 있다(도 16의 (a)). 또는, 상기 상부하우징(100)의 주면(110)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결합돌기(150)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하우징(200)의 주면(210)에는 하부로 인접하는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의 상부하우징(100)에 구비된 결합돌기(150)가 끼워져 고정되는 결합홈(250)이 상응되게 구비되어 돌기의 끼움 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도 16의 (b)).
도 17은 개별적으로 제조된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를 상하로 적층하여 형성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개개의 냉각 장치(1000)에 구비된 각 블로워실을 가로지르는 복수의 다이어프램(2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로 상기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1000)는,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이 합체되어 형성되는 내부공간(11)을 구비하고, 대기와 연통되어 공기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오프닝(opening)(111)(211)을 구비하는 하우징(housing)(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1)을 가로질러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11)을 복수의 블로워실(blower chamber)로 구분하는 복수의 다이어프램(diaphragm)(20) 및 상기 복수의 다이어프램(20)의 적어도 일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다이어프램(20)에 상하 유동의 구동력을 각각 제공하는 복수의 압전 액추에이터(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개의 냉각 장치(1000)는 상하 결합시 본드 결합제를 이용할 수 있다(도 17의 (a)). 또는, 상기 상부하우징(100)의 주면(110)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결합돌기(150)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하우징(200)의 주면(210)에는 하부로 인접하는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의 상부하우징(100)에 구비된 결합돌기(150)가 끼워져 고정되는 결합홈(250)이 상응되게 구비되어 돌기의 끼움 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도 17의 (b)).
도 18은 개별적으로 제조된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를 동일 평면에 복수 개 인접하여 결합시킨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이다.
도 18의 (a)에 도시되듯이,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1000)가 동일 평면에 복수 개 인접하여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1000)는,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이 합체되어 형성되는 내부공간(11)을 구비하고 대기와 연통되어 공기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오프닝(opening)(111)(211)을 구비하는 하우징(housing)(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1)을 가로질러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11)을 상부 및 하부 블로워실(blower chamber)로 구분하는 다이어프램(diaphragm)(20) 및 상기 다이어프램(20)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다이어프램(20)의 상하 유동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압전 액추에이터(3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8의 (b)의 실시예에서는 개개의 냉각 장치(1000)에 구비된 각 블로워실을 가로지르는 복수의 다이어프램(2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로 상기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1000)는,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이 합체되어 형성되는 내부공간(11)을 구비하고, 대기와 연통되어 공기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오프닝(opening)(111)(211)을 구비하는 하우징(housing)(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1)을 가로질러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11)을 복수의 블로워실(blower chamber)로 구분하는 복수의 다이어프램(diaphragm)(20) 및 상기 복수의 다이어프램(20)의 적어도 일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다이어프램(20)에 상하 유동의 구동력을 각각 제공하는 복수의 압전 액추에이터(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개의 냉각 장치(1000)는, 상기 하우징(10)의 일 측면에서 일 측부로 돌출되는 결합돌기(161)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0)의 타 측면에는 타 측부로 인접하는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의 하우징의 일 측면에 구비된 결합돌기(161)가 끼워져 고정되는 결합홈(163)이 상응되게 구비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미설명 부호인 51은 압전 액추에이터(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며, 이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하우징
20: 다이어프램(diaphragm)
30: 압전 액추에이터
100: 상부하우징
200: 하부하우징
1000: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

Claims (27)

  1.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이 합체되어 형성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대기와 연통되어 공기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오프닝(opening)을 구비하는 하우징(housing);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가로질러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상부 및 하부 블로워실(blower chamber)로 구분하는 다이어프램(diaphragm); 및
    상기 다이어프램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다이어프램의 상하 유동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압전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는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은 대칭 형상인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닝은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에 각각 구비되는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에 구비되는 오프닝은 상부하우징의 측면 또는 주면에 구비되는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에 구비되는 오프닝은 하부하우징의 측면 또는 주면에 구비되는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의 내주면에는 에어 채널 그루브(air channel groove)가 형성되는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채널 그루브는 적어도 한 지점에서 상기 오프닝과 연통되는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의 내주면은 상기 다이어프램의 상하 유동 형상에 상응하는 돔(dome) 형상인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이 합체되는 상부테두리와 하부테두리 사이에 끼워지는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원기둥 형상인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사각 기둥 형상인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는 상기 다이어프램의 적어도 일면에 복수 개가 겹친 형상으로 구비된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
  13.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이 합체되어 형성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대기와 연통되어 공기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오프닝(opening)을 구비하는 하우징(housing);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가로질러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상하로 적층된 형상의 복수의 블로워실(blower chamber)로 구분하는 복수의 다이어프램(diaphragm); 및
    상기 복수의 다이어프램의 적어도 일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다이어프램에 상하 유동의 구동력을 각각 제공하는 복수의 압전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는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닝은 상기 각각의 블로워실이 대기와 연통되도록 구비되는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실 중 상기 상부하우징 또는 하부하우징의 주면에 인접하는 것에 구비되는 오프닝은 상부하우징 또는 하부하우징의 측면 또는 주면에 구비되는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실 중 상기 상부하우징 또는 하부하우징의 측면과 다이어프램으로 형성되는 것에 구비되는 오프닝은 상부하우징 또는 하부하우징의 측면에 구비되는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실 중 상기 상부하우징 또는 하부하우징의 측면과 다이어프램으로 형성되는 것은 이의 내부공간을 가로질러 구비되는 격벽을 더 구비한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구가 구비되어 상하로 공기가 입출되는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
  19.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이 합체되어 형성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대기와 연통되어 공기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오프닝(opening)을 구비하는 하우징(housing);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격자 형태로 구분하여 복수의 개별공간으로 구분하는 격자분할 격벽;
    상기 하우징의 개별공간을 가로질러 구비되어 상기 개별공간을 각각 복수의 블로워실(blower chamber)로 구분하는 다이어프램(diaphragm); 및
    복수의 개별공간에 구비되는 상기 다이어프램의 적어도 일면에 각각 구비되어 각 개별공간에 구비된 상기 다이어프램에 상하 유동의 구동력을 각각 제공하는 복수의 압전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는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하나로 연결된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개별공간을 가로질러 구비되어 상기 개별공간을 상하로 적층된 형상의 복수의 블로워실(blower chamber)로 각각 구분하는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
  22.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가 상하로 복수 개 적층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는,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이 합체되어 형성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대기와 연통되어 공기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오프닝(opening)을 구비하는 하우징(housing)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가로질러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상부 및 하부 블로워실(blower chamber)로 구분하는 다이어프램(diaphragm) 및 상기 다이어프램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다이어프램의 상하 유동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압전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
  23.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가 상하로 복수 개 적층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는,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이 합체되어 형성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대기와 연통되어 공기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오프닝(opening)을 구비하는 하우징(housing)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가로질러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복수의 블로워실(blower chamber)로 구분하는 복수의 다이어프램(diaphragm) 및 상기 복수의 다이어프램의 적어도 일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다이어프램에 상하 유동의 구동력을 각각 제공하는 복수의 압전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의 주면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하우징의 주면에는 하부로 인접하는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의 상부하우징에 구비된 결합돌기가 끼워져 고정되는 결합홈이 상응되게 구비되는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
  25.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가 동일 평면에 복수 개 인접결합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는,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이 합체되어 형성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대기와 연통되어 공기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오프닝(opening)을 구비하는 하우징(housing)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가로질러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상부 및 하부 블로워실(blower chamber)로 구분하는 다이어프램(diaphragm) 및 상기 다이어프램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다이어프램의 상하 유동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압전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
  26.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가 동일 평면에 복수 개 인접결합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는,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이 합체되어 형성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대기와 연통되어 공기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오프닝(opening)을 구비하는 하우징(housing)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가로질러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상부 및 하부 블로워실(blower chamber)로 구분하는 다이어프램(diaphragm) 및 상기 다이어프램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다이어프램에 상하 유동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압전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
  27.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 측면에서 일 측부로 돌출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타 측면에는 타 측부로 인접하는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의 하우징의 일 측면에 구비된 결합돌기가 끼워져 고정되는 결합홈이 상응되게 구비되는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
KR1020110050315A 2011-05-26 2011-05-26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 KR101275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315A KR101275361B1 (ko) 2011-05-26 2011-05-26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
US13/418,975 US20120301333A1 (en) 2011-05-26 2012-03-13 Piezoelectric type cool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315A KR101275361B1 (ko) 2011-05-26 2011-05-26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857A true KR20120131857A (ko) 2012-12-05
KR101275361B1 KR101275361B1 (ko) 2013-06-17

Family

ID=47219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0315A KR101275361B1 (ko) 2011-05-26 2011-05-26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301333A1 (ko)
KR (1) KR10127536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899B1 (ko) * 2013-06-10 2014-09-04 김정훈 단일 액추에이터로 동작하는 냉각 분사 장치
KR101577979B1 (ko) 2014-06-27 2015-12-23 김정훈 단일 액추에이터로 동작하는 냉각분사장치
CN110821797A (zh) * 2018-08-13 2020-02-21 科际精密股份有限公司 流体驱动系统
US10697449B2 (en) 2016-09-05 2020-06-30 Microjet Technology Co., Ltd. Fluid control device
CN111591038A (zh) * 2019-02-20 2020-08-28 东芝泰格有限公司 压电泵及液体喷出装置
US10788028B2 (en) 2016-09-05 2020-09-29 Microjet Technology Co., Ltd. Fluid control device with alignment features on the flexible plate and communication plate
US11067073B2 (en) 2016-09-05 2021-07-20 Microjet Technology Co., Ltd. Fluid control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02008002644D1 (de) * 2008-12-15 2011-03-31 Siemens Ag Schwingmembranlüfter mit gekoppelten Teileinheiten, und Gehäuse mit einem derartigen Schwingmembranlüfter
US9006956B2 (en) * 2012-05-09 2015-04-14 Qualcomm Incorporated Piezoelectric active cooling device
KR20150047775A (ko) * 2013-10-25 2015-05-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압전 방식 냉각 제어 장치 및 방법
EP3186516A1 (en) * 2014-08-25 2017-07-05 GE Aviation Systems LLC Airflow generator and array of airflow generators
CN107023460A (zh) * 2016-01-29 2017-08-08 研能科技股份有限公司 微型气压动力装置
CN108496004B (zh) * 2016-02-01 2020-03-31 株式会社村田制作所 气体控制装置
JP6747183B2 (ja) * 2016-08-31 2020-08-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ポンプおよびロボットハンド
WO2019159448A1 (ja) * 2018-02-13 2019-08-2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流体制御装置
US11043444B2 (en) 2018-08-10 2021-06-22 Frore Systems Inc. Two-dimensional addessable array of piezoelectric MEMS-based active cooling devices
DE112020000737B4 (de) 2019-03-18 2023-05-25 Murata Manufacturing Co., Ltd. Pumpeneinheit
US11802554B2 (en) 2019-10-30 2023-10-31 Frore Systems Inc. MEMS-based airflow system having a vibrating fan element arrangement
US11796262B2 (en) 2019-12-06 2023-10-24 Frore Systems Inc. Top chamber cavities for center-pinned actuators
EP4222379A1 (en) 2020-10-02 2023-08-09 Frore Systems Inc. Active heat sink
EP4114160A1 (en) * 2021-07-02 2023-01-04 Frore Systems Inc. Top chamber cavities for center-pinned actuator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6149A (en) * 1985-05-13 1987-01-13 Cordis Corporation Differential thermal expansion driven pump
US4648807A (en) * 1985-05-14 1987-03-10 The Garrett Corporation Compact piezoelectric fluidic air supply pump
US5634777A (en) * 1990-06-29 1997-06-03 Albertin; Marc S. Radial piston fluid machine and/or adjustable rotor
KR20000050679A (ko) * 1999-01-13 2000-08-05 윤종용 전자기기용 방열장치
EP1515043B1 (en) * 2003-09-12 2006-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aphram pump for cooling air
JP2005229038A (ja) 2004-02-16 2005-08-25 Hitachi Ltd 液冷システム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4572548B2 (ja) * 2004-03-18 2010-11-04 ソニー株式会社 気体噴出装置
JP5088526B2 (ja) * 2005-04-18 2012-12-05 ソニー株式会社 噴流発生装置及び電子機器
EP1722412B1 (en) * 2005-05-02 2012-08-29 Sony Corporation Jet generator and electronic device
US7517201B2 (en) * 2005-07-14 2009-04-1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symmetric dual diaphragm pump
US7633753B2 (en) * 2007-09-27 2009-12-15 Intel Corporation Piezoelectric air jet augmented cooling for electronic devices
JP5316644B2 (ja) * 2009-10-01 2013-10-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圧電マイクロブロア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899B1 (ko) * 2013-06-10 2014-09-04 김정훈 단일 액추에이터로 동작하는 냉각 분사 장치
WO2014200174A1 (ko) * 2013-06-10 2014-12-18 Kim Jung-Hoon 단일 액추에이터로 동작하는 냉각 분사 장치
KR101577979B1 (ko) 2014-06-27 2015-12-23 김정훈 단일 액추에이터로 동작하는 냉각분사장치
US10697449B2 (en) 2016-09-05 2020-06-30 Microjet Technology Co., Ltd. Fluid control device
US10788028B2 (en) 2016-09-05 2020-09-29 Microjet Technology Co., Ltd. Fluid control device with alignment features on the flexible plate and communication plate
US11067073B2 (en) 2016-09-05 2021-07-20 Microjet Technology Co., Ltd. Fluid control device
CN110821797A (zh) * 2018-08-13 2020-02-21 科际精密股份有限公司 流体驱动系统
CN111591038A (zh) * 2019-02-20 2020-08-28 东芝泰格有限公司 压电泵及液体喷出装置
US11333144B2 (en) 2019-02-20 2022-05-17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Piezoelectric pump and liquid ejection device
CN111591038B (zh) * 2019-02-20 2022-09-20 东芝泰格有限公司 压电泵及液体喷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5361B1 (ko) 2013-06-17
US20120301333A1 (en) 201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5361B1 (ko) 압전 방식의 냉각 장치
JP6693923B2 (ja) 圧電アクチュエータ及びこれを使用した小型流体制御装置
TWI687151B (zh) 氣冷散熱裝置及系統
JP6590896B2 (ja) 空冷放熱装置
TWI686538B (zh) 氣冷散熱裝置
JP2019065845A (ja) 流体システム
US10883487B2 (en) Micro-electromechanical fluid control device
JP2019052642A (ja) 気体輸送装置
TWM582533U (zh) 微型壓電泵浦
TW201606488A (zh) 在擴張的熱表面上的整合型密集衝擊
US8154871B2 (en) Cooling structure of electronic device
WO2020195036A1 (ja) 圧電ポンプ
JP2019065846A (ja) 流体システム
CN110267171A (zh) 一种屏幕发声装置
US20090277614A1 (en) Heat dissipating device and heat conduction structure thereof
KR101414640B1 (ko) 방열 장치
TWM540932U (zh) 微型流體控制裝置
WO2020195075A1 (ja) 圧電ポンプ
JP5364915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の保持装置
KR101275409B1 (ko) 전자석 방식의 냉각 장치
TWI636188B (zh) 壓電致動器及其壓電致動板
CN206224363U (zh) 气冷散热装置
US20210047810A1 (en) Portable drinking water generator
JP2014107362A (ja) 電子デバイスの放熱装置および放熱方法
JP7173803B2 (ja) 気体輸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