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9886A - 포토크로믹 재료 - Google Patents

포토크로믹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9886A
KR20120129886A KR1020127017749A KR20127017749A KR20120129886A KR 20120129886 A KR20120129886 A KR 20120129886A KR 1020127017749 A KR1020127017749 A KR 1020127017749A KR 20127017749 A KR20127017749 A KR 20127017749A KR 20120129886 A KR20120129886 A KR 20120129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chromic
methoxy group
copolymer
bonded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7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베지로
아츠히로 도키타
다케루 호리노
도요지 오시마
아츠시 기모토
Original Assignee
아베지로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베지로,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베지로
Publication of KR20120129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98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CPHOTOSENSITIVE MATERIALS FOR PHOTOGRAPHIC PURPOSES; PHOTOGRAPHIC PROCESSES, e.g. CINE, X-RAY, COLOUR, STEREO-PHOTOGRAPHIC PROCESSES; AUXILIARY PROCESSES IN PHOTOGRAPHY
    • G03C1/00Photosensitive materials
    • G03C1/72Photosensitive compositions not covered by the groups G03C1/005 - G03C1/705
    • G03C1/73Photosensitive compositions not covered by the groups G03C1/005 - G03C1/705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26/00Hom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 C08F126/06Hom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10Esters
    • C08F20/34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10Esters
    • C08F20/34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 C08F20/36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e.g. 2-N-morpholinoethyl (meth)acrylate or 2-isocyanato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 C08F226/06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9/00Tenebrescent materials, i.e. materials for which the range of wavelengths for energy absorption is changed as a result of excitation by some form of energy
    • C09K9/02Organic tenebrescent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3Photochromic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Silver Salt Photosensitive Materials And Non-Silver Salt Photograph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과제) 고속 조광 재료를 실용적인 소색 반응 속도 혹은 발색 농도로 하기 위한 제어 방법 그리고 실용적인 소색 반응 속도 혹은 발색 농도의 고속 조광 재료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라디칼 중합기를 갖는 파라시클로판으로 가교된 헥사아릴비스이미다졸 화합물을 중합시켜 얻어지는 중합체, 혹은 (메트)아크릴산계의 화합물 혹은 라디칼 중합기를 갖는 증감제와 공중합시킨 공중합체에 의해, 소색 반응 속도나 광 감도나 색조를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토크로믹 재료{PHOTOCHROMIC MATERIAL}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선글라스나 광 변조 소자를 비롯한 광학 재료나, 기록 재료나 표시체 등의 디바이스용 재료나, 표시?비표시나 발색?소색의 전환이 가능한 잉크나 코트제 등의 인쇄 재료에 사용되는 조광 염료에 관한 것이다.
광 반응에 의해 발소색 (發消色) 되는 포토크로미즘을 나타내는 포토크로믹 재료는 주로 선글라스용 조광 염료 등에 이용되어 왔다. 또 광 디스크 등의 기록 재료나 홀로그램 등의 표시 재료로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선글라스용 조광 재료에는 스피로피란계 화합물, 나프로피란계 화합물, 풀기드계 화합물, 디아릴에텐계 화합물 등이 이용되어 왔는데, 실온에서의 소색 반응 속도가 작고, 예를 들어 옥외에서 옥내로 이동해도 얼마 동안 착색된 상태로 있거나 차를 운전 중에 터널에 들어가도 소색되지 않고 전방의 시야 회복이 느리거나 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러한 상황 중에서 본 발명자들은, 비특허문헌 1 (제 1 세대 HABI) 및 비특허문헌 2 (제 2 세대 HABI)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색 반응이 매우 빠르고, 발색체의 반감기가 밀리초 단위로 단시간인 라디칼 산일 (散逸) 억제형 포토크로믹 분자를 개발하였다.
Journal of Physical Organic Chemistry 20, pp 857-863 (2007) Journal of American Chemical Society 131 (12), pp 4227-4229 (2009)
이 라디칼 산일 억제형 포토크로믹 분자로 선글라스용 조광 재료를 제조했을 경우, 소색 반응 속도가 크기 때문에 상기 서술한 결점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상기 분자는 지금까지 실용화되어 온 포토크로믹 분자에 비해 너무나 소색 반응 속도가 크기 때문에, 그 실용적인 용도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그 반응 속도나 발색 농도를 적당한 것으로 하는 제어 방법이 필요해졌다.
상기 라디칼 산일 억제형 포토크로믹 분자가 갖는 과제로는, 예를 들어 선글라스용 조광 재료로서 사용하는 경우, 조광 재료에 여기광이 쬐어져 발색체가 되어도 소색체로 되돌아오는 시간이 밀리초 단위로 매우 짧기 때문에 발색체가 축적되지 않아 발색 농도가 낮다 (물들기 어렵다) 는 과제를 들 수 있다. 그래서 발색 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또는 원하는 발색 농도를 실현하기 위해서 발색체로부터 소색체로의 반응 속도를 저감시키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실용적인 반응 속도나 발색 농도를 갖는 포토크로믹 재료를 개발할 수 있도록 소색 반응 속도의 저감 방법, 여기광에 대한 감도를 향상시키는 방법, 색조의 컨트롤 방법을 제공하고, 또 이들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포토크로믹 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먼저 고속 광 응답성 포토크로믹 분자의 광 응답 속도의 제어법에 대해 예의 검토를 진행하였다.
일반식 (I) 로 나타내는 포토크로믹 분자는 두 개의 이미다졸 고리가 이미다졸릴 라디칼이 되어 그것들이 거의 평행 상태일 때에 발색체가 되고, 두 개의 이미다졸릴 라디칼이 결합하여 편방의 이미다졸 고리가 타방과 거의 수직이 되는 입체 배치를 취할 때 소색체가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래서, 적어도 어느 일방의 이미다졸 고리를 폴리머 주사슬에 결합시켜 수직 상태로 되돌아오기 어렵게 함으로써, 소색 반응 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하기에 이르렀다.
상기 서술한 추찰로부터 일반식 (I) 로 나타내는 중합성 관능기를 가진 포토크로믹 분자 모노머를 중합시켜 폴리머 혹은 올리고머로 하는 것을 알아내었다.
[화학식 6]
Figure pct00001
일반식 (I) 로 나타내는 포토크로믹 분자를 중합시킴으로써, 하기 구조를 갖는 포토크로믹 분자 호모 중합체 1-1 을 합성하였다. 이 중합체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노머보다 발색체의 반감기가 길게 되어 있어 소색 반응 속도가 효과적으로 저감된 것을 알 수 있다.
[화학식 7]
Figure pct00002
또, 일반식 (I) 로 나타내는 포토크로믹 분자와 메타크릴산메틸이나 일반식 (II) 로 나타내는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광 증감제를 공중합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호모폴리머와 마찬가지로 반감기를 길게 할 수 있어 소색 반응 속도를 저하시키는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 판명되었다.
[화학식 8]
Figure pct00003
또, 여기광에 대한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일반식 (I) 로 나타내는 포토크로믹 분자의 R4 ? R7 중 어느 것 또는 모두에 전자 공여성의 관능기를 도입함으로써 소색체의 포토크로믹 분자의 자외 가시 흡수가 장파장측에서도 증가하는 것을 알아내어, 가시광 조사로도 효율적으로 발색체를 생성할 수 있는 포토크로믹 분자를 얻는 것이 가능해졌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R4 ? R7 모두가 메톡시기인 경우는, 모두가 수소인 경우에 비해 소색체의 자외 가시 흡수가 장파장측에서 증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가시광 조사로도 양호한 감도로 발색체를 생성하는 R4 ? R7 이 메톡시기인 포토크로믹 분자를 중합시킴으로써 합성한 호모 중합체는 중합하는 것에 의한 소색 반응 속도를 저하시키는 효과와 가시광 감도가 양호한 효과가 조합된 재료인 것이 분명해졌다.
또한, 일반식 (I) 에 있어서 R4 ? R7 모두가 수소인 포토크로믹 분자와 R4 ? R7 모두가 메톡시기인 포토크로믹 분자의 공중합체의 발색체의 흡수 스펙트럼은 각각의 분자의 발색체의 흡수 스펙트럼의 단순한 더하기가 된다. 따라서, 여기광 조사 후는 양 포토크로믹 분자 발색체를 서로 더한 색으로 되어 있고, 시간 경과와 함께 먼저 소색 속도가 빠른 R4 ? R7 모두가 수소인 포토크로믹 분자의 발색체의 색이 사라져 서서히 색이 변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점에서 발색체의 색이 다른 분자끼리의 혼합비를 바꿈으로써 발색체 색조를 컨트롤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6 및 도 7).
포토크로믹 분자의 중합체를 이용하여 유리 기판 위에 필름을 제조한 결과, 발색체의 흡수 스펙트럼은 중합체의 용매 중에서의 스펙트럼과 거의 일치하여 필름 상태에서도 발색체 색조를 컨트롤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8).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분자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고속 포토크로믹 분자의 소색 반응 속도를 작게 하거나 색조를 컨트롤시키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져, 발색 농도의 향상이나 색조를 제어한 조광 재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과도 흡수 측정에 의한 모노머와 호모 중합체 1-1 의 발색체 반감기의 비교이다.
도 2 는 호모 중합체와 공중합체의 과도 흡수 측정 결과의 비교이다.
도 3 은 R4 ? R7 이 수소인 포토크로믹 분자와 R4 ? R7 이 메톡시기인 포토크로믹 분자의 소색체의 자외 가시 흡수 스펙트럼의 비교이다.
도 4 는 R4 ? R7 이 수소인 포토크로믹 분자의 호모 중합체와 R4 ? R7 이 메톡시기인 포토크로믹 분자의 호모 중합체의 자외 가시 흡수 스펙트럼의 비교이다.
도 5 는 R4 ? R7 이 메톡시기인 포토크로믹 분자의 호모 중합체와 R4 ? R7 이 메톡시기인 포토크로믹 분자의 모노머의 과도 흡수 측정의 비교이다.
도 6 은 R4 ? R7 이 수소인 포토크로믹 분자와 R4 ? R7 이 메톡시기인 포토크로믹 분자의 공중합체의 발색체의 흡수 스펙트럼이다.
도 7 은 R4 ? R7 이 수소인 포토크로믹 분자와 R4 ? R7 이 메톡시기인 포토크로믹 분자의 공중합체의 발색체의 과도 흡수 측정이고, R4 ? R7 이 메톡시기인 포토크로믹 분자의 호모 중합체나 R4 ? R7 이 수소인 포토크로믹 분자의 호모 중합체인 것과 비교하고 있다.
도 8 은 R4 ? R7 이 수소인 포토크로믹 분자의 호모 중합체로 제조한 필름과 R4 ? R7 이 메톡시기인 포토크로믹 분자의 호모 중합체로 제조한 필름의 발색체 흡수 스펙트럼의 비교이다.
도 9 는 호모 중합체 1-1 의 필름의 과도 흡수 측정 결과이다.
도 10 은 화합물 1-10 과 화합물 1-7 과 메타크릴산메틸의 공중합체의 필름의 과도 흡수 측정이다.
도 11 은 호모 중합체 1-2 의 필름의 과도 흡수 측정 결과이다.
도 12 는 호모 중합체와 공중합체의 자외 가시 흡수 스펙트럼의 비교이다.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재료>
본 발명에서는, 일반식 (I) 로 나타내는 포토크로믹 분자 모노머를 중합시켜 폴리머 혹은 올리고머를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9]
Figure pct00004
또, 본 발명에서는 포토크로믹 분자 모노머를 중합시켜 호모 중합체를 합성하거나, 포토크로믹 분자와 다른 중합성 모노머나 중합기를 가진 일반식 (II) 로 나타내는 광 증감성 화합물과 혼합하여 공중합체를 합성하거나 할 수도 있다. 이 공중합체는 블록 공중합체이어도 되고, 랜덤 공중합체이어도 된다.
[화학식 10]
Figure pct00005
일반식 (I) 로 나타내는 포토크로믹 모노머 분자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분자는 헥사아릴비스이미다졸 (HABI) 의 유도체이고, 이미다졸기의 2 위치가 파라시클로판으로 결합하고 트리페닐이미다졸기가 2 량화된 골격을 갖는다.
일반식 (I) 및 일반식 (II) 에 있어서의 치환기 R1 ? R8 에 대해 설명한다. R1,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R3 ? R8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여러 가지의 치환기이다. R3 이나 R8 이 수소가 아닌 치환기인 경우, 그 치환 위치는 파라 위치가 바람직하다. R4 ? R7 이 수소가 아닌 치환기인 경우, 그 치환 위치는 파라 위치가 바람직하고, 1 개의 고리에 2 개의 치환기가 결합하는 경우에는 메타 위치와 파라 위치가 바람직하다.
이 치환기로는, 알콕시기, 아미노기, 알킬아미노기, 알킬기, 하이드록실기, 할로겐, 시아노기 또는 니트로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알콕시기, 알킬아미노기를 갖는 분자는 소색체가 가시광 영역도 효율적으로 흡수하기 때문에, 또한 포토크로믹 분자 자체의 소색 반응 속도가 작기 때문에 태양광 중에서 발색 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바람직하다.
알콕시기로서 바람직하게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부톡시기, 펜틸옥시기, 헥실옥시기를 들 수 있다. 알킬아미노기로서 바람직하게는 디메틸아미노기, 디에틸아미노기, 디프로필아미노기, 디부틸아미노기를 들 수 있다.
n, m 은 자연수를 나타내고 있고, 포토크로믹 분자의 중합도를 높이기 위해서 n = 6 이상, m = 6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n 은 2 ? 20 이 바람직하고, 4 ? 20 이 보다 바람직하고, 6 ? 20 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m 은 2 ? 20 이 바람직하고, 4 ? 20 이 보다 바람직하고, 6 ? 20 이 특히 바람직하다.
라디칼 중합을 위한 중합 개시제로는 일반적인 화합물을 각종 사용할 수 있는데, 포토크로믹 분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고온 반응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 관점에서는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이나,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예시 화합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공중합시키는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크릴산에스테르,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아세트산비닐 등의 기를 가지고 있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 광 증감성 화합물로는 중합기를 갖는 광 증감 화합물이면 되고, 일반식 (II) 로 나타내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벤질, 메톡시벤질, 벤조페논, 메톡시벤조페논, 아미노벤조페논, 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크산톤, 티오크산톤, 아세토페논, 부티로페논, 프로피오페논, 안트론, 플루오렌, 트리페닐렌, 안트라퀴논, 피렌, 나프탈렌, 안트라센, 페난트렌, 크리센, 코로넨, 비페닐, 벤즈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폴리머를 합성하기 위해서, 각각의 화합물에 중합을 위한 관능기를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중합성 관능기로는, 중합 반응을 일으키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크릴산에스테르, 스티렌, 알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아세트산비닐, 부타디엔, 에폭시, 프로필렌옥사이드, 염화비닐 등의 기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포토크로믹 분자 모노머의 중합에서 사용되는 용매로는, THF 나 톨루엔 등을 들 수 있다. 또, 중합 조건으로는, 중합 온도는 30 ? 150 ℃ 가 바람직하고, 30 ? 100 ℃ 가 보다 바람직하고, 30 ? 60 ℃ 가 특히 바람직하고, 반응 시간은 반응 온도나 필요로 하는 분자량에 따라 상이한데 2 시간 ? 1 주간이 바람직하고, 보다 1 ? 5 일간이 바람직하고, 특히 2 ? 4 일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재료를 사용한 소색 반응 속도, 광 감도 또는 색조의 제어 방법>
본 발명에 관련된 포토크로믹 재료는, 상기 서술하는 바와 같이, 일반식 (I) 로 나타내는 포토크로믹 분자 모노머를 중합시켜 폴리머 혹은 올리고머로 하는 것에 의해, 모노머일 때의 지나치게 큰 소색 반응 속도를 제어하여, 여러가지 용도에 맞춘 소색 반응 속도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포토크로믹 분자 (모노머) 를 중합시킴으로써 작은 소색 반응 속도로 제어할 수 있는데, 중합도와 소색 반응 속도의 관계는 포토크로믹 분자 (모노머) 의 구조에도 의존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수치로 일의적으로 규정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 소색 반응 속도를 작게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포토크로믹 분자의 호모 중합체일 필요는 없고, 메타크릴산메틸이나 중합기를 갖는 광 증감제 등, 다른 중합성 모노머와 포토크로믹 분자를 공중합시켜도 된다.
또, 도 1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 증감제와의 공중합에 의해 포토크로믹 분자 단체의 경우보다 광의 흡수량이 증가하여 광 감도가 향상된다. 포토크로믹 분자에 전자 공여성 관능기를 도입함으로써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외 가시 흡수가 장파장측에서도 증가하여 가시광 감도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색체의 색이 상이한 2 종 이상의 포토크로믹 분자의 혼합비를 바꿈으로써 발색체 색조를 컨트롤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 구체적인 혼합비는 포토크로믹 분자 (모노머) 의 구조에 의존하기 때문에 일의적으로 규정하는 것은 곤란하다.
실시예
<실시예 1:포토크로믹 폴리머의 호모 중합체>
일반식 (I) 로 나타내는 포토크로믹 분자 모노머의 합성 방법의 일례를 이하에 나타낸다.
먼저, 공지된 합성 방법 (Chemische Berichte 120, 1825-1828 (1987) 등) 을 참고로 하여, 화합물 1-4 (파라시클로판디알데히드) 0.96 g 을 얻었다.
[화학식 11]
Figure pct00006
다음으로, 4,4'-디메톡시벤질 6.0 g 과 염화피리디늄 13.3 g 을 180 ℃ 로 가열하고 3 시간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을 물과 아세트산에틸에 의해 분액하여 아세트산에틸층을 분리하였다. 이 아세트산에틸층을 농축시킨 후,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추출을 실시하였다. 용해시키지 않고 남은 고체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여과액에 NaOH 수용액 (10 중량%) 을 첨가하여 분액하였다. 수층에 염산 (35 %) 을 첨가하여 중화하고, 석출된 고체를 여과에 의해 회수하여 화합물 1-5 를 1.2 g 얻었다.
[화학식 12]
Figure pct00007
다음으로, 1.00 g 의 화합물 1-5, 탄산칼륨 0.755 g, 요오드화칼륨 0.013 g 을 DMF 14 ㎖ 에 용해, 현탁시키고 6-클로로-1-헥사놀 0.8 ㎖ 를 첨가하여 80 ℃ 에서 1.5 시간 가열하였다. 반응 용액을 물과 아세트산에틸로 분액하고 유기층을 분리하여 농축시킨 후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용해시켰다. 여기에 헥산을 첨가함으로써 석출된 고체를 회수하여 화합물 1-6 을 1.3 g 얻었다.
[화학식 13]
Figure pct00008
화합물 1-6 의 1H-NMR, 및 13C-NMR 측정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9
다음으로, 1.0 g 의 화합물 1-6 과 파라하이드록시페놀 6.1 ㎎ 이 들어간 용기를 질소 치환한 후, 디클로로메탄 6 ㎖ 를 첨가하여 빙랭하였다. 이 후, 트리에틸아민 0.86 ㎖ 와 메타크릴로일클로리드 0.52 ㎖ 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3 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액에 물을 첨가하여 분액함으로써 유기층을 분리하고, 헥산을 첨가하여 석출된 고체를 회수하여, 화합물 1-7 을 1.0 g 얻었다.
[화학식 14]
Figure pct00010
화합물 1-7 의 1H-NMR, 13C-NMR 측정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11
다음으로, 0.5 g 의 화합물 1-4 와 벤질 0.40 g 과 아세트산암모늄 2.19 g 을 아세트산 8 ㎖ 에 용해시켜 100 ℃ 에서 5 시간 가열하였다. 암모니아수로 반응 용액을 중화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생성물을 추출하였다. 디클로로메탄층을 농축 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생성물을 분리하여 화합물 1-8 을 0.38 g 얻었다.
[화학식 15]
Figure pct00012
화합물 1-8 의 1H-NMR, 13C-NMR 측정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13
다음으로, 0.35 g 의 화합물 1-8, 0.35 g 의 화합물 1-7, 파라메톡시페놀 51.3 ㎎, 아세트산암모늄 0.95 g 을 아세트산 6.5 ㎖ 에 용해시켜 80 ℃ 에서 5 일간 가열한 후, 암모니아수로 중화하여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디클로로메탄층을 농축 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생성물을 분리하여 화합물 1-9 를 0.54 g 얻었다.
[화학식 16]
Figure pct00014
화합물 1-9 의 1H-NMR, 13C-NMR 측정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15
다음으로, 0.49 g 의 화합물 1-9 를 벤젠 90 ㎖ 에 용해시켜 교반하였다. 이것에 수산화칼륨 3.28 g 과 페리시안화칼륨 9.63 g 을 용해시킨 수용액 65 ㎖ 를 적하하였다. 벤젠층을 물로 세정하고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생성물을 분리하여 화합물 1-10 을 0.3 g 얻었다.
[화학식 17]
Figure pct00016
화합물 1-10 의 1H-NMR, 13C-NMR 측정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17
다음으로, 이상과 같이 하여 합성한 포토크로믹 분자 모노머를 이용하여, 폴리머를 합성하는 방법의 일례를 이하에 나타낸다.
60 ㎎ 의 화합물 1-10 과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0.26 ㎎ 을 200 ㎕ 의 THF 에 용해시켜 동결 앰플에 넣고, 동결 탈기를 10 회 실시한 후에 봉관하였다. 이 용액을 40 ℃ 로 따뜻하게 하여 교반하면서 3 일간 반응시켰다. 이 후, 반응액을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메탄올 중에 적하하여 재침전 정제를 실시하였다. 석출된 고체를 여과에 의해 회수하여 포토크로믹 분자의 폴리머 (호모 중합체 1-1) 를 33.2 ㎎ 얻었다. GPC 에 의해 중량 평균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28400 이었다.
[화학식 18]
Figure pct00018
다른 포토크로믹 분자의 폴리머도 출발 물질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동일하게 합성할 수 있다.
<실시예 1 의 호모 중합체의 시험 1>
이상과 같이 하여 합성한 호모 중합체 1-1 을 0.5 ㎎ 측정하여 취하고, 10 ㎖ 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사면 석영 셀에 넣고 시간 분해 분광법으로 폴리머의 과도 흡수를 측정하였다. 이 결과,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노머 상태보다 폴리머인 편이 발색체의 반감기가 길게 되어 있어, 발색체로부터 소색체로의 반응 속도를 효과적으로 느리게 하는 것에 성공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 의 호모 중합체의 시험 2>
이상과 같이 하여 합성한 호모 중합체 1-1 을 2.5 ㎎ 측정하여 취하고, 50 ㎕ 의 클로로포름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 10 ㎕ 를 커버 유리 위에 올리고 스핀 코트에 의해 캐스팅하여 포토크로믹 폴리머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포토크로믹 폴리머 (호모 중합체 1-1) 의 필름의 발색체의 과도 흡수를 시간 분해 분광법으로 측정하였다. 파장 355 ㎚ (Nd-YAG 레이저의 제 3 고조파) 의 여기광을 조사하여 400 ㎚ 의 흡수를 검출하였다. 이 결과,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여기광을 조사하고 나서 800 밀리초 후에도 발색되고 있는 성분이 존재하고 있어, 발색체로부터 소색체로의 반응 속도를 효과적으로 느리게 하는 것에 성공하였다.
<실시예 2:포토크로믹 폴리머의 공중합체>
40 ㎎ 의 화합물 1-10, 4 ㎎ 의 화합물 1-7, 메타크릴산메틸 3.74 ㎎ 과 2,2'-아조비스 (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0.7 ㎎ 을 267 ㎕ 의 THF 에 용해시켜 동결 앰플에 넣고 동결 탈기를 10 회 실시한 후, 봉관하였다. 이 용액을 40 ℃ 로 따뜻하게 하여 교반하면서 3 일간 반응시켰다. 이 후, 반응액을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메탄올 중에 적하하여 재침전 정제를 실시하였다. 석출된 고체를 여과에 의해 회수하여 포토크로믹 분자 (화합물 1-10) 와 광 증감성 화합물 (화합물 1-7) 과 메타크릴산메틸의 공중합체를 33.3 ㎎ 얻었다. GPC 에 의해 중량 평균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19500 이었다.
<실시예 2 의 공중합체의 시험 1>
이상과 같이 하여 합성한, 포토크로믹 분자 (화합물 1-10) 와 광 증감성 화합물 (화합물 1-7) 과 메타크릴산메틸의 랜덤 공중합체 0.5 ㎎ 을 측정하여 10 ㎖ 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사면 석영 셀에 넣고 시간 분해 분광법으로 폴리머의 과도 흡수를 측정하였다. 이 결과,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중합체도 호모 중합체 1-1 과 동일한 발색체 반감기를 가지고 있어, 모노머보다 소색 반응 속도를 효과적으로 느리게 하는 것에 성공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의 공중합체의 시험 2>
실시예 1 의 호모 중합체의 시험 2 와 동일하게 하여 포토크로믹 폴리머의 필름을 제조 후, 과도 흡수 측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중합체의 필름에서도 호모 중합체의 결과와 동일하게 여기광을 조사하고 나서 800 밀리초 경과 후에도 발색되고 있는 성분이 존재하고 있어, 발색체로부터 소색체로의 반응 속도를 효과적으로 느리게 하는 것에 성공하였다.
<실시예 3:포토크로믹 폴리머의 호모 중합체>
먼저, 0.5 g 의 화합물 1-4 와 0.63 g 의 화합물 1-11 과 아세트산암모늄 2.19 g 을 아세트산 8 ㎖ 에 용해시킨 후, 100 ℃ 에서 5 시간 가열하였다. 암모니아수로 반응 용액을 중화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생성물을 추출하였다. 디클로로메탄층을 농축 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생성물을 분리하여 화합물 1-12 를 0.48 g 얻었다.
[화학식 19]
Figure pct00019
화합물 1-12 의 1H-NMR, 13C-NMR 측정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20
다음으로, 0.46 g 의 화합물 1-12 와 0.35 g 의 화합물 1-7 과 파라메톡시페놀 51.3 ㎎, 아세트산암모늄 0.95 g 을 아세트산 6.5 ㎖ 에 용해시켜 80 ℃ 에서 5 일간 가열한 후, 암모니아수로 중화하여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디클로로메탄층을 농축시킨 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생성물을 분리하여 화합물 1-13 을 0.65 g 얻었다.
[화학식 20]
Figure pct00021
화합물 1-13 의 1H-NMR, 13C-NMR 측정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22
다음으로, 0.56 g 의 화합물 1-13 을 벤젠 100 ㎖ 에 용해시켜 교반하였다. 이것에 수산화칼륨 3.61 g 과 페리시안화칼륨 10.6 g 이 용해된 수용액 70 ㎖ 를 적하하였다. 벤젠층을 물로 세정한 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생성물을 분리하여 화합물 1-14 를 0.52 g 얻었다.
[화학식 21]
Figure pct00023
화합물 1-14 의 1H-NMR, 13C-NMR 측정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24
다음으로, 이상과 같이 하여 합성한 포토크로믹 분자 모노머를 이용하여, 폴리머를 합성하는 방법의 일례를 이하에 나타낸다.
60 ㎎ 의 화합물 1-14 와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0.23 ㎎ 을 200 ㎕ 의 THF 에 용해시켜 동결 앰플에 넣고, 동결 탈기를 10 회 실시한 후, 봉관하였다. 이 용액을 40 ℃ 로 따뜻하게 하여 교반하면서 3 일간 반응시켰다. 이 후, 반응액을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메탄올 중에 적하하여 재침전 정제를 실시하였다. 석출된 고체를 여과에 의해 회수하여 포토크로믹 분자의 폴리머 (호모 중합체 1-2) 를 22.3 ㎎ 얻었다. GPC 에 의해 중량 평균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9500 이었다.
[화학식 22]
Figure pct00025
<실시예 3 의 호모 중합체의 시험 1>
이상과 같이 하여 합성한 호모 중합체 1-2 를 0.5 ㎎ 측정하여, 10 ㎖ 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사면 석영 셀에 넣고 시간 분해 분광법으로 폴리머의 과도 흡수를 측정하였다. 이 결과,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노머 상태보다 폴리머인 편이 발색체의 반감기가 길게 되어 있어, 발색체로부터 소색체로의 반응 속도를 효과적으로 느리게 하는 것에 성공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의 호모 중합체의 시험 2>
이상과 같이 하여 합성한 호모 중합체 1-2 를 2.5 ㎎ 측정하여, 50 ㎕ 의 클로로포름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 10 ㎕ 를 커버 유리 위에 올리고 스핀 코트에 의해 캐스팅하여 포토크로믹 폴리머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포토크로믹 폴리머 (호모 중합체 1-2) 의 필름의 발색체의 과도 흡수를 시간 분해 분광법으로 측정하였다. 파장 355 ㎚ (Nd-YAG 레이저의 제 3 고조파) 의 여기광을 조사하여 400 ㎚ 의 흡수를 검출하였다. 이 결과,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여기광을 조사하고 나서 800 밀리초 후에도 발색되고 있는 성분이 존재하고 있어, 발색체로부터 소색체로의 반응 속도를 효과적으로 느리게 하는 것에 성공하였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포토크로믹 분자를 폴리머화함으로써, 포토크로믹 분자의 소색 반응 속도를 저감시키는 방법이 나타났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소색 반응 속도가 지나치게 빨라 발색체가 축적되지 않고, 발색 농도가 옅은 포토크로믹 분자의 소색 반응 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어 색채가 양호한 포토크로믹 분자 재료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Claims (20)

  1. 하기 일반식 (III) 으로 나타내는 포토크로믹 분자의 호모 중합체.
    [화학식 1]
    Figure pct00026

    구조식 중, A 는 상기 구조를 갖는 포토크로믹 분자이고, R1 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3 ? R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콕시기이고, n 은 2 ? 20 의 정수이다.
  2. 하기 일반식 (IV) 로 나타내는 포토크로믹 분자의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
    [화학식 2]
    Figure pct00027

    구조식 중, A 는 상기 구조를 갖는 포토크로믹 분자이고, R1, R1 -2 및 R1 -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3 ? R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콕시기이고, n 은 2 ? 20 의 정수이다.
  3. 하기 일반식 (V) 로 나타내는 포토크로믹 분자의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
    [화학식 3]
    Figure pct00028

    구조식 중, A 는 상기 구조를 갖는 포토크로믹 분자이고, B 는 상기 구조를 갖는 광 증감성 화합물이고, R1, R1 -2, R1 -3 및 R1 -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3 ? R8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콕시기이고, m 은 2 ? 20 의 정수이고, n 은 2 ? 20 의 정수이다.
  4. 하기 일반식 (VI) 으로 나타내는 포토크로믹 분자의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
    [화학식 4]
    Figure pct00029

    구조식 중, A 는 상기 구조를 갖는 포토크로믹 분자이고, B 는 상기 구조를 갖는 광 증감성 화합물이고, R1, R1 -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3 ? R8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콕시기이고, m 은 2 ? 20 의 정수이고, n 은 2 ? 20 의 정수이다.
  5. 하기 일반식 (VII) 로 나타내는 포토크로믹 분자의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
    [화학식 5]
    Figure pct00030

    구조식 중, A 및 A2 는 상기 구조를 갖는 포토크로믹 분자이고, R1 및 R1 -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3 및 R9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콕시기이고, R4 ? R7 은 수소이고, R10 ? R13 은 알콕시기이고, m 은 2 ? 20 의 정수이고, n 은 2 ? 20 의 정수이다.
  6. 제 1 항에 있어서,
    R3 ? R7 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톡시기인 포토크로믹 분자의 호모 중합체.
  7. 제 6 항에 있어서,
    R3 은 메톡시기로 파라 위치에 결합하고 있고, R4 ? R7 은 모두 수소인 포토크로믹 분자의 호모 중합체.
  8. 제 6 항에 있어서,
    R3 은 메톡시기로 파라 위치에 결합하고 있고, R4 ? R7 은 모두 메톡시기로 메타 위치와 파라 위치에 결합하고 있는 포토크로믹 분자의 호모 중합체.
  9. 제 2 항에 있어서,
    R3 ? R7 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톡시기인 포토크로믹 분자의 공중합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R3 은 메톡시기로 파라 위치에 결합하고 있고, R4 ? R7 은 모두 수소인 포토크로믹 분자의 공중합체.
  11. 제 9 항에 있어서,
    R3 은 메톡시기로 파라 위치에 결합하고 있고, R4 ? R7 은 모두 메톡시기로 메타 위치와 파라 위치에 결합하고 있는 포토크로믹 분자의 공중합체.
  12. 제 3 항에 있어서,
    R3 ? R8 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톡시기인 포토크로믹 분자의 공중합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R3 및 R8 은 메톡시기로 파라 위치에 결합하고 있고, R4 ? R7 은 모두 수소인 포토크로믹 분자의 공중합체.
  14. 제 12 항에 있어서,
    R3 및 R8 은 메톡시기로 파라 위치에 결합하고 있고, R4 ? R7 은 모두 메톡시기로 메타 위치와 파라 위치에 결합하고 있는 포토크로믹 분자의 공중합체.
  15. 제 4 항에 있어서,
    R3 ? R8 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톡시기인 포토크로믹 분자의 공중합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R3 및 R8 은 메톡시기로 파라 위치에 결합하고 있고, R4 ? R7 은 모두 수소인 포토크로믹 분자의 공중합체.
  17. 제 15 항에 있어서,
    R3 및 R8 은 메톡시기로 파라 위치에 결합하고 있고, R4 ? R7 은 모두 메톡시기로 메타 위치와 파라 위치에 결합하고 있는 포토크로믹 분자의 공중합체.
  18. 제 5 항에 있어서,
    R3 및 R9 는 메톡시기로 파라 위치에 결합하고 있고, R4 ? R7 은 모두 수소이고, R10 ? R13 은 메톡시기로 메타 위치와 파라 위치에 결합하고 있는 포토크로믹 분자의 공중합체.
  19. 포토크로믹 분자를 중합시켜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중합체로 함으로써, 포토크로믹 재료의 소색 반응 속도를 저감시키는 방법.
  20. 제 5 항 또는 제 18 항에 기재된 포토크로믹 분자의 공중합체에 있어서, A 구조를 갖는 포토크로믹 분자와 A2 구조를 갖는 포토크로믹 분자의 구성비를 바꿈으로써, 포토크로믹 재료의 광 감도나 색조를 제어하는 방법.
KR1020127017749A 2009-12-11 2010-11-30 포토크로믹 재료 KR201201298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81966A JP5674305B2 (ja) 2009-12-11 2009-12-11 フォトクロミック材料
JPJP-P-2009-281966 2009-12-11
PCT/JP2010/071345 WO2011070942A1 (ja) 2009-12-11 2010-11-30 フォトクロミック材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886A true KR20120129886A (ko) 2012-11-28

Family

ID=44145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7749A KR20120129886A (ko) 2009-12-11 2010-11-30 포토크로믹 재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40647B2 (ko)
EP (1) EP2511307B1 (ko)
JP (1) JP5674305B2 (ko)
KR (1) KR20120129886A (ko)
CN (1) CN102652143B (ko)
AU (1) AU2010329226B2 (ko)
WO (1) WO20110709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5817A (ko) 2009-10-21 2012-08-01 엠지시 휠시트 가부시키가이샤 기능성 시트 및 그것을 이용한 렌즈
KR20130091243A (ko) 2010-07-09 2013-08-16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포토크로믹 재료
JP6489461B2 (ja) * 2014-03-28 2019-03-27 関東化學株式会社 ペンタアリールビイミダゾール化合物および該化合物の製造方法
CN104687695A (zh) * 2015-03-12 2015-06-10 周士志 一种具有感光效果的箱包
JP7472438B2 (ja) * 2019-06-20 2024-04-23 Dic株式会社 イミダゾール化合物
CN113667256B (zh) * 2021-08-30 2023-03-03 湖北高碳光电科技有限公司 用于头戴式光学显示器的光致变色材料、其制备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5730A (ja) * 1991-10-16 1993-04-27 Fuji Xerox Co Ltd フオトクロミツク性液晶共重合体
JPH0762021A (ja) * 1993-08-25 1995-03-07 Bio Toopu:Kk スピロナフトオキサジン誘導体とグリシジルメタクリレート共重合体との反応物であるフォトクロミックおよびソルバトクロミック高分子
JP3151089B2 (ja) * 1993-09-16 2001-04-03 株式会社トクヤマ フォトクロミック化合物
JP4803334B2 (ja) * 2001-05-09 2011-10-26 学校法人東京電機大学 フッ化アルコール溶液
JP4087207B2 (ja) * 2002-10-02 2008-05-21 京セラケミカル株式会社 光伝送路形成用材料、光伝送路および光伝送路の製造方法
EP2397468A4 (en) * 2008-11-28 2012-08-15 Abe Jiro A NEW CROSS-LINKED HEXAARYLBISIMIDAZOLE COMPOUND AND DERIVATIVES THEREOF, METHOD FOR PRODUCING THE COMPOUND, AND PRIORITY COMPOUND TO BE USED IN THE PRODUCTION PRO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11307A1 (en) 2012-10-17
CN102652143A (zh) 2012-08-29
WO2011070942A1 (ja) 2011-06-16
JP2011122089A (ja) 2011-06-23
CN102652143B (zh) 2014-10-29
AU2010329226A8 (en) 2012-07-19
JP5674305B2 (ja) 2015-02-25
US9040647B2 (en) 2015-05-26
US20120245317A1 (en) 2012-09-27
EP2511307B1 (en) 2014-07-23
AU2010329226A1 (en) 2012-07-12
AU2010329226B2 (en) 2014-05-22
EP2511307A4 (en) 2013-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29886A (ko) 포토크로믹 재료
Wu et al. Visible light triggered aggregation-induced emission switching with a donor–acceptor Stenhouse adduct
EP2397468A1 (en) Novel crosslinked hexaaryl bisimidazole compound and derivative thereof, method for producing the compound and precursor compound to be used in the production method
JP2001114775A (ja) クロメン化合物
CN113316746B (zh) 全息记录组合物、全息记录介质、全息图、以及使用该全息图的光学装置和光学部件
Zhang et al. Donor/acceptor vinyl monomers and their polymers: Synthesis, photochemical and photophysical behavior
WO2000071544A1 (fr) Composés de chromène
US8773745B2 (en) Electrochromic material
Wang et al. Novel chemical-bonded polymerizable sulfur-containing photoinitiators comprising the structure of planar N-phenylmaleimide and benzophenone for photopolymerization
Wakizono et al. FRET function of polymeric ionic liquid film containing rhodamine moieties for exhibiting emissions by excitation at wide wavelength areas
CA2567629A1 (en) Polymerisable naphthopyrane derivatives and polymer materials obtained from these derivatives
Shen et al. Synthesis and photolytic properties of 1, 5-di-N, N′-dialkylaminoanthraquinones containing acryloyl groups
Neckers et al. p, p'-Bis ((triphenylphosphonio) methyl) benzophenone salts as photoinitiators of free radical and cationic polymerization
JP2001192378A (ja) クロメン化合物
Wang et al. Synthesis and switching properties of photochromic carbazole–spironaphthoxazine copolymer
JPH0748363A (ja) フォトクロミック材料
JP2006282990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光アクチュエータ材料
Bratschkov et al. Synthesis and photochemical transformations of an anthracene containing methacrylic copolymer
Bosch et al. New fluorescent probes for monitoring the polymerization reaction: p-vinyliden derivatives of N, N-dimethylaminoaryl compounds
Shimizu et al. Solid emission color tuning of polymers consisting of BODIPY and styrene in various ratios
EP0689095B1 (en) Visible light sensitizer for photopolymerizing initiator and/or photocrosslinking agent, photosensitive composition, and hologram recording medium
WO1989007104A1 (en) Novel spirooxazine compounds
US9834723B2 (en) Pentaarylbiimidazole compound and production method for said compound
Guan et al. Synthesis and photophysical behaviors of temperature/pH-sensitive polymeric materials. I. Vinyl monomer bearing 9-aminoacridine and polymers
CN111741985B (zh) 化合物、聚合物和有机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