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9767A - 고주파 전력 증폭기 - Google Patents

고주파 전력 증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9767A
KR20120129767A KR1020120049017A KR20120049017A KR20120129767A KR 20120129767 A KR20120129767 A KR 20120129767A KR 1020120049017 A KR1020120049017 A KR 1020120049017A KR 20120049017 A KR20120049017 A KR 20120049017A KR 20120129767 A KR20120129767 A KR 20120129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switching element
output
high frequency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9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7223B1 (ko
Inventor
신타로 와타나베
카즈히로 이요마사
히로아키 마에하라
준 타카소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29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9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56Modifications of input or output impedan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77Selecting one or more amplifiers from a plurality of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H03F3/1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72Gated amplifiers, i.e. amplifiers which are rendered operative or inoperative by means of a control signa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36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 H03G3/304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in modulators, frequency-changers, transmitters or powe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222A circuit being added at the input of an amplifier to adapt the input impedance of the amplifi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318A matching circuit being used as coupling element between two amplifying stag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387A circuit being added at the output of an amplifier to adapt the output impedance of the amplifi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11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output amplifying stage of an amplifier comprising two power stag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3/00
    • H03F2203/72Indexing scheme relating to gated amplifiers, i.e. amplifiers which are rendered operative or inoperative by means of a control signal
    • H03F2203/7215Indexing scheme relating to gated amplifiers, i.e. amplifiers which are rendered operative or inoperative by means of a control signal the gated amplifier being switched on or off by a switch at the input of the amplifi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3/00
    • H03F2203/72Indexing scheme relating to gated amplifiers, i.e. amplifiers which are rendered operative or inoperative by means of a control signal
    • H03F2203/72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ated amplifiers, i.e. amplifiers which are rendered operative or inoperative by means of a control signal the gated amplifier being switched on or off by a switch at the output of the amplifi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3/00
    • H03F2203/72Indexing scheme relating to gated amplifiers, i.e. amplifiers which are rendered operative or inoperative by means of a control signal
    • H03F2203/723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ated amplifiers, i.e. amplifiers which are rendered operative or inoperative by means of a control signal the gated amplifier being switched on or off by putting into parallel or not, by choosing between amplifiers by (a ) switch(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3/00
    • H03F2203/72Indexing scheme relating to gated amplifiers, i.e. amplifiers which are rendered operative or inoperative by means of a control signal
    • H03F2203/7239Indexing scheme relating to gated amplifiers, i.e. amplifiers which are rendered operative or inoperative by means of a control signal the gated amplifier being switched on or off by putting into parallel or not, by choosing between amplifiers and shunting lines by one or more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임피던스 정합의 전환과 경로의 전환을 동시에 행할 수 있어, 회로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고주파 전력 증폭기를 얻는다. 트랜지스터 Tr1은, 외부에서 입력된 고주파신호를 증폭한다. 트랜지스터 Tr2는, 트랜지스터 Tr1의 출력 신호를 증폭한다. 트랜지스터 Tr3은, 트랜지스터 Tr1과 병렬로 접속되고, 외부에서 입력된 고주파신호를 증폭한다. 트랜지스터 Tr1의 출력과 트랜지스터 Tr2의 입력 사이에 전환 소자 SW1이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Tr3의 출력과 전환 소자 SW1 사이에 전환 소자 SW2가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Tr1의 출력 및 전환 소자 SW2와 트랜지스터 Tr2의 출력 사이에 전환 소자 SW3, SW4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전환 소자 SW3과 전환 소자 SW4 사이에 커패시터 C1이 접속되어 있다.

Description

고주파 전력 증폭기{HIGH FREQUENCY POWER AMPLIFIER}
본 발명은, 출력 전력에 따라 증폭기 내의 경로를 전환하는 고주파 전력 증폭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나 휴대 단말에 있어서, 수십 MHz 이상의 고주파대에서 동작하는 고주파 전력 증폭기가 이용되고 있다. 이 고주파 전력 증폭기에서는, 28.25dBm의 대 전력 출력을 얻는 경우, 17dBm의 중 전력 출력을 얻는 경우, 7dBm의 소 전력 출력을 얻는 경우에 있어서, 각각 증폭기 내의 경로를 전환한다. 이에 따라, 각각의 출력 전력에서의 동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 참조).
종래의 고주파 전력 증폭기에서는, 소?중 전력 출력을 얻는 경우에 공통의 경로에 있어서, 병렬로 접속된 전환 소자와 커패시터에 의해 임피던스 정합을 행하고 있다.
Proceedings of the 36th European Microwave Conference, P348-P351
그러나, 전환 소자와 커패시터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임피던스 정합의 전환밖에 행할 수 없고, 경로의 전환을 동시에 행할 수는 없었다. 이 때문에, 회로의 자유도가 낮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것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임피던스 정합의 전환과 경로의 전환을 동시에 행할 수 있어, 회로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고주파 전력 증폭기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전력 증폭기는, 외부에서 입력된 고주파신호를 증폭하는 제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는 제2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트랜지스터와 병렬로 접속되고, 외부에서 입력된 고주파신호를 증폭하는 제3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출력과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입력 사이에 접속된 제1 전환 소자와, 상기 제3 트랜지스터의 출력과 상기 제1 전환 소자 사이에 접속된 제2 전환 소자와,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출력 및 상기 제2 전환 소자와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출력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제3 및 제4 전환 소자와, 상기 제3 전환 소자와 상기 제4 전환 소자 사이에 접속된 제1 커패시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임피던스 정합의 전환과 경로의 전환을 동시에 행할 수 있어, 회로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고주파 전력 증폭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고주파 전력 증폭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관한 고주파 전력 증폭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관한 고주파 전력 증폭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관한 고주파 전력 증폭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전력 증폭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동일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의 반복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고주파 전력 증폭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트랜지스터 Tr1은, 외부에서 입력된 고주파신호를 증폭한다. 트랜지스터 Tr2은, 트랜지스터 Tr1의 출력 신호를 증폭한다. 트랜지스터 Tr3은, 트랜지스터 Tr1과 병렬로 접속되고, 외부에서 입력된 고주파신호를 증폭한다.
입력 정합회로 M1은, 트랜지스터 Tr1, Tr3의 각각의 입력 임피던스를 특성 임피던스에 정합시킨다. 단간(inter-stage) 정합회로 M2는, 트랜지스터 Tr1의 출력임피던스와 트랜지스터 Tr2의 입력 임피던스를 정합시킨다. 프리매칭회로 M3은, 트랜지스터 Tr3의 출력 임피던스를 특성 임피던스에 정합시킨다. 출력 정합회로 M4는, 트랜지스터 Tr1, Tr2, Tr3의 출력 임피던스를 특성 임피던스에 정합시킨다.
트랜지스터 Tr1의 출력과 트랜지스터 Tr2의 입력 사이에 전환 소자 SW1이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Tr3의 출력과 전환 소자 SW1 사이에 전환 소자 SW2이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Tr1의 출력 및 전환 소자 SW2와 트랜지스터 Tr2의 출력 사이에 전환 소자 SW3, SW4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전환 소자 SW3과 전환 소자 SW4 사이에 커패시터 C1이 접속되어 있다. 커패시터 C1의 일단은, 전환 소자 SW3과 전환 소자 SW4의 접속점에 접속되어 있다. 커패시터 C1의 타단은 접지되어 있다. 이 커패시터 C1은, 트랜지스터 Tr1, Tr2의 출력 임피던스를 특성 임피던스에 정합시키는 프리매칭회로이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전력 증폭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17dBm 이상의 대전력 출력을 얻는 경우에는, 전환 소자 SW1은 온, 전환 소자 SW2, SW3, SW4는 오프되어, 경로 1이 유효해진다. 트랜지스터 Tr3은 오프된다. 입력 단자 IN에 입력된 신호를 트랜지스터 Tr1이 증폭하고, 트랜지스터 Tr1의 출력 신호를 트랜지스터 Tr2가 증폭하여, 출력 단자 OUT로부터 출력시킨다.
7?17dBm의 중 전력 출력을 얻는 경우에는, 전환 소자 SW1, SW2는 오프, 전환 소자 SW3, SW4는 온되어, 경로 2가 유효해진다. 트랜지스터 Tr2, Tr3은 오프된다. 입력 단자 IN에 입력된 신호를 트랜지스터 Tr1이 증폭하여, 출력 단자 OUT로부터 출력시킨다.
7dBm 이하의 소 전력 출력을 얻는 경우에는, 전환 소자 SW1은 오프, 전환 소자 SW2, SW3, SW4은 온되어, 경로 3이 유효해진다. 트랜지스터 Tr1, Tr2는 오프된다. 입력 단자 IN에 입력된 신호를 트랜지스터 Tr3이 증폭하여, 출력 단자 OUT로부터 출력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패시터 C1을 사용한 프리매칭회로가, 전환 소자 SW3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경로 2 및 경로 3이 유효해지도록 하는 경로 전환과 동시에, 커패시터 C1을 사용한 임피던스 정합의 전환도 행할 수 있다. 이 결과, 회로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고주파 전력 증폭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커패시터 C1의 일단은 전환 소자 SW3에 접속되고, 커패시터 C1의 타단은 전환 소자 SW4에 접속되어 있다. 즉, 프리매칭회로에 있어서, 커패시터 C1이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같다.
종래에는 전환 소자와 커패시터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었기 때문에, 직렬 성분의 소자는 사용할 수 없었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리매칭회로가 전환 소자 SW3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직렬로 접속된 커패시터 C1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실시형태 1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형태 3.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관한 고주파 전력 증폭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환 소자 SW3과 전환 소자 SW4 사이에 있어서, 커패시터 C1에 직렬로 인덕터 L1이 접속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같다. 이에 따라, 경로 2 및 경로 3의 임피던스 정합의 자유도가 증가하여, 트랜지스터 Tr1, Tr3의 동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4.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관한 고주파 전력 증폭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트랜지스터 Tr2의 출력과 커패시터 C1 사이에 있어서 전환 소자 SW4에 병렬로 커패시터 C2가 접속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같다. 이 커패시터 C2는 대전력 출력 동작시에 있어서만 작용하는 프리매칭회로로 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 Tr2의 포화 출력 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5.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관한 고주파 전력 증폭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트랜지스터 Tr2의 출력과 접지점 사이에 전환 소자 SW5 및 커패시터 C3이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Tr2와 제4 전환 소자 사이에 인덕터 L2가 접속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형태 2와 같다. 이에 따라, 경로 2 및 경로 3의 임피던스 정합을 2단계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트랜지스터 Tr1의 동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표 1은, 17dBm의 중 출력 전력시에 있어서, 종래의 고주파 전력 증폭기의 동작 효율과 실시형태 5에 관한 고주파 전력 증폭기의 동작 효율을 나타낸 비교표이다. 표 1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실시형태 5에서는 종래기술에 비해 동작 효율이 3% 향상된다.
17dBm 출력시의 동작 효율
종래의 고주파 전력 증폭기 17%
실시예 5에 관한 고주파 전력 증폭기 20%
C1 커패시터(제1 커패시터)
C2 커패시터(제2 커패시터)
C3 커패시터(제3 커패시터)
L1 인덕터
SW1 전환 소자(제1 전환 소자)
SW2 전환 소자(제2 전환 소자)
SW3 전환 소자(제3 전환 소자)
SW4 전환 소자(제4 전환 소자)
SW5 전환 소자(제5 전환 소자)
Tr1 트랜지스터(제1 트랜지스터)
Tr2 트랜지스터(제2 트랜지스터)
Tr3 트랜지스터(제3 트랜지스터)

Claims (6)

  1. 외부에서 입력된 고주파신호를 증폭하는 제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는 제2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트랜지스터와 병렬로 접속되고, 외부에서 입력된 고주파신호를 증폭하는 제3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출력과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입력 사이에 접속된 제1 전환 소자와,
    상기 제3 트랜지스터의 출력과 상기 제1 전환 소자 사이에 접속된 제2 전환 소자와,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출력 및 상기 제2 전환 소자와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출력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제3 및 제4 전환 소자와,
    상기 제3 전환 소자와 상기 제4 전환 소자 사이에 접속된 제1 커패시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력 증폭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일단은, 상기 제3 전환 소자와 상기 제4 전환 소자의 접속점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커패시터의 타단은 접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력 증폭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일단은 상기 제3 전환 소자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커패시터의 타단은 상기 제4 전환 소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력 증폭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전환 소자와 상기 제4 전환 소자 사이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패시터에 직렬로 접속된 인덕터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력 증폭기.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출력과 상기 제1 커패시터 사이에 있어서 상기 제4 전환 소자에 병렬로 접속된 제2 커패시터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력 증폭기.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출력과 접지점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제5 전환 소자 및 제3 커패시터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력 증폭기.
KR1020120049017A 2011-05-19 2012-05-09 고주파 전력 증폭기 KR1013472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12224 2011-05-19
JP2011112224A JP5655704B2 (ja) 2011-05-19 2011-05-19 高周波電力増幅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767A true KR20120129767A (ko) 2012-11-28
KR101347223B1 KR101347223B1 (ko) 2014-01-03

Family

ID=47155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9017A KR101347223B1 (ko) 2011-05-19 2012-05-09 고주파 전력 증폭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19795B2 (ko)
JP (1) JP5655704B2 (ko)
KR (1) KR101347223B1 (ko)
CN (1) CN102790591B (ko)
TW (1) TWI4746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17196B2 (en) 2010-06-07 2013-04-09 Skyworks Solution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irectional coupling
JP2013197599A (ja) * 2012-03-15 2013-09-30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力増幅器
JP6206698B2 (ja) * 2012-12-19 2017-10-0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力増幅器
WO2014170955A1 (ja) * 2013-04-16 2014-10-23 三菱電機株式会社 高効率電力増幅器
JP5900756B2 (ja) * 2014-02-28 2016-04-0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力増幅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6A (en) * 1849-01-09 Cast-iron car-wheel
US10032A (en) * 1853-09-20 Improvement in seed-planters
JP3444653B2 (ja) 1994-06-09 2003-09-08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増幅器
US5661434A (en) 1995-05-12 1997-08-26 Fujitsu Compound Semiconductor, Inc. High efficiency multiple power level amplifier circuit
JPH118560A (ja) * 1997-04-25 1999-01-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送信出力制御回路及び送信出力制御方法
US6865399B2 (en) * 2000-10-26 2005-03-08 Renesas Technology Corp. Mobile telephone apparatus
JP2002271152A (ja) * 2001-03-08 2002-09-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力増幅器及びこの電力増幅器を搭載した携帯電話機
JP3877558B2 (ja) * 2001-09-11 2007-02-07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高周波電力増幅器、高周波電力増幅器モジュール及び携帯電話機
JP2003347942A (ja) 2002-05-28 2003-12-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送信電力制御装置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KR100651159B1 (ko) * 2002-06-01 2006-11-29 김송강 고효율 전력 증폭기
JP2006270923A (ja) * 2005-02-25 2006-10-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力増幅器およびポーラー変調システム
US7821334B2 (en) * 2006-04-27 2010-10-26 Nec Electronics Corporation Amplification circuit
CN101162928A (zh) 2006-10-13 2008-04-1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高频功率放大器
JP2008118624A (ja) 2006-10-13 2008-05-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周波電力増幅装置
TWI346449B (en) * 2007-08-16 2011-08-01 Ind Tech Res Inst Power amplifier circuit for multi-frequencies and multi-mode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01478291A (zh) * 2008-10-24 2009-07-08 锐迪科微电子(上海)有限公司 射频功率放大器电路和射频功率放大方法
US8102205B2 (en) 2009-08-04 2012-01-24 Qualcomm, Incorporated Amplifier module with multiple operating modes
JP5397307B2 (ja) * 2010-04-26 2014-01-22 三菱電機株式会社 高周波電力増幅器
US8269561B1 (en) * 2011-05-10 2012-09-18 Samsung Electro-Mechanics Systems and methods for CMOS power amplifiers with power mode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244384A (ja) 2012-12-10
TWI474613B (zh) 2015-02-21
CN102790591B (zh) 2016-03-30
JP5655704B2 (ja) 2015-01-21
TW201251310A (en) 2012-12-16
US8519795B2 (en) 2013-08-27
CN102790591A (zh) 2012-11-21
US20120293257A1 (en) 2012-11-22
KR101347223B1 (ko) 201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76766A1 (zh) 一种抑制谐波与杂散的射频功率放大器、芯片及通信终端
CN109088609B (zh) 利用共享的共基极偏置的功率放大方法
US10483928B2 (en) Power amplification module
KR101347223B1 (ko) 고주파 전력 증폭기
JP2012165435A (ja) 2段のマイクロ波のe級電力増幅器
JP5397307B2 (ja) 高周波電力増幅器
KR20020038569A (ko) 다단 증폭기
US9716471B2 (en) Quasi-switched, multi-band, high-power amplifier and method
WO2017008750A1 (zh) 一种用于gsm/dcs的共源共栅射频功率放大器
Yamashita et al. A CMOS class-E power amplifier of 40-% PAE at 5 GHz for constant envelope modulation system
US8704600B2 (en) Power amplifier
US8378744B2 (en) Multi-mode power amplifier
US20220085770A1 (en) Dual-mode power amplifier with switchable operating frequencies
CN214281338U (zh) 功率放大模块
KR20120125811A (ko) 전력 증폭기
TWI710211B (zh) 功率放大模組
US9692369B2 (en) Low-noise amplifier having high linearity for multi-band
KR20130007456A (ko) 전력증폭기
JP2016015708A (ja) 多段電力増幅器
US11437965B2 (en) Variable gain amplifi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N118117976A (zh) 双路噪声消除模块、低噪声放大器和芯片及设备
WO2014076797A1 (ja) 可変出力増幅器
Sung et al. A two-stage cascode class F CMOS power amplifier for Bluetooth
JP2007221308A (ja) 電力増幅器及び高周波通信装置
US20140266463A1 (en) Linear amplifier arrangement for high-frequency sign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