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9123A - 드롭퍼 클램프 - Google Patents

드롭퍼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9123A
KR20120129123A KR1020110047184A KR20110047184A KR20120129123A KR 20120129123 A KR20120129123 A KR 20120129123A KR 1020110047184 A KR1020110047184 A KR 1020110047184A KR 20110047184 A KR20110047184 A KR 20110047184A KR 20120129123 A KR20120129123 A KR 20120129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pper
wire
nut member
clamp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7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0255B1 (ko
Inventor
김철우
Original Assignee
김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우 filed Critical 김철우
Priority to KR1020110047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0255B1/ko
Publication of KR20120129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9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0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0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suspending trolley wires, e.g. from buildings
    • B60M1/24Clamps; Splicers; Anchor t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0Quick-acting fastenings; Clamps holding in one direction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가선에 전차선, 전력선, 통신선 등의 케이블을 일정한 장력과 수평을 유지하면서 연결 지지하는 드롭퍼에서 드롭퍼선을 조가선에 클램핑시키는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가 간이 신속하여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인건비가 절감되고, 유지보수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구성이 간단하여 원가가 절감하고, 재사용이 가능하여 자원낭비를 예방할 수 있는 드롭퍼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롭퍼 클램프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조가선에 삽입되는 삽입홈과,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외주연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을 포함하는 볼트부재; 상기 볼트부재의 나사산에 스크류결합되어,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승하강하는 너트부재; 상기 너트부재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볼트부재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드롭퍼선이 삽입 관통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너트부재가 상기 볼트부재의 몸체를 따라 승강되면, 상기 조가선과 드롭퍼선이 상기 볼트부재의 삽입홈 내벽에 가압 밀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드롭퍼 클램프{Clamp for dropper}
본 발명은 조가선에 전차선, 전력선, 통신선 등의 케이블을 일정한 장력과 수평을 유지하면서 연결 지지하는 드롭퍼에서 드롭퍼선을 조가선에 클램핑시키는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가 간이 신속하여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인건비가 절감되고, 유지보수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구성이 간단하여 원가가 절감하고, 재사용이 가능하여 자원낭비를 예방할 수 있는 드롭퍼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전기열차에 전기를 공급해주는 전차선, 발전소에서 생상되는 전력을 소비지까지 전송하는 전력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선 등의 케이블은 인장 강도가 낮기 때문에 전주와 전주 사이를 직접 연결하면, 자중과 바람에 의한 흔들림 등에 의해 손상될 위험이 크다.
그래서 이러한 케이블은 조가선이라고 하는 인장강도가 높은 강선을 전주와 전주 사이를 연결한 후에, 드롭퍼로 조가선에 일정간격으로 연결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케이블을 조가선에 연결 지지하는 드롭퍼는 조가선과 케이블을 연결하는 드롭퍼선과, 드롭퍼선의 양단을 각각 조가선과 케이블에 클램핑시키는 클램프로 구성된다.
도1a,b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드롭퍼와, 클램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1에 도시되어 있는 종래기술에 따른 드롭퍼 클램프(100)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걸림쇠(10)와 물림쇠(20), 그리고 상기 걸림쇠(10)와 물림쇠(20)을 체결하는 볼트(30)와 너트(4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에 따른 드롭퍼 클램프(100)는 구성요소가 많으므로 제조원가가 상승하고,
걸림쇠(10)와 자물쇠(20)를 상호 체결함에 있어서,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공(12, 22)을 일치시키고, 일치된 두 볼트공(12, 22)에 볼트(30)를 관통시키고, 너트(40)로 관통된 볼트(30)의 단부를 조여야 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체결에 많인 시간이 소요되고, 그에 따라 인건비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조가선과 케이블(도면에서는 전차선)에 클램프(100)를 클램핑시켜 결합시키고 나서 드롭퍼선(101)을 양측의 클램프(100)에 각각 연결시키는 작업에 있어서, 드롭퍼선(101)의 일측 단부를 걸림쇠(10)(또는 물림쇠(20))에 삽입 관통시키고 하부(또는 상부) 방향으로 접어 드롭퍼선(101) 내측에 접촉시킨 후에 슬리브 등을 이용하여 접촉 부위를 압착시켜 연결 고정시키고, 다시 타측 단부를 물림쇠(20)에 삽입 관통시키고 슬리브로 연결 고정시키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드롭퍼선(101)의 연결 방식에서는 처음에 드롭퍼선(101)을 클램프(100)에 연결 고정시킬 때에는 별다른 장애가 없지만 나중에 연결 고정시킬 때에는 전차선의 하중을 지탱하면서 드롭퍼선(101)을 클램프(100)에 연결 고정시켜야 하는 장애가 있고,
이러한 장애로 인해 조가선과 전차선의 길이 조절, 즉, 드롭퍼선(101)의 길이 조절을 정밀하게 하기 어렵고, 드롭퍼선(101)의 단부를 내측에 슬리브로 압착시키는 작업도 어렵다.
또한, 클램프(100)와 드롭퍼선(101)을 일단 설치한 후에는 다시 기 설치되어 있는 드롭퍼선(101)의 길이 조절을 하기 어렵고, 기 설치되어 있는 드롭퍼선을 제거한 후에 새로운 드롭퍼선을 다시 양측(100) 클램프에 연결하여 길이를 조절하여야 한다. 그에 따라 설치 작업 시간이 오래 소요되고, 자원의 낭비를 초래한다.
그리고 설치 후 장기간이 경과하면 볼트(30)와 너트(40)의 결합력이 서서히 약해져, 너트(40)가 풀림 방향으로 회전되고, 그에 따라 걸림쇠(10) 또는 잠금쇠(20)가 조가선 또는 전차선을 압착하는 힘이 약해져 클램프(100)가 조가선 또는전차선을 따라 유동될 소지가 큰데,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이를 예방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문제가 있다.
도2a,b에는 또 다른 종래기술에 따른 드롭퍼가 도시되어 있다.
도2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따른 클램프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조가선(또는 전차선)의 양측을 각각 감싸는 몸체A(30 or 10)와 몸체B(40 or 20), 몸체A(30 or 10)에 구비되고 드롭퍼선(7)의 단부가 삽입된 후 압착되어 드롭퍼선이 고정 연결되는 가압체(32 or 12), 몸체A(30 or 10)와 몸체B(40 or 20)에 삽입 관통하여 체결되어 조가선에 고정시키는 볼트(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종래기술은 현장에서 드롭퍼선(7)을 미리 정확한 길이로 재단해야 한다. 즉, 기준 길이 보다 짧게 재단이 된 것을 폐기하고, 기준 길이 보다 길게 재단이 된 것은 다시 재단하여 기준 길이에 정확하게 맞추어야 하는 불편이 있다.
그리고 드롭퍼선(7)의 단부를 가압체(32 or 12)에 삽입 후 압착시킨 후에는 이를 다시 원상태로 분리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처음 설치시에 신중을 기하여 설치해야 하고, 설치에 하자가 있는 때에는 설치된 클램프 전체를 폐기하고 새로운 클램프로 재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설치 시간이 상당히 많이 소요되고, 낭비되는 자재가 상당하게 발생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드롭퍼 클램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구성을 간소화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간이 신속한 설치가 되도록 하여 설치시간을 단축과 인건비를 절감하고, 드롭퍼선의 길이 조절이 어느때라도 간편하게 그리고 정밀하게 행해질 수 있어 폐기되는 자재가 없으며 유지보수의 효율성이 높고, 설치 후 장기간이 경과하여도 조가선에의 결합력이 약해지지 아니하는 드롭퍼 클램프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드롭퍼 클램프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조가선에 삽입되는 삽입홈과,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외주연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을 포함하는 볼트부재;
상기 볼트부재의 나사산에 스크류결합되어,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승하강하는 너트부재;
상기 너트부재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볼트부재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드롭퍼선이 삽입 관통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너트부재가 상기 볼트부재의 몸체를 따라 승강되면, 상기 조가선과 드롭퍼선이 상기 볼트부재의 삽입홈 내벽에 가압 밀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재 바디의 상부에는
상기 조가선의 하부 외주연을 지지하는 지지홈과,
상기 지지홈 및 관통공과 연결되고, 상기 드롭퍼선이 관통되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가압부재의 바디 외면에는 절곡되어 상기 너트부재의 외면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너트부재의 회전을 제한하여 상기 볼트부재에서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편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가압부재의 바디 외면에는 상기 너트부재 내부로 삽입된 후에 외측으로 젖혀져 상기 너트부재 표면에 걸림으로써,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너트부재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롭퍼 클램프는 구성요소가 적고, 구성요소들의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가 작으므로 제조원가를 최소화할 수 있고,
조가선과 드롭퍼선을 연결 설치하는 작업이 간편하고 신속하므로 설치시간을 단축하고,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드롭퍼선의 길이 조절은 어느 때라도 간편하게 가능하고, 길이 조절을 위해 폐기해야 하는 구성요소도 없고, 재사용도 가능하므로, 유지보수의 효율성이 높고 불필요한 자재의 낭비가 없고,
설치 후 장기간이 경과하여도 결합력이 약해지지 아니하므로, 유지보수의 횟수를 줄일 수 있는 드롭퍼 클램프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드롭퍼와 클램프의 사시도.
도 2 는 또 다른 종래기술에 따른 드롭퍼와 클램프의 사시도와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가 사용된 드롭퍼의 설치 상태도.
도 4 는 도3에 도시된 드롭퍼의 분해 사시도.
도 5 는 도3에 도시된 클램프의 단면도.
이하,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드롭퍼 클램프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로, 이하에서 본 발명의 클램프에 사용되는 도면부호는 도1 및 도2의 종래기술에 따른 클램프에 사용된 도면부호와 무관함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롭퍼 클램프(C)는 볼트부재(10), 너트부재(20), 가압부재(30)라는 대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볼트부재(10)는 일반적인 볼트와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너트부재(20)는 일반적인 너트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볼트부재(10)는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하부에서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삽입홈(13)과, 상기 삽입홈(13)이 위치하는 상기 몸체(11)의 길이방향 외주연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13)은 조가선(1)에 삽입되어 걸린다.
상기 너트부재(20)는 상기 볼트부재(10)의 나사산(15)에 스크류결합되어, 상기 몸체(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하강한다.
상기 가압부재(30)는 상기 너트부재(20) 내부에 배치되는 바디(31)와, 상기 바디(31)의 중앙에서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홀(32)과, 상기 관통홀(32)과 연결되고 상기 바디(31)의 상부에서 전후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안착홈(33)과, 상기 안착홈(33)과 연결되고 상기 바디(31)의 상부면에서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지지홈(34)과, 상기 바디(31)의 상하부에서 각각 돌출 형성되고 절곡되는 회전방지편(35)과 이탈방지편(3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부재(30)의 바디(31)는 상기 너트부재(20)의 내경에 상응하는 전후 길이를 가져 너트부재(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배치되는 삽입부(31b)와, 상기 삽입부(31b)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너트부재(20)의 외경에 상응하는 전후 길이를 가져 너트부재(20) 상부면에 걸리는 걸림부(31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관통홀(32)은 상기 바디(31)의 중앙에서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드롭퍼선(5)이 하부에서 상부로 삽입 관통된다.
상기 관통홀(32)의 하단과, 상기 안착홈(33)과 연결되는 상단의 주변은 드롭퍼선(5)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유도하고, 길이 조절을 위한 드롭퍼선(5)의 전후진이 용이하게 행해지도록 라운드진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착홈(33)은 상기 관통홀(32)과 연결되고, 상기 바디(31)의 걸림부(31a)에서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33)은 상기 드롭퍼선(5)이 삽입 관통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드롭퍼선(5)의 외경에 상응하는 내경을 갖되, 드롭퍼선(5)의 전후진이 용이하도록 드롭퍼선(5)의 외경 보다 조금 더 큰 내경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안착홈(33)은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지지홈(34)과 연결된다.
상기 지지홈(34)은 상기 바디(31)의 상부면이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가선(1)의 하부 외주연을 감싸 접촉 지지하도록 라운드지고, 상기 안착홈(33)과 연결되어 상기 조가선(1)과 드롭퍼선(5)이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편(35)은 상기 바디(31)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너트부재(20)가 승강하여 상기 드롭퍼선(5)과 조가선(1)을 가압 밀착시켜 고정시킨 후에 절곡되어 상기 너트부재(20)의 외면에 접촉되어 걸림으로써, 너트부재(20)의 회전을 방지한다.
그리하여 설치 후 장기간이 경과 하여도 너트부재(20)가 회전하여 볼트부재(10)의 몸체(11) 길이방향으로 하강하지 아니하므로, 너트부재(20)가 조가선(1)과 드롭퍼선(5)을 가압하여 밀착 고정시키는 조임력이 약해져 풀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회전방지편(35)은 상기 바디(31)의 걸림부(31a) 하단에서, 그리고 전후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서 수평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하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너트부재(20) 외면에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너트부재(20)의 외면은 다각형(일반적으로 육각형) 구조로 이루어져, 직경이 짧은 부분과 긴 부분이 상존하고, 상기 회전방지편(35)은 절곡되어 직경이 짧은 부분에 접촉되어 너트부재(20)의 회전을 방지한다.
상기 이탈방지편(36)은 상기 바디(31)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바디(31)가 상기 너트부재(20)의 내부로 삽입된 후에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너트부재(20)의 표면에 걸림으로써, 상기 가압부재(30)가 너트부재(20)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이탈방지편(36)은 상기 바디(31)의 삽입부(31b) 하단에서, 그리고 전후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너트부재(20)의 내부에 삽입된 후에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너트부재(20)의 하부면에 걸려, 상기 가압부재(30)가 상기 너트부재(20)에서 상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참고로, 상기 가압부재(30)가 상기 너트부재(20)에서 하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은 상기 바디(31)의 걸림부(31a)와 회전방지편(35)이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C)를 이용하여 드롭퍼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전차선(3)에 클램프(7)을 결합시킨다. 전차선(3)에 결합되는 클램프(7)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C)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드롭퍼선(5)의 길이 조절은 조가선(1) 측에서 하면 되므로, 다른 종류의 클램프(7)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압착부(8)를 갖는 클램프(7)를 도시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드롭퍼선(5)의 일측 단부를 전차선(3)에 결합된 클램프(7)의 압착부(8) 내부로 삽입시킨 후에, 압착부(8) 외면을 압착하여 드롭퍼선(5)의 일측을 전차선(3)에 결합된 클램프(7)에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드롭퍼선(5)의 타측 단부를 상기 가압부재(30)의 관통홀(32)로 삽입 관통시키고, 관통되어 상부로 노출된 드롭퍼선(5)을 젖혀 상기 바디(31)의 안착홈(33)에 삽입 안착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볼트부재(10)를 상기 조가선(1)에 걸림 결합시키고, 상기 가압부재(3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드롭퍼선(5)이 연결되어 있는 상기 너트부재(20)를 상기 볼트부재(10)에 예비로 스크류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드롭퍼선(5)을 전진방향 또는 후진방향으로 잡아당겨 드롭퍼선(5)의 길이, 즉, 드롭퍼선(5)이 지지되어 연결되는 상기 조가선(1)과 전차선(3)의 거리를 정밀하게 조절한 후에, 상기 너트부재(20)를 상기 볼트부재(10)에 승강시켜 조인다.
상기 너트부재(20)가 승강하여, 상기 볼트부재(10)의 삽입홈(13) 내벽에 상기 조가선(1)과 드롭퍼선(5)이 가압 밀착되어 고정되면, 상기 회전방지편(35)을 절곡시켜 너트부재(20) 외면에 접촉시킴으로서, 상기 너트부재(20)가 자연적으로 회전하여 하강되지 아니하도록 함으로써, 드롭퍼의 설치가 완료된다.
그리고 설치 완료 후에, 드롭퍼선(5)의 길이를 재조정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이탈방지편(36)을 젖혀 상기 너트부재(20)가 회전 가능하도록 한 후에,
상기 너트부재(20)를 회전시켜 상기 볼트부재(10)의 길이방향으로 하강시켜 상기 드롭퍼선(5)의 상기 조가선(1)의 가압 밀착력을 해제한 후에,
상기 드롭퍼선(5)을 전진방향 또는 후진방향으로 잡아당겨 길이를 조절한 후에,
상기 너트부재(20)를 승강시켜 상기 볼트부재(10)의 삽입홈(13) 내벽에 상기 조가선(1)과 드롭퍼선(5)이 가압 밀착시켜 고정시키고, 회전방지편(35)을 절곡시켜 너트부재(20) 외면에 접촉시키면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드롭퍼 클램프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조가선 3 : 전차선
5 : 드롭퍼선 C : 클램프
10 : 볼트부재 11 : 몸체
13 : 삽입홈 15 : 나사산
20 : 너트부재 30 : 가압부재
31 : 바디 32 : 관통홀
33 : 안착홈 34 : 지지홈
35 : 회전방지편 36 : 이탈방지편

Claims (4)

  1.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조가선에 삽입되는 삽입홈과,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외주연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을 포함하는 볼트부재;

    상기 볼트부재의 나사산에 스크류결합되어,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승하강하는 너트부재;

    상기 너트부재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볼트부재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드롭퍼선이 삽입 관통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너트부재가 상기 볼트부재의 몸체를 따라 승강되면, 상기 조가선과 드롭퍼선이 상기 볼트부재의 삽입홈 내벽에 가압 밀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롭퍼 클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 바디의 상부에는
    상기 조가선의 하부 외주연을 지지하는 지지홈과,
    상기 지지홈 및 관통공과 연결되고, 상기 드롭퍼선이 관통되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롭퍼 클램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바디 외면에는 절곡되어 상기 너트부재의 외면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너트부재의 회전을 제한하여 상기 볼트부재에서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편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롭퍼 클램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바디 외면에는 상기 너트부재 내부로 삽입된 후에 외측으로 젖혀져 상기 너트부재 표면에 걸림으로써,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너트부재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롭퍼 클램프.
KR1020110047184A 2011-05-19 2011-05-19 드롭퍼 클램프 KR101230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184A KR101230255B1 (ko) 2011-05-19 2011-05-19 드롭퍼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184A KR101230255B1 (ko) 2011-05-19 2011-05-19 드롭퍼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123A true KR20120129123A (ko) 2012-11-28
KR101230255B1 KR101230255B1 (ko) 2013-02-06

Family

ID=47513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7184A KR101230255B1 (ko) 2011-05-19 2011-05-19 드롭퍼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02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050B1 (ko) * 2020-02-03 2020-05-06 임칠호 내진 와이어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9566B1 (ko) * 2019-06-05 2021-06-03 한국전력공사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6504A (en) * 1983-05-03 1986-10-14 Duncan Electronics Throttle position sensor
GB0416008D0 (en) 2004-07-16 2004-08-18 Multiclip Company Ltd Dropper
KR100938752B1 (ko) * 2007-12-07 2010-01-26 한국철도공사 전차선로 균압 드롭퍼
KR200452645Y1 (ko) * 2009-04-16 2011-03-14 한국철도공사 전차선로용 드롭퍼 클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050B1 (ko) * 2020-02-03 2020-05-06 임칠호 내진 와이어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0255B1 (ko) 201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2716B2 (en) Adjustable clamping device
CN202127205U (zh) 电缆快速固定卡具
KR102104667B1 (ko) 전선케이블 고정클램프
JP2010118264A (ja) 引下線用コネクタ
KR102333251B1 (ko)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KR101087740B1 (ko) 원터치형 접지금구용 클램프
KR101230255B1 (ko) 드롭퍼 클램프
CN206628654U (zh) 网线连接加固装置
KR102040544B1 (ko) 송배전 및 변전용 케이블 클램핑 장치
CN109038434B (zh) 一种楔形直通耐张线夹
KR20150019193A (ko) 전차선로용 드로퍼 클램프
KR102117071B1 (ko) 전선 접속장치
CN206041400U (zh) 线缆承载装置
JP5118329B2 (ja) 緊線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バーニア金具
JP2015142399A (ja) 耐張クランプ
KR200478092Y1 (ko) 송전선 고정장치
CN115247666A (zh) 一种抱箍及分纤箱及使用方法
KR20100013066U (ko) 용접장치용 전선케이블 결합구조
CN201141416Y (zh) 一种螺栓压接线夹
JP5172396B2 (ja) 電力ケーブル用プーリングアイ
CN105958239A (zh) 一种输电线路防脱接地线
CN201294677Y (zh) 印刷板电线穿线结构
JP5697035B2 (ja) 楔型引留クランプ
CN201884382U (zh) 一种金属管连接结构
JP2008245432A (ja) 腕金の補強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