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3066U - 용접장치용 전선케이블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용접장치용 전선케이블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3066U
KR20100013066U KR2020090008175U KR20090008175U KR20100013066U KR 20100013066 U KR20100013066 U KR 20100013066U KR 2020090008175 U KR2020090008175 U KR 2020090008175U KR 20090008175 U KR20090008175 U KR 20090008175U KR 20100013066 U KR20100013066 U KR 201000130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wire
fixing
insertion hole
wel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81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형익
안종철
Original Assignee
전형익
안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형익, 안종철 filed Critical 전형익
Priority to KR20200900081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3066U/ko
Publication of KR201000130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06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Bases or cases for heavy duty; Bases or cases for high voltage with means for preventing corona or arcing

Landscapes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선케이블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용접전류를 안정적으로 공급함과 아울러 전기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용접장치용 전선케이블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용접장치용 전선케이블 결합구조{Current cable connecting structure for welding machine}
본 고안은 용접장치용 전선케이블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선케이블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감전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전선케이블을 한층 더 견고하게 연결하여 용접전류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용접장치용 전선케이블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용접장치용 전선케이블 결합구조는 내부에 삽입공(2)이 형성되고, 이 삽입공(2)의 내부에 고정부재(6)가 형성된 전선소켓(1)과, 이 삽입공(2)에 끼워지게 체결돌부(4)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6)에 걸려지는 고정홈(5)이 형성된 전선플러그(3)와, 상기 전선플러그(3)의 내부에 배치된 전선을 고정하는 체결수단(7)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선플러그(3)에는 전선을 밀착,고정시키는 고정돌기(8)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전선플러그(3)의 고정돌기(8)에 전선을 배치한 후, 상기 체 결수단(7)을 조여서 상기 전선소켓(1)과 전선플러그(3)에 전선이 밀착,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전선소켓(1)의 삽입공(2)에 상기 전선플러그(3)의 체결돌부(4)를 삽입한 후, 상기 전선플러그(3)를 일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전선플러그(3)의 고정홈(5)이 상기 전선소켓(1)의 고정부재(6)에 걸려져 고정된다.
이처럼 상기 전선플러그(3)에 연결된 전선이 꼬여지면서 상기 전선소켓(1)에 전선플러그(3)가 체결됨에 따라 상기 전선이 꼬여진 상태에서 복원되려는 성질 및 외부충격 등에 의해 상기 전선소켓(1)의 고정부재(6)에서 상기 전선플러그(3)의 고정홈(5)이 약간 풀려지게 되고, 이처럼 상기 전선소켓(1)과 전선플러그(3)의 연결부위에서 스파크가 발생됨에 따라 전류가 안정적으로 흐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전선소켓(1)과 전선플러그(3)의 부품을 자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류를 인가하는 전선케이블을 한층 더 견고하게 연결시켜 스파크의 발생을 줄여 용접전류가 안정적으로 공급함과 아울러 사용상에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용접장치용 전선케이블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용접장치용 케이블 결합구조는 내부에 삽입공이 형성되고, 이 삽입공의 내부에 고정부재가 형성된 전선소켓과, 이 삽입공에 끼워지게 체결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 걸려지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부에 구비되어 상기 삽입공의 내측면에 상기 체결돌부를 밀착,고정시키는 접지유도부가 설치된 전선플러그와, 상기 전선소켓에 설치되며 전선의 회전을 자연스럽게 하는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진 용접장치용 전선케이블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접지유도부는 체결돌부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이 체결공의 내측 하부에 고정너트가 체결되며, 이 체결공의 내측 상부에 일부가 노출되게 가압부재가 배치되고, 이 고정너트와 가압부재 사이에 탄성지지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용접장치용 전선케이블 결합구조는 전선소켓에 전선을 연결하는 체결수단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전선소켓과 전선플러그의 체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전선플러그측에 접지유도부를 설치하여 상기 전선소켓과 전선플러그의 연결이 견고하게 이루어져 스파크의 발생을 줄임으로써 용접전류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 을 이용하여 본 고안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 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선케이블 결합구조의 분리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선케이블 결합구조의 결합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용접장치용 전선케이블 결합구조는 내부에 삽입공(11)이 형성되고, 이 삽입공(11)의 내부에 고정부재(12)가 형성된 전선소켓(10)과, 이 삽입공(11)에 끼워지게 체결돌부(2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12)에 걸려지는 고정홈(22)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부(21)에 구비되어 상기 삽입공(11)의 내측면에 상기 체결돌부(21)를 밀착,고정시키는 접지유도부(30)가 설치된 전선플러그(20)와, 상기 전선소켓(10)에 설치되며 전선의 회전을 자연스럽게 하는 체결수단(4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선소켓(10)은 후면에 나사결합가능하게 결합홈(13)이 형성된다.
상기 접지유도부(30)는 체결돌부(21)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체결공(31)이 형성되고, 이 체결공(31)의 내측 하부에 고정너트(32)가 나사결합되며, 이 체결공(31)의 내측 상부에 일부가 노출되게 가압부재(33)가 배치되고, 이 고정너트(32)와 가압부재(33) 사이에 탄성지지되는 스프링(3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너트(32)는 드라이버에 의해 스프링(34)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후면에 '―' 자 또는 '+' 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가압부재(33)는 구 또는 반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체결수단(40)은 전선소켓(10)의 내측면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부(41)와, 이 체결부(41)의 후면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부(44)와, 이 고정부(44)에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부(48)와, 상기 체결부(41)와 연결부(48) 사이에 탄성지지되는 스프링(5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부(41)의 일측은 전선소켓(10)의 결합홈(13)에 나사결합되는 돌출편(42)이 형성되고, 타측은 내부에 나사결합가능하게 체결홈(43)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44)는 체결부(41)의 체결홈(43)에 나사결합되는 결합편(47)이 형성되고, 내부에 연통공(45)이 형성되며, 이 연통공(45)의 내측에 걸림턱(46)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48)는 일측 내부에 형성된 지지홈(49)과, 상기 고정부(44)의 연통공(45)에 삽입되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끼움면(50)과, 상기 고정부(44)의 걸림턱(46)에 걸려지는 지지턱(53)과, 전선의 커넥터에 결합되는 체결나사(51)로 이루어진다.
상기 끼움면(50)은 연통공(45)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이 연통공(45)의 내부에서 회전,유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용접장치용 전선케이블 결합구조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먼저 상기 전선소켓(10)에 체결수단(40)을 체결하게 되는데, 상기 전선소켓(10)의 결합홈(13)에 상기 체결부(41)의 돌출편(42)이 나사결합하고, 상기 연결부(48)의 끼움면(50)을 상기 고정부(44)의 연통공(45)에 삽입하면 상기 연결부(48)의 지지턱(53)이 상기 고정부(44)의 걸림턱(46)에 걸려지게 되고, 이어 상기 연결부(48)의 지지홈(49)에 상기 스프링(52)을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41)의 체결홈(43)에 상기 고정부(44)의 결합편(47)을 나사결합시키면 상기 체결부(41)의 체결홈(43)과 연결부(48)의 지지홈(49) 사이에 스프링(52)이 탄성지지되게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스프링(52)에 의해 상기 체결부(41)에 연결부(48)가 밀착,고정되지 않아 상기 고정부(44)의 연통공(45)을 따라 상기 연결부(48)가 회전가능한 것이다.
이어서 상기 전선플러그(20)의 체결돌부(21)에 상기 전선소켓(10)의 삽입공(11)을 끼우면 상기 체결돌부(21)의 고정홈(22)에 상기 고정부재(12)가 배치되고, 이어 상기 전선소켓(10)을 일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고정부재(12)가 회전되면서 상기 고정홈(22)에 걸려져 고정된다. 이처럼 상기 전선소켓(10)을 돌리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부(48)에 의해 전선이 꼬이지 않아 상기 전선소켓(10)과 전선플러그(20)의 체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상기 고정홈(22)에 고정부재(12)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접지유도부(30)의 스프링(34)에 의해 가압부재(33)가 상기 삽입공(11)의 내측면을 밀어, 상기 체결돌부(21)의 일면이 상기 삽입공(11)에 밀착,고정되어 스파크의 발생을 줄임으로써 용접전류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선케이블 결합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선케이블 결합구조의 분리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선케이블 결합구조의 결합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전선소켓 11: 삽입공
12: 고정부재 13: 결합홈
20: 전선플러그 21: 체결돌부
22: 고정홈 30: 접지유도부
31: 체결공 32: 고정너트
33: 가압부재 34: 스프링
40: 체결수단 41: 체결부
44: 고정부 48: 연결부

Claims (3)

  1. 내부에 삽입공(11)이 형성되고, 이 삽입공(11)의 내부에 고정부재(12)가 형성된 전선소켓(10)과, 이 삽입공(11)에 끼워지게 체결돌부(2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12) 걸려지는 고정홈(22)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부(21)에 구비되어 상기 삽입공(11)의 내측면에 상기 체결돌부(21)를 밀착,고정시키는 접지유도부(30)가 설치된 전선플러그(20)와, 상기 전선소켓(10)에 설치되며 전선의 회전을 자연스럽게 하는 체결수단(40)으로 이루어진 용접장치용 전선케이블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접지유도부(30)는 체결돌부(21)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체결공(31)이 형성되고, 이 체결공(31)의 내측 하부에 고정너트(32)가 체결되며, 이 체결공(31)의 내측 상부에 일부가 노출되게 가압부재(33)가 배치되고, 이 고정너트(32)와 가압부재(33) 사이에 탄성지지되는 스프링(3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장치용 케이블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40)은 전선소켓(10)의 일측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부(41)와, 이 체결부(41)의 후면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부(44)와, 이 고정부(44)에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부(48)와, 상기 체결부(41)와 연결부(48) 사이에 탄성지지되는 스프링(5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장치용 케이블 결합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48)는 일측 내부에 형성된 지지홈(49)과, 상기 고정부(44)의 내부에 삽입되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끼움면(50) 및 상기 고정부(44)의 조임동작에 의해 고정부(44)의 내부에 밀착,고정되는 지지턱(53)과, 전선의 커넥터에 결합되는 체결나사(5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장치용 케이블 결합구조.
KR2020090008175U 2009-06-24 2009-06-24 용접장치용 전선케이블 결합구조 KR2010001306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175U KR20100013066U (ko) 2009-06-24 2009-06-24 용접장치용 전선케이블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175U KR20100013066U (ko) 2009-06-24 2009-06-24 용접장치용 전선케이블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066U true KR20100013066U (ko) 2010-12-31

Family

ID=44485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8175U KR20100013066U (ko) 2009-06-24 2009-06-24 용접장치용 전선케이블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306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2261A1 (en) * 2012-04-05 2013-10-10 Molex Incorporated High power electrical connector
CN109116062A (zh) * 2018-09-11 2019-01-01 江苏鑫辉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西门子dp电缆检测装置接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2261A1 (en) * 2012-04-05 2013-10-10 Molex Incorporated High power electrical connector
CN104247167A (zh) * 2012-04-05 2014-12-24 莫列斯公司 高功率电连接器
US9425541B2 (en) 2012-04-05 2016-08-23 Molex, Llc High power electrical connector
TWI550979B (zh) * 2012-04-05 2016-09-21 摩勒克斯公司 高功率電連接器
CN104247167B (zh) * 2012-04-05 2017-03-08 莫列斯公司 高功率电连接器
CN109116062A (zh) * 2018-09-11 2019-01-01 江苏鑫辉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西门子dp电缆检测装置接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21465C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grounding mechanism
US9954315B2 (en) Grounding link for electrical connector mechanism
RU2449438C2 (ru) Кабельное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атареи
JP2010118264A (ja) 引下線用コネクタ
CN102420368A (zh) 连接器
KR20180051623A (ko) 차량 전원 시스템과 배터리 핀 간에 전기 연결을 위한 전기 접촉장치와 배터리 핀
JP5521469B2 (ja) 端子接続構造
KR200426811Y1 (ko) 와이어 하네스 설치용 지그
KR100882612B1 (ko) 지중매설형 특고압 배전선 커넥터
KR20100013066U (ko) 용접장치용 전선케이블 결합구조
KR101224847B1 (ko) 배전 선로의 분기 슬리브
KR20180081216A (ko) 아크 용접용 용접봉 홀더
CN202571627U (zh) 接地钳
KR200455405Y1 (ko) 전선 연결구
JP5609402B2 (ja) 端子接続構造
KR101663283B1 (ko) 단자부와 손잡이부가 이격된 배터리 점프 스타트 및 어스 단자용 케이블 연결 장치
KR101046444B1 (ko) 배터리 접속 케이블용 연결유닛
KR200444663Y1 (ko) 원터치 소켓을 구비한 용접기
JP4527577B2 (ja) 端子台及びこの端子台を備えたトランス
JP2009259419A (ja) コネクター
KR200412164Y1 (ko) 전기 용접기의 케이블 연결용 콘넥터
CN211929754U (zh) 便携式安装连接头及具有该连接头的家用电器
JP2009295350A (ja) 電線コネクタ
CN203250877U (zh) 电磁铁插头座接插件
KR101480102B1 (ko) 나사가 수용된 멀티 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