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7547A - Cu-Co-Si 계 구리 합금 압연판 및 그것을 사용한 전기 부품 - Google Patents

Cu-Co-Si 계 구리 합금 압연판 및 그것을 사용한 전기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7547A
KR20120127547A KR1020127028720A KR20127028720A KR20120127547A KR 20120127547 A KR20120127547 A KR 20120127547A KR 1020127028720 A KR1020127028720 A KR 1020127028720A KR 20127028720 A KR20127028720 A KR 20127028720A KR 20120127547 A KR20120127547 A KR 20120127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per alloy
mass
less
rolled shee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8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2931B1 (ko
Inventor
나오후미 마에다
Original Assignee
제이엑스 닛코 닛세키 킨조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엑스 닛코 닛세키 킨조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엑스 닛코 닛세키 킨조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27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7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9/00Alloys based on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9/00Alloys based on copper
    • C22C9/06Alloys based on copper with nickel or cobalt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08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copper or alloys bas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01B1/026Alloys based on copp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스 가공성, 굽힙 가공성 및 강도가 우수한 Cu-Co-Si 계 구리합금 압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Cu-Co-Si 계 구리 합금 압연판은, Co 를 0.5?3.0 질량%, Si 를 0.1?1.0 질량% 함유하고, 잔부가 Cu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X 선 회절법에 의해 판 표면으로부터 5 ㎛ 깊이까지의 결정 방위를 측정했을 때, {111} 정극점도 상의 α=0?10° (단,α:슐츠법에 규정된 회절용 고니오미터의 회전축에 수직인 축) 의 영역에 상당하는 전단 집합 조직의 극밀도가 1.5 이상 8 이하이다.

Description

Cu-Co-Si 계 구리 합금 압연판 및 그것을 사용한 전기 부품 {ROLLED SHEET OF CU-CO-SI COPPER ALLOY AND ELECTRICAL COMPONENT COMPRISING SAME}
본 발명은 강도와 도전성이 우수하고, 예를 들어 전자 기기용의 스프링재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는 구리 합금에 관한 것이다.
단자, 커넥터, 스위치, 릴레이 등의 전기?전자 기기용의 스프링재 (커넥터 용재) 에는 우수한 스프링 특성, 굽힘 가공성, 도전성이 요구되어, 종래부터 인청동 등이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전자 부품의 추가적인 소형화의 요청으로부터, 종래의 인청동이나 황동과 같은 고용 강화형 구리 합금 대신에, 코르손 합금, 베릴륨 구리 및 티탄 구리와 같은 석출 강화형 구리 합금이 개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코르손 합금은 강도와 도전율의 밸런스가 높은 점에서, 전자 부품으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단자나 커넥터 등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 구리 합금 소재로부터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되는데, 전자 부품의 소형화에 수반하여, 타발 (打拔) 후의 치수 정밀도가 중요하게 되어 있다.
상기한 전자 기기용 구리 합금의 프레스 가공성을 개선하는 기술로서, 구리 합금의 표면에 Cu 층을 덮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참조). 또, 구리 합금의 집합 조직의 방위를 규제함으로써, 프레스 가공성을 개선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2?4 참조).
특히, 프레스 가공에서 문제가 되는 늘어짐이나 버의 억제는, 종래부터 금형의 조정에 의해 대응되어 왔지만, 전자 부품의 치수 정밀도의 향상이 요구됨에 따라, 늘어짐이 작고 버가 낮은 재료가 요구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7288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186799호 일본 특허 제3800279호 일본 특허 제4009981호
그런데, 통상, 냉간 압연에 있어서 재료의 소성 변형에 수반하여, 결정 격자 회전이 진행되어 집합 조직이 형성되는데, 압연시에 롤과 접하는 재료의 표층 영역에서는, 재료 중앙부와는 상이한 집합 조직이 형성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것은, 재료 중앙부에서는, 판 두께 방향의 압축 응력과 압연 방향의 인장 응력에 의해 재료가 변형되어, 이른바 압연 집합 조직이 형성되는 데에 반해, 재료 표층부에서는, 롤과의 마찰력의 영향으로 재료가 전단 변형되어, 표면 집합 조직 (전단 집합 조직) 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발명자들이 검토한 결과, Cu-Co-Si 계 합금의 압연판에 있어서, 판 표면으로부터 5 ㎛ 의 깊이까지 전단 집합 조직의 극밀도를 높임으로써, 프레스 가공성이 대폭 향상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구리 합금 압연판의 경우, 전단 집합 조직의 극밀도가 높은 부분은, 판의 극표면에 한정되어, 프레스 가공성이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도 1 에, 본 발명의 구리 합금 압연판과 종래의 구리 합금 압연판의 전단 집합 조직의 극밀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종래의 구리 합금 압연에 있어서도, 판의 극표면의 전단 집합 조직의 극밀도는 1.5 이상이 되지만, 내부로 감으로써 극밀도가 급격하게 저하되어, 판 표면으로부터 5 ㎛ 의 깊이에서는 극밀도가 1.5 미만이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프레스 가공성, 굽힘 가공성 및 강도가 우수한 Cu-Co-Si 계 구리 합금 압연판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Cu-Co-Si 계 구리 합금 압연판은, Co 를 0.5?3.0 질량%, Si 를 0.1?1.0 질량% 함유하고, 잔부가 Cu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구리 합금 압연판으로서, X 선 회절법에 의해 판 표면으로부터 5 ㎛ 깊이까지의 결정 방위를 측정했을 때,{111}정극점도 (正極点圖) 상의 α=0?10° (단, α:슐츠법에 규정된 회절용 고니오미터의 회전축에 수직인 축) 의 영역에 상당하는 전단 집합 조직의 극밀도가 1.5 이상 8 이하이다.
추가로 Cr, Ni, Mg, Sn, Zn 및 Mn 의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합계 0.05?2.0 질량% 함유하고, 또한 Cr 을 0.3 질량% 이하, Ni 를 1 질량% 미만, Mg 를 0.2 질량% 이하, Sn 을 1 질량% 이하, Zn 을 1 질량% 이하, Mn 을 0.15 질량% 이하로 규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 표면의 10 점 평균 조도가 0.4?1.2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기 부품은, 상기 Cu-Co-Si 계 구리 합금 압연판을 사용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스 가공성, 굽힘 가공성 및 강도가 우수한 Cu-Co-Si 계 구리 합금 압연판이 얻어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구리 합금 압연판과 종래의 구리 합금 압연판의 전단 집합 조직의 극밀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Cu-Co-Si 계 구리 합금 압연판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 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질량% (중량%) 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조성)
[Co 및 Si]
구리 합금 압연판 중의 Co 의 농도를 0.5?3.0 % 로 하고, Si 의 농도를 0.1?1.0 % 로 한다. Co 및 Si 는, 구리 합금의 용해시에 고용되고, 용체화 처리 후에 열처리하여 시효 석출시킴으로써, Co 및 Si 를 주로 하는 금속간 화합물의 미세한 입자를 형성한다. 그 결과, 구리 합금의 강도가 현저하게 증가하고, 전기 전도도도 높아진다.
Co 의 농도가 0.5 % 미만이면, 구리 합금의 충분한 강도가 얻어지지 않고, 3.0 % 를 초과하면 열간 압연에서 균열이 발생한다. Si 의 농도가 0.1 % 미만이면, 구리 합금의 충분한 강도가 얻어지지 않고, 1.0 % 를 초과하면 도전성이 저하된다.
[Cr, Ni, Mg, Sn, Zn 및 Mn]
구리 합금 압연판 중에, 추가로 Cr, Ni, Mg, Sn, Zn 및 Mn 의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합계 0.05?2.0 % 함유해도 된다.
이들 원소의 합계가 0.05 % 미만이면, 이하에 나타내는 응력 완화 특성?열간 가공성?강도?내열성과 같은 구리 합금의 특성 개선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2.0 % 를 초과하면 도전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Mg 는 구리 합금의 응력 완화 특성 및 열간 가공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데, 0.05 % 미만에서는 상기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0.2 % 를 초과하면 주조성 (주물 표면 품질) 의 저하, 열간 가공성 및 도금 내열 박리성의 저하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Mg 의 농도는 0.05?0.2 % 인 것이 바람직하다.
Cr 은 열간 가공성을 개선하는 효과 및 강도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데, 0.05 % 미만에서는 상기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0.3 % 를 초과하면 도전성이 저하된다.
Ni 는 구리 합금의 강도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고, Ni 의 농도는 0.2 % 이상 1 % 미만이 바람직하다. Ni 가 0.2 % 미만이면 상기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1 % 를 초과하면 도전성이 저하된다.
Sn 및 Zn 은, 구리 합금의 강도 및 내열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고, 또한 Sn 은 구리 합금의 내응력 완화 특성을 개선하고, Zn 은 구리 합금의 Sn 도금시의 내열 박리성을 개선한다. Sn 의 농도는 0.2?1 % 인 것이 바람직하고, Zn 의 농도는 0.2?1 % 인 것이 바람직하다. Sn 이나 Zn 의 농도가 0.2 % 미만이면, 상기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1 % 를 초과하면 도전성이 저하된다.
Mn 은, 고용 강화에 의해 강도를 개선하는 효과에 더하여, 열간 가공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Mn 이 0.05 % 미만에서는 상기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0.15 % 를 초과하면 도전성이 저하되므로, Mn 의 농도는 0.05?0.15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단 집합 조직의 극밀도)
통상, 냉간 압연에 있어서, 재료의 소성 변형에 수반하여, 결정 격자 회전이 진행되어 집합 조직이 형성되는데, 압연시에 롤과 접하는 재료의 표층 영역과 재료 중앙부에서는 형성되는 집합 조직에 차이가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카미죠 등, 일본 금속 학회 잡지, p33, 36권, 1972년, 고큐 이사오 편, 「금속 소성 가공의 진보」, p499, 코로나사, 1978년). 이것은, 재료 중앙부에서는, 판 두께 방향의 압축 응력과 압연 방향의 인장 응력이 조합된 2 축 응력에 의해 재료가 변형되는 데에 반해, 재료 표층부에서는, 롤과의 마찰력의 영향으로 재료가 전단 변형되기 때문이고, 이것을 표면 집합 조직 (전단 집합 조직) 이라고 불러, 압연 집합 조직과 구별하고 있다. 예를 들어, Al 판에서는 최적 조건하에서, 판의 양면으로부터 판 두께의 30 % 씩 표면 집합 조직이 형성되고, 얇은 천이층에 의해 급격하게 내부 조직으로 바뀌는 것으로 판명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이 검토한 결과, 구리 합금 압연판에 있어서는, 제조 조건을 제어함으로써 표면 집합 조직을, 판 두께에 대해 10?20 % 정도 형성할 수 있는 것이 분명해졌다. 더욱 검토한 결과, 구리 합금 압연판에 있어서, 표면 집합 조직 (전단 집합 조직) 을 제어함으로써, 프레스 가공성이 변화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X 선 회절법에 의해 판 표면으로부터 5 ㎛ 깊이까지의 결정 방위를 측정했을 때,{111}정극점도 상의 α=0?10°(단, α:슐츠법에 규정된 회절용 고니오미터의 회전축에 수직인 축) 의 영역에 상당하는 전단 집합 조직의 극밀도를 1.5 이상 8 이하로 규정한다.
여기서, 판 표면으로부터 5 ㎛ 의 깊이까지를 대상으로 하는 이유는, 본 발명의 Cu-Co-Si 계 구리 합금 압연판을 이용하여 표면 집합 조직과 프레스 가공성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5 ㎛ 이상의 표면 집합 조직이 형성되면, 프레스 가공성에 유의적인 차이가 발생하므로, 이 깊이까지를 측정 대상으로 하였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전단 집합 조직의 극밀도가 측정된다. 그리고, 전단 집합 조직의 극밀도가 1.5 이상 8 이하인 압연판을 타발 프레스 가공하면, 프레스 타발 후에 발생하는 재료의 늘어짐이 종래재에 비해 작고, 버가 종래재에 비해 낮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판 표면으로부터 5 ㎛ 의 깊이의 전단 집합 조직의 극밀도가 1.5 미만이면, 전단 집합 조직이 충분히 형성되지 않고, 늘어짐이 커짐과 함께 버가 높아져, 프레스 가공성이 향상되지 않는다. 한편, 전단 집합 조직의 극밀도가 8 을 초과하는 것은 공업적으로 곤란하여 극밀도의 상한을 8 로 설정한다. 극밀도가 1.5 이상에서 3 이하의 범위에서는, 전단 집합 조직의 극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프레스 가공성은 향상되는데 (늘어짐은 작고 버는 낮아진다), 극밀도가 3 을 초과하면 프레스 가공성의 개선 정도는 둔화되고, 극밀도가 5 를 초과하면, 프레스 가공성에 차이가 보이지 않게 된다. 또, 5 를 초과하는 높은 극밀도를 얻기 위해서는, 점도가 높은 압연유의 사용이나 압연 속도의 고속화가 필요하고, 재료의 표면 조도가 커진다. 한편, 극밀도가 4.5 를 초과하면, 굽힙부 가공부에 주름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점에서, 극밀도는 1.8 이상 5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4.5 이하로 한다.
또한, 종래의 구리 합금 압연판의 경우, 전단 집합 조직의 극밀도가 높은 부분은, 판의 극표면에 한정되므로, 프레스 가공성이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도 1 은, 본 발명의 구리 합금 압연판과 종래의 구리 합금 압연판의 전단 집합 조직의 극밀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종래의 구리 합금 압연에 있어서도, 판의 극표면의 전단 집합 조직의 극밀도는 1.5 이상이 되지만, 내부로 감으로써 극밀도가 급격하게 저하되어, 판 표면으로부터 5 ㎛ 의 깊이에서는 극밀도가 1.5 미만이 되어 있다.
판 표면으로부터 5 ㎛ 깊이까지의 전단 집합 조직의 극밀도를, 1.5 이상 8 이하로 제어하는 방법으로는, 최종 냉간 압연시의 롤과 구리 합금 압연 소재 사이의 마찰력을 높이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최종 냉간 압연시의, 1) 압연유의 점도를 높게 하거나, 2) 압연 롤의 조도를 높게 하거나, 3) 압연 속도를 높게 하는 (롤 직경을 작게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통상, 냉간 압연시의 압연유의 점도는 0.03?0.06 ㎠/s 정도이며, 최종 냉간 압연시의 압연유의 점도를 0.06 ㎠/s 이상으로 함으로써, 전단 집합 조직의 극밀도를 1.5 이상 8 이하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리 합금 압연판은, 고용된 Co 및 Si 를 열처리하여 시효 석출시키는데, 시효 처리와 상기 최종 냉간 압연의 순서는 어느 것이 먼저여도 된다.
본 발명의 구리 합금 압연판에 있어서, 판 표면의 10 점 평균 조도가 0.4?1.2 ㎛ 인 것이 바람직하다. 판 표면의 10 점 평균 조도가 0.4 ㎛ 미만이면, 프레스시에 금형과 재료 사이에 윤활유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아, 파단면의 비율이나 버가 높아지는 경우가 있다. 또, 통상적인 방법으로 구리 합금 압연판을 제조한 경우, 판 표면의 10 점 평균 조도가 1.2 ㎛ 를 초과하는 경우는 없다.
(제조 방법)
본 발명의 구리 합금 압연판의 제조 프로세스는 이하와 같다. 먼저, 전기 구리 또는 무산소 구리를 주원료로 하고, 상기 화학 성분 그 외의 것을 첨가한 조성을 목탄 피복하에서 대기 용해시켜, 잉곳을 제조한다. 잉곳을 열간 압연한 후, 열처리와 냉간 압연을 반복하여 원하는 조 (條) 또는 박 (箔) 을 제조한다. 열처리에는 용체화 처리와 시효 처리가 있고, 용체화 처리에서는, Cu-Ni-Si 계의 코르손 합금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온인 800?1080 ℃ 의 고온역에서 재료를 가열하여, 모상으로 석출물의 구성 원소 (Co?Si 및 부성분) 를 고용시킨다. Co 및 Si 농도에 따라 최적의 용체화 처리 온도는 상이하고, Co 및 Si 농도가 높을수록, 용체화 처리의 온도는 고온이 된다. 그 후, 300?600 ℃ 의 온도역에서 시효 처리를 실시하고, 모상으로부터 미세한 화합물을 석출시켜, 강도를 향상시킨다. 시효 전 또는 시효 후에 보다 높은 강도를 얻기 위해, 냉간 압연을 실시하는 경우가 있다. 또, 냉간 압연 후에 응력 제거 어닐링을 실시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의 구리 합금 압연판은, 스프링용 재료 (조), 박 등의 여러 가지 형태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리 합금을 스프링재용의 조로 했을 경우, 리드 프레임, 커넥터, 핀, 단자, 릴레이, 스위치 등의 전기 부품에 적용 가능하다. 커넥터로는, 공지된 모든 형태, 구조인 것에 적용할 수 있지만, 통상은 수 (雄) (잭, 플러그) 와 암 (雌) (소켓, 리셉터클) 으로 이루어져 있다. 단자는, 예를 들어 꼬치상의 다수의 핀이 병설되어 다른 커넥터와 끼워 맞출 때에 단자끼리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적절히 절곡되어 스프링과 같이 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통상, 커넥터의 단자가 본 발명의 구리 합금 압연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시료의 제조
전기 구리에, Co 2.0 %, Si 0.45 % 를 각각 첨가하여 목탄 피복하의 대기 용해로 중에서 용해시켜, 용탕을 교반하였다. 그 후, 주물 온도 1250 ℃ 에서 잉곳을 주조하고, 이것을 1000 ℃ 의 온도에서 3 시간의 어닐링 후, 판 두께 11 ㎜ 까지 열간 압연하였다. 열간 압연재의 표층의 산화 스케일을 면삭으로 제거한 후, 판 두께 0.24 ㎜ 까지 냉간 압연을 실시하고, 추가로 1050 ℃ 에서 1 분간의 용체화 처리를 실시하여, 압연판 시료를 얻었다. 다음으로, 510 ℃ 에서 10 시간의 조건으로 시효 처리를 실시한 후, 0.2 ㎜ 까지 최종 냉간 압연하였다. 최종 냉간 압연시의 압연 속도 및 압연유의 점도를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화시켜, 전단 집합 조직의 극밀도를 조정하였다.
2. 전단 집합 조직의 극밀도의 측정
X 선 디프락토미터 (주식회사 리가쿠 제조 RINT2500) 에 의해, 각 시료의{111}정극점 측정을 반사법으로 실시하여,{111}정극점도를 제작하였다. 단, 반사법에서는, 시료면에 대한 X 선의 입사각이 좁아지면 측정이 곤란해지므로, 실제로 측정할 수 있는 각도 범위는 정극점도 상에서 0°≤α≤75°≤, 0°≤β≤360°(단, α:슐츠법에 규정된 회절용 고니오미터의 회전축에 수직인 축, β:상기 회전축에 평행한 축) 가 된다.
측정에서는, α 와 β 의 회전 간격 Δα, Δβ 를 5°로 하여 상기한 각도 범위 내를 주사하고, 16×73=1168 점의 X 선 강도를 측정하였다. 이 때, 집합 조직을 갖지 않는 상태 (즉 결정 방위가 랜덤인 상태) 를 1 로 하여 정극점도 상의 집합 조직의 강도를 규격화하였다. 결정 방위가 랜덤인 상태로 하여, 구리 분말 시료의{111}정극점 측정을 실시하여, 이것을 1 로 하였다.
또한, X 선 조사 조건으로서, Cr 관구를 사용하고, 관 전압 40 kV, 관 전류 100 mA 로 하여, 슐츠의 반사법으로{111}정극점도를 측정하였다. Cr 관구를 사용한 경우, 무한 두께의 시료의 X 선 회절 강도를 100 % 로 정의하면, 이론상, 판 표면으로부터 5 ㎛ 깊이까지의 X 선 회절 강도는 92 % 에 상당한다. 즉, 얻어진{111}정극점도의 정보의 90 % 이상은 시료 표층에 형성된 표면 집합 조직에 의한 X 선 회절 정보로 구성되므로, 판 표면으로부터 5 ㎛ 의 깊이까지 형성되는 표면 집합 조직을 측정하는 수단으로서 충분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전단 집합 조직에 상당하는{111}정극점도 상의 α=0°?10°범위의 결정 방위의 극밀도를 측정하고, 이 범위 내에 있어서의 극밀도의 최대값을 전단 집합 조직의 극밀도라고 정의하였다.
3. 늘어짐의 크기
각 시료에 대해, 금형 클리어런스를 10 % 로 하고, 250 spm 의 타발 속도로, 길이 30 ㎜, 폭 0.5 ㎜ 의 리드를 타발하여, 콘포칼 현미경으로 타발재의 단면을 촬영하였다. 촬영 화상 중, 타발 개시면측의 가장 높이가 높은 부분 (타발재의 중앙부에서 타발 위치로부터 먼 부분) 과 가장 높이가 낮은 부분 (타발 위치로서, 재료가 늘어져 내려가 있는 부분) 의 고도 차를, 늘어짐의 크기라고 정의하였다.
늘어짐의 크기가 30 ㎛ 이내이면, 늘어짐이 작아 양호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4. 버의 높이
각 시료에 대해, 금형 클리어런스를 10 % 로 하고, 250 spm 의 타발 속도로, 길이 30 ㎜, 폭 0.5 ㎜ 의 리드를 타발하여, 콘포칼 현미경으로 타발재의 단면을 촬영하였다. 촬영 화상 중, 타발 종료면측의 가장 높이가 높은 부분과 가장 높이가 낮은 부분의 고도 차를 버의 높이라고 정의하였다.
버의 높이가 10 ㎛ 이내이면, 버가 낮아 양호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5. 굽힘 가공성
닛폰 신동 (伸銅) 협회 (JBMA) 기술 표준 T307 (1999년) 에 따라, 굽힙 반경을 0.15 ㎜ 로 하고, 굽힘 축이 압연 방향으로 평행해지도록, 굽힘 시험을 실시하였다. 동기술 표준의 5 단계의 평가 A?E 에 대응하여, 이하와 같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동기술 표준의 A (양호) 인 것
△:동기술 표준의 B (주름 작음) 및 C (주름 큼)
× : 동기술 표준의 D (균열 작음) 및 E (균열 큼)
6. 인장 강도
각 시료에 대해, 압연 방향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JIS Z 2241 에 준거하여 인장 시험을 실시하고, 인장 강도를 구하였다. 인장 강도가 (650 ㎫) 이상이면, 스프링재로서 양호하다.
얻어진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표 1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발명예 1?11 의 경우, 늘어짐이 작고 버가 낮으며, 프레스 가공성이 우수하고, 굽힘 가공성도 양호하였다. 또한 인장 강도도 높은 것이 되었다.
한편, 최종 냉간 압연시의 압연 속도가 160 mpm 미만인 비교예 1 의 경우, 전단 집합 조직의 극밀도가 1.5 미만이 되어, 늘어짐이 크고 버가 높으며, 프레스 가공성이 열화되었다.
비교예 2 의 경우, 압연유의 점도가 0.03 ㎠/s 이하로 낮고, 전단 집합 조직의 극밀도가 1.5 미만이 되어, 늘어짐이 크고 버가 높으며, 프레스 가공성이 열화되었다.
비교예 3 의 경우, 압연 속도가 160 mpm 미만이고, 또한 압연유의 점도도 0.03 ㎠/s 이하로 낮으며, 전단 집합 조직의 극밀도가 1.5 미만이 되어, 늘어짐이 크고 버가 높으며, 프레스 가공성이 열화되었다. 또한, 적정한 용체화 온도의 범위는, 구리 합금 압연판의 조성에 따라 변동하여, 발명예에 적용된 1050 ℃ 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2>
전기 구리에, Co, Si, Mg, Sn, Zn, Mn, Ni, Cr 을 각각 표 2 에 나타내는 비율로 첨가하여 대기 용해로 중에서 용해시켜, 용탕을 교반하였다. 그 후, 주물 온도 1250 ℃ 에서 잉곳을 주조하고, 1000 ℃ 에서 3 시간의 어닐링 후, 판 두께 11 ㎜ 까지 열간 압연하였다. 열간 압연재의 표층의 산화 스케일을 면삭으로 제거한 후, 판 두께 0.24 ㎜ 까지 냉간 압연을 실시하고, 추가로 표 3 의 용체화 온도에서 1 분간의 용체화 처리를 실시하여, 압연판 시료를 얻었다. 다음으로, 510 ℃ 에서 10 시간의 조건으로 시효 처리를 실시한 후, 0.2 ㎜ 까지 최종 냉간 압연을 실시하였다. 최종 냉간 압연시의 압연 속도 및 압연유의 점도를 표 3 에 나타내는 값으로 하였다. 각 시료에 대해, 인장 강도를 제외하고, 실시예 1 과 완전히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인장 강도에 대해서는, 조성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550 ㎫ 이상을 강도가 양호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각 시료의 성분 및 얻어진 결과를 각각 표 2, 표 3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표 3 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발명예 12?26 의 시료는, 모두 늘어짐이 작고 버가 낮으며, 프레스 가공성이 우수하고, 굽힘 가공성도 양호하였다. 또한 인장 강도도 양호하였다.
Co 가 0.5 질량% 미만인 비교예 4 의 경우, 프레스 가공성은 양호하지만, 강도가 저하되었다. Co 가 3.0 질량% 를 초과한 비교예 5 의 경우, 열간 압연시에 균열이 발생하여, 시료를 제조할 수 없었다.

Claims (4)

  1. Co 를 0.5?3.0 질량%, Si 를 0.1?1.0 질량% 함유하고, 잔부가 Cu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구리 합금 압연판으로서, X 선 회절법에 의해 판 표면으로부터 5 ㎛ 깊이까지의 결정 방위를 측정했을 때,{111}정극점도 (正極点圖) 상의 α=0?10°(단, α:슐츠법에 규정된 회절용 고니오미터의 회전축에 수직인 축) 의 영역에 상당하는, 전단 집합 조직의 극밀도가 1.5 이상 8 이하인 Cu-Co-Si 계 구리 합금 압연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Cr, Ni, Mg, Sn, Zn 및 Mn 의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합계 0.05?2.0 질량% 함유하고, 또한 Cr 을 0.3 질량% 이하, Ni 를 1 질량% 미만, Mg 를 0.2 질량% 이하, Sn 을 1 질량% 이하, Zn 을 1 질량% 이하, Mn 을 0.15 질량% 이하로 규제하는 Cu-Co-Si 계 구리 합금 압연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판 표면의 10 점 평균 조도가 0.4?1.2 ㎛ 인 Cu-Co-Si 계 구리 합금 압연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Cu-Co-Si 계 구리 합금 압연판을 사용한 전기 부품.
KR1020127028720A 2010-06-03 2011-04-27 Cu-Co-Si 계 구리 합금 압연판 및 그것을 사용한 전기 부품 KR1012429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27432 2010-06-03
JP2010127432A JP4601085B1 (ja) 2010-06-03 2010-06-03 Cu−Co−Si系銅合金圧延板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部品
PCT/JP2011/060207 WO2011152163A1 (ja) 2010-06-03 2011-04-27 Cu-Co-Si系銅合金圧延板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部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547A true KR20120127547A (ko) 2012-11-21
KR101242931B1 KR101242931B1 (ko) 2013-03-12

Family

ID=43543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8720A KR101242931B1 (ko) 2010-06-03 2011-04-27 Cu-Co-Si 계 구리 합금 압연판 및 그것을 사용한 전기 부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601085B1 (ko)
KR (1) KR101242931B1 (ko)
CN (1) CN102906288B (ko)
TW (1) TWI418642B (ko)
WO (1) WO20111521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7505B1 (ja) 2010-03-31 2011-04-27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電子材料用Cu−Ni−Si−Co系銅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
JP5451674B2 (ja) 2011-03-28 2014-03-26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電子材料用Cu−Si−Co系銅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
JP4799701B1 (ja) * 2011-03-29 2011-10-26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電子材料用Cu−Co−Si系銅合金条及びその製造方法
JP5539932B2 (ja) * 2011-08-01 2014-07-02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曲げ加工性に優れたCu−Co−Si系合金
JP5437520B1 (ja) * 2013-07-31 2014-03-12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Cu−Co−Si系銅合金条及びその製造方法
JP6085633B2 (ja) * 2015-03-30 2017-02-22 Jx金属株式会社 銅合金板および、それを備えるプレス成形品
JP6306632B2 (ja) * 2016-03-31 2018-04-04 Jx金属株式会社 電子材料用銅合金
JP6378819B1 (ja) * 2017-04-04 2018-08-22 Dowaメタルテック株式会社 Cu−Co−Si系銅合金板材および製造方法並びにその板材を用いた部品
JP7145847B2 (ja) * 2017-04-26 2022-10-0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銅合金板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70977B2 (ja) * 2003-11-28 2008-10-22 日鉱金属株式会社 プレス打抜き性に優れた電子部品用素材
JP4686658B2 (ja) 2005-03-30 2011-05-25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プレス打抜き性に優れた電子部品用素材
JP4408275B2 (ja) * 2005-09-29 2010-02-03 日鉱金属株式会社 強度と曲げ加工性に優れたCu−Ni−Si系合金
JP4285526B2 (ja) * 2006-10-26 2009-06-24 日立電線株式会社 圧延銅箔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215093B2 (ja) * 2006-10-26 2009-01-28 日立電線株式会社 圧延銅箔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185324A (ja) * 2008-02-05 2009-08-20 Nippon Mining & Metals Co Ltd プレス加工用Cu−Cr−Sn−Zn系合金
JP4596490B2 (ja) * 2008-03-31 2010-12-08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電子材料用Cu−Ni−Si−Co系銅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0016429A1 (ja) * 2008-08-05 2010-02-1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電気・電子部品用銅合金材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200607A (en) 2012-01-01
CN102906288A (zh) 2013-01-30
KR101242931B1 (ko) 2013-03-12
WO2011152163A1 (ja) 2011-12-08
JP4601085B1 (ja) 2010-12-22
JP2011252209A (ja) 2011-12-15
TWI418642B (zh) 2013-12-11
CN102906288B (zh) 2014-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2931B1 (ko) Cu-Co-Si 계 구리 합금 압연판 및 그것을 사용한 전기 부품
JP5170916B2 (ja) 銅合金板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49107B1 (ko) 도전성 스프링재에 사용되는 Cu-Ni-Si 계 합금
KR101227315B1 (ko) 구리 합금판
JP5260992B2 (ja) 銅合金板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452154B (zh) 電子電氣機器用銅合金、電子電氣機器用銅合金薄板、電子電氣機器用銅合金之製造方法、電子電氣機器用導電零件及端子
US20110200480A1 (en) Copper alloy material for electric/electronic parts
JP2013163853A (ja) 銅合金板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804266B2 (ja) 電気電子機器用Cu−Zn−Sn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38792B1 (ko) Cu-Zn-Sn 계 합금판 및 Cu-Zn-Sn 계 합금 Sn 도금조
WO2015099098A1 (ja) 銅合金板材、コネクタ、及び銅合金板材の製造方法
JP2010222618A (ja) Cu−Ni−Si系銅合金圧延板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部品
JP6542817B2 (ja) 電子材料用銅合金
JP2007270214A (ja) 曲げ加工性に優れるCu−Zn−Sn系合金条
JP6845885B2 (ja) 金型摩耗性に優れたCu−Ni−Si系銅合金条
JP5827530B2 (ja) 優れたばね限界値及び耐応力緩和性を有するせん断加工性が良好なCu−Ni−Si系銅合金板
KR102345805B1 (ko) 강도와 압연 평행 방향 및 압연 직각 방향의 굽힘 가공성이 우수한 Cu-Ni-Si계 합금 스트립
JP6845884B2 (ja) 金型摩耗性に優れたCu−Ni−Si系銅合金条
JP6811199B2 (ja) 耐金型摩耗性およびプレス打ち抜き性に優れたCu−Ni−Si系銅合金条
JP5514762B2 (ja) 曲げ加工性に優れたCu−Co−Si系合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