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7021A - 초소형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초소형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7021A
KR20120127021A KR1020110045217A KR20110045217A KR20120127021A KR 20120127021 A KR20120127021 A KR 20120127021A KR 1020110045217 A KR1020110045217 A KR 1020110045217A KR 20110045217 A KR20110045217 A KR 20110045217A KR 20120127021 A KR20120127021 A KR 20120127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unit
blade
camera modul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5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규
Original Assignee
성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5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7021A/ko
Publication of KR20120127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70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Shutters For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덮는 커버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는 렌즈 개구가 구비된 렌즈 모듈 및 상기 렌즈 모듈의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액츄에이터부와, 회동 가능한 블레이드 유닛과, 상기 블레이드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블레이드 유닛의 회동을 안내하는 암 레버와, 상기 블레이드의 하측을 밀착 지지하는 블레이드 안착부와, 상기 블레이드를 구동시키는 블레이드 구동부로 이루어져, 상기 렌즈 개구를 개폐시키는 셔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 유닛, 암 레버, 블레이드 안착부 및 블레이드 구동부는 각각 상기 렌즈 모듈과 액츄에이터부가 수용되는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다.

Description

초소형 카메라 모듈{SUBMINIATURE 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로 특히, 초소형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은 비디오 카메라, 전자 스틸 카메라, 카메라 폰 등에서, 이미지의 인식을 위하여 마련된다.
최근 들어, 카메라 모듈은 기술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고성능의 복합 기기에 탑재되고 있다. 때문에, 이러한 특히, 초소형 모바일 기기 등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은 그 장치의 소형화가 중요하다.
종래의 카메라 모듈에서는,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 지지하는 액츄에이터부를 하우징에 내장하고, 상기 하우징과 별도로 셔터부가 결합 장착된다. 상기 셔터부는 자체 하우징을 구비하여, 그 내부에 셔터를 이루는 각각의 구성이 내장된다. 결국, 종래의 카메라 모듈은 액츄에이터부가 내장된 하우징과 셔터부가 내장된 하우징간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카메라 모듈, 특히, 초소형 모바일 기기에 사용되는 초소형 카메라 모듈은 액츄에이터부와 셔터부가 각각 별도의 하우징에 설치되고 이 하우징들을 상호 결합하는 경우, 상기 하우징간 중첩되는 두께로 인해 카메라 모듈의 전체 높이(혹은 두께)가 증가하게 되어 날로 초슬림화되어가는 카메라 모듈의 초소형화 및 초슬림화가 요구를 충족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카메라 모듈은, 상기 액츄에이터부의 하우징에 셔터부의 하우징을 조립하기 위해 체결이나 본딩 등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 이물 등이 각 하우징 내로 들어가거나 또는 접착제의 경우, 수지 사출물인 하우징과 발생하는 화학적 변화 등으로 인해 조립 불량의 위험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액츄에이터부와 셔터부 하우징을 단일화하여 카메라 모듈의 초소형를 구현하고, 조립 효율성을 높이고 조립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초소형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덮는 커버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는 렌즈 개구가 구비된 렌즈 모듈 및 상기 렌즈 모듈의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액츄에이터부와, 회동 가능한 블레이드 유닛과, 상기 블레이드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블레이드 유닛의 회동을 안내하는 암 레버와, 상기 블레이드의 하측을 밀착 지지하는 블레이드 안착부와, 상기 블레이드를 구동시키는 블레이드 구동부로 이루어져, 상기 렌즈 개구를 개폐시키는 셔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 유닛, 암 레버, 블레이드 안착부 및 블레이드 구동부는 각각 상기 렌즈 모듈과 액츄에이터부가 수용되는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액츄에이터부는 AF(Auto Focusing) 액츄에이터로서, VCM(Voice Coil Motor), Encoder, Piezo(압전구동방식) 및 MEMS(Micro-Electro Mechanical System)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모서리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 유닛의 일측이 삽입되는 제 1 돌출부와, 상기 암 레버가 장착되는 암 레버 장착부와, 상기 블레이드 구동부가 장착되는 구동부 장착부와, 상기 블레이드 안착부가 삽입되는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 유닛은 제 1 및 제 2 블레이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및 제 2 블레이드는 상기 제 1 돌출부에 적층되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모서리의 나머지 측에 각각 제 2 내지 제 4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돌출부가 각각 삽입되는 삽입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은 제 1 및 제 2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돌출부, 암 레버 장착부, 구동부 장착부 및 돌기부는 상기 제 1 하우징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초소형 카메라 모듈은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제 2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렌즈 모듈 및 액츄에이터부는 상기 하부 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카메라 모듈은 셔터부가 액츄에이터부의 하우징 내에서 개별적으로 장착되기에, 카메라 모듈 전체의 높이와 체적을 줄여 카메라 모듈의 초소형화를 구현함으로써, 초소형 모바일 전자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카메라 모듈은 셔터부만이 장착되는 별도의 하우징을 생략할 수 있어, 부품수 감소에 따른 제조비용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카메라 모듈은 종래와 같은 액츄에이터부와 셔터부의 각 하우징을 체결 또는 본딩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조립불량에 따른 불량발생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카메라 모듈이 도시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이 도시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카메라 모듈의 각각의 주요 구성이 도시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카메라 모듈의 조립 방법이 도시된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카메라 모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카메라 모듈(10)은,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의 상부를 덮는 커버(30)와, 렌즈 개구(45)가 구비된 렌즈 모듈(40)과, 상기 렌즈 모듈(40)의 렌즈를 광축(z)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액츄에이터부(60)과, 상기 렌즈 개구(45)를 개폐시키는 셔터부(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액츄에이터부(60)는 VCM, Encoder, Piezo 및 MEMS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렌즈 이동장치이다.
상기 렌즈 모듈(40)과 액츄에이터부(60)는 상기 하우징(20)의 하부에 장착된다.
상기 셔터부(70)는, 제 1 및 제 2 블레이드(72a,72b)로 이루어진 블레이드 유닛(72)과, 상기 블레이드 유닛(72)의 하부를 밀착 지지하는 블레이드 안착부(76)와, 상기 블레이드 유닛(72)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블레이드 유닛(72)의 회동을 안내하도록 고정 돌출부(74a)와 이동 돌출부(74b)가 구비된 암 레버(74)와, 요크(78a)와 코일(78b)을 구비하여 상기 암 레버(74)의 하측에 장착된 마그네틱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블레이드 유닛(72)이 상기 렌즈 개구(45)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암 레버(74)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블레이드 구동부(78)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셔터부(70)는, 상기 암 레버(74)를 상기 하우징(20)에 단단히 고정시키는 브래킷(79)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블레이드(72a,72b)의 일측에는, 각각, 후술하는 상기 하우징(20)의 제 1 돌출부(22a)에 삽입되는 돌출부 삽입구멍(73)과, 상기 암 레버(74)의 이동 돌출부(74b)에 삽입되는 회동 구멍(75)이 형성된다.
상기 블레이드 안착부(76)는 얇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매끄러운 상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 안착부(76)에는 이미지가 렌즈에 인식될 수 있도록 중앙에 개구(76b)가 형성되고, 후술하는 돌기부에 끼워지도록 모서리 세 부분에 끼움 구멍(76a)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블레이드 안착부(76)는 그 장착시 상기 브래킷(79)과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브래킷(79)과 인접한 모서리 부분이 마주보는 브래킷(79)의 모양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나, 하우징(20)의 형상은 초소형 카메라 모듈(10)을 이루는 렌즈 모듈(40), 액츄에이터부(60) 및 셔터부(70)의 구성을 일체로 수용할 수 있는 형상이면 되고, 다른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상기 하우징(20)의 상부 각 모서리부에는 각각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22)가 형성된다. 편의상 상기 돌출부(22)는 각각 제 1 내지 제 4 돌출부(22a~22d)라 칭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돌출부(22a,22b) 사이에는 제 5 돌출부(22e)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돌출부(22a)와 제 5 돌출부(22e) 사이에는 상기 암 레버(74)가 장착되는 암 레버 장착부(2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돌출부(22a)와 제 4 돌출부(22d) 사이에는 상기 제 1 돌출부(22a) 부근에 상기 블레이드 구동부(78)가 장착되는 구동부 장착부(26)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내지 제 4 돌출부(22a~22d)가 구비된 삼각 플레이트(25)의 하부면에는 각각 상기 블레이드 안착부(76)의 끼움구멍(76a)에 삽입되는 돌기부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20)은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으로 구분되어 이루어지는 구조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셔터부(70)의 개별 구성이 장착되는 상기 하우징(20)의 상기 제 1 돌출부(22a), 암 레버 장착부(24), 구동부 장착부(26) 및 돌기부의 구성은 제 1 하우징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렌즈 모듈(40)과 액츄에이터부(60)는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 사이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커버(30)에는 이미지가 렌즈에 인식될 수 있도록 중앙에 커버 개구(34)가 형성되고, 각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돌출부(22a~22d)가 삽입되는 삽입구멍(32)이 형성됨과 아울러 장착시 상기 하우징(20)의 제 5 돌출부(22e), 상기 암 레버(74)의 고정 돌출부(74a) 및 이동 돌출부(74b)에 대응되는 부분에도 역시, 각각 그에 대응되는 삽입구멍(32)이 형성된다.
이어,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카메라 모듈(10)의 조립 공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 도 4a 내지 도 4d, 특히,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카메라 모듈(10)의 조립은 도 4a 내지 도 4d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도 4a는 상기 하우징(20)에 액츄에이터부(60)를 장착하는 단계이다.
도 4b는, 상기 셔터부(70)의 암 레버(74) 및 블레이드 구동부(78)를 각각 상기 하우징(20)의 암 레버 장착부(24) 및 구동부 장착부(26)에 장착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암 레버(74)는 추가적으로 상기 브래킷(79)에 의해 상기 하우징(20)에 더욱 단단히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브래킷(79)은 상기 암 레버(74) 상측에서 상기 제 1 돌출부(22a), 고정 돌출부(74a), 이동 돌출부(74b) 및 제 5 돌출부(22e)에 삽입되도록 끼워져 상기 암 레버(74)가 상기 하우징(20)에 고정되도록 한다.
도 4c는, 상기 렌즈 모듈(40)이 상기 액츄에이터부(6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20)에 장착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렌즈 모듈(40)은 상기 하우징(20)의 상부에서 상기 하우징(20)의 내부로 장착된다.
마지막으로, 도 4d는 상기 셔터부(70)의 남은 구성과 커버(30)를 장착하는 단계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검토하면, 먼저, 상기 셔터부(70)의 블레이드 안착부(76)를 상기 제 2 내지 제 4 돌출부(22b~22d)가 구비된 상기 삼각 플레이트(25)의 하면측으로 밀어 넣어, 상기 블레이드 안착부(76) 모서리에 형성된 끼움 구멍(76a)을 각각 상기 하우징(20)의 돌기부에 끼워, 상기 블레이드 안착부(76)를 고정시킨다.
이후, 상기 블레이드 유닛(72)의 돌출부 삽입구멍(73)을 상기 하우징(20)의 제 1 돌출부(22a)에 삽입하고, 상기 회동 구멍(75)을 상기 암 레버(74)의 이동 돌출부(74b)에 삽입한다. 상기 각 블레이드 유닛(72)은 장착시 서로 겹쳐지도록 상기 하우징(20)에 차례로 장착한다.
상기 셔터부(70)의 각 구성이 상기 하우징(20)에 장착되면, 상기 커버(30)의 삽입구멍(32)을 각각, 대응되는 상기 하우징(20)의 제 1 내지 제 5 돌출부(22a~22e) 및 상기 암 레버(74)의 고정 돌출부(74a)와 이동 돌출부(74b)에 삽입하여, 상기 커버(30)로 상기 하우징(20)의 상부를 덮는다.
도 4d의 단계는 이상과 같은 과정에 통해 완료되고, 상술한 도 4a ~ 도 4d 단계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카메라 모듈(10)의 조립 과정은 완료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카메라 모듈(10)은 상기 하우징(20)의 하부에 하부 개구(29)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렌즈 모듈(40) 및 액츄에이터부(60)는 상기 하부 개구(29)를 통해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 장착되게 된다. 때문에, 초소형 카메라 모듈(10) 조립시, 상기 렌즈 모듈(40) 및 액츄에이터부(60)는 상기 하우징(20)의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20) 내부로 장착되고, 상기 셔터부(70)는 상기 하우징(20)의 상부에서 상기 하우징(20) 내부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셔터부(70)는 상기 하우징(20) 내부 장착시 상기 렌즈 모듈(40) 및 액츄에이터부(60)의 장착방향과 반대방향에서 장착되기에, 렌즈 모듈(40) 및 액츄에이터부(60)보다 먼저 장착될 필요는 없다. 다만, 상기 셔터부(70)가 상기 렌즈 모듈(40) 및 액츄에이터부(60)보다 먼저 장착된다면, 상기 셔터부(70)는 상기 렌즈 모듈(40) 및 액츄에이터부(60) 장착시 발생될 수 있는 이물 등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기에, 상기 렌즈 모듈(40) 및 액츄에이터부(60)의 장착보다 먼저 상기 하우징(20)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셔터부(70)가 상기 렌즈 모듈(40) 및 액츄에이터부(60)의 장착 이후에 상기 하우징(20) 내부에 장착되는 경우라도, 상기 셔터부(70)는 상기 렌즈 모듈(40) 및 액츄에이터부(60)의 반대방향에서 장착되기에, 상기 하우징(20)의 상부에서 상기 액츄에이터부(60), 렌즈 모듈(40) 및 셔터부(70) 순으로 장착되는 경우보다 조립으로 인한 이물 등의 영향을 덜 받게 된다.
초소형 카메라 모듈: 10 하우징: 20
제 1 내지 제 5 돌출부: 22a~22e 암 레버 장착부: 24
삼각 플레이트: 25 구동부 장착부: 26
커버: 30 삽입구멍: 32
커버 개구: 34 렌즈 모듈: 40
렌즈 개구: 45 액츄에이터부: 60
셔터부: 70 블레이드 유닛: 72
제 1 블레이드: 72a 제 2 블레이드: 72b
돌출부 삽입구멍: 73 암 레버: 74
고정 돌출부: 74a 이동 돌출부: 74b
블레이드 안착부: 76 끼움 구멍: 76a
개구: 76b 블레이드 구동부: 78
요크: 78a 코일: 78b
브래킷: 79 광축: z

Claims (8)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덮는 커버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는 렌즈 개구가 구비된 렌즈 모듈 및 상기 렌즈 모듈의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액츄에이터부와,
    회동 가능한 블레이드 유닛과, 상기 블레이드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블레이드 유닛의 회동을 안내하는 암 레버와, 상기 블레이드의 하측을 밀착 지지하는 블레이드 안착부와, 상기 블레이드를 구동시키는 블레이드 구동부로 이루어져, 상기 렌즈 개구를 개폐시키는 셔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 유닛, 암 레버, 블레이드 안착부 및 블레이드 구동부는 각각 상기 렌즈 모듈과 액츄에이터부가 수용되는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부는 VCM, Encoder, Piezo 및 MEMS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모서리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 유닛의 일측이 삽입되는 제 1 돌출부와, 상기 암 레버가 장착되는 암 레버 장착부와, 상기 블레이드 구동부가 장착되는 구동부 장착부와, 상기 블레이드 안착부가 삽입되는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카메라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유닛은 제 1 및 제 2 블레이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및 제 2 블레이드는 상기 제 1 돌출부에 적층되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카메라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모서리의 나머지 측에 각각 제 2 내지 제 4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돌출부가 각각 삽입되는 삽입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카메라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 1 및 제 2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돌출부, 암 레버 장착부, 구동부 장착부 및 돌기부는 상기 제 1 하우징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카메라 모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초소형 카메라 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렌즈 모듈 및 액츄에이터부는 상기 하부 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카메라 모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초소형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 2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렌즈 모듈 및 액츄에이터부는 상기 하부 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카메라 모듈.
KR1020110045217A 2011-05-13 2011-05-13 초소형 카메라 모듈 KR201201270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217A KR20120127021A (ko) 2011-05-13 2011-05-13 초소형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217A KR20120127021A (ko) 2011-05-13 2011-05-13 초소형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021A true KR20120127021A (ko) 2012-11-21

Family

ID=47512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5217A KR20120127021A (ko) 2011-05-13 2011-05-13 초소형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702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6813A (ko) * 2013-12-09 2015-06-1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11233924B2 (en) 2018-12-03 2022-01-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amera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6813A (ko) * 2013-12-09 2015-06-1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11233924B2 (en) 2018-12-03 2022-01-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amer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12857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当該カメラモジュールを搭載した電子機器、ならびに当該カメラ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4457320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JP6138969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US9733473B2 (en) Camera module comprising lens, image pickup element
JP2017508181A (ja) レンズ駆動モータ
KR20060092069A (ko) 렌즈 유닛 및 촬상 장치
JP2010085494A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撮像装置、及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装置
JP2012032778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TWI492493B (zh) 音圈馬達
TWI663463B (zh) 驅動機構
JP2008197313A (ja) レンズ駆動装置
KR20090035456A (ko) 노광조건 전환 유니트 및 카메라 유니트
JP2021509967A (ja) 駆動機構、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WO2011027685A1 (ja) レンズ駆動装置及びこのレンズ駆動装置を搭載したカメラモジュール、携帯電話
US11809074B2 (en) Shutter
JP2009244353A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WO2009154111A1 (ja) 光調節装置
KR20120127021A (ko) 초소형 카메라 모듈
JP2015072388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CN114721116A (zh) 光学系统
KR20090128228A (ko) 카메라 모듈
JP3132165U (ja) 八角形マイクロレンズのピント合わせ構造
JP2013254014A (ja) 露光条件切替装置およびカメラ
JP2012010274A (ja) 撮像装置
JP5082934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