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6975A - 하역기 호퍼의 분진차단장치 - Google Patents

하역기 호퍼의 분진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6975A
KR20120126975A KR1020110045158A KR20110045158A KR20120126975A KR 20120126975 A KR20120126975 A KR 20120126975A KR 1020110045158 A KR1020110045158 A KR 1020110045158A KR 20110045158 A KR20110045158 A KR 20110045158A KR 20120126975 A KR20120126975 A KR 20120126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blocking
blocking wall
wall
connection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5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6527B1 (ko
Inventor
김만구
박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한국기술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한국기술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045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6527B1/ko
Publication of KR20120126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6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6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6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8Preventing escape of d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2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 B65G65/06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with endless scraping or elevating pick-up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하역기의 호퍼에 대한 원료 투입시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는 하역기 호퍼의 분진차단장치가 소개된다. 이 분진차단장치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되어 호퍼의 입구부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호퍼의 입구부 가장자리에 측벽이 형성하도록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벽과, 연결와이어를 매개로 차단벽에 연결되어 차단벽을 승강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하역기 호퍼의 분진차단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MIST OUTFLOW OF UNLOADER HOPPER}
본 발명은 하역기 호퍼의 분진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역기 호퍼의 원료 투입시, 분진의 비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하역기 호퍼의 분진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하역기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박(2)을 통하여 운반되는 광석 등과 같은 연료나 원료 등의 하역용으로 사용되는 크레인을 지칭한다.
하역기(1)에 설치되는 지지붐(3)에는 바켓(4)이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이 바켓(4)은 선박(20)에서 하역되는 연료나 원료를 퍼올리고 일정 위치로 운반한 후, 하역기(1)의 측부에 설치된 호퍼(6)에 연료나 원료가 낙하되도록 한다. 호퍼(6)에 연결된 이송컨베이어(7)는 낙하된 연료나 원료를 저장장소 또는 운반차량으로 운반한다.
그런데, 버킷(4)을 이용하여 원료를 호퍼에 투입하는 경우, 버킷으로부터 과다한 량의 원료가 일시에 쏟아지면서 호퍼의 바닥 및 그 측벽에 부딪히게 되는데, 이때, 순간적인 충격에 의해 과도한 량의 분진이 생성되어 비산한다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호퍼(6) 상단부의 방풍벽(11)에 분사노즐(12)을 고정 설치하고, 이 분사노즐(12)에 살수라인을 연결하여 저수탱크에 저수된 물을 호퍼에 살수하여 원료의 분진 비산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작업중 버킷(3)에 의해 분사노즐(12)이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되고, 분사노즐(12)의 분사구가 분진에 의해 막혀 살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었다. 특히, 살수된 수분이 분진과 함께 혼합되면서 호퍼의 외부로 비산되면, 주변의 설비는 물론, 주위 바다를 오염시키는 환경오염을 초래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원료의 호퍼 투입시 원료와 호퍼 간의 충돌로 인해 발생되는 분진의 비산을 차단할 수 있는 하역기 호퍼의 분진차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하역기 호퍼의 분진차단장치는, 하역기의 호퍼에 대한 원료 투입시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는 하역기 호퍼의 분진차단장치로서, 지지프레임, 차단벽 및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지지프레임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되어 호퍼의 입구부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차단벽은 상기 호퍼의 입구부 가장자리에 측벽이 형성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동모터는 연결와이어를 매개로 상기 차단벽에 구동 연결되어 상기 차단벽을 승강시킨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단벽의 하강 이동시 상기 차단벽이 권취되도록 상기 차단벽에 인장력을 인가하는 권취유닛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단벽은 호퍼 투입을 위한 원료의 진행방향에 대해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 차단벽과, 상기 제1 차단벽을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 및 제3 차단벽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와이어는 상기 차단벽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연결와이어와, 상기 차단벽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 연결와이어로 구성되어 상기 차단벽의 좌,우측 균형을 유지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와이어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된 복수의 지지풀리에 의해 지지되고, 이 복수의 지지풀리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연결와이어 및 제2 연결와이어를 동시에 지지하는 더블 지지풀리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연결와이어를 지지하는 제1 지지풀리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측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연결와이어를 지지하는 제2 지지풀리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권취유닛은 양단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차단벽의 하단이 연결되는 권취샤프트와, 상기 권취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테입식모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차단벽은 및 상기 제3 차단벽은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와이어를 매개로 구동연결되어, 상기 제2 및 제3 차단벽은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시 동시에 작동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현저한 효과가 구현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차단벽을 통해 호퍼의 상측을 두름으로써, 바람이 호퍼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낙하에 따른 충격으로 인해 호퍼 내에서 많은 양의 분진 발생되더라도 발생된 분진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변의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을 통해 분진의 비산 방지를 구현함으로써, 어떠한 조건에서도 하역 작업이 가능하여 하역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신속하고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a는 일반적인 하역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호퍼의 분진차단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역기 호퍼의 분진차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풀리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사용예에 따른 하역기 호퍼의 분진차단장치를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사용예에 따른 하역기 호퍼의 분진차단장치를 도시한 상태도.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역기 호퍼의 분진차단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풀리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사용예에 따른 하역기 호퍼의 분진차단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분진차단장치는, 하역기의 호퍼(510) 상측을 두르는 구조로, 호퍼(510)에서 발생된 분진의 비산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분진차단장치는 호퍼(510)의 입구부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00)과, 지지프레임(100)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벽(200)과, 차단벽(200)을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모터(300)와, 차단벽(200)이 권취되는 권취유닛(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지지프레임(100)은 하역기의 호퍼(510) 상측, 보다 상세하게는 원료 투입이 이루어지는 호퍼(510)의 입구부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프레임으로, 측벽을 이루는 차단벽(200)이 승강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프레임(100)은 호퍼(510)의 입구부 가장자리에 장착되는 사각 테두리 형태의 베이스프레임(100a)과, 베이스프레임(100a)의 양측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차단벽(200)의 승강이 이루어지는 가이드레일(110)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00b)으로 구성된다. 이때, 베이스프레임(100a)에는 구동모터(300) 및 권취유닛(400)이 장착되고, 수직프레임(100b)에는 차단벽(200) 및 복수의 지지풀리(320)가 설치된다. 물론, 이들 구동모터(300), 권취유닛(400), 차단벽(200) 및 지지풀리(320)의 설치 위치는 설계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구동모터(300)는 연결와이어(310)를 매개로 차단벽(200)에 구동 연결되어 차단벽(200)이 승강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구동모터(300)의 회전축(미도시)에는 구동풀리(330)가 연결되고, 이 구동풀리(330)에는 연결와이어(310)가 권취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300)가 정방향으로 작동하게 되면, 연결와이어(310)의 권취 방향으로 구동풀리(330)가 회전되면서 차단벽(200)이 상방향으로 이동되고, 구동모터(300)가 역방향으로 작동하게 되면, 연결와이어(310)를 풀어주는 방향으로 구동풀리(330)가 회전되면서 차단벽(200)이 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차단벽(200)은 호퍼(510)의 입구부 가장자리에서 마련되는 측벽으로, 바람의 유입을 차단하는 동시에, 호퍼(510)내 발생된 분진의 비산을 방지한다. 이 차단벽(200)은 바켓이 진입되는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3개의 방향을 차단할 수 있는 측벽 형태로 설치되는데, 이는 원료가 적치된 바켓이 호퍼(510) 상부로 이동될 수 있는 작업통로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즉, 차단벽(200)은 호퍼(510) 투입을 위한 원료의 진행방향에 대해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 차단벽(200a)과, 제1 차단벽(200a)을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 및 제3 차단벽(200b),(200c)으로 구성되어, 일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3개의 방향을 제1, 제2, 및 제3 차단벽(200a),(200b),(200c)에 의해, 바람의 유입과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는 구조이다.
이들 차단벽(200)은 양측단이 지지프레임(100)의 가이드레일(110)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이 연결와이어(310)를 매개로 구동모터(300)에 연결되므로, 구동모터(300)의 작동시 승강이 이루어진다.
예컨대, 원료가 호퍼(510)에 투입되는 경우, 도 2에서 보듯이, 구동모터(300)의 정방향 작동에 의해 차단벽(200)이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호퍼(510)의 입구부 가장자리에 측벽을 구성함으로써, 분진의 비산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장기간 휴지하거나 강한 바람이 부는 경우, 도 3에서 보듯이, 구동모터(300)의 역방향 작동에 의해 차단벽(200)이 하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강한 바람에 의해 분진차단장치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에서 보듯이, 이 차단벽(200) 중에서 제1 차단벽(200a)에 연결되는 연결와이어(310)는, 지지프레임(100)의 측부 상단에 설치된 통상의 회전풀리(340)에 의해 지지된다.
특히, 제2 차단벽(200b) 및 제3 차단벽(200c)에 연결되는 연결와이어(310)는, 차단벽(200)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연결와이어(310a)와, 차단벽(200)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 연결와이어(310b)로 구성되며, 복수의 지지풀리(320)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서, 복수의 지지풀리(320)는 더불 지지풀리(321), 제1 지지풀리(320) 및 제2 지지풀리(320)로 구성된다. 더불 지지풀리(321)는 지지프레임(100)의 상단에 배치되어 제1 연결와이어(310a) 및 제2 연결와이어(310b)를 동시에 지지하고, 제1 지지풀리(320)는 지지프레임(100)의 일측 상단에 배치되어 제1 연결와이어(310a)를 지지하며, 제2 지지풀리(320)는 지지프레임(100)의 타측 상단에 배치되어 제2 연결와이어(310b)를 지지한다. 이와 같이, 연결와이어(310)는 차단벽(200)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제1 및 제2 연결와이어(310a),(310b)로 분리하여 연결함으로써, 차단벽(200)의 승강작동시 차단벽(200)의 좌,우측을 균형있게 유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사용예에 따른 하역기 호퍼의 분진차단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켓이 진입되는 방향에 대향되게 설치된 차단벽(200)의 제1 차단벽(200a)은, 도져(미도시)의 집광작업이 요구되는 경우, 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도져의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권취유닛(400)은 차단벽(200)의 하강 이동시 차단벽(200)이 권취될 수 있도록 차단벽(200)에 인장력을 인가하는 구성으로, 지지프레임(10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차단벽(200)의 하단이 고정되는 권취샤프트(420)와, 권취샤프트(420)를 원활하게 회전시키기 위한 테입식모터(4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이 테입식모터(420)는 연결와이어(310)의 상승 작동시 차단벽(200)을 풀어주는 방향으로 권취샤프트(420)를 회전시켜 주고, 연결와이어(310)의 하강 작동시 차단벽(200)의 권취 방향으로 권취샤프트(420)를 회전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차단벽(200)을 승강시키기 위해, 해당 차단벽(200)에 구동모터(300)가 각각 설치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두 개의 차단벽(200)을 하나의 구동모터(300)로 구동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구동샤프트(미도시)를 통해 제2 차단벽(200b) 측에 구비된 구동풀리(330)와 제3 차단벽(200c) 측에 구비된 구동풀리(330)를 서로 구동 연결함으로써, 구동모터(300)의 회전시 이들 구동풀리(330)가 동시에 회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구동모터(300)는 제2 차단벽(200b) 측에 마련된 구동풀리(330)에 구동 연결하거나, 제3 차단벽(200c) 측에 마련된 구동풀리(330)에 구동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료가 호퍼(510)에 투입되는 경우,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300)가 정방향으로 작동하게 되면, 연결와이어(310)가 당겨지도록 구동풀리(330)가 회전되면서 차단벽(200)이 상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1 및 제2 연결와이어(310a),(310b)는 차단벽(200)의 일측과 타측을 동시에 당겨 상승시키므로, 차단벽(200)의 승강작동시 차단벽(200)의 좌,우측을 균형있게 유지할 수 있다.
반면에, 장기간 휴지하거나 강한 바람이 부는 경우,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300)가 역방향으로 작동하게 되면, 연결와이어(310)가 풀리도록 구동풀리(330)가 회전되면서 차단벽(200)이 하방향으로 이동시켜, 강한 바람에 의한 분진차단장치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져의 집광작업이 요구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벽(200)중에서 제1 차단벽(200a)에 구동 연결된 구동모터(300)를 역방향으로 작동하게 되면, 제1 차단벽(200a)이 하방향으로 이동되어, 도져의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차단벽(200) 중에서 제2 및 제3 차단벽(200b),(200c)에 구동 연결된 구동모터(300)는 정방향으로 작동되어 제2 및 제3 차단벽(200b),(200c)이 상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지지프레임 110 :가이드레일
200 :차단벽 200a :제1 차단벽
200b :제2 차단벽 200c :제3 차단벽
300 :구동모터 310 :연결와이어
310a :제1 연결와이어 310b :제2 연결와이어
400 :권취유닛 410 :권취샤프트
420 :테입식모터

Claims (7)

  1. 하역기의 호퍼에 대한 원료 투입시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는 하역기 호퍼의 분진차단장치로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레일(110)이 구비되어 호퍼(510)의 입구부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00);
    상기 호퍼(510)의 입구부 가장자리에 측벽이 형성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벽(200); 및
    연결와이어(310)를 매개로 상기 차단벽(200)에 연결되어 상기 차단벽(200)을 승강시키는 구동모터(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기 호퍼의 분진차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단벽(200)의 하강 이동시 상기 차단벽(200)이 권취되도록 상기 차단벽(200)에 인장력을 인가하는 권취유닛(4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기 호퍼의 분진차단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200)은 호퍼(510) 투입을 위한 원료의 진행방향에 대해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 차단벽(200a)과, 상기 제1 차단벽(200a)을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 및 제3 차단벽(200b),(200c)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기 호퍼의 분진차단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와이어(310)는 상기 차단벽(200)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연결와이어(310a)와, 상기 차단벽(200)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 연결와이어(310b)로 구성되어, 상기 차단벽(200)의 좌,우측 균형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기 호퍼의 분진차단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와이어(310)는 상기 지지프레임(100)에 설치된 복수의 지지풀리(32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풀리(320)는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연결와이어(310a) 및 제2 연결와이어(310b)를 동시에 지지하는 더불 지지풀리(321)와,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일측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연결와이어(310a)를 지지하는 제1 지지풀리(320)와,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타측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연결와이어(310b)를 지지하는 제2 지지풀리(3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기 호퍼의 분진차단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권취유닛(400)은 양단이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차단벽(200)의 하단이 연결되는 권취샤프트(420)와, 상기 권취샤프트(420)를 회전시키기 위한 테입식모터(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기 호퍼의 분진차단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차단벽(200b) 및 상기 제3 차단벽(200c)은 상기 구동모터(300)에 연결와이어(310)를 매개로 구동연결되어, 상기 제2 및 제3 차단벽(200b),(200c)은 상기 구동모터(300)의 작동시 동시에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기 호퍼의 분진차단장치.
KR1020110045158A 2011-05-13 2011-05-13 하역기 호퍼의 분진차단장치 KR101256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158A KR101256527B1 (ko) 2011-05-13 2011-05-13 하역기 호퍼의 분진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158A KR101256527B1 (ko) 2011-05-13 2011-05-13 하역기 호퍼의 분진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6975A true KR20120126975A (ko) 2012-11-21
KR101256527B1 KR101256527B1 (ko) 2013-04-22

Family

ID=47512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5158A KR101256527B1 (ko) 2011-05-13 2011-05-13 하역기 호퍼의 분진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65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61148A (zh) * 2014-09-05 2015-01-07 宁波长华布施螺子有限公司 一种工件自动输送装置
CN109775400A (zh) * 2019-03-26 2019-05-21 山东峄州港务有限公司 一种新式清洁装船机
CN113727925A (zh) * 2019-05-24 2021-11-30 莱特拉姆有限责任公司 紧凑型分拣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555B1 (ko) * 2014-05-28 2015-12-30 현대제철 주식회사 투웨이 슈트장치
JP6897957B2 (ja) * 2017-04-12 2021-07-07 株式会社パディ研究所 暗渠管敷設装置
KR102100795B1 (ko) * 2018-08-28 2020-04-14 주식회사 포스코 하역장치 및 하역방법
KR102133115B1 (ko) * 2019-01-24 2020-07-10 현대제철 주식회사 분진비산방지용 슈트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717B1 (ko) 2008-05-30 2010-07-07 주식회사 포스코 언로더 낙광 방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61148A (zh) * 2014-09-05 2015-01-07 宁波长华布施螺子有限公司 一种工件自动输送装置
CN109775400A (zh) * 2019-03-26 2019-05-21 山东峄州港务有限公司 一种新式清洁装船机
CN113727925A (zh) * 2019-05-24 2021-11-30 莱特拉姆有限责任公司 紧凑型分拣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6527B1 (ko) 2013-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6527B1 (ko) 하역기 호퍼의 분진차단장치
CN103693591B (zh) 料斗提升装置
CN103183297B (zh) 一种移动救援电梯及救援车
CN111410107B (zh) 一种建筑工程施工用物料提升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537196B1 (ko) 연속식 하역기를 이용한 유연탄 하역방법
JP2008248664A (ja) カーテンウォールの揚重方法
KR101336396B1 (ko) 미세조정장치를 가지는 크레인
CN103962334A (zh) 用于大型工件的清洗机
JP4316514B2 (ja) 機械式駐車装置における作業装置とその作業方法
CN204604945U (zh) 自动卸胎装置
KR101068012B1 (ko) 요트 인양 크레인
JP3402948B2 (ja) 門形リクレーマ
KR200467068Y1 (ko) 자동용접장치
JP2007113345A (ja) 駐車装置と昇降装置
CN211644372U (zh) 一种用于岸桥的集装箱锁垫框吊装装置
KR100524663B1 (ko) 타워식 컨테이너 적재설비
CN209455994U (zh) 扶正器钢板剪切吊装机
KR101396493B1 (ko) 제진기용 스크린 승하강장치
KR101743095B1 (ko) 곤돌라용 승강장치
JP4558663B2 (ja) ダム用構造物の作業用設備
CN213709665U (zh) 一种河道防沙清淤施工设备
CN203653190U (zh) 料斗提升装置
KR20110009671U (ko) 스태커 크레인 점검용 케이지
JP5692915B2 (ja) 除塵装置
US1018360A (en) Aerial-cable hoister and conve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