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5949A - 힌지 기구 - Google Patents

힌지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5949A
KR20120125949A KR1020120042236A KR20120042236A KR20120125949A KR 20120125949 A KR20120125949 A KR 20120125949A KR 1020120042236 A KR1020120042236 A KR 1020120042236A KR 20120042236 A KR20120042236 A KR 20120042236A KR 20120125949 A KR20120125949 A KR 20120125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upport
shaft
pinion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2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츠토무 키쿠시마
Original Assignee
키요타 가부시키가이샤
토크베아링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요타 가부시키가이샤, 토크베아링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키요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120042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5949A/ko
Publication of KR20120125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59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1Top covers or the like
    • H04N1/00554Latches or hing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olders For Sensitive Materials And Original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독 장치에 부착한 후에, 부착 위치를 조정하는 작업성이 좋고, 부품 수를 억제한 힌지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판독 대상물을 누르는 기능을 구비한 원고 반송체(Y)측에 고정하는 개폐체(b)와, 상기 개폐체(b)와 회동 자재로 연결함과 아울러 판독 장치측에 부착되는 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판독 장치측에 고정되는 고정부(d)와, 상기 고정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된 슬라이드부(a)로 이루어지고, 고정부(d)에 대하여 슬라이드부(a)를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판독 장치(X)와 원고 반송체(Y)와의 상대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한 힌지 기구에 있어서, 고정부(d) 혹은 슬라이드부(a) 중 어느 한쪽에 피니언(p)을 마련하고, 다른 쪽에 랙(L)을 마련하고, 피니언(p)을 회전하기 위한 조작부(20a)를 지지체의 측면 바깥쪽으로 돌출시켜, 상기 조작부(20a)와 함께 피니언(p)을 돌림으로써 슬라이드부(a)가 전후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힌지 기구{HINGE APPARATUS}
본 발명은, 판독 장치와 그에 부착되는 지지체와의 위치 조정을 가능하게 한 힌지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 등의 판독 장치에 힌지 기구를 개재하여 개폐 가능하게 부착한 커버는, 원고를 반송하는 반송기구를 장착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판독 장치에서는, 커버에 내장된 반송기구에 의해 상기 커버와 판독 장치와의 사이에 반송된 원고를 판독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류의 장치에서는, 도 15와 같이, 원고 반송기구를 가지는 커버(Y)를 한 쌍의 힌지 기구(H1, H2)에 의해 판독 장치(X)에 부착하고 있는데, 이 힌지 기구(H1, H2)의 부착 위치에 따라 원고의 반송 방향과 원고의 판독 방향과의 관계가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CCD 등의 주사 방향, 즉 원고의 판독 방향(A)에 대하여, 원고의 반송 방향(B)이 다를 경우, 판독 방향에 대하여 원고가 비스듬히 반송되게 된다. 이와 같이, 원고가 판독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반송되면, 복사 화상이 비스듬히 된다.
이 때문에, 커버(Y)의 위치를 판독 장치(X)에 대하여 정확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힌지 기구(H1, H2)의 부착부의 위치를 엄밀하게 관리하는 것은 어렵다. 이 때문에 제조 현장에서도, 일단 판독 장치(X)에 부착하고 나서 힌지 기구(H1, H2)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또한, 유저측에서 설치 후에, 어떠한 원인으로 커버 위치가 어긋나거나, 원고 반송기구가 비뚤어지거나 해서, 커버(Y)의 위치 조정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종류의 위치 조정 기능을 가지는 힌지 기구로서는, 특허문헌 1, 2에 기재된 것이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이들 특허문헌 1, 2에 기재된 종래의 힌지 기구는, 판독 장치측에 부착하는 지지체가, 판독 장치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와, 이 고정 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한 슬라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를 슬라이드 부재측에 연결한 것이다.
그리고 한쪽의 힌지 기구(H2)를 슬라이드 방향(α)으로 약간 이동시킴으로써 커버(Y)의 경사를 조정하고, 원고 반송 방향을 판독 방향에 맞추도록 하고 있다.
특허문헌 1의 힌지 기구는, 상기 고정 부재의 배면보다 슬라이드 부재의 배면을 후방에 위치시키고, 슬라이드 부재의 배면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조정 나사 부재를 관통시키고, 고정 부재의 배면에는 나사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조정 나사를 나사 결합하고 있다. 상기 조정 나사를 고정 부재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슬라이드 부재가 고정 부재에 대하여 이동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특허문헌 1의 위치 조정 기구에서는, 조정 나사의 조작을 판독 장치의 배면으로부터 행해야 한다. 위치 조정을 위하여, 작업자가 판독 장치의 배면측으로 돌아가거나, 판독 장치를 이동시킬 필요가 있어, 작업성이 나쁘다.
또한, 상기 조정 나사의 조작부를 전방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커버를 연 상태에서 그 하방으로 머리를 넣은 채로 작업을 하게 되어, 커버가 쓰러져 작업자에 부딪힐 가능성이 있다. 특히 원고 반송기구를 구비한 커버(Y)는 무거우므로, 그것이 머리 등에 부딪치는 것은 위험하다.
한편, 특허문헌 2의 힌지 기구는, 지지체의 슬라이드부의 측면 외측에 돌출시킨 조정 나사를 돌림으로써, 고정 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드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드 부재의 양측면 사이에 걸친 조정 나사와, 이 조정 나사를 슬라이드 부재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너트와, 상기 조정 나사에 연결하고, 그 회전에 수반하여 조정 나사의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작동체와, 작동체에 마련된 계합(係合) 볼록부와, 고정 부재에 형성되고, 계합 볼록부를 끼우는 선(線) 형상의 계합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계합 오목부를 조정 나사의 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함으로써, 조정 나사의 회전에 의한 축 방향의 이동을 그에 직교하는 슬라이드 부재의 이동으로 변환하고, 슬라이드 부재에 연결한 커버 위치를 조정하도록 하고 있다. 이 특허문헌 2의 힌지 기구인 경우, 장치의 측면측으로부터의 조정 조작이 가능하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 제3930267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특허공개 2006-201293호 공보
특허문헌 2의 힌지 위치 조정 기구는, 판독 장치의 측면측으로부터의 조작이 가능하여, 특허문헌 1의 위치 조정 기구에 비해 작업성이 좋고, 커버가 부딪칠 우려도 없다.
그러나 이 특허문헌 2의 힌지 위치 조정 기구는, 부품 수가 많아 구조가 복잡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 수를 적게 하여 구조가 단순하고, 또한 위치 조정을 위한 작업성이 좋은 힌지 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판독 대상물을 누르는 기능을 구비한 원고 반송체측에 고정되는 개폐체와, 상기 개폐체와 회동 자재로 연결됨과 아울러, 판독 장치측에 부착되는 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판독 장치 측에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한 슬라이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슬라이드부를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판독 장치와 원고 반송체와의 상대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한 힌지 기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혹은 슬라이드부 중 어느 한쪽에 피니언을 마련하고, 다른 쪽에 랙을 마련하고, 상기 피니언을 회전하기 위한 조작부를 상기 지지체의 측면 바깥쪽으로 돌출시키고, 상기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피니언을 돌려 슬라이드부가 전후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힌지 기구에 비해, 부품수도 적고 구조도 단순화할 수 있으며, 또한 지지체의 측면으로부터 위치 조정 조작을 할 수 있으므로 조작이 용이하고, 작업성이 좋다.
또한, 원고 반송체를 열어 판독 장치의 전면으로부터 조작하는 경우와 같이, 원고 반송체가 떨어져서 부딪칠 우려도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지지 부재와 케이스 본체와의 각도를 60도로 유지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지지 부재와 케이스 본체와의 각도를 60도로 유지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지지 부재와 케이스 본체와의 각도를 90도로 유지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지지 부재와 케이스 본체와의 각도를 90도로 유지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지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지지 부재에 마련한 작동체의 부착 상태를 확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지지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9의 Z-Z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1 슬라이더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케이스 본체와 리프트 부재를 연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케이스 본체와 리프트 부재를 연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판독 장치와 커버와의 관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4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복사기에 사용되는 힌지 기구로서, 이 힌지 기구는, 복사기의 판독 장치(X)측(도 1, 13 참조)에 고정하는 지지 부재(a)와, 제 1 지지축(1)을 개재하여 상기 지지 부재(a)와 회동 자재로 지지된 케이스 본체(b)와, 제 2 지지축(2)을 개재하여 상기 케이스 본체(b)와 회동 자재로 지지된 리프트 부재(c)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a)는, 도 13에서도 명백한 바와 같이, 판독 장치(X)에 형성된 오목부에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 부재(a)는, 상기 복사기의 판독 장치(X) 측에 부착되는 평판부(a1)의 양측에 한 쌍의 기립편(起立片)(a2, a2)을 마련함과 아울러, 이들 기립편(a2, a2) 사이에 배측(背側) 기립편(a3)을 마련하고 있다(도 5 참조).
그리고 상기 양측편(a2, a2)에는 축 구멍(a5, a5)을 형성하고, 이 축 구멍(a5, a5)에 상기 제 1 지지축(1)이 지지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축 구멍(a5, a5)보다도 약간 전방 하측에는 축 구멍(a6, a6)을 형성하고, 이 축 구멍(a6, a6)에, 도 5에서 생략하고 있는 제 1 작동체로서의 한 쌍의 축 부재(3, 3)를 마련함과 아울러, 이들 축 부재(3, 3)는 서로의 축 중심선을 일치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도 6에서도 명백한 바와 같이, 축 부재(3, 3)의 기단(基端)에 플랜지부를 형성하고, 이들 축 부재(3, 3)의 선단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격을 유지하여 서로 대향시키고 있다.
상기 기립편(a2, a2) 사이에는 고정 부재(d)를 마련하되, 이 고정 부재(d)는, 상기 평판부(a1) 위에 중첩된 평판부(d1)와, 상기 기립편(a2, a2) 중 한쪽의 기립편(a2)측에 마련한 기립편(d2)으로 이루어지고, 나사 부재(13)(도 5, 8 참조)에 의해 판독 장치(X) 측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지지 부재(a)의 평판부(a1)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나사 부재(13)를 관통함과 아울러, 화살표(α)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장공을 형성하고, 지지 부재(a)가 고정 부재(d)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 부재(a)와 고정 부재(d)에 의해, 본 발명의 지지체를 구성함과 아울러, 지지 부재(a)의 평판부(a1)가 본 발명의 슬라이드부이고, 고정 부재(d)의 평판부(d1)가 본 발명의 고정부이다.
또한, 고정 부재(d)의 기립편(d2)에는 그 상단에 랙(L)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 5, 7 내지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부재(a)의 한쪽의 기립편(a2)에는 축 구멍(a7)을 형성하고, 기립편(a2)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관통하는 축 부재(20)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고 있다. 이 축 부재(20)의, 상기 기립편(a2)의 외측에 위치하는 한쪽의 단부에는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삽입 가능한 조작부(20a)를 구비하고, 다른 쪽에는 수나사부(20b)를 형성하고 있다.
이 수나사부(20b)와 상기 기립편(a2) 사이에는, 축 부재(20)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피니언(p)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도 5 내지 9에 있어, 부호 21은 너트이며, 이를 상기 수나사부(20b)에 결합하여 축 부재(20) 및 피니언(p)의 축 방향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p)을, 상기 고정 부재(d)에 형성된 랙(L)에 치합하는 위치에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지지체인 지지 부재(a)의 측면으로부터, 조작부(20a)를 조작하여 상기 축 부재(20)를 회전시키면 피니언(p)이 회전하면서 랙(L)을 따라 이동한다. 그 결과, 고정 부재(d)에 대하여 지지 부재(a)가 화살표(α) 방향으로 이동한다(도 5 참조). 즉, 상기 커버(Y)에 있어서 이 힌지 기구에 연결된 측의 위치를 변경하여, 커버(Y) 전체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축 구멍(a5, a5) 사이에 지지된 제 1 지지축(1)에는 케이스 본체(b)가 회동 자재로 지지되는데, 이 케이스 본체(b)는 그 상판(b1)의 양측에 아래로 쳐진 편(垂下片)(b2, b2)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지지축(1)은 이들 아래로 쳐진 편(b2, b2)을 관통하여 상기 축 구멍(a5, a5)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아래로 쳐진 편(b2, b2)으로서, 제 1 지지축(1)으로 지지된 측과는 반대 측에 제 2 지지축(2)을 걸치고 있는데,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제 2 지지축(2)의 양단을 아래로 쳐진 편(b2, b2)으로부터 돌출시킴과 아울러, 그 돌출단에 리프트 부재(c)를 회동 자재로 연결하고 있다. 즉, 리프트 부재(c)는 상기 케이스 본체(b)를 덮는 형상으로 하고, 상판(c1)의 양측으로부터 아래로 쳐지게 한 양측편(c2)을, 케이스 본체(b)의 아래로 쳐진 편(b2)의 외측을 따르게 함과 아울러, 이 양측편(c2)에 제 2 지지축(2)의 선단을 관통시켜, 이 리프트 부재(c)를 회동 자재로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케이스 본체(b)와 리프트 부재(c)는, 제 1, 2 지지축(1, 2)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제 2 지지축(2)에 지지된 리프트 부재(c)로서, 그 양측편(c2, c2) 사이에는 제 2 작동체(4)를 마련하고 있다. 이 제 2 작동체(4)는 상기 양측편(c2, c2) 사이에 걸친 1 개의 축 부재(4a)와, 이 축 부재(4a)에 회전 자재로 마련한 롤러(4b)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이를 상기 제 2 지지축(2)보다 하방에 위치시키고 있다. 그리고 케이스 본체(b)로서 제 1 지지축(1)과는 반대 측인 후측에는 도피 오목부(escape recess)(b3)를 형성하고(도 12 참조), 당해 제 2 작동체(4)가 리프트 부재(c)와 함께 회동했을 때, 도피 오목부(b3)에 의해 제 2 작동체가 케이스 본체(b)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부호(c3, c3)는 상기 양측편(c2, c2)의 하측에 마련한 부착편으로, 복사기의 커버(Y)(도 13 참조)에 고정하는 것이다. 즉, 상기 양측편(c2, c2) 부분은 커버(Y)에 매립하여 부착편(c3, c3)을 이 커버(Y)에 고정하는 것이다.
또한, 이 커버(Y)에는, 원고를 판독 장치(X)의 판독부로 반송하는 원고 반송기구를 장착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버(Y)가 본 발명의 원고 반송체를 구성한다. 그리고 원고 반송체인 커버(Y)를 리프트 부재(c)를 개재하여 케이스 본체(b)에 부착하고, 판독 장치(X)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케이스 본체(b)와 리프트 부재(c)에 의해 본 발명의 개폐체를 구성하고 있다.
한편, 케이스 본체(b)의 아래로 쳐진 편(b2, b2)의 내측 대향면인 가이드면 사이에는, 제 1, 2 슬라이더(5, 6)를 슬라이드 자재로 장착하고 있는데, 이들 제 1, 2 슬라이더(5, 6) 사이에는 압축 시에 탄성력을 발휘하는 코일 스프링(7)을 개재시키고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 스프링(7)의 탄성력의 작용으로, 상기 제 1 슬라이더(5)는 제 1 지지축(1)에 압접(壓接)하고, 제 2 슬라이더(6)는 제 2 작동체를 구성하는 롤러(4b)에 압접하고, 이들 제 1, 2 슬라이더(5, 6)는, 제 1 지지축(1)과 제 2 작동체를 구성하는 롤러(4b)와의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2 슬라이더(6)에 제 2 작동체의 롤러(4b)를 압접시키도록 했으므로, 이들 제 2 작동체와 제 2 슬라이더와의 접촉부에는 그리스를 도포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상기 제 1 슬라이더(5)에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전면(前面)에 형성된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끼임 방지 부재(8)를 일체로 성형하고 있는데, 이 끼임 방지 부재(8)의 양측에서 당해 끼임 방지 부재(8)와 직각을 이루는 캠 면(9, 9)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작동체인 축 부재(3, 3)는, 케이스 본체(b)가 지지 부재(a)에 대하여 회동하는 과정에서, 제 1 지지축(1)을 중심으로 원호 운동을 함과 아울러, 0도?60도의 범위에서 회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캠 면(9, 9)을 누르고, 코일 스프링(7)을 휘도록 하면서 제 1 슬라이더(5)를 밀어, 제 1 슬라이더(5)를 제 1 지지축(1)으로부터 이간(離間)시킨다.
또한, 지지 부재(a)와 케이스 본체(b)와의 각도가 설정 각도 이하인 범위,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에서는 60도 이하의 범위에 있을 때, 축 부재(3, 3)가 캠 면(9, 9)에 접촉하는 구성으로 하고, 60도 이상 90도의 범위에서는, 제 1 작동체인 축 부재(3, 3)는 캠 면(9, 9)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케이스 본체(b)가 지지 부재(a)에 대하여 90도의 위치를 유지하고 있을 때에는, 케이스 본체(b)의 상판(b1)의 후단이 지지 부재(a)의 배측 기립편(a3)에 닿아서, 90도 이상 회동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도 3 참조).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슬라이더(5)가 코일 스프링(7)에 대항하여 이동함으로써 코일 스프링(7)을 휘게 하는데, 그때의 코일 스프링(7)의 탄성력이 커버(Y)를 밀어 올리는 힘, 즉 커버(Y)를 여는 방향의 토크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복사기에 있어서, 커버(Y)가 닫힌 상태로부터 그것을 열 때에는, 코일 스프링(7)의 탄성력이 커버(Y)를 여는 힘에 대하여 어시스트하는 힘으로 된다.
반대로, 열린 상태의 커버(Y)를 닫을 때에는, 코일 스프링(7)의 탄성력이 커버(Y)의 급격한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감쇠력으로서 작용한다.
한편, 캠 면(9, 9)에 제 1 작동체인 축 부재(3, 3)를 압접시킨 상태에서, 상기 끼임 방지 부재(8)가 축 부재(3, 3)의 대향부 사이에 돌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케이스 본체(b)와 지지 부재(a)와의 회동 방향에서의 상기 끼임 방지 부재(8)의 길이는, 케이스 본체(b)와 지지 부재(a)가 회동하는 과정에서 축 부재(3, 3)가 접촉하는 제 1 슬라이더(5)의 접촉 범위와 거의 동등하거나, 혹은 그 이상인 길이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축 부재(3, 3)와 제 1 슬라이더(5)와의 상대 위치가 변화되는 상황 중에, 끼임 방지 부재(8)는 축 부재(3, 3) 사이에 반드시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 슬라이더(5)에 마련한 끼임 방지 부재(8)가 제 1 작동체인 축 부재(3, 3) 사이에 돌출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판독 대상물인 복사의 원고가 축 부재(3, 3)와 제 1 슬라이더(5)와의 사이에 들어가려 하더라도, 상기 끼임 방지 부재(8)가 방해가 되어 들어갈 수 없다. 이는 사람의 손가락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해당된다.
또한, 상기 복사 원고나 사람의 손가락이 끼어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축 부재(3, 3)의 대향부 사이에 끼임 방지 부재(8)가 돌출되어 있으면 되고, 제 1 작동체의 형태 등은 무관하다.
제 2 지지축(2)에 회동 자재로 지지된 리프트 부재(c)는, 예를 들어 두꺼운 책의 소정의 페이지를 복사할 때에, 케이스 본체(b)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이다.
즉, 두꺼운 책을 복사하기 위하여, 그 책을 판독 장치(X)에 놓음과 아울러, 이 상태에서 커버(Y)를 닫는 방향으로 회동하면, 커버(Y)가 상기 책에 닿을 때까지는, 케이스 본체(b)와 리프트 부재(c)가 일체가 되어, 제 1 지지축(1)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커버(Y)가 상기 책에 닿으면, 케이스 본체(b)는 그 회동이 멈춰져 그 위치에서 정지하지만, 이와 같이 케이스 본체(b)가 정지한 상태에서 더욱 커버(Y)를 회동하면, 이번에는, 리프트 부재(c)만이 제 2 지지축(2)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부재(a)와 리프트 부재(c)가 책의 두께만큼의 간격을 유지하여 평행해진다.
다음으로, 케이스 본체(b)와 리프트 부재(c)가 반대 방향으로 회동할 때의 코일 스프링(7)의 휨 상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케이스 본체(b)와 리프트 부재(c)가 제 1 지지축(1)을 중심으로 일체적으로 회동하고 있을 때에는, 제 1 작동체인 축 부재(3, 3)가 제 1 슬라이더(5)를 밀되, 이때에는 제 2 슬라이더(6)가 제 2 작동체(4)에 닿아 그 이동이 저지된 상태에 있다. 이 때문에, 제 1 작동체인 축 부재(3, 3)로 제 1 슬라이더(5)를 밀면, 제 1 슬라이더(5)만이 이동하여 코일 스프링(7)을 휘도록 하게 된다.
또한, 리프트 부재(c)가 회동할 때에는, 그 전에 제 1 슬라이더(5)가 이동하여 코일 스프링(7)을 휘게 한 상태로 하고 있다.
그리고 케이스 본체(b)의 회동이 정지한 상태, 즉 코일 스프링(7)이 휜 상태에서 리프트 부재(c)가 제 2 지지축(2)을 중심으로 회동하면, 제 2 작동체(4)인 롤러(4b)가, 제 2 지지축(2)을 중심으로 원호 운동을 함과 아울러, 그 과정에서 제 2 슬라이더(6)를 밀어 코일 스프링(7)을 더욱 휘게 한다.
따라서, 리프트 부재(c)가 회동했을 때에는, 케이스 본체(b)와 리프트 부재(c)가 일체로 회동했을 때보다 코일 스프링(7)의 휨 량이 커진다.
한편, 상기 제 1 슬라이더(5)에는 스프링받이(Spring bearing)(10)를 마련함과 아울러, 이 스프링받이(10)에는 조정 볼트(11)의 선단을 회전 자재로 서로 끼우고 있다. 이와 같이 한 조정 볼트(11)는, 제 1 슬라이더(5) 및 끼임 방지 부재(8)에 형성된 나사 구멍(12)을 개재하여 끼임 방지 부재(8)의 바깥쪽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이 조정 볼트(11)를 나사 구멍(12)에 대하여 회전하면, 조정 볼트(11)가 나사 구멍(12)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스프링받이(10)를 이동시켜 코일 스프링(7)을 휘게 하여, 코일 스프링(7)의 하중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은, 지지 부재(a)에 대한 케이스 본체(b) 및 리프트 부재(c)의 열림 정도, 즉 원고 반송체인 커버(Y)의 열림 정도가 거의 60도로 유지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은, 지지 부재(a)에 대한 케이스 본체(b) 및 리프트 부재(c)의 열림 정도, 즉 커버(Y)의 열림 정도가 거의 90도로 유지되어 있다.
상기 커버(Y)가 60도의 위치에 있을 때, 제 1, 2 슬라이더(5, 6)가 초기 위치를 유지하고, 코일 스프링(7)은 길이가 가장 늘어난 상태를 유지하고, 그 탄성력이 최소가 된다. 또한, 상기 60도에서 90도의 범위에서는, 제 1 작동체인 축 부재(3, 3)가 제 1 슬라이더(5)의 캠 면(9, 9)으로부터 떨어지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 상태, 즉 60도에서 90도의 범위에서는, 코일 스프링(7)의 탄성력에 의한 커버(Y)를 열고자 하는 토크가 제로가 되고, 60도에서 90도의 범위에서는, 커버(Y)는 코일 스프링(7)의 탄성력이 작용하지 않는 프리 회동 범위에 있게 된다.
또한, 코일 스프링(7)의 탄성력이 작용하지 않는 60도?90도의 범위는, 원고를 복사하는 작업 시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복사기의 수리 시 등에는 커버(Y)를 크게 열 필요가 있어, 이때에는 커버(Y)를 90도까지 여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커버(Y)를 60도의 열림 정도로 유지한 도 1의 상태로부터 그것을 닫는 방향으로 회동하면, 그때의 상태를 상대적으로 표현하면, 제 1 작동체인 축 부재(3, 3)가 제 1 슬라이더(5)를 밀어서, 이 제 1 슬라이더(5)를 코일 스프링(7)에 대항하여 이동시킨다. 또한, 이때에는, 제 2 슬라이더(6)는 제 2 작동체(4)의 롤러(4b)에 눌려져 그 이상 후퇴하지 않으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슬라이더(5)가 이동하면 코일 스프링(7)이 휘어 탄성력을 발휘한다.
또한, 제 1 슬라이더(5)가 코일 스프링(7)에 대항하여 이동하면, 제 1 지지축(1)과 제 1 작동체인 축 부재(3, 3)가 제 1 슬라이더(5)에 대하여 토크를 발휘하기 위한 암 길이가 서서히 짧아진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7)의 탄성력과 상기 토크를 발휘하는 암 길이와의 상대적인 관계 하에, 커버(Y)를 여는 방향의 토크가 변화되어 가는데, 본 실시형태에서의 토크는, 커버(Y)의 열림 정도가 60도일 때에 최소이며, 커버(Y)를 닫아감에 따라 당해 토크가 커지는 동시에, 상기 열림 정도가 10?15도 전후에서 그 토크가 최대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토크는 커버(Y)가 자체의 무게로 급격히 닫히지 않도록 하기 위한 감쇠력으로서 작용한다.
그리고 상기 10?15도보다 열림 정도가 작아지면, 코일 스프링(7)의 휨 량이 커지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토크를 발휘하는 암 길이가 짧아지는 것과, 커버(Y)의 무게에 의해 결정되는 닫힘 방향의 모멘트가 총체적으로 작용하여, 커버(Y)를 여는 방향의 힘이 급격히 약해지고, 커버(Y)가 완전히 닫힌 상태인 열림 정도 제로 시에는, 코일 스프링(7)의 휨 량이 최대가 되는데, 제 1 슬라이더(5)에 토크를 작용시키기 위한 지지축(1)과 축 부재(3, 3)와의 상기 암 길이가 최소가 되어서, 커버(Y)를 열고자 하는 토크는 최소가 된다.
이와 같이 커버를 열고자 하는 토크가 최소인 상태에서는, 커버(Y)가 닫힌 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커버(Y)의 자체 무게로 원고를 누르게 된다.
본 실시형태의 힌지 기구는, 고정 부재(d)에 형성된 랙(L)과, 기립편(a2)에 부착된 피니언(p)에 의해, 그 측면 측으로부터 힌지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랙(L)을 고정 부재(d)와 일체적으로 형성하면, 위치 조정을 위하여 개별적으로 필요한 부품은, 피니언(p)과, 이를 정지시키는 축 부재(20) 및 너트(21)뿐이다.
따라서, 상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종래의 힌지 기구에 비해, 부품 수를 적게 하여, 구조를 간략화하면서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고정부측에 랙(L)을 형성하고, 슬라이드부측에 피니언(p)을 부착하고 있지만, 랙(L)을 슬라이드부측에 마련하고, 피니언을 고정부측에 마련하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 본체(b)와 상대 회동하는 리프트 부재를 구비하고, 이 리프트 부재에 원고 반송체인 커버(Y)를 고정하고, 리프트 부재(c)와 케이스 본체(b)에 의해 개폐체를 구성하고 있지만, 리프트 부재를 구비하지 않고 케이스 본체(b)만으로 개폐체를 구성하는 힌지 기구에도, 상기 랙(L) 및 상기 피니언(p)을 사용한 위치 조정 기구를 적용하는 것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코일 스프링(7)에 의해, 커버(Y)의 급격한 낙하를 방지하는 기구를 구비하지 않는 것에도, 상기 랙(L) 및 상기 피니언(p)을 사용할 수는 있다. 요컨대, 판독 장치(X)에 대하여 커버(Y)를 개폐 가능하게 부착하는 힌지라면, 그 어떤 것에도 본 실시형태의 지지체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조정이 가능한 본 실시형태의 힌지 기구는, 커버(Y)를 부착하기 위하여 복수의 힌지 기구를 이용했을 경우, 그 모두에 상기 실시형태의 힌지 기구를 이용할 필요는 없다.
원고 반송기구를 구비한 커버를 가지는 복사기의 힌지 기구로서 가장 적합하다.
X: 판독 장치
Y: (원고 반송체를 구성하는) 커버
a: (지지체의 슬라이드부를 구성하는) 지지 부재
b: (개폐체를 구성하는) 케이스 본체
c: (개폐체를 구성하는) 리프트 부재
d: (지지체의 고정부를 구성하는) 고정 부재
L: 랙
p: 피니언
20: 축 부재
20a: 조작부

Claims (1)

  1. 판독 대상물을 누르는 기능을 구비한 원고 반송체측에 고정되는 개폐체와, 상기 개폐체와 회동 자재로 연결됨과 아울러 판독 장치측에 부착하는 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판독 장치측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된 슬라이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슬라이드부를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판독 장치와 원고 반송체와의 상대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한 힌지 기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혹은 슬라이드부 중 어느 한쪽에 피니언을 마련하고, 다른 쪽에 랙을 마련하고, 상기 피니언을 회전하기 위한 조작부를 상기 지지체의 측면 바깥쪽으로 돌출시키고, 상기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피니언을 돌려 슬라이드부가 전후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한 힌지 기구.
KR1020120042236A 2011-05-09 2012-04-23 힌지 기구 KR201201259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236A KR20120125949A (ko) 2011-05-09 2012-04-23 힌지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04731 2011-05-09
KR1020120042236A KR20120125949A (ko) 2011-05-09 2012-04-23 힌지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5949A true KR20120125949A (ko) 2012-11-19

Family

ID=47511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2236A KR20120125949A (ko) 2011-05-09 2012-04-23 힌지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594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30218B1 (en) Hinge with elastic opening means for door leaves of furniture
JP5572861B2 (ja) マルチリンクヒンジ
US8904709B2 (en) Movable holder
TWI402409B (zh) 傢俱鉸鏈(二)
US10781621B2 (en) Hinge device and office equipment using the same
US8088983B2 (en) Fallboard opening and closing device
CN202904430U (zh) 设备打开和关闭机构以及信息设备
JP6175191B2 (ja) 可動家具部品用のアクチュエータ
JPH08110600A (ja) 複写機の原稿押え装置
CN101605479A (zh) 活动家具部件的推出器
TWI501881B (zh) 原稿壓合板開闔裝置及事務機器
KR100896884B1 (ko) 힌지장치 및 휴대기기
JP2020523508A (ja) 閉鎖力を調節するための装置を有する家具用ヒンジ
EP1928155B1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JP5148228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JP2008250150A (ja) 原稿押さえのヒンジ構造
JP2022070476A5 (ko)
KR20120125949A (ko) 힌지 기구
JP6714012B2 (ja) ドアエッジプロテクター装置
KR102542345B1 (ko) 가구 힌지, 가구 패널 및 가구 본체
JP2017181598A (ja) ヒンジ並びにこのヒンジを備えた事務機器
JP5256774B2 (ja) 電力遮断機構、画像形成装置
JP2018071223A (ja) 扉体開閉装置並びにこの扉体開閉装置を備えた各種キャビネット
JP2012237918A (ja) ヒンジ機構
JP3226615U (ja) 多機能プリンタ及びヒンジ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