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3301A -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제 - Google Patents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3301A
KR20120123301A KR1020127017437A KR20127017437A KR20120123301A KR 20120123301 A KR20120123301 A KR 20120123301A KR 1020127017437 A KR1020127017437 A KR 1020127017437A KR 20127017437 A KR20127017437 A KR 20127017437A KR 20120123301 A KR20120123301 A KR 20120123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llagen
group
atopic dermatit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7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아키 히구치
아츠시 나리세
겐지 오사와
가츠마사 시미즈
마사노리 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Publication of KR20120123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33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39Connective tissue peptides, e.g. collagen, elastin, laminin, fibronectin, vitronectin, cold insoluble globulin [CI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6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75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animal origin, e.g. chitin
    • A23L29/281Proteins, e.g. gelatin or collagen
    • A23L29/284Gelatin; Collage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4Antipruri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Immunology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lmo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제 그리고 그것을 함유하는 식품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 결과, 콜라겐을 경구 섭취함으로써, 아토피성 피부염이 예방되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은 콜라겐으로 이루어지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제 및 상기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제를 함유하는 음식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제{PROPHYLACTIC AGENT FOR ATOPIC DERMATITIS}
본 발명은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제 그리고 그것을 함유하는 식품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악화?완화를 반복하는, 가려움이 있는 습진을 주병변으로 하는 질환이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주요 병변은, 피부의 홍반 또는 구진, 귓불 갈라짐, 건조성 피부, 비강 (粃糠) 형 낙설 (落屑) 을 수반하는 모공 일치성 각화성 구진, 환부 피부의 소파흔을 들 수 있다. 최근의 조사에 의하면, 아토피성 피부염의 유증률은 4 개월 아기 12.8 %, 18 개월 아기 9.8 %, 36 개월 아기 13.2 %, 초등학교 1 학년생 11.8 %, 초등학교 6 학년생 10.6 %, 대학 1 학년생 8.2 % 이고, 소아에 있어서는 10 명에 1 명으로 높다. 원인?악화 인자는 음식물, 발한, 환경 인자, 세균 진균, 접촉 항원, 스트레스 등이 주된 것으로 되어 있고, 그 치료 나아가서는 예방이 요구된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는 1) 원인?악화 인자의 검색과 대책 2) 스킨 케어3) 약물 요법에 의해 행해진다. 1) 2) 에 의해 증상이 가벼워지지 않는 경우에 약물에 의한 치료가 행해진다. 약물은 스테로이드 외용약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많은 종류의 스테로이드 외용약이 존재한다. 한편, 비스테로이드계의 외용약으로는, 면역 조정제인 프로토픽은 최근 그 유용성을 인정받고 있다. 또, 경구약으로는 항히스타민약, 항알레르기약 등이 사용되고, 최중증도의 환자에 한해서는 스테로이드의 내복약이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스테로이드는 외용약으로서 사용했을 경우, 피부의 위축, 혈관 확장, 모낭염 등의 부작용이 수반되는 경우가 있어, 후생 노동 과학 연구반에 의해 작성된 가이드 라인에 따르면 안면에는 스테로이드 외용약을 가능한 한 사용하지 않도록 지도하고 있다. 또 스테로이드약에 대해서는 부작용을 불안하게 생각하여 거부 반응을 보이는 환자가 많다. 한편, 프로토픽은, 1999 년 11 월에 사용이 인정된 비교적 새로운 약제로서, 여전히 소아에게는 저농도에서의 사용밖에 인정되지 않고, 나아가 2 세 이하의 소아에게는 저농도의 사용도 인정되고 있지 않다. 내복약인 항히스타민약, 항알레르기약은 졸음, 나른함, 또 항콜린 작용에 수반하는 담의 객출 곤란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아토피성 피부염의 발증 전의 예방에 대해서는, 현재로서는 그다지 보고가 이루어져 있지 않다. 그러나,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는 증가할 뿐이고, 그 예방은 절망적이다. 예방이라는 관점에서는 안전성이 확보되고, 부작용이 없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예방을 위해서 사용되는 물질은 천연물이나 나아가서는 식품 재료에서 유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콜라겐은 동물의 결합 조직을 구성하는 주요 단백질 성분이고, 젤라틴이나 아교풀의 원료로서, 예로부터 식품 재료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또, 콜라겐은 일상적으로도 고기를 삶거나 함으로써 섭취되는 것으로서, 안전성이 널리 확인되고 있다. 콜라겐은 콜라겐 삼중 나사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을 말하고, 전부 30 종류 이상이 보고되어 있고, 각각 I 형, II 형과 같이 불린다. 진피, 인대, 힘줄, 뼈 등에서는 I 형 콜라겐이, 관절 연골에서는 II 형 콜라겐이 주성분이다. 또, 모든 상피 조직의 보강 구조인 기저막에는 IV 형 콜라겐이 주로 함유되어 있다. 체내에서 가장 풍부하게 존재하는 것은 I 형 콜라겐이다.
마린 콜라겐의 도포, 또는 경구 투여가 발증 후의 아토피성 피부염을 억제하는 것이, 마우스의 아토피성 피부염 모델을 사용하여 기재되어 있다 (비특허문헌 1). 그러나, 발증 전의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에 대해서는 조금도 언급되어 있지 않다.
(비특허문헌 1) 재단법인 홋카이도 과학기술 종합진흥센터 평성 17년 (평성 16 년도 채택분) 연구개발조성 사업보고서 p161-174
본 발명은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제 그리고 그것을 함유하는 식품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 결과, 콜라겐을 경구 섭취함으로써, 아토피성 피부염이 예방되는 것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콜라겐으로 이루어지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제 및 상기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제를 함유하는 음식품을 제공한다.
콜라겐은 포유류의 생체에서 총 단백당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 저렴하게 입수할 수 있다. 또, 콜라겐은 젤라틴이나 아교풀의 원료로서, 예로부터 식품 재료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나아가 일상적으로도 고기를 삶거나 함으로써 섭취되는 것으로서, 안전성이 널리 확인되고 있다.
도 1 은 각 군의 임상 증상 스코어의 추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각 군의 스크래칭 행동 횟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각 군의 스크래칭 행동 시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각 군에 있어서의 시험 개시 전후의 혈중 총 IgE 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각 군에 있어서의 경(經) 표피 수분 상실량 (TEWL) 의 추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각 군에 있어서의 체중의 추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각 군에 있어서의 육안적 소견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각 군에 있어서의 머리 뒤쪽 피부 조직의 호산구수와 비만 세포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콜라겐으로 이루어지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제 및 그것을 함유하는 음식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콜라겐은, 그 유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소나 돼지 등의 포유류, 닭, 타조 등의 조류, 상어 등의 어류 등에서 유래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소, 돼지, 닭 등 가축에서 유래하는 것은 대량으로 입수하기 쉽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또, 콜라겐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형태도 사용할 수 있고, 또 복수 형태의 콜라겐 혼합물이어도 된다. 또한, 콜라겐은 콜라겐 그 자체여도 되고, 또, 젤라틴, 나아가서는 콜라겐 펩티드여도 된다. 젤라틴이란 콜라겐을 산이나 알칼리로 전처리하고, 열가수분해하여 가용화한 것을 가리킨다. 콜라겐 펩티드는 콜라겐을 산, 알칼리, 효소 등으로 가수분해하여 얻어지는 저분자 콜라겐을 말한다. 예를 들어, 콜라겐 가수분해물은 돼지, 소 및 닭 등의 동물 가죽이나 관절 또는 물고기의 비늘이나 가죽을 산 또는 알칼리성의 액에 침지하고, 추출에 의해 젤라틴을 얻고, 이것을 효소나 산으로 처리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제는 경구용이지만, 그 형태는 관계없고, 예를 들어, 정제, 캡슐제, 드링크제 등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나아가서는, 본 발명의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제는 음식물에 함유시켜 투여되어도 되고, 그 경우, 함유될 수 있는 음식물은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신선 식품, 고기, 물고기 등의 동물성 식품, 곡물, 야채 등의 식물성 식품, 유제품, 빵, 인스턴트 식품 등의 가공 식품, 과자류 등의 기호 식품, 감미료, 조미료 등의 조리 조미용 재료, 건강 식품, 특별 용도 식품, 물, 청량 음료수, 알코올 음료, 차 등의 음료, 식품 가공 재료, 식품 첨가물 등에 함유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NC/NgaTnd 마우스를 사용한 콜라겐 섭취의 피부염 예방 효과의 확인
실험 내용
콜라겐의 섭취가 알레르기에 의한 피부염의 증상 개선에 효과를 나타내는지의 여부에 대해서 동물 시험에 의해 검토하였다. 즉, 아토피성 피부염 자연 발증 모델 마우스인 NC/NgaTnd 마우스를 사용하여 시험을 행하였다.
사료
사료는 콜라겐 혼이 (混餌) 사료 및 대조 사료를 사용하였다. 콜라겐 혼이 사료는 대조 사료에 0.20 % 의 콜라겐 펩티드를 첨가한 것이다. 콜라겐 혼이 사료는 1 일당의 콜라겐 섭취량이 200 ㎎/㎏ 이 되도록 조정되어 있다. 콜라겐 혼이 사료 중의 콜라겐은 제라이스 주식회사의 돼지 콜라겐 펩티드를 사용하였다. 돼지 콜라겐 펩티드는 돼지의 가죽을 산 또는 알칼리성의 액에 침지 후, 추출에 의해 젤라틴을 얻은 것을, 추가로 효소 분해한 것이다. 또한, 본 콜라겐 펩티드는 주로 돼지의 I 형 콜라겐에서 유래한다.
실험 항목 및 내용
5 주령의 NC/NgaTnd 마우스의 암수를 1 군당 7 마리, 2 군이 되도록 준비하였다. 이것들을 각각 콜라겐 투여군 및 대조 사료 투여군으로 하였다. 모두 1 주일의 예비 사육 후, 각각, 콜라겐 혼이 사료 또는 대조 사료, 및 물을 6 주일 동안 자유 섭취시켰다. 어느 마우스도, 사료의 투여 개시시에는 피부염을 발병하지 않았다. 각 사료 투여 기간 중 및 그 전후에 있어서, 각각의 군에 대해서 이하의 7 항목을 평가하였다. 각 항목의 시험 실시 시기를 괄호 내에 나타낸다. (1) 임상 증상 스코어의 판정 (사료 투여 기간 중 2 회/주) (2) 소파 (搔爬) 횟수 및 지속 시간의 측정 (사료 투여 기간의 전후) (3) 혈중 총 IgE 치 측정 (사료 투여 기간의 전후) (4) 경표피 수분 상실량 (TEWL) 측정 (사료 투여 기간 중 1 회/2 주) (5) 체중 측정 (사료 투여 기간 중 1 회/2 주), (6) 피부 병변의 육안 관찰 (사료 투여 기간 종료시) 및 (7) 조직학적 검사 (사료 투여 기간 종료 후).
각 평가 항목의 시험 방법
(1) 임상 증상 스코어의 판정
시험식 급이 개시 전날 및 급이 개시일부터 최종 급이 다음날까지의 매주 2 회,「소양 증상」,「홍반/출혈」,「부종」,「찰상/미란」,「낙설/건조」의 5 항목에 대해서「0:없음」,「1:경도」,「2:중등도」,「3:중도」의 4 단계로 나누어 판정하고, 각 항목의 합계 스코어로 나타내었다. 또한, 판정하는 사람과 급이하는 사람은 시험 기간을 통하여 다른 사람이 행하고, 판정자에게 동물이 어느 군에 속하는지를 모르게 하여 행하였다.
(2) 소파 횟수 및 지속 시간의 측정
측정 환경에 순화시키는 목적에서, 시험식 급이 개시의 3 일전부터 1 일 1 회 2 일간 30 분간의 소파 횟수 측정 장치 (SCLABA (등록상표) -Real, 노벨테크) 내에서 순화시켰다. 사료 투여 개시 전의 소파 횟수 및 지속 시간의 측정은 급이 개시 전날에 30 분간 순화시킨 후, 30 분간의 촬영, 기록을 행하였다. 사료 투여 기간 종료 다음날에, 동일한 방법으로 순화시킨 후, 소파 횟수 및 지속 시간의 촬영, 기록을 30 분간 행하였다. 또한, 촬영은 촬영일과 개체 번호를 기록하고, 12:00 에서 18:00 사이에 행하였다.
(3) 혈중 총 IgE 치 측정
사료 투여 개시 전에는 꼬리 정맥으로부터, 또 사료 투여 기간 종료 다음날에 소파 횟수 및 지속 시간의 촬영?기록을 행한 후, 에테르 마취 하에 헤파린 처리한 시린지를 사용하여 혈액 약 1 ㎖ 를 복부의 대동맥으로부터 채혈하였다. 채취한 혈액은, 원심 분리 (4℃) 에 의해 혈장을 분리하고 동결 보존 (-20 ℃) 하였다. 보존된 혈장을 이용하여 IgE 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IgE 의 측정은, 2 종류의 상이한 에피토프를 인식하는 항마우스 IgE 항체 (YAMASA, ME-01-DE 및 ME-02-B) 를 사용한 샌드위치 ELISA 법에 의해서 실시하였다.
(4) TEWL 측정
사료 투여 개시 전 및 사료 투여 기간 종료 후의 2 회, 및 그 사이의 2 주일에 1 회 측정하였다. 마우스의 등부를 측정 전날에 체모하고, 멀티 프로브 어댑터 (CK electronic GmbH사 제조) 를 사용하여 등부의 TEWL 을 측정하였다. 매회 1 개체에 대해서 3 회 측정하고, 그 평균치를 갖고 TEWL 로 하였다.
(5) 체중 측정
사료 투여 개시 전날부터 2 주일마다 실시하였다. 측정에는, 전자 천칭 (안스톤한센사, HL-320) 을 사용하였다.
6) 피부 병변의 육안 관찰
사료 투여 기간 종료시의 각 군의 마우스의 머리 뒤쪽 및 얼굴부를 사진 촬영하였다.
(7) 조직학적 검사
사료 투여 기간 종료 후, 등부의 피부를 채취하여 10 % 완충 포르말린에 의해서 고정시키고, 파라핀 포매한 후에 박절 표본을 제작하였다. 조직 표본은, 콩고-레드 염색 및 톨루이딘 블루 염색을 한 후, 현미경하 강(强) 확대 (400 배) 에 의해서 각각 호산구수 (콩고-레드 염색 표본) 및 비만 세포수 (톨루이딘 블루 염색 표본) 를 세었다. 각 표본당 4 시야의 평균치를 갖고 개체 데이터로 하여 군마다 집계하였다.
실험 기간
평성 19 년 1 월 17 일 ? 평성 19 년 5 월 25 일
결과
(1) 임상 증상 스코어의 판정
결과를 표 1 및 도 1 에 나타낸다. 도 1 에서는, 각 군의 임상 증상 스코어의 평균치±표준 오차를 각각, ○ (대조 사료군), ▲ (콜라겐 투여군) 으로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양 군에 있어서, 사료 투여 개시시의 임상 증상 스코어는 0 (미발증) 이었다. 대조 사료 투여군에서는, 사료 투여 개시 3 일 후부터 시간 경과적인 임상 증상 스코어의 상승이 확인되고, 사료 투여 기간 종료시의 임상 증상 스코어는 5.9±1.7 이었다. 콜라겐 투여군에서는, 사료 투여 개시 후 25 일째까지는 대조 사료 투여군과 거의 동일하게 피부염 스코어가 증가되어 갔으나, 사료 투여 개시 25 일 후 이후 피부염 증상은 현저한 악화를 나타내지 않고, 사료 투여 기간 종료 후 (43 일째) 의 임상 증상 스코어는 3.6±0.8 로 경도의 상태를 유지하였다. 콜라겐 투여군에서는, 사료 투여 개시 25 일째 이후 사료 투여 기간 종료까지, 통계학적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지만, 대조 사료군에 비해 낮은 임상 증상 스코어를 나타내는 경향이 있었다.
(2) 소파 횟수 및 지속 시간의 측정
도 2 에 각 군에 있어서의 사료 투여 기간 전후의 스크래칭 행동 횟수 (30 분간) 를 나타낸다. 사료 투여 개시 전 (0 일째) 및 사료 투여 기간 종료 후 (43 일째) 의 데이터는, 평균치±표준 오차 (각 군 7 마리) 로 표기하였다.
도 3 에 각 군에 있어서의 사료 투여 기간 전후의 스크래칭 행동 시간 (초/30 분간) 을 나타낸다. 사료 투여 개시 전 (0 일째) 및 사료 투여 기간 종료 후 (43 일째) 의 데이터는, 평균치±표준 오차 (각 군 7 마리) 로 표기하였다.
양 군에 있어서, 사료 투여 개시 전 (시험 0 일째) 의 스크래칭 행동 횟수 (Scratching Frequency) 및 스크래칭 행동 시간 (Scratching Duration) (초) 는, 30 분간의 촬영 시간당 각각 10 회 및 10 초 정도였다. 양 군 모두, 사료 투여 개시 전에 비해 사료 투여 기간 종료 후 (43 일째) 에는 스크래칭 행동 횟수 및 스크래칭 행동 시간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지만, 스크래칭 행동 횟수 및 스크래칭 행동 시간이나 콜라겐 투여군에서는, 대조 사료 투여군과 비교하여 그 수치가 낮았다.
(3) 혈중 총 IgE 치 측정
도 4 에 각 군에 있어서의 사료 투여 기간 전후의 혈중 총 IgE 치를 나타낸다. 사료 투여 개시 전 (0 일째) 및 사료 투여 기간 종료 후 (43 일째) 의 데이터는, 평균치±표준 오차 (각 군 7 마리) 로 표기하였다.
사료 투여 개시 전 (0 일째) 의 혈중 총 IgE 치 (ng/㎖) 는 500 ng/㎖ 전후로, 군간에 통계학적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시험 종료 후 (43 일째) 에는 모두 혈중 총 IgE 치는 증가했으나, 콜라겐 투여군에서는, 통계학적인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으나, 혈중 총 IgE 치는 대조 사료군과 비교하여 낮았다.
(4) TEWL 측정에 대하여
도 5 에 각 군에 있어서의 TEWL 의 추이를 나타낸다. 사료 투여 개시 전 (0 일째), 15 일째, 29 일째, 및 사료 투여 기간 종료 후 (43 일째) 의 데이터를 평균치±표준 오차 (각 군 7 마리) 로 표기하였다.
양 군에 있어서, 사료 투여 개시시의 TEWL 은 5 g/hr/㎡ 이하로, 정상 범위 내였다. 사료 투여 개시 15 일째 이후, TEWL 은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특히 대조 사료 투여군에서는 시간 경과적으로 상승, 사료 투여 기간 종료시 (43 일째) 에는 25.97±3.85 g/hr/㎡ 로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콜라겐 투여군에서도 상승했으나, 사료 투여 기간 종료시에는 23.72±9.38 g/hr/㎡ 로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지만, 수치는 약간 낮았다.
(5) 체중 측정
도 6 에 각 군에 있어서의 체중의 추이를 나타낸다. 사료 투여 개시 전 (0 일째), 15 일째, 29 일째, 및 사료 투여 기간 종료 후 (43 일째) 의 데이터를 평균치±표준 오차 (각 군 7 마리) 로 표기하였다.
사료 투여 개시시의 체중은 18.7 ? 20.8 g 이었다. 그 후, 양 군 모두 시간 경과적으로 증가하여, 증가율에 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6) 피부 병변의 육안 관찰
도 7 에 각 군에 있어서의 육안적 소견을 나타낸다. 이것들의 매크로 사진은, 사료 투여 기간 종료 후의 각 군의 마우스에 대해서 (7) 의 조직학 검사의 시료 채취 전에 촬영한 것이다.
B;콜라겐, D;대조 사료 시험 종료시의 각 군의 마우스의 머리 뒤쪽 및 얼굴부의 육안적 소견을 비교하면, 대조 사료 투여군에서는 각 부위의 피부염이 진행되고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콜라겐 투여군에서는, 피부염은 발증되었지만 경도였다.
(7) 조직학적 검사
도 8 에 각 군에 있어서의 머리 뒤쪽 피부 조직의 호산구수와 비만 세포수를 나타낸다. 이것들은 사료 투여 기간 종료 후 (43 일째) 에 채취한 피부 조직에 관해서 센 결과를, 평균치±표준 오차 (각 군 7 마리) 로 표기하였다. 콜라겐 투여군에서는, 대조 사료군과 비교하여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지만 호산구수, 비만 세포수 모두 세포수는 적었다.
실시예 1 의 정리
양 군 모두, 사료 투여 개시시에는 어느 시험에서나 피부염은 확인되지 않았다.
어느 군에서나 그 후 피부염을 발증되지만, 콜라겐 혼이 사료가 투여된 NC/NgaTnd 마우스에 있어서는, 임상 증상 스코어, 소파 횟수 및 지속 시간, 혈중 총 IgE 치, TEWL, 병변의 육안 관찰, 및 조직학적 검사에 있어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수치의 저하가 확인되었다. 이상으로부터, 발증 이전부터 콜라겐을 투여함으로써, 아토피성 피부염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 나타났다.
한편, 콜라겐 투여군에 있어서도, 체중 증가는 대상 사료 투여군과 다르지 않고, 콜라겐 투여의 안전성이 확인되었다.
이하의 처방에 의해서, 음료, 산제, 정제, 추잉껌, 캔디, 정과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음료의 처방
콜라겐 펩티드 5.0 중량부
과당 포도당 액당 8.0 중량부
설탕 4.0 중량부
향료 0.5 중량부
비타민 C 5.0 중량부
산미료를 사용하여 pH 3.8 로 조정한 후, 정제수로 100 용량부로 하였다.
실시예 3
음료의 처방
콜라겐 펩티드 5.0 중량부
수크랄로스 0.005 중량부
스테비오사이드 0.008 중량부
레바우디오사이드 0.008 중량부
아세술팜칼륨 0.01 중량부
피치 향료 0.5 중량부
비타민 C 0.5 중량부
산미료를 사용하여 pH 3.8 로 조정한 후, 정제수로 100 용량부로 하였다.
실시예 4
음료의 처방
콜라겐 펩티드 5.0 중량부
산성 유성 (乳性) 음료  5.0 중량부
과당 포도당 액당 10.0 중량부
향료 0.5 중량부
비타민 C 5.0 중량부
산미료를 사용하여 pH 3.8 로 조정한 후, 정제수로 100 용량부로 하였다.
실시예 5
음료의 처방
콜라겐 펩티드 5.0 중량부
과당 포도당 액당 10.0 중량부
벌꿀  5.0 중량부
향료 0.5 중량부
비타민 C 5.0 중량부
산미료를 사용하여 pH 3.8 로 조정한 후, 정제수로 100 용량부로 하였다.
실시예 6
젤리 음료의 처방
콜라겐 펩티드 5.0 중량부
수크랄로스 0.005 중량부
스테비오사이드 0.008 중량부
레바우디오사이드 0.008 중량부
아세술팜칼륨 0.01 중량부
피치 향료 0.5 중량부
비타민 C 5.0 중량부
겔화용 안정제 0.5 중량부
산미료를 사용하여 pH 3.8 로 조정한 후, 정제수로 100 용량부로 하였다.
실시예 7
젤리 음료의 처방
콜라겐 펩티드 5.0 중량부
과당 포도당 액당 8.0 중량부
설탕 4.0 중량부
향료 0.5 중량부
비타민 C 5.0 중량부
겔화용 안정제 0.5 중량부
산미료를 사용하여 pH 3.8 로 조정한 후, 정제수로 100 용량부로 하였다.
실시예 8
커피 음료의 처방
콜라겐 펩티드 5.0 중량부
커피 엑기스 5.0 중량부
설탕 4.0 중량부
향료 0.5 중량부
비타민 C 0.5 중량부
중조를 사용하여 pH 6.5 로 조정한 후, 정제수로 100 용량부로 하였다.
실시예 9
녹차 음료의 처방
콜라겐 펩티드 5.0 중량부
녹차 추출액 10.0 중량부
향료 0.5 중량부
비타민 C 0.5 중량부
중조를 사용하여 pH 6.5 로 조정한 후, 정제수로 100 용량부로 하였다.
실시예 10
산제의 처방
콜라겐 펩티드 90.0 중량부
젖당 5.0 중량부
덱스트린 4.0 중량부
비타민 C 1.0 중량부
실시예 11
정제의 처방
콜라겐 펩티드 5.0 중량부
D-만니톨 40.0 중량부
젖당 40.0 중량부
결정 셀룰로오스 10.0 중량부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5.0 중량부
실시예 12
추잉껌의 처방
콜라겐 펩티드 5.0 중량부
껌 베이스 20.0 중량부
설탕 55.0 중량부
글루코오스 10.5 중량부
물엿 9.0 중량부
향료 0.5 중량부
실시예 13
캔디의 처방
콜라겐 펩티드 5.0 중량부
설탕 50.0 중량부
물엿 29.5 중량부
향료 0.5 중량부
물 15.0 중량부
실시예 14
정과의 처방
콜라겐 펩티드 5.0 중량부
설탕 73.5 중량부
글루코오스 17.0 중량부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0.2 중량부
향료 0.2 중량부
물 4.1 중량부
실시예 15
구미 젤리의 처방
콜라겐 펩티드 5.0 중량부
젤라틴 55.0 중량부
물엿 23.0 중량부
설탕 8.5 중량부
식물 유지 4.5 중량부
만니톨 3.0 중량부
레몬 과즙 1.0 중량부
실시예 16
초콜릿의 처방
콜라겐 펩티드 5.0 중량부
분당 (粉糖) 36.8 중량부
카카오 비터 20.0 중량부
전지 분유 20.0 중량부
카카오 버터 17.0 중량부
만니톨 1.0 중량부
향료 0.2 중량부
실시예 17
샤벳의 처방
콜라겐 펩티드 5.0 중량부
오렌지 과즙 25.0 중량부
설탕 23.0 중량부
난백 9.0 중량부
물 38.0 중량부
이 출원은 2009 년 12 월 10 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9-280606 에서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서, 그 내용을 인용하여 이 출원의 일부로 하는 것이다.

Claims (2)

  1. 콜라겐으로 이루어지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제.
  2. 제 1 항에 기재된 예방제를 함유하는 음식품.
KR1020127017437A 2009-12-10 2010-12-07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제 KR201201233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80606 2009-12-10
JPJP-P-2009-280606 2009-12-10
PCT/JP2010/007099 WO2011070767A1 (ja) 2009-12-10 2010-12-07 アトピー性皮膚炎予防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3301A true KR20120123301A (ko) 2012-11-08

Family

ID=44145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7437A KR20120123301A (ko) 2009-12-10 2010-12-07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20253014A1 (ko)
JP (1) JP5788332B2 (ko)
KR (1) KR20120123301A (ko)
CN (1) CN102652021A (ko)
TW (1) TW201143634A (ko)
WO (1) WO20110707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60296A2 (en) * 2011-09-30 2014-08-06 The Concentrate Manufacturing Company of Ireland Nutrition beverages
US10226422B2 (en) 2013-01-23 2019-03-12 Bottled Science Limited Skin enhancing beverage composition
JP6100364B2 (ja) * 2013-04-26 2017-03-22 新田ゼラチン株式会社 美白促進剤またはアトピー性皮膚炎改善剤
JP6296792B2 (ja) * 2013-12-27 2018-03-20 丸善製薬株式会社 飲料組成物の品質安定化方法および飲料組成物
BR102014008054A2 (pt) * 2014-03-29 2015-10-20 The Concentrate Mfg Co Ireland bebidas nutricionai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5851A (en) * 1994-02-28 1997-07-08 Moore; Eugene R. Product for alleviating the symptons of arthritis in mammals
US6919306B2 (en) * 1999-08-09 2005-07-19 Yaizu Suisankagaku Industry Co. Ltd. Method of skin care
JP4249853B2 (ja) * 1999-08-09 2009-04-08 焼津水産化学工業株式会社 経口用皮膚潤い改善剤
JP2001302690A (ja) * 2000-04-19 2001-10-31 Miyagi Kagaku Kogyo Kk 皮膚浸透性トリペプチド、皮膚浸透性コラーゲンペプチド、皮膚浸透性外用剤および高吸収性食品
WO2004039368A1 (ja) * 2002-11-01 2004-05-13 Kyowa Hakko Kogyo Co., Ltd. アトピー性皮膚炎の予防または治療用経口剤
JP5697835B2 (ja) * 2005-12-05 2015-04-08 協和発酵バイオ株式会社 皮膚の乾燥予防または改善用経口剤
JP2008072935A (ja) * 2006-09-20 2008-04-03 Saitou Shoji:Kk 豆腐を含有するドレッシング
JP4691010B2 (ja) * 2006-12-15 2011-06-01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コラーゲン含有食品
JP5336048B2 (ja) * 2007-02-14 2013-11-06 新垣 裕子 鶏由来コラーゲン高含有物およびその抽出方法
JP2007167079A (ja) * 2007-03-30 2007-07-05 Sanei Gen Ffi Inc コラーゲン含有酸性飲食品
WO2009128584A1 (en) * 2008-04-14 2009-10-22 C.A. Pharm Co., Ltd. The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striae distensae and atop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52021A (zh) 2012-08-29
TW201143634A (en) 2011-12-16
JPWO2011070767A1 (ja) 2013-04-22
JP5788332B2 (ja) 2015-09-30
US20140228297A1 (en) 2014-08-14
WO2011070767A1 (ja) 2011-06-16
US20120253014A1 (en) 201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6451B2 (en) Insulin secretion promoter
JP5109117B2 (ja) スダチ由来の組成物、並びに当該組成物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健康飲食品及びサプリメント
EP1949792A2 (en) The healthy and functional foods for the obesity patients using purple-colored potato
AU2017337936A1 (en) Novel Lactobacillus Sakei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US20140228297A1 (en) Preventive agent for atopic dermatitis
US20110076348A1 (en) Prophylactic and/or therapeutic agent for atopic dermatitis
CN107580496B (zh) 绞股蓝皂苷75的抗糖尿效果
US8969523B2 (en) Sebum secretion-blocking composition, and food or beverage containing same
KR20190003304A (ko)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141027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EP4331601A1 (en) Food composi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lleviating sarcopenia, containing low-molecular-weight collagen as active ingredient
KR101883096B1 (ko) 쿠퍼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급성 폐 손상 또는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876534B1 (ko)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20118504A (ko) 비만 억제용 조성물
JP2009084191A (ja) 食欲抑制用薬理組成物
TWI832945B (zh) 血糖值上昇抑制用、血中三酸甘油酯上昇抑制用組成物
JP2021500382A (ja) 非アルコール性脂肪肝疾患の予防または改善用組成物
JP2018087172A (ja) 脂質燃焼促進剤
Duvaux-Ponter Improving the success of the critical peri-partum transition period in small ruminants: access to physiological and metabolic disturbances and prospection of effects of natural products to prevent them
JP6964960B2 (ja) 術後の創傷部及び/又は吻合部の回復を促進するための栄養組成物
Do Rego Améliorer le succès de la période critique de transition du peri-partum chez les petits ruminants: perturbations physiologiques et métaboliques et prospection des effets de produits naturels pour les éviter
KR20220041265A (ko) 발프로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FONSO et al. Improving the success of the critical peri-partum transition period in small ruminants: access to physiological and metabolic disturbances and prospection of effects of natural products to prevent them
do Nascimento et al. Unlimited access to low-energy diet causes acute malnutrition in dams and alters biometric and biochemical parameters in offspring
Vista Rafael Otaviano DO REG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