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2453A - 변기용 스퍼드 구조 - Google Patents

변기용 스퍼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2453A
KR20120122453A KR1020110040610A KR20110040610A KR20120122453A KR 20120122453 A KR20120122453 A KR 20120122453A KR 1020110040610 A KR1020110040610 A KR 1020110040610A KR 20110040610 A KR20110040610 A KR 20110040610A KR 20120122453 A KR20120122453 A KR 20120122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pud
fastening member
fasten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0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6478B1 (ko
Inventor
이근상
이용춘
Original Assignee
(주)케이에스피아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에스피아이피 filed Critical (주)케이에스피아이피
Priority to KR1020110040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6478B1/ko
Publication of KR20120122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2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6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6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03D11/17Means for connecting the bowl to the flushing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1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using specially adapted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6Sealing by means of a swivel nut compressing a ring or slee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기용 스퍼드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변기부에 스퍼드를 보다 손쉽고 용이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변기부에 스퍼드를 밀착된 상태로 견고하게 결합함에 따라 상기 스퍼드에서 세척수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결합공을 갖는 변기부와, 후렉시 밸브와, 조절레버와, 변기부와 후렉시 밸브를 연결하는 스퍼드가 구비된 것에 있어서, 상기의 스퍼드는, 상기 변기부의 결합공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서로 대응되는 양측면이 일자로 각각 절취된 하부결합부가 구비된 삽입체결부재와, 상기 삽입체결부재에 체결되어 상기 변기부의 일측 상면에 밀착 결합되는 결합체결부재와, 상기 삽입체결부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스퍼드에 후렉시 밸브를 연결 고정하는 너트부재와, 상기 결합체결부재의 외측 하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변기부의 상면과 상기 결합체결부재의 하면 사이를 밀폐시키는 밀폐부재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변기용 스퍼드 구조{structure for spud in toilet stool}
본 발명은 변기용 스퍼드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변기용 변기부에 스퍼드를 보다 손쉽고 용이하게 설치 및 해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스퍼드를 견고하게 결합함에 따라 스퍼드에서의 세척수 누수를 방지하도록 하는 변기용 스퍼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에서 사용하는 좌변용 변기는 걸터앉아서 대소변을 봄은 물론 외부에서 공급되는 세척수와 같이 대소변의 내용물을 정화조로 보내도록 하는 기구이다.
상기 좌변용 변기(이하, "변기"라고 함.)는 사용자가 걸터앉아서 대소변을 보는 변기부와, 상기 변기부에 연결 결합되어 변기부 내의 내용물을 정화조로 보내도록 외부에서 세척수가 공급되는 후렉시 밸브와, 상기 후렉시 밸브에 결합되어 후렉시 밸브 내의 세척수가 흐르거나 차단하는 조절레버와, 상기 변기부에 설치되어 변기부와 후렉시 밸브를 연결하는 스퍼드(spud)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므로, 상기 변기부에서 대소변을 본 후 조절레버를 조작하여 외부에서 공급되는 세척수는 후렉시 밸브와 스퍼드를 통과하여 변기부 내로 보내지고, 상기 변기부에서는 보내지는 세척수에 의해 대소변 등의 내용물은 세척수와 같이 변기부의 외부로 배출되어 정화조로 보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의 스퍼드는, 변기부의 일측 상부에 형성된 결합공으로 삽입되어 위치하는 하부밸브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밸브의 하부에는 하부밸브와 결합공 사이를 밀폐시켜 세척수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결합공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상부면을 갖는 패킹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부밸브의 상부에는 결합공측의 변기부 상면과 접촉되어 스퍼드를 변기부에 결합하도록 상기 하부밸브의 상부에 나사 체결되는 상부밸브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변기용 스퍼드를 변기부에 설치하기 위해서, 상기 하부밸브의 하부 외측에 패킹이 빠지지 않게 결합한 다음 결합공으로 삽입하게 되면 상기 결합공 측의 변기부 상면에 패킹의 상부면이 접촉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하부밸브의 상부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하부밸브의 상부에 상부밸브를 나사 체결방식으로 체결함에 따라 상기 변기부의 결합공에 스퍼드가 결합되어 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변기용 스퍼드의 구성 중 하부밸브의 외경이 변기부의 결합공 직경보다 작음에 따라 스퍼드의 설치 및 해체 작업 도중 작업자의 실수나 부주의에 의해 변기부 내로 하부밸브가 들어가버리는 문제 및 상기 변기 내로 삽입된 하부밸브를 꺼내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부밸브의 하부에 패킹을 위치시킴은 물론 작업자가 하부밸브의 상부를 잡은 상태에서 상부밸브를 체결하여야 함에 따라 상기 상, 하부밸브의 체결작업 및 패킹의 결합작업이 매우 불편함은 물론 그에 따른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 작업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하부밸브의 하부 외경과 패킹의 내경의 사이즈가 동일하지 않거나 패킹의 외면과 결합공 사이에 틈이 발생할 경우 세척수의 누수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스퍼드의 각 구성과 패킹을 매우 정밀하게 가공하여야 하는 등 제작작업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기 하부밸브에 상부밸브의 체결을 위해 큰 힘으로 조여야 하는 등 설치작업의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외부에서 변기용 변기부로 세척수를 보내기 위해 상기 변기부에 결합되는 스퍼드의 각 구성들의 구조를 변경하도록 하여 상기 변경된 각 구성의 스퍼드에 의해 상기의 변기부에 스퍼드를 보다 손쉽고 용이하게 설치 및 해체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변기부에 스퍼드가 밀착된 상태로 견고하게 결합됨에 따라 상기 스퍼드에서 세척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결합공을 갖는 변기부와, 상기 변기부에 설치되어 변기부 내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후렉시 밸브와, 상기 후렉시 밸브에 결합되어 세척수를 공급 및 차단하는 조절레버와, 상기 변기부와 후렉시 밸브를 연결하는 스퍼드가 구비된 것에 있어서, 상기의 스퍼드는, 상기 변기부의 결합공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서로 대응되는 양측면이 일자로 각각 절취된 하부결합부가 구비된 삽입체결부재와, 상기 삽입체결부재에 체결되어 상기 변기부의 일측 상면에 밀착 결합되는 결합체결부재와, 상기 삽입체결부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스퍼드에 후렉시 밸브를 연결 고정하는 너트부재와, 상기 결합체결부재의 외측 하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변기부의 상면과 상기 결합체결부재의 하면 사이를 밀폐시키는 밀폐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스퍼드 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삽입체결부재는, 원형형상에서 양측면이 각각 절취되어 일자형상의 절취면을 갖는 하부결합부와, 상기 하부결합부의 상면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결합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제1체결부와, 상기 제1체결부의 상부에 연이어져 너트부재가 체결되는 상기 제1체결부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제2체결부로 이루어진 체결부와, 상기 삽입체결부재에 형성되어 후렉시 밸브에서 변기부로 보내지는 세척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배수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스퍼드 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체결부재는, 저면이 변기부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결합공보다 직경을 갖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상부 돌출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배수구 내로 삽입되어 위치하는 하부 돌출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하부 외측면에 형성되어 밀폐부재가 삽입 결합되는 삽입홈부와, 상기 결합체결부재에 형성되어 삽입체결부재의 체결부와 체결되도록 나사산을 갖는 체결공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스퍼드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변기용 스퍼드의 삽입체결부재 하부 양측면을 일자로 절취한 절취면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삽입체결부재와 결합체결부재를 변기의 변기부 상, 하면에 각각 접촉되게 결합하며, 상기 결합체결부재와 변기부의 상면을 밀착되게 패킹을 구비한 스퍼드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스퍼드의 각 구성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변기부의 일측 상면에 형성된 결합공으로 스퍼드를 약간만 기울인 상태에서 삽입체결부를 삽입 즉, 삽입체결부재의 각 절취면에 의하여 삽입됨에 따라 상기 변기부에 스퍼드의 설치가 보다 손쉽고 용이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는 작업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스퍼드의 각 구성이 결합된 상태에서 설치 및 해체함에 따라 변기부 내로 스퍼드의 각 구성품이 빠져 들어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우 정밀한 가공 작업이 요하지 않음에 따라 스퍼드의 각 구성을 제작하는 제작작업이 용이함은 물론 제작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결합공 측의 변기부 상, 하면에 상기 스퍼드의 삽입체결부재와 결합체결부재가 각각 접촉됨은 물론 상기의 밀폐부재에 의하여 적은 힘으로도 스퍼드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견고하게 결합되는 스퍼드에 의하여 상기 변기부와 스퍼드 사이에서의 틈 발생이 없음에 따라 상기 스퍼드에서 세척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 변기용 스퍼드가 설치된 변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변기용 스퍼드의 각 구성이 결합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변기용 스퍼드의 각 구성을 분리한 상태로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변기용 스퍼드의 각 구성을 저면에서 본 상태로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변기용 변기부에 스퍼드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스퍼드가 변기부에 결합된 상태를 정면에서 단면한 형태로 나타낸 정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스퍼드가 변기부에 결합된 상태를 측면에서 단면한 형태로 나타낸 측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 스퍼드 구조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화장실에서 걸터앉아서 대소변을 보도록 하는 좌변용 변기(이하, "변기"라 함.)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변기는 도 1과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대소변을 볼 때 걸터앉는 변기부(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변기부(10)의 일측 상면에 외부에서 세척수가 변기부(10) 내로 유입되도록 후술할 스퍼드(100)가 결합 설치되는 결합공(10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변기부(10)의 결합공(10a)에는 외부에서 보내지는 세척수가 흐르는 후렉시 밸브(2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후렉시 밸브(20)의 소정위치에는 후렉시 밸브(20) 내를 흐르는 세척수를 변기부(10) 내로 공급 및 차단하도록 하는 조절레버(20a)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변기부(10)의 결합공(10a)에는 후렉시 밸브(20)에서 변기부(10)로 세척수를 보내도록 상기 변기부(10)에 후렉시 밸브(20)를 서로 연결 결합하는 스퍼드(spud,1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스퍼드(100)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체결부재(110)와, 결합체결부재(120) 및, 너트부재(140), 밀폐부재(130)와, 패킹(150)으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의 삽입체결부재(110)는 변기부(10)의 결합공(10a)으로 하부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삽입체결부재(110)는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삽입체결부재(110)의 하부에는 결합공(10a)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원형형상부를 갖음은 물론 결합공(10a)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원형형상부에서 서로 대응되는 양측면에 일자형상으로 각각 절취된 절취면(111a)을 갖는 하부결합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결합부(111)의 상면 중앙부에는 상기 삽입체결부재(110)에 결합체결부재(120)가 나사체결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을 갖는 체결부(1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체결부재(110)의 중앙부에는 후렉시 밸브(20)에서 변기부(10) 내로 배수되는 세척수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하부결합부(111)와 체결부(112)를 관통하는 배수구(1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112)는 결합체결부재(120)가 나사 체결되도록 하부결합부(111)의 상면 중앙부에 형성되는 제1체결부(112a)와, 상기 제1체결부(112a)의 상부에 연이어져 너트부재(140)가 체결되는 제2체결부(112b)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2체결부(112a,112b)의 외주면에는 결합체결부재(120) 및 너트부재(140)가 나사 체결방식으로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체결부재(112a)의 외경은 상기 제2체결부재(112b)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배수구(113) 내경은 상, 하부가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후렉시 밸브(20)에서 변기부(10)로 세척수가 원활하게 배수되도록 변기부(10)측보다 후렉시 밸브(20) 측의 내경이 작게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삽입체결부재(110)의 배수구(113)를 통과하는 세척수의 흐름이 빠르면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면 어떤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의 결합체결부재(120)는 삽입체결부재(110)의 상부에 체결되어 변기부(10)의 일측 상면에 스퍼드(110)를 변기부(10)에 유동됨없이 고정 결합하는 것으로서, 상기 결합체결부재(120)는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결합체결부재(120)에 변기부(10)의 일측 상면에 저면이 접촉되도록 결합공(10a)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플랜지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부(121)의 상부면에는 결합체결부재(120)를 회전시키도록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한 상부 돌출부(1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부(121)의 하부면에는 배수구(113) 내로 삽입되어 위치하는 하부 돌출부(12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돌출부(123)의 외측인 플랜지부(121)의 하부 외측면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밀폐부재(130)가 삽입 결합되도록 삽입홈부(1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체결부재(120) 즉, 플랜지부(121)와 상, 하부 돌출부(122,123)에는 삽입체결부재(110)의 제1체결부(112a)와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을 갖는 체결공(124)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부(121)에 상, 하부 돌출부(122,123)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결합체결부재(120)의 전체적인 길이가 길어지도록 형성하여 상기 삽입체결부재(110)와 결합체결부재(120) 간의 체결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의 너트부재(140)는 스퍼드(100)에 후렉시 밸브(20)를 연결 고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너트부재(140)는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후렉시 밸브(20)가 삽입됨은 물론 상기 삽입체결부재(110)의 제2체결부(112b)와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너트부재(140) 내에는 상기 삽입체결부재(110)의 제2체결부(112b) 상단부에 위치되어 제2체결부(112b)에 체결되는 너트부재(140)에 의해 눌려지면서 후렉시 밸브(2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너트부재(140)와 제2체결부(112b) 및 후렉시 밸브(20) 사이를 밀폐시킴에 따라 상기 후렉시 밸브(20)에서 변기부(10)로 보내지는 세척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패킹(15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의 밀폐부재(130)는 변기부(10)의 일측 상면과 결합체결부재(120)의 하면 사이를 밀폐시켜 세척수의 누수를 방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밀폐부재(130)는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원형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밀폐부재(130)의 하부면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밀폐부재(130)의 탄성력을 높여 결합공(10a) 측의 변기부(10) 상면에 밀폐부재(130)를 밀착시키도록 하는 복수개의 밀폐홈부(1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밀폐부재(130)와 상기 패킹(150)은 밀폐성이 좋으면서 탄성력이 매우 뛰어난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 중에서도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탄성력이 좋은 고무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퍼드(100)의 삽입체결부재(110)와 결합체결부재(120)는 합성수지재 및 금속재로 제작되는데, 이 중에서 가격이 저렴하고 제작이 용이한 합성수지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퍼드(100)의 너트부재(140)은 금속재로 제작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변기부(10)의 일측 상부에 형성된 결합공(10a)에 스퍼드(100)를 설치함과 함께 상기 스퍼드(100)에 후렉시 밸브(20)를 서로 연결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변기부(10)와 후렉시 밸브(20)에 스퍼드(100)를 결합하는 상태를 설명하면, 상기 스퍼드(100)의 삽입체결부재(110)와 결합체결부재(120) 및 밀폐부재(130)를 결합하는데, 즉 삽입체결부재(110)의 체결부(112) 중 제1체결부(112a)에 결합체결부재(120)를 나사 체결하여 결합함과 함께 상기 결합체결부재(120)의 플랜지부(121) 하부 외측면에 형성된 삽입홈부(125)에 밀폐부재(130)를 삽입 결합한다.
그런 다음, 상기 삽입체결부재(110)의 제2체결부(112b) 또는, 상기 결합체결부재(120)를 잡고서 상기 스퍼드(100)를 일정 각도로 기울인 상태에서 삽입체결부재(110)의 하부결합부(111)를 결합공(10a) 내로 삽입한다.
여기서, 상기 삽입체결부(110)의 하부결합면(111) 양측면에 절취면(111a)이 각각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 상기 각 절취면(111a)이 형성된 측의 하부결합면(111)은 결합공(10a)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절취면(111a)이 형성되지 않은 측의 하부결합면(111)을 결합공(10a) 내로 삽입하게 되면 상기 하부결합면(111)과 결합공(10a) 사이에 간섭현상이 일어나지 않으면서 하부결합면(111)은 결합공(10a) 내에 원활하게 삽입이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삽입체결부재(110)에 체결된 결합체결부재(120)를 회전시키게 되면,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삽입체결부재(110)의 하부결합면(111) 상면은 변기부(10)의 내측면에 접촉될 뿐만 아니라 상기 결합체결부재(120)의 하부 돌출부(123) 일부는 결합공(10a) 내로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플랜지부(121)는 변기부(10)의 외측면 즉, 결합공(10a)측인 변기부(10)의 일측 상면에 접촉된다.
즉, 상기 변기부(10)에는 도 6과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스퍼드(100)의 삽입체결부재(110) 하부결합면(111)의 외측부 상면은 결합공(10a) 측의 변기부(10) 저면에 접촉됨은 물론 상기 하부결합면(111)의 절취면(111a)은 결합공(10a) 내에 위치하여 변기부(10)와는 접촉되지 않는 상태로 스퍼드(100)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결합체결부재(120)의 플랜지부(121) 외측면 하부에 결합된 밀폐부재(130)는 변기부(10)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결합체결부재(120)에 의해 눌려지면서 상기 변기부(10) 상면과 결합체결부재(120) 사이를 밀폐하므로, 상기 변기부(10)와 스퍼드(100) 사이에서 세척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변기부(10)에 스퍼드(10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스퍼드(100)의 삽입체결부재(110)에 형성된 배수공(113) 상방측으로부터 후렉시 밸브(20)를 배수공(113) 내로 삽입한 다음 상기 삽입체결부재(110)의 제2체결부(112b)에 너트부재(140)를 체결한다.
그러면, 상기 제2체결부(112b)의 상단부에 위치됨은 물론 너트부재(140) 내에 위치하는 패킹(150)이 눌러짐에 따라 상기 패킹(150)의 내주면 직경이 작아지면서 후렉시 밸브(20)의 외주면에 밀착되므로 상기 후렉시 밸브(20)의 외주면과 너트부재(140) 그리고, 너트부재(140)와 제2체결부(122b) 사이가 밀폐되어 상기 후렉시 밸브(20) 내를 흐르는 세척수가 밖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변기부(10)와 후렉시 밸브(20) 및 스퍼드(100)의 설치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변기부(10)에 앉아서 대소변을 보고 나서 조절레버(20a)를 누르면 외부에서 세척수 후렉시 밸브(20) 내로 세척수가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세척수는 후렉시 밸브(20) 내를 흐르면서 스퍼드(100)를 통과하여 변기부(10) 내로 보내지며, 상기 보내진 세척수에 의해 대소변은 세척수와 함께 변기부(10)의 외부로 배출되어 정화조로 보내진다.
상기 변기부(10) 및 후렉시 밸브(20) 및 스퍼드(100)를 수리 및 교체하기 위해서는 상기 변기부(10)에서 스퍼드(100)와 후렉시 밸브(20)를 해체하여야 하는데, 해체하는 순서는 변기부(10)에 스퍼드(100)와 후렉시 밸브(20)를 설치하는 순서를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
즉, 상기 스퍼드(100)의 너트부재(14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스퍼드(100) 즉, 삽입체결부재(110)에서 후렉시 밸브(20)를 분리한 다음, 상기 결합체결부재(12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변기부(10)에서 스퍼드(100)가 유동가능하도록 한 후 상기 삽입체결부재(110)의 하부결합부(111)를 일정각도로 기울이는 상태에서 변기부(10)의 외부로 당기면 각 절취면(111a)에 의해 결합공(10a)으로부터 하부결합부(111)가 빠져나옴에 따라 상기 스퍼드(100)는 변기부(10)로부터 해체된다.
상기 스퍼드(100)가 해체되면 각 구성 즉, 삽입체결부재(110)와 결합체결부재(120) 및 너트부재(140), 밀폐부재(130), 패킹(150) 등을 수리 및 교체한 후 상기의 스퍼드(100)를 변기부(10)에 설치하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퍼드(100)의 삽입체결부재(110) 하부에 형성된 하부결합부(111)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일자형상의 절취면(111a)에 의해 결합공(10a)으로 상기 삽입체결부재(110)의 하부결합부(111)의 삽탈이 용이하여 스퍼드(100)의 설치 및 해체작업이 손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체결부재(110)와 결합체결부재(120) 및 너트부재(140)에 의해 상기 변기부(10)와 후렉시 밸브(20)는 스퍼드(100)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지며, 상기 밀폐부재(130)와 패킹(150)에 의하여 상기 변기부(10)에 스퍼드(100)가 밀착된 상태로 결합됨에 따라 상기 후렉시 밸브(20)로부터 변기부(10)로 보내지는 세척수가 스퍼드(100)에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변기용 스퍼드 구조는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되는 것이다.
10: 변기부 10a: 결합공
20: 후렉시 밸브 20a: 조절레버
100: 스퍼드 110: 삽입체결부재
111: 하부결합부 111a: 절취면
112: 체결부 112a: 제1체결부
112b: 제2체결부 113: 배수구
120: 결합체결부재 121: 플랜지부
122: 상부돌출부 123: 하부돌출부
124: 체결공 125: 삽입홈부
130: 밀폐부재 131: 밀폐홈부
140: 너트부재 150: 패킹

Claims (7)

  1. 결합공을 갖는 변기부와, 상기 변기부에 설치되어 변기부 내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후렉시 밸브와, 상기 후렉시 밸브에 결합되어 세척수를 공급 및 차단하는 조절레버와, 상기 변기부와 후렉시 밸브를 연결하는 스퍼드가 구비된 것에 있어서,
    상기의 스퍼드는,
    상기 변기부의 결합공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서로 대응되는 양측면이 일자로 각각 절취된 하부결합부가 구비된 삽입체결부재와,
    상기 삽입체결부재에 체결되어 상기 변기부의 일측 상면에 밀착 결합되는 결합체결부재와,
    상기 삽입체결부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스퍼드에 후렉시 밸브를 연결 고정하는 너트부재와,
    상기 결합체결부재의 외측 하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변기부의 상면과 상기 결합체결부재의 하면 사이를 밀폐시키는 밀폐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스퍼드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삽입체결부재는, 원형형상에서 양측면이 각각 절취되어 일자형상의 절취면을 갖는 하부결합부와,
    상기 하부결합부의 상면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결합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제1체결부와, 상기 제1체결부의 상부에 연이어져 너트부재가 체결되는 상기 제1체결부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제2체결부로 이루어진 체결부와,
    상기 삽입체결부재에 형성되어 후렉시 밸브에서 변기부로 보내지는 세척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배수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스퍼드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결합체결부재는, 저면이 변기부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결합공보다 직경을 갖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상부 돌출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배수구 내로 삽입되어 위치하는 하부 돌출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하부 외측면에 형성되어 밀폐부재가 삽입 결합되는 삽입홈부와,
    상기 결합체결부재에 형성되어 삽입체결부재의 체결부와 체결되도록 나사산을 갖는 체결공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스퍼드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밀폐부재의 하부면에는 변기부의 상면에 밀폐부재를 밀착시키도록 복수개의 밀폐홈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스퍼드 구조.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밀폐부재는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스퍼드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삽입체결부재의 체결부 상단부와 너트부재 사이에는 세척수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하는 패킹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스퍼드 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삽입체결부재와 결합체결부재는 합성수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스퍼드 구조.
KR1020110040610A 2011-04-29 2011-04-29 변기용 스퍼드 구조 KR101286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610A KR101286478B1 (ko) 2011-04-29 2011-04-29 변기용 스퍼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610A KR101286478B1 (ko) 2011-04-29 2011-04-29 변기용 스퍼드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453A true KR20120122453A (ko) 2012-11-07
KR101286478B1 KR101286478B1 (ko) 2013-07-17

Family

ID=47508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0610A KR101286478B1 (ko) 2011-04-29 2011-04-29 변기용 스퍼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64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1372A (ko) * 2017-09-15 2019-03-26 주식회사 서린에이더 고정형 밀폐패킹이 구비된 좌변기용 스퍼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979Y1 (ko) * 1999-12-21 2000-06-01 신우워토스주식회사 양변기의 급수관 연결구조
KR100786331B1 (ko) * 2006-08-14 2007-12-18 오승근 호스 연결 구조물
KR100762012B1 (ko) 2006-11-03 2007-09-28 정종태 배관보호용 슬리브
KR101083327B1 (ko) 2011-06-09 2011-11-14 (주)파이프로 플랜지와 스토퍼를 이용하여 연결한 상하수도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1372A (ko) * 2017-09-15 2019-03-26 주식회사 서린에이더 고정형 밀폐패킹이 구비된 좌변기용 스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6478B1 (ko) 2013-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62447B1 (en) Automatic adjustable showerhead
KR20130019904A (ko) 샤워기용 급수본체
KR101286478B1 (ko) 변기용 스퍼드 구조
JP5750428B2 (ja) 水道用封止構造及び水道用装置
KR102062336B1 (ko) 냉온수 혼합수전
KR101867242B1 (ko) 수전금구
KR20180044509A (ko) 앵글밸브
KR101143869B1 (ko) 수도전 푸시밸브
US20140096318A1 (en) Water Faucet with Function of Noise Reduction and Pressure Adjustment
JP5631518B1 (ja) 水栓蛇口
JP7246651B2 (ja) 湯水混合栓
KR101974940B1 (ko) 누수 방지와 보수가 용이한 터치 수전시스템
KR101509979B1 (ko) 수도꼭지와 급수호스 간의 연결장치
KR200393518Y1 (ko) 수도꼭지 연결구 구조
KR101785995B1 (ko) 방향조절기능을 갖는 나사 연결구
KR20170083234A (ko) 관붙이 앵글밸브용 조절밸브체
JP2020023822A (ja) 水栓装置
KR100664448B1 (ko) 수도꼭지 연결구 구조
JP7341393B2 (ja) 水栓装置
JP3237627U (ja) ユニオンナット式洗濯機アダプタ
KR200452986Y1 (ko) 퀵조인트형 앵글밸브
KR20130072850A (ko) 정수기 배수호스의 연결구조
JP5594279B2 (ja) フラッシュバルブの接続構造
KR20170004410U (ko) 밸브 일체형 스프링클러용 어댑터
JP4893605B2 (ja) 水栓金具の取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