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1989A - 철도차량용 승강장 스크린도어 사고위험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승강장 스크린도어 사고 방지시스템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용 승강장 스크린도어 사고위험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승강장 스크린도어 사고 방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1989A
KR20120121989A KR1020110039929A KR20110039929A KR20120121989A KR 20120121989 A KR20120121989 A KR 20120121989A KR 1020110039929 A KR1020110039929 A KR 1020110039929A KR 20110039929 A KR20110039929 A KR 20110039929A KR 20120121989 A KR20120121989 A KR 20120121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way vehicle
screen door
accident
electromagnetic waves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9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웅
전준원
안홍관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9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1989A/ko
Publication of KR20120121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19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7/00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e of control gear and contro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7/00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e of control gear and control systems
    • B61C17/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driving cabins, footplates or engine rooms; Ventil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13/00Other auxiliaries or accessories for railway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승강장 스크린도어 사고위험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승강장 스크린도어 사고 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승강장 스크린도어 사고위험 감지장치는, 철도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철도차량 및 승강장에 설치된 스크린도어의 사이 공간에 대한 사고위험을 감지하는 장치로서, 상기 철도차량의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며, 전자기파를 송신하는 복수의 송신부; 상기 철도차량의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철도차량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을 기준으로 선행 위치된 상기 송신부의 전자기파를 각각 수신하는 복수의 수신부; 및 상기 복수의 수신부가 수신한 전자기파의 크기값을 확인하여 그 크기값이 소정의 기준값 이하인 경우 해당 전자기파를 각각 송신 및 수신한 상기 송신부와 상기 수신부 사이의 공간에 사고위험이 있는 것으로 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철도차량의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송ㆍ수신부가 구비되어 전자기파를 송ㆍ수신하고 제어부가 이 전자기파의 수신되는 크기값을 확인하여 철도차량의 측면 전 영역에 걸쳐 장애물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철도차량과 스크린도어의 사이 공간에 대한 사고위험을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복수의 송ㆍ수신부는 철도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철도차량의 측면 상ㆍ하부에 설치됨으로써 전자기파가 철도차량의 측면을 대각선의 형태로 통과하면서 감지 영역이 극대화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어부가 이렇게 사고위험이 감지한 경우 위험경보장치가 운전실이나 관제실에 위험경보를 제공하도록 위험신호를 발생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운전실의 운전자나 역의 관제실 관리자가 사고위험을 신속 용이하게 인지하고 대처할 수 있다.

Description

철도차량용 승강장 스크린도어 사고위험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승강장 스크린도어 사고 방지시스템 {Apparatus for detecting accident danger of platform screen door for railway vehicle and system for preventing accident of platform screen door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승강장 스크린도어 사고위험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승강장 스크린도어 사고 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도차량과 스크린도어의 사이 공간에 대한 사고위험을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고, 사고위험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 영역도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전실의 운전자나 역의 관제실 관리자가 사고위험을 신속 용이하게 인지하고 대처할 수 있게 하는 철도차량용 승강장 스크린도어 사고위험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승강장 스크린도어 사고 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과 같은 철도차량이 운행되는 역의 승강장에 설치되는 스크린도어는, 실수 또는 고의로 승강장에서 선로로 낙하하는 승객과 역으로 진입하는 철도차량 간의 충돌 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철도차량의 출입문에 승객의 신체 일부나 소지품 등이 끼이는 사고도 방지하는 등 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에 대한 예방 효과가 뛰어나 그 설치가 크게 확대되는 추세이다.
도 1 및 도 2는 이와 같은 스크린도어(20)가 설치된 승강장(PF)에 철도차량(10)이 진입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와 단면도이다. 대개 철도차량(10)은, 도 2에 도시된 철도차량 한계선(L1)과 승강장 연단선(L2)의 간격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승강장 연단(PF')에서 5cm 가량 이격된 상태로 역에 정차한다.
그리고 승강장 연단선(L2)과 스크린도어 설치선(L3)의 간격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크린도어(20)는 승강장 연단(PF')에서 승강장(PF) 측으로 10cm 가량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철도차량(10)과 스크린도어(20)의 사이에는 15cm 안팎의 틈이 존재하고, 스크린도어(20)의 승강문(21)은 스크린도어 설치선(L3)보다 더 승강장(PF) 내측에 설치되므로 스크린도어(20)의 승강문(21)과 철도차량(10)의 출입문(11) 사이에는 이보다 더 넓은 틈이 존재한다.
따라서 철도차량(10)에 승차 또는 하차하던 승객이 스크린도어(20)의 승강문(21)과 철도차량(10)의 출입문(11) 사이에 표시한 제1영역(A1)에 갇히는 경우가 간혹 발생하게 되고, 그 상태로 철도차량(10)이 발차할 경우 안전사고로 이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제1영역(A1)에 승객이 갇혀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장애물 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제1영역(A1)에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을 가진 스크린도어 등도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장애물 감지센서는 승강기의 문에 설치되는 센서와 유사하게 특정 위치에 설치되어 해당 감지센서의 전방에 장애물이 있는지 여부만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감지 영역이 매우 좁은 단점이 있고,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다수의 장애물 감지센서를 설치할 경우, 시스템 구축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문(11)과 승강문(21) 사이의 제1영역(A1)이 아니더라도 철도차량(10)의 측면과 스크린도어(20) 사이에 존재하는 제2영역(A2)도 그 폭이 약 15cm 가량으로 체구가 작은 어른이나 어린이, 또는 승객의 소지품 등이 충분히 끼일 수 있어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이 있다.
이렇게 제2영역(A2)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제2영역(A2)에서는 철도차량(10) 측에서 승강장(PF) 측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한 스크린도어(20)도 개발된 바 있으나, 능동적으로 스크린도어(20)를 개방하고 탈출할 수 없는 어린이나 무생물인 우산과 같은 소지품 등의 경우에는 여전히 안전사고 발생의 우려가 있다.
특히, 제2영역(A2)은 제1영역(A1)에 비해 그 폭이 좁아서 제2영역(A2)에 장애물이 끼인 상태로 철도차량(10)이 발차할 경우, 큰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출입문과 스크린도어의 승강문 사이 공간뿐만 아니라 철도차량의 측면과 스크린도어 사이의 공간에 대해서도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고, 철도차량 측면의 상ㆍ하부 전체에 걸친 넓은 감지 영역을 구축할 수 있으며, 사고위험이 감지되면 자동적으로 운전자나 관리자에게 위험경보를 제공할 수 있는 철도차량용 승강장 스크린도어 사고위험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승강장 스크린도어 사고 방지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승강장 스크린도어 사고위험 감지장치는, 철도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철도차량 및 승강장에 설치된 스크린도어의 사이 공간에 대한 사고위험을 감지하는 장치로서, 상기 철도차량의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며, 전자기파를 송신하는 복수의 송신부; 상기 철도차량의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철도차량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을 기준으로 선행 위치된 상기 송신부의 전자기파를 각각 수신하는 복수의 수신부; 및 상기 복수의 수신부가 수신한 전자기파의 크기값을 확인하여 그 크기값이 소정의 기준값 이하인 경우 해당 전자기파를 각각 송신 및 수신한 상기 송신부와 상기 수신부 사이의 공간에 사고위험이 있는 것으로 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송신부와 상기 복수의 수신부는, 상기 철도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상기 철도차량의 측면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송신부와 상기 복수의 수신부는, 상기 철도차량의 측면에 구비된 복수의 출입문의 사이 중심부 및 상기 철도차량 측면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스크린도어 사고 방지시스템은, 철도차량 및 역의 승강장에 설치된 스크린도어의 사이 공간에서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철도차량의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며 전자기파를 송신하는 복수의 송신부, 상기 철도차량의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철도차량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을 기준으로 선행 위치된 상기 송신부의 전자기파를 각각 수신하는 복수의 수신부, 및 상기 복수의 수신부가 수신한 전자기파의 크기값을 측정하여 그 크기값이 소정의 기준값 이하인 경우 해당 전자기파를 각각 송신 및 수신한 상기 송신부와 상기 수신부 사이의 공간에 사고위험이 있는 것으로 감지하고 위험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고위험 감지장치;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위험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철도차량의 운전실 및 상기 역의 관제실 중 하나 이상에 위험경보를 제공하는 위험경보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사고위험 감지장치의 상기 복수의 송신부와 상기 복수의 수신부는, 상기 철도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상기 철도차량의 측면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부와 상기 수신부 사이의 공간에 사고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해당 상기 송신부와 상기 수신부의 사이에 위치한 상기 스크린도어의 승강문이 폐쇄되지 않도록 폐쇄방지신호를 상기 스크린도어의 제어기에 송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철도차량용 승강장 스크린도어 사고위험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승강장 스크린도어 사고 방지시스템에 의하면, 철도차량의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송ㆍ수신부가 구비되어 철도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자기파를 송ㆍ수신하고 제어부가 이 전자기파의 수신되는 크기값을 확인하여 철도차량의 측면 전 영역에 걸쳐 장애물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철도차량과 스크린도어의 사이 공간에 대한 사고위험을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송ㆍ수신부는 철도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철도차량의 측면 상ㆍ하부에 설치됨으로써 전자기파가 철도차량의 측면을 대각선의 형태로 통과하면서 감지 영역이 극대화되어 적은 설치 비용으로도 넓은 감지 영역에 대한 사고위험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가 이렇게 사고위험이 감지한 경우, 위험경보장치가 운전실이나 관제실에 위험경보를 제공하도록 위험신호를 발생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운전실의 운전자나 역의 관제실 관리자가 사고위험을 신속 용이하게 인지하고 대처할 수 있어 승강장 스크린도어 사고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가 이렇게 사고위험을 감지한 경우, 해당 감지 영역의 스크린도어 승강문이 폐쇄되지 않도록 폐쇄방지신호를 스크린도어의 제어기에 송신하게 구비됨으로써, 해당 승강문을 통해 사고위험을 신속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승강장에 철도차량이 진입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스크린도어 사고 방지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승강장 스크린도어 사고위험 감지장치가 철도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승강장 스크린도어 사고위험 감지장치가 철도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범위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스크린도어 사고 방지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스크린도어 사고 방지시스템은, 철도차량용 승강장 스크린도어 사고위험 감지장치(100, 이하 줄여서 '사고위험 감지장치'라 한다) 및 위험경보장치(200, 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사고위험 감지장치(100)는 철도차량(10)의 측면과 승강장(PF)의 스크린도어(20) 사이의 감지 영역에 대해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사고위험을 감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사고위험 감지장치(100)는 복수의 송신부(110), 복수의 수신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송신부(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차량(10)의 일단에서 타단에 이르는 길이 방향으로 서로의 사이에 출입문(11)이 위치하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철도차량(10) 측면에 설치되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수신부(120)를 향해 전자기파를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복수의 송신부(110)는 철도차량(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철도차량(10)의 측면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된다. 즉, 상기 복수의 송신부(110)는 철도차량(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철도차량(10)의 측면 상부와 하부에 교호로 설치된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송신부(110)는 철도차량(10)의 측면에 구비된 복수의 출입문(11)의 사이 중심부마다 구비되고, 철도차량(10) 측면의 일단부에도 설치된다.
상기 복수의 수신부(120)는 송신부(110)에서 송신한 전자기파를 수신하여 그 크기값을 제어부(13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그 배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된 복수의 송신부(110)와 유사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복수의 수신부(120)는 철도차량(10)의 측면에 구비된 복수의 출입문(11)의 사이 중심부마다 구비되고, 철도차량(10) 측면의 타단부에도 설치된다.
따라서 철도차량(10) 측면의 출입문(11) 사이에는 송신부(110)와 수신부(120)가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고위험 감지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송신부(110)는 전자기파를 수신부(120)를 향해 송신하고, 수신부(120)는 이 전자기파를 수신하며, 제어부(130)가 수신된 전자기파의 크기값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사고위험이 감지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송신부(110)와 복수의 수신부(120)가 구비될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부(110)에서 송신된 전자기파는 철도차량(10)의 측면을 대각선의 형태로 통과하여 수신부(120)에 수신되므로, 감지 영역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의 송신부(110)와 복수의 수신부(120)가 일정한 높이로 설치되는 경우, 철도차량(10)의 측면과 스크린도어(20)의 사이 공간에 장애물이 존재하더라도 그 장애물이 해당 높이에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사고위험 감지장치(100)가 사고위험을 감지할 수 없으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복수의 송신부(110)와 복수의 수신부(120)는 철도차량(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철도차량(10)의 측면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감지 영역을 극대화할 수 있어 매우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제어부(130)는 복수의 송신부(110)와 복수의 수신부(120)가 필요한 시기에 필요한 것만 전자기파를 송ㆍ수신하도록 송신부(110)와 수신부(120)를 제어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송신부(110)와 복수의 수신부(120)는 철도차량(10)의 좌측과 우측에 모두 구비되는데, 철도차량(10)이 우측에 승강장(PF)이 위치한 역에 정차한 경우, 제어부(130)는 철도차량(10)의 우측에 구비된 복수의 송신부(110)와 복수의 수신부(120)만 작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30)는 복수의 수신부(120)가 수신한 전자기파의 크기값을 각각 확인하여 그 크기값이 소정의 기준값 이하인 경우 해당 전자기파를 각각 송신 및 수신한 송신부(110)와 수신부(120) 사이의 공간에 사고위험이 있는 것으로 감지한다. 이때, 제어부(130)가 그 크기값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수신부(12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폭기(121)가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철도차량(10)의 측면과 스크린도어(20)의 사이 공간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송신부(110)가 해당 공간에 대해 전자기파를 송신하더라도 이 전자기파는 장애물에 간섭됨에 따라 그 세기가 현저히 약해져 수신부(120)에 도달하거나 아예 수신부(120)에 도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130)가 확인한 전자기파의 크기값이 소정의 기준값 이하라는 것은 해당 감지 영역에 장애물이 존재한다는 것이므로 사고위험이 있는 것으로 감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소정의 기준값은 복수의 송신부(110)에서 송신하는 전자기파의 세기에서 장애물이 없더라도 공기 중을 통과하면서 소량 손실되는 부분을 감안한 크기값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30)는 사고위험이 감지된 경우, 위험경보장치(200, 200')가 위험경보를 발생하게 하는 위험신호를 철도차량(10)의 운전실(12)에 설치된 위험경보장치(200)와 역의 관제실(30)에 설치된 위험경보장치(200')에 송신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30)는 역의 관제실(30)에 설치된 위험경보장치(200')에 위험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철도차량에 기 구비된 무선장치(미도시)를 이용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사고위험이 감지된 경우, 해당 송신부(110)와 수신부(120)의 사이에 위치한 스크린도어(20)의 승강문이 폐쇄되지 않도록 폐쇄방지신호를 스크린도어(20)의 제어기(22)에 송신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위험경보장치(200, 200')는 제어부(130)의 위험신호를 수신하여 철도차량(10)의 운전자가 사고위험을 인지 및 대처할 수 있도록 운전실(12) 내부에 설치되어 운전실(12)에 위험경보를 제공하거나, 역의 관제실(30) 내부에 설치되어 관제실(30)의 관리자가 사고위험을 인지 및 대처할 수 있도록 관제실(30)에 위험경보를 제공한다. 물론 상기 위험경보장치(200, 200')는 철도차량(10)의 운전실과 역의 관제실(30)에 동시에 위험경보를 제공하게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위험경보장치(200, 200)는 시각적인 위험경보를 제공하도록 모니터나 경광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기기로 구현될 수 있고, 청각적인 위험경보를 제공하도록 스피커나 버저 등과 같은 음향 기기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복합적인 위험경보를 제공하도록 복수의 기기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송신부(110)가 송신하고 수신부(120)가 수신하는 전자기파로서 적외선이 이용될 수 있으나, 그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투과성이 강하지 않은 자외선, 가시광선 등의 다른 전자기파가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의 철도차량(10)에 구비된 복수의 송신부(110)와 복수의 수신부(120)는 철도차량의 진행방향이나 그 반대방향의 한 방향으로만 전자기파를 송ㆍ수신하는 형태로 설치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철도차량(10)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전자기파를 송ㆍ수신하는 송신부(110)와 수신부(120)가 존재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 철도차량(10)과 스크린도어(20)의 사이 공간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스크린도어 사고 방지시스템이 사고를 방지하는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복수의 송신부(11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수신부(120)를 향해 전자기파를 송신한다. 그러면 대부분의 전자기파는 큰 손실 없이 수신부(120)에 도달하여 수신되지만, 장애물이 존재하는 감지 영역에 있어서는 해당 송신부(110)에서 송신된 전자기파가 장애물에 간섭되어 수신부(120)에 도달하지 못하거나 약한 세기로 도달하게 된다.
다음, 제어부(130)는 복수의 수신부(120)로부터 수신된 전자기파의 크기값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이를 각각 소정의 기준값과 비교한다. 이때 제어부(130)는 수신된 전자기파의 크기값이 기준값보다 큰 경우에는 해당 감지 영역에 대해 사고위험 없음으로 판단하고, 수신된 전자기파의 크기값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는 해당 감지 영역에 대해 사고위험 있음으로 감지한다.
이후, 이같이 사고위험 있음으로 감지되는 영역이 있는 경우, 제어부(130)는 위험신호를 발생하여 철도차량(10)의 운전실(12)에 설치된 위험경보장치(200)에 송신하고, 철도차량(10)에 기 구비된 무선장치를 이용해 역의 관제실(30)에 설치된 위험경보장치(200')에 그 위험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사고위험 있음으로 감지되는 영역이 있는 경우, 해당 감지 영역에 설치된 스크린도어(20)의 승강문이 폐쇄되지 않도록 폐쇄방지신호를 스크린도어(20)의 제어기(22)에 송신한다.
그 후, 위험경보장치(200, 200')는 제어부(130)의 위험신호를 수신하여, 이에 따라 운전실(12)과 관제실(30)에 위험경보를 발생하고, 스크린도어(20)의 제어기(22)는 제어부(130)의 폐쇄방지신호를 수신하여, 이에 따라 해당 감지 영역에 설치된 스크린도어(20)의 승강문이 폐쇄되지 않게 제어한다.
이에 따라, 운전실(12)의 운전자나 관제실(30)의 관리자가 사고위험을 신속 용이하게 인지하여, 폐쇄되지 않은 승강문을 통해 사고위험을 쉽게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30)는 운전실(12)에 설치되는 위험경보장치(200), 관제실(30)에 설치되는 위험경보장치(200) 및 스크린도어(20) 제어기(22)에 대한 위험신호와 폐쇄방지신호를 모두 발생하여 각각 송신하도록 구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위험신호나 폐쇄방지신호만 발생하여 송신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철도차량용 승강장 스크린도어 사고위험 감지장치(100) 및 이를 구비한 승강장 스크린도어 사고 방지시스템에 의하면, 철도차량(10)의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송ㆍ수신부(110, 120)가 구비되어 전자기파를 송ㆍ수신하고 제어부(130)가 이 전자기파의 수신되는 크기값을 확인하여 철도차량(10)의 측면 전 영역에 걸쳐 장애물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철도차량(10)과 스크린도어(20)의 사이 공간에 대한 사고위험을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복수의 송ㆍ수신부(110, 120)는 철도차량(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철도차량(10)의 측면 상ㆍ하부에 설치됨으로써 전자기파가 철도차량(10)의 측면을 대각선의 형태로 통과하면서 감지 영역이 극대화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어부(130)가 이렇게 사고위험이 감지한 경우 위험경보장치(200, 200')가 운전실(12)이나 관제실(30)에 위험경보를 제공하도록 위험신호를 발생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운전실(12)의 운전자나 역의 관제실(30) 관리자가 사고위험을 신속 용이하게 인지하고 대처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어 있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사고위험 감지장치 110 : 송신부
120 : 수신부 121 : 증폭기
130 : 제어부 200, 200' : 위험경보장치
10 : 철도차량 11 : 출입문
12 : 운전실 20 : 스크린도어
21 : 승강문 22 : 제어기
30 : 관제실 PF : 승강장
PF' : 승강장 연단 L1 : 철도차량 한계선
L2 : 승강장 연단선 L3 : 스크린도어 설치선

Claims (6)

  1. 철도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철도차량 및 승강장에 설치된 스크린도어의 사이 공간에 대한 사고위험을 감지하는 장치로서,
    상기 철도차량의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며, 전자기파를 송신하는 복수의 송신부;
    상기 철도차량의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철도차량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을 기준으로 선행 위치된 상기 송신부의 전자기파를 각각 수신하는 복수의 수신부; 및
    상기 복수의 수신부가 수신한 전자기파의 크기값을 확인하여 그 크기값이 소정의 기준값 이하인 경우 해당 전자기파를 각각 송신 및 수신한 상기 송신부와 상기 수신부 사이의 공간에 사고위험이 있는 것으로 감지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용 승강장 스크린도어 사고위험 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송신부와 상기 복수의 수신부는,
    상기 철도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상기 철도차량의 측면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승강장 스크린도어 사고위험 감지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송신부와 상기 복수의 수신부는,
    상기 철도차량의 측면에 구비된 복수의 출입문의 사이 중심부 및 상기 철도차량 측면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승강장 스크린도어 사고위험 감지장치.
  4. 철도차량 및 역의 승강장에 설치된 스크린도어의 사이 공간에서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철도차량의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며 전자기파를 송신하는 복수의 송신부, 상기 철도차량의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철도차량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을 기준으로 선행 위치된 상기 송신부의 전자기파를 각각 수신하는 복수의 수신부, 및 상기 복수의 수신부가 수신한 전자기파의 크기값을 측정하여 그 크기값이 소정의 기준값 이하인 경우 해당 전자기파를 각각 송신 및 수신한 상기 송신부와 상기 수신부 사이의 공간에 사고위험이 있는 것으로 감지하고 위험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고위험 감지장치;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위험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철도차량의 운전실 및 상기 역의 관제실 중 하나 이상에 위험경보를 제공하는 위험경보장치;
    를 포함하는 승강장 스크린도어 사고 방지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송신부와 상기 복수의 수신부는,
    상기 철도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상기 철도차량의 측면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스크린도어 사고 방지시스템.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부와 상기 수신부 사이의 공간에 사고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해당 상기 송신부와 상기 수신부의 사이에 위치한 상기 스크린도어의 승강문이 폐쇄되지 않도록 폐쇄방지신호를 상기 스크린도어의 제어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스크린도어 사고 방지시스템.
KR1020110039929A 2011-04-28 2011-04-28 철도차량용 승강장 스크린도어 사고위험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승강장 스크린도어 사고 방지시스템 KR201201219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929A KR20120121989A (ko) 2011-04-28 2011-04-28 철도차량용 승강장 스크린도어 사고위험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승강장 스크린도어 사고 방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929A KR20120121989A (ko) 2011-04-28 2011-04-28 철도차량용 승강장 스크린도어 사고위험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승강장 스크린도어 사고 방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989A true KR20120121989A (ko) 2012-11-07

Family

ID=47508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9929A KR20120121989A (ko) 2011-04-28 2011-04-28 철도차량용 승강장 스크린도어 사고위험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승강장 스크린도어 사고 방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198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6173A (ko) * 2018-05-30 2019-12-10 (주)유양디앤유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승강장의 장애물 유무를 판단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0843814A (zh) * 2019-11-11 2020-02-28 西南交通大学青岛轨道交通研究院 高速列车用车载物联网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6173A (ko) * 2018-05-30 2019-12-10 (주)유양디앤유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승강장의 장애물 유무를 판단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0843814A (zh) * 2019-11-11 2020-02-28 西南交通大学青岛轨道交通研究院 高速列车用车载物联网系统
CN110843814B (zh) * 2019-11-11 2020-08-25 西南交通大学青岛轨道交通研究院 高速列车用车载物联网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0888B2 (en) Door system with sensor unit and communication element
US10494853B2 (en) Door system with sensor unit for contactless passenger compartment monitoring
US932147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object collision avoidance for vehicles constrained to a particular path using remote sensors
US20070182550A1 (en) Passenger Detection System
KR101614861B1 (ko) 승강장 안전발판과 전동열차 및 승강장 안전문과의 연동제어시스템
KR101855301B1 (ko) 교통보행 위험지역 내 차량진입 알림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CN106672767A (zh) 一种汽车电梯的汽车位置检测装置及检测方法
RU2498918C2 (ru) Колей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 сенсор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CN106443816A (zh) 用于检查通道的扫描检测系统
KR102008966B1 (ko) 철도 승강장 추락사고 대응 시스템
KR20120121989A (ko) 철도차량용 승강장 스크린도어 사고위험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승강장 스크린도어 사고 방지시스템
CN207551671U (zh) 应用于垂直电梯的门系统防夹手装置
KR100966524B1 (ko) 차량 정위치 정차 검지 시스템
JP2001026266A (ja) 軌道上障害物監視通報システム
KR101931371B1 (ko) 차량 내 승객 미하차 방지 시스템
KR101211676B1 (ko) 철도 승강장의 추락사고 대응 시스템
KR20080010076A (ko) 열차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KR100573727B1 (ko)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KR101089114B1 (ko) 승강장 영상정보를 이용한 열차비상정지용 차상 제어 시스템
KR101608943B1 (ko) 천정크레인 탑승 감지장치
KR101637778B1 (ko) 탑승교 충돌방지 시스템
JPH0390471A (ja) ホーム安全監視装置
KR101278946B1 (ko)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KR101744941B1 (ko) 무선네트워크를 이용한 경광등 신호 자동인식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39751B1 (ko)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자율주행 트램의 저전력 측방 위험검지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