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1474A -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 위치 시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태그의 이동경로 제공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 위치 시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태그의 이동경로 제공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1474A
KR20120121474A KR1020110039312A KR20110039312A KR20120121474A KR 20120121474 A KR20120121474 A KR 20120121474A KR 1020110039312 A KR1020110039312 A KR 1020110039312A KR 20110039312 A KR20110039312 A KR 20110039312A KR 20120121474 A KR20120121474 A KR 20120121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
location information
server
wireless communic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9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4044B1 (ko
Inventor
박정섭
Original Assignee
박정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섭 filed Critical 박정섭
Priority to KR1020110039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4044B1/ko
Publication of KR20120121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1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6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with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e.g. for direction or speed deter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 위치 시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태그의 이동경로 제공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경로 추적 시, 단말기가 속해 있는 기지국을 통해 단말기의 위치정보가 서버로 전송됨에 따라 많은 통신비용이 부과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 위치 시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태그의 이동경로 제공시스템은 AP(Access Point), 태그 및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AP는 목적지까지의 경로에 복수개 설치되어 무선통신을 지원한다. 상기 태그는 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다가 추적대상이 상기 AP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 내에 위치하면,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AP로 송신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AP로부터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외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위치정보를 송신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태그가 GPS용 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다가 무선통신(Wi-Fi, Zigbee, Bluetooth)이 가능한 영역 내에 위치하게 되면, 무선통신이 가능한 상태를 인식하여 그 동안 저장되었던 위치정보를 AP를 통해 서버로 일괄 송신하고, 서버는 수신한 위치정보를 저장하며, 서버에 접속한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제공함에 따라서, 기지국을 통할 필요가 없어 비용 발생 없이 태그의 이동경로를 기록하고, 최소한의 비용으로 이동경로를 추적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태그의 위치정보가 이동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됨에 따른 즉각적 추적이 아니라, 근거리 통신망과 AP를 통한 추적이므로, 통신비용이 발생되지 않아 태그의 이동경로를 알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경제적 부담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 위치 시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태그의 이동경로 제공시스템 및 방법 {SYSTEM OF PROVINDING MOVING ROUTE OF TAG AND METHOD THEORY}
본 발명은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 위치 시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태그의 이동경로 제공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경로 추적 시, 단말기가 속해 있는 기지국을 통해 단말기의 위치정보가 서버로 전송됨에 따라 많은 통신비용이 부과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유선 인터넷뿐 아니라, 휴대폰이나 PDA 등과 같은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활성화되고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의 발달은 사용자가 장소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Ubiquitous) 환경을 현실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환경의 일예로 무선 인터넷 및 모바일 컴퓨팅 기술의 발달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l Based System) 관련 기술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위치 기반 서비스는 구조 요청, 범죄 신호, 인접 지역 정보 제공의 지리 정보 시스템, 위치 기반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등 다양한 분야 및 상황에 이용되고 있다.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요구된다.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으로는 기지국 기반 위치 파악 기술과 GPS용 위성을 이용한 위치 파악 기술이 있다.
GPS용 위성을 이용한 위치 파악 기술은 단말기에 GPS(Global Position Information) 장비를 구비하여, GPS용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로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기술이다. 이를 이용해서, 현재는 위치 추적 및 조회 서비스가 많이 활성화되어 있다. 예를 들면, 아이가 학교 교문 앞을 통과하면 부모님의 휴대폰으로 문자가 전송되는 안심서비스를 이용하면 아이의 이동경로를 파악할 수 있다. 또는, 이동수단(화물차 등 모든 운송수단 포함함)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휴대폰 혹은 신체에 태그를 장착하여 이동수단 자체 및 그에 탑재되어 있는 화물 등의 이동경로를 추적할 수도 있다.
하지만, 기존의 이동경로 추적에서는 단말기가 속해 있는 기지국을 통해 단말기의 위치정보가 서버로 전송되므로, 많은 통신비용이 부과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동경로 추적 시, 단말기가 속해 있는 기지국을 통해 단말기의 위치정보가 서버로 전송됨에 따라 많은 통신비용이 부과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 위치 시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태그의 이동경로 제공시스템은 AP(Access Point), 태그 및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AP는 목적지까지의 경로에 복수개 설치되어 무선통신을 지원한다. 상기 태그는 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다가 추적대상이 상기 AP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 내에 위치하면,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AP로 송신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AP로부터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외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위치정보를 송신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태그가 GPS용 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다가 무선통신(Wi-Fi, Zigbee, Bluetooth)이 가능한 영역 내에 위치하게 되면, 무선통신이 가능한 상태를 인식하여 그 동안 저장되었던 위치정보를 AP를 통해 서버로 일괄 송신하고, 서버는 수신한 위치정보를 저장하며, 이를 서버에 접속한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제공함에 따라서, 기지국을 통할 필요가 없어 비용 발생 없이 태그의 이동경로를 기록하고, 최소한의 비용으로 태그를 소지한 사람의 이동경로를 추적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태그의 위치정보가 이동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됨에 따른 즉각적 추적이 아니라, 근거리 통신망과 AP를 통한 추적이므로, 통신비용이 발생되지 않아 태그의 이동경로를 알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경제적 부담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태그가 AP와의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에 위치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GPS용 위성으로부터 시간별로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AP와의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으로 이동하면, 저장되어 있는 위치정보를 한꺼번에 송신하므로,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AP만으로 태그의 이동경로를 파악할 수 있고,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주요 예상경로에 추가적으로 AP를 설치하더라도 그 비용이 통신비용보다 적으므로 경제적으로도 효율적이다.
또, 태그에서 서버로 위치정보의 송신이 완료되면, 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위치정보는 삭제 및 초기화되므로, 태그의 저장 공간이 부족할 염려가 없어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 위치 시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태그의 이동경로 제공시스템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 위치 시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태그의 이동경로 제공방법에서 태그 측에서 위치정보가 처리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 위치 시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태그의 이동경로 제공방법에서 서버 측에서 위치정보가 처리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태그가 AP와의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 중 AP 내에 위치 시의 통신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태그가 도 4에서의 위치로부터 이동하여 AP와의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을 이탈 시의 통신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태그가 도 5에서의 위치로부터 이동하여 AP와의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 중 B 내에 위치 시의 통신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단말기의 화면상에 위치정보가 지도상 또는 텍스트 형식으로 제공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구체적인 수치는 실시예에 불과하며, 설명의 편의와 이해를 위하여 실제와는 달리 과장된 수치가 제시되었을 수 있다.
<시스템에 대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 위치 시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태그의 이동경로 제공시스템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동경로 제공시스템(100)은 AP(Access Point)(110), 태그(120) 및 서버(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P(110)는 목적지까지의 예상되는 이동경로에 복수개 설치되어 무선통신을 지원하며, 태그(120)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 태그(120)의 인증에 필요한 ID 등의 정보, AP(110)에 관한 정보 등을 서버(130)로 전송한다. 여기서, 무선통신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와이파이(Wi-Fi) 방식, 지그비(Zigbee) 방식, 블루투스(Bluetooth) 방식 중 하나의 통신 방식에 해당한다. 특히, 지그비 방식은 지그비 프로토콜에 따른 노드들로 이루어진 무선망인 지그비망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연결확립이 빠르고, 이 과정에서의 전력소모가 적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 AP(110)는 목적지 주변(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 예상되는 태그(120)의 주요경로), 예를 들면 집에서 학교까지, 또는 운송-이동수단의 이동경로 등 개인 단말기나 운송-이동수단에 설치되어 있는 태그(120)의 주요경로에 복수개 설치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경로 제공시스템(100)이 담당하는 구역의 특정한 위치에 분산 설치되어 있다. 개인 단말기로는 손목 시계형, 목걸이형, 혹은 카드형의 외형을 갖는 무선 단말기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때, 주요경로는 태그(120)를 소지한 사람이 지날 수 밖에 없는 영역에 AP(110)가 설치되는 경로로, AP(110)의 설치 개수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주로 CCTV, 가로등, 공유기 등의 위치에 설치된다.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편의상 2개의 AP(110)를 도시하였으나, 개수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태그(120)는 이동경로 추적의 대상이 되는 휴대폰, PDA, 스마트폰 등의 개인용 휴대 기기나 차량 등에 장착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버(130)에 등록됨으로써 태그(120)를 소지한 사람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되고, GPS용 위성(10)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시간별로 저장하고 있다가 AP(110)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A, B, 사무실, 카페, 공항, 기차역과 같은 공공 장소와 개인 가정 등이 있음) 내에 위치하면, 위치정보를 AP(110)로 송신한다. 이러한 태그(120)는 GPS부(121), 메모리부(122), 태그통신부(123) 및 태그제어부(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GPS부(121)는 GPS용 위성(10)으로부터 위도, 경도, 시간, 이동방향, 이동속도, 이동거리 등의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메모리부(122)는 GPS부(121)로 수신된 위치정보와 태그(120)의 인증에 필요한 ID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
태그통신부(123)는 외부 기기와의 신호 송수신을 위하여 태그(120)에 마련되며, 2.4GHz 혹은 5.4GHz 대역을 이용하여 안테나를 통해 RF신호를 수신 받거나 송신한다.
태그제어부(124)는 AP(110)와 태그통신부(123) 간의 신호 송수신으로 태그(120)가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A, B) 내에 위치하면, 이를 인식하여 위치정보를 AP(110)로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즉, 태그(120)가 보내는 접속요청 신호를 AP(110)가 수신하고 태그(120)에게 접속요청 응답을 하거나 혹은, AP(110)가 보내는 접속요청 신호를 태그(120)가 수신하고 AP(110)에게 접속요청 응답을 하면, 태그(120)와 AP(110)는 상호간에 무선통신 가능영역(A, B)임을 확인한 후에 태그(120)에 이동경로에 따라 저장된 위치정보를 인코딩(암호화)하여 AP(110)으로 송신하고, AP(110)는 이에 수신완료 신호를 태그(120)에게 송신한다. 이의 과정은 태그(120)가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는 위치정보를 모두 전송하거나, 무선통신가능영역(A, B)을 벗어날 때까지 반복한다. 또한, 태그제어부(124)는 태그통신부(123)를 통해 지그비 프로토콜에 따라 AP(110)와 통신하여 태그 고유번호를 전송하며, 무선 단말기의 긴급신호버튼이 조작되면 긴급신호를 송출한다.
본 발명에서 AP(110)는 근거리 통신을 가능하게 하므로, AP(110)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A, B)은 반경 10m 내지 40m의 범위를 의미하며, 이에 따라 태그(120)는 AP(110)와 접속하기 위해서 AP(110)와 통신이 가능한 반경 10m 내지 40m의 범위 내에 위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그(120)가 영역(A, B) 내에 위치할 때 AP(110)와의 무선통신이 가능하며, 상기 영역(A, B)을 이탈할 경우에는 AP(110)와의 통신이 중단된다.
이때, 태그(120)의 태그제어부(124)가 AP(110)로부터 위치정보의 수신 완료 신호를 수신하면, 메모리부(122)에 저장된 순서대로 위치정보를 삭제하고, 메모리부(122)에 AP(110)로 송신되지 않은 나머지 위치정보가 남아있는지 확인하여 남아 있으면 이를 AP(110)로 송신한다. 이는, 선입 선출(FIFO: First In First Out) 방식으로, 선입선처리 행위에 따라 순서대로 처리함으로써, 먼저 들어간 데이터, 즉 위치정보가 먼저 나온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해당 목적지에서 메모리부(122)에 AP(110)로 송신되지 않은 나머지 위치정보가 있는지 확인하여, 남아 있으면 메모리(122)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나머지 위치정보를 서버(130)로 송신한다. 따라서 AP(110)의 설치 개수가 충분하지 않아 수시로 태그(120)의 이동경로를 파악하지 못하게 되더라도, 추후 한꺼번에 태그(120)의 이동경로를 파악할 수 있다.
보통 데이터 전송은 패킷(Packet)단위로 이루어지는데 패킷의 크기는 정해져 있고, 패킷의 크기보다 전송해야 할 정보(Segment)가 큰 경우에는 정보를 다 보낼 수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태그(120)의 메모리부(122)에 저장되어 있는 위치정보를 다 보내지 못하면, 어디부터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았는지, 즉 전송할 위치정보가 남아있는지 확인해야 하고, 위치정보를 보냈는데 이에 대해 AP(110)로부터 응답이 없으면, 그 시점부터 태그(120)가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A, B)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며, 이 이후로 GPS용 위성(10)으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정보는 태그(120)의 메모리부(122)에 저장된다. 그리고 차후에 태그(120)가 AP(110)와의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A, B)으로 이동하게 되면 무선통신이 연결되고, 미처 전송되지 못한 위치정보와 함께, 무선통신이 연결되지 않는 동안 GPS용 위성(10)으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를 모두 AP(110)로 보낸다.
전술한 바를 폴링(polling)이라는 전송 제어 방식에 적용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AP(110)가 접속신호를 송출하고, 태그(120)가 이를 수신하거나, 혹은 태그(120)가 접속신호를 송출하고 AP(120)가 이를 수신하여 상호간에 무선가능영역(A, B)에 위치함을 확인한 후에 태그(120)는 AP(110)에게 인증정보를 송신하고, AP(110)으로부터 태그(120)인증신호를 받으면, 태그제어부(124)는 메모리부(122)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AP(110)로 송신을 시작 하도록 명령한다. 그러면, 태그(120)의 위치정보가 AP(110)으로 전송되기 시작하는데, 이 과정에서 태그(120)와 AP(110)상호간에 일정시간 동안 통신이 이루어지지 못하면, 무선통신가능영역(A, B)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여 메모리부(122)에 저장된 위치정보의 송신을 중단한다.
한편, 서버(130)는 AP(11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외부의 요청에 따라 이를 외부로 송신하며, 이를 위해 서버통신부(131), 데이터베이스부(132), 태그인증부(133) 및 서버제어부(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서버통신부(131)는 AP(110)로부터 태그(120)의 위치정보와 태그(120)의 인증에 필요한 ID 등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정보는 디코딩(복호화)된다.
데이터베이스부(132)는 AP(110)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 태그(120)의 인증에 필요한 정보 및 위치정보를 송신한 AP(11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태그(120)의 인증에 필요한 정보로는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태그(120)의 고유식별번호, 특정 태그(120)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 등이 있고, 태그(120)가 단말기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이동통신번호(MIN: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등이 있으며, 여기서 AP(110)에 대한 정보로는 MAC 주소, 영역 식별 ID 등이 있다. 전술한 정보들의 저장을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베이스부(132)가 특정 태그(120)를 인증할 수 있는 ID 등의 정보를 저장하는 인증정보DB(132a)와, 태그(120)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위치정보DB(132b)와 AP(11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AP정보DB(132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치정보DB(132b)는 GPS(10)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의 해당 지점에 관한 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하고 있다. 즉, 위치정보DB(132b)는 위도, 경도 등에 따라 이에 해당하는 지점이 지도상 어느 지역인지를 대응시켜 저장하는 것이다. 해당 지점은 추후 지도상에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고, 또는 SMS나 MMS와 같은 텍스트 형식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태그인증부(133)는 태그(120)를 인증하는 역할로, 인증정보DB(132a)에 저장된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태그(120)의 고유식별번호, 이동통신번호 등의 정보와, AP(11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판단함으로써 태그(120)를 인증한다.
서버제어부(134)는 전술한 구성들(131, 132, 133)을 제어하는 역할로, 인증된 태그(120)에 대해서만 데이터베이스부(132)의 위치정보DB(132b)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서버통신부(131)는 외부의 요청에 따라, 위치정보를 송신한다. 이때, 외부의 요청은 태그(120)를 소유한 사람의 이동경로를 추적하려는 요청으로, 인증된 태그(120)의 사용자이거나, 외부 단말기(20)의 사용자일 수 있다. 상기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에만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위치경로 제공시스템(100)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인증 시 입력되는 정보로는 태그(120)나 외부 단말기(20)의 고유식별번호인 전화번호, 비밀번호, 사용자 주민등록번호 등이 있다.
이때, 이동경로 추적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단말기가 지도상으로 위치 확인이 가능한 스마트폰이면, 스마트폰에는 지도가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은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를 지도상에 표시할 수 있다. 만약, 이동경로 추적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단말기가 통화, 문자기능과 같이 아주 간단한 기능만 가진 피처폰이면, 피처폰은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를 텍스트 형식으로 표시할 수도 있고, 또는 서버(130)에서 위치정보를 지도상에 표시하도록 가공 처리하여 이를 피처폰의 화면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태그(120)가 GPS용 위성(10)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다가 무선통신(Wi-Fi, Zigbee, Bluetooth)이 가능한 영역(A, B) 내에 위치하게 되면, 무선통신이 가능한 상태를 인식하여 그 동안 저장되었던 위치정보를 AP(110)를 통해 서버(130)로 일괄 송신하고, 서버(130)는 수신한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서버(130)에 접속한 단말기(120, 20)의 요청에 따라 제공함에 따라서, 기지국을 통할 필요가 없어 비용 발생 없이 태그(120)의 이동경로를 기록하고, 최소한의 비용으로 태그(120)를 소지한 사람의 이동경로를 추적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태그(120)의 위치정보가 이동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됨에 따른 즉각적 추적이 아니라, 근거리 통신망과 AP(110)를 통한 추적이므로, 통신비용이 발생되지 않아 태그(120)의 이동경로를 알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경제적 부담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을 적용하면 태그(120) 사용자나 외부 단말기(20) 사용자가 이동경로 제공시스템(100)을 지원하는 웹에 접속하여 태그(120) 사용자의 이동경로가 표시된 지도를 화면상으로 확인할 수 있거나, 태그(120)를 네비게이션에 적용하면 차량 운전자가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이동한 경로를 파악할 수도 있으며, 또는 아이의 부모는 아이의 이동경로를 추적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태그(120)가 AP(110)와의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A, B)에 위치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GPS용 위성(10)으로부터 시간별로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AP(110)와의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A, B)으로 이동하면, 저장되어 있는 위치정보를 한꺼번에 송신하므로,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AP(110)만으로 태그(120)의 이동경로를 파악할 수 있고,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주요 예상경로에 추가적으로 AP(110)를 설치하더라도 그 비용이 통신비용보다 적으므로 경제적으로도 효율적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태그(120)가 지날 수 밖에 없는 주요경로에 AP(110)를 설치하여, AP(110)의 설치 개수를 최소화함으로써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 태그(120)에서 서버(130)로 위치정보의 송신이 완료되면, 태그(120)에 저장되어 있는 위치정보는 삭제 및 초기화되므로, 태그(120)의 저장 공간이 부족할 염려가 없어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을 태그(120)가 장착된 단말기에 적용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서버(130)는 소정의 등록 절차를 통해 관할지역에 설치된 AP(110)와 태그(120), 태그(120)를 사용하는 학생 정보, 학부모 정보, 관련기관을 데이터베이스로 등록하고, 각 AP(110)로부터 학생의 위치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해당 학생의 학부모가 이동경로보고를 요청하는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해당 학부모들의 단말기로 문자 메시지를 통해 해당 학생의 위치정보(이동경로정보)를 전송해주며, 해당 학생의 안전지역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 해당 학생이 안전지역을 이탈하게 되면, 해당 학부모의 단말기로 안전지역 이탈을 통지해주고, 등, 하교시간이 되면 학생들의 출결상황을 각 학생들의 학부모 단말기로 통지해주며, 긴급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학부모의 단말기 및 관련기관에 통지해줄 수도 있다.
<방법에 대한 설명>
본 발명의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 위치 시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태그의 이동경로 제공방법에 대해서 도 2a 및 도 3에 도시된 흐름도와 더불어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예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편의상 순서를 붙여 설명한다. 도 2a와 도 2b는 태그 측에서 위치정보가 처리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서버 측에서 위치정보가 처리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AP(110)는 목적지까지의 예상되는 주요 이동경로에 복수개 설치되어 무선통신을 지원하며, 태그(120)와 서버(130) 간의 정보를 송수신한다. 먼저,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태그(120) 측에서 위치정보가 처리되는 과정에 관해 살펴보기로 한다. 이에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한다.
<제1 방법 - 태그(120)가 접속요청을 하는 경우>
1. 위치정보 수신단계<S201>
태그(120)의 GPS부(121)는 GPS용 위성(10)으로부터 위도, 경도 등의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2. 위치정보 저장단계<S202>
상기 단계 S201에서 수신된 위치정보를 태그(120)의 메모리부(122)에 저장한다.
3. AP로의 연결 요청 신호 송신단계<S203>
태그(120)의 태그통신부(123)는 AP(110)로의 연결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 즉, 태그(120)가 AP(110)에게 접속요청을 한다.
4. 연결 요청(접속요청) 신호에 대한 AP의 응답 여부단계<S204>
상기 단계 S203에서의 연결 요청 신호에 대해서 AP(110)의 응답이 없으면, 위치정보 수신 단계 S201로 돌아가고, 응답이 있으면 하기의 단계로 진행된다. 즉, 상기 단계 S204에서는 태그(120)가 AP(110)와의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A, B) 내에 위치하지 않으면, 위치정보 수신단계 S201로 돌아가고, 상기 영역(A, B) 내에 위치하면 하기의 단계로 진행되는 것이다. 여기서, 무선통신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와이파이 방식, 지그비 방식, 블루투스 중 하나의 통신 방식에 해당한다. 특히, 지그비 방식을 이용하면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연결확립이 빠르고, 이 과정에서의 전력소모가 적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5. 인증정보 송신단계<S205>
태그(120)의 태그제어부(124)는 상기 단계 S204에서 연결 요청 신호에 대한 AP(110)의 응답이 있으면, 메모리부(122)에 저장된 태그(120)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AP(110)로 송신하고, AP(110)는 상기 정보를 서버(130)로 송신한다. 여기서, 태그(120) 인증에 필요한 정보로는 MAC 주소, 태그(120)의 고유식별번호, 특정 태그(120)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 등이 있고, 태그(120)가 단말기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이동통신번호 등이 있다.
6. 태그 인증 여부단계<S206>
상기 단계 S205에서 서버(130)로 전송된 정보와 서버(130)에 저장된 정보, 즉 태그(120)의 인증 시 필요한 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로, 상기 판단에 의해 일치하지 않으면 단계를 종료하고, 일치하면 태그(120)의 인증이 이루어져 하기 단계가 진행된다.
7. 위치정보 인코딩단계<S207>
태그(120)의 태그제어부(124)는 상기 단계 S204에서 연결 요청 신호에 대한 AP(110)의 응답이 있고 난 후, 상기 단계 S206에서 태그(120)의 인증이 이루어지면, 메모리부(122)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안전하게 송신하기 위해서 인코딩(암호화)한다.
8. 위치정보 송신단계<S208>
태그(120)의 태그통신부(123)는 상기 단계 S207에서 인코딩된 위치정보를 AP(110)로 송신한다.
9. 위치정보 수신에 대한 AP의 응답 여부단계<S209>
상기 단계 S208에 따라, AP(110)가 태그(12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이에 대한 응답이 없으면 위치정보 수신 단계 S201로 돌아가고, 응답이 있으면 하기의 단계가 진행된다. 이 과정에서 태그(120)가 AP(110)로부터 기 송신한 위치정보를 올바르게 수신하였다는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면 무선통신 가능 영역(A, B)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여 메모리부(122)에 저장된 위치정보의 송신을 중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AP(110)는 자신이 담당하고 있는 영역 내에 새로 진입하거나 존재하는 태그(120)와 통신하여 해당 태그(120)의 고유번호를 자신의 고유번호와 함께 서버(130)로 전송해줌으로써, 서버(130)가 태그(120)를 소지한 사람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10. 송신한 위치정보 메모리에서 삭제 단계<S210>
태그(120)가 상기 단계 S209에서 AP(110)로부터 위치정보의 수신 완료 신호를 수신하면, 송신한 위치 정보를 메모리부(122)에서 삭제하여 이후에 수신할 위치정보를 저장할 메모리부(122) 공간을 확보한다.
11. 미송신 위치정보 확인 단계<S211>
태그(120)의 메모리부(122)에 AP(110)로 송신되지 않은 나머지 위치정보가 남아있는지 확인하는 단계로, 위치정보가 남아있으면 상기 단계 S207로 돌아가고, 없으면 다시 위치정보 수신 단계 S201로 돌아간다.
<제2 방법 - AP(110)가 접속요청을 하는 경우>
1. 위치정보 수신단계<S221>
태그(120)의 GPS(121)는 GPS용 위성(10)으로부터 위도, 경도 등의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2. 위치정보 저장단계<S222>
상기 단계 S221에서 수신된 위치정보를 태그(120)의 메모리부(122)에 저장한다
3. AP(110)으로부터 연결요청 신호 수신단계<S223>
태그(120)의 태그통신부(123)는 AP(110)으로부터 연결요청 신호가 수신 되었는지를 확인한다. 해당 신호가 있다면 이는 태그(120)가 AP(110)와 무선통신 가능영역(A, B)에 위치하고 있음을 뜻하며 이때는 다음단계 S224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다시 위치정보 수신 단계 S221로 돌아간다.
4. 인증정보 송신단계<S224>
상기 <제1 방법>의 단계 S205에서 서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5. 태그 인증 여부단계<S225>
상기 <제1 방법>의 단계 S206에서 서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6. 위치정보 인코딩단계<S226>
상기 <제1 방법>의 단계 S207에서 서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7. 위치정보 송신단계<S227>
상기 <제1 방법>의 단계 S208에서 서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8. 위치정보 수신에 대한 AP 의 응답 여부단계< S228 >
상기 <제1 방법>의 단계 S209에서 서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9. 송신한 위치정보 메모리에서 삭제 단계< S229 >
상기 <제1 방법>의 단계 S210에서 서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10. 미송신 위치정보 확인 단계< S230 >
상기 <제1 방법>의 단계 S211에서 서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은 도 3을 참조하여 서버(130) 측에서 위치정보가 처리되는 과정에 관해 살펴보기로 한다.
1. 데이터베이스 구축단계<S300>
태그(120) 사용자의 이동경로에 AP(110)들이 설치되고 난 후, 본 발명에 따른 이동경로 제공시스템(100)이 담당하는 태그(120), 해당 AP(110)들, 태그(120)의 이동경로를 수신할 사용자 단말기 등에 관한 정보를 등록하여 데이터베이스를 미리 구축한다.
2. 인증정보 수신단계<S301>
서버(130)는 태그(120) 인증에 필요한 정보, 예를 들면 MAC 주소, 태그(120)의 고유식별번호, 특정 태그(120)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 등의 정보를 AP(110)로부터 수신한다.
3. 태그 인증 여부 판단단계<S302>
상기 단계 S301에서 서버(130)로 전송된 정보와 서버(130)에 저장된 정보, 즉 태그(120)의 인증 시 필요한 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로, 상기 판단에 의해 일치하지 않으면 단계를 종료하고, 일치하면 태그(120)의 인증이 이루어져 하기 단계가 진행된다.
4. 위치정보 수신단계<S303>
서버(130)의 서버통신부(131)는 AP(110)를 통해 태그(120)의 인코딩된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5. 위치정보 디코딩단계<S304>
서버(130)의 서버제어부(134)는 상기 단계 S303에서 수신한 위치정보를 디코딩한다.
6. 위치정보 저장단계<S305>
서버(130)는 상기 단계 S304에서 디코딩한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132)에 저장하는 단계로, 위도, 경도 등에 해당하는 지점을 대응시켜 저장한다.
7. 외부 요청 여부단계<S306>
태그(120)의 위치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태그(120)의 소유자나 외부 단말기(20)의 사용자의 요청 여부에 따라, 단계를 종료하거나 하기 단계로 진행된다.
8. 단말기로 송신단계<S307>
서버(130)의 서버통신부(131)는 상기 단계 S306에서 이동경로 추적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단계 S305에서 저장된 위치정보를 인증이 이루어진 태그(120)가 설치된 단말기나 외부 단말기(20)의 화면으로 송신하며, 이에 따라 태그(120) 사용자의 이동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태그(120)의 이동경로를 추적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기가 스마트폰인 경우에는 위치경로를 지도상에 표시하여 제공하고, 피처폰인 경우에는 텍스트 형식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표시 방식은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전술한 바를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단말기가 AP와의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 중 A 내에 위치 시의 통신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단말기가 도 4에서의 위치로부터 이동하여 AP와의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을 이탈 시의 통신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단말기가 도 5에서의 위치로부터 이동하여 AP와의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 중 B 내에 위치 시의 통신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단말기의 화면상에 위치정보가 지도상 또는 텍스트 형식으로 제공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태그(120)는 GPS용 위성(10)과의 통신을 통해 주기적으로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시간별로 저장하고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그(120)가 영역 A 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AP(110)와 무선통신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태그(120)에 저장된 위치정보는 AP(110)로 전송되며, 서버(130)는 AP(11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다음, 도 5와 같이 태그(120) 사용자가 영역 A를 벗어나 AP(110)와의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A, B)을 이탈하게 되면, 태그(120)는 AP(110)와 통신이 불가능하여 위치정보를 AP(110)로 전송하지 못하지만, GPS용 위성(10)으로부터는 지속적으로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태그(120) 사용자가 도 5에서 도 6과 같이 이동하여 영역 B 내에 위치함에 따라 태그(120)에 저장되어 있는 위치정보는 한꺼번에 AP(110)로 전송되고, AP(110)는 이를 서버(130)로 전송한다. 여기서, 태그(120)에 저장된 위치정보가 모두 AP(110)로 전송되기 전, 태그(120)가 AP(110)와의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A, B)을 벗어나게 되면 전송이 완료된 위치정보는 태그(120)에서 삭제되고, 나머지 위치정보는 저장하고 있다가, 다시 AP(110)와 무선통신이 가능하게 되면 나머지 위치정보와 AP(110)와 무선통신이 이루어지기까지 GPS용 위성(10)으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는 위치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태그(120)가 해당 목적지에 도착하면, 태그(120)에 저장된 위치정보가 서버(130)로 송신되지 않고 남아있는지 확인하여, 남아 있으면 모든 위치정보를 서버(130)로 전송한다. 서버(130)는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외부의 요청에 따라 위치정보를 송신하면, 도 7과 같이 태그(120)의 이동경로가 나타난 지도 또는 텍스트를 화면상으로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을 태그(120)가 장착된 화물차에 적용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만약, 화물차가 평창동을 들려서 광교를 지나 시청을 지난 후, 강남에 갔다가 용산 차고지(목적지)로 이동해야 한다면, 먼저 상기 주요 이동경로에 AP(110)를 복수개 설치한다. 그러면, AP(110)는 소정 간격을 두고 이동경로, 예를 들면 CCTV나 가로등과 같은 위치에 배치되므로, 화물차가 전술한 경로를 거쳐서 목적지로 갔는지, 아님 다른 경로를 거쳐서 갔는지 기업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즉, 화물차가 중간에 경로를 이탈해 다른 경로로 가거나, 다른 볼일을 보거나, 다른 화물을 나르는 등과 같이 업무 시간을 개인 시간으로 이용하는 등의 일을 방지할 수 있어 기업의 입장에서는 적은 비용으로도 화물의 이동경로 관리가 가능하다.
다음은 본 발명을 태그(120)가 장착된 단말기에 적용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만약, 학부모가 학생에게 단말기를 착용시켜 학생의 이동경로를 추적하고자 하는 경우, 사업자 측에서는 집에서 학교(목적지)까지의 주요 이동경로에 AP(110)를 복수개 설치하고, 본 발명에 따른 이동경로 제공시스템(100)이 담당하는 학생의 단말기 고유번호, 앞서 설치한 AP(110)의 정보, 해당 학생의 학부모 휴대폰의 고유번호를 등록하여 데이터베이스를 미리 구축한다. 그리고 학생의 이동경로에 설치된 AP(110)로부터 수신된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하여 해당 학부모에게 학생의 이동경로를 알려주면 된다. 여기서, 기존에 AP(110)가 설치된 영역은 제외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학부모는 학생이 집에서 학교까지 이탈하지 않고, 안전하게 도착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학생의 위치 이동이 AP(110)의 감지영역 내에서만 이루어지면, 실시간으로 학생의 위치를 학부모에게 알려줄 수도 있다. 그리고 AP(110)를 CCTV가 설치된 장소에 설치하게 되면, 추후 학생의 신변에 위험이 발생하여도 CCTV를 참조하여 학생의 이동경로를 파악할 수도 있으므로, 각종 범죄와 위험으로부터 학생을 보호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학생이 단말기를 착용하고 외출이나 등, 하교 길에 나선 후, 단말기와 AP(110)들의 통신이 가능한 지역에서 해당 AP(110)가 학생의 이동경로를 서버(130)측으로 제공하면, 서버(130)가 이를 학부모의 휴대폰으로 메시지를 전송해줌에 따라 학부모는 자녀의 이동경로를 수시로 확인하여 안심하고 자신의 업무를 볼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해당 학생의 안전지역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 안전지역을 따라 AP(110)를 설치하고, 해당 학생이 안전지역을 이탈하게 되면, 해당 학부모에게 안전지역 이탈을 통지해주며, 등, 하교시간이 되면 학생들의 출결상황을 각 학생들의 학부모에게 통지해 줄 수도 있다. 또한, 학생이 학교나 학원과 같이 예정된 장소로 가지 않고, 길거리나 오락실 등에서 방황하거나 유흥을 즐길 수 없도록 학부모가 손쉽게 단속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비용의 발생 없이 태그(120)의 이동경로를 기록하고, 최소한의 비용으로 이동경로를 추적할 수 있어 태그(120)의 이동경로를 알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경제적 부담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 위치 시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태그(120)의 이동경로 제공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태그의 이동경로 제공시스템
110: AP
120: 태그
121: GPS부 122: 메모리부
123: 태그통신부 124: 태그제어부
130: 서버
131: 서버통신부 132: 데이터베이스부
133: 태그인증부 134: 서버제어부

Claims (6)

  1. 목적지까지의 경로에 복수개 설치되어 무선통신을 지원하는 AP(Access Point);
    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다가 추적대상이 상기 AP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 내에 위치하면,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AP로 송신하는 태그; 및
    상기 AP로부터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외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서버; 를 포함하는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 위치 시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태그의 이동경로 제공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상기 위성으로부터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부;
    수신된 상기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외부 기기와의 신호 송수신을 위한 태그통신부; 및
    상기 태그통신부가 상기 AP로 연결요청을 하거나, 혹은 상기 태그가 상기 AP로부터 연결요청 신호를 수신하거나 하여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 내에 위치함을 확인하고 나면,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AP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태그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태그통신부는 저장된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태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송신하는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 위치 시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태그의 이동경로 제공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AP로부터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서버통신부;
    수신된 상기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태그를 인증하는 태그인증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통신부는 외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 위치 시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태그의 이동경로 제공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제어부는,
    상기 AP로부터 상기 위치정보의 수신 완료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순서대로 위치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목적지 도달 시 상기 메모리부에 상기 AP로 송신되지 않은 나머지 위치정보가 남아있으면, 상기 나머지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메모리부의 상기 나머지 위치정보를 삭제하는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 위치 시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태그의 이동경로 제공시스템.
  5. 태그가 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태그가 수신된 상기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태그가 목적지까지의 경로에 복수개 설치된 AP(Access Point)와의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 내에 위치하면, 저장된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AP로 송신하는 단계;
    서버가 상기 AP로부터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외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위치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 위치 시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태그의 이동경로 제공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상기 AP로부터 상기 위치정보의 수신 완료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태그에 저장된 순서대로 위치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목적지 도달 시 상기 태그에 상기 AP로 송신되지 않은 나머지 위치정보가 남아있으면, 상기 나머지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 위치 시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태그의 이동경로 제공방법.
KR1020110039312A 2011-04-27 2011-04-27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 위치 시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태그의 이동경로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1254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312A KR101254044B1 (ko) 2011-04-27 2011-04-27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 위치 시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태그의 이동경로 제공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312A KR101254044B1 (ko) 2011-04-27 2011-04-27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 위치 시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태그의 이동경로 제공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474A true KR20120121474A (ko) 2012-11-06
KR101254044B1 KR101254044B1 (ko) 2013-04-12

Family

ID=47507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9312A KR101254044B1 (ko) 2011-04-27 2011-04-27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 위치 시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태그의 이동경로 제공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40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90112A (zh) * 2020-12-28 2022-07-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定位标签及导航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560B1 (ko) * 2007-08-29 2014-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위치정보를 갖는 단말장치와 그를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설정 방법 및 장치
KR100923294B1 (ko) * 2007-08-31 2009-10-23 이커스텍(주)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실시간 위치 인식 방법 및 시스템
KR101007608B1 (ko) * 2008-07-21 2011-01-12 황영상 무선랜과 gps 및 rf 신호감지 기법을 이용한위치추적 솔루션
KR101027961B1 (ko) * 2009-10-09 2011-04-13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무선 인식 태그의 이동 속도 추적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90112A (zh) * 2020-12-28 2022-07-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定位标签及导航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4044B1 (ko) 2013-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672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laying out of range emergency information
KR100548830B1 (ko) 차량간 메시지 전달 방법 및 그 방법을 응용한 장치
KR101722219B1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자전거 분실 방지 시스템
JP4557269B2 (ja) 歩行者支援システム
US20140128095A1 (en) Obtaining a geo-fence without a network download
US2014015348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070126603A1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parked cars
CN104471966A (zh) 无线设备中的相对定位应用
KR20130028317A (ko) 위치 추적용 휴대용 단말기, 위치 추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위치 추적 시스템
WO2021129703A1 (zh) 到站提醒的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101079905B1 (ko)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70034542A (ko) 긴급차량이 이동할 경로 확보를 위한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150021391A (ko) 교통카드와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노선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1254044B1 (ko)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 위치 시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태그의 이동경로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1999381B1 (ko) 스마트 기기 충전 및 보관 통합관리 시스템
KR20170031942A (ko)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 확보를 위한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150074240A (ko) 도착역 알림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방법, 및 기록 매체
WO2018211830A1 (ja) 不正利用検知システム及び不正利用検知プログラム
KR101612003B1 (ko) 여행 정보 제공 및 여행자 안전 확보 방법
KR20160074295A (ko) 비콘 디바이스들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KR20140026051A (ko) Nfc를 이용한 위치정보 활용 시스템 및 nfc를 이용한 위치정보 활용 방법
KR20170029270A (ko) 네트워크 비콘 장치를 이용한 이동형 비콘 장치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97872A (ko) 시민 공감형 응급차량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
KR20170029109A (ko)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JP2005328392A (ja) 移動体監視装置、移動体監視システム及び移動体監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