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9381B1 - 스마트 기기 충전 및 보관 통합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기기 충전 및 보관 통합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9381B1
KR101999381B1 KR1020180082704A KR20180082704A KR101999381B1 KR 101999381 B1 KR101999381 B1 KR 101999381B1 KR 1020180082704 A KR1020180082704 A KR 1020180082704A KR 20180082704 A KR20180082704 A KR 20180082704A KR 101999381 B1 KR101999381 B1 KR 101999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device
unit
information
central server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2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이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이엠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이엠테크
Priority to KR1020180082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381B1/ko
Priority to PCT/KR2019/008313 priority patent/WO202001780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보관타워 내에 스마트 기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충전장치(110)와; 충전보관타워에 상기 충전장치(110)에서 충전중인 스마트 기기를 잠금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설치되되 잠금 상태를 가변하는 키 구조부(121)와, 상기 키 구조부(121)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솔레노이드부(122)와, 상기 잠금 상태에 대한 센싱 신호를 제공하는 센서부(123)와, 관리장치(140)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부(124)를 포함하는 잠금장치(120)와; 상기 스마트 기기와 동기화 설정되되, 인증정보가 저장된 인증부(131)와, 상기 관리장치(140) 또는 중앙서버(150)와의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근거리 통신부(132)와, 상기 관리장치(140) 또는 중앙서버(150)와의 광역 통신을 지원하는 광역 통신부(133)와, 상기 광역 통신부(133)를 통해 상기 관리장치(140) 또는 중앙서버(150)로부터 수신한 동기화 설정된 스마트 기기의 외부수신정보 또는 안내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4)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130)와; 상기 스마트 기기와 스마트 디바이스(130)의 동기화를 위한 동기화부(141), 상기 동기화부(141)를 통해 스마트 기기와 스마트 디바이스(130)를 동기화 설정하는 설정부(142)와, 상기 잠금장치(120) 또는 스마트 디바이스(130)와의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근거리 통신부(143)와, 상기 중앙서버(150)와의 광역 통신을 지원하는 광역 통신부(144)와, 상기 잠금장치(120)의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45)와, 상기 근거리 통신부(143)를 통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130)의 인증부(131)의 인증정보와 상기 저장부(145)에 저장된 인증정보를 비교하여, 인증정보 일치에 따른 인증 성공시 상기 잠금장치(120)의 솔레노이드부(122)를 동작시켜 상기 키 구조부(121)를 통한 상기 잠금장치(120)의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며, 상기 스마트 기기로 걸려온 외부수신정보를 상기 광역 통신부(144)를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130) 또는 중앙서버(150)로 전송하고, 상기 센서부(123)의 센싱 신호에 따른 충전보관타워의 사용상태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광역 통신부(144)를 통해 중앙서버(150)로 전송하는 제어부(146)를 포함하는 관리장치(140)와; 상기 관리장치(140)로부터 스마트 기기와 스마트 디바이스(130)의 동기화 설정 정보를 수신함과 아울러 스마트 기기로 걸려온 외부수신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외부수신정보 또는 안내정보를 상기 스마트 기기와 동기화 설정된 스마트 디바이스(130)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장치(140)로부터 충전보관타워의 사용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모니터링하는 중앙서버(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기기 충전 및 보관 통합관리 시스템{Smart Instrument Charge and Storag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 충전 및 보관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 기기를 충전 및 보관하면서 외부에서 스마트 기기로 걸려온 전화번호나 문자 메시지를 포함한 외부수신정보 또는 유용한 안내정보 서비스를 스마트 기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스마트 기기 충전 및 보관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나 테블릿PC 등과 같은 스마트 기기는 인터넷이 가능하고 전자금융 거래와 모바일 쇼핑 등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기기는 현대인에게 없어서는 아니되는 중요한 휴대 물품 중의 하나가 되었다.
한편, 특정 장소에 고정 설치된 충전장치를 이용하여 스마트 기기를 충전하는 경우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를 휴대하고 이동할 수 없다. 또한 보안 상 휴대가 제한되는 보안시설이나 산업시설 방문 또는 세미나, 전시회, 공연장, 헬스클럽, 찜질방, 놀이공원 등과 같이 특수한 환경에서는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를 휴대할 수 없거나 휴대하는 것이 불편하여 라커와 같은 수납공간에 스마트 기기를 넣어두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를 휴대할 수 없는 경우, 근본적으로 외부에서 스마트 기기로 걸려온 전화번호나 문자 메시지 등을 즉시 확인할 수 없으므로 긴급한 사안 등에 대한 대처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종래 관련 분야 기술로서, 휴대폰거취부와 수신상태알림부가 포함되며, 상기 휴대폰거취부는 휴대전화기가 거취되는 휴대폰거취대와, 휴대전화기의 장착을 감지하는 장착감지센서와, 상기 거취된 휴대전화기에 전화의 수신을 감지하는 진동스위치와, 상기 휴대폰거취대가 설치된 사물함의 고유번호를 암호화하고 상기 진동스위치의 스위칭동작에 따라 수신상태를 출력하는 송신제어부와, 송신인터페이스로 구성되며, 상기 수신상태알림부는 휴대폰 수신상태를 표시하는 사물함표시부와, 상기 사물함표시부의 사용상태를 체크하는 분배기와, 수신인터페이스와, 상기 사물함의 고유번호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수신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의 수신상태 알림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국내공개특허 10-2005-0098744
본 발명은 보안시설이나 산업시설 또는 위락시설, 대형쇼핑센터, 세미나, 전시회, 공연장, 헬스클럽, 찜질방 등과 같이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를 휴대할 수 없거나 휴대하는 것이 불편한 특수 환경에서 스마트 기기를 충전 및 보관하면서 외부에서 스마트 기기로 걸려온 전화번호나 문자 메시지를 포함한 외부수신정보 또는 유용한 안내정보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 충전 및 보관 통합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 충전 및 보관 통합관리 시스템은, 스마트 기기를 충전 및 보관하면서 외부에서 스마트 기기로 걸려온 전화번호나 문자 메시지를 포함한 외부수신정보 또는 안내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기기 충전 및 보관 통합관리 시스템으로서, 충전보관타워 내에 스마트 기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충전장치와; 충전보관타워에 상기 충전장치에서 충전중인 스마트 기기를 잠금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설치되되 잠금 상태를 가변하는 키 구조부와, 상기 키 구조부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솔레노이드부와, 상기 잠금 상태에 대한 센싱 신호를 제공하는 센서부와, 관리장치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잠금장치와; 상기 스마트 기기와 동기화 설정되되, 인증정보가 저장된 인증부와, 상기 관리장치 또는 중앙서버와의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근거리 통신부와, 상기 관리장치 또는 중앙서버와의 광역 통신을 지원하는 광역 통신부와, 상기 광역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장치 또는 중앙서버로부터 수신한 동기화 설정된 스마트 기기의 외부수신정보 또는 안내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와; 상기 스마트 기기와 스마트 디바이스의 동기화를 위한 동기화부와, 상기 동기화부를 통해 스마트 기기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동기화 설정하는 설정부와, 상기 잠금장치 또는 스마트 디바이스와의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근거리 통신부와, 상기 중앙서버와의 광역 통신을 지원하는 광역 통신부와, 상기 잠금장치의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인증부의 인증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인증정보를 비교하여, 인증정보 일치에 따른 인증 성공시 상기 잠금장치의 솔레노이드부를 동작시켜 상기 키 구조부를 통한 상기 잠금장치의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며, 상기 스마트 기기로 걸려온 외부수신정보를 상기 광역 통신부를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중앙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센서부의 센싱 신호에 따른 충전보관타워의 사용상태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광역 통신부를 통해 중앙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관리장치와; 상기 관리장치로부터 스마트 기기와 스마트 디바이스의 동기화 설정 정보를 수신함과 아울러 스마트 기기로 걸려온 외부수신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외부수신정보 또는 안내정보를 상기 스마트 기기와 동기화 설정된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장치로부터 충전보관타워의 사용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모니터링하는 중앙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복수개소에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위치측위를 위해 설치되는 비콘을 더 구비하고,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비콘을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모니터링하면서 스마트 디바이스의 위치에 대응되는 안내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부는 RFID를 탑재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NFC, WiFi, 블루투스, Zigbee, 비콘(Beacon)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지원하고, 상기 광역 통신부는 로라(LoRaWAN), LTE, 협대역 사물 인터넷(NB-IoT), CDMA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지원하고, 상기 동기화부는 동기화 전용 앱을 탑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상기 광역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장치 또는 중앙서버로부터 수신한 동기화 설정된 스마트 기기의 외부수신정보 또는 안내정보를 진동이나 발광, 음향 형태로 제공하는 출력부와; 대금을 전자결제한 후 정산할 수 있도록 결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기기로 걸려온 외부수신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광역 통신부를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중앙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안시설이나 산업시설 또는 위락시설, 대형쇼핑센터, 세미나, 전시회, 공연장, 헬스클럽, 찜질방 등과 같이 스마트 기기를 휴대할 수 없거나 휴대하는 것이 불편한 특수 환경에서 스마트 기기를 충전 및 보관하면서 외부에서 스마트 기기로 걸려온 전화번호나 문자 메시지를 포함한 외부수신정보 또는 유용한 안내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 기기의 방전을 방지하면서 스마트 기기 사용자가 긴급한 사안에 대한 실시간 확인 및 대처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 충전 및 보관 통합관리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 충전 및 보관 통합관리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 충전 및 보관 통합관리 시스템은 국방관련기관, 기업체 등의 보안시설이나 산업시설 또는 위락시설, 대형쇼핑센터, 세미나, 전시회, 공연장, 헬스클럽, 찜질방, 놀이공원 등과 같이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를 휴대할 수 없거나 휴대하는 것이 불편한 특수 환경에서 스마트 기기를 충전 및 보관하면서 외부에서 스마트 기기로 걸려온 전화번호나 문자 메시지를 포함한 외부수신정보 또는 유용한 안내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 충전 및 보관 통합관리 시스템은, 스마트 기기를 충전 및 보관하면서 외부에서 스마트 기기로 걸려온 전화번호나 문자 메시지 등을 포함한 외부수신정보 또는 안내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크게 충전보관타워(1)에 설치되는 충전장치(110), 잠금장치(120) 그리고, 스마트 디바이스(130), 관리장치(140), 중앙서버(150) 및 비콘(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참고적으로, 상기 충전보관타워(1)는 특정 건물의 특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식과, 고정 설치될 수 없는 외부 환경 즉, 군사 훈련 등 이동이 필요한 특정 상황에서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이동하는 차량 등에 임시 설치되는 이동식으로 운영할 수 있다. 상기 충전보관타워(1)를 이동식으로 운영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130)나 관리장치(140), 중앙서버(150)와의 원활한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별도의 중계 장치가 추가 될 수 있다.
상기 충전장치(110)는 충전보관타워(1) 내에 스마트 기기(10)를 충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참고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 기기(10)가 크게 통신부(11) 및 동기화 전용 앱을 탑재하고 있는 동기화부(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상기 잠금장치(120)는 충전보관타워(1)에 상기 충전장치(110)에서 충전중인 스마트 기기(10)를 잠금 상태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잠금장치(120)는 키 구조부(121), 솔레노이드부(122), 센서부(123) 및 통신부(1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키 구조부(121)는 잠금 상태를 가변하는 실린더를 구비한다. 상기 솔레노이드부(122)는 상기 키 구조부(121)에 인접하여 설치되는데, 상기 키 구조부(121)에 구비된 실린더의 회전(또는 움직임)을 제한한다. 상기 센서부(123)는 상기 키 구조부(121)에 구비된 실린더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여 상기 키 구조부(121)에 구비된 실린더의 회전에 따른 상기 잠금장치(120)의 잠금 상태에 대한 센싱 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통신부(124)는 상기 관리장치(140)와의 통신을 지원하는데, 특별한 제한없이 다양한 유무선 통신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130)는 개인 소유가 아닌 스마트 기기를 휴대할 수 없거나 휴대하는 것이 불편한 특수 환경에서 특정인이 이용할 수 있도록 범용의 스마트 워치나 스마트 밴드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충전보관타워(1) 내의 충전장치(110)에서 충전중인 스마트 기기(10)와 동기화 설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130)는 인증부(131), 근거리 통신부(132), 광역 통신부(133), 디스플레이부(1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인증부(131)는 인증정보를 저장한다. 즉, 필요시 상기 잠금장치(120)의 솔레노이드부(122)를 동작시켜 상기 키 구조부(121)를 통한 상기 잠금장치(120)의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소정의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인증부(131)는 개인식별을 통한 인증을 위해 전자태그인 RFID를 탑재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부(132)는 상기 관리장치(140) 또는 중앙서버(150)와의 근거리 통신을 지원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근거리 통신부(132)는 NFC, WiFi, 블루투스, Zigbee, 비콘(Beacon)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광역 통신부(133)는 상기 관리장치(140) 또는 중앙서버(150)와의 광역 통신을 지원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역 통신부(133)는 로라(LoRaWAN), LTE, 협대역 사물 인터넷(NB-IoT), CDMA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34)는 상기 광역 통신부(133)를 통해 상기 관리장치(140) 또는 중앙서버(150)로부터 수신한 동기화 설정된 스마트 기기(10)의 외부수신정보 또는 안내정보를 표시한다. 즉, 스마트 기기(10)를 충전 및 보관중인 사용자가 외부에서 스마트 기기(10)로 걸려온 전화번호나 문자 메시지를 포함한 외부수신정보 또는 유용한 안내정보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으로 표시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130)는 상기 광역 통신부(133)를 통해 상기 관리장치(140) 또는 중앙서버(150)로부터 수신한 동기화 설정된 스마트 기기(10)의 외부수신정보 또는 안내정보를 진동이나 발광, 음향 형태로 제공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130)는 사용자가 필요시 스마트 디바이스(130)를 이용하여 원하는 대금을 전자결제하고 나중에 스마트 디바이스(130) 반납시 해당 금액을 정산할 수 있도록 결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부(131)는 인증정보를 저장한다. 즉, 필요시 상기 잠금장치(120)의 솔레노이드부(122)를 동작시켜 상기 키 구조부(121)를 통한 상기 잠금장치(120)의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소정의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인증부(131)는 개인식별을 통한 인증을 위해 전자태그인 RFID를 탑재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130)는 상기 관리장치(140) 또는 중앙서버(150)로부터 해당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 이외에 필요에 따라서는 외부에 문자 메시지 등을 송신하거나 수신 정보에 대해 회신할 필요성이 있으므로 상기 관리장치(140) 또는 중앙서버(150)로 해당 정보를 송신하는 기능을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130)는 다양한 환경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내열성과 방수기능 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130) 사용자는 상기 스마트 기기(10)의 충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스마트 기기 고유번호 인증을 할 수 있으며, 예약시간(시간알림)을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관리장치(140)는 상기 스마트 기기(10)와 스마트 디바이스(130)를 동기화 설정하고, 상기 잠금장치(13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리장치(140)는 동기화부(141), 설정부(142), 근거리 통신부(143), 광역 통신부(144), 저장부(145) 및 제어부(1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동기화부(141)는 상기 스마트 기기(10)와 스마트 디바이스(130)의 동기화를 위한 동기화 전용 앱을 탑재한다.
상기 설정부(142)는 상기 동기화부(141)를 통해 스마트 기기(10)와 스마트 디바이스(130)를 동기화 설정한다. 즉, 외부에서 스마트 기기(10)로 걸려온 전화번호나 문자 메시지를 포함한 외부수신정보 또는 유용한 안내정보를 스마트 디바이스(130)에서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동기화 전용 앱을 통해 이들(10,130)을 동기화 설정하는 것이다.
상기 근거리 통신부(143)는 상기 잠금장치(120) 또는 스마트 디바이스(130)와의 근거리 통신을 지원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근거리 통신부(143)는 NFC, WiFi, 블루투스, Zigbee, 비콘(Beacon)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광역 통신부(144)는 상기 중앙서버(150)와의 광역 통신을 지원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역 통신부(144)는 로라(LoRaWAN), LTE, 협대역 사물 인터넷(NB-IoT), CDMA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45)는 상기 잠금장치(120)의 인증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146)는 상기 근거리 통신부(143)를 통해 수신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130)의 인증부(131)의 인증정보와 상기 저장부(145)에 저장된 인증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인증정보 일치에 따른 인증 성공시에는 상기 잠금장치(120)의 솔레노이드부(122)를 동작시켜 상기 키 구조부(121)를 통한 상기 잠금장치(120)의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어부(146)는 상기 스마트 기기(10)로 걸려온 외부수신정보를 상기 광역 통신부(144)를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130) 또는 중앙서버(150)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46)는 상기 센서부(123)의 센싱 신호에 따른 충전보관타워(1)의 사용상태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광역 통신부(144)를 통해 중앙서버(150)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46)는 해킹 등의 위험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상기 스마트 기기(10)로 걸려온 외부수신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광역 통신부(144)를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130) 또는 중앙서버(150)로 전송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상기 제어부(146)는 RAM, ROM, CPU, GPU, 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RAM, ROM, CPU,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는 저장부(145)에 액세스하여, 상기 저장부(145)에 저장된 O/S(Operating System)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저장부(145)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콘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중앙서버(150)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130) 및 관리장치(140)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여 충전보관타워(1)를 모니터링하면서 스마트 디바이스(130)에 소정의 정보를 제공한다. 즉, 상기 관리장치(140)로부터 스마트 기기(10)와 스마트 디바이스(130)의 동기화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스마트 기기(10)로 걸려온 외부수신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외부수신정보 또는 별도로 생성한 안내정보를 상기 스마트 기기(10)와 동기화 설정된 스마트 디바이스(130)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장치(140)로부터 충전보관타워(1)의 사용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모니터링하는 것이다.
화재나 각종 사고 등에 따른 재난정보의 경우, 상기 중앙서버(150)에서 스마트 디바이스(130)에 실시간으로 일괄 전송할 수 있고, 또한 소방관서나 경찰서 등에도 해당 정보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비콘(160)은 스마트 디바이스(130)를 휴대하는 사용자가 이동 가능한 동선을 따라 복수개소에 각각 고유식별정보를 가진 복수개의 비콘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130)의 위치측위를 위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중앙서버(150)는 상기 비콘(160)을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130)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모니터링하면서 스마트 디바이스(130)의 위치에 대응되는 안내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정 반경 내의 스마트 디바이스(130) 사용자에게 그 위치에 대응되는 공지사항알림, 재난알림, 위치알림 등과 같이 각종 유용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 사용자가 보안시설이나 산업시설 또는 위락시설, 대형쇼핑센터, 세미나, 전시회, 공연장, 헬스클럽, 찜질방 등과 같이 스마트 기기를 휴대할 수 없거나 휴대하는 것이 불편한 특수 환경에서 스마트 기기를 충전 및 보관하면서 사용자가 별도로 휴대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외부에서 스마트 기기로 걸려온 전화번호나 문자 메시지를 포함한 외부수신정보 또는 유용한 안내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긴급한 사안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부연하여, 스마트 디바이스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통해 이동구간, 정체구간 등을 확인하여 빅데이터로 활용함으로써 해당 시설에 대하여 적절히 변경 작업 등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 충전 및 보관 통합관리 시스템을 한정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충전보관타워 10 : 스마트 기기
110 : 충전장치 120 : 잠금장치
121 : 키 구조부 122 : 솔레노이드부
123 : 센서부 124 : 통신부
130 : 스마트 디바이스 131 : 인증부
132 : 근거리 통신부 133 : 광역 통신부
134 : 디스플레이부 140 : 관리장치
141 : 동기화부 142 : 설정부
143 : 근거리 통신부 144 : 광역 통신부
145 : 저장부 146 : 제어부
150 : 중앙서버 160 : 비콘

Claims (5)

  1. 스마트 기기를 충전 및 보관하면서 외부에서 스마트 기기로 걸려온 전화번호나 문자 메시지를 포함한 외부수신정보 또는 안내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기기 충전 및 보관 통합관리 시스템으로서,
    충전보관타워 내에 스마트 기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충전장치(110)와;
    충전보관타워에 상기 충전장치(110)에서 충전중인 스마트 기기를 잠금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설치되되 잠금 상태를 가변하는 키 구조부(121)와, 상기 키 구조부(121)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솔레노이드부(122)와, 상기 잠금 상태에 대한 센싱 신호를 제공하는 센서부(123)와, 관리장치(140)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부(124)를 포함하는 잠금장치(120)와;
    상기 스마트 기기와 동기화 설정되되, 인증정보가 저장된 인증부(131)와, 상기 관리장치(140) 또는 중앙서버(150)와의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근거리 통신부(132)와, 상기 관리장치(140) 또는 중앙서버(150)와의 광역 통신을 지원하는 광역 통신부(133)와, 상기 광역 통신부(133)를 통해 상기 관리장치(140) 또는 중앙서버(150)로부터 수신한 동기화 설정된 스마트 기기의 외부수신정보 또는 안내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4)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130)와;
    상기 스마트 기기와 스마트 디바이스(130)의 동기화를 위한 동기화부(141)와, 상기 동기화부(141)를 통해 스마트 기기와 스마트 디바이스(130)를 동기화 설정하는 설정부(142)와, 상기 잠금장치(120) 또는 스마트 디바이스(130)와의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근거리 통신부(143)와, 상기 중앙서버(150)와의 광역 통신을 지원하는 광역 통신부(144)와, 상기 잠금장치(120)의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45)와, 상기 근거리 통신부(143)를 통해 수신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130)의 인증부(131)의 인증정보와 상기 저장부(145)에 저장된 인증정보를 비교하여, 인증정보 일치에 따른 인증 성공시 상기 잠금장치(120)의 솔레노이드부(122)를 동작시켜 상기 키 구조부(121)를 통한 상기 잠금장치(120)의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며, 상기 스마트 기기로 걸려온 외부수신정보를 상기 광역 통신부(144)를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130) 또는 중앙서버(150)로 전송하고, 상기 센서부(123)의 센싱 신호에 따른 충전보관타워의 사용상태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광역 통신부(144)를 통해 중앙서버(150)로 전송하는 제어부(146)를 포함하는 관리장치(140)와;
    상기 관리장치(140)로부터 스마트 기기와 스마트 디바이스(130)의 동기화 설정 정보를 수신함과 아울러 스마트 기기로 걸려온 외부수신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외부수신정보 또는 안내정보를 상기 스마트 기기와 동기화 설정된 스마트 디바이스(130)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장치(140)로부터 충전보관타워의 사용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모니터링하는 중앙서버(150)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 충전 및 보관 통합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개소에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130)의 위치측위를 위해 설치되는 비콘(160)을 더 구비하고,
    상기 중앙서버(150)는 상기 비콘(160)을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130)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모니터링하면서 스마트 디바이스(130)의 위치에 대응되는 안내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 충전 및 보관 통합관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131)는 RFID를 탑재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부(132,143)는 NFC, WiFi, 블루투스, Zigbee, 비콘(Beacon)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지원하고,
    상기 광역 통신부(133,144)는 로라(LoRaWAN), LTE, 협대역 사물 인터넷(NB-IoT), CDMA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지원하고,
    상기 동기화부(141)는 동기화 전용 앱을 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 충전 및 보관 통합관리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130)는 상기 광역 통신부(133)를 통해 상기 관리장치(140) 또는 중앙서버(150)로부터 수신한 동기화 설정된 스마트 기기의 외부수신정보 또는 안내정보를 진동이나 발광, 음향 형태로 제공하는 출력부와;
    대금을 전자결제한 후 정산할 수 있도록 결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 충전 및 보관 통합관리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46)는 상기 스마트 기기로 걸려온 외부수신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광역 통신부(144)를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130) 또는 중앙서버(15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 충전 및 보관 통합관리 시스템.
KR1020180082704A 2018-07-17 2018-07-17 스마트 기기 충전 및 보관 통합관리 시스템 KR101999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704A KR101999381B1 (ko) 2018-07-17 2018-07-17 스마트 기기 충전 및 보관 통합관리 시스템
PCT/KR2019/008313 WO2020017801A1 (ko) 2018-07-17 2019-07-05 휴대 단말 충전 및 보관 통합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704A KR101999381B1 (ko) 2018-07-17 2018-07-17 스마트 기기 충전 및 보관 통합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9381B1 true KR101999381B1 (ko) 2019-07-11

Family

ID=67254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704A KR101999381B1 (ko) 2018-07-17 2018-07-17 스마트 기기 충전 및 보관 통합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99381B1 (ko)
WO (1) WO202001780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3747B1 (ko) 2021-09-23 2022-12-02 김대규 보관함 시건장치 및 보관함 시건장치 제어시스템
WO2024096310A1 (ko) * 2022-11-04 2024-05-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위치 찾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저장 매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8744A (ko) 2004-04-06 2005-10-12 정태헌 휴대전화기의 수신상태 알림시스템
KR20060027771A (ko) * 2004-09-23 2006-03-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상태 알림장치 및 그 방법
KR20080004676U (ko) * 2007-04-12 2008-10-16 송재현 휴대전화기의 착신신호 알림장치
KR100879672B1 (ko) * 2007-07-24 2009-01-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착신알림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서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9588A (ko) * 2003-01-29 2004-08-06 이강일 사우나에서의 휴대폰 수신 알림 시스템
KR20050102809A (ko) * 2004-04-23 2005-10-27 시코드 주식회사 블루투스 통신 기능이 구비된 휴대전화용 충전장치
KR20100006086U (ko) * 2008-12-08 2010-06-17 이달석 충전기능을 겸비한 이동단말기의 안전보관 및 착신알림 시스템
US9780579B2 (en) * 2014-12-02 2017-10-03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obile charging st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8744A (ko) 2004-04-06 2005-10-12 정태헌 휴대전화기의 수신상태 알림시스템
KR20060027771A (ko) * 2004-09-23 2006-03-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상태 알림장치 및 그 방법
KR20080004676U (ko) * 2007-04-12 2008-10-16 송재현 휴대전화기의 착신신호 알림장치
KR100879672B1 (ko) * 2007-07-24 2009-01-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착신알림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서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3747B1 (ko) 2021-09-23 2022-12-02 김대규 보관함 시건장치 및 보관함 시건장치 제어시스템
WO2024096310A1 (ko) * 2022-11-04 2024-05-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위치 찾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저장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17801A1 (ko) 2020-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90503C (en) System and method of voice based personalized interactive evacuation guidance
US100281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guided emergency exit
KR20120050265A (ko) 휴대전화를 매개로 긴급상황을 알리기 위한 시스템
KR20130028317A (ko) 위치 추적용 휴대용 단말기, 위치 추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위치 추적 시스템
KR101999381B1 (ko) 스마트 기기 충전 및 보관 통합관리 시스템
AU2007229260B2 (en) Method and appliance for communication between a large number of mobile stations and a fixed network underground
US20090298460A1 (en) Emergency Notification Paging System
CN111479221B (zh) 移动发起的sms小区广播的方法和系统
JP2013021435A (ja) 無線通信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KR20120124994A (ko) 구조 요청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83108Y1 (ko) 휴대 단말의 분실 방지 시스템
US8610568B2 (en) Emergency response system and method
KR101978175B1 (ko) 휴대 단말 충전 및 보관 시스템
KR100627655B1 (ko) 무선 id 및 데이터 발송장치를 사용한 긴급상황 구조요청방법
JP5912913B2 (ja) 車載機器
KR20110129609A (ko)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72384A (ko) 휴대 단말 충전 및 보관 시스템
JP2019050446A (ja) アクセス制御方法とその装置
KR101996258B1 (ko) 보관 상태의 사용자 단말을 위한 원격 정보 처리 시스템
KR101996257B1 (ko) 보관 상태의 사용자 단말을 위한 정보 처리 시스템
EP1926263A2 (en) Access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the access of a user of mobile equipment to an enclosure.
KR101519418B1 (ko)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6940148B2 (ja) 情報配信システムおよび情報配信方法
JP2004193867A (ja) 携帯端末,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の送信制限方法
US11197144B2 (en) Portable energy storage system for rescu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