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9109A -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9109A
KR20170029109A KR1020150126012A KR20150126012A KR20170029109A KR 20170029109 A KR20170029109 A KR 20170029109A KR 1020150126012 A KR1020150126012 A KR 1020150126012A KR 20150126012 A KR20150126012 A KR 20150126012A KR 20170029109 A KR20170029109 A KR 20170029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ehicle
emergency
electronic device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6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형석
Original Assignee
권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형석 filed Critical 권형석
Priority to KR1020150126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9109A/ko
Publication of KR20170029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91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5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responding to signals from another vehicle, e.g. emergency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7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input to the navigation device is provided by a suitable I/O arrangement
    • G08G1/09688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input to the navigation device is provided by a suitable I/O arrangement where input information is obtained using a mobile device, e.g. a mobile phone, a PD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긴급 상황 발생으로 긴급차량의 출동이 필요한 경우 해당 차량으로 긴급 상황 발생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는 관제센터에서 긴급 상황 발생 목적지 정보를 위치기반으로 이동경로를 탐색하여 최단 거리의 이동경로를 제공하고 긴급 차량이 긴급 상황 발생 목적지에 접근하기 이전에 이동경로 상의 긴급 차량(소방차)가 충분히 통과 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이면도로 골목길 등에 부득이 주차한 차량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실시간 주정차 정보를 이용하여 긴급차량이 빠른 시간내에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Vehicle management system for a route of the emergency vehicle And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차량에 부착 또는 설치된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긴급차량의 이동시 진로를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또한, 관련 기관의 협업체계를 통한 정보 제공 및 공유(의무보험 미가입 및 자동차세(과태료·범칙금)상습체납차량, 정기검사 미필 각종 질서위반행위 차량정보)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시스템과 연계하여 관련 정보로 단속된 차량 및 위치정보를 관련기관에 제공하여 차량범죄를 줄일 수 있어 교통의 안전과 원활한 소통 및 사회안전망 인프라를 동시에 확보함으로써 국민의 귀중한 생명과 재산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차량내부 전자장치 위치기반으로 해당 공급자가 제공하는 관련 부가서비스 정보를 제공 받아 부가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자동차수에 비해 주차공간이 턱없이 부족하다 보니 상가밀집지역 및 주택가 이면도로나 골목은 말할 것도 없고 아파트 주차장에도 자동차들이 무질서 하게 주차돼 긴급(소방)차량의 신속한 출동을 어렵게 하고 있다.
지금 당장 편의를 찾다보니 불법 주차를 할 수도 있다. 하지만 나 하나쯤이라는 생각이 쌓이고 쌓이면 어느 한 사람의 희망은 사라져 간다.
따라서 재산이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긴급 차량의 이동에 있어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게 되며 이로 인한 피해는 상상을 초월하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시민들에게 소방차 길 터주기의 중요성 때문에 소방관서에서는 소방통로 확보를 위한 여러 시책들을 추진하고 있고 소방출동로 확보 관련 법령 개선과 불법 주정차 등에 대한 단속강화 등 제도적 정착을 위해 노력 중이며, 주택 및 상가밀집지역, 아파트 단지 등 취약지역에 대한 대대적인 소방차량 길 터주기 홍보를 실시하는 등 시민 공감대 형성에 주력하고 있다.
그러나, 소방통로 확보를 통해 화재현장에 5분 이내 도착한다는 것이 그렇게 간단한 문제는 아니다.
또한, 각종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는 불법명의 자동차(속칭"대포차" 등)의 사용 익명성으로 범죄 이용 우려와 의무보험 미가입 및 자동차세(과태료·범칙금)상습체납차량, 정기검사 미필 등 각종 질서위반행위 증가로 지방세 수입이 감소하고 있어 시민 개개인의 의식변화와 법질서 의식고취를 통한 교통질서 확립이 무엇보다도 필요하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플랫폼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예컨대, 공급자가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버 및 차량내부에 부착 또는 설치된 전자장치에 정보가 설정되어 제공되는 긴급 알림서비스 정보를 통신(Zigbee, Radar,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i-Fi, 3G/4G/LTE, Bluetooth(Beacon), Ethernet, BcN, 위성통신, Microwave, 시리얼 통신, PLC 등)을 통하여 해당 공급자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내부에 부착 또는 설치된 전자장치의 디바이스 정보와, 긴급 알림서비스 제공에 따른 공급자가 제공하는 부가서비스 관련 정보를 매칭 시킬 수 있는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 긴급 알림서비스 제공에 따른 공급자가 제공하는 정보가 입력 저장된 서버 또는 차량내부에 부착 또는 설치된 전자장치 메모리와, 서버 또는 전자장치 메모리로부터 저장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관련 상세정보와 위치알림을 알리기 위한 위치정보 전달 체계의 변화에 따라 지도와 위치기반서비스(LBS), 지리정보시스템(GIS), 위성항법장치(GPS)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주소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차량내부에 기존 부착 또는 설치된 전자장치의 디바이스 정보와 공급자가 제공하는 긴급 알림·주정차단속알림 서비스 관련 정보가 포함된 정보를 수신하고 지도 위치기반서비스(LBS), 지리정보시스템(GIS), 위성항법장치(GPS) 위치정보에 응답하여 입력 저장된 연락할 연락정보로 그 공급자가 제공하는 긴급 알림·주정차단속알림 서비스 관련 정보를 정확하고 간결하게 전달 할 수 있는 관리 서버를 구비한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긴급 알림서비스를 기반으로 상기 위급상황 발생 목적지 정보를 위치기반으로 이동경로를 탐색하여 최단 거리의 이동경로를 제공하고 긴급 차량이 접근하기 이전에 이동경로 상의 긴급 차량(소방차)이 충분히 통과 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이면도로 골목길 등에 부득이 주·정차한 차량 내부에 부착 또는 설치된 전자장치 식별 정보를 인식한 후, 선택된 차량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다수의 정보가 선택될 경우, 그 에 해당하는 기 설정된 방법으로 주·정차한 운전자 휴대용 단말기로 긴급 차량이동 및 ·주정차단속 요청정보를 전송 할 수 있는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긴급 상황이 발생한 목적지 정보 위치기반으로 이동경로를 탐색하여 이동경로 상의 이면도로 골목길 등에 부득이 주·정차한 차량 내부에 부착 또는 설치된 전자장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긴급 알림 정보 및 부가서비스를 주·정차한 차량 운전자 휴대용 단말기로 통화나 문자서비스를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긴급 알림 정보 및 주차단속 정보 그리고 부가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서비스 기반으로 정보를 인식한 후, 선택된 정보에 매칭되어 기 저장된 알림 서비스 정보를 빠르게 생성하여 주·정차한 운전자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관련 기관의 협업체계를 통한 정보 제공 및 공유(의무보험 미가입 및 자동차세(과태료·범칙금)상습체납차량, 정기검사 미필 각종 질서위반행위 차량정보)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시스템과 연계하여 관련 정보로 단속된 차량 및 위치 정보를 관련기관에 제공하여 서비스제공 및 이용이 이루어지는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급자가 제공하는 서비스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간편하게 휴대용 단말기에서 아이콘 및 URL정보를 원터치 동작만으로 간편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차량내부에 기존 부착 또는 설치된 전자장치를 운전자가 지정한 정보와 매칭된 연락받을 정보로 표시하여 기 설정된 방법으로 통합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부가서비스와 관련된 인터페이스 제공으로 추가적인 전자장치를 설치하지 안해도 운전자에게 공급자가 제공하는 긴급 알림서비스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하여 이용자들이 서비스 이용 및 신청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서비스를 확대시킬 수 있는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전자장치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 저장하여 전자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은, 고유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차량내부에 부착 또는 설치된 전자장치와, 상기 전자장치의 디바이스 정보 및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할 긴급 알림·주정차단속알림 서비스 관련 고유 식별정보를 선택하고, 전화번호 정보가 포함된 이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통신망을 통한 외부 서버로의 전송, 서비스 이용 관련 정보의 생성을 위한 정보 입력, 생성된 서비스 이용 관련 정보를 통신망을 통한 외부 서버로 전송, 통신망을 통한 서비스 정보의 송·수신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와,
그리고, 차량내부에 부착 또는 설치된 전자장치별로 해당되는 고유 식별정보 및 이용할 관련 서비스 정보 기준으로 정보를 맵핑하여 저장하며, 등록된 상기 정보를 통합 관리서버로부터 서비스를 제공할 정보를 수신 시,
기 저장된 해당의 상기 서비스를 제공할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긴급 알림서비스를 제공할 고유 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긴급 알림서비스 정보를 상기 운전자 휴대용 단말기와 매칭되는 정보를 기준으로 생성된 서비스 관련 정보를 바탕으로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와,
또한, 공급자가 제공하는 긴급 알림·주정차단속알림 서비스 이용 시 상기 통신망을 통해 통합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전송된 운전자 휴대용 단말기의 고유 식별정보와 맵핑되어 차량내부에 부착 또는 설치된 전자장치별 정보를 기준으로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에 등록할 수 있는 운전자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고유 식별정보에는 디바이스 정보, 모바일 식별 번호, 국제 모바일 장치 식별 정보, 이동 통신 번호 정보, 소유자 정보, 부가서비스 내용,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할 긴급 알림서비스 관련하여 이용할 수 있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자가 제공할 긴급 알림·주정차단속알림 서비스 정보를 관리서버에서 차량내부에 부착 또는 설치된 전자장치별로 해당되는 인터페이스 정보를 생성 후 운전자 휴대용 단말기로 관련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전송된 정보를 터치하는 것만으로 APP이 자동 실행되어 서비스 공급자들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 후 상기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 및 긴급 알림·주정차단속알림 서비스를 제공 할 정보를 더 입력한 후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여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에 추가 등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합 관리 서버에 등록되는 상기 운전자 휴대 단말기의 고유 식별정보에는 해당 차량 전자장치의 디바이스 정보 또는 이동 통신 번호정보, 소유자 정보이고 차량 고유 식별정보에는 차량정보(차량번호정보, 차량종류, 색상), 관련 기관의 협업체계를 통한 정보 제공 및 공유(의무보험 미가입 및 자동차세(과태료·범칙금)상습체납차량, 정기검사 미필 각종 질서위반행위 차량정보)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고,
여기서, 서비스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교통상황에 따라 가장 최적의 경로를 선택한 경로에 따라 미리 이면도로에 주·정차된 차량에 해당 되는 전자장치의 디바이스 정보 또는 이동 통신 번호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고유 식별정보를 검출한 다음, 차량운전자 휴대용 단말기로 해당 긴급 요청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에 등록되는 정보는 상기 긴급 알림·주정차단속알림 서비스 이용 차량 운전자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된 정보 및 고유 식별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더 포함되고,
이에,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는 관련 차량 전자장치에 사전 설정된 정보에 의해 상기 긴급 알림서비스 및 주차단속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긴급 상황이 발생한 목적지 정보를 위치기반으로 이동경로를 탐색하여 최단 거리의 이동경로를 제공하고 긴급 차량이 접근하기 이전에 이동경로 상의 소방차가 충분히 통과 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이면도로 골목길 등에 부득이 주·정차한 차량에 해당되는 관련 정보 생성 시 상기 차량내부 전자장치에 대응하는 상대편(운전자)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번호별 정보도 포함시켜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서버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기 차량내부에 부착 또는 설치된 전자장치의 식별 정보로부터 해당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운전자 휴대용 단말기에 해당되는 전화번호별 정보를 생성하여 긴급알림 요청 및 주차단속 정보를 상기 운전자 휴대용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통합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긴급 차량이 접근하기 이전에 이동경로 상의 이면도로에 주·정차 되어 있는 차량내부에 부착 또는 설치된 전자장치에 해당되는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식별 정보로부터 운전자 휴대용단말기 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긴급 상황 발생 시 교통망에서의 긴급차량의 통행을 지원하기 위해 상기 위급발생 목적지 정보를 기반으로 이동경로를 탐색하여 긴급 차량이 접근하기 이전에 이동경로 상의 이면도로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있는 차량내부에 부착 또는 설치된 전자장치를 검색하고 선택에 따라 상기 긴급 알림·주정차단속알림 서비스를 요청한다.
여기서, 목적지 정보는 긴급 상황이 발생된 해당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위치기반서비스(LBS), 지리정보시스템(GIS), 위성항법장치(GPS)정보 또는 무선네트워크 정보가 추출된 좌표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동경로 정보는 긴급 차량의 진행방향 이면도로에 주·정차되어 있는 차량의 정보가 포함한다.
여기서, 위급발생 목적지 정보를 기반으로 실시간 교통정보에 따라 최단 이동경로를 탐색하여 생성한다.
그리고, 실시간 교통정보에 따라 이동경로 변경 시 변경시점에서 다시 최단 이동경로를 탐색하여 생성한다.
여기서, 전자장치는 차량내부에 부착 또는 설치된 전자장치로서 네비게이션, 블랙박스, 고속도로통행에 사용할 수 있는 하이패스 전자장치, 통신을 할 수 있는 전자장치 등 차량내부에 부착 또는 설치 되어있어 통신이 가능한 전자장치이다.
고유 식별정보는 서버 및 차량내부에 부착 또는 설치된 전자장치에 해당되는 운전자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되고 Zigbee, Radar, WP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iFi(Wi-Fi Direct), 3G/4G/LTE, Bluetooth, Ethernet, BcN, 위성통신, Microwave, 시리얼 통신, PLC 통신을 통하여 관리서버에서 긴급 이동 요청 정보의 입력을 위한 입력부를 포함하며 입력부의 입력 정보에 의해 긴급 알림 요청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차량정보 등록단계는 차량의 정보(차량내부 전자장치 정보, 차종, 차량번호, 색상, 운전자 연락처 등)를 통신망을 통해서 관리서버에 등록신청을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외부 서버에 차량 관련 정보를 등록, 저장하는 단계에서, 관련 기관의 협업체계를 통한 정보 제공 및 공유(의무보험 미가입 및 자동차세(과태료·범칙금)상습체납차량, 정기검사 미필 각종 질서위반행위 차량정보)를 통하여 차적과 체납 관련 차량정보를 실시간으로 시스템과 연계하여 관련 정보로 단속된 차량 및 위치 정보를 관련기관에 제공하고 하나 이상의 무선으로 데이터를 공유하고, 수집된 데이터 및 제어정보는 통합 관리서버로 전송한다.
그리고, 위치기반서비스(LBS), 지리정보시스템(GIS), 위성항법장치(GPS)정보 또는 무선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여 위치좌표를 보정한 다음에 보정된 위치좌표를 관리서버에서 수신하고, 수신한 위치좌표 정보를 내장된 위치 프로그램으로 비교 및 수정한 후에 수정된 차량 위치에 주·정차된 차량운전자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이면도로에 인접한 하나 이상의 위치정보와 데이터를 공유하고, 이면도로에 인접한 위치정보를 거쳐 관리 서버에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주·정차된 차량내부 전자장치에 해당되는 정보를 인식 후 표시하는 단계에서 미리보기 화면에 출력된 연락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통합관리 서버는 상기 긴급 알림 요청 및 주차단속 관련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단문메시지의 생성 및 전송 기능을 갖는 SMS, MMS 처리부와 음성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음성언어의 생성 및 전송 기능을 갖는 음성 처리부를 더 포함한다.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있어서, Zigbee, Radar,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i-Fi, 3G/4G/LTE, Bluetooth, Ethernet, BcN, 위성통신, Microwave, 시리얼 통신, PLC을 통하여 주·정차된 차량내부 전자장치에서 수신된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요청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관리서버에서 시각적으로 서비스 관련 정보를 안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어 제어한다.
여기서, 긴급 알림·주정차단속알림 요청 정보를 안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를 통해 긴급상황 발생 신고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서 수신되면 상기 주·정차된 차량내부 전자장치의 관련 정보데이터를 추출하고 전송할 URL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를 표시한다.
그리고, 수신한 정보를 바탕으로 관련 정보와 디스플레이 된 정보를 보고 선택하여 관리 서버에서 긴급 알림 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긴급 알림 관련 정보가 디스플레이 된 서비스 관련 정보에 필요 추가 사항 또는 관련 정보를 더 입력하여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서버에서 긴급 알림 관련 요청 정보를 요청한 후, 상기 결과 사실을 표시한다.
그리고, 주·정차된 차량 전자장치와 패킷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하는 웹서버 전자장치의 통신부와 디스플레이부 상기 주·정차된 특정 차량내부 전자장치에 포함된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각 전자장치에 매칭되는 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로 표시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부가서비스 정보가 선택될 경우, 그 정보를 기 설정된 방법으로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주·정차된 차량내부 전자장치 정보가 인식될 경우, 상기 정보 입력 생성 모드로 자동 전환되어 생성된 정보에 추가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필요한 도구들을 표시한다.
여기서, 주·정차된 차량내부 전자장치에 매칭되는 정보들이 인식될 경우, 그 인식된 관련된 정보가 전자장치 또는 이용자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되어 있는지 비교한다.
그리고, 긴급 차량이 접근하기 이전에 이동경로 상의 이면도로 영역 내에 긴급 알림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는 차량내부 전자장치가 존재하는지를 파악하고 긴급 알림 서비스 요청 영역 내에 있는 차량내부 전자장치로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관련 긴급 알림 서비스를 요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해당 차량내부에 부착 또는 설치된 전자장치를 통하여 판독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서 공급자가 제공하는 부가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의하면, 실시간 교통 정보를 이용하여 가장 최신의 교통정보를 기반으로 최적의 이동경로를 제공하여 빠른 시간내에 목적지에 도착하도록 한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의하면, 교통상황에 따라 가장 최적의 경로를 항시 유지하고, 선택한 경로에 따라 미리 이면도로에 주·정차된 차량운전자에게 차량을 이동 요청하는 정보를 보내어 긴급 차량이 긴급 상황 발생 목적지 진입을 원활히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주·정차 관련된 차량내부에 부착 또는 설치된 전자장치를 통하여 자동으로 정보를 추출하여, 판독 가능한 정보로 인식하여 기 설정된 방법으로 긴급 차량 이동 요청, 불법 주·정차 단속, 상습체납차량, 정기검사 미필 각종 질서위반행위 단속업무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을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제어부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라 동작하는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제어 방법 요청 흐름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제어 방법 요청 흐름 해상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컨대,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는 시스템의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수단(예컨대, 터치스크린 등)이 구비된 어떠한 전자 장치 내에서도 구현될 수 있으며, 정보 전송 방법을 제어할 수 있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 가능한 어떠한 전자장치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전자 장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며, Zigbee, Radar,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i-Fi, 3G/4G/LTE, Bluetooth, Ethernet, BcN, 위성통신, Microwave, 시리얼 통신, PLC 통신으로부터 위치 신호 수신이 가능한 임의의 전자 장치일 수 있으며, 휴대 단말, 이동 단말, 통신 단말, 휴대용 통신 단말, 휴대용 이동 단말 등으로 칭할 수 있다.
임의의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 휴대폰, 게임기, 디스플레이 장치, 웨어러블 헤드 유닛, 노트북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Tablet) 컴퓨터,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내비게이션, 블랙박스 장치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의 대표적인 구성은 휴대 전자장치(예컨대, 휴대폰, 스마트폰 등)에 대한 것이며, 이러한 전자 장치의 대표적인 구성에서 일부 구성 소자는 필요에 따라 생략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는 방전광 디스플레이(ELD), 진공 형광 디스플레이(VFD),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LED), 음극선관(CRT), 액정디스플레이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PDP), 표면 얼터네이트 라이팅(ALiS), 디지털 광원 처리(DLP), 실리콘 액정 (LCoS),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표면 전도형 전자 방출 소자 디스플레이(SED),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D), 레이저 TV(양자 점 레이저, 액정 레이저), 광유전성 액체 디스플레이(FLD), 간섭계 변조기 디스플레이(iMoD), 두꺼운 필름 유전체 전기 (TDEL), 양자 점 디스플레이(QD-LED), 텔레스코픽 픽셀 디스플레이(TPD), 유기 발광 트랜지스터(OLET), 레이저 형광 디스플레이(LPD), 빔 프로젝트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스크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는 기록 매체로서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펀치 카드(punch card), 페이퍼 테이프(paper tape), 피롬(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이피롬(EPROM: Erasable PROM), 플래시-이피롬(FLASH-EPROM),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CD(Compact Disk), CD-ROM(Compact Disc Read-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플렉서블 디스크(flexible disk), 광 데이터 저장 장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솔리드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솔리드스테이트 하이브리드 드라이브(SSHD) 및 임베디드 멀티미디어 카드(eMMC: embedded Multi Media Car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 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의 이해를 돕기 위해 다음과 같이 용어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서버와 네트워크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전자 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외부 전자 장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이용 방법은 긴급 알림서비스 요청 및 이용 그리고 서비스 제공이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하며 전자 장치에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이용할 서비스 관련 요청 정보는 관련 긴급 알림 요청 정보 및 주차단속 정보 그리고 부가서비스 등을 이용할 상황이 발생 시 전자 장치가 사용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전자 장치에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알림 요청 정보 및 주차단속 정보 그리고 부가서비스 요청 정보는 관련 서비스를 요청 할 상황이 발생 시 미리 저장된 정보에 해당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전자 장치 또는 서버에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는 전자장치에 장착된 통신 모듈을 통하여 전자장치 정보로써 현재 사용하는 정보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는 서비스를 이용할 전자 장치와 관련하여 통합 관리서버에 정보를 미리 저장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 정보는 복수 개의 통신망 중 각각 전자 장치 간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해 주는 정보이다.
예컨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는 모바일 식별 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이하 MIN 또는 Mobile Subscription Identification Number, 이하 MSIN), 국제 모바일 장치 식별 정보(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이하 IMEI), 이동 통신 번호 정보, 소유자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상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 통신방법은 복수 개의 통신 방법으로 각각 전자 장치 간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해 주는 통신이다.
예컨대, Zigbee, Radar,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i-Fi, 3G/4G/LTE, Bluetooth (Beacon), Ethernet, BcN, 위성통신, Microwave, 시리얼 통신, PLC 통신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통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은 전자 장치의 소유자에게 부가서비스제공·이용을 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예컨대, 이용자는 서버에 구비된 서비스이용·요청 서비스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이용·요청할 서비스 관련 식별정보를 전자 장치(휴대 단말기)를 통해 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용자회원 데이터베이스에는 전자 장치에서 사용하는 암호화된 전화번호 정보와 서로 맵핑된 회원별 차량내부 전자장치에 해당되는 정보·서비스 이용방법 정보를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내부 전자장치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는 시스템을 보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에서 통합관리서버(300)는 웹서버(140), 전자장치 정보 추출부(120), SMS처리부(130), 음성처리부(160), 데이터베이스(110) 및 관리서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운전자 휴대단말기(400)는 구비된 이동 통신 모듈(430) 또는 무선 랜 모듈(미도시)를 통해 통신망(200)과 연결된 통합관리 서버(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이용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에서 통합관리서버(300)에서 제공하는 관련 서비스를 이용하기 전에 운전자 휴대단말기(400)는 구비된 통신 모듈(430) 및 입력부(450)를 통해 정보를 입력하여 생성한 관련 서비스 제공·요청정보를 통합관리 서버(300)로 전송하여 통합관리 서버(300)에 구비된 이용자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114), 부가서비스 정보 데이터베이스(111)에 미리 등록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차량 내부 전자장치(600) 또는 운전자 휴대단말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운전자 휴대단말기(500)는 구비된 통신망(200)을 통해 수신된 서비스 공급자가 미리 입력하여 저장된 관련 식별 정보(미도시)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에서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블록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휴대단말기(400)는 통신 모듈(430), 입력부(450), 디스플레이부(440), GPS 모듈(410), 제어부(460), 저장부(470) 및 메모리(49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내부 전자장치(500) 또는 운전자 휴대단말기(400)는 성능에 따라 통신부에 이동 통신 모듈(430), 무선 랜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430)은 제어부(46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미도시)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차량 내부 전자장치(500) 또는 운전자 휴대단말기(400)와 외부 서버(300)와 같은 외부 서비스 공급자 관제센터(600)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430)은 전자 장치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400), 스마트폰(미도시), 태블릿 PC(미도시) 또는 다른 전자 장치(미도시)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랜 모듈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무선이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통신)망(200)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 랜 모듈은 미국 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 랜 규격(IEEE 802.11x)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430)은 제어부(460)의 제어에 따라 전자장치(미도시)와 다른 전자장치(미도시) 사이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40)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330)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500)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밴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및 RF 트랜시버모듈(330) 및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4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40)는 이용자 입력(예컨대, 화면 터치)에 의한 이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60)는 저장부(470)를 통해 사용하는 관련 서비스를 기반으로 산출된 정보 식별 값으로부터 전자 장치(500)에서 사용하는 관련 서비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입력부(450)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미도시) 및 키패드(48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미도시)은 휴대단말기(400)의 하우징(또는 케이스)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잠금 버튼, 볼륨 버튼, 메뉴 버튼, 홈 버튼,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 및 검색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키패드(480)는 전자장치(500)의 제어를 위해 이용자로부터 키입력을 통하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키패드(480)는 전자 장치(미도시)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480) 또는 디스플레이부(44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미도시)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480)는 전자 장치(미도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470), 제어부(460) 내 롬(미도시), 램(미도시) 또는 전자장치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예컨대, SD 카드, 메모리 스틱) 등의 임의의 데이터 저장 장치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저장부(47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470)는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에서 이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들의 애플리케이션들과 이와 관련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들, 사용자 정보, 문서,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과 관련된 데이터베이스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470)는 차량 내부 전자장치(500) 또는 운전자 휴대단말기(400), 외부 서버(300), 서비스 공급자 관제센터(600) 등 송·수신되는 데이터들, 전자 장치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배경 이미지들(메뉴 화면, 대기 화면, 잠금 화면 등) 또는 운영 프로그램들에 의해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470)는 기계(예컨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이며, 기계로 읽을 수 있는 매체라는 용어는 기계가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기계로 데이터를 제공하는 매체로 정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470)는 비휘발성 매체(non - volatile media) 및 휘발성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매체는 상기 매체에 의해 전달되는 명령들이 상기 명령들을 상기 기계로 읽어 들이는 물리적 기구에 의해 검출될 수 있도록 유형의 것이어야 한다.
상기 기계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펀치 카드(punch card), 페이퍼 테이프(paper tape), 피롬(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이피롬(EPROM: Erasable PROM), 플래시-이피롬(FLASH-EPROM),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CD(Compact Disk), CD-ROM(Compact Disc Read-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플렉서블 디스크(flexible disk), 광 데이터 저장 장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솔리드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솔리드스테이트 하이브리드 드라이브(SSHD) 및 임베디드 멀티미디어 카드(eMMC: embedded Multi Media Car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470)는 서비스 관리 식별 정보 및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14)는 차량 내부 전자장치(500) 또는 운전자 휴대단말기(400)의 식별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식별정보는 복수 개의 전자 장치 중 각각 전자 장치 간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해 주는 정보이다. 예컨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는 모바일 식별 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이하 MIN 또는 Mobile Subscription Identification Number, 이하 MSIN), 국제 모바일 장치 식별 정보(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이하 IMEI), 이동 통신 번호 정보, 소유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식별 정보는 차량 내부 전자장치(500) 또는 운전자 휴대단말기(400)에서 사용되는 식별 정보는 전자장치에 장착된 통신 모듈(430)을 통하여 서비스 이용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미도시)는 제어부(460)의 제어에 따라 커넥터(미도시)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 소스로 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전자 장치로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460)는 디스플레이부(440), 입력부(450), 통신 모듈(430), 저장부(470), 키패드(480), 메모리(490) 및 전원공급부(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60)는 통신에 구비된 이동 통신 모듈(430) 또는 무선 랜 모듈(미도시)을 통해 네트워크(통신)망(200)과 연결된 서버(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60)는 서비스제공 상황을 나타내는 이용자 입력이 구비된 입력부(450)를 통해 수신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460)는 저장부(470)에 미리 저장된 서비스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440) 된 화면에 추가로 정보 입력(450)을 통해 수신된 정보를 통합관리 서버(300)는 저장된 이용자 입력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관련 서비스요청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서비스요청 정보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460)는 이용자 휴대단말기(400)에 장착된 통신 모듈을 통하여 차량내부 전자장치에 포함된 정보에 해당되는 전화번호정보 등 관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60)는 구비된 이동 통신 모듈(430)과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미도시) 간의 통신 신호를 기반으로 관련 서비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460)는 구비된 이동 통신 모듈(430)을 통해 이동 통신 회사가 고정된 위치에 설치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과 연결될 수 있다. 고정된 위치에 있는 각각의 기지국과 전자 장치 간의 무선 연결된 경우, 복수 개의 기지국들의 고정된 위치를 기반으로 삼각측량을 수행하여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60)는 구비된 무선 랜 모듈(미도시)과 무선 액세스 포인터(Wireless Access Point) 간의 통신 신호를 기반으로 서비스 관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460)는 구비된 무선 랜 모듈(미도시)을 통해 고정된 위치에 설치된 무선 액세스 포인터와 무선 연결될 수 있다.
긴급 알림 및 주차단속 그리고 부가서비스 제공 시 통합 관리 서버(300)를 통해 긴급 알림서비스 요청 정보를 운전자 휴대단말기(400)로 전송할 경우, 제어부(460)는 전자장치에 장착된 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차량내부에 비치 또는 설치된 관련 식별정보에 해당되는 암호화된 전화번호 정보 및 관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60)는 구비된 통신 모듈(430)과 다른 전자 장치(500)의 통신 모듈을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경우, 제어부(460)는 통신 모듈 간의 서비스정보를 기반으로 미리 저장된 식별정보에 해당되는 암호화된 전화번호 정보 및 관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60)는 전자 장치(500)에서 사용하는 긴급 알림 및 주차단속 그리고 부가서비스를 다른 전자 장치(500)와 식별 가능하도록 해주는 정보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460)는 생성된 긴급 알림 및 주차단속 그리고 부가서비스 이용 정보를 통신망(200)을 통해 서버(300)로 전송(315, 317)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60)는 전송(315, 317)한 서비스이용 정보가 통합관리 서버(30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예컨대, 다른 전자 장치, 다른 외부 서버)에 전송된 서비스요청 확인 정보의 전송 결과 화면을 서버로부터 수신 받을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110)는 부가서비스 정보 데이터베이스(111), 부가서비스 공급자 데이터베이스(112), 차량내부 전자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113), 이용자 회원데이터베이스(114)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서비스 정보 데이터베이스(111)는 호출서비스, 주차단속, 주차차량위치 알림서비스, 긴급차량 호출 등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관련 식별 정보별로 맵핑되어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부가서비스 공급자 데이터베이스(112)는 부가서비스 공급자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의 종류 또는 서비스 정보별로 맵핑되어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이용자 회원데이터베이스(114)에는 이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전자 장치(500)를 통해 등록한 서비스를 이용할 정보와 매칭되는 연락할 전화번호 등이 식별 정보별로 맵핑되어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이용자 회원데이터베이스(114)는 이용자의 디바이스정보, 전자장치번호, 성명, 연락할 번호, 서비스별 정보들이 미리 저장되어 있다.
또한, 차량내부 전자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113)는 차량내부 전자장치(500)를 식별 할 수 있는 정보별로 서로 맵핑되어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통합 관리서버(300)의 통신부(152)는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차량에 부착 또는 설치된 전자장치(500)로부터 운전자 휴대용 단말기(400)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관련 서비스 정보를 송·수신 받을 수 있다.
또한, 추출부(153)는 추출된 식별 정보와 맵핑된 통합관리 서버(300)로 부터 긴급 호출 및 주차단속 그리고 부가서비스 요청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에, 휴대용단말기(400) 제어부(460)는 수신된 서비스 제공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단말기(400)로 서비스를 이용하여 이용자 회원데이터베이스(114)에 식별 정보와 맵핑되도록 전송하여 서비스를 이용 가능하도록 등록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단말기(400) 제어부(460)는 휴대용단말기(400)에 장착된 통신 모듈(430)을 통하여 차량내부 전자장치(500)에 해당되는 정보와 추출된 전자장치 식별 정보로부터 정보를 인식하고, 동일한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장치(500)로 응답 요청 신호를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장치(500)는 서버(300)로부터 응답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자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생성하여 통합관리 서버(300) 또는 휴대용단말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식별 정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사용 중인 암호화된 전화번호 및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 통신부(152)는 네트워크(통신)망 (200)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휴대용단말기(400)로부터 긴급호출 및 관련 서비스 요청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 추출부(153)는 수신된 호출 및 서비스 요청 관련 정보에 포함된 차량내부 전자장치에 해당되는 식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전자장치(미도시) 또는 서버(300)의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기능 및 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음을 나타나기 위해 별도로 도면에 표시한 것이며, 물리적으로 반드시 별도의 구성요소이거나 별도의 코드로 구현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각 제어부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각 제어부는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을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차량내부 전자장치에 해당되는 정보로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제어 방법 요청 흐름도 및 해상도 예시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용자 식별정보가 서버(110) 및 휴대용 전자장치(미도시)에 저장되고 Zigbee, Radar,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iFi, 3G/4G/LTE, Bluetooth(Beacon), Ethernet, BcN, 위성통신, Microwave, 시리얼 통신, PLC 장치를 포함하며, 통신(200)을 통하여 수신된 정보의 추가 입력을 위한 입력부(4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차량내부에 부착 또는 설치된 전자장치(500)로서 네비게이션, 블랙박스, 고속도로통행에 사용할 수 있는 하이패스 전자장치, 통신을 할 수 있는 전자장치 등 차량내부에 부착 또는 설치되어 있어 통신이 가능한 전자장치(400)와 통신할 수 있는 운전자 휴대용 단말기(400)이다.
그리고, 통신이 불가능한 전자장치는 액세스 포인트 또는 보조 전자장치를 통하여 특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운전자 휴대용 단말기 또는 공급자 서비스 서버와 통신이 수행할 수 있는 전자장치를 둘 수 있다.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있어서, 차량내부에 기존에 부착 또는 설치된 전자장치(500)와 통신(200)할 수 있는 차량운전자 휴대단말기(400)와;
긴급차량 이동경로 이면도로에 주·정차 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량 운전자와 긴급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52) GPS를 통해 긴급차량 이동경로 이면도로에 현재 주·정차 되어 있는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정보 수신부(410)를 포함한다.
또한, 긴급 차량이 위급발생 목적지로 접근하기 이전에 이동경로 상의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이면도로에 주·정차된 차량이 있는지를 체크하여 차량의 위치 정보를 포함시켜 긴급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는 생성부(151)를 포함한다.
그리고, 긴급 상황 발생 시 교통망에서의 긴급차량의 통행을 지원하기 위해 위급발생 목적지 정보를 기반(211)으로 이동경로를 탐색하여 긴급 차량이 접근하기 이전에 이동경로 상의 이면도로에 주·정차 되어 있는 차량의 이동요청 정보를 주·정차된 차량 운전자에게 긴급 메시지(314, 316)를 전송(216)할 수 있는 통합 관리서버(300)를 포함 있다.
여기서, 서버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차량내부에 부착 또는 설치된 전자장치(500)의 식별 정보로부터 해당 정보를 추출(153)하여 운전자 휴대용단말기(400)에 해당되는 전화번호별 정보를 생성하여 긴급알림 요청 및 주차단속 정보를 운전자 휴대용단말기(400)로 전송(216)하는 통합 관리 서버(300)를 포함한다.
그리고, 긴급 차량이 긴급상황 발생 목적지(209) 접근하기 이전에 이동경로 상의 이면도로에 주·정차 되어 있는 차량내부에 부착 또는 설치된 전자장치(500)에 해당되는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식별 정보로부터 운전자 휴대용단말기 정보(400)를 추출한다.
또한, 긴급 상황 발생 시 교통망에서의 긴급차량의 통행을 지원하기 위해 위급발생 목적지 정보(209)를 기반으로 이동경로를 탐색하여 긴급 차량이 접근하기 이전에 이동경로 상의 이면도로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있는 차량내부에 부착 또는 설치된 전자장치(400)를 검색하고 선택에 따라 긴급 알림서비스를 요청(314, 316)한다.
여기서,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300)에 등록되는 차량내부에 부착 또는 설치된 전자장치(500) 및 운전자 휴대용단말기(400) 고유 식별정보에는 모바일 식별 번호, 국제 모바일 장치 식별 정보, 이동 통신 번호 정보, 소유자 정보 등 전자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관련 정보가 포함한다.
여기서, 위급발생 목적지 정보(209)를 기반으로 이동경로를 탐색하여 이동경로 상의 이면도로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해당 차량내부에 부착 또는 설치된 전자장치(500) 및 운전자 휴대용단말기(400)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관련 정보 또는 디바이스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긴급 요청 정보를 생성 제공(216) 한다.
또한, 목적지 정보(209)는 긴급 상황이 발생된 해당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위치기반서비스(LBS), 지리정보시스템(GIS), 위성항법장치(GPS)정보 또는 무선네트워크 정보가 추출된 좌표정보를 포함 저장한다.
여기서, 이동경로 정보(212)에는 긴급 차량의 진행방향 이면도로에 주·정차 되어 있는 차량의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위급발생 목적지(209) 정보를 기반으로 실시간 교통정보에 따라 최단 이동경로를 탐색하여 생성한다.
또한, 실시간 교통정보에 따라 이동경로 변경 시 변경시점에서 다시 최단 이동경로를 탐색하여 생성한다.
그리고, 복수 개의 전자 장치 중 각각 전자 장치 간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외부 인터페이스(310)를 구비한 전자장치는, 외부서버(300) 및 전자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자장치 인터페이스부(310)와
여기서, 전자장치 인터페이스부(310)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결정되는 전자장치(500)의 내부 및 외부 환경 변화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를 외부 인터페이스부로 송출하는 제어부(320)를 포함한다.
그리고, 고유 식별정보는 서버 및 차량내부에 부착 또는 설치된 전자장치(500)에 해당되는 운전자 휴대용 단말기(400)에 저장되고 Zigbee, Radar, WP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iFi(Wi-Fi Direct), 3G/4G/LTE, Bluetooth, Ethernet, BcN, 위성통신, Microwave, 시리얼 통신, PLC 통신을 통하여 관리서버(300)에서 긴급 이동 요청 정보의 입력을 위한 입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의 입력 정보에 의해 긴급 알림 요청 정보를 생성하되, 긴급 알림 요청 관련 정보를 통신망(200)을 통해 차량내부 전자장치(500)에 해당되는 운전자 휴대용 단말기(400)로 전송 (216)한다.
그리고,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제어 방법에 있어서, 차량내부 전자장치(500)의 서비스 고유 식별정보를 운전자 휴대용단말기(400) 및 외부 서버(300)에 차량 관련 정보를 등록, 저장한다.
여기서, 통신망(200)을 통하여 긴급 상황 발생에 따른 긴급 차량의 출동을 요청하는 목적지(209) 정보를 수신 확인하고 목적지 정보(209)가 수신 된 경우 목적지 정보(209)를 기반으로 실시간 교통정보에 따라 이동경로를 탐색하여 최단 거리의 이동경로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211)한다.
그리고, 정보에 따라 긴급 차량이 접근하기 이전에 이동경로 상의 이면도로에 주·정차 되어 있는 차량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차량의 위치 확인 결과 주·정차된 관련 차량정보를 생성(214)하여 생성된 정보로 다수의 주·정차된 차량 운전자(400)한테 차량 이동 긴급 메시지(314, 316)를 전송(216)한다.
여기서, 통신망(200)은, Zigbee, Radar, WP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iFi(Wi-Fi Direct), 3G/4G/LTE, Bluetooth, Ethernet, BcN, 위성통신, Microwave, 시리얼 통신, PLC 통신망 중 어느 하나이거나 복합된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차량정보 등록단계는 차량의 정보(차량내부 전자장치 정보, 차종, 차량번호, 색상, 운전자 연락처 등)를 통신망(200)을 통해서 관리서버에 등록 신청한다.
한편, 외부 서버(300)에 차량 관련 정보를 등록, 저장하는 단계에서, 관련 기관의 협업체계를 통한 정보 제공 및 공유(의무보험 미가입 및 자동차세(과태료·범칙금)상습체납차량, 정기검사 미필 각종 질서위반행위 차량정보)를 통하여 차적과 체납 관련 차량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로드하고 단속을 실행할 수 있는 정보를 등록할 수도 있다.
그리고, 관련기관에서 제공하는 차적과 체납 관련 차량정보를 실시간으로 시스템과 연계하여 관련 정보로 단속된 차량 및 위치 정보를 관련기관에 제공하고 관련 정보로 위치추적을 별도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정보를 추출하여, 판독 가능한 정보로 기 설정된 전화번호에 해당되는 식별할 수 있는 이미지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그리고, 차적과 체납 관련 차량정보는 하나 이상의 무선으로 데이터를 공유하고, 수집된 데이터 및 제어정보는 통합 관리서버에서 제어한다.
한편, 긴급 차량이 긴급 상황 목적지(209)에 접근하기 이전에 이동경로 상 충분히 통과 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이면도로 골목길 등에 다수의 주·정차한 차량 위치정보에서 추출한 차량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차량 정보제어부에서 추출한 다수의 주·정차한 차량 정보를 통하여 수집된 차량 정보를 데이터 연산 알고리즘을 통해 실시간으로 최적의 관련 정보 제어값을 연산하고 연산된 제어값을 데이터베이스로(110)부터 추출(153)하여 다수의 주·정차한 차량 운전자한테 선택적으로 긴급 차량이동을 요청한다.
여기서, 차량 운전자한테 차량이동을 요청하는 단계에서 정보를 출력장치(160) 및 표시장치(130)를 통해 음성(314) 또는 문자(316)로 표출하여 통신망(200)을 이용하여 전송(216)한다.
여기서, 차량위치정보는 위치기반서비스(LBS), 지리정보시스템(GIS), 위성항법장치(GPS)정보 또는 무선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여 위치좌표를 보정한 다음에 보정된 위치좌표를 관리서버(150)에서 수신하고, 수신한 위치좌표 정보를 내장된 위치 프로그램으로 비교 및 수정한 후에 수정된 차량 위치좌표에 주·정차된 차량운전자에게 송신(216)할 수 있다.
그리고, 이면도로에 인접한 하나 이상의 위치정보와 데이터를 공유하고, 이면도로에 인접한 위치정보를 거쳐 관리 서버(150)에 위치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주·정차된 차량내부 전자장치(500)에 해당되는 정보를 인식 후 표시하는 단계에서 미리보기 화면에 출력된 연락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통합관리서버(300)는 전자장치와 패킷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하는 웹서버(140) 전자장치별 고유 식별정보(113) 및 서비스 정보(111),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별 서비스 요청 이용정보(112)와 고유 식별정보, 상기 전자장치별 서비스 제공 정보, 그리고 기타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10)를 둔다.
또한, 웹서버(140)와 서비스 정보 추출(153) 및 동작 제어(155) 그리고 서비스에 대한 정보 저장(154) 및 전화번호별 정보 검색(120)과 추출(153) 그리고 서비스 정보의 생성(151) 기능을 갖는 관리 서버(150)를 포함한다.
그리고, 통합관리 서버(300)는 긴급 알림 요청 및 주차단속 관련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단문메시지의 생성 및 전송 기능을 갖는 SMS, MMS 처리부(130)와 음성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음성언어의 생성 및 전송 기능을 갖는 음성 처리부(16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있어서, Zigbee, Radar,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iFi(Wi-Fi Direct), 3G/4G/LTE, Bluetooth, Ethernet, BcN, 위성통신, Microwave, 시리얼 통신, PLC을 통하여 다수의 주·정차된 차량내부 전자장치(500)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그리고, 서비스 요청을 수행하기 위해 관리서버(110)에서 시각적으로 서비스 관련 정보를 안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미도시)로 구성되어 제어한다.
여기서, 긴급 알림 요청 정보를 안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미도시)로 구성되는 제어부(155)와 제어부(155)를 통해 요청할 정보가 관리 서버(110)에서 수신되면 다수의 주·정차된 차량내부 전자장치(500)의 관련 정보데이터를 주출(153)하고 전송할 URL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를 표시한다,
그리고, 수신한 정보를 바탕으로 관련 정보와 디스플레이(미도시)된 정보를 보고 선택하여 관리 서버(110)에서 긴급 알림 정보를 전송(216)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급자가 요청하는 긴급 알림 관련 정보가 디스플레이(미도시) 된 서비스 관련 정보에 필요 추가 사항 또는 관련 정보를 더 입력하여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관리서버에서 긴급 알림 관련 요청 정보를 요청한 후, 상기 결과 사실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한다.
또한,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제어 방법에 있어서, 주·정차된 차량 전자장치(500)와 패킷 통신망(200)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하는 웹서버(140) 전자장치의 통신부(152)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주·정차된 특정 차량내부 전자장치(500)에 포함된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각 전자장치에 매칭되는 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로 표시하고, 어느 하나의 부가서비스 정보가 선택될 경우, 그 정보를 기 설정된 방법으로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다수의 주·정차된 차량내부 전자장치(500) 정보가 인식될 경우, 정보입력 생성 모드로 자동 전환되어 생성된 정보에 추가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필요한 도구들을 표시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은, 다수의 주·정차된 차량내부 전자장치(500)에 매칭되는 정보들이 인식될 경우, 그 인식된 관련된 정보가 전자장치 또는 이용자 데이터베이스(114)에 기 저장되어 있는지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주·정차된 차량내부 전자장치들과 통신망 접속 방법에 있어서, 긴급 차량이 접근하기 이전에 이동경로 상의 이면도로 영역 내에 긴급 알림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는 차량내부 전자장치(500)가 존재하는지를 파악(214)한다.
그리고, 긴급 알림 서비스 요청 영역 내에 있는 차량내부 전자장치(500)로 통신망(200)을 통하여 관련 긴급 알림 서비스를 요청(216)하고 차량내부 전자장치(500)로 전달받은 관련 긴급 알림 요청 정보를 운전자 휴대단말기(400)로 확인(315, 317)한다.
한편, 해당 운전자 휴대단말기(400)가 서비스를 이용할 관련 정보 입력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할 관련 식별정보를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300)에 전송하고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300)가 상기 서비스를 제공할 관련 정보를 전송한 서비스 차량내부 전자장치(500)의 유효 회원 여부를 판별한다.
여기서,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300)가 유효 회원으로 판별된 상기 서비스 차량내부 전자장치(500)에 매칭되는 운전자 휴대단말기(400)의 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서버(111)로부터 추출(153)하고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300)가 데이터베이스 서버(110)로부터 검출된 서비스이용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제공 관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300)가 생성된 서비스 제공 관련 정보를 상기 서비스 차량내부 전자장치(500)의 위치정보(410)를 기준으로 사전 설정된 반경 내에 있는 운전자 휴대단말기(400)에 전송(216)한다.
여기서, 차량내부 전자장치(500)에 전송될 해당 서비스 제공 관련 정보의 고유 식별정보를 판독하고 해당 서비스 차량내부 전자장치(500)가 해당 서비스를 제공할 관련 정보로부터 판독되는 고유 식별정보로써 해당 서비스 제공 관련 정보의 고유 식별정보인 제공될 서비스별 내용, 연락 가능한 전화번호, 소유 차량 번호, 색상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300)가 서비스 차량내부 전자장치(500)별로 생성되는 서비스를 제공할 관련 정보를 해당 서비스 차량내부 전자장치(500)와 연계되는 서비스제공 방법과 고유 식별정보를 맵핑하여 저장하고 해당 서비스 차량내부 전자장치(500)의 디스플레이부(440)에 표시될 고유 식별정보별로 해당 정보 값이 입력되어 해당 서비스별로 제공할 관련 인터베이스 정보(미도시)가 생성된다.
여기서,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300)가 생성한 해당 서비스 제공 관련 인터페이스 및 관련 정보를 차량내부 전자장치(500)별로 매칭되는 운전자 휴대단말기(400)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인터베이스 정보(미도시)를 전송(미도시)한다.
한편, 서비스 운전자 휴대단말기(400)에서 수신된 해당 서비스 제공 관련 정보에 대해 승인 여부를 결정하고 서비스 운전자 휴대단말기(400)가 승인 시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300) 및 차량내부 전자장치(500)를 통해 해당 서비스를 이용한다.
그리고,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300)가 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설정된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이용 관련 정보를 선택하여 승인하고 선택적으로 지정한 긴급호출 요청 정보 및 주차단속 그리고 부가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차량내부 전자장치(500)에 해당되는 운전자 휴대단말기(400)로 해당 서비스 제공 관련 정보의 고유 식별정보 판독에 따라 해당 서비스 이용 관련 추가 정보를 더 입력하여 등록한 회원 서버에 전송한다.
그리고,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300)가 부가서비스 이용 관련 정보를 전송한 운전자 휴대단말기(400)의 유효 회원 여부를 판별하고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300)가 유효 회원으로 판별된 차량내부 전자장치(500)의 부가서비스 제공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서버(110)로부터 검출한다.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300)가 데이터베이스 서버(110)로부터 검출된 부가서비스 제공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부가서비스 제공 관련 추가 정보를 더 생성하고,
이 과정에서,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300)가 생성된 부가서비스 제공 관련 정보와 추가로 입력된 정보를 차량내부 전자장치(500)의 정보를 기준으로 사전 설정된 반경 내에 서비스요청 정보와 추가 입력된 정보와 매칭하여 부가서비스를 제공 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 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10 : 데이터베이스 111 : 부가서비스 정보데이터베이스
112 : 부가서비스 공급자정보 데이터베이스
113 : 차량내부 전자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
112 : 이용자회원 데이터베이스 120 : 전자장치 정보 추출부
130 : SMS처리부 140 : 웹 서버
150 : 관리서버 160 : 음성처리부
151 : 생성부 152 : 통신부
153 : 추출부 153 : 저장부
155 : 제어부 200 : 통신망
300 : 통합관리서버 400 : 운전자 휴대단말기
410 : GPS 모듈 430 : 통신 모듈
440 : 디스플레이(표시)부 450 : 입력부
460 : 제어부 470 : 저장부
480 : 키패드 490 : 메모리
500 : 차량내부 전자장치 600 : 관제센터

Claims (34)

  1.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내부에 기존에 부착 또는 설치된 전자장치;
    상기 주·정차된 차량내부에 부착 또는 설치된 전자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차량운전자 휴대단말기와;
    상기 통신을 통해 긴급차량 이동경로 이면도로에 주·정차 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량 운전자와 긴급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GPS를 통해 긴급차량 이동경로 이면도로에 현재 주·정차 되어 있는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정보 수신부;와
    상기 긴급 차량이 위급발생 목적지로 접근하기 이전에 이동경로 상의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이면도로에 상기 주·정차된 차량이 있는지를 체크하여 상기 체크 결과 차량의 위치 정보를 포함시켜 긴급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는 생성부;
    상기 긴급 상황 발생 시 교통망에서의 긴급차량의 통행을 지원하기 위해 상기 위급발생 목적지 정보를 기반으로 이동경로를 탐색하여 긴급 차량이 접근하기 이전에 이동경로 상의 이면도로에 주·정차 되어 있는 차량의 이동요청정보를 주·정차된 차량 운전자에게 긴급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서버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기 차량내부에 부착 또는 설치된 전자장치의 식별 정보로부터 해당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운전자 휴대용단말기에 해당되는 전화번호별 정보를 생성하여 긴급알림 요청 및 주차단속 정보를 상기 운전자 휴대용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통합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차량이 긴급 상황 발생 목적지에 접근하기 이전에 이동경로 상의 이면도로에 주·정차 되어 있는 차량내부에 부착 또는 설치된 전자장치에 해당되는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식별 정보로부터 운전자 휴대용단말기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는,
    상기 긴급 상황 발생 시 교통망에서의 긴급차량의 통행을 지원하기 위해 상기 위급발생 목적지 정보를 기반으로 이동경로를 탐색하여 긴급 차량이 접근하기 이전에 이동경로 상의 이면도로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있는 차량내부에 부착 또는 설치된 전자장치를 검색하고 선택에 따라 상기 긴급 알림서비스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에 등록되는 상기 차량내부에 부착 또는 설치된 전자장치 및 운전자 휴대용단말기 고유 식별정보에는 모바일 식별 번호, 국제 모바일 장치 식별 정보, 이동 통신 번호 정보, 소유자 정보 등 전자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관련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위급발생 목적지 정보를 기반으로 이동경로를 탐색하여 이동경로 상의 이면도로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해당 차량내부에 부착 또는 설치된 전자장치 및 운전자 휴대용단말기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관련 정보 또는 디바이스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 긴급 요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 정보는 긴급 상황이 발생된 해당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위치기반서비스(LBS), 지리정보시스템(GIS), 위성항법장치(GPS)정보 또는 무선네트워크 정보가 추출된 좌표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경로 정보에는 긴급 차량의 진행방향 이면도로에 주·정차 되어 있는 차량의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위급발생 목적지 정보를 기반으로 실시간 교통정보에 따라 최단 이동경로를 탐색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교통정보에 따라 이동경로 변경 시 변경시점에서 다시 최단 이동경로를 탐색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전자장치는,
    상기 차량내부에 부착 또는 설치된 전자장치로서 네비게이션, 블랙박스, 고속도로통행에 사용할 수 있는 하이패스 전자장치, 통신을 할 수 있는 전자장치 등 차량내부에 부착 또는 설치 되어있어 통신이 가능한 전자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전자장치에서,
    상기 통신이 불가능한 전자장치는 액세스 포인트 또는 보조 전자장치를 통하여 특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운전자 휴대용 단말기 또는 공급자 서비스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전자 장치 중 각각 전자 장치 간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외부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전자장치는,
    상기 외부서버 및 전자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자장치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전자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결정되는 전자장치의 내부 및 외부 환경 변화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를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부로 송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식별정보는 서버 및 차량내부에 부착 또는 설치된 전자장치에 해당되는 운전자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되고 Zigbee, Radar, WP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iFi(Wi-Fi Direct), 3G/4G/LTE, Bluetooth, Ethernet, BcN, 위성통신, Microwave, 시리얼 통신, PLC 통신을 통하여 관리서버에서 긴급 이동 요청 정보의 입력을 위한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의 입력 정보에 의해 긴급 알림 요청 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긴급 알림 요청 관련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차량내부 전자장치에 해당되는 운전자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전자장치는,
    상기 부가서비스를 이용한다고 사전에 상기 서버에 등록한 전자장치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15.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내부 전자장치의 서비스 고유 식별정보를 운전자 휴대용단말기 및 외부 서버에 차량 관련 정보를 등록, 저장하는 단계; 와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긴급 상황 발생에 따른 긴급 차량의 출동을 요청하는 목적지 정보를 수신 확인하는 단계;
    상기 목적지 정보가 수신 된 경우 목적지 정보를 기반으로 실시간 교통정보에 따라 이동경로를 탐색하여 최단 거리의 이동경로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보에 따라 긴급 차량이 긴급 상황 발생 목적지에 접근하기 이전에 이동경로 상의 이면도로에 주·정차 되어 있는 차량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이면도로에 주·정차 차량의 위치 확인 결과 주·정차된 관련 차량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정보로 다수의 주·정차된 차량 운전자한테 차량 이동 긴급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은,
    상기 Zigbee, Radar, WP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iFi(Wi-Fi Direct), 3G/4G/LTE, Bluetooth, Ethernet, BcN, 위성통신, Microwave, 시리얼 통신, PLC 통신망 중 어느 하나이거나 복합된 것을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정보 등록단계는 차량의 정보(차량내부 전자장치 정보, 차종, 차량번호, 색상, 운전자 연락처 등)를 통신망을 통해서 관리서버에 등록신청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서버에 차량 관련 정보를 등록, 저장하는 단계에서, 관련 기관의 협업체계를 통한 정보 제공 및 공유(의무보험 미가입 및 자동차세(과태료·범칙금)상습체납차량, 정기검사 미필 각종 질서위반행위 차량정보)를 통하여 차적과 체납 관련 차량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로드하고 단속을 실행할 수 있는 정보를 등록할 수 있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기관에서 제공하는 차적과 체납 관련 차량정보를 실시간으로 시스템과 연계하여 관련 정보로 단속된 차량 및 위치 정보를 관련기관에 제공할 수 있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차적과 체납 관련 차량정보는 하나 이상의 무선으로 데이터를 공유하고, 수집된 데이터 및 제어정보는 통합 관리서버에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차량이 긴급 상황 발생 목적지에 접근하기 이전에 이동경로 상 충분히 통과 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이면도로 골목길 등에 다수의 주·정차한 차량 위치정보에서 추출한 차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 정보제어부에서 추출한 다수의 주·정차한 차량 정보를 통하여 수집된 차량 정보를 데이터 연산 알고리즘을 통해 실시간으로 최적의 관련 정보 제어값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연산된 제어값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다수의 주·정차한 차량 운전자한테 선택적으로 긴급 차량이동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운전자한테 차량이동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를 출력장치 및 표시장치를 통해 음성 또는 문자로 표출하여 통신망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정차된 차량위치정보는
    상기 위치기반서비스(LBS), 지리정보시스템(GIS), 위성항법장치(GPS)정보 또는 무선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여 위치좌표를 보정한 다음에 보정된 위치좌표를 관리서버에서 수신하고, 수신한 위치좌표 정보를 내장된 위치 프로그램으로 비교 및 수정한 후에 수정된 차량 위치좌표에 주·정차된 차량운전자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정차된 차량위치정보는
    상기 이면도로에 인접한 하나 이상의 위치정보와 데이터를 공유하고, 이면도로에 인접한 위치정보를 거쳐 관리 서버에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정차된 차량내부 전자장치에 해당되는 정보를 인식 후 표시하는 단계에서 미리보기 화면에 출력된 연락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26. 제 1 항에 있어서, 서비스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전자장치와 패킷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하는 웹서버;
    상기 전자장치별 고유 식별정보 및 서비스 정보,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별 서비스 요청 이용정보와 고유 식별정보, 상기 전자장치별 서비스 제공 정보, 그리고 기타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웹서버와 서비스 정보 추출 및 동작 제어 그리고 상기 서비스에 대한 정보 저장 및 전화번호별 정보 검색과 추출 그리고 상기 서비스 정보의 생성 기능을 갖는 통합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 서버는 상기 긴급 알림 요청 및 주차단속 관련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단문메시지의 생성 및 전송 기능을 갖는 SMS, MMS 처리부와 음성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음성언어의 생성 및 전송 기능을 갖는 음성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28.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있어서,
    Zigbee, Radar,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iFi(Wi-Fi Direct), 3G/4G/LTE, Bluetooth, Ethernet, BcN, 위성통신, Microwave, 시리얼 통신, PLC을 통하여 다수의 주·정차된 차량내부 전자장치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요청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관리서버에서 시각적으로 서비스 관련 정보를 안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어 제어하는 단계;
    상기 긴급 알림 요청 정보를 안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를 통해 요청할 정보가 상기 관리 서버에서 수신되면 상기 다수의 주·정차된 차량내부 전자장치의 관련 정보데이터를 추출하고 전송할 URL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정보를 바탕으로 관련 정보와 디스플레이 된 정보를 보고 선택하여 관리 서버에서 긴급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자가 요청하는 긴급 알림 관련 정보가 디스플레이 된 서비스 관련 정보에 필요 추가 사항 또는 관련 정보를 더 입력하여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에서 긴급 알림 관련 요청 정보를 요청한 후, 상기 결과 사실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31.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정차된 차량 전자장치와 패킷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하는 웹서버;
    상기 전자장치의 통신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주·정차된 특정 차량내부 전자장치에 포함된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각 전자장치에 매칭되는 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로 표시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부가서비스 정보가 선택될 경우, 그 정보를 기 설정된 방법으로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주·정차된 차량내부 전자장치 정보가 인식될 경우, 상기 정보입력 생성 모드로 자동 전환되어 생성된 정보에 추가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필요한 도구들을 표시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다수의 주·정차된 차량내부 전자장치에 매칭되는 정보들이 인식될 경우, 그 인식된 관련된 정보가 전자장치 또는 이용자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되어 있는지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34. 주·정차된 차량내부 전자장치들과 통신망 접속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긴급 차량이 접근하기 이전에 이동경로 상의 이면도로 영역 내에 긴급 알림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는 차량내부 전자장치가 존재하는지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긴급 알림 서비스 요청 영역 내에 있는 차량내부 전자장치로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관련 긴급 알림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차량내부 전자장치로 전달받은 관련 긴급 알림 요청 정보를 운전자 휴대단말기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20150126012A 2015-09-07 2015-09-07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1700291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012A KR20170029109A (ko) 2015-09-07 2015-09-07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012A KR20170029109A (ko) 2015-09-07 2015-09-07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109A true KR20170029109A (ko) 2017-03-15

Family

ID=58403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012A KR20170029109A (ko) 2015-09-07 2015-09-07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910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1614A (ko) * 2018-08-21 2020-03-02 한국도로공사 긴급차량 정보 전파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긴급차량 정보를 전파하는 방법
CN114928453A (zh) * 2022-05-19 2022-08-19 芯跳科技(广州)有限公司 一种usb设备安全验证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1614A (ko) * 2018-08-21 2020-03-02 한국도로공사 긴급차량 정보 전파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긴급차량 정보를 전파하는 방법
CN114928453A (zh) * 2022-05-19 2022-08-19 芯跳科技(广州)有限公司 一种usb设备安全验证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1591B2 (en) Driving assistance based on road infrastructure information
US976113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ally relevant rerouting information
EP279016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session between parked vehicles to determine a suitable parking situation
US20140213238A1 (en) System and methods for mobile applications using vehicle telematics data
KR10176360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기반으로 주변 차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N109005498A (zh) 车辆定位器和导向器
CN104344833A (zh) 车辆导航方法、装置和系统
US11696349B2 (en) Micro-navigation for a vehicle
CA3154483A1 (en) Micro-navigation for a vehicle
US11645913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data fusion and filtering
CA3198428A1 (en)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ing events within a secure wireless network
CA3197075A1 (en) Remote mobile device management
KR20170034542A (ko) 긴급차량이 이동할 경로 확보를 위한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170030251A (ko)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 확보를 위한 시스템 및 제어 방법.
US10240936B1 (en) Device and method for electronically deploying responders
CN103531020B (zh) 基于车载摄像与移动定位的交通信息共享方法及系统
CN105336165A (zh) 一种获取车辆行驶信息的方法及装置
KR20170031942A (ko)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 확보를 위한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170029109A (ko)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를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US20220104288A1 (en)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ing Events Within A Secure Wireless Network
KR20170006768A (ko) 차량내부 전자장치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150104504A (ko) 택시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5339994A (zh) 用于避开车道的通信方法和装置
KR20160043555A (ko)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 방법
US20220400523A1 (en) Dynamic Connection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