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1129A - 어묵 냉각장치용 가이더 - Google Patents

어묵 냉각장치용 가이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1129A
KR20120121129A KR1020110038914A KR20110038914A KR20120121129A KR 20120121129 A KR20120121129 A KR 20120121129A KR 1020110038914 A KR1020110038914 A KR 1020110038914A KR 20110038914 A KR20110038914 A KR 20110038914A KR 20120121129 A KR20120121129 A KR 20120121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cake
conveying belt
guide roller
belt
gu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8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6765B1 (ko
Inventor
서정설
Original Assignee
서정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설 filed Critical 서정설
Priority to KR1020110038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6765B1/ko
Publication of KR20120121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1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1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 B65G15/1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with two or more endless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65G15/32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ade of rubber or plastics
    • B65G15/46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ade of rubber or plastics formed with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3/00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 F25D13/06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with conveyors carrying articles to be cooled through the cooling space
    • F25D13/062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with conveyors carrying articles to be cooled through the cooling space with refrigerated conveyors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실(1) 내부에 복수개의 이송벨트(10, 20)가 상하로 지그재그 배치되어 어묵(5)이 상측 이송벨트(10)에서 하측 이송벨트(20)를 따라 지그재그로 이송되면서 냉각되는 어묵 냉각장치에 구비되는 가이더를 제공하며, 이 가이더는 어묵(5)이 상측 이송벨트(10)에서 하측 이송벨트(20)로 낙하되는 부분인 상측 이송벨트(10)의 단부에 구비된 이송롤러(11)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상측 이송벨트(10)의 단부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된 하측 이송벨트(20)의 돌출부(23) 상측에 배치되는 축부재(30); 이 축부재(30)에 축결되어 상기 상측 이송벨트(10)의 단부에 구비된 이송롤러(11)의 측방에 근접되게 배치된 가이드롤러(40); 및 상기 가이드롤러(40) 또는 축부재(30)에 구비되며, 상측 이송벨트(10)에서 하측 이송벨트(20)로 낙하되는 어묵(5)이 가이드롤러(40)의 둘레면 하측을 따라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는 어묵이탈방지봉(50);을 포함하며, 상측 이송벨트(10)에서 하측 이송벨트(20)로 낙하되는 어묵(5)이 상측 이송벨트(10)와 상기 가이드롤러(40) 사이에 끼워져서, 상기 이송롤러(11)의 회전력이 어묵(5)을 매개로 가이드롤러(40)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묵 냉각장치용 가이더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어묵 냉각장치용 가이더{A guider for cooling device of fried fish plate}
본 발명은 어묵 냉각장치용 가이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어묵의 냉각공정에서 어묵의 이송이 원활할 뿐만 아니라 제품불량을 줄여서 포장공정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불량품 선별을 위한 별도의 작업인력이 요구되지 않아서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으며, 더욱이 세척도 매우 용이하게 식품가공시 엄격히 요구되는 위생상태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어묵 냉각장치용 가이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공식품으로서 어묵은 보통 막대형상이나 판형상 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판형상의 어묵은 자동생산라인을 통해 대량생산되고 있는데, 이 자동생산라인은 보통 재료를 혼합하는 믹서공정과, 혼합된 재료를 판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공정과, 성형된 판형상의 어묵을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이송하면서 기름에 튀기는 후라이공정과, 튀겨진 어묵에서 기름을 제거하는 탈유공정을 포함하며, 이와 같은 공정들을 통해 판형상의 어묵이 제조된다. 그리고, 상기 후라이공정을 통해 기름에 튀겨진 후 탈유공정을 거친 어묵은 온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어묵을 포장하기에 앞서 냉각공정을 거치게 된다.
도 1은 상기 냉각공정을 위해 사용되는 냉각장치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장치는 소정크기의 냉각실(1) 내부에 상하로 다단 형성되며 매쉬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이송벨트(2, 3)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벨트(2, 3)는 인접된 이송벨트(2, 3)와 진행방향이 반대방향으로 이루어져서, 어묵(5)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될 때 지그재그 형태로 이송되도록 하여 어묵(5)의 이송경로를 늘려줌으로써 어묵(5)이 냉각되는 시간을 지연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때, 도 1에서 편의상 상측 첫 번째 이송벨트를 상측 이송벨트(2)라고 하고, 두 번째 이송벨트를 하측 이송벨트(3)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방향이 왼쪽을 향하는 상측 이송벨트(2)의 왼쪽단부보다 이송방향이 오른쪽을 향하는 하측 이송벨트(3)의 왼쪽단부가 좀 더 왼쪽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측 이송벨트(2)를 따라 이송되는 어묵(5)이 하측 이송벨트(3)로 낙하된다.
그런데, 어묵(5)이 하측으로 이송됨에 따라 냉각되면서 점도가 떨어져서 점차 이송벨트(2, 3)에 밀착되지 않게 되면서 어묵(5)이 상기 상측 이송벨트(2)에서 하측 이송벨트(3)로 낙하될 때, 어묵(5)이 하측 이송벨트(3)에 무작위적으로 떨어지게 되는데, 특히 납작하고 두께가 얇은 어묵(5)은 낙하되면서 일부가 접히거나 구부러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더욱이, 도 1의 확대도시된 부분에서, 낙하되는 어묵(5)의 전단이 하측 이송벨트(3)와 접할 때 어묵(5)의 중간부(A)가 상측 이송벨트(2)의 단부에 구비된 이송롤러(4)의 최상단에 위치하지 않으므로, 점도가 떨어진 어묵(5)은 그 후단이 상측 이송벨트(2)에서 이격되면서 어묵(5)의 전단으로 하중이 집중되면서 어묵(5)이 하측 이송벨트(3)의 이송속도보다 더욱 빨리 낙하되어, 상기 어묵(5)이 접히는 등의 문제가 더욱 더 쉽게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어묵(5)이 상기와 같이 접히거나 구부러진 상태로 냉각공정을 통해 냉각되면 어묵(5)의 형태가 훼손된 것이어서 어묵(5)의 품질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포장작업시 작업자가 상기와 같이 훼손된 어묵(5)을 일일이 선별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워질 뿐만 아니라 별도의 작업인력이 요구되므로 인건비가 증가되며, 선별된 어묵(5)은 다시 가공해야 하므로 어묵(5) 제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어묵의 냉각공정에서 어묵이 좀 더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해줄 뿐만 아니라 이송시 어묵이 접히는 등 불량률을 낮추어 어묵의 포장공정 전에 불량제품을 선별할 별도의 작업인력이 투입되지 않아도 되므로 인건비 등의 생산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게다가 냉각장치에서 쉽게 분리되어 세척이 용이하므로 위생상태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위생상태가 우수한 어묵을 제조할 수 있게 되는 어묵 냉각장치용 가이더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냉각실(1) 내부에 복수개의 이송벨트(10, 20)가 상하로 지그재그 배치되어 어묵(5)이 상측 이송벨트(10)에서 하측 이송벨트(20)를 따라 지그재그로 이송되면서 냉각되는 어묵 냉각장치에 구비되는 가이더를 제공하고, 이 가이더는 어묵(5)이 상측 이송벨트(10)에서 하측 이송벨트(20)로 낙하되는 부분인 상측 이송벨트(10)의 단부에 구비된 이송롤러(11)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상측 이송벨트(10)의 단부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된 하측 이송벨트(20)의 돌출부(23) 상측에 배치되는 축부재(30); 이 축부재(30)에 축결되어 상기 상측 이송벨트(10)의 단부에 구비된 이송롤러(11)의 측방에 근접되게 배치된 가이드롤러(40); 및 상기 가이드롤러(40) 또는 축부재(30)에 구비되며, 상측 이송벨트(10)에서 하측 이송벨트(20)로 낙하되는 어묵(5)이 가이드롤러(40)의 둘레면 하측을 따라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는 어묵이탈방지봉(50);을 포함하며, 상기 상측 이송벨트(10)에서 하측 이송벨트(20)로 낙하되는 어묵(5)이 상측 이송벨트(10)와 상기 가이드롤러(40) 사이에 끼워져서, 상기 이송롤러(11)의 회전력이 어묵(5)을 매개로 가이드롤러(40)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묵 냉각장치용 가이더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롤러(40)에는 그 외주면이 축경된 형태의 축경부(41)가 소정간격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어묵이탈방지봉(50)은 상기 상측 이송벨트(10)의 단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가이드롤러(40)의 축경부(41)에 안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묵 냉각장치용 가이더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롤러(40)와 어묵이탈방지봉(50)을 어묵(5)이 하측 이송벨트(20)로 낙하되는 상측 이송벨트(10)의 단부에 설치함으로써, 어묵(5)이 상측 이송벨트(10)와 가이드롤러(40) 사이에 끼워져서 상측 이송벨트(10)와 가이드롤러(40)에 의해 부드럽게 가이드되면서 하측 이송벨트(20)로 낙하됨과 동시에 하측 이송벨트(20)에 의해 이송되므로, 어묵(5)이 신속히 낙하되면서 접히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고 어묵(5)이 원활하게 이송되어 제품의 불량률이 낮아짐은 물론 품질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불량품 선별을 위한 별도의 작업이 요구되지 않아서 제품의 생산성 및 인건비 등의 비용이 증가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롤러(40)가 설치된 축부재(30) 하나만을 지지프레임(9)에서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가이드롤러(40)의 세척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식품가공장치의 위생을 보다 청결히 하여 좀 더 안전한 먹거리인 어묵(5)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롤러(40)에 외주면이 축경된 형태의 복수개의 축경부(41)를 형성하고, 이 축경부(41)에 상기 어묵이탈방지봉(50)을 배치시켜서 상측 이송벨트(10)와 마주보도록 함으로써, 어묵이탈방지봉(50)이 보다 간단하게 설치될 뿐만 아니라 보다 효과적으로 어묵(5)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어묵 냉각장치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묵 냉각장치용 가이더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작동상태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묵 냉작장치용 가이더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일부분을 확대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작동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묵 냉각장치용 가이더는 복수개의 이송벨트(10, 20)가 상하로 지그재그 배치되어 어묵(5)이 상측 이송벨트(10)에서 하측 이송벨트(20)를 따라 지그재그로 이송되면서 냉각되는 어묵 냉각장치에 구비되는 것으로, 어묵(5)이 상측 이송벨트(10)에서 하측 이송벨트(20)로 낙하되는 부분인 상측 이송벨트(10)의 단부에 구비된 이송롤러(11)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축부재(30); 이 축부재(30)에 축결되어 상기 상측 이송벨트(10)의 이송롤러(11)에 근접되게 배치된 가이드롤러(40); 상기 가이드롤러(40)의 축경부(41)에 안착되며 상측 이송벨트(10)의 단부와 마주보도록 하측으로 연장된 어묵이탈방지봉(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어묵 냉각장치의 개략적인 설명을 하면, 즉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에 더하자면, 냉각실(1) 내부에 복수개의 이송벨트(10, 20)가 상하로 다단 형성되는데, 각 이송벨트(10, 20)의 단부가 일측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된다. 이때, 도 2는 6개의 이송벨트(10, 20)를 예시하여 도시하였으나, 이송벨트(10, 20)의 수량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최상단 두 개의 이송벨트(10, 2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두 개의 이송벨트(10, 20) 중 하측 이송벨트(20)의 왼쪽단부는 상측 이송벨트(10)의 왼쪽단부보다 왼쪽으로 더 돌출되게 설치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상기 돌출된 부분을 돌출부(23)라고 칭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벨트(10, 20)의 단부에는 이송롤러(11, 21)가 구비되며, 이 이송롤러(11, 21)의 회전축(12, 22)의 양단은 이송벨트(10, 20)의 양측방에 구비된 판 형상인 한 쌍의 지지프레임(8)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롤러(11, 21)는 도시안된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며, 이송롤러(11, 21)의 회전에 의해 이송벨트(10, 20)가 작동된다. 이때, 상측 이송벨트(10)에 구비된 이송롤러(11)의 회전축(12)의 회전방향과 하측 이송벨트(20)에 구비된 이송롤러(21)의 회전축(22)의 회전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세팅된다. 한편, 상측 이송벨트(10)의 진행방향은 왼쪽단부 방향을 향하며, 하측 이송벨트(20)의 진행방향은 오른쪽 방향을 향하도록 도시하였으며, 이에 따라 상측 이송벨트(10)의 상면에 올려진 어묵(5)은 도시된 왼쪽단부를 향해 이송된다.
상기 축부재(40)는 양단이 지지프레임(8)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 축부재(40)는 상기 하측 이송벨트(20)의 돌출부(23) 상측에 설치되며, 상측 이송벨트(10)의 이송롤러(11)와 평행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축부재(40)의 중심은 이송롤러(11)의 회전축(12)의 중심보다 약간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롤러(40)는 상기 축부재(30)에 축결되어 축부재(3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이 가이드롤러(40)는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되어 어묵(5)과 접할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가이드롤러(40)에는 외주면의 직경이 축경된 복수개의 축경부(41)가 소정간격 이격 형성되는데, 축경부(41)는 소정의 폭을 갖는 디스크 형상을 이룬다. 이때, 상기 가이드롤러(40)의 외주면의 직경은 상측 이송롤러(11)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축부재(30)에 축결된 가이드롤러(40)의 하단은 상측 이송벨트(10)의 하단면보다 좀 더 하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롤러(40)의 둘레부 일측 즉, 일측부는 상측 이송벨트(10)의 단부면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이 상측 이송벨트(10)의 단부면과 가이드롤러(40)의 둘레면 사이에 어묵(5)이 삽입되어, 상기 이송롤러(10)의 회전력이 어묵(5)을 매개로 가이드롤러(40)에 전달된다.
상기 어묵이탈방지봉(50)은 상기 가이드롤러(40)의 축경부(41)에 배치되어, 상측 이송벨트(10)에서 하측 이송벨트(20)로 낙하되는 어묵(5)이 가이드롤러(40)의 둘레면 하측을 따라 함께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축부재(30)의 일측방에 구비된 상측 이송벨트(10)와 대향되도록 축부재(30)의 타측방에는 양단부가 지지프레임(8)에 결합되며 상기 축부재(30)와 평행하게 배치된 지지바(9)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어묵이탈방지봉(50)은 대략 기역자 형상으로 이루어져셔, 그 상단이 상기 지지바(9)에 결합되고 절곡부가 가이드롤러(40)의 축경부(41)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결국 지지바(9)의 하측부가 상측 이송벨트(10)의 단부와 마주보도록 연장 배치된다.
한편, 상기 상측 이송벨트(10)와 하측 이송벨트(20)간의 간격을 종래보다 상당히 줄였으며, 도 4b에서와 같이, 상기 상측 이송벨트(10)의 단부에 구비된 이송롤러(11) 둘레면의 길이는 이송되는 어묵(5)의 이송방향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어묵(5)의 전단이 상측 이송벨트(10)에서 낙하되어 하측 이송벨트(20)에 접하더라도 어묵(5)의 후단이 상측 이송벨트(10)에 밀착되며 상측 이송벨트(10)와 이격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어묵(5)의 전단이 하측 이송벨트(20)에 접하더라도 어묵(5)의 무게중심인 중간부가 상측 이송롤러(11)의 최상단에 의해 지지되도록 해야만 어묵(5)의 후단이 상측 이송벨트(10)와 이격되지 않게 된다.
부연하면, 어묵(5)이 냉각장치를 거치면서 하측 이송벨트(20)로 갈수록 점차 단단하게 굳어져서 점도가 떨어짐에 따라 이송롤러(11)의 둘레면 길이를 길게 하면, 즉 이송롤러(11)의 직경을 상당히 크게 하면 어묵(5)의 전단이 하측 이송벨트(20)에 접할 때 어묵(5)의 무게중심인 중간부가 이송롤러(11)의 최상단에 위치되지 않게 되어, 어묵(5)의 후단이 상측 이송벨트(10)에서 이격되어 상측으로 들림에 따라 어묵(5)의 낙하되고 있는 전단부에 하중이 집중되면서 어묵(5)이 상측 이송벨트(10)를 따라 부드럽게 이송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가이드롤러(40)에 과부하가 걸릴 수가 있어서 어묵(5)이 하측 이송벨트(20)로 원활하게 이송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묵 냉각장치용 가이더의 작동상태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4의 (a)는 어묵(5)이 상측 이송벨트(10)의 상면을 따라 왼쪽의 단부로 이송되는 상태를 도시하였다. 그리고, 도 4의 (b)에서와 같이, 이송되는 어묵(5)이 계속 왼쪽으로 이송되면, 어묵(5)의 전단부가 가이드롤러(40)와 상측 이송벨트(10) 사이로 삽입된다. 이때, 상측 이송벨트(10)의 이송롤러(11)가 계속 회전됨에 따라 어묵(5)이 상측 이송벨트(10)와 가이드롤러(40) 사이를 통과하게 되는데, 어묵(5)을 매개로 이송롤러(11)의 회전력이 가이드롤러(40)에 전달되어, 어묵(5)이 상측 이송벨트(10)와 가이드롤러(40)의 회전에 의해 좀 더 부드럽게 가이드된다. 또한, 어묵(5)의 전단이 점차 하측 이송벨트(20)에 근접될 때, 어묵이탈방지봉(50)에 의해 어묵(5)의 전단이 가이드롤러(40)의 둘레면 하측을 따라 가이드롤러(40)와 함께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그리고, 어묵(5)의 전단이 하측 이송벨트(20)의 상면에 접하게 되면, 도 4의 (c)에서와 같이, 하측 이송벨트(20)가 그 이송롤러(21)의 회전에 따라 상측 이송벨트(10)와 반대방향으로 작동되므로, 어묵(5)의 전단부가 하측 이송벨트(20)에 의해 오른쪽으로 힘을 받게 되어 자연스럽게 어묵(5)이 하측 이송벨트(20)를 따라 오른쪽으로 이송된다.
따라서, 가이드롤러(40)와 어묵이탈방지봉(50)을 어묵(5)이 하측 이송벨트(20)로 낙하되는 상측 이송벨트(10)의 단부에 설치함으로써, 어묵(5)이 상측 이송벨트(10)와 가이드롤러(40) 사이에 끼워져서 상측 이송벨트(10)와 가이드롤러(40)에 의해 부드럽게 가이드되면서 하측 이송벨트(20)로 낙하됨과 동시에 하측 이송벨트(20)에 의해 이송되므로, 어묵(5)이 신속히 낙하되면서 접히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고 어묵(5)이 원활하게 이송되어 제품의 품질이 향상됨은 물론 불량품 선별을 위한 별도의 작업이 요구되지 않아서 제품의 생산성 및 인건비 등의 비용이 증가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가이드롤러(40)가 설치된 축부재(30) 하나만을 지지프레임(9)에서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가이드롤러(40)의 세척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식품가공장치의 위생을 보다 청결히 하여 좀 더 안전한 먹거리인 어묵(5)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롤러(40)에 외주면이 축경된 형태의 복수개의 축경부(41)를 형성하고, 이 축경부(41)에 상기 어묵이탈방지봉(50)을 배치시켜서 상측 이송벨트(10)와 마주보도록 함으로써, 어묵이탈방지봉(50)이 보다 간단하게 설치될 뿐만 아니라 보다 효과적으로 어묵(5)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2)

  1. 냉각실(1) 내부에 복수개의 이송벨트(10, 20)가 상하로 지그재그 배치되어 어묵(5)이 상측 이송벨트(10)에서 하측 이송벨트(20)를 따라 지그재그로 이송되면서 냉각되는 어묵 냉각장치에 구비되는 가이더를 제공하고,
    이 가이더는 어묵(5)이 상측 이송벨트(10)에서 하측 이송벨트(20)로 낙하되는 부분인 상측 이송벨트(10)의 단부에 구비된 이송롤러(11)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상측 이송벨트(10)의 단부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된 하측 이송벨트(20)의 돌출부(23) 상측에 배치되는 축부재(30);
    이 축부재(30)에 축결되어 상기 상측 이송벨트(10)의 단부에 구비된 이송롤러(11)의 측방에 근접되게 배치된 가이드롤러(40); 및
    상기 가이드롤러(40) 또는 축부재(30)에 구비되며, 상측 이송벨트(10)에서 하측 이송벨트(20)로 낙하되는 어묵(5)이 가이드롤러(40)의 둘레면 하측을 따라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는 어묵이탈방지봉(50);을 포함하며,
    상기 상측 이송벨트(10)에서 하측 이송벨트(20)로 낙하되는 어묵(5)이 상측 이송벨트(10)와 상기 가이드롤러(40) 사이에 끼워져서, 상기 이송롤러(11)의 회전력이 어묵(5)을 매개로 가이드롤러(40)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묵 냉각장치용 가이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40)에는 그 외주면이 축경된 형태의 축경부(41)가 소정간격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어묵이탈방지봉(50)은 상기 상측 이송벨트(10)의 단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가이드롤러(40)의 축경부(41)에 안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묵 냉각장치용 가이더.
KR1020110038914A 2011-04-26 2011-04-26 어묵 냉각장치용 가이더 KR101266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914A KR101266765B1 (ko) 2011-04-26 2011-04-26 어묵 냉각장치용 가이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914A KR101266765B1 (ko) 2011-04-26 2011-04-26 어묵 냉각장치용 가이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129A true KR20120121129A (ko) 2012-11-05
KR101266765B1 KR101266765B1 (ko) 2013-05-28

Family

ID=47507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8914A KR101266765B1 (ko) 2011-04-26 2011-04-26 어묵 냉각장치용 가이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67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1009A (ko) * 2019-02-19 2020-08-27 권영신 어묵 냉각기의 무동력 방향전환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97599A1 (zh) * 2016-05-18 2017-11-23 深圳市惠利亚科技有限公司 烘烤部传送机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619Y1 (ko) 2004-11-18 2005-04-22 구봉석 어묵냉각장치
KR100911808B1 (ko) * 2009-01-27 2009-08-12 예인해 납작한 어묵용 어묵냉각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1009A (ko) * 2019-02-19 2020-08-27 권영신 어묵 냉각기의 무동력 방향전환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6765B1 (ko) 2013-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60643B2 (ja) 豆腐生地の切断装置
KR101266765B1 (ko) 어묵 냉각장치용 가이더
KR100974617B1 (ko) 성형팬에서 케이크 시트를 분리하는 장치
JP6925017B2 (ja) ビレットの両端面研削装置
JP5052934B2 (ja) スライス食パン分割搬出装置
JP2007098291A (ja) 小玉状食材の選別装置
KR100628530B1 (ko) 테이퍼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 공급장치
KR101301877B1 (ko) 어묵 탈유기
JP6278802B2 (ja) 豆腐生地の反転装置
JP5008347B2 (ja) スライス食パン分割搬出装置
JP2005027622A (ja) 魚体搬送装置
KR101301887B1 (ko) 어묵 다단식 탈유기
KR101103593B1 (ko) 제빵용 유산지 제거장치
JP4209667B2 (ja) 検査システム
KR100930273B1 (ko) 제품 언로더
TWM534990U (zh) 條狀食品切段裝置
CN216271403U (zh) 用于输送食品料团的爬坡送料部件
JP2004216478A (ja) 紙製打抜き製品の紙粉・打抜き屑除去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0271896A (ja) 食材の切断装置
JP5313463B2 (ja) ワーク搬送装置
JP2009102100A (ja) ガラス板の搬送仕分け装置
JP3199784U (ja) 梅干の切断装置
US514530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confections
JP6485749B2 (ja) 搬送具、搬送具を備える搬送手段、搬送手段を備える切れ目加工装置、及び、切れ目加工方法
JPH10139165A (ja) アンスタッカー装置およびアンスタッカー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