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1116A - 철도차량의 비상제동 제어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철도차량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의 비상제동 제어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철도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1116A
KR20120121116A KR1020110038896A KR20110038896A KR20120121116A KR 20120121116 A KR20120121116 A KR 20120121116A KR 1020110038896 A KR1020110038896 A KR 1020110038896A KR 20110038896 A KR20110038896 A KR 20110038896A KR 20120121116 A KR20120121116 A KR 20120121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self
emergency braking
contact
magnetic exci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8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2541B1 (ko
Inventor
최문석
김동일
박승묵
차상호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8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2541B1/ko
Publication of KR20120121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1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2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2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3/00Actuating rail vehicle brakes
    • B61H13/34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2Arrangements of pumps or compressors, or control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60T17/228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for 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7/00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e of control gear and control systems
    • B61C17/12Control gear;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locomotives from remote points in the train or when operating in multiple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5/00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G5/06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r combined with, couplings or connectors for fluid conduits or electric cables
    • B61G5/10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r combined with, couplings or connectors for fluid conduits or electric cables for electric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각각 선두차량, 중간차량들 및 후부차량으로 이루어진 제1 편성과 제2 편성이 전기적 커플러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중련 편성된 철도차량의 비상제동 제어회로로서, 상기 제1 편성의 후부차량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편성의 선두차량으로부터의 전원라인에 일단이 연결된 제1 중련 해제 스위치, 일단이 상기 제1 중련 해제 스위치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에 연결된 제1 자기 여자 릴레이, 일단이 상기 제1 편성의 후부차량으로부터의 전원라인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중련 해제 스위치의 일단에 연결된 제1 자기 여자 릴레이 b 접점, 상기 제2 편성의 선두차량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편성의 후부차량으로부터의 전원라인에 일단이 연결된 제2 중련 해제 스위치, 일단이 상기 제2 중련 해제 스위치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에 연결된 제2 자기 여자 릴레이 및 일단이 상기 제2 편성의 선두차량으로부터의 전원라인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중련 해제 스위치의 일단에 연결된 제2 자기 여자 릴레이 b 접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련 편성되어 운행 중인 철도차량에 전기적 커플러의 고장 등으로 인해 편성 간의 전기적 연결이 단절되어 편성 간의 제어신호 전송이 불가능한 경우, 모든 편성에 즉각적으로 비상제동이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중련 편성 철도차량의 비상제동과 관련한 운행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철도차량의 비상제동 제어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철도차량{EMERGENCY BRAKE CONTROL CIRCUIT FOR RAILWAY CAR AND RAILWAY CA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비상제동 제어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중련 편성되어 운행 중인 철도차량에 전기적 커플러의 고장 등으로 인해 편성 간의 전기적 연결이 단절되어 편성 간의 제어신호 전송이 불가능한 경우, 모든 편성에 즉각적으로 비상제동이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중련 편성 철도차량의 비상제동과 관련한 운행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철도차량의 비상제동 제어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2개 이상의 편성이 전기적 커플러를 매개로 연결되어 중련 편성으로 운행되는 철도차량에는 비상시에 각 편성에 비상제동을 체결하기 위한 비상제동회로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비상제동회로에 따르면, 전기적 커플러에 이상이 없는 경우에는 문제가 없으나, 전기적 커플러의 고장 발생의 경우나 운전자가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기적 커플러가 분리되는 경우에는, 중련 편성 차량 중에서 후부 편성 차량에는 즉시 비상제동이 체결되나, 선두 편성 차량은 자동적으로 기본 단일 편성 단위로 새롭게 비상제동루프가 생성되어 선두 편성 차량에 체결된 비상제동은 해제되기 때문에, 선두 편성 차량만 홀로 운행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편성 간을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기계적 커플러는 정상 연결되어 있으나 전기적 커플러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후부 편성 차량에 비상제동이 체결된 상태에서 선두 편성 차량의 주행이 개시되면, 후부 편성 차량의 대차부에 찰상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더욱 심각하게는, 전기적 커플러가 고장난 상태에서 기계적 커플러가 분리되는 상황이 발생하면, 후부 편성 차량을 선로 상에 방치한 상태에서, 선두 편성 차량만 홀로 운행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치명적인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중련 편성되어 운행 중인 철도차량의 운행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철도차량의 비상제동 제어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중련 편성되어 운행 중인 철도차량에 전기적 커플러의 고장 등으로 인해 편성 간의 전기적 연결이 단절되어 편성 간의 제어신호 전송이 불가능한 경우, 모든 편성에 즉각적으로 비상제동이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중련 편성 철도차량의 비상제동과 관련한 운행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철도차량의 비상제동 제어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각 선두차량, 중간차량들 및 후부차량으로 이루어진 제1 편성과 제2 편성이 전기적 커플러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중련 편성된 철도차량의 비상제동 제어회로로서, 상기 제1 편성의 후부차량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편성의 선두차량으로부터의 전원라인에 일단이 연결된 제1 중련 해제 스위치, 일단이 상기 제1 중련 해제 스위치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에 연결된 제1 자기 여자 릴레이, 일단이 상기 제1 편성의 후부차량으로부터의 전원라인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중련 해제 스위치의 일단에 연결된 제1 자기 여자 릴레이 b 접점, 상기 제2 편성의 선두차량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편성의 후부차량으로부터의 전원라인에 일단이 연결된 제2 중련 해제 스위치, 일단이 상기 제2 중련 해제 스위치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에 연결된 제2 자기 여자 릴레이 및 일단이 상기 제2 편성의 선두차량으로부터의 전원라인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중련 해제 스위치의 일단에 연결된 제2 자기 여자 릴레이 b 접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비상제동 제어회로는 일단이 상기 제1 편성의 후부차량으로부터의 전원라인에 연결된 제1 자기 여자 릴레이 a 접점, 일단이 상기 제1 자기 여자 릴레이 a 접점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에 연결된 제1 비상제동 루프 릴레이, 일단이 상기 제2 편성의 선두차량으로부터의 전원라인에 연결된 제2 자기 여자 릴레이 a 접점 및 일단이 상기 제2 자기 여자 릴레이 a 접점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에 연결된 제2 비상제동 루프 릴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비상제동 제어회로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커플러에 의한 상기 제1 편성과 상기 제2 편성 간의 전기적 연결이 단절되는 경우, 상기 제1 자기 여자 릴레이는 상기 제1 자기 여자 릴레이 b 접점을 매개로 상기 제1 편성의 후부차량으로부터의 전원라인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자기 여자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 자기 여자 릴레이는 상기 제2 자기 여자 릴레이 b 접점을 매개로 상기 제2 편성의 선두차량으로부터의 전원라인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자기 여자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비상제동 제어회로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커플러에 의한 상기 제1 편성과 상기 제2 편성 간의 전기적 연결이 단절되는 경우, 상기 제1 자기 여자 릴레이는 자기 여자 상태를 유지하고, 제1 자기 여자 릴레이 a 접점은 오프되고, 상기 제1 비상제동 루프 릴레이는 소자됨으로써, 상기 제1 편성에 비상제동이 체결되고, 상기 제2 자기 여자 릴레이는 자기 여자 상태를 유지하고, 제2 자기 여자 릴레이 a 접점은 오프되고, 상기 제2 비상제동 루프 릴레이는 소자됨으로써, 상기 제2 편성에도 비상제동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비상제동 제어회로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커플러에 의한 상기 제1 편성과 상기 제2 편성 간의 전기적 연결이 단절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중련 해제 스위치는 오프되고 상기 제2 중련 해제 스위치는 온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제1 자기 여자 릴레이는 소자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제1 자기 여자 릴레이 a 접점은 온되고, 상기 제1 비상제동 루프 릴레이는 여자됨으로써, 상기 제1 편성에 비상제동이 체결되지 않고, 상기 제2 자기 여자 릴레이는 자기 여자 상태를 유지하고, 제2 자기 여자 릴레이 a 접점은 오프되고, 상기 제2 비상제동 루프 릴레이는 소자됨으로써, 상기 제2 편성에는 비상제동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비상제동 제어회로는 일단이 상기 제1 편성의 후부차량으로부터의 전원라인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자기 여자 릴레이 b 접점에 연결된 제1 회로차단기 및 일단이 상기 제2 편성의 선두차량으로부터의 전원라인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자기 여자 릴레이 b 접점에 연결된 제2 회로차단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비상제동 제어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1 중련 해제 스위치와 상기 제2 중련 해제 스위치는 누름 버튼 방식의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비상제동 제어회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련 편성되어 운행 중인 철도차량의 운행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철도차량의 비상제동 제어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련 편성되어 운행 중인 철도차량에 전기적 커플러의 고장 등으로 인해 편성 간의 전기적 연결이 단절되어 편성 간의 제어신호 전송이 불가능한 경우, 모든 편성에 즉각적으로 비상제동이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중련 편성 철도차량의 비상제동과 관련한 운행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철도차량의 비상제동 제어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비상제동 제어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비상제동 제어회로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비상제동 제어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비상제동 제어회로는 제1 중련 해제 스위치(UCPB1), 제1 자기 여자 릴레이(ICR1), 제1 자기 여자 릴레이 b 접점(ICR1b), 제1 자기 여자 릴레이 a 접점(ICR1a), 제1 비상제동 루프 릴레이(EBLR1), 제1 회로차단기(CACB1), 제2 중련 해제 스위치(UCPB2), 제2 자기 여자 릴레이(ICR2), 제2 자기 여자 릴레이 b 접점(ICR2b), 제2 자기 여자 릴레이 a 접점(ICR2a), 제2 비상제동 루프 릴레이(EBLR2) 및 제2 회로차단기(CACB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각각 선두차량, 중간차량들 및 후부차량으로 이루어진 제1 편성과 제2 편성이 전기적 커플러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중련 편성된 철도차량에 적용된다.
제1 중련 해제 스위치(UCPB1)는 제1 편성의 후부차량에 구비되어 있으며, 제1 중련 해제 스위치(UCPB1)의 일단은 전기적 커플러를 매개로 제2 편성의 선두차량으로부터의 전원라인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중련 해제 스위치(UCPB1)의 타단은 후술하는 제1 자기 여자 릴레이(ICR1)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 중련 해제 스위치(UCPB1)의 일단은 후술하는 제1 자기 여자 릴레이 b 접점(ICR1b)과 제1 회로차단기(CACB1)를 매개로 제1 편성의 후부차량으로부터의 전원라인에도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제1 중련 해제 스위치(UCPB1)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제1 자기 여자 릴레이(ICR1)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제1 자기 여자 릴레이(ICR1)를 소자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누름 버튼 방식의 스위치일 수 있다.
제1 자기 여자 릴레이(ICR1)의 일단은 제1 중련 해제 스위치(UCPB1)의 타단에 연결되고 있고, 제1 자기 여자 릴레이(ICR1)의 타단은 접지에 연결되어 있다.
제1 자기 여자 릴레이 b 접점(ICR1b)의 일단은 제1 편성의 후부차량으로부터의 전원라인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자기 여자 릴레이 b 접점(ICR1b)의 타단은 제1 중련 해제 스위치(UCPB1)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제1 자기 여자 릴레이 b 접점(ICR1b)은 오프 상태를 유지하다가 제1 자기 여자 릴레이(ICR1)가 전원을 공급받아 여자되는 경우 온 상태로 전환되는 접점이다.
제1 자기 여자 릴레이 a 접점(ICR1a)의 일단은 제1 편성의 후부차량으로부터의 전원라인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자기 여자 릴레이 a 접점(ICR1a)의 타단은 후술하는 제1 비상제동 루프 릴레이(EBLR1)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제1 자기 여자 릴레이 a 접점(ICR1a)은 온 상태를 유지하다가 제1 자기 여자 릴레이(ICR1)가 전원을 공급받아 여자되는 경우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 접점이다.
제1 비상제동 루프 릴레이(EBLR1)의 일단은 제1 자기 여자 릴레이 a 접점(ICR1a)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고, 제1 비상제동 루프 릴레이(EBLR1)의 타단은 접지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제1 비상제동 루프 릴레이(EBLR1)는 제1 자기 여자 릴레이 a 접점(ICR1a)이 온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여자되고, 제1 자기 여자 릴레이 a 접점(ICR1a)이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소자된다. 이러한 제1 비상제동 루프 릴레이(EBLR1)의 여자 또는 소자 여부에 따라 출력되는 접점신호에 따라 제1 편성 제동제어장치에 의한 제1 편성의 비상제동 체결 여부가 결정된다. 즉, 제1 비상제동 루프 릴레이(EBLR1)가 여자되는 경우, 제1 편성에 비상제동이 체결되지 않고, 제1 비상제동 루프 릴레이(EBLR1)가 소자되는 경우, 제1 편성에 비상제동이 체결된다.
제1 회로차단기(CACB1)의 일단은 제1 편성의 후부차량으로부터의 전원라인에 연결되어 있고, 제1 회로차단기(CACB1)의 타단은 제1 자기 여자 릴레이 b 접점(ICR1b)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제1 회로차단기(CACB1)는 과전류의 유입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 중련 해제 스위치(UCPB2)는 제2 편성의 선두차량에 구비되어 있으며, 제2 중련 해제 스위치(UCPB2)의 일단은 전기적 커플러를 매개로 제1 편성의 후부차량으로부터의 전원라인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중련 해제 스위치(UCPB2)의 타단은 후술하는 제2 자기 여자 릴레이(ICR2)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2 중련 해제 스위치(UCPB2)의 일단은 후술하는 제2 자기 여자 릴레이 b 접점(ICR2b)과 제2 회로차단기(CACB2)를 매개로 제2 편성의 선두차량으로부터의 전원라인에도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제2 중련 해제 스위치(UCPB2)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제2 자기 여자 릴레이(ICR2)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제2 자기 여자 릴레이(ICR2)를 소자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누름 버튼 방식의 스위치일 수 있다.
제2 자기 여자 릴레이(ICR2)의 일단은 제2 중련 해제 스위치(UCPB2)의 타단에 연결되고 있고, 제2 자기 여자 릴레이(ICR2)의 타단은 접지에 연결되어 있다.
제2 자기 여자 릴레이 b 접점(ICR2b)의 일단은 제2 편성의 선두차량으로부터의 전원라인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자기 여자 릴레이 b 접점(ICR2b)의 타단은 제2 중련 해제 스위치(UCPB2)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제2 자기 여자 릴레이 b 접점(ICR2b)은 오프 상태를 유지하다가 제2 자기 여자 릴레이(ICR2)가 전원을 공급받아 여자되는 경우 온 상태로 전환되는 접점이다.
제2 자기 여자 릴레이 a 접점(ICR2a)의 일단은 제2 편성의 선두차량으로부터의 전원라인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자기 여자 릴레이 a 접점(ICR2a)의 타단은 후술하는 제2 비상제동 루프 릴레이(EBLR2)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제2 자기 여자 릴레이 a 접점(ICR2a)은 온 상태를 유지하다가 제2 자기 여자 릴레이(ICR2)가 전원을 공급받아 여자되는 경우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 접점이다.
제2 비상제동 루프 릴레이(EBLR2)의 일단은 제2 자기 여자 릴레이 a 접점(ICR2a)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고, 제2 비상제동 루프 릴레이(EBLR2)의 타단은 접지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제2 비상제동 루프 릴레이(EBLR2)는 제2 자기 여자 릴레이 a 접점(ICR2a)이 온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여자되고, 제2 자기 여자 릴레이 a 접점(ICR2a)이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소자된다. 이러한 제2 비상제동 루프 릴레이(EBLR2)의 여자 또는 소자 여부에 따라 출력되는 접점신호에 따라 제2 편성 제동제어장치에 의한 제2 편성의 비상제동 체결 여부가 결정된다. 즉, 제2 비상제동 루프 릴레이(EBLR2)가 여자되는 경우, 제2 편성에 비상제동이 체결되지 않고, 제2 비상제동 루프 릴레이(EBLR2)가 소자되는 경우, 제2 편성에 비상제동이 체결된다.
제2 회로차단기(CACB2)의 일단은 제2 편성의 후부차량으로부터의 전원라인에 연결되어 있고, 제2 회로차단기(CACB2)의 타단은 제2 자기 여자 릴레이 b 접점(ICR2b)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제2 회로차단기(CACB2)는 과전류의 유입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비상제동 제어회로의 구체적인 동작을 전기적 커플러에 고장이 발생하여 전기적 커플러에 의한 제1 편성과 제2 편성 간의 전기적 연결이 단절된 상태에서, 1) 제1 편성과 제2 편성이 모두 비상제동이 체결되는 비상제동모드, 2) 제2 편성에는 비상제동이 체결되나 제1 편성에는 비상제동이 체결되지 않아 제1 편성의 주행이 가능한 제1 편성 주행가능모드로 나누어 설명한다.
<비상제동모드>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제2 자기 여자 릴레이(ICR2)가 1) 제1 전류루프 즉, 제1 편성의 선두차량의 전원, 제1 차단기, 전기적 커플러, 제2 중련 해제 스위치(UCPB2), 제2 자기 여자 릴레이(ICR2) 및 접지로 구성되는 전류 루프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여자된다.
2) 이 후 전기적 커플러에 의한 제1 편성과 제2 편성 간의 전기적 연결이 단절되는 경우에, 제2 자기 여자 릴레이(ICR2)는 제2 자기 여자 릴레이 b 접점(ICR2b)을 매개로 제2 편성의 선두차량으로부터의 전원라인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자기 여자 상태를 유지한다. 즉, 제2 자기 여자 릴레이(ICR2)는 제2 전류루프 즉, 제2 편성의 선두차량의 전원, 제2 회로차단기(CACB2), 제2 자기 여자 릴레이 b 접점(ICR2b), 제2 중련 해제 스위치(UCPB2), 제2 자기 여자 릴레이(ICR2) 및 접지로 구성되는 전류 루프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자기 여자 상태를 유지한다.
3) 제2 자기 여자 릴레이(ICR2)가 자기 여자 상태를 유지하면, 제2 자기 여자 릴레이 a 접점(ICR2a)은 오프된다.
4) 제2 자기 여자 릴레이 a 접점(ICR2a)이 오프되면, 제2 비상제동 루프 릴레이(EBLR2)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기 때문에, 제2 비상제동 루프 릴레이(EBLR2)는 소자되며, 이 제2 비상제동 루프 릴레이(EBLR2)의 소자에 따른 접점신호가 제2 편성제동제어장치로 전달됨으로써, 제2 편성에는 비상제동이 체결된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제1 자기 여자 릴레이(ICR1)가 1) 제3 전류루프 즉, 제2 편성의 후부차량의 전원, 제2 차단기, 전기적 커플러, 제1 중련 해제 스위치(UCPB1), 제1 자기 여자 릴레이(ICR1) 및 접지로 구성되는 전류 루프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여자된다.
2) 이 후 전기적 커플러에 의한 제1 편성과 제2 편성 간의 전기적 연결이 단절되는 경우에, 제1 자기 여자 릴레이(ICR1)는 제1 자기 여자 릴레이 b 접점(ICR1b)을 매개로 제1 편성의 후부차량으로부터의 전원라인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자기 여자 상태를 유지한다. 즉, 제1 자기 여자 릴레이(ICR1)는 제4 전류루프 즉, 제1 편성의 후부차량의 전원, 제1 회로차단기(CACB1), 제1 자기 여자 릴레이 b 접점(ICR1b), 제1 중련 해제 스위치(UCPB1), 제1 자기 여자 릴레이(ICR1) 및 접지로 구성되는 전류 루프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자기 여자 상태를 유지한다.
3) 제1 자기 여자 릴레이(ICR1)가 자기 여자 상태를 유지하면, 제1 자기 여자 릴레이 a 접점(ICR1a)은 오프된다.
4) 제1 자기 여자 릴레이 a 접점(ICR1a)이 오프되면, 제1 비상제동 루프 릴레이(EBLR1)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기 때문에, 제1 비상제동 루프 릴레이(EBLR1)는 소자되며, 이 제1 비상제동 루프 릴레이(EBLR1)의 소자에 따른 접점신호가 제1 편성제동제어장치로 전달됨으로써, 제1 편성에도 비상제동이 체결된다.
이상 설명한 도 2와 도 3에서의 동작은 동시에 발생하며, 이러한 동작에 따라 전기적 커플러에 의한 제1 편성과 제2 편성 간의 전기적 연결이 단절되는 경우에는, 제1 편성과 제2 편성 모두에 즉각적으로 비상제동이 체결된다.
<제1 편성 주행가능모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기적 커플러에 의한 제1 편성과 제2 편성 간의 전기적 연결이 단절되는 경우에는, 제1 편성과 제2 편성 모두에 즉각적으로 비상제동이 체결된다.
이와 같이 전기적 커플러에 의한 제1 편성과 제2 편성 간의 전기적 연결이 단절된 상태에서, 사용자 즉, 운전자가 제1 중련 해제 스위치(UCPB1)를 오프시키고 제2 중련 해제 스위치(UCPB2)는 온 상태를 유지시키는 경우, 제1 편성은 비상제동 체결이 해제되어 주행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고, 제2 편성은 비상제동 체결 상태를 유지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1 중련 해제 스위치(UCPB1)가 오프되고, 제2 중련 해제 스위치(UCPB2)는 온 상태를 유지하면, 제1 자기 여자 릴레이(ICR1)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제1 자기 여자 릴레이(ICR1)는 소자 상태로 전환된다. 제1 자기 여자 릴레이(ICR1)가 소자되면, 제1 자기 여자 릴레이 a 접점(ICR1a)은 온 상태로 전환된다. 제1 자기 여자 릴레이 a 접점(ICR1a)은 온 상태로 전환되면, 제1 비상제동 루프 릴레이(EBLR1)가 전원을 공급받아 여자된다. 이 제1 비상제동 루프 릴레이(EBLR1)의 여자에 따른 접점신호가 제1 편성제동제어장치로 전달됨으로써, 제1 편성은 비상제동 체결이 해제되어 주행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반면, 제2 중련 해제 스위치(UCPB2)는 온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제2 자기 여자 릴레이(ICR2)는 지속적으로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에 따라, 제2 자기 여자 릴레이(ICR2)는 자기 여자 상태를 유지하고, 제2 자기 여자 릴레이 a 접점(ICR2a)은 오프되고, 제2 비상제동 루프 릴레이(EBLR2)는 소자됨으로써, 제2 편성에는 여전히 비상제동이 체결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중련 편성되어 운행 중인 철도차량의 운행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련 편성되어 운행 중인 철도차량에 전기적 커플러의 고장 등으로 인해 편성 간의 전기적 연결이 단절되어 편성 간의 제어신호 전송이 불가능한 경우, 모든 편성에 즉각적으로 비상제동이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중련 편성 철도차량의 비상제동과 관련한 운행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UCPB1: 제1 중련 해제 스위치
UCPB2: 제2 중련 해제 스위치
ICR1: 제1 자기 여자 릴레이
ICR2: 제2 자기 여자 릴레이
ICR1a: 제1 자기 여자 릴레이 a 접점
ICR2a: 제2 자기 여자 릴레이 a 접점
ICR1b: 제1 자기 여자 릴레이 b 접점
ICR2b: 제2 자기 여자 릴레이 b 접점
EBLR1: 제1 비상제동 루프 릴레이
EBLR2: 제2 비상제동 루프 릴레이
CACB1: 제1 회로차단기
CACB2: 제2 회로차단기

Claims (8)

  1. 각각 선두차량, 중간차량들 및 후부차량으로 이루어진 제1 편성과 제2 편성이 전기적 커플러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중련 편성된 철도차량의 비상제동 제어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1 편성의 후부차량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편성의 선두차량으로부터의 전원라인에 일단이 연결된 제1 중련 해제 스위치;
    일단이 상기 제1 중련 해제 스위치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에 연결된 제1 자기 여자 릴레이;
    일단이 상기 제1 편성의 후부차량으로부터의 전원라인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중련 해제 스위치의 일단에 연결된 제1 자기 여자 릴레이 b 접점;
    상기 제2 편성의 선두차량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편성의 후부차량으로부터의 전원라인에 일단이 연결된 제2 중련 해제 스위치;
    일단이 상기 제2 중련 해제 스위치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에 연결된 제2 자기 여자 릴레이; 및
    일단이 상기 제2 편성의 선두차량으로부터의 전원라인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중련 해제 스위치의 일단에 연결된 제2 자기 여자 릴레이 b 접점을 포함하는, 철도차량의 비상제동 제어회로.
  2. 제1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1 편성의 후부차량으로부터의 전원라인에 연결된 제1 자기 여자 릴레이 a 접점;
    일단이 상기 제1 자기 여자 릴레이 a 접점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에 연결된 제1 비상제동 루프 릴레이;
    일단이 상기 제2 편성의 선두차량으로부터의 전원라인에 연결된 제2 자기 여자 릴레이 a 접점; 및
    일단이 상기 제2 자기 여자 릴레이 a 접점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에 연결된 제2 비상제동 루프 릴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비상제동 제어회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커플러에 의한 상기 제1 편성과 상기 제2 편성 간의 전기적 연결이 단절되는 경우,
    상기 제1 자기 여자 릴레이는 상기 제1 자기 여자 릴레이 b 접점을 매개로 상기 제1 편성의 후부차량으로부터의 전원라인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자기 여자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 자기 여자 릴레이는 상기 제2 자기 여자 릴레이 b 접점을 매개로 상기 제2 편성의 선두차량으로부터의 전원라인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자기 여자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비상제동 제어회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커플러에 의한 상기 제1 편성과 상기 제2 편성 간의 전기적 연결이 단절되는 경우,
    상기 제1 자기 여자 릴레이는 자기 여자 상태를 유지하고, 제1 자기 여자 릴레이 a 접점은 오프되고, 상기 제1 비상제동 루프 릴레이는 소자됨으로써, 상기 제1 편성에 비상제동이 체결되고,
    상기 제2 자기 여자 릴레이는 자기 여자 상태를 유지하고, 제2 자기 여자 릴레이 a 접점은 오프되고, 상기 제2 비상제동 루프 릴레이는 소자됨으로써, 상기 제2 편성에도 비상제동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비상제동 제어회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커플러에 의한 상기 제1 편성과 상기 제2 편성 간의 전기적 연결이 단절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중련 해제 스위치는 오프되고 상기 제2 중련 해제 스위치는 온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제1 자기 여자 릴레이는 소자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제1 자기 여자 릴레이 a 접점은 온되고, 상기 제1 비상제동 루프 릴레이는 여자됨으로써, 상기 제1 편성에 비상제동이 체결되지 않고,
    상기 제2 자기 여자 릴레이는 자기 여자 상태를 유지하고, 제2 자기 여자 릴레이 a 접점은 오프되고, 상기 제2 비상제동 루프 릴레이는 소자됨으로써, 상기 제2 편성에는 비상제동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비상제동 제어회로.
  6. 제1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1 편성의 후부차량으로부터의 전원라인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자기 여자 릴레이 b 접점에 연결된 제1 회로차단기; 및
    일단이 상기 제2 편성의 선두차량으로부터의 전원라인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자기 여자 릴레이 b 접점에 연결된 제2 회로차단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비상제동 제어회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련 해제 스위치와 상기 제2 중련 해제 스위치는 누름 버튼 방식의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비상제동 제어회로.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의 철도차량의 비상제동 제어회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KR1020110038896A 2011-04-26 2011-04-26 철도차량의 비상제동 제어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철도차량 KR101252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896A KR101252541B1 (ko) 2011-04-26 2011-04-26 철도차량의 비상제동 제어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철도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896A KR101252541B1 (ko) 2011-04-26 2011-04-26 철도차량의 비상제동 제어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철도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116A true KR20120121116A (ko) 2012-11-05
KR101252541B1 KR101252541B1 (ko) 2013-04-08

Family

ID=47507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8896A KR101252541B1 (ko) 2011-04-26 2011-04-26 철도차량의 비상제동 제어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철도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254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10033A (zh) * 2012-12-24 2013-04-03 中国北车集团大连机车车辆有限公司 紧急制动触发控制电路及列车
CN109159779A (zh) * 2018-08-29 2019-01-08 中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轨道车辆及其制动方法、系统
WO2019047049A1 (zh) * 2017-09-06 2019-03-14 上海六辔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微机控制电机械制动系统
KR102051406B1 (ko) * 2018-06-27 2019-12-03 현대로템 주식회사 마그네틱 트랙 브레이크 제어 회로
CN110758356A (zh) * 2019-12-03 2020-02-07 中车南京浦镇车辆有限公司 一种基于车钩联挂检测的紧急制动控制电路
CN110816505A (zh) * 2019-11-18 2020-02-21 中车南京浦镇车辆有限公司 一种基于车辆连挂的紧急制动扩展控制方法
WO2021097935A1 (zh) * 2019-11-18 2021-05-27 中车南京浦镇车辆有限公司 一种城轨车辆紧急制动扩展装置
CN113247025A (zh) * 2021-05-18 2021-08-13 中车山东机车车辆有限公司 一种城轨桥梁检测车的重联控制系统及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4307A (ko) 2022-05-25 2023-12-04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 차량의 EB Bypass를 이용한 드라이버 보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9434B2 (ja) * 1998-04-27 2007-07-04 北海道旅客鉄道株式会社 鉄道車両の併結指令制御装置
JP4339067B2 (ja) * 2003-10-08 2009-10-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鉄道車両用通信装置
JP4987401B2 (ja) * 2006-09-15 2012-07-25 株式会社東芝 電気車の伝送装置
KR101008686B1 (ko) * 2009-02-04 2011-01-17 현대로템 주식회사 자동 차량 연결기 제어회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10033A (zh) * 2012-12-24 2013-04-03 中国北车集团大连机车车辆有限公司 紧急制动触发控制电路及列车
CN103010033B (zh) * 2012-12-24 2015-03-25 中国北车集团大连机车车辆有限公司 紧急制动触发控制电路及列车
WO2019047049A1 (zh) * 2017-09-06 2019-03-14 上海六辔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微机控制电机械制动系统
KR102051406B1 (ko) * 2018-06-27 2019-12-03 현대로템 주식회사 마그네틱 트랙 브레이크 제어 회로
CN109159779A (zh) * 2018-08-29 2019-01-08 中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轨道车辆及其制动方法、系统
CN110816505A (zh) * 2019-11-18 2020-02-21 中车南京浦镇车辆有限公司 一种基于车辆连挂的紧急制动扩展控制方法
WO2021097935A1 (zh) * 2019-11-18 2021-05-27 中车南京浦镇车辆有限公司 一种城轨车辆紧急制动扩展装置
US11845414B2 (en) 2019-11-18 2023-12-19 Crrc Nanjing Puzhen Co., Ltd. Emergency braking extension device for urban rail vehicle
CN110758356A (zh) * 2019-12-03 2020-02-07 中车南京浦镇车辆有限公司 一种基于车钩联挂检测的紧急制动控制电路
CN110758356B (zh) * 2019-12-03 2024-05-03 中车南京浦镇车辆有限公司 一种基于车钩联挂检测的紧急制动控制电路
CN113247025A (zh) * 2021-05-18 2021-08-13 中车山东机车车辆有限公司 一种城轨桥梁检测车的重联控制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2541B1 (ko) 2013-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2541B1 (ko) 철도차량의 비상제동 제어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철도차량
CN109677388B (zh) 电子驻车系统、包括该电子驻车系统的车辆及控制方法
CN101367352B (zh) 一种汽车制动灯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CN110723128B (zh) 一种城轨车辆紧急制动扩展装置
CN112441073B (zh) 城轨列车旁路系统
CN103889781B (zh) 制动灯控制装置
WO2020192119A1 (zh) 一种列车换端方法、系统及列车
KR101164022B1 (ko) 철도차량의 추진제어회로
CN209870362U (zh) 电子驻车系统、包括该电子驻车系统的车辆
CN112477837B (zh) 低地板有轨电车安全制动控制回路
CN110654238B (zh) 一种新能源车辆电气系统及安全断电控制方法
CN106515755B (zh) 一种车辆及其强迫缓解制动方法及系统
CN211001299U (zh) 一种城轨车辆紧急制动扩展装置
JP2013240165A (ja) 車両用電源装置
CN102777098B (zh) 一种车门控制系统
CN104309634A (zh) 车辆安全互锁系统和轨道车辆
CN110696867B (zh) 一种轨道交通车辆磁轨制动控制电路
KR101434307B1 (ko) 철도차량의 출입문 제어회로 및 그 철도차량
CN110615015A (zh) 一种轨道交通车辆磁轨制动逻辑控制系统
KR101532674B1 (ko) 고속열차의 운전실 주요제어장치 연동회로
KR101540627B1 (ko) 철도차량의 연장급전 제어회로 및 그 철도차량
CN211001349U (zh) 一种轨道交通车辆磁轨制动逻辑控制系统
CN206358097U (zh) 一种汽车线控驱动装置、系统和汽车
CN214728763U (zh) 一种单轨车辆紧急制动回路装置
CN202272002U (zh) 带有安全互锁回路保护装置的轨道车辆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