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0312A - 유기금속 이리듐계열 화합물의 합성방법 - Google Patents

유기금속 이리듐계열 화합물의 합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0312A
KR20120120312A KR1020127021624A KR20127021624A KR20120120312A KR 20120120312 A KR20120120312 A KR 20120120312A KR 1020127021624 A KR1020127021624 A KR 1020127021624A KR 20127021624 A KR20127021624 A KR 20127021624A KR 20120120312 A KR20120120312 A KR 20120120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idium
ligand
solvent
compound
based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1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페이 채
홍이위 조
창치안 채
Original Assignee
광동 어글레이어 압토일렉트라닉 머티어리얼즈 컴퍼니 리미티드
베이징 어글레이어 테크놀러지 디벨롭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어글레이어 압토일렉트라닉 머티어리얼즈 컴퍼니 리미티드, 베이징 어글레이어 테크놀러지 디벨롭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어글레이어 압토일렉트라닉 머티어리얼즈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20120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03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15/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8, 9, 10 or 18 of the Periodic Table
    • C07F15/0006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8, 9, 10 or 18 of the Periodic Table compounds of the platinum group
    • C07F15/0033Irid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15/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8, 9, 10 or 18 of the Periodic T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61/00Other general metho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종의 유기금속 이리듐계열 화합물의 합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1) 이리듐 3염화물 수화물과 중성 리간드 반응에서 생성된 할로겐화 브리지를 갖는 2-이리듐 화합물:L2Ir(μ-X)2IrL2,L: 중성 리간드로 형성된 바이덴테이트 금속 리간드를 나타내고, (μ-X): 브리지형 할로겐; (2) 할로겐화 브리지를 갖는 2-이리듐 화합물과 다소 과량의 리간드B 반응에서 얻은 [C
Figure pct00014
]N]2Ir(LX), LX 리간드B로 형성된 세 번째 리간드; 를 포함하며, 반응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생산율을 향상시키며 재결정을 통해 99%순도의 생산물을 얻을 수 있고 공업화 생산에 적합하다.

Description

유기금속 이리듐계열 화합물의 합성방법{SYNTHETIC METHOD OF ORGANOMETALLIC IRIDIUM COMPOUND}
본 발명은 화학합성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유기금속 이리듐계열 화합물의 합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OLED 과학 및 기술영역에서, 새로운 기술 및 화합물이 많이 발견되었다. 그 중에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전계인광의 발견이다. 이를 통해 상용 기기의 형광 첨가물의 내부 양자효율을 25%에서 100% 가까이 까지 높일 수 있다.
유기발광 드다이오는 전자와 캐비티 복합으로 인해 발생하는 엑시톤이 발광층에 확산하여 발광하는 것이다. 이론 추측에 따르면, 전하복합으로 인해 발생하는 일중항 들뜬 상태와 삼중항 들뜬 상태의 비율은 1:3에 달한다. 따라서, 형광발광에 사용될 수 있는 비율은 25%에 그친다. 나머지 75% 에너지는 삼중항 들뜬 상태의 비발광 메커니즘에 의해 손실된다. 따라서, 형광재료의 내부 양자효율 극한은 25%에 달한다. 삼중항 들뜬 상태 에너지를 광으로 변환하여 기기의 양자효율을 높이는 방법은 유기발광 드다이오 연구이슈가 되었다. 1998년, 프린스턴대학교의 Baldo와 Forrest교수는 삼중항 인광이 실온에서 이용 가능하다는 사실을 발견하고(Baldo,M.A.,et al.,Nature,1998,395,151.),기존 내부 양자효율 상한이 25%에만 그친 형광기기성능을 대폭 제고하였으며, 심지어 100%까지 근접하게 하였다. 인광은 고효율 발광성능을 자랑한다. 이는 연구인원들이 고성능 인광재료를 개발하는데 큰 힘이 되었다. 그 중에서, 이리듐계열 재료는 폭넓게 사용되는 인광재료에 속한다. 이리듐계열 재료는 구조적으로 단일 리간드와 서로 다른 리간드 등 두 가지로 구분된다. 리간드 변경을 통하면 서로 다른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Kwong R.,et al,US20080261076; Lamansky S.,et al.,Inorg. Chem. 2001,40,1704-1711).
모든 이리듐계열 화합물의 합성은 이리듐 3염화물 수화물과 관련 리간드 반응으로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반응은 먼저 염소 브리지를 갖는 더블 브리지[C
Figure pct00001
N]2Ir(μ-Cl)2[C
Figure pct00002
N]2를 형성하고 더 반응하여 목표화합물[C
Figure pct00003
]N]2Ir(LX)을 얻는다. 이렇게 얻은 이리듐계열 화합물은 세 번째 리간드LX가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최근 들어, 듀톤 연구팀은 하나의 절차로 유기금속 이리듐계열 화합물을 합성하는 방법을 발견하였다. 상기 방법을 통해 소량의 트리플루오로메탄 술폰산(trifluoromethanesulfonic acid) 산화은 촉매작용 및 이리듐 3염화물 수화물과 과량의 리간드 작용하에 단일 리간드 이리듐계열 화합물(Grushin V. V.,et al.,Chem. Commun.,2001,1494-1495)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방법은 많은 문제점이 있다. 리간드를 반응원료 및 용제로 사용함에 따라 단가가 올라가서 보급이 쉽지 않으며, 상기 방법을 통해 합성한 이리듐계열 화합물은 리간드가 동일할 수 밖에 없고, 두 가지 리간드를 갖는 화합물에만 적합하다.
남가주대학교(USC)는 이리듐계열 화합물 합성분야에서 서로 다른 리간드 이리듐계열 화합물 합성(Lamansky S.,et al.,Inorg. Chem. 2001,40,1704-1711)에 편리한 훌륭한 방법을 내놓았다. 하지만 합성시간은 24시간 소요하고 순도가 높지 않다. OLED기기 요구조건을 충족하려면 칼럼크로마토그래피 등 방법이 필요하고, 많은 인력도 필요하다. Becker,H 등 학자들은 3'(아세틸아세톤)이리듐을 출발물질 (US20040077862)로 사용하면 하나의 절차로 이리듐계열 화합물을 합성할 수 있다고 보고 했다. 하지만 3'(아세틸아세톤)이리듐은 합성이 쉽지 않고 상기 방법은 실험실 연구용으로만 적합하다. 많은 문헌에서 이리듐계열 화합물이 기본적으로 칼럼크로마토그래피가 필요하다고 밝혔지만, 반응시간이 비교적 길다. 따라서, 생산율과 순도를 높이는 방법을 찾을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다량의 기존 데이터를 취합한 기초상에 기존 방법의 장단점을 연구하여 현재 방법을 개선하여 생산율이 높고 산물 순도가 높으며 반응시간이 짧고 번거로운 조작이 필요하지 않으며 원가를 대폭 낮출 수 있는 유기금속 이리듐계열 화합물의 합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기금속 이리듐계열 화합물의 합성방법은 2단계 독립적인 반응을 포함하며:
(1)이리듐 3염화물 수화물과 중성 리간드 반응에서 생성된 할로겐화 브리지를 갖는 2-이리듐 화합물:L2Ir(μ-X)2IrL2,L: 중성 리간드로 형성된 바이덴테이트 금속 리간드를 나타내고, (μ-X): 브리지형 할로겐;
(2)할로겐화 브리지를 갖는 2-이리듐 화합물과 다소 과량의 리간드B 반응에서 얻은 [C
Figure pct00004
]N]2Ir(LX), LX 리간드B로 형성된 세번째 리간드;
상기 (1)단계 반응은 아래 절차를 포함하며;
이리듐 3염화물 수화물은 물에 용해되고, 역류상태의 중성 리간드와 수용성 유기용제 A용액에 떨어뜨린 다음, 다시 한번 2-6시간 역류시킨 후에, 생성물은 여과 및 재결정을 거쳐 할로겐화 브리지를 갖는 2-이리듐 화합물L2Ir(μ-X)2IrL2.을 얻고;
상기 수용성 유기용제A는 2-에톡시에탄올, 2-메톡시에탄올, 1,3-프로필렌 글리콜, 1,2-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글리콜 또는 글리세롤이며, 상기 수용성 유기용제와 물의 체적비는 3:1-0:1이며;
상기 수용성 유기용제 A와 물의 최소 용량은 원료를 용해할 수 있는 용량이면 되고;
상기 이리듐 3염화물 수화물은 iridous 삼염화물 수화물이며;
상기 (2)단계 반응은 아래 절차를 포함하되;
리간드B는 용제B에 용해되고 역류상태의 할로겐화 브리지를 갖는 2-이리듐 화합물, 용제 B, 탄산염 혼합용액에 떨어뜨린 다음 1-6시간 역류반응시키고 용제를 제거한 다음, 재결정을 거치며;
상기 용제B는 2-에톡시에탄올, 2-메톡시에탄올, 1,3-프로필렌 글리콜, 1,2-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롤, 1,2-디클로로에탄, 아세트산니트릴, 1,2-에톡시에탄올 또는 1,2-dimethoxyethanol이고;
상기 혼합용제 제작은 할로겐화 브리지를 갖는 2-이리듐 화합물을 용제B에 용해시킨 다음, 역류상태에서 탄산염을 첨가하며;
상기 용제B의 최소용량은 원료를 용해할 정도이며;
상기 역류 반응시간은 2-4시간이고;
상기 리간드B와 중성 리간드는 동일하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기술은 아래 내용을 포함한다.
이리듐 3염화물 수화물과 중성 리간드(중성 리간드는 전하를 띠지 않거나 산성 또는 염기성 그룹이다.)반응을 통해 생성하는 할로겐화 브리지를 갖는 2-이리듐 화합물: L2Ir(μ-X)2IrL2,L: 바이덴테이트 리간드,(μ-X): 브리지형 할로겐.
현재 사용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할로겐화 이리듐, 중성 리간드, 용제A를 반응 플라스크에 첨가한 다음, 24시간 역류 가열하여 10% 3개의 리간드를 포함하는 이리듐계열 화합물을 얻은 후 정제하는 것이다. 이러한 합성기술은 반응시간이 길고 10%의 이물질을 쉽게 생성하여 세 번째 리간드가 다른 이리듐계열 화합물 합성에 적합하지 않다. 우리는 모든 원료 성질을 연구하였다. 할로겐화 이리듐 용제A를 용해하고 반응 플라스크에 떨어뜨린 다음 2-6시간 반응시켜 할로겐화물 브리지 화합물을 얻은 후 재결정과정을 한번 거친다.
현재의 개선실험과 기존 방법의 다른 점은 아래와 같다. 원료 첨가순서와 방식을 변경하여 반응을 추진하고 시간을 단축하며 정제과정도 대폭 줄어들었다.(1) 단계의 용제는 2-에톡시에탄올 또는 2-메톡시에탄올 등의 수용성유기용제와 물의 혼함물 비례 3:1-1:1가 될 수 있고, 용제 최소사용량은 용해원료가 적합하다.
(2) 단계에서 얻은 할로겐화물 브리지 화합물과 다소 과량의 리간드 반응에서 첨가한 리간드와 (1) 단계 반응의 리간드는 같거나 다르다. 용제는 일가 알코올, 다가 알코올, 할로겐화합물 등의 유기용제이고 촉매제는 탄산염이다. 할로겐화 브리지를 갖는 2-이리듐 화합물, 탄산염, 용제를 반응 플라스크에 첨가하고 리간드를 용제에 용해시킨 다음 반응용액을 떨어뜨리고 1-6시간 역류반응시키면 순도 95%이상 얻을 수 있다. 과량 리간드에 기타 이물질이 생성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직접 재결정 정제를 할 수 있다. 기타 특허와 문헌에서 기술한 (2) 단계 반응방법은 일반적으로 24시간 반응하고 제품 극성과 유사한 이물질을 쉽게 생성하며 칼럼크로마토그래피 분리가 여러 번 필요하다. 매번 분리 정제량은 1g내지 몇 g이다. 손실이 매우 커서 사용에 제한이 있다. 본 발명의 (1) 단계 반응 생성물은 기술개선 및 재결정 정제과정을 거쳐 순도를 높일 수 있다. 일부 (2) 단계 반응에서 제거하기 힘든 이물질과 두 번째 반응에 참여하기 쉬운 이물질을 제거한다. 또한, 두 번째 반응기술 개선(원료첨가순서가 다름)도 두 번째 최종 생성물을 쉽게 정제할 수 있다. 간단한 재결정방식을 통해 99%이상 실현 가능하다. 도 2 참조.
이리듐계열 화합물 합성에 사용되는 용제의 비등점은 일반적으로 비교적 높다. 단일 리간드 이리듐계열 화합물의 비등점은 180도 이상이고 미량 존재하는 산소는 중아체를 쉽게 파괴한다. 반응과정에 비활성기체 조건은 필수적이다. 비활성 분위기를 유지하는 방법은 산소를 치환하여 깨끗하게 하고 비활성기체를 존재하게 하는 것이다. 3개 동일한 리간드는 fac 및 mer 두 가지 형식이 존재한다. 합성과정 용제 비등점은 제일 우선적인 선택이다. 비등점이 높은 용제는 fac생성에 유리하고 photophobism 합성도 관건적이다. 본 영역의 기술인원은 통상적인 지식에 근거하여 합성에 사용하는 용제를 선택할 수 있다. 우리는 현재 많이 사용하는 인광 이리듐계열 FirPic. Ir(ppy)3,Ir(ppy)2(acac),FIr6을 선택하여 설계의도를 나타내었다. 본 특허의 기술도 역시 기타 이리듐계열 화합물 합성에 적용된다. 약간의 변환을 거친 기술도 본 특허의 보호범위에 포함된다.
전술한 본 발명에 의하며, 본 발명은 다량의 기존 데이터를 취합한 기초상에 기존 방법의 장단점을 연구하여 현재 방법을 개선하여 생산율이 높고 산물 순도가 높으며 반응시간이 짧고 번거로운 조작이 필요하지 않으며 원가를 대폭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Bis(4,6-difluorophenylpyridinato-N,C2)picolinatoiridium/ FIrPic 핵자기 스펙트럼;
도 2는 Bis(4,6-difluorophenylpyridinato-N,C2)picolinatoiridium/ FIrPic 액상스펙트럼;
도 3은 FIrPic의 DSC 테스트 스펙트럼.
아래에서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 Bis(4,6-difluorophenylpyridinato-N,C2)picolinatoiridium/ FIrPic의 합성
절차 1:
Figure pct00005
마그네슘 분말11g, 요드, 약간의 2,4-디플루오로 브로모벤젠 유기반응,2,4-디플루오로 브로모벤젠77.2g 과 THF400ml 용액을 떨어뜨린 다음 반응온도를 28도-35도로 유지하면 용액은 회색을 띠게 된다. 첨가를 종료하고 5시간 실온 반응시킨 다음, 검사결과 원료가 없으면, 반응을 정지시킨다.
54g 트리메칠보레이드, 400ml THF를 2l반응 플라스크에 첨가한 다음, 질소가스를 넣고 -60도에서 그리냐르시약을 떨어뜨리기 시작한다. 1분도 안 되어 얕은 녹색이 보이기 시작하고 그리냐르시약 증가량에 따라 용액은 회색 혼탁물로 변한다.전부 첨가하게 되면 용액은 회색을 띄게 되고 서서히 실온으로 회복한다. 고체는 점점 많아지고 하룻밤 지나면 고체는 소실되고 얕은 황색 혼탁물로 변하게 된다.
0도까지 냉각시킨 다음, 2M 염산을 떨어뜨린다. 백색 혼탁물이 약간 보이지만 빠르게 소실되며 투명한 옅은 연두색을 띄게 된다. PH=1 2시간 교반한 다음 액체 분리한다. 1l 아세트산에틸을 추출한 다음, 물로 2회 세척하고 칼럼크로마토그래피 농축하면 백색 고체 24.76G을 얻을 수 있고, 생산율은 40%에 달한다.
1HMNR(CDCl3,400Hz):7.83(1H,m); 6.94(1H,m); 6.8(1H,m).
절차 2:
Figure pct00006
200ml THF, 24.76g 2,4-Difluorophenylboronic acid, 22g 2-bromopyridine을 1l 4구 플라스크에 첨가하면 얕은 황갈색용액으로 변하고, 탄산칼륨 52g을 넣으면 황색으로 혼탁하게 변하고 15분간 질소가스를 넣고 팔라듐 1g을 첨가한다. 온도를 높이고, 61도에서 역류시킨다. 가열이 진행됨에 따라 용액은 갈색으로 변한다. 4시간 가열한 다음, 냉각 및 액체를 분리하고 300ML 아세트산에틸을 추출한다. 합병, 증류, 석유에테르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25g 백색 고체를 얻게 되며, 생산율은 83.5%에 달한다.
절차 3:
Figure pct00007
2L 4구 플라스크에 700ml (2-ethoxyethoxy)ethanol 을 첨가하고 36g 두 번째 단계 생성물을 넣는다. 교반하면 깨끗한 황색용액으로 변하고, 역류까지 온도를 높인 다음, iridous 삼염화물 18g을 200ml 탈이온수에 용해시킨다. 일정한 압력하에서 호퍼를 통해 떨어뜨리고 3시간 역류 교반한 다음, 반응을 정지시킨다. 반응체계를 직접 여과하고 차례로 80ml아세톤, 100ml×2 탈이온수, 80ml×2아세톤 여과층 세척을 한다. 진공상태에서 건조하면 황색 고체 26.28g을 얻을 수 있고 생산율은 85%에 달한다.
절차 4:
Figure pct00008
3l 4구 플라스크에 1200ml을 (2-ethoxyethoxy)ethanol 첨가하고 20.2g 염소 브리지 화합물을 넣는다. 교반 및 질소 가스를 넣은 다음, 역류까지 온도를 높인다. 반응 플라스크에서 역류가 발생하기 시작하면 한꺼번에 고체 탄산나트륨 12g을 신속하게 넣고, 2-pyridine carboxylic acid을 300ml(2-ethoxyethoxy)ethanol 에 용해시킨 다음, 일정한 압력하에서 호퍼를 통해 40min 떨어뜨리고 130-135도에서 역류 교반한다. 1시간 간격으로 샘플을 채취하여 검사한다. 2-3시간 후 반응을 정지한다.(HPLC:생성물 95%-97%)
반응체계를 냉각하고, 5.5l아세트산에틸에 넣은 다음,4l×3 탈이온수로 세척하고, 200g황산 마그네슘으로 유기상을 건조시키고, 용제 농축을 통해, 짙은 황색 고체를 얻게 된다. 상기 고체를 다이클로로메테인, 석유에테르로 재결정과정을 통해 밝은 황색 고체16g(HPLC:99.1%)을 얻게 된다. 생산율은 75%에 달한다. 도 1 및 도 2 참조.
도 2 액상분석결과는 아래 표1과 같다.
분석결과
피크 번호
보드
구분 보류
시간
면적 고도 면적/
고도
면적%
함유량
분리도 테일링T 이론
1
59.0
0.887 2709.7 99.0 27.367 0.0470 1.296 2.310
2
285.2
1.399 1594.5 80.2 19.885 0.0277 1.296 2.318
3
6138.2
5.520 24034.8 1099.9 21.851 0.4172 13.476 1.684
4
5500.1
5.987 22220.9 907.4 24.490 0.3857 1.548 1.621
5
8130.8
8.237 5710667.1 192154.2 29.719 99.1224 6.556 1.614
합계 5761226.9 194340.7 100.0000
실시예 2: Tris (2-페닐피리딘)이리듐/Ir(ppy)3
Figure pct00009
절차 1:
2L 4구 플라스크에 700ml(2-ethoxyethoxy)ethanol를 첨가한 다음, 30g 2-페닐피리딘을 넣는다. 교반하면 깨끗한 옅은 황색용액으로 변한다. 역류까지 온도를 높인 다음, iridous 삼염회물 20g을 250ml 탈이온수에 용해시킨다. 일정한 압력하에서 호퍼를 통해 떨어뜨린 다음 역류시켜 3시간 교반하고 반응을 멈춘다. 반응체계를 직접 여과하고 차례대로 80ml아세톤, 100ml×2 탈이온수,80ml×2아세톤 여과층 세척을 한다. 진공상태에서 건조하면 토황색 고체 28g을 얻게 되며 생산율은 80%에 달한다.
절차 2:
3L 4구 플라스크에 1200ml 글리세린을 첨가한 다음, 18g 염소 브리지 화합물을 넣는다. 교반 및 질소가스를 넣는다. 역류까지 온도를 높인 다음, 반응 플라스크에 역류가 보이기 시작하면 한꺼번에 고체 탄산나트륨12g 을 신속하게 넣는다. 2-페닐피리딘을 100ml글리세린에 용해시킨다. 일정한 압력하에서 호퍼를 통해 40min 떨어뜨리고 역류 교반한다. 1시간 간격으로 샘플을 채취하여 검사하고 2-3시간 후 반응을 멈춘다.(생성물 95%-97%)
반응체계를 냉각시킨 다음, 5.5l아세트산에틸을 넣고 4l×3 탈이온수로 세척한다. 200g 황산 마그네슘으로 유기상을 건조하고 용제를 농축하면 짙은 황색 고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고체를 아세트산니트릴로 재결정과정을 거치면 밝은 황색고체 15g을 얻게 되고 생산율은 78%에 달한다.
1H-NMR(CDCl3,400Hz):7.84(m,3H),7.58(m,6H),7.48(m,3H),6.83(m,6H),6.69(m,6H).
실시예 3: acetonylglyoxylic acid 2'(2-페닐피리딘)이리듐/Ir(ppy)2(acac)
Figure pct00010
실시예 2 두 번째 단계의 2-페닐피리딘 아세틸아세톤으로 바꾸면, 고순도 acetonylglyoxylic acid 2'(2-페닐피리딘)이리듐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4: Bis (2-(2,4-디플루오로페닐) 피리딘)(4'(1- 피라졸)붕소)이리듐/ FIr6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실시예 1의 염소 비리지 화합물17g, Silver trifluoromethanesulfonate, 800ml다이클로로메테인을 1l 1구 플라스크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면 순식간에 많은 혼탁물이 생긴다. 2시간 교반,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하면 백색 고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농축물 300ml 아세트산니트릴을 4구 플라스크에 첨가한 다음 용해되지 않도록 교반한다, 질소가스를 넣고 온도를 높인 다음 칼륨 트리메칠보레이트 17.5g(시중판매)와 아세트산니트릴 혼합물을 떨어뜨린다. 역류에서 많은 황색 고체가 끊임없이 생기며 2시간 반응 후 반응을 멈춘다. 반응액을 여과하면 황색 고체를 얻을 수 있고, 다이클로로메테인과 메타놀로 재결정과정을 거친 다음 말리면 18g을 얻을 수 있고 생산율은 80%에 달한다.

Claims (10)

  1. (1) 이리듐 3염화물 수화물과 중성 리간드 반응에서 생성된 할로겐화 브리지를 갖는 2-이리듐 화합물:L2Ir(μ-X)2IrL2,L: 중성 리간드로 형성된 바이덴테이트 금속 리간드를 나타내고, (μ-X): 브리지형 할로겐;
    (2) 할로겐화 브리지를 갖는 2-이리듐 화합물과 다소 과량의 리간드B 반응에서 얻은 [C
    Figure pct00013
    ]N]2Ir(LX), LX 리간드B로 형성된 세 번째 리간드;
    상기 (1)과 (2)의 두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1)단계 반응에 있어서, 이리듐 3염화물 수화물은 물에 용해되고, 역류상태의 중성 리간드와 수용성 유기용제 A용액에 떨어뜨린 다음, 다시 한번 2-6시간 역류시킨 후에, 생성물은 여과 및 재결정을 거쳐 할로겐화 브리지를 갖는 2-이리듐 화합물L2Ir(μ-X)2IrL2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금속 이리듐계열 화합물의 합성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유기용제A는 2-에톡시에탄올, 2-메톡시에탄올, 1,3-프로필렌 글리콜, 1,2-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글리콜 또는 글리세롤이며, 상기 수용성 유기용제와 물의 체적비는 3:1-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금속 이리듐계열 화합물의 합성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유기용제 A와 물의 최소 용량은 원료를 용해할 수 있는 용량이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금속 이리듐계열 화합물의 합성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리듐 3염화물 수화물은 iridous 삼염화물 수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금속 이리듐계열 화합물의 합성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 반응에 있어서, 리간드B는 용제B에 용해되고 역류상태의 할로겐화 브리지를 갖는 2-이리듐 화합물, 용제 B, 탄산염 혼합용액에 떨어뜨린 다음 1-6시간 역류반응시키고 용제를 제거한 다음, 재결정을 거치는 절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금속 이리듐계열 화합물의 합성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B는 2-에톡시에탄올, 2-메톡시에탄올, 1,3-프로필렌 글리콜, 1,2-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롤, 1,2-디클로로에탄, 아세트산니트릴, 1,2-에톡시에탄올 또는 1,2-dimethoxyethan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금속 이리듐계열 화합물의 합성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제 제작은 할로겐화 브리지를 갖는 2-이리듐 화합물을 용제B에 용해시킨 다음, 역류상태에서 탄산염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금속 이리듐계열 화합물의 합성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B의 최소용량은 원료를 용해할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금속 이리듐계열 화합물의 합성방법.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 반응시간은 2-4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금속 이리듐계열 화합물의 합성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간드B와 중성 리간드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금속 이리듐계열 화합물의 합성방법.
KR1020127021624A 2010-02-09 2011-02-09 유기금속 이리듐계열 화합물의 합성방법 KR201201203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010110482.8 2010-02-09
CN2010101104828A CN102146099B (zh) 2010-02-09 2010-02-09 有机金属铱类化合物的合成方法
PCT/CN2011/070888 WO2011098032A1 (zh) 2010-02-09 2011-02-09 有机金属铱类化合物的合成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0312A true KR20120120312A (ko) 2012-11-01

Family

ID=44367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1624A KR20120120312A (ko) 2010-02-09 2011-02-09 유기금속 이리듐계열 화합물의 합성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309971A1 (ko)
KR (1) KR20120120312A (ko)
CN (1) CN102146099B (ko)
HK (1) HK1160863A1 (ko)
WO (1) WO20110980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72679A (zh) * 2011-12-20 2013-06-26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含铱有机电致发蓝色磷光化合材料、其制备方法和有机电致发光器件
CN103172680A (zh) * 2011-12-20 2013-06-26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含铱有机电致发蓝色磷光材料、其制备方法和有机电致发光器件
JP2014005223A (ja) * 2012-06-22 2014-01-16 Ube Ind Ltd イリジウム錯体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CN102887922B (zh) * 2012-09-21 2015-09-02 赵洪玉 一种铱类化合物的合成方法
CN107556332A (zh) * 2017-09-08 2018-01-09 湘潭大学 一种常温下制备2,4‑二氟苯硼酸的方法
EP3892705B1 (en) * 2020-04-09 2022-12-14 Canon Kabushiki Kaisha Iridium complex-containing compositio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the same, display apparatus, imaging apparatus, electronic equipment, lighting apparatus, and moving body
CN115505008B (zh) * 2022-09-19 2023-12-22 兰州大学 一种铱配合物探针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6023673B (zh) * 2022-12-28 2024-05-17 黔南民族师范学院 一种二维及三维三叶草形金属有机超分子与金属有机笼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58327B2 (en) * 2002-11-08 2005-02-22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s and devices
JP4198654B2 (ja) * 2003-08-07 2008-12-17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イリジウム化合物及びそれを採用した有機電界発光素子
KR101015882B1 (ko) * 2004-10-11 2011-02-2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시클로메탈화 전이금속 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 소자
CN100532385C (zh) * 2007-03-05 2009-08-26 四川大学 铱配合物类有机电致磷光材料
CN101368094A (zh) * 2008-09-25 2009-02-18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黄色电致磷光铱配合物及其制备方法及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46099B (zh) 2013-10-16
WO2011098032A1 (zh) 2011-08-18
US20120309971A1 (en) 2012-12-06
CN102146099A (zh) 2011-08-10
HK1160863A1 (en) 201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laru et al. A small cationic organo–copper cluster as thermally robust highly photo-and electroluminescent material
KR20120120312A (ko) 유기금속 이리듐계열 화합물의 합성방법
KR102360548B1 (ko) 유기 전계발광 물질 및 소자
KR102141345B1 (ko) 발광 화합물
Unger et al. Blue phosphorescent platinum (ii) tetracarbene complexes with bis (triazoline-5-ylidene) ligands
Kang et al. Cyclometalated Platinum (ii) β-diketonate complexes as single dopants for high-efficiency white OLED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molecular interactions in the solid state and electroluminescent efficiency
Gildea et al. Bright orange/red-emitting rhodium (iii) and iridium (iii) complexes: tridentate N^ C^ N-cyclometallating ligands lead to high luminescence efficiencies
KR20050028915A (ko) 고순도의 트리스-오르토-금속화된 유기 이리듐 화합물의제조 방법
Liao et al. Pt (II) phosphors featuring both dicarbene and functional biazolate chelates: synthesis, luminescent properties, and applications in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Chi et al. Emissive Iridium (III) Complexes with Phosphorous‐Containing Ancillary
Sicilia et al. Selective synthesis of new half-lantern benzoquinolate platinum complexes. DFT and photophysical studies on the platinum (II, II) derivative
KR20140015279A (ko) 트리스 동종리간드 금속 착물을 위한 fac-이성질체의 제조
Unger et al. Near-UV phosphorescent emitters: N-heterocyclic platinum (ii) tetracarbene complexes
Chang et al. Emissive Pt (II) complexes bearing both cyclometalated ligand and 2-pyridyl hexafluoropropoxide ancillary chelate
TWI484020B (zh) 含雙唑類配基的銥金屬錯合物
CN106349259A (zh) 吡啶吡唑铜[i]配合物有机蒸汽发光变色材料及制备方法
JP5095996B2 (ja) 高純度トリス−およびビス−オルト−メタル化有機金属化合物の製造方法
Yamamoto et al. Luminescent rhenium (I)–gold (I) hetero organometallics linked by ethynylphenanthrolines
KR20230086758A (ko) 금속 착물 및 이의 응용
Ionkin et al. Synthesis, structural characterization and the first electroluminescent properties of tris-and bis-cycloiridiated complexes of sterically hindered electron-poor 2-(3, 5-bis (trifluoromethyl) phenyl)-4-trifluoromethylpyridine
Mani et al. Homoleptic and heteroleptic copper (I) complexes bearing diimine-diphosphine ligands
CN104447874A (zh) 金属配合物的制备及其应用方法
Sengottuvelan et al. Tuning photophysical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heteroleptic cationic iridium (III) complexes containing substituted 2-phenylquinoxaline and biimidazole
TWI422591B (zh) Synthesis of Organic Metal Iridium Compounds
Lara Garnica et al. Luminescent Au (III)–M (I)(M= Cu, Ag) Aggregates Based on Dicyclometalated Bis (alkynyl) Gold An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