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9187A - 주사장치 - Google Patents

주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9187A
KR20120119187A KR1020110036994A KR20110036994A KR20120119187A KR 20120119187 A KR20120119187 A KR 20120119187A KR 1020110036994 A KR1020110036994 A KR 1020110036994A KR 20110036994 A KR20110036994 A KR 20110036994A KR 20120119187 A KR20120119187 A KR 20120119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surgeon
skin
injection devi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6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5683B1 (ko
Inventor
이희영
Original Assignee
이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영 filed Critical 이희영
Priority to KR1020110036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5683B1/ko
Publication of KR20120119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9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5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5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91Sewing machines for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66Needles, e.g. needle tip configu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2Needle manip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66Needles, e.g. needle tip configurations
    • A61B2017/0608J-shap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66Needles, e.g. needle tip configurations
    • A61B2017/061Needles, e.g. needle tip configurations hollow or tubula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시술돌기가 형성된 수술사를 피부에 침투시키기 위한 주사바늘장치에 있어서, 수술사가 만곡되게 장착된 삽입수단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통해 삽입수단이 회전하면서 피부에 침투되도록 한다. 결국, 주사바늘이 회전하면서 피부에 침투되도록 하여 가슴, 엉덩이, 복부와 같이 면적이 넓은 부위를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어서, 수술사가 시술부위에 만곡되게 배치되어 시술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주사장치{Inject device}
본 발명은 주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삽입수단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통해 삽입수단이 회전하면서 피부에 침투되도록 한 주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성형 수술이란 주로 인체의 부분 손상이나 기형의 교정 또는 미용을 위하여 하는 외과적 수술의 총칭이지만, 최근 들어서는 미용을 위한 수술이 주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성형수술을 받는 대부분의 환자들은 자신의 신체에서 부족한 부분을 교정하여 자신감을 갖고 사회생활을 영위함으로써 더욱 많은 것을 얻고 성취하려는 적극적이고 현실적인 사람들인 것으로 조사에서 나타났으며, 비정상적인 모습을 정상적으로 고치려 하거나, 조화된 아름다움을 갖기 위한 노력은 건강하고 풍요한 삶을 살고자 하는 사람들의 인지상정이다.
이때, 성형수술은 여러 가지의 목적으로 행해지지만, 특히 특정 부위의 피부가 처지는 경우나 지방이 축적되어 있어 체형이 보기 좋지 않게 변화된 경우, 다시 말해 특정 부위에 주름이 생긴 경우에도 실시되어 해당 부위를 팽팽하게 복원시킨다.
한편, 주름을 제거하기 위한 수술법에 대해 살펴보면, 크게 피부를 크게 절개한 후에 처진 조직을 제거하는 등의 방법과, 절개가 필요치 않고 단순하게 해당 부위에 수술사를 걸어 리프팅함으로써 주름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구분된다.
전자의 경우, 피부를 과다하게 절개해야 하므로 수술이 힘들뿐만 아니라 수술 후의 완치에도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근자에 들어서는 후자의 수술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피부를 절개하지 않는 대신에 특수 처리된 수술사를 이용하여, 겉으로 나타난 노화된 피부와 피부 속에 노화된 연부조직을 함께 끌어올려 주름을 제거하고 팽팽하게 되살려주는 수술 방법으로 간단한 국소 마취를 통해 바늘을 사용함으로써 메스로 수술하는 방법의 최대단점인 흉터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수술받은 부위의 자극이나 손상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수술로 인한 출혈이나 그로 인한 부기도 적을 수밖에 없고, 수술 후 자연스러운 긴장도를 주어 피부가 탄력 있고 젊어 보이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기술구성은 짧은 길이의 주사바늘을 이용하여 직선방향 피부에 침투시킨다. 즉, 얼굴의 주름과 같이 국부에 시술할 경우에는 큰 문제가 없지만 가슴, 엉덩이, 복부와 같이 면적이 넓은 부위를 시술시에는 만곡된 부위를 따라 주사바늘의 삽입 및 인출시 수술사가 다각형으로 피부에 다각형으로 배치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주사바늘의 삽입 및 인출을 반복적으로 행함으로 인해 수술사가 다각형으로 피부에 침투하여, 시술의 만족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직진성을 갖는 주사바늘을 이용함으로 인해 만곡된 부위에 정확하게 시술할 수 없어서, 시술의 정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주사바늘의 삽입 및 인출을 반복적으로 행함으로 인해, 수술사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삽입수단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통해 삽입수단이 회전하면서 피부에 침투되도록 하여 가슴, 엉덩이, 복부와 같이 면적이 넓은 부위를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가슴, 엉덩이, 복부와 같이 면적이 넓은 부위의 만곡된 라인과 동일한 형상의 주사바늘을 제공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가슴, 엉덩이, 복부와 같이 면적이 넓은 부위의 만곡된 라인을 따라 주사바늘을 침투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주사바늘에 장착되는 수술사의 공급이 용이하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수술사의 길이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주사바늘에 삽입깊이를 표시하여, 수술사의 길이와 동일한 깊이로 주사바늘이 피부에 삽입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술사를 피부에 침투시키기 위한 주사바늘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술사가 만곡되게 장착된 삽입수단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통해 삽입수단이 회전하면서 피부에 침투되도록 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삽입수단의 회전반경에 따라 상기 수술사가 호, 진원, 타원, 유선형 중 하나 이상의 형상으로 피부 내에 배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술사를 피부에 침투시키기 위한 주사바늘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술사가 장착되고 외주연이 만곡된 주사바늘과, 상기 주사바늘을 회전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상기 조작부의 운동력을 전달받아 주사바늘이 회전하면서 피부에 침투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작부는, 길이당 구역별 상부와 하부로 구분하되, 상기 상부는 직선의 직립된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는 바늘의 내측으로 향하도록 주사바늘과 결합하여, 상부가 주사바늘의 내측 상부에 위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작부는, 상기 주사바늘의 중심과 상부의 중심이 일치되게 위치하여 주사바늘을 정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작부는, 상기 주사바늘의 중심과 상부의 중심이 편심되게 위치하여 주사바늘을 편심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작부는, 상기 주사바늘과 대응된 형상의 결합공이 끝단에 형성되되, 상기 결합공의 단부에 안내면을 형성시킨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주사바늘은, 상기 조작부의 끝단에 탈착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주사바늘의 외주연에 표시부를 형성하되, 상기 표시부는 주사바늘이 피부에 삽입되는 선단을 기준으로 수술사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하여, 상기 수술사의 길이와 동일한 깊이로 주사바늘이 피부에 삽입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표시부는, 띠, 홈, 돌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표시부는, 다양한 길이를 갖는 수술사에 맞추어 하나 이상 형성시킨 것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사장치는 수술사가 만곡되게 장착된 삽입수단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통해 삽입수단이 회전하면서 피부에 침투되도록 하여 가슴, 엉덩이, 복부와 같이 면적이 넓은 부위를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어서, 삽입수단의 회전반경에 따라 수술사가 호, 진원, 타원, 유선형 중 하나 이상의 형상으로 피부 내에 배치되어 시술의 만족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주사장치는 주사바늘의 외주연이 만곡된 형상으로, 가슴, 엉덩이, 복부와 같이 면적이 넓은 부위의 만곡된 라인과 동일하게 침투되도록 하여, 시술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주사장치는 주사바늘에 직립 또는 내측 상부에 위치된 조작부를 회전시키면 주사바늘이 편심 또는 정회전으로 회전하여, 가슴, 엉덩이, 복부와 같이 면적이 넓은 부위의 만곡된 라인을 따라 주사바늘을 침투시킬 수 있어서, 시술의 정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의 주사장치는 조작부의 끝단에 주사바늘이 탈착되게 결합함으로 인해, 주사바늘에 장착되는 수술사의 공급이 용이하여, 편의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주사장치는 주사바늘이 피부에 삽입되는 선단을 기준으로 수술사와 동일한 길이로 주입부 외주연에 표시부를 형성하여, 수술사의 길이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수술사의 길이와 동일한 깊이로 주사바늘이 피부에 삽입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기에, 시술자가 원하는 부위에 수술사를 정확히 삽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주사장치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주사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주사장치에 수술사를 공급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주사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주사장치의 주사바늘이 피부에 침투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는 본 발명인 주사장치의 수술사가 피부에 침투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주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인 주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인 주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인 주사장치의 표시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인 주사장치의 표시부에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주사장치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주사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주사장치에 수술사를 공급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주사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주사장치의 주사바늘이 피부에 침투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인 주사장치의 수술사가 피부에 침투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인 주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인 주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인 주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인 주사장치의 표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인 주사장치의 표시부에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사장치 100의 구성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수술사 10가 만곡되게 장착된 삽입수단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통해 삽입수단이 회전하면서 피부에 침투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수술사 10가 장착되고 외주연이 만곡된 주사바늘 110을 회전시키는 조작부 120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장치 1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장치 100는 수술사 10를 피부에 침투시키기 위한 주사바늘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술사 10가 장착되고 외주연이 만곡된 주사바늘 110과, 상기 주사바늘 110을 회전시키는 조작부 120를 포함하여, 상기 조작부 120의 운동력을 전달받아 주사바늘 110이 회전하면서 피부에 침투되도록 한다.
이때, 주사바늘 110의 내부에는 주입공 111이 관통되어 있다. 더불어, 주사바늘 110은 피부에 주입될 수 있도록 선단 113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주입공 111에는 수술사 10가 장착된다. 특히, 수술사 10에는 2열의 돌기 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 11는 실축의 한점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돌기 1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주입공 111에 장착되는 방향과 반대의 방향성을 갖는 다수의 돌기 11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실축방향으로 형성된 수술사 10가 장착된다.
상기와 같은 돌기 11는 다양한 수술상황에 맞도록 비대칭, 나선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수술사 10는 주름 제거 시술에 적용되는 주름제거용 실, 모발이식 시술에 적용되는 자가모발 또는 인조모발을 비제한적인 예로서 설명하나, 의료용 고분자 소재로 생체 내 분해흡수성 또는 비 흡수성으로 이루어져 피부 조직에 주입 또는 이식되는 실 등을 포함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주사바늘 110은 가슴, 엉덩이, 복부와 같이 면적이 넓은 부위의 피부에 침투가 용이하도록 만곡되어 있다. 즉, 주사바늘 110은 만곡된 곡선 또는 하나 이상의 직선이 다각으로 꺾이면서 이음 연결된 형상인 것을 더 포함한다.
결국, 가슴, 엉덩이, 복부와 같이 면적이 넓은 부위의 만곡된 라인과 동일하게 주사바늘 110이 침투되도록 하여, 시술시간이 단축된다.
한편, 조작부 120는 길이당 구역별 상부 121와 하부 123로 구분한다. 먼저, 상부 121는 손으로 감사 쥐기 쉽도록 원기둥형상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더불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 120의 일 실시예는 주사바늘 110의 내측 중앙에 위치되게 설치하여 주사바늘 110을 정회전시킨다. 즉, 조작부 120의 상부 121는 직선의 직립된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123는 바늘의 내측으로 향하도록 하여, 상부 121가 주사바늘 110의 내측 상부 121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하부 123는 주사바늘 110에 연결된 부분을 기준으로 상향으로 만곡 또는 절곡시켜 주사바늘 110 상부로부터 상부 121가 이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하부 123에 가슴과 같이 돌출된 부분이 수용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 120의 다른 실시예는 주사바늘 110의 내측 중앙과 편심되게 상부 121가에 위치되게 설치하여 주사바늘 110을 편심회전시킨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 120의 또 다른 실시예는 주사바늘 110의 내측 중앙에 위치되게 설치하되, 조작부 120의 상부 121가 주사바늘 110과 수평되게 절곡시켜 하부 123 끝단을 중심으로 하여 주사바늘 110의 회전과 동일하게 상부 121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상부 121의 회전을 따라 주사바늘 110이 정회전 또는 편심회전한다.
더불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 120는 상부 121와 하부 123가 수직방향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조작부 120를 주사바늘 110의 끝단에 직립되게 설치한다. 이러한, 조작부 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지 않고 주사바늘 110의 측면을 가압하는 방식으로 주사바늘 110을 피부 S에 침투시킨다. 더불어, 상부 121의 외주연에는 복수개의 돌기 또는 홈을 형성시켜 조작부 120의 조작이 더욱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결국, 주사바늘 110에 직립 또는 내측 상부에 위치된 조작부 120를 회전시키면 주사바늘 110이 편심 또는 정회전으로 회전하여, 가슴, 엉덩이, 복부와 같이 면적이 넓은 부위의 만곡된 라인을 따라 주사바늘 110을 용이하게 침투시킬 수 있어서, 시술의 정확성이 향상된다.
한편,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사바늘 110에 수술사 10를 공급하는 방식은 장착형과 공급형으로 나누어진다. 이때, 수술사 10에는 2열의 돌기 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 11는 실축의 한점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돌기 1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다양한 수술상황에 맞도록 비대칭, 나선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장착형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술사 10가 장착된 주사바늘 110을 조작부 120에 끼움 결합하는 방식이다. 특히, 조작부 120 끝단에는 주사바늘 110과 대응된 형상의 결합공 125이 형성된다.
여기서, 주사바늘 110에 삽입되는 수술사 10의 길이는 주사바늘 110의 길이와 대응된 길이로 장착될 수도 있고, 짧은 길이의 수술사 10가 복수개로 장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공급형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사바늘 110의 주입공 111으로 수술사 10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다양한 길이를 갖는 수술사 10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더불어, 결합공 125의 단부에 경사진 안내면 127을 형성한다. 이러한, 안내면 127은 수술사 10의 공급을 원활하게 한다.
이와 같이, 공급된 수술사 10를 인체로 삽입시키는 압력을 전달하는 곳으로 핀형상이나 속바늘과 같은 형태의 푸쉬핀(미도시)을 삽입하여 수술사 10를 밀어 피부 S 내부로 침투시킨다.
결국, 조작부 120의 끝단에 주사바늘 110이 탈착되게 결합함으로 인해, 주사바늘 110에 장착되는 수술사 10의 공급이 용이하여, 편의성이 증가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바늘 110의 외주연에 표시부 130를 형성한다. 이때, 표시부 130는 주사바늘 110이 피부에 삽입되는 선단 113을 기준으로 수술사 10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한다. 이러한, 표시부 130를 통해 수술사 10의 길이와 동일한 깊이로 주사바늘 110이 피부에 삽입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먼저, 도 11의 (a) 내지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 130를 띠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도 11의 (a)와 같이 주사바늘 110의 외주연을 따라 표면에 표시부 130a를 마킹한다. 또는, 도 11의 (b)와 같이 주사바늘 110의 외주연을 따라 홈을 형성하고 그 안에 표시부 130b를 체워 놓을 수도 있다. 여기서, 표시부 130를 마킹하는 적합한 방법으로는 에칭 방식이 있으나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여기서, 에칭방식이란 화학적인 부식작용을 이용한 가공법으로 필요 부분에 부식을 막기 위하여 마스킹(피복작업) 처리를 한다. 그리고 염화제 등의 부식제 등에 의하여 불요 부분을 녹임으로써 표시부 130가 형성되도록 한다.
더불어, 도 1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사바늘 110의 외주연을 따라 기계적인 홈이 형성된 표시부 130c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표시부 130c의 홈은 외주연 전체에 홈을 낼 수도 있고 점진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덧붙여, 도 11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사바늘 110의 외주연을 따라 외주연을 따라 돌기가 돌출된 표시부 130d가 형성된다. 이러한, 표시부 130d의 돌기는 외주연 전체를 따라 돌출될 수도 있고 등간격으로 돌출되어 표시할 수도 있다.
결국, 주사바늘 110이 피부 S에 삽입되는 선단 113을 기준으로 수술사 10와 동일한 길이로 주사바늘 110 외주연에 표시부 130를 형성하여, 수술사 10의 길이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수술사 10의 길이와 동일한 깊이로 주사바늘 110이 피부 S에 삽입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단순히 주사바늘 110이 삽입되는 깊이만을 확인하는 것을 넘어서, 시술자가 원하는 부위에 수술사 10를 정확히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표시부 130를 이용하여 시술하게 되면 수술사 10의 위치와 양을 오류 없이 피부 면적에 맞출 수 있다.
한편, 주사바늘 110에는 다양한 길이를 갖는 수술사 10가 장착될 수도 있다. 이때, 주사바늘 110의 길이는 일정하나 장착된 수술사 10의 길이가 일정하지 않다.
이처럼, 다양한 길이를 갖는 수술사 10에 맞추어 표시부 130를 하나 이상 형성한다. 이때, 수술사 10의 길이는 1cm 내지 6cm로 다양한 길이를 갖는다. 즉, 주사바늘 110이 피부에 삽입되는 선단 113을 기준으로 표시부 130까지의 거리는 다양한 수술사 10의 길이에 맞추어 복수개로 형성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장치에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슴, 엉덩이, 복부 등 시술이 필요한 피부 S의 시작점에 주사바늘 110의 선단 113을 맞춘다. 그리고 주사바늘 110에 결합된 조작부 120를 회전시키면 주사바늘 110이 편심 또는 정회전으로 회전하면서 피부 S에 침투한다. 이때, 조작부 120를 손으로 가볍게 쥔 상태에서 하부 123을 조작하여도 상부 121를 중심으로 하여 주사바늘 110이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투된 주사바늘 110을 역으로 회전시키면서 인출시키면 주사바늘 100 내부에 장착되어 있거나, 외부에서 삽입시킨 수술사 10가 시술부위에 만곡되게 배치되면서 피부에 침투된다. 이처럼, 침투된 수술사 10의 전단력이 중심으로 몰리면서 가슴, 엉덩이, 복부 등을 모아주면서 올려주게 된다.
결국, 수술사 10가 장착된 주사바늘 110을 편심 또는 정회전시키는 조작부 120를 포함하여, 주사바늘 110이 편심 또는 정회전하면서 피부에 침투되도록 하여 가슴, 엉덩이, 복부와 같이 면적이 넓은 부위를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어서, 주사바늘 110에 결합된 조작부 120의 위치에 따라 수술사 10가 호, 진원, 타원, 유선형 중 하나 이상의 형상으로 피부 내에 배치되어 시술의 만족도가 향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수술사 11 : 돌기
100 : 주사장치 110 : 주사바늘
111 : 주입공 113 : 선단
120 : 조작부 121 : 상부
123 : 하부 125 : 결합공
127 : 안내면 130 : 표시부

Claims (11)

  1. 수술사를 피부에 침투시키기 위한 주사바늘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술사가 만곡되게 장착된 삽입수단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통해 삽입수단이 회전하면서 피부에 침투되도록 한 주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수단의 회전반경에 따라 상기 수술사가 호, 진원, 타원, 유선형 중 하나의 형상으로 피부 내에 배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장치.
  3. 수술사를 피부에 침투시키기 위한 주사바늘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술사가 장착되고 외주연이 만곡된 주사바늘과,
    상기 주사바늘을 회전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상기 조작부의 운동력을 전달받아 주사바늘이 회전하면서 피부에 침투되도록 한 주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길이당 구역별 상부와 하부로 구분하되,
    상기 상부는 직선의 직립된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는 바늘의 내측으로 향하도록 주사바늘과 결합하여, 상부가 주사바늘의 내측 상부에 위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주사바늘의 중심과 상부의 중심이 일치되게 위치하여 주사바늘을 정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주사바늘의 중심과 상부의 중심이 편심되게 위치하여 주사바늘을 편심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주사바늘과 대응된 형상의 결합공이 끝단에 형성되되, 상기 결합공의 단부에 안내면을 형성시킨 것을 더 포함하는 주사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바늘은,
    상기 조작부의 끝단에 탈착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바늘의 외주연에 표시부를 형성하되,
    상기 표시부는 주사바늘이 피부에 삽입되는 선단을 기준으로 수술사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하여, 상기 수술사의 길이와 동일한 깊이로 주사바늘이 피부에 삽입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포함하는 주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띠, 홈, 돌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다양한 길이를 갖는 수술사에 맞추어 하나 이상 형성시킨 것을 포함하는 주사장치.
KR1020110036994A 2011-04-20 2011-04-20 주사장치 KR101275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994A KR101275683B1 (ko) 2011-04-20 2011-04-20 주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994A KR101275683B1 (ko) 2011-04-20 2011-04-20 주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9187A true KR20120119187A (ko) 2012-10-30
KR101275683B1 KR101275683B1 (ko) 2013-06-14

Family

ID=47286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6994A KR101275683B1 (ko) 2011-04-20 2011-04-20 주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56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288A (ko) * 2017-02-21 2018-08-29 류시대 매선 시술용 기구 및 이의 사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4573B2 (ja) * 1992-08-20 2003-03-10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手術システム
JPH08117239A (ja) * 1994-10-20 1996-05-14 Terumo Corp 縫合器
EP2292157B1 (en) * 2001-06-14 2020-06-24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Apparatus for surgical suturing with thread management
JP2003052702A (ja) * 2001-08-16 2003-02-25 Kishino Shoji 縫合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288A (ko) * 2017-02-21 2018-08-29 류시대 매선 시술용 기구 및 이의 사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5683B1 (ko) 2013-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1866B2 (en) Modular systems for treating tissue
KR101391659B1 (ko) 의료용 실 및 의료용 실 삽입 장치
KR101371948B1 (ko) 매선용 침술기
US8257392B2 (en) Intimacy medical needle designed for nerve stimulation through soft tissue and microadhesiolysis of adhered soft tissue and medical instrument using the same
CN106137318A (zh) 用于皮肤再表面化的方法和装置
CN106963454B (zh) 针刀
JP2013034743A (ja)
US20210338262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performing subcutaneous surgery
JP3140303U (ja) 二重瞼手術用ピンセット
KR102531586B1 (ko) 환자의 피부 아래에 블런트 팁 캐뉼러를 삽입하기 위한 디바이스
KR101275683B1 (ko) 주사장치
KR102071786B1 (ko) 리프팅용 주사침
KR101061223B1 (ko) 의료용 침술기
KR200467516Y1 (ko) 삽입깊이가 표시된 성형용 주사바늘
CN112971936B (zh) 一种适用于经皮介入后的穿刺器具
KR20190117192A (ko) 리프팅용 주사침
KR20140005581A (ko) 피부 성형 시술용 바늘 세트
CN102921075A (zh) 一种带导流槽的麻醉手术穿刺针
CN203153833U (zh) 腔镜甲状腺手术拉钩
CN209360829U (zh) 一种刃口注射针刀埋线针具
CN201806734U (zh) 多功能埋线针
CN110720968A (zh) 一种脊柱内镜定位穿刺针
KR200438746Y1 (ko) 쌍꺼풀 수술용 핀셋
CN209712999U (zh) 埋线针具
CN208892715U (zh) 一种螺旋刀刃通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