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746Y1 - 쌍꺼풀 수술용 핀셋 - Google Patents

쌍꺼풀 수술용 핀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746Y1
KR200438746Y1 KR2020070011236U KR20070011236U KR200438746Y1 KR 200438746 Y1 KR200438746 Y1 KR 200438746Y1 KR 2020070011236 U KR2020070011236 U KR 2020070011236U KR 20070011236 U KR20070011236 U KR 20070011236U KR 200438746 Y1 KR200438746 Y1 KR 2004387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lid
support plate
double eyelid
double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12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일봉
Original Assignee
정일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일봉 filed Critical 정일봉
Priority to KR20200700112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746Y1/ko
Priority to TW097200273U priority patent/TWM339296U/zh
Priority to JP2008000025U priority patent/JP3140303U/ja
Priority to SG200800553-0A priority patent/SG146520A1/en
Priority to US12/069,702 priority patent/US2008023472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7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7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2Needle or suture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0Surgical pincettes without pivotal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969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used for transplant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매몰법에 의한 쌍꺼풀 시술(수술)시 원하는 쌍꺼풀선이 디자인된 피부에 짧은 절개창을 내기 위하여 종전처럼 수술칼을 사용하지 않고 기구의 말단에 달린 송곳모양의 침으로 안검피부를 간단하게 관통하여 칼을 사용함으로써 불편함을 줄이고 관통된 쌍꺼풀 예정라인과 같은 위치에 대응하는 결막부위도 동시에 정확하게 구멍을 내서 쌍꺼풀(매몰법) 시술작업을 좀더 정확하고 간편하게 실시하도록 하는 쌍꺼풀 수술용 핀셋에 관한 것이다.
본 수술용 핀셋은, 손잡이부(10a)의 전방에 부착되며 내면 상부에 한 개 이상의 송곳침(또는 예리한 사각형의 칼날) 같은 성형침(20a)(20b)을 세워 부착하는 상부지지판(20)과, 상기 상부지지판(20)과 대응하고 상기 손잡이부(10b)의 전방에 부착되며 내면에 한 개 이상의 수용홈(32a)(32b)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지지판(30)을 포함한다. 기존의 매몰법에 의한 쌍꺼풀 성형에서는 쌍꺼풀 예정라인위에서 봉합사가 매몰될 여러 지점의 피부를 수술칼로 일일이 소절개를 가해야 하고 결막면에서도 피부면의 절개점에 해당하는 위치를 정확하게 잡기가 어려웠지만 본 기계를 이용하여 원하는 피부의 매몰지점과 원하는 위치의 결막(검판)을 동시에 찝어 결과적으로 피부와 결막에 생긴 상처를 통해 매몰법을 할 수 있어서 수술이 간편하고 용이하면서 수술시간이 단축되어 의사에게는 시술의 편리성과 용이성을 제공하고 결과적으로 쌍꺼풀성형이 보편화 된 요즈음 환자에게는 시간적, 경제적인 측면에서 큰 절약이 되어 경제적이며 실용적이고 효율적인 사용을 이루는 효과를 제공한다.
핀셋, 겸자, 눈꺼풀수술, 성형수술, 쌍꺼풀, 검판, 쌍꺼풀디자인선

Description

쌍꺼풀 수술용 핀셋{FORCEP FOR DOUBLE EYELID OPERATION}
본 고안은 성형외과에서 흔히 시행되는 매몰법에 의한 쌍꺼풀시술용 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매몰법에 의한 시술(수술)시 수술칼을 사용하지 않고 원하는 쌍꺼풀 디자인선 위의 여러 점에 구멍을 내고 동시에 같은 위치에 대응하는 결막부위에도 표를 냄으로 해서 정확하고 간단하게 쌍꺼풀 시술작업을 실시하도록 하는 쌍꺼풀 수술용 핀셋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쌍꺼풀성형수술은 눈꺼풀의 피부(진피)와 눈을 뜨게 하는 안검거근의 건막 또는 검판을 실로 연결하는 것이다.
이러한 쌍꺼풀수술은 안검피부를 절개하여 시술하는 절개법(Incisional Method)과, 피부를 절개하지 않고 바늘과 실만으로 시술하는 매몰법으로 구분되는데, 절개법은 안검 피부를 절개한 후에 불필요한 근육이나 지방조직을 제거하고, 매몰법은 안검피부를 완전히 절개하지 않고 봉합침과 실을 사용하여 진피와 안검거근의 건막 또는 검판을 묶어 봉합사의 매듭을 피부의 내측에 묻어 놓음으로써 외부에서 보아 쌍꺼풀이 생기도록 하는 방법이다.
최근에 쌍꺼풀 수술에 있어서는 흉터가 거의 없는 상기와 같이 피부를 절개 하지 않고 시술하는 매몰법이 선호되고 있는데 기존의 매몰법에 의한 쌍꺼풀 성형에서는 쌍꺼풀 예정라인 위에서 봉합사가 매몰될 여러 지점의 피부를 수술칼로 일일이 소절개를 가해야 하고, 결막면에서도 피부면의 절개점에 해당하는 위치를 정확하게 잡기가 어려워 수술시간이 길어지고 특히 숙련되지 않은 의사들에게는 수술과정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쌍꺼풀 수술시 눈꺼풀피부에 작은 절개창을 내기 위한 수술칼의 사용을 배제하고 예리하고 작은 송곳과 같은 성형침으로 피부에 구멍을 뚫고 동시에 피부면의 구멍과 대응하는 정확한 위치의 결막면에도 뚫린 표시를 냄으로써, 쌍꺼풀 라인의 피부에 뚫린 위치와 정확히 대응하는 결막의 위치를 통하여 매몰법에 의한 쌍꺼풀 성형수술을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며 간편하게 이룰 수 있는 쌍꺼풀 수술용 핀셋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쌍거풀 수술용 핀셋은, 손으로 잡기 용이한 손잡이부에 의해 탄력조절되는 핀셋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전방에 부착되며 내면 전방영역에 한 개 이상의 성형침이 세워진 상부지지판과; 상기 상부지지판과 대응하고 상기 손잡이부의 전방에 부착되며 내면 전방영역에는 상기 성형침과 대응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하부지지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쌍꺼풀 수술용 핀셋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하부지지판의 수용홈과 손잡이부 경계선 사이에는 상부지지판 위에 배열된 성형침으로 안검을 찝을 때 배열된 성형침의 높이가 일정하도록 곡선형태의 윗눈꺼풀테두리(상안검연)에 맞는 굽은 형태의 지지구가 세워져 부착되는 쌍꺼풀 수술용 핀셋을 제공하려는 것이 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상부지지판의 성형침은 상부에서 하부로 직각 또는 경사지게 부착되어 있는 쌍꺼풀 수술용 핀셋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하부지지판의 수용홈은 직각형태이거나 경사진 형태 중 어느 하나로 반구멍 내지는 관통되어 이루어지는 쌍꺼풀 수술용 핀셋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핀셋의 손잡이를 잡고 하부 지지판을 눈꺼풀 안에 삽입하고 이에 대응한 상부지지판의 성형침을 안검(눈꺼풀)에 그려진 피시술자의 쌍꺼풀 예정라인에서 소절개창(구멍)을 원하는 부위에 놓고 찝으면 피부면에는 작은 구멍이 생기고 결막(검판)면에는 성형침에 찔린 흔적이 남게 되어 매몰법에 의한 쌍꺼풀 성형수술을 간편하고 용이하며 편리하게 이룰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매몰법에 의한 쌍꺼풀 성형의 시술시 눈꺼풀피부에 작은 절개창을 내기 위하여 수술칼을 사용하지 않고 핀셋에 형성되어 있는 성형침을 통하여 피부에 구멍을 뚫고 동시에 피부면의 구멍과 대응하는 정확한 위치에 결막면에도 뚫린 표시를 냄으로써 피부절개(소구멍) 위치에 해당한 결막면을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으므로 수술이 간편하고 용이하며 수술시간이 단축되어 의사에게는 시술의 편리성과 용이성을 제공하고 결과적으로 쌍꺼풀성형이 보편화 된 요즈음 환자에게는 시간적, 경제적인 측면에서 큰 절약이 되어 경제적이며 실용적이고 효율 적인 사용을 이루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손으로 잡기 용이한 손잡이부(10a)(10b)에 상부지지판(20)과 하부지지판(30)에 부착하여 탄력조절되는 핀셋(100)을 구성한다.
상부지지판(20)은 손잡이부(10a)의 전방에 부착되며 내면 전방영역에 한 개 이상의 성형침(20a)(20b)이 세워져 형성되고 있다.
상기 성형침(20a)(20b)은 단부만 예리하고 뾰족한 형태의 침봉형상이나 칼날모양의 예리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 한정하지 않고 매몰법을 위한 눈성형시술을 보다 편리하기 위한 형태이면 변형설계가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하부지지판(30)의 수용홈(32a)과 손잡이부(10b) 경계선 사이에는 하부지지판(30)을 눈꺼풀 안으로 진입하여 상부지지판(20)위에 배열된 성형침(20a)(20b)으로 안검을 찝을 때 배열된 성형침의 높이가 일정하도록 곡선형태의 위눈꺼풀테두리(상안검연)에 맞는 지지구(60)가 세워져 있다.
상기 지지구(60)는 위눈꺼풀테두리(상안검연)와 맞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부지지판(30)은 상부지지판(20)과 대응하고 상기 손잡이부(10b)의 전방에 부착되어 있으며 내면에는 한 개 이상의 수용홈(32a)(32b)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홈(32a)(32b)은 상기 성형침(20a)(20b) 모두가 수용되거나 일부 또는 절반만이 수용되는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핀셋을 요부 종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여기서 성형침(20a)(20b)은 반듯하거나 아니면 약간 비스듬한 성형침(20c)을 배치할 수 있다.
도 5a와 도 5b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요부 종단면로서, 하부지지판(30)의 수용홈(32a)(32c)은 직각형태이거나 경사진 형태 중 어느 하나이며 내부는 반구멍 내지는 관통된 형태로 성형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부지지판(20)과 하부지지판(30)은 안구 곡면과 대응하는 곡면상으로 형성하여 수술시 피시술자에게 장애감 없이 편안한 하부지지판(30)의 삽입과 동시에 상부지지판(20)의 대응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상부지지판(20)에 마련되는 성형침(20a)(20b)의 폭은 0.5~3.0mm 이고, 길이는 1~10mm 정도로서 핀셋을 찝었을 때 하부지지판(20)의 수용홈(32a)(32b)에 삽입되어 약간의 압박을 느낄 정도 정도로 하고, 복수의 침봉을 형성할 경우에는 약 2~6mm간격으로 쌍꺼풀라인과 비슷한 타원형이나 직선으로 필요한 만큼 두고, 하부지지판(20)의 두께는 눈꺼풀 안에 삽입이 용이한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면 시술이 용이할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적 특징으로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쌍꺼풀 수술용 핀셋에 의한 수술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셋(100)을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피시술자의 안검(눈꺼풀) 내측(도면에서는 하부측)으로 하부지지판(30)을 삽입하고, 이에 대응한 상부지지판(20)의 성형침(20a)(20b) 끝을 안검(눈꺼풀)에 그려진 쌍꺼풀 예정라인(디자인된 라인)에서 소절개창(소구멍)을 원하는 부위에 맞춰 놓는다.
다음으로 핀셋(100)을 찝으면 상기 성형침(20a)(20b)이 피부를 관통함과 동시에 검판을 관통하여 하부지지판(30)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홈(32a)(32b)에 수용되어 진다.
이렇게 시술작업이 완료되면 피시술자의 안검(눈꺼풀)에 형성된 쌍꺼풀예정라인에는 작은 구멍이 생기고 결막면에는 성형침(20a)(20b)에 의해 찔린 표시가 쉽게 나타난다.
이렇게 형성된 쌍꺼풀예정라인의 소구멍과 이와 대응하는 결막면에 형성된 찔린 표시를 기초로 쌍꺼풀매몰법에 의한 수술을 진행하여 피부와 결막 사이의 피하조직, 안륜근, 거근건막, 검판을 함께 실로 묶어 쌍꺼풀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쌍꺼풀매몰법은 통상적인 성형외과의 쌍꺼풀시술방법으로 그 수술방법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시술시간이 짧고 시술방법이 간단하여 시술의사에게는 비교적 쌍꺼풀성형의 경험이 부족해도 수술결과에서 안전하고 수술의 번거로움이 없어 편리성과 용이성을 제공하고 시술 시간이 매우 짧아 환자도 심적인 부담을 훨씬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쌍꺼풀을 쉽게 만들어 시술시간이 매우 짧고 시술방법이 간단하여 시술의사에게는 비교적 쌍꺼풀성형의 경험이 부족해도 수술결과에서 안전하고 수술의 번거로움이 없어 편리성과 용이성을 제공하고 쌍꺼풀 성형이 보편화 된 현대 동양인(한국인)에게는 경제적, 시간적인 측면에서 큰 절약이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쌍꺼풀 수술용 핀셋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핀셋의 요부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상하부지지판이 결합된 상태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핀셋 요부 종단면도이고,
도 5a, 5b는 본 고안에 또 다른 실시예의 핀셋 요부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의 핀셋의 사시도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10b; 손잡이부 20; 상부지지판
20a,20b; 성형침 30; 하부지지판
32a,32b; 수용홈 60; 지지구
100; 핀셋

Claims (8)

  1. 손으로 잡기 용이한 손잡이부(10a)(10b)에 의해 탄력조절되는 핀셋(100)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10a)의 전방에 부착되며 내면 전방영역에 한 개 이상의 성형침(20a)(20b)이 세워진 상부지지판(20)과;
    상기 상부지지판(20)과 대응하고 상기 손잡이부(10b)의 전방에 부착되며 내면 전방영역에는 상기 성형침(20a)(20b)과 대응하는 수용홈(32a)(32b)이 형성되는 하부지지판(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꺼풀 수술용 핀셋.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판(30)의 수용홈(32a)(32b)과 손잡이부(10b) 경계선 사이에는 하부지지판(30)을 눈꺼풀 안으로 진입하여 상부지지판(20) 위에 배열된 성형침(20a)(20b)으로 안검을 찝을 때 배열된 성형침(20a)(20b)의 높이가 일정하도록 곡선 형태의 위눈꺼풀테두리(상안검연)에 맞는 굽은 형태의 지지구(60)가 세워져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꺼풀 수술용 핀셋.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판(20)의 성형침(20a)(20b)은 상부에서 하부로 직각이거나 경사지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꺼풀 수술용 핀셋.
  4. 제 1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판(30)의 수용홈(32a)(32b)은 직각형태이거나 경사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꺼풀 수술용 핀셋
  5. 제 1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판(30)의 수용홈(32a)(32b)은 반구멍 내지는 관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꺼풀 수술용 핀셋.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판(20)의 성형침(20a)(20b)이 복수인 경우는 직선이나 곡선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꺼풀 수술용 핀셋.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판(20)의 성형침(20a)(20b)은 송곳모양이나 칼날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꺼풀 수술용 핀셋.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판(20)의 성형침(20a)(20b)의 배열은 송곳모양이나 칼날모양이 단독 또는 혼합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꺼풀 수술용 핀셋.
KR2020070011236U 2007-03-23 2007-07-09 쌍꺼풀 수술용 핀셋 KR2004387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236U KR200438746Y1 (ko) 2007-03-23 2007-07-09 쌍꺼풀 수술용 핀셋
TW097200273U TWM339296U (en) 2007-03-23 2008-01-04 Forceps for a double eyelid
JP2008000025U JP3140303U (ja) 2007-03-23 2008-01-08 二重瞼手術用ピンセット
SG200800553-0A SG146520A1 (en) 2007-03-23 2008-01-21 Forceps for double eyelid operation
US12/069,702 US20080234724A1 (en) 2007-03-23 2008-02-12 Forceps for double eyelid ope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790 2007-03-23
KR2020070011236U KR200438746Y1 (ko) 2007-03-23 2007-07-09 쌍꺼풀 수술용 핀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746Y1 true KR200438746Y1 (ko) 2008-03-03

Family

ID=41627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1236U KR200438746Y1 (ko) 2007-03-23 2007-07-09 쌍꺼풀 수술용 핀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7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809Y1 (ko) 2007-08-10 2009-12-03 정일봉 쌍꺼풀 수술용 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809Y1 (ko) 2007-08-10 2009-12-03 정일봉 쌍꺼풀 수술용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989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bretinal administration of therapeutic agent
US11134986B2 (en) Subcutaneous delivery tool
JP2004033777A (ja) 骨髄吸引装置
US20110034886A1 (en) Implantable medical device tool and method of use
JP3140303U (ja) 二重瞼手術用ピンセット
CN104771222B (zh) 一种神经内镜鞘的制作方法及该神经内镜鞘
EP3205297B1 (en) Surgical instrument for making incisions
KR102531586B1 (ko) 환자의 피부 아래에 블런트 팁 캐뉼러를 삽입하기 위한 디바이스
CN105962979A (zh) 一种微创筋膜闭合器
KR100797010B1 (ko) 쌍꺼풀 수술용 핀셋
KR200438746Y1 (ko) 쌍꺼풀 수술용 핀셋
AU2004323587B2 (en) Surgical knife blade with hollow bevel
KR101667361B1 (ko) 리프팅용 수술도구 및 리프팅용 인디케이터
KR200446809Y1 (ko) 쌍꺼풀 수술용 기구
JP2005080761A (ja) 針付縫合糸
KR100293344B1 (ko) 매몰봉합침
TWM636715U (zh) 線雕拉提裝置
CN215306496U (zh) 一种可避免损伤神经根和硬膜囊的腰椎穿刺针
KR101275683B1 (ko) 주사장치
KR20080095223A (ko) 외과용 봉합바늘 및 이것을 이용한 봉합방법
RU228104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ирургического лечения варикозно расширенных вен
CN214907493U (zh) 一种带孔引导针
CN212853588U (zh) 拇外翻微创手术刀
CN211674454U (zh) 一种用于治疗颈椎病的专用刀
CN212213834U (zh) 医用开口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