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3344B1 - 매몰봉합침 - Google Patents

매몰봉합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3344B1
KR100293344B1 KR1019980030091A KR19980030091A KR100293344B1 KR 100293344 B1 KR100293344 B1 KR 100293344B1 KR 1019980030091 A KR1019980030091 A KR 1019980030091A KR 19980030091 A KR19980030091 A KR 19980030091A KR 100293344 B1 KR100293344 B1 KR 100293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suture
buried
surgery
eye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0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2154A (ko
Inventor
최엽
Original Assignee
최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엽 filed Critical 최엽
Priority to KR1019980030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3344B1/ko
Publication of KR19980072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2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3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33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62Guide tubes
    • A61M2025/0687Guide tubes having means for atraumatic insertion in the body or protection of the tip of the sheath during insertion, e.g. special designs of dilators, needles or sheath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몰 봉합침 및 그것을 이용한 매몰 봉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몸통을 포함하는 구조의 통상의 수술용 봉합침에 있어서, 상기 몸통을 중심으로 양단에 좌우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뾰족한 바늘침과, 상기 바늘침 끝단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다수개의 바늘구멍 및 다수개의 표식홈으로 구성되고, 그 방법은, 피부 표면과 이면에 소정 간격을 둔 적어도 2개 이상의 매몰 봉합침 삽입 위치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매몰 봉합침 삽입 위치에, 몸통을 중심으로 양단에 좌우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뾰족한 바늘침과 상기 바늘침 끝단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다수개의 바늘구멍 및 다수개의 표식홈으로 구성되며 봉합사가 달린 매몰 봉합침의 봉합사가 꿰어진 쪽 바늘침을 찔러 넣어 상기 봉합사가 꿰어진 쪽 바늘침이 최초의 매몰 봉합침 삽입 위치를 완전통과하고 봉합사가 꿰어지지 않은 쪽 바늘침은 소정 길이만큼 불완전 통과하는 단계와, 상기 매몰 봉합침의 방향을 90도 전환하여 봉합사가 꿰어지지 않은 쪽 바늘침이 소정 간격 이격된 다른 삽입 위치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소정 간격 이격된 다른 삽입 위치에서, 상기 매몰 봉합침의 방향을 90도 전환한 상태에서, 상기 봉합사가 꿰어진 쪽 바늘침을 찔러 넣어 봉합사가 꿰어진 쪽 바늘침은 완전통과하고 다른 쪽 바늘침은 불완전 통과하는 단계와, 상기 매몰 봉합침의 방향을 90도 전환하여 봉합사가 꿰어지지 않은 쪽 바늘침이 소정 간격 이격된 상기 최초의 삽입 위치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봉합사가 꿰어지지 않은 쪽 바늘침이 이미 봉합사가 존재하는 최초의 삽입위치에 오면 그 방향을 90도 전환하여 최초의 삽입위치를 완전통과시키면서 다른쪽 바늘침의 바늘 구멍이 최초의 삽입위치를 뚫고 나오면 멈추는 단계와, 상기 최초의 삽입위치에 존재하는 봉합사를 상기 봉합사가 꿰어지지 않은 쪽 바늘침의 바늘구멍에 꿰고, 매몰 봉합침을 소정 간격 이격된 삽입위치 측을 향하여 후진시키며, 이 위치에서 상기 봉합사가 꿰어진 쪽 바늘침 및 봉합사가 꿰어지지 않은 쪽 바늘침을 완전히 뽑아내어 살 바깥에서 봉합사 양쪽 끝을 잡아당겨 매듭을 짓고, 이 매듭 위를 절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단시간 내에 간단하고 정확하게 시술이 이루어지므로 바르는 마취약 또는 점안 마취약 등을 사용할 경우, 거의 무통으로 쌍꺼풀 수술, 융비술, 흉터 수술등이 가능하며 피부 외부에 아무런 흉터를 남기지 않고 부기나 멍이 거의 없어 수술 후 곧바로 활동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매몰 봉합침{Surgical Suture Needle having Bilateral points for Buried Suture}
본 발명은 매몰 봉합침 및 그것을 이용한 매몰 봉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쌍거풀 수술이나 코성형 수술, 각종 외과 봉합 수술 시에 흉터가 남지 않도록 간단하게 봉합할 수 있게 한 특수한 형상의 매몰 봉합침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신체에서 뼈를 제외한 부분, 즉 피부, 근육, 지방, 내장 등의 부드러운 조직을 연조직이라고 하는 데, 이런 연조직이 터지거나 찢어지거나 연결이 끊어져 있을 때 이를 복원시키기 위해서는 이들 조직을 바느질하여 연결하여 주게 된다. 이처럼 살과 살을 연결시켜주기 위해 바느질해주는 것을 '외과적인 봉합'이라고 부른다.
터진 피부를 꿰맬 때도 옷감을 바느질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바늘과 실이 사용되는 데, 이때 사용되는 바늘을 '봉합침', 그리고 그것에 사용되는 실을 '봉합사'라고 부른다.
그런데 옷감을 꿰맬 때는 손가락으로 옷감과 바늘을 직접 잡고 바느질을 하지만, 살을 꿰맬 때는 손가락대신 '섭자(Forcep)'라고 부르는 집게로 꿰매고자 하는 살을 잡고, '겸자(Needle holder)'라고 부르는 바늘집게로 봉합침을 잡고서 바느질을 하게 된다.
일반 봉합침의 구조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봉합침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 도면에서 부호 10은 봉합침을 나타내며, 이 일반 봉합침(10)은 낚시 바늘과 유사한 곡선 모양이며, 반원형 또는 3/8원형이 주종을 이루고 있고, 바늘귀(12)와 몸통부(14) 바늘끝부(1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바늘귀(12)는 봉합사를 통과시키기 위한 바늘 구멍(12a)을 형성하고 납작하게 눌린 모양이며 몸통부(14)는 원통모양이고 바늘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다가 맨 끝 부분은 매우 뾰족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옷감 바느질용 바늘과 같은 구조의 직선 봉합침도 드물게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봉합침의 사용법에 대하여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a는 봉합침(10)을 피부에 찔러 봉합사(20)를 환부(40)에 통과시키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2b는 봉합사(20)를 환부(40)에 완전히 통과시킨 후의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2c는 봉합사(20)를 매듭짓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바늘 구멍(12a)에 봉합사(20)를 꿴 다음 겸자(30)로 봉합침(10)의 몸통부(14)를 잡고 바늘 끝부(16)를 환부(40)의 살 속으로 밀어 넣어 벌어진 살의 가장자리를 통과했다가 나온다.
그러면 봉합사(20)가 봉합침(10)을 따라 꿰어지게 된다. 봉합사(20)의 양쪽을 당겨서 살을 오므린 다음 겸자(30)를 사용하여 풀리지 않도록 매듭을 만든다. 모은 다음 풀리지 않도록 매듭을 만든다. 매듭 끝을 자르면 봉합의 한 땀(one stitch)이 완료된다. 이처럼 기존의 봉합침(10)을 이용하여 봉합 수술을 할 경우에는 그 바느질 방향이 한쪽 방향, 즉 바늘 끝부(16) 쪽으로만 진행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에 대한 설명을 하는 것이 본 발명의 이해에 도움이 될 것이다.
피부봉합이란, 살이 찢겼을 때 벌어진 피부살을 꿰매는 방법으로서, 피부 봉합 후 양쪽 살이 벌어지지 않을 만큼 경고하게 붙으면 실밥을 제거하게 된다. 신체 부위에 따라 3일에서 2주일의 기간이 걸린다.
매몰봉합이란, 칼이나 유리 등에 다쳤을 때와 같이 살이 깊게 찢겨져서 심부조직, 즉 진피층, 근육층, 지방층에 서로간의 연결이 각각 끊어져 있는 상태를 이어주는 봉합기술이다.
따라서 이 매몰 봉합은 손상된 각 조직을 각층별로, 즉 진피층은 진피층끼리, 근육층은 근육층끼리, 그리고 지방층은 지방층끼리를 봉합 해주는 기술로 이 봉합이 완료된 후에 피부봉합을 추가하면 상처 봉합의 모든 과정이 완료된다.
매몰 봉합 때 만들어진 봉합매듭과 봉합사는 살 속에 매몰되어 있게 되므로 나중에 실밥을 뽑을 수 없다. 이처럼 살 속에 묻어 놓게 되는 봉합을 '매몰 봉합'이라고 한다. 따라서 일반 매몰봉합침을 사용한 매몰 봉합은 열려진 피부의 벌어진 틈을 통해서만이 가능하다.
한편, 눈에 쌍꺼풀 주름이 있는 사람의 눈꺼풀과 없는 사람의 눈꺼풀 사이에는 약간의 구조적 차이가 있다.
대다수 동양인의 눈꺼풀은 쌍꺼풀이 만들어지지 않는 홑거풀의 모양을 취하고 있다. 홑거풀은 눈매가 답답하고 표정이 단조로우며 얼굴인상이 무뚝뚝하거나 날카로운 느낌을 준다. 그래서 거의 모든 한국과 일본의 여성들은 쌍꺼풀을 갖고 싶어한다.
그러나 수술 공포 또는 비용 때문에 망설이는 여성이 많다. 그래서 일본제 쌍꺼풀액(눈꺼풀에 발라 하루 동안 쌍꺼풀을 만드는 풀)이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동양의 10대, 20대 여성들에게 애호되고 있다.
일반적인 성형수술에 있어서 쌍꺼풀 수술은 빈번하게 시술되는 수술 중의 하나이다. 이하, 눈꺼풀의 구조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개략 설명한다. 도 3은눈꺼풀 부위의 횡단면도이다. 눈꺼풀은 안구를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눈뚜껑에 해당된다. 이 도면에서 부호 200은 눈꺼풀 내부의 안검판이다.
눈꺼풀은 바깥쪽은 피부(진피층 : 202)가 안구쪽은 결막(204)이 둘러 싸고 있고 그 속에는 순서대로 동안근층, 지방층(206), 안검거근층 등 여러 층의 구조물들이 배열되어 있다.
진피층(202)이란 피부의 맨 바깥층인 표피층을 제거한 부분, 즉 피부의 깊은 층을 일컫는 의학용어이다.
상기 안검판(200)은 눈꺼풀의 가장 깊은 층에 위치하여 눈꺼풀이 찌그러지지 않도록 틀을 유지시켜주는 연골로 된 판이다. 안검거근(208)은 눈을 뜨게 하는 일을 하는 근육인데, 눈을 뜨는 동작이란 안검거근(208)이 안검판(200)을 위로 들어올리는 동작을 말한다.
도 4는 쌍꺼풀이 있는 사람의 눈 주위 구조물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쌍꺼풀 주름이 있는 사람의 눈꺼풀은, 눈을 뜨게 하는 구조물(안검거근 또는 안검판)과 피부 사이를 연결해주는 특수한 섬유조직(210)이 존재한다. 눈을 뜰 때는, 즉 안검거근(208)과 안검판(200)이 위로 당겨져 올라갈 때, 상기 섬유조직(210)에 연결된 피부도 함께 당겨져 올라가면서 피부에 주름이 생긴다. 이것이 바로 쌍꺼풀 주름이다.
또, 쌍꺼풀 주름이 없는 사람의 눈꺼풀은, 안검거근(208)과 피부를 연결해주는 섬유조직(210)이 없어서 눈을 뜰 때 피부주름이 만들어지지 않고 피부가 한군데로 뭉치듯이 몰리게 되어 눈동자가 시원하게 열리지 않고 답답한 눈매표정을 취하게 된다.
어떤 방법으로든 상기 안검거근(208)과 피부를 연결해 주면 쌍꺼풀이 생긴다. 이것이 바로 쌍꺼풀 수술의 원리이다. 여러 가지 쌍꺼풀 수술법이 있으나 기본적으로 2가지 타입으로 대별된다.
1. 피부를 절개하는 쌍꺼풀 수술(절개법)
쌍꺼풀 주름을 만들고자 하는 부위의 피부를 횡으로 짼 다음 진피층(피부의 가장 깊은 층)과 안검거근(208)을 3,4군데 바느질을 해준 다음 쨌던 피부를 봉합한다. 이 방법은 피부를 째야하고 쨌던 자리는 흉터가 생기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수술 후 살이 돋아나면서 안검거근과 피부사이에 흉터가 생겨 보다 견고하게 연결되므로 쌍꺼풀이 풀릴 가능성이 작아 한국에서는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2. 피부를 째지 않고 하는 쌍꺼풀 수술(매몰법)
피부를 길게 째지 않고도 상기 안검거근(208)과 진피층(202) 사이에 바느질을 하게 되면 쌍꺼풀이 만들어지며 실밥이 풀리지 않는 한 쌍꺼풀은 잘 유지된다. 이 방법은 수술 후 흉터를 남기지 않고 수술 후 부기가 빨리 빠지기 때문에 최근 동양 여성들 사이에 많이 시술되고 있다.
이것은 피부 속에 나일론으로 된 실밥을 묻어 놓는 방법인데 현재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외날 봉합침(10)으로는 시술이 힘들어서 부득이하게 피부를 3mm 또는 4mm 정도를 째고서 시술하거나, 굵은 주사바늘을 보조적으로 사용하여 힘겹게 시술하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시술 중에 멍이 들거나 과도한 부기가 생기는 일이 많으며 복잡한조작 때문에 안구를 찌를 위험도 상당히 존재한다.
또, 코가 낮은 사람에 대한 '코 높이는 수술(융비술)'에 대하여 고려해 보면, 동양에서 성행하고 있는 융비술의 원리는 코의 골격(코뼈와 코의 연골)위에 코모양으로 조각된 실리콘 고무를 넣어 코가 높아지도록 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코가 낮은 사람일수록 수술 후 결과가 불만족스럽다. 왜냐하면 이런 사람의 코는 코 끝의 골격을 형성하고 있는 비익연골이 옆으로 벌어져 있고 탄력이 약해서 코끝을 손가락으로 누르면 물렁물렁한 느낌이 들 정도로 골격구조가 약하기 때문이다.
이런 약한 골격 위에 실리콘 고무를 올려 놓으면 가장 힘이 약한 코끝이 주저앉아 수술 후 코의 모양이 코끝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추한 모양을 이루게 된다.
또 콧구멍이 주저앉아 숨쉬기가 답답하거나 실리콘 고무에 눌려 연골이 옆으로 쓰러지면서 콧구멍 속으로 돌출되는 현상을 초래하는 데 이런 현상은 비일비재하게 일어나고 있다.
그래서 코끝을 받치고 있는 양쪽 비익연골을 가운데로 모아 서로 바느질을 해줌으로써 그 구조를 튼튼하게 만들도록 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돌부리에 걸려 넘어지거나 기타 외상으로 인하여 피부가 찢어졌을 때, 의사들이 취하는 최초의 조치는 열려있는 상처를 깨끗하게 닫아주는 일이다. 더러워진 상처를 깨끗이 씻어낸 다음 피부 봉합을 한다.
피부조직의 치유과정은 다음과 같다.
표피층(피부의 맨 바깥층)은 2,3일이면 완전히 살이 붙는다. 그러나 피부의깊은 층인 진피층은 2주일이 지나야 견고하게 붙는다. 최초 상처를 치료할 때 살 속 깊은 곳에 매몰 봉합을 해주었다면 일주일 이내에 실밥을 뽑아도 상처가 벌어지지 않지만 매몰 봉합을 하지 않았다면 피부봉합을 한 지 2주일이 지난 후에야 실밥을 뽑을 수가 있다. 만약 먼저 뽑았다가는 흉터가 벌어지는 일이 생기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설명한 종래의 봉합침(10)을 이용한 봉합 시술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성형 수술 시에는 칼을 대어 피부를 자르기 때문에 상기 자국이 남는 점 이외에도 그 수술에 걸리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며, 원하는 부위에 정확하게 시술할 수 없다.
2. 수술이 난해하여 외과 전문의나 성형외과 전문의가 아닌 일반 의사들이 성형/봉합 수술할 때에는 그 안전성을 보장할 수가 없고 시술비용도 턱없이 고가이다.
3. 피가 나는 시술법이므로 수술을 두려워하는 사람들이 마음놓고 시술을 받을 수 없다.
4. 특히, 성형수술 시, 일반 봉합침(10)을 사용한 시술법은 눈꺼풀 조직에 멍과 부기를 심하게 남긴다. 또 해외 관광객들이 수술을 받을 경우, 관광 일정에 차질을 빚는다.
5. 상기 쌍거풀액은 피부에 자극이 심하여 잦은 반복사용으로 눈꺼풀 피부에 노화가 촉진될 뿐 아니라 가죽화 현상까지 초래된다.
6. 상기 종래의 융비술에 있어서, 종래의 봉합침(10)으로는 연골 바느질이 무척 까다롭고 좌우 대칭을 맞추기가 어려워 수술 결과가 좋지 않았다.
7. 연골에 바느질을 하기 위해 수술용 칼로 양쪽 콧구멍 가장자리를 길게 절개한 다음 콧볼 피부를 모두 들추어야 했기 때문에 그 수술이 매우 까다로우며 환자가 매우 불편함을 느끼며, 비익연골은 종이처럼 얇고 잘 찢어지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바느질을 정확히 하려고 몇 번 찌르다 보면 비익연골에 손상이 가해져서 수술 후 콧구멍이 좌우 비대칭으로 되는 부작용이 흔히 생긴다. 그래서 많은 성형외과 의사들이 그 필요성을 절감하면서도 비익연골을 강화하는 바느질을 포기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8. 상처가 난 환부에 봉합사의 수술 자국이 선명하게 나기 때문에 수술 후의 완전한 원상복구가 곤란하다. 즉, 피부조직은 물리적 압력에 취약하여 실밥으로 1주일 이상 누르게 되면 피부에 실밥자국 흉터가 남게 된다. 상처의 외과적 처치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원칙 중 하나는 상처에 흙이나 오물 따위가 들어갔다고 판단될 때는 매몰 봉합을 삼가라는 점이다. 왜냐하면 살 속에 묻어 놓게 되는 매몰 봉합에 염증이 생기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런 경우 부득이하게 피부봉합만 하게 되며, 실밥을 2주일 이상 지나 뽑기 때문에 심한 흉터가 생긴다.
이 경우, 의사는 환자에게 " 지금은 어쩔 수 없습니다. 흉터가 남을 수박에 없고 나중에 흉터성형수술을 받아야 합니다."라고 말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봉합침에 의한 봉합수술 시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쌍거풀 수술이나 코성형 수술, 각종 외과 봉합 수술 시에 흉터가 남지 않도록 간단하게 봉합할 수 있게 한 특수한 형상의 매몰 봉합침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봉합침을 나타낸 정면도
도 2a는 일반적인 봉합침을 피부에 찔러 봉합사를 환부에 통과시키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2b는 봉합사를 환부에 완전히 통과시킨 후의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2c는 봉합사를 매듭짓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3은 눈꺼풀 부위의 횡단면도
도 4는 쌍꺼풀이 있는 사람의 눈 주위 구조물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매몰 봉합침을 나타낸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매몰 봉합침에 의하여 무흉터 쌍꺼풀을 수술하기 위한 전단계로서, 눈꺼풀 표면에 쌍꺼풀 선을 그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b는 본 발명의 매몰 봉합침에 의하여 무흉터 쌍꺼풀을 수술하기 위한 전단계로서, 쌍꺼풀 선 상에 바늘 삽입위치를 그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c는 본 발명의 매몰 봉합침(100)에 의하여 무흉터 쌍꺼풀을 수술하기 위한 전단계로서, 눈꺼풀 이면에 바늘 삽입위치를 그린 도면
도 7a 내지 도 7l은 본 발명의 매몰 봉합침을 이용하여 쌍꺼풀을 수술할 때의 후단계인 봉합단계 중 각 단계를 나타낸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봉합침 12a : 바늘 구멍
12 : 바늘귀 14 : 몸통부
16 : 바늘끝부 30 : 겸자
40 : 환부 100 : 매몰 봉합침
102 : 몸통 104 : 제 1바늘구멍
106 : 제 2바늘구멍 110,112 : 표식홈
120,122 : 바늘침 200 : 안검판
202 : 진피층 204 : 결막
206 : 지방층 208 : 안검거근
209 : 안윤근 210 : 섬유조직
300 : 눈꺼풀 400 : 도구
A,B,A',B' : 바늘 삽입 위치로서의 점
a,b : 쌍꺼풀 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매몰 봉합침은, 몸통을 포함하는 구조의 통상의 수술용 봉합침에 있어서, 상기 몸통을 중심으로 양단에 좌우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뾰족한 바늘침과, 상기 바늘침 끝단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다수개의 바늘구멍 및 다수개의 표식홈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매몰 봉합침을 이용한 매몰 봉합방법은, 피부 표면과 이면에 소정 간격을 둔 적어도 2개 이상의 매몰 봉합침 삽입 위치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매몰 봉합침 삽입 위치에, 몸통을 중심으로 양단에 좌우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뾰족한 바늘침과 상기 바늘침 끝단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다수개의 바늘구멍 및 다수개의 표식홈으로 구성되며 봉합사가 달린 매몰 봉합침의 봉합사가 꿰어진 쪽 바늘침을 찔러 넣어 상기 봉합사가 꿰어진 쪽 바늘침이 최초의 매몰 봉합침 삽입 위치를 완전통과하고 봉합사가 꿰어지지 않은 쪽 바늘침은 소정 길이만큼 불완전 통과하는 단계와, 상기 매몰 봉합침의 방향을 90도 전환하여 봉합사가 꿰어지지 않은 쪽 바늘침이 소정 간격 이격된 다른 삽입 위치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소정 간격 이격된 다른 삽입 위치에서, 상기 매몰 봉합침의 방향을 90도 전환한 상태에서, 상기 봉합사가 꿰어진 쪽 바늘침을 찔러 넣어 봉합사가 꿰어진 쪽 바늘침은 완전통과하고 다른 쪽 바늘침은 불완전 통과하는 단계와,상기 매몰 봉합침의 방향을 90도 전환하여 봉합사가 꿰어지지 않은 쪽 바늘침이 소정 간격 이격된 상기 최초의 삽입 위치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봉합사가 꿰어지지 않은 쪽 바늘침이 이미 봉합사가 존재하는 최초의 삽입위치에 오면 그 방향을 90도 전환하여 최초의 삽입위치를 완전통과시키면서 다른쪽 바늘침의 바늘 구멍이 최초의 삽입위치를 뚫고 나오면 멈추는 단계와, 상기 최초의 삽입위치에 존재하는 봉합사를 상기 봉합사가 꿰어지지 않은 쪽 바늘침의 바늘구멍에 꿰고, 매몰 봉합침을 소정 간격 이격된 삽입위치 측을 향하여 후진시키며, 이 위치에서 상기 봉합사가 꿰어진 쪽 바늘침 및 봉합사가 꿰어지지 않은 쪽 바늘침을 완전히 뽑아내어 살 바깥에서 봉합사 양쪽 끝을 잡아당겨 매듭을 짓고, 이 매듭 위를 절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예를들면, 쌍꺼풀 수술 시에 칼을 대지 않고도 단시간 내에 시술이 완료되므로 획기적인 시간단축이 가능하며 바늘에 찔린 자국은 신속하게 사라지므로 수술자국이 남지 않게 되어 수준 높은 쌍꺼풀 수술을 할 수 있게 되며, 정확한 시술이 보장되고, 성형외과 전문의가 아니더라도 눈꺼풀 조직에 멍과 부기를 남지 않음과 동시에 피가 나지 않고 손쉽게 시술할 수가 있으며 수술 후 회복이 빠르고, 외과 수술 자국(흉터)이 피부에 남지 않아 수려한 용모를 유지하게 되어 대인관계에 자신감을 얻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매몰 봉합침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매몰 봉합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 부호 100은 본 발명의 매몰 봉합침을 나타내며, 이 매몰 봉합침(100)은 중앙 몸통(102)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제 1바늘구멍(104), 제 2바늘구멍(106)을 가지며 양끝단(바늘 끝 부분)은 둥근 모양 또는 깎인 모양(cutted appearance)으로 된 뾰족한 바늘침(120),(122)으로 되어 있다.
몸통(102)은 타원형 모양이며 바늘구멍 쪽에서는 구멍을 위해 약간 더 납작한 모양이다. 상기 본 발명의 매몰 봉합침(100)의 단면 형상은 크게 제약되는 것은 아니나, 각이 없는 사각형이나 원형 사각형 또는 삼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술 시, 즉 실제 사용 시에 매몰 봉합침(100)의 찌르는 깊이나 빠져 나오는 길이를 손끝 감촉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바늘침(120),(122)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둔 몸통(102) 부위에는 표식홈(110),(112)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매몰 봉합침(100)의 용도로서는, 깊은 조직(근육, 연골, 지방 등)에 상처나 손상이 없는 상태에서 매몰 봉합이 필요할 때 사용되며, 쌍꺼풀을 만드는 수술 시에는 눈꺼풀 깊은 층에 있는 조직들을 연결해 줄 때 사용된다.
본 발명의 매몰 봉합침(100)은 바늘 양쪽에 바늘 침이 달려 있어서 살 속을 양방향으로 왕복하면서 손쉽게 매몰 봉합을 할 수 있다.
쌍꺼풀 수술뿐만 아니라 피부를 째지 않고 심부 조직의 매몰 봉합을 필요로 하는 어떤 외과적인 상황하에서도 유용하다.
특히, 무흉터 쌍꺼풀수술용으로서 매몰 봉합침(100)을 사용하면, 피부를 째지 않고서도 매몰 봉합을 쉽고 견고하게 만들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매몰 봉합침은 일반 봉합침과 달리 4가지 특징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1. 봉합침의 양쪽 끝이 모두 피부를 뚫을 수 있도록 뾰족하다. 즉 2개의 바늘 끝을 가진 양날구조이다.
2. 바늘구멍이 2개이다. 바늘몸통의 바깥쪽 약 1/3 지점에 위치한다. 바늘구멍 크기는 아주 작아서 아주 가는 쌍꺼풀 수술용 나일론 봉합사를 꿸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하다.
3. 양쪽 바늘 끝에서 몸통 쪽으로, 예를들면 약 2mm 떨어진 지점에 바늘 축선에 대해 직각으로 홈이 한 개씩 파여 있다. 이는 매몰 봉합시 봉합사가 살 속을 통과하는 깊이를 미세하게 조절하기 위한 표식이다.
4. 특히 무흉터 쌍꺼풀수술용 매몰 봉합침으로 사용할 때에 매우 유리하며, 그 형상은 반원형, 3/8원형, 직선형, 변형 등 사용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로 제작이 가능한 데 작동되는 원리는 모두 같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매몰 봉합침(100)을 이용한 수술 일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봉합침에 의한 시술방법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먼저 피부표면에 소정 간격을 둔 매몰봉합침 삽입 위치를 4개 설정하는 데, 제1 삽입지점의 건너편측 또는 이면측의 동일지점에 제 2 삽입점을 설정하고, 제 2삽입점에서 일정 간격 떨어진 곳에 제3 삽입점을 그리고 제 3삽입점의 건너편측 또는 이면측의 동일지점에 제 4삽입점을 설정하는 단계, 봉합사를 봉합침의 한쪽 바늘 구멍에 꿴 후 봉합사가 꿰어있는 쪽 바늘침이 제 1삽입지점을 찌르고 들어가 반대쪽 바늘침(봉합사가 꿰어있지 않은 쪽 바늘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제 2삽입지점으로 빠져나올 때가지 전진하는 단계와, 봉합침이 방향을 90도 전환한 후 후진하여 봉합사가 꿰어있지 않은 쪽 바늘침이 제 3삽입지점을 뚫고 나오도록 하되 봉합사가 꿰어있는 쪽 바늘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제 3삽입 지점을 뚫고 나오도록 빠져 나오도록 하는 단계와, 봉함침을 90도 방향전환한 후 후진시키되 봉합사가 꿰어있지 않은 쪽 바늘침이 최초의 제 1삽입지점을 통해 빠져 나오면 멈추는 단계와, 제 1삽입지점을 통과중인 봉합사를 빈 바늘구멍에 통과시킨 후, 제 4삽입 위치쪽에서 매몰봉합침 전체를 완전히 뽑아내고, 양쪽 봉합사 끝을 당겨 매듭을 짓고 매듭 위를 가위로 절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단시간 내에 간단하고 정확하게 시술이 이루어지므로 바르는 마취약 또는 점안 마취약 등을 사용할 경우 거의 무통으로 쌍꺼풀 수술, 융비술, 흉터 수술등이 가능하며 피부 외부에 아무런 흉터를 남기지 않고 부기나 멍이 거의 없어 수술후 곧바로 활동이 가능하다.
우선, 무흉터 쌍꺼풀수술용으로 매몰 봉합침(100)을 사용할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무흉터 쌍꺼풀수술용 매몰 봉합침(100)은 이 '매몰법'의 테크닉을 획기적으로 개선시켜주는 수술도구이다. 이 기구를 이용한 쌍꺼풀 수술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6a는 본 발명의 매몰 봉합침(100)에 의하여 무흉터 쌍꺼풀을 수술하기 위한 전단계로서, 눈꺼풀 표면에 쌍꺼풀 선을 그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b는 본 발명의 매몰 봉합침(100)에 의하여 무흉터 쌍꺼풀을 수술하기 위한 전 단계로서, 쌍꺼풀 선 상에 바늘 삽입위치를 그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c는 본 발명의 매몰 봉합침(100)에 의하여 무흉터 쌍꺼풀을 수술하기 위한 전 단계로서, 눈꺼풀 이면에 바늘 삽입위치를 그린 도면이다. 부호 300은 눈꺼풀이다.
상기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무흉터 쌍꺼풀 수술용 봉합침(100)을 쌍꺼풀 시술에 사용하기 위한 준비로서, 눈꺼풀(300)에 만들고자하는 쌍꺼풀 선(a, b)의 위치를 정한다. 예를들면 선 a처럼 낮은 쌍꺼풀 선은 작고 수수한 쌍꺼풀이 만들어지며, 선 b와 같이 높은 선을 선택하면 크고 뚜렷한 쌍꺼풀이 만들어진다.
상기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된 상기 쌍꺼풀 선(a 또는 b) 상의 중간부분에 바늘의 최초 삽입위치인 점 A와 최후에 바늘을 뽑아내는 위치인 점 B를 소정의 표시도구, 예를들면 수술용 디자인 펜 등을 사용하여 표시한다.
상기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눈꺼풀(300)을 뒤집어 결막(204)을 노출시킨 다음, 점 A의 결막(204) 쪽 지점을 점 A'로 정하고, 점 B의 결막(204) 쪽 지점을 점 B'로 정한다.
본격적인 매몰 봉합단계에서 매몰봉합침의 진행방향은 점 A → 점 A' → 점 B' → 점 B → 점 A → 점 B의 순으로 전진 → 후진 → 전진 → 후진 → 전진을 하게 되는데, 점 A, 점 A', 점 B', 점 B는 각 진행과정에서의 바늘의 뚫기 지점이 된다.
부호 400은 상기 눈꺼풀(300)을 뒤집을 시에 사용하는 도구(디자인펜)이다.이것으로 수술전 전단계가 완료되고 본격적인 매몰봉합 단계로 이행한다.
본 발명의 매몰 봉합침(100)을 이용해서 매몰 봉합 과정을 세분화하면 모두 6단계로 나눌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l은 본 발명의 매몰 봉합침(100)을 이용하여 쌍꺼풀을 수술할 때의 후단계인 봉합단계 중 본격적인 매몰 봉합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제 1단계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매몰 봉합침(100)의 봉합사가 꿰어진 쪽 바늘침(120)으로 A지점의 피부를 수직으로 찔러 매몰 봉합침(100)을 밀어 넣는다. 물론 이 매몰 봉합침(100)의 바늘 구멍(104)에는 쌍꺼풀 수술용 봉합사가 꿰어져 있어야 하는데, 매몰 봉합침의 양쪽 바늘침 중 봉합사가 꿰어진 쪽의 바늘침이 피부를 뚫고 들어간다.
봉합사가 꿰어진 쪽 바늘침(120)이 점 A를 통과하여 점 A'로 나오게 한다. 그 결막측 점 A' 쪽에서 조심스럽게 바늘을 뽑아 내는데 다 뽑아내지 않고 매몰 봉합침(100)의 표식홈(112)이 나오는 순간 멈춘다. 이는 상기 표식홈(112)이 점 A'를 통과할 때 느껴지는 감촉과 육안을 통한 확인으로 알 수 있다. 이때 봉합사가 꿰어지지 않은 쪽 바늘침(122) 끝부분 2mm 만 살 속에 박혀있는 상태가 된다(도 7b 참조).
제 2단계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봉합사가 꿰어지지 않은 쪽 바늘침(122)의 바늘 끝이 살 속에 남아 있는 상태에서, 매몰 봉합침(100)의 각도를 90도 전환하여봉합사가 꿰어지지 않은 쪽 바늘침(122)이 점 B'를 향하게 한다. 이때 매몰 봉합침(100)은 수평으로 누워있는 상태가 되는 데 조작을 조심스럽게 하여 매몰 봉합침(100)이 결막(204)과 안검판(200)(또는 안검거근) 사이를 통과하도록 계속 밀어 넣는다.
상기 매몰 봉합침(100)의 봉합사가 꿰어지지 않은 쪽 바늘침(122)의 끝이 점 B'를 완전히 통과하면, 이제는 점 B' 쪽에서 매몰 봉합침(100)을 빼내게 되는데 여기에서도 상기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봉합사가 꿰어진 쪽 바늘침(120)의 표식홈(110)이 점 B'를 뚫고 나오는 순간 멈춘다.
이와 같이, 도 7c에서 나타낸 원숫자 ① → ② → ③의 순서대로 매몰 봉합침(100)을 사용하여 시술을 진행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도 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합 제 2단계가 완성된다.
제 3단계
도 7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봉합사가 꿰어진 쪽 바늘침(120)이 살 속, 즉 점 B'에 남아 있는 상태에서 이 봉합사가 꿰어진 쪽 바늘침(120)의 방향을 다시 90도 전환하여, 눈꺼풀 표면에 대해 수직 방향이 되도록 바늘침(120) 끝을 세운 다음 점 B를 향해 찔러 넣는다.
상기 바늘침(120) 끝이 점 B로 충분히 나오면, 이 과정에서도 마찬가지로 봉합사가 꿰어지지 않은 쪽 바늘침(122)은 완전히 뽑아내지 않고 표식홈(112)이 나올 때까지만 뽑아낸다. 따라서 도 7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합사(20)는 눈꺼풀(300) 속에서 대략 "∪" 형으로 연결된다.
역시 도 7e의 원숫자 ① → ② → ③의 순서대로 매몰 봉합침(100)을 사용하여 시술을 진행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도 7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합 제 3단계가 완성된다.
제 4단계
이어서 도 7g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합사가 꿰어지지 않은 쪽 바늘침(122) 끝이 살 속에 남아 있는 상태에서 방향을 다시 90도 전환하여 상기 봉합사가 꿰어지지 않은 쪽 바늘침(122)이 점 A를 향하여 진피층(202) 속을 수평으로 통과하도록 한다.
이어서 봉합사가 꿰어지지 않은 쪽 바늘침(122)이 점 A(최초의 지점으로 봉합사가 통과하고 잇는 상태)를 통과하여 밖으로 나오게 되는데, 계속하여 밀어 넣다가 바늘 구멍(106)이 점 A를 바져 나오면 멈춘다.
점 A에는 이미 봉합사(20)가 통과하고 있으므로 바늘끝으로 점 A를 찾아 정확히 통과시키는데 별 어려움이 없다. 여기서 점 A를 뚫고 나와 상기의 바늘침(120)의 바늘구멍(106)에 점 A 측의 봉합사(20)의 실 끝을 통과시킨다.
그리고 상기 봉합사가 꿰어지지 않은 쪽 바늘침(122)의 바늘구멍(106)에 이미 점 A를 통과하고 있는 최초의 봉합사(20)의 실 끝을 꿴다. 이렇게 하여 도 7h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합 제 4단계가 완성된다.
제 5단계
도 7i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몰 봉합침(100)을 후진시켜 점 B쪽에서 완전히 뽑아낸다. 매몰 봉합침(100)은 이제 완전히 살 바깥으로 나온 상태이다. 지금까지매몰 봉합침(100)에 따른 실[봉합사(20)]의 궤적은 A →A' →B' →B →A →B의 경로를 따라 통과되고 연결되어 있다.
제 6단계
이어서, 도 7j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겸자(30)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봉합사(20) 양쪽 끝을 당겨 매듭을 만들고 매듭 위를 수술가위로 자른다. 가위로 자르는 순간, 상기 매듭은 살 속으로 들어가서 진피층(202)과 안윤근(209)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도 7k 참조). 그리고 피부 바깥에는 매몰 봉합침(100)으로 찌른 자국(점 A, 점 B) 이외엔 아무런 흔적도 남지 않게 된다(도 7l 참조). 이것으로 쌍꺼풀 수술의 모든 과정은 완료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흉터 쌍꺼풀 수술용 매몰 봉합침(100)에 의한 쌍꺼풀 수술 시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칼을 대지 않고도 단시간 내, 예를들면 약 4분 내외의 시간에 쌍꺼풀을 만들 수 있다. 이것은 종래, 약 30분∼1시간 걸리는 수술 시간이 3∼5분으로 획기적으로 단축되며 바늘에 찔린 자국은 신속하게 사라지므로 수술자국이 남지 않는다.
2. 원하는 부위에 정확하게 시술할 수 있다.
3. 수술이 간편해서 성형외과 전문의가 아닌 일반 의사들도 손쉽고 안전하게 시술할 수가 있으며 시술비용이 대폭 저렴해진다.
5. 피가 나지 않는 시술법이므로 수술을 두려워하는 사람들도 마음놓고 시술을 받을 수 있다.
6. 일반 봉합침(10)을 사용한 시술법은 눈꺼풀 조직에 멍과 부기를 심하게 남기는 반면, 본 발명의 시술방법은 시술 중 조직손상이 없어서 부기나 멍이 거의 없고 회복이 빨라 무혈성 집게(avascular clamp)를 사용하여 시술할 경우 수술 후 곧바로 활동이 가능하다. 해외 관광객들은 수술을 받고도 관광 일정이 지장받지 않아 '쌍꺼풀 수술 투어'고객을 유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매몰 봉합침(100)은 쌍꺼풀 수술뿐 만 아니라 다른 부위의 시술 에도 이용됨은 물론이다. 예를들면 융비술에도 이용될 수 있고 일반 외과적 처치에 적용될 수 있다.
융비술의 경우, 비축주(코끝을 받치고 있는 코의 기둥) 양쪽 연골을 본 발명의 무흉터 쌍거풀 수술용 매몰 봉합침(100)을 이용하여 매몰 봉합한다. 양쪽에 날이 있어서 살 속에서 왕복하면서 간편하게 양쪽 연골에 실을 꿸 수가 있다. 이런 매몰 봉합을 2,3군데 더 해주면 연골기둥의 구조가 더욱 견고해진다.
이와 같이, 융비술에 본 발명의 매몰 봉합침(100)을 이용하면 피부를 째지 않고도 간단하면서도 정화하게 시술할 수 있다. 좌우 대칭을 맞추기 쉬워 더 좋은 수술 결과가 보장된다.
이런 강화기술이 행해지고 난 후 손가락으로 코끝을 눌러보면 코끝이 말랑말랑하지 않고 견고하게 힘을 받고 있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이제 콧구멍 쪽에 작은 절개를 가한 다음, 견고해진 골격 위에 잘 조각된 실리콘 고무를 삽입시키면 원하는 모양의 코를 만들 수 있다. 이렇게 성형된 코는 장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주저 앉거나 변형됨이 없이 제모습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외과적 봉합 수술의 경우, 찢어진 상처에 본 발명의 매몰 봉합침(100)을 이용하면, 실밥자국 흉터를 방지할 수가 있다.
오염된 상처를 깨끗이 세척한 후 일단 피부봉합만을 한다. 그리고 5,6일간 상처치료를 충분히 하여 염증을 가라앉힌 후, 6일째에 피부봉합된 상처에 매몰 봉합침(100)을 이용하여 매몰 봉합을 한다. 이 때, 봉합사(20)는 2,3주일이면 녹아서 살 속에 흡수되는 vicryl이나 dexon봉합사가 적당하다.
매몰 봉합이 끝나면 6일 전에 시행했던 피부봉합의 실밥을 제거한다. 상처가 벌어지지 않고 실밥자국도 생기지 않아 나중에 흉터성형을 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매몰 봉합침(100)을 이용하여 각종 수술을 하면 수술 자국(흉터)이 피부에 남지 않아 수려한 용모를 유지하게 되어 대인관계에 자신감을 얻게되고, 그 시술방법이 매우 간단하여 시간이 절약되며 숙련도를 요하지 않아 간단한 의학적 기본 상식을 가진 자라 할지라도 간단한 시술은 가능하게 되어 치료적 차원에서도 크게 유용한 발명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매몰 봉합침에 의하면, 특히, 쌍꺼풀 수술 시에 칼을 대지 않고도 단시간 내에 시술이 완료되므로 획기적인 시간단축이 가능하며 바늘에 찔린 자국은 신속하게 사라지므로 수술자국이 남지 않게 되어 수준 높은 쌍꺼풀 수술을 할 수 있게 되며, 정확한 시술이 보장되고, 성형외과 전문의가 아니더라도 눈꺼풀 조직에 멍과 부기를 남지 않음과 동시에 피가 나지 않고 손쉽게 시술할 수가 있으며 수술 후 회복이 빠르고, 외과 수술 자국(흉터)이 피부에 남지 않아수려한 용모를 유지하게 되어 대인관계에 자신감을 얻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몸통을 포함하는 구조의 통상의 수술용 봉합침에 있어서,
    상기 몸통을 중심으로 양단에 좌우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뾰족한 바늘침과,
    상기 바늘침 끝단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다수개의 바늘구멍 및 다수개의 표식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몰 봉합침.
KR1019980030091A 1998-07-27 1998-07-27 매몰봉합침 KR100293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091A KR100293344B1 (ko) 1998-07-27 1998-07-27 매몰봉합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091A KR100293344B1 (ko) 1998-07-27 1998-07-27 매몰봉합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2154A KR19980072154A (ko) 1998-10-26
KR100293344B1 true KR100293344B1 (ko) 2002-08-21

Family

ID=37527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0091A KR100293344B1 (ko) 1998-07-27 1998-07-27 매몰봉합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33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955B1 (ko) * 2015-06-09 2016-12-06 21세기메디칼 주식회사 성형 수술용 바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9551B1 (ko) * 2002-11-22 2005-08-25 안성봉 매몰법 쌍꺼풀 시술용 기구
KR101825878B1 (ko) 2017-05-12 2018-02-06 장철호 눈밑 지방 재배치 수술용 니들 기구
KR102013491B1 (ko) * 2017-08-28 2019-08-22 류시대 매선 시술용 기구 및 이의 사용 방법
CN108078603B (zh) * 2017-12-22 2024-02-13 朱燕昆 一种腹腔镜手术用自动复位带线缝合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955B1 (ko) * 2015-06-09 2016-12-06 21세기메디칼 주식회사 성형 수술용 바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2154A (ko)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40303U (ja) 二重瞼手術用ピンセット
KR102531586B1 (ko) 환자의 피부 아래에 블런트 팁 캐뉼러를 삽입하기 위한 디바이스
KR100293344B1 (ko) 매몰봉합침
KR101751504B1 (ko) 피부 리프팅용 생분해 실 및 그 삽입키트
KR100771897B1 (ko) 매몰 봉합침 및 이것을 이용한 매몰 봉합방법
KR100334927B1 (ko) 양날 매몰 봉합침
KR20060105973A (ko) 실리콘 보형물
CN209186815U (zh) 一种疝囊高位结扎针
CN2774402Y (zh) 面部组织全层定位缝合针
CN2543508Y (zh) 虹膜缝针
KR20080095223A (ko) 외과용 봉합바늘 및 이것을 이용한 봉합방법
KR200438746Y1 (ko) 쌍꺼풀 수술용 핀셋
CN212788856U (zh) 一种眼科手术用缝合针
Miller Cosmetic surgery: the correction of featural imperfections
CN216136053U (zh) 一种睑板固定器
Serdev Temporal SMAS lift using Serdev sutures
CN210472609U (zh) 松筋埋线针
CN220001875U (zh) 一种针刀辅助器
CN217611238U (zh) 一种应用于驱血器上的保护垫片
CN213758394U (zh) 医用无创宝石刀拆线、切线、断线器
CN209203358U (zh) 一种新型埋线针刀
CN209220675U (zh) 一种双用眼科镊
CN2278442Y (zh) 闭合式腱鞘钩割器
CN201404245Y (zh) 面部微创提升埋线引导器
CN206138267U (zh) 一种虹膜根部离断缝合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