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8769A - 텐트 - Google Patents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8769A
KR20120118769A KR1020110036364A KR20110036364A KR20120118769A KR 20120118769 A KR20120118769 A KR 20120118769A KR 1020110036364 A KR1020110036364 A KR 1020110036364A KR 20110036364 A KR20110036364 A KR 20110036364A KR 20120118769 A KR20120118769 A KR 20120118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pole
arch
tents
ent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6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8221B1 (ko
Inventor
라제건
Original Assignee
동아알루미늄 주식회사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알루미늄 주식회사,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알루미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6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8221B1/ko
Publication of KR20120118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8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18Tents having plural sectional covers, e.g. pavilions, vaulted tents, marquees, circus tents; Plural tents, e.g. mod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8Closures; Awnings; Sunsh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과 텐트 천을 구비하는 텐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텐트의 프레임은, 텐트의 지붕을 형성하도록 호형을 이루면서 전, 후 방향으로 3열 이상 설치되는 아치 폴(200); 각각의 아치 폴(200)의 좌, 우측 단부에 상단부가 연결되고 하단부로 갈수록 텐트의 좌우방향 폭이 넓어지도록 외향 경사지는 측방 지주(300); 상기 아치 폴(200)의 천장 중앙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결합하는 용마루 폴(230); 상기 용마루 폴(230)과 좌우 양측의 측방 지주(300) 사이에 배치되어 전후 방향의 아치 폴(200)들을 보강하는 종방향 보강 폴(400); 및 상기 아치 폴(200)과 측방 지주(300)의 연결 지점에서 외향 연장되는 처마용 연장 폴(310)을 포함하며, 텐트 천은, 전후 방향으로 주출입구(510)가 형성되고; 처마용 연장 폴(310)에 의하여 텐트의 측방으로 측방 출입구(520)/출입구 처마부(522) 및 환기창(530)/환기창 처마부(532)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텐트에 의하면, 프레임이 구조적으로 안정적이고 폴의 탄성을 함께 이용하므로 텐트의 구조 강성을 증대하고 텐트 폴의 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으며, 텐트를 이웃하여 연결하고 확장하기 용이하다.

Description

텐트{TENT}
본 발명은 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텐트의 구조 강성을 증대시키고, 전후면 및 측면을 이용하여 여러 동(棟)의 텐트를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 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텐트는 여러 개의 텐트 폴로 프레임을 구성하고, 그 위에 텐트 천을 덮어 캠핑 또는 야외에서 임시로 거처할 수 있는 거주 공간을 형성한다.
행사용 텐트나 임시 난민 수용을 위한 텐트와 같이 많은 인원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 대형 구조의 텐트는, 대개 산(山) 모양의 지붕을 갖는 각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산 모양의 지붕을 가지는 각형 구조의 텐트 및 그것의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대형 텐트는, 여러 개의 직선형의 텐트폴(10)을 측면은 거의 수직으로 세우고 지붕은 산 모양으로 연결하여 프레임을 만든 후, 그 위에 텐트 천(20)을 덮어 이를테면 '수직한 측벽'과 '산 모양의 지붕'을 갖는 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각형 구조의 텐트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첫째, 텐트가 수직한 측벽과 산 모양의 지붕을 가지는 각형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측면에서 불어오는 바람에 취약하고 지붕에 눈이 쌓이는 경우 쉽게 누려지거나 처짐이 발생한다.
둘째, 폴 재료가 가지는 강성만으로 텐트를 지탱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텐트 폴을 굵게 구성하여야 하고, 그 때문에 텐트 폴이 무거워져서 운반이나 설치가 어렵다.
셋째, 도 1의 빗금 친 부분처럼, 텐트 폴의 구획 간격이 넓어 텐트 천의 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두꺼운 천을 사용하여야 함으로써 텐트 무게를 가중시킨다.
넷째, 지붕의 면적이 넓고 처지기 쉬워 눈이나 빗물이 고이기 쉽다.
다섯째, 창문을 형성하더라도 차양을 설치하기 어려워 우천시 텐트 내부로 빗물이 들이친다.
여섯째, 텐트를 이웃하여 연결할 수 없기 때문에, 많은 인원을 수용하기 어려워 쓰임새가 제한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텐트의 구조 강성이 우수하고, 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는 대형 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출입구 및 창문에 차양의 설치가 가능하고 텐트를 여러 동 이웃하여 연결할 수 있어 수용 인원과 캠핑 장의 형태에 따라 텐트를 확장 및 변형하기 용이한 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텐트는, 프레임과 텐트 천을 구비하는 텐트로서, 프레임은, 텐트의 지붕을 형성하도록 호형을 이루면서 전, 후 방향으로 3열 이상 설치되는 아치 폴; 각각의 아치 폴의 좌, 우측 단부에 상단부가 연결되고 하단부로 갈수록 텐트의 좌우방향 폭이 넓어지도록 외향 경사지는 측방 지주; 상기 아치 폴의 천장 중앙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결합하는 용마루 폴; 상기 용마루 폴과 좌우 양측의 측방 지주 사이에 배치되어 전후 방향의 아치 폴들을 보강하는 종방향 보강 폴; 및 상기 아치 폴과 측방 지주의 연결 지점에서 외향 연장되는 처마용 연장 폴을 포함하며, 텐트 천은, 상기 아치 폴, 종방향 보강 폴 및 측방 지주를 덮고, 전후 방향으로는 주출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처마용 연장 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응하여 텐트의 측방으로 측방 출입구가 형성되고, 측방 출입구의 둘레에는 상기 처마용 연장 폴에 걸치는 출입구 처마부가 형성되며; 상기 처마용 연장 폴 중 나머지의 연장 폴에 대응하여 텐트의 측방으로 환기창이 형성되고, 환기창의 둘레에는 상기 처마용 연장 폴에 걸치는 환기창 처마부가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아치 폴은, 좌측 아치 폴과 우측 아치 폴로 이루어지고, 좌측 아치 폴과 우측 아치 폴의 상단부가 용마루 폴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측 아치 폴 및 우측 아치 폴은, 각각 중간 부분이 상방으로 볼록한 호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마루 폴에는 용마루 연결구가 결합되고, 상기 용마루 연결구의 좌, 우측에는, 좌, 우측 아치 폴의 상단부가 결합하기 위한 연결관이 구비된다.
상기 측방 지주는, 전방 지주 및 후방 지주로 이루어지며, 전, 후방 지주는, 두 지주의 상단이 하나의 아치 폴의 단부와 연결되고, 하단 기저부로 갈수록 텐트의 좌우방향 폭이 넓어지도록 외향 경사짐과 함께 텐트의 전후방향으로 폭이 넓게 벌어져서 삼각형 모양을 이룬다.
아치 폴과 측방 지주는 지주 연결구를 매개로 결합되고, 상기 지주 연결구는, 몸체와,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되어 아치 폴, 전방 지주 및 후방 지주에 끼워져 결합하는 제1, 2, 3 연결관이 형성된다.
상기 지주 연결구에는, 처마용 연장 폴이 끼워지는 제4 연결관이 더 형성된다.
전방 및 후방 아치 폴을 지면에 보조적으로 지지하는 보조 기둥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조 기둥은, 2개의 기둥으로 이루어지며, 2개의 기둥의 상단부는 용마루 폴과 측방 지주 사이의 아치 폴의 중간 부분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텐트의 좌우방향 가운데로 모여 지면에 지지 되며, 보조 기둥은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텐트의 전후방 외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 기둥의 상단부는, 종방향 보강 폴의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하여, 별도의 결합 수단 없이 그대로 종방향 보강 폴과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 기둥에 대응하여, 텐트 천의 전방 및 후방에는 보조 기둥의 외부를 덮는 가림막이 연장 형성된다.
텐트의 주출입구를 마주하여 여러 동의 텐트를 전후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해, 마주보는 두 텐트의 주출입구 외부를 덮고 양 텐트의 텐트 천에 결합되는 전후 연결 천을 구비한다.
텐트의 측방 출입구를 이루는 측방 처마부를 마주하여 여러 동의 텐트를 좌우 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해, 측방으로 이웃하는 두 텐트의 출입구 처마부의 외부를 덮어 연결하는 측방 연결 천을 구비한다.
3개의 텐트를 주출입구를 마주하여 방사상으로 연결하기 위해, 마주보는 3개의 텐트의 중앙 지점에서 3개의 텐트의 주출입구의 외부를 덮어 연결하는 3방 연결 텐트를 구비한다.
상기 3방 연결 텐트는, 마주보는 3개의 텐트의 주출입구의 둘레 윤곽을 따른 테두리 프레임과, 테두리 프레임에 씌워져서 3개의 텐트의 텐트 천과 결합하는 연결통로용 텐트 천과, 연결통로용 텐트 천의 중앙을 받치는 중앙 지주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텐트에 의하면, 종래 각형의 대형 텐트와는 달리, 텐트의 프레임의 전체 모양이 기저부가 넓으면서 지붕부분이 호형으로 이루어지고, 측면 부분과 지붕 부분은 안정적이고 강고한 프레임 구조물을 이루고 있으며, 텐트 폴의 강성과 탄성을 모두 이용하여 지탱할 수 있다. 따라서 강풍에 대해 흔들림이 적으며 처짐도 최소화할 수 있는 안정적인 텐트가 구현된다.
또한, 텐트의 강성 증대에 의해 텐트 폴을 가볍게 하여도 충분한 지지 강성을 보유할 수 있어 운반과 설치가 쉽다.
또한, 텐트의 지붕을 이루는 프레임이 여러 개 교차하여 좁은 격자 모양을 이루기 때문에 텐트 천의 구획면적을 좁게 구성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두께가 얇은 텐트 천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텐트의 좌우에 측방 출입구 및 환기창을 추가로 형성하기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측방 출입구 및 환기창에 처마부를 형성하기 쉬워 햇빛을 차단하고 텐트 내부로 빗물이 들이치는 것을 쉽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출입구 및 측방 출입구를 통해 여러 동의 텐트를 연결하여 텐트를 다양한 모양으로 확장 및 변형시킬 수 있어, 수용 인원과 설치 공간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쉽게 변형하여 구축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각형의 대형 텐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각형의 대형 텐트의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대형 텐트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텐트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측면도이다.
도 9는 아치 폴과 용마루 폴의 연결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아치 폴과 측방 지주의 연결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텐트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대형 텐트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텐트를 길이방향으로 이웃하여 연결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텐트를 횡방향으로 이웃하여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의 정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텐트를 병렬로 연결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텐트를 방사상으로 이웃하여 연결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3방 연결텐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3방 연결텐트의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텐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텐트(100a)는 정면에서 볼 때 좌우 측방의 기저부(基底部)의 폭이 넓고 지붕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서 전체적으로는 대략 호형(弧形)을 이루어 전후 방향으로 터널 모양으로 연장된 형태의 대형 텐트로서,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100)과, 프레임(100)을 덮는 텐트 천(500)으로 이루어진다.
텐트 천(500)의 전, 후 방향으로는 주출입구(主出入口)(510)가 형성되고, 좌, 우측 방향으로는 측방 출입구(520)가 형성된다.
전, 후 방향의 주출입구(510)는 사용자가 주로 드나드는 출입구이면서, 텐트를 전후 방향으로 연결하는 경우 전후 텐트 사이의 이동통로 역할을 한다.
측방 출입구(520)는 텐트를 한 동 설치하였을 때에 보조적으로 활용하는 출입구이면서, 텐트를 좌우 측방으로 여러 동을 연결하는 경우 좌우 텐트 사이의 이동통로 역할을 한다.
전, 후방의 주출입구(510)의 좌, 우 둘레에는 텐트 천(500)을 연장한 가림막(512)이 형성되어 빗물의 유입과 햇빛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고, 측방 출입구(520)의 둘레에는 출입구 처마부(5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텐트(100a)의 측면에는 환기창(530)이 형성되고, 환기창(530)의 둘레에는 환기창 처마부(532)가 형성된다.
환기창(530)은 차단막(530a)의 상부 일부분을 절취하고, 그 절취한 부분에 방충망을 설치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차단막(530a)은 텐트 천(500) 자체이거나, 또는 별도의 천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3에서 텐트 천(500)의 빗금 친 부분은, 본 발명에 따른 텐트 천(500)의 구획 면적을 보여준다. 추후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의 텐트의 지붕은 호형(아치형)으로 이루어지면서 프레임이 좁은 격자 모양으로 교차하기 때문에 텐트 천(500)의 구획면적을 좁게 구성하여 재봉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얇은 텐트 천을 사용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레임(100)의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프레임(100)은 텐트의 지붕을 형성하도록 호형을 이루면서 전, 후 방향으로 3열 이상 설치되는 아치 폴(200)과, 각각의 아치 폴(200)의 좌, 우측 단부에 상단부가 연결되고 하단부로 갈수록 텐트의 좌우방향 폭이 넓어지도록 외향 경사지는 측방 지주(300)와, 아치 폴(200)의 천장 중앙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결합하는 용마루 폴(230)과, 용마루 폴(230)과 양측 측방 지주(300) 사이에서 전후 방향의 아치 폴(200)들을 결합하여 보강하는 종방향 보강 폴(400)과, 텐트 측방의 측방 처마부(522) 및 환기창 처마부(532)의 형성을 위해 외향 연장되는 처마용 연장 폴(310)을 포함한다.
하나의 아치 폴(200)은, 단일의 폴로 구성하거나, 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처럼 좌측 아치 폴(210)과 우측 아치 폴(220)로 나누어 용마루 폴(230)을 이용하여 결합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아치 폴(200)의 상단부는 천장 부분에서 용마루 폴(230)에 움직일 수 없게 고정되고, 하단부는 측방 지주(300)에 움직일 수 없게 고정됨으로써, 텐트를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하중에 대해 아치 폴(200)의 탄성이 작용 되어 텐트 지붕의 지지 강성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좌, 우측 아치 폴(210, 220)의 중간 부분을 상방으로 볼록한 호형으로 구성하면 폴의 탄성을 더욱 많이 이용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좌, 우측 아치 폴(210, 220)의 상방으로의 휨의 정도가 매우 미미한 것으로 보이지만, 이러한 정도로 휨만으로 호형의 지붕을 구축하더라도 그 탄성에 의한 지지력은 크게 증대된다.
종방향 보강 폴(400)은 아치 폴(210, 220)의 중간 부분을 더욱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측방 지주(300)는, 전술한 측방 출입구(520)와 환기창(530)을 형성하기 용이하게 하고, 형성된 측방 출입구(530)와 환기창(530)의 형태가 찌그러지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측방 지주(300)는, 텐트의 지붕 프레임을 이루는 아치 폴(200)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형태로 이루어져서 텐트 전체의 구조적 강성을 증대시킴으로써, 바람에 대해 흔들림과 일그러짐이 적은 텐트가 구현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측방 지주(300)는, 각각의 아치 폴(200)의 좌, 우측 단부에 상단부가 연결되며, 하단 기저부로 갈수록 텐트의 좌우방향 폭이 넓어지도록 외향 경사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각각의 측방 지주(300)는 전, 후방 2개의 지주(302, 304)로 이루어진다. 전, 후방 지주(302, 304)의 상단은 아치 폴(200)의 단부에 연결되고, 하단은 기저부로 갈수록 텐트의 전후방향으로 폭이 넓게 벌어진다.
이처럼 측방 지주(300)는, 자체적으로는 하나의 아치 폴(200)에 대해 2개의 전, 후방 지주(302, 304)가 삼각형 구조물을 이루어 지지하는 형태가 되고, 텐트의 정면에서 볼 때에는 측방 지주(300)의 기저부의 폭은 넓고 위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태를 이룬다. 따라서, 아치 폴(200)의 탄성을 잘 받아줄 수 있고 지면에 지지하는 힘도 증대되는 등, 텐트 전체의 구조적 안정성과 지지 강성이 증대되므로 텐트를 대형으로 구축하더라도 강풍에 대항하여 형태를 온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9는 아치 폴(200)과 용마루 폴(230)의 연결 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아치 폴(200)과 용마루 폴(240)은 용마루 연결구(240)를 매개로 결합된다. 용마루 연결구(240)의 전후 방향으로는 용마루 폴(240)이 통과하는 전후 관통공(242)이 형성되고, 좌우 양측에는 좌, 우측 아치 폴(210, 220)이 결합되는 연결관(250)이 구비된다.
용마루 연결구(240)의 전후 관통공(242)에 용마루 폴(240)을 삽입하고 고정핀(262)을 체결하여 고정한다.
연결관(250)은 용마루 연결구(240)의 좌우에 형성된 결합공(244)에 삽입되어 고정핀(264)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텐트 설치 시, 좌 우측의 연결관(250)에 좌, 우측 아치 폴(210, 220)의 단부를 끼워 결합하므로, 좌, 우측 아치 폴(210, 220)과 용마루 폴(240)의 결합이 견고해진다.
용마루 연결구(240)는 플라스틱으로 구성하면, 제조가 쉽고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도 10은 아치 폴(200)과 측방 지주(300)의 연결 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아치 폴(200)과 측방 지주(300)는 지주 연결구(320)를 매개로 결합된다.
지주 연결구(320)는 몸체(322)를 구비하며, 몸체(322)에는 아치 폴(200), 전방 지주(302) 및 후방 지주(340)와 결합하기 위한 제1, 2, 3 연결관(324, 326, 328)이 형성된다.
또한, 지주 연결구(320)에는 전술한 처마용 연장 폴(310)을 결합하기 위한 제4 연결관(330)이 형성된다.
제1, 2, 3, 4 연결관(324, 326, 328, 330)들은 몸체(322)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아치 폴(200) 및 2개의 측방 지주(302, 304)의 단부를 지주 연결구(320)의 연결관(324, 326, 328)에 끼워 결합하므로, 조립이 쉽고 구조적 강성이 증대된다. 또한, 처마용 연장 폴(310)도 지주 연결구(320)에 형성된 제4 연결관(330)에 간단히 끼우면 되므로 조립성이 향상된다.
한편,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프레임(100)에 의해 구축된 텐트(100a)에 있어서, 텐트 천(500)의 중간 부분은 아치 폴(200)과 종방향 보강 폴(400)이 교차하는 여러 개의 좁은 프레임 격자에 의해 지탱되므로 처짐 없이 팽팽히 긴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빗물이 고이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염려가 없다. 또한, 도 3에 빗금 친 부분처럼, 텐트 천(500)의 구획면적을 좁게 구성하여 연결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두께가 얇은 텐트 천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그에 따라 텐트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프레임(101)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101)은 제1실시예에 따른 프레임(100)에 전후의 보조 기둥(270)을 결합한 구성이다. 전후 보조 기둥(270)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는 제1실시예에 따른 프레임(100)과 동일하다.
보조 기둥(270)은 2개의 기둥으로 이루어지며, 2개의 기둥의 상단부는 용마루 폴(230)과 측방 지주(300) 사이의 아치 폴(210)(220)의 중간 부분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텐트의 좌우방향(폭 방향) 가운데로 모여 지면에 지지 된다.
또한, 보조 기둥(270)은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텐트의 전후방 외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에 따라 안정적인 지지 구조를 가지게 된다.
보조 기둥(270)의 상단부를,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처럼, 종방향 보강 폴(400)의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하면, 필요에 따라 설치와 제거를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보조 기둥(270)의 상단부와 종방향 보강 폴(400)을 축-구멍 방식으로 끼우는 구조로 하면, 간단한 구조에 의해 쉽게 결합하고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기둥(270)에 의하면, 지붕을 이루는 프레임, 즉 아치 폴(2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므로, 텐트를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힘에 대한 저항력을 증대시킨다. 따라서, 특히 겨울철과 같이 눈이 많이 내리거나 바람이 강하게 불 때 보조적으로 사용하면 좋다.
도 14 내지 도 16은 제2실시예에 따라 보조 기둥(270)을 구비하는 경우의 텐트(100b)의 바람직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보조 기둥(270)에 대응하여, 텐트 천(500)의 전방 및 후방에는 보조 기둥(270)의 외부를 덮는 가림막(540)이 형성된다.
또한, 보조 기둥(270)에 대응하여 텐트 천(500)의 바닥면(502)을 전방 및 후방으로 더 연장한 연장부(504)를 형성하고, 이 연장부(540)에 보조 기둥의 하단과 가림막(540)의 자유단부를 고정하는 형태로 구성하면, 프레임을 보강하는 효과에 더하여 텐트 천(500)을 팽팽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텐트 천(500)의 연장부(504)와 가림막(540)의 자유단부에 보조 기둥(270)의 하단부를 끼우거나 고정할 수 있는 고리 등의 연결수단을 구비하면, 설치와 제거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7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텐트를 여러 방향으로 이웃하여 연결한 형태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텐트를 제2실시예에 따른 텐트(100b)만을 하나의 예로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지만, 제1실시예에 따른 텐트(100)도 동일한 방법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텐트 두 동(棟)을 전후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한 다음, 전후방 텐트(100b)의 주출입구(510)를 맞대어 연결하면 2개의 텐트(100b)의 주출입구(510)를 통해 통행할 수 있는 하나의 큰 텐트로 확장된다.
이를 위해, 전후방 텐트(100b)의 주출입구(510) 둘레에 서로 결합할 수 있는 지퍼를 마련해 두면 연결을 쉽게 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도 17에 도시된 예처럼, 전후방 텐트(100b)의 주출입구(510) 외부를 덮는 전후 연결 천(600)을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전후 연결 천(600)의 둘레면과 결합할 수 있도록 주출입구(510)에 인접한 텐트 천(100b)의 둘레에 미리 지퍼를 마련해 두면, 전후 연결 천(600)을 텐트 천(500)에 쉽게 연결할 수 있고, 빗물에 대해 밀봉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텐트를 횡방향으로 이웃하여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텐트 두 동을 측방으로 이웃하여 배치한 다음, 좌우측 텐트(100b)의 측방 출입구(520)를 이루는 측방 처마부(522)를 맞대어 연결하면, 두 개의 텐트(100b)가 측방 출입구(520)를 통해 통행할 수 있는 하나의 큰 텐트로 확장된다.
이를 위해, 두 텐트(100b)의 출입구 처마부(522)의 외부를 덮는 측방 연결 천(700)을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측방 연결 천(700)의 둘레면과 결합할 수 있도록 측방 처마부(522)와 측방 연결 천(700)에 지퍼를 미리 마련해 두면, 측방 연결 천(700)을 쉽게 연결할 수 있고, 빗물에 대해서도 밀봉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텐트를 병렬로 연결하여 확장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앞의 도 17에서 설명한 전후 방향의 연결 방법과, 도 18 및 도 19에서 설명한 좌우 방향 연결 방법을 조합하면, 도 20과 같이 전후 연결 천(600)과 측방 연결 천(700)에 의해 전후 및 좌우로 확장된 텐트를 구축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텐트를 방사상으로 이웃하여 연결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텐트는, 3개의 텐트(100b)의 주출입구(510)를 서로 맞대어 방사상으로 마주보도록 배치하고, 중앙에 3방 연결 텐트(800)를 배치하여 서로 연결한 형태이다.
도 22 및 도 23은 상기 3방 연결 텐트(8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3방 연결 텐트(800)는, 마주보는 3개의 텐트(100b)의 주출입구(510)의 둘레 윤곽을 따른 테두리 프레임(810)과, 테두리 프레임(810)에 씌워져서 3개의 텐트(100b)의 텐트 천(500)과 결합하는 연결통로용 텐트 천(820)과, 연결통로용 텐트천(820)의 중앙을 받치는 중앙 지주(830)를 포함한다.
연결통로용 텐트천(820)은, 지붕부(821)와 측면부(822)를 가진다. 지붕부(821)와 측면부(822)는 이웃하는 텐트 사이의 상부와 측면 틈새 부분을 덮는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17에서 설명한 전후 방향 연결과, 도 18 및 도 19에서 설명한 측방 연결 및 도 22 및 도 23에서 설명한 방사 방향 연결을 조합하면, 텐트를 여러 방향으로 자유롭게 확장할 수 있다. 따라서, 야영장 등, 텐트를 설치할 지역의 특성에 알맞은 형태로 텐트를 자유롭게 변형하여 확장할 수 있다.
100a, 100b : 텐트
100, 101 : 프레임
200 : 아치 폴
210 : 좌측 아치 폴
220 : 우측 아치 폴
230 : 용마루 폴
240 : 용마루 연결구
242 : 전후 관통공
244 : 좌우 결합공
250 : 연결관
262, 264 : 고정핀
270 : 보조 기둥
300 : 측방 지주
302 : 전방 지주
304 : 후방 지주
310 : 처마용 연장 폴
320 : 지주 연결구
324 : 제1 연결관
326 : 제2 연결관
328 : 제3 연결관
330 : 제4 연결관
400 : 종방향 보강 폴
500 : 텐트 천
502 : 바닥면
504 : 연장부
510 : 주출입구
512 : 가림막
520 : 측방 출입구
522 : 출입구 처마부
530 : 환기창
530a : 차단막
532 : 환기창 처마부
540 : 가림막
600 : 전후 연결천
700 : 측방 연결천
800 : 3방 연결텐트
810 : 테두리 프레임
820 : 연결통로용 텐트천
821 : 지붕부
822 : 측면부

Claims (15)

  1. 프레임과 텐트 천을 구비하는 텐트로서,
    프레임은,
    텐트의 지붕을 형성하도록 호형을 이루면서 전, 후 방향으로 3열 이상 설치되는 아치 폴(200);
    각각의 아치 폴(200)의 좌, 우측 단부에 상단부가 연결되고 하단부로 갈수록 텐트의 좌우방향 폭이 넓어지도록 외향 경사지는 측방 지주(300);
    상기 아치 폴(200)의 천장 중앙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결합하는 용마루 폴(230);
    상기 용마루 폴(230)과 좌우 양측의 측방 지주(300) 사이에 배치되어 전후 방향의 아치 폴(200)들을 보강하는 종방향 보강 폴(400); 및
    상기 아치 폴(200)과 측방 지주(300)의 연결 지점에서 외향 연장되는 처마용 연장 폴(310)을 포함하며,
    텐트 천은,
    상기 아치 폴(200), 종방향 보강 폴(400) 및 측방 지주(300)를 덮고, 전후 방향으로는 주출입구(510)가 형성되며,
    상기 처마용 연장 폴(31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응하여 텐트의 측방으로 측방 출입구(520)가 형성되고, 측방 출입구(520)의 둘레에는 상기 처마용 연장 폴(310)에 걸치는 출입구 처마부(522)가 형성되며,
    상기 처마용 연장 폴(310) 중 나머지의 연장 폴에 대응하여 텐트의 측방으로 환기창(530)이 형성되고, 환기창(530)의 둘레에는 상기 처마용 연장 폴(310)에 걸치는 환기창 처마부(53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 폴(200)은, 좌측 아치 폴(210)과 우측 아치 폴(220)로 이루어지고, 좌측 아치 폴(210)과 우측 아치 폴(220)의 상단부가 용마루 폴(23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아치 폴(210) 및 우측 아치 폴(220)은, 각각 중간 부분이 상방으로 볼록한 호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마루 폴(230)에는 용마루 연결구(240)가 결합되고,
    상기 용마루 연결구(240)의 좌, 우측에는, 좌, 우측 아치 폴(210, 220)의 상단부가 결합하기 위한 연결관(25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텐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지주(300)는,
    전방 지주(302) 및 후방 지주(304)로 이루어지며,
    전, 후방 지주(302, 304)는, 두 지주의 상단이 하나의 아치 폴(200)의 단부와 연결되고, 하단 기저부로 갈수록 텐트의 좌우방향 폭이 넓어지도록 외향 경사짐과 함께 텐트의 전후방향으로 폭이 넓게 벌어져서 삼각형 모양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6. 제5항에 있어서,
    아치 폴(200)과 측방 지주(300)는 지주 연결구(320)를 매개로 결합되고,
    상기 지주 연결구(320)는,
    몸체(322)와,
    상기 몸체(322)로부터 돌출되어 아치 폴(200), 전방 지주(302) 및 후방 지주(340)에 끼워져 결합하는 제1, 2, 3 연결관(324, 326, 32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 연결구(320)에는, 처마용 연장 폴(310)이 끼워지는 제4 연결관(330)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8. 제1항에 있어서,
    전방 및 후방 아치 폴(200)을 지면에 보조적으로 지지하는 보조 기둥(27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기둥(270)은, 2개의 기둥으로 이루어지며, 2개의 기둥의 상단부는 용마루 폴(230)과 측방 지주(300) 사이의 아치 폴(200)의 중간 부분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텐트의 좌우방향 가운데로 모여 지면에 지지 되며, 보조 기둥(270)은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텐트의 전후방 외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기둥(270)의 상단부는, 종방향 보강 폴(400)의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기둥(270)에 대응하여, 텐트 천(500)의 전방 및 후방에는 보조 기둥(270)의 외부를 덮는 가림막(540)이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12. 제1항에 있어서,
    텐트의 주출입구(510)를 마주하여 여러 동의 텐트를 전후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해, 마주보는 두 텐트의 주출입구(510) 외부를 덮고 양 텐트의 텐트 천(500)에 결합되는 전후 연결 천(60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13. 제1항에 있어서,
    텐트의 측방 출입구(520)를 이루는 측방 처마부(522)를 마주하여 여러 동의 텐트를 좌우 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해, 측방으로 이웃하는 두 텐트의 출입구 처마부(522)의 외부를 덮어 연결하는 측방 연결 천(70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14. 제1항에 있어서,
    3개의 텐트를 주출입구(510)를 마주하여 방사상으로 연결하기 위해, 마주보는 3개의 텐트의 중앙 지점에서 3개의 텐트의 주출입구의 외부를 덮어 연결하는 3방 연결 텐트(8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3방 연결 텐트(800)는, 마주보는 3개의 텐트의 주출입구(510)의 둘레 윤곽을 따른 테두리 프레임(810)과, 테두리 프레임(810)에 씌워져서 3개의 텐트의 텐트 천(500)과 결합하는 연결통로용 텐트 천(820)과, 연결통로용 텐트 천(820)의 중앙을 받치는 중앙 지주(8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KR1020110036364A 2011-04-19 2011-04-19 텐트 KR101268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364A KR101268221B1 (ko) 2011-04-19 2011-04-19 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364A KR101268221B1 (ko) 2011-04-19 2011-04-19 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769A true KR20120118769A (ko) 2012-10-29
KR101268221B1 KR101268221B1 (ko) 2013-05-27

Family

ID=47286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6364A KR101268221B1 (ko) 2011-04-19 2011-04-19 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82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575B1 (ko) * 2014-01-16 2014-06-05 임기자 캠핑 텐트
WO2023219351A1 (ko) * 2022-05-10 2023-11-16 제이케이엘 주식회사 대형 텐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4559A (ko) 2014-06-17 2015-12-28 우준식 텐트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5729A (ja) * 1989-08-30 1991-04-10 Hitachi Ltd 配線形成方法
US5444946A (en) * 1993-11-24 1995-08-29 World Shelters, Inc. Portable shelter assemblies
JP2623072B2 (ja) * 1994-05-11 1997-06-25 浜口計器工業株式会社 ドーム型仮設テントとその組立方法
JPH11125035A (ja) * 1997-10-22 1999-05-11 Toyo Tire & Rubber Co Ltd フード付空気膨張式テント
KR200175176Y1 (ko) * 1999-09-14 2000-03-15 함세일 휴대용 텐트의 차양막 고정구조
KR200359126Y1 (ko) * 2004-06-04 2004-08-16 배진산업주식회사 대형 차양막 프레임 구조체의 삼각 보강 지지수단
KR100727045B1 (ko) * 2005-07-22 2007-06-12 라제건 텐트폴 커넥터
KR100997147B1 (ko) * 2008-07-21 2010-11-30 배진산업주식회사 복수 텐트의 연결확장 수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575B1 (ko) * 2014-01-16 2014-06-05 임기자 캠핑 텐트
WO2023219351A1 (ko) * 2022-05-10 2023-11-16 제이케이엘 주식회사 대형 텐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8221B1 (ko) 2013-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56779A1 (en) Auxiliary section for a canopy
US8113224B2 (en) Moisture diversion system for a collapsible structure
KR20130096950A (ko)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캐노피
KR101268221B1 (ko) 텐트
KR20130096952A (ko)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캐노피
US20060283103A1 (en) Gazebo
KR101018641B1 (ko) 조립식 천막 및 그 조립방법
KR200470393Y1 (ko) 탈 부착형 전실 텐트
KR100926452B1 (ko) 텐트의 차양막 구조
KR200386358Y1 (ko) 차양막을 구비한 텐트
KR101742476B1 (ko) 몽골텐트형 조립식 천막
US8701689B2 (en) Saddle shaped tent with portico
KR100893107B1 (ko) 옥외용 천막 구조물
KR200322910Y1 (ko) 다각 입체형 소주택의 차양막 결합구조
JP2006112120A (ja) 野外用テント
RU98455U1 (ru) Павильон сборно-разборный тентовый (варианты)
KR200490809Y1 (ko) 막구조물
KR102662403B1 (ko) 대형 천막
KR102662407B1 (ko) 연결 가능한 대형 천막
KR20080074675A (ko) 대형텐트용 천막의 고정구조
RU2436920C1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сборно-разборных тентовых конструкций
KR102652579B1 (ko) 확장 가능한 차량용 텐트
KR200272629Y1 (ko) 텐트용 천막 결합구조
CN213477842U (zh) 一种桃形篷房的骨架拼接结构
KR102173162B1 (ko) 야외 테이블용 조립식 차양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