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7147B1 - 복수 텐트의 연결확장 수단 - Google Patents

복수 텐트의 연결확장 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7147B1
KR100997147B1 KR1020080070397A KR20080070397A KR100997147B1 KR 100997147 B1 KR100997147 B1 KR 100997147B1 KR 1020080070397 A KR1020080070397 A KR 1020080070397A KR 20080070397 A KR20080070397 A KR 20080070397A KR 100997147 B1 KR100997147 B1 KR 100997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s
tent
space
connecting means
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0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665A (ko
Inventor
주동수
Original Assignee
배진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진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진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0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7147B1/ko
Priority to JP2009094060A priority patent/JP5086297B2/ja
Publication of KR20100009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7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7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18Tents having plural sectional covers, e.g. pavilions, vaulted tents, marquees, circus tents; Plural tents, e.g. mod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텐트의 연결확장수단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텐트의 출입구끼리 마주하여 공간확장을 위한 간격을 두고 직렬로 설치하고 복수의 텐트의 출입구 사이의 공간에 연결수단의 양단부를 각 텐트의 출입구측에 연접하여 복수 텐트의 내부공간을 서로 연통하는 동시 텐트의 유효공간을 확장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 텐트의 공간의 유용성과, 이에 더하여, 복수의 텐트를 이용하여, 텐트의 유효공간의 확장으로 인하여 텐트의 효용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텐트, 연결수단.

Description

복수 텐트의 연결확장 수단 {MEANS TO CONNECT A PLURALITY OF TENTS FOR ENLARGED USE}
본 발명은 복수의 텐트의 출입구를 마주하여 간격을 두고 나란히 설치하고 텐트 출입구 사이의 공간에 연결수단을 연접하여 복수 텐트의 유효공간을 보다 확장하는 복수 텐트의 연결확장수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외에서 사용하는 휴대용 개인 텐트는 개인적인 휴대의 편의성을 감안하여 텐트의 크기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을 수용할 수 없고 여러 개의 텐트를 설치해도 텐트 공간이 차단되어 서로 유효공간을 공동으로 이용할 수 없고 복수의 텐트 공간을 확장하여 사용하지 못하였다.
종래의 개인용 텐트는 유효공간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 사람이 함께 이용할 수 없고 여러 개의 텐트를 설치해도 텐트 간의 공간이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각자 텐트에 들어간 후에는 텐트에 수용된 인원의 왕래나 대화가 어렵고 텐트의 유용성에 제한을 받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텐트의 출입구를 마주하여 간격을 두고 서로 연관되게 설치하여 각 단위 텐트의 공간의 이용성에 더하여, 복수 텐트의 전체 공간을 보다 확장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복수의 텐트의 연결확장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텐트의 출입구를 마주하여 간격을 두고 설치하여 출입구 사이의 공간에 지붕을 가진 연결수단을 연접시키어, 복수의 텐트의 내부 공간과 출입구 사이의 공간이 연통되어, 여러 사람이 텐트의 확장된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복수의 텐트의 연결확장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 각 텐트의 공간의 단절에 의한 불편성을 해소하고 텐트에 수용된 인원의 왕래와, 대화가 용이하며 각 텐트의 이용성에 더하여 복수의 텐트의 효용성을 보다 높이려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복수의 텐트의 제1연결확장수단은 복수의 텐트의 출입구를 마주 하여 원하는 간격을 두고 설치하고 마주한 텐트의 출입구 사이의 공간부에 지붕이 형성된 연결수단을 텐트의 출입구의 공간부가 연통되게 연접하여 확장하는 것이다.
이때 2개의 텐트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각 텐트의 출입구를 마주하여 공간을 확장하기 위한 간격을 두고 설치하고 수개의 텐트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텐트의 앞뒤쪽에 형성된 출입구를 서로 마주하여 간격을 두고 직렬로 설치하며, 각 출입구 사이의 공간부에 연결수단을 연접하여 전체의 텐트 공간이 연통되도록 유효공간을 확장하는 것이다.
거의 같은 크기의 복수의 텐트를 이용하여 유효공간을 확장하는 경우에는 연결수단은 각 텐트의 출입구 측에 연접한다.
또 연결수단의 양측 단부는 대칭적으로 텐트의 출입구와 접합되는 접합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연결수단의 단부에 구비된 접합수단으로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버튼, 토글(toggle), 파스너(fastener) 벨크로 테이프(valcro tape)등이 채용된다.
본 발명의 복수 텐트의 연결확장 수단인 연결수단은 각 텐트에 속하는 부품으로서 판매되고 취급된다.
본 발명의 복수의 텐트의 제1연결확장수단에 의하면 복수의 각 텐트의 전후 출입구가 모두 연결수단에 의해 연통되어 각 단위 텐트의 공간과, 출입구 사이에서 연결수단에 의해 생성된 공간이 더하게 되어 텐트의 전체적인 유효공간이 대폭으로 확장된다.
따라서 지금까지 각 텐트의 공간이 단절되던 불편성이 해소되고 텐트의 수용 인원이 확장된 공간으로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텐트간의 왕래가 용이하고, 우천시에도 비를 맞지 않고 텐트 간을 상통(相通)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수의 텐트의 제2연결확장수단은 큰 텐트와 상대적으로 작은 텐트를 텐트의 출입구끼리 마주하여 확장공간의 간격을 두고 직렬로 설치하고 큰 텐트의 출입구와 작은 텐트의 지붕 사이의 공간에 연결수단을 연접하여 연결수단의 한쪽 단부에 연결된 로프를 지상에 인장되게 고정시키어, 텐트의 유효공간을 확장하는 것이다.
이때 연결수단의 일 측 단부의 접합부에 신축성 밴드(Elastic Band)를 봉접(縫接)하여 연결수단의 일 측 단부에 봉접된 신축성 밴드가 자체의 탄성적 수축작용에 의해 작은 텐트가 지붕 위에 밀착되어 바람에 펄럭이지 않고 작은 텐트의 지붕에 흐르는 비가 확장된 공간내부로 유입되지 않는다.
연결수단은 상기 복수의 텐트의 제1연결확장수단에서 채택된 연결수단과 구성이 동일하고 일 측 단부에 신축성 밴드가 봉접되어 있다.
따라서 이 연결수단은 같은 크기의 텐트끼리의 연결확장 및 크고 작은 텐트끼리의 연결확장에 적용이 가능하다. 즉 모든 텐트의 연결수단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복수의 텐트의 제2연결확장수단에 의하면, 큰 텐트의 출입구와 작은 텐트의 지붕 사이에 연결수단을 연접하여 연결수단의 일 측 단부가 로프에 의해 지상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고 작은 텐트의 지붕에 접합된 연결수단의 신축성 밴드의 수축작용에 의해 연결수단의 일 측 단부가 작은 텐트의 지붕에 밀착유지되므로 작은 텐트의 지붕에서 빗물이 확장된 유효공간 내부로 유입되지 않으며, 또한 바람에 의한 연결수단의 펄럭임이 방지된다.
또 각 텐트가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텐트에 수용된 인원이 확장된 유효공간을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고 텐트 간의 왕래가 용이하고 종래 각 텐트의 공간이 단절되어 사용시의 불편하던 문제점이 해소되고 텐트의 이용성에 더하여, 텐트의 확장된 공간의 효용성이 증대된다.
따라서 단체적으로 야유회를 가진 경우에도 텐트 구조에 특별한 변형을 가하지 않고 복수의 텐트를 이용하여, 연결수단의 간단한 부가(附加)에 의해 텐트의 유효공간을 확장하여 여러 사람이 공동(共同)으로 텐트의 확장된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또 텐트의 연결수단을 해체하면, 각각 단일 텐트로 되기 때문에 각자 텐트를 철거한 후에 간편하게 휴대하여 운반하면 된다.
본 발명은 복수의 텐트의 제1연결확장수단과, 복수의 텐트의 제2연결확장수단에 의하여, 같은 크기의 복수의 텐트끼리, 또는 크고 작은 텐트끼리, 복수의 텐트를 이용하여 텐트의 유효공간을 용이하게 확장할 수 있다.
복수의 텐트의 확장된 공간은 서로 연결수단에 의해 연통되어 있어, 텐트에 수용된 여러 인원이 공간을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텐트 간에 왕래와 대화 등이 용이하고 비오는 경우에도 비를 맞지 않고 텐트 간을 상통할 수 있다.
또 텐트에 변형을 가하지 않고 연결수단에 의해서 간편하게 텐트의 공간을 확장할 수 있으므로 텐트 공간의 이용성과, 확장된 공간의 효용성이 보다 향상되어 텐트를 보다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제1연결확장수단)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제2도는 동 단면 예시도이다.
같은 크기의 복수의 텐트(T)(T)의 출입구(U)(U)끼리 마주하여 확장공간을 위한 간격을 두고 나란히 설치한다. 여러 개의 텐트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텐트(T)(T)의 앞 뒤쪽에 각각 형성된 출입구(U)(U)끼리 마주하여 직렬(直列)로 설치한다.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텐트(T)(T)의 출입구(U)(U) 사이의 공간부에 지붕을 가진 연결수단(C)(through canopy)을 설치하고 연결수단(C)의 좌우 양단부를 각 텐트(T)(T)의 출입구에 연접하여 텐트(T)(T)의 내부공간이 연통된 텐트의 유효공간을 확장한다.
제4도 및 제5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연결수단(C)은 복수 텐트 사이의 공간을 커버할 수 있는 지붕포(1a)와 측면포(1b)로 된 ∩형 단면의 연결막(1)과, 연결막(1)의 좌우 양단부측에 측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텐트(T)의 출입구(U)와 연접되는 칼라플레이트(2a)로 된 연접부(2)와, 연접부(2)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접합부(2b)와, 접합부(2b)에 형성된 접합구(2c)와, 연결막(1)의 좌우 양단부의 측면에 접합편(3)의 일 연부(3a)가 세로로 부착되어 텐트의 출입구의 가장자리를 접합부(3c)로 접합 고정시키는 접합편(3)으로 구성되어 복수의 텐트의 출입구에 연접하게 되어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5도에는 연결막(1)의 접합구(2c)는 토글이 표시되어 있고 텐트(T)에는 고리(부호 없음)가 표시되어 있으며 접합편(3)의 접합부(3c)는 벌크로 테이프로 되어 있으므로 텐트에도 상대의 벌크로 테이프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제3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연결수단(C)인 연결막(1)의 일 측 단부에 신축성 밴드(eb)가 봉접되어 연결막(1)의 일 측 단부가 다른 텐트와 연접할 때 신축성 밴드(eb)의 신축작용으로 다른 텐트에 밀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2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 텐트(T)(T)의 출입구(U)(U)의 내부로 연결막(1)의 좌우 양단부에 형성된 연접부(2)의 칼라 플레이트(2a)를 삽입한다. 삽입된 칼라플레이트(2a)를 텐트 출입구의 내측면에 접어 붙이고 연접부(2)의 접합부(2b)에 구비된 접합구(2c)를 텐트 측에 구비된 상대의 접합구(부호 없음)에 접합한다. 제4도에서 연결막(1)의 연접부(2)의 접합구(2c)는 토글로, 텐트의 상대측 접합구는 고리로 표시되어 있다.
또 연결막(1)에 형성된 접합편(3)의 접합부(3c)를 텐트의 출입구의 외측면에 부착구로 부착하여 텐트의 출입구 주변에 고정시킨다
연결막(1)의 하단부는 고정고리(4)와 핀(4p)을 이용하여 지면에 고정시키는 것은 텐트의 경우와 같다.
복수의 텐트(T)(T)의 출입구(U)(U) 사이에 연결수단(C)으로서 연결막(1)이 연접되므로서 복수의 텐트(T)(T)의 내부 공간이 연결수단(C)인 연결막(1)을 통하여 연통되는 동시 연결수단에 의하여 하나의 공간으로 확장된다.
또 연결막(1)은 칼라플레이트(2a)로 된 연접부(2)와, 접합편(3)에 의하여 텐트의 출입구에 이중으로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텐트와 연결막의 접합부분이 비바람에 펄럭이지 않고 누수도 없으며 안전성이 유지된다.
또 텐트(T)의 다른 출입구(U)는 연결막(1)으로 연결된 복수텐트(T)의 내부 출입이 가능하고 각 텐트에 수용된 인원은 왕래와 대화가 자유롭고 확장된 유효공간을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제2연결확장수단)의 예시도로서 큰 텐트(T)와 상대적으로 작은 텐트(t)를 출입구(U)(u)끼리 마주하여 확장공간을 위한 간격을 두고 설치하고 연결수단(C)인 연결막(1)의 다른 쪽 단부는 상기한 제1연결확장수단과 동일하게 텐트(T)의 출입구(U)의 내부에 접합수단에 의해 접합하고 연결수단(C)인 연결막(1)의 일 측 단부에 봉접된 신축성 밴드(eb)부분을 작은 텐트(t)의 지붕(R)위에 덮어 씌우고 신축성 밴드(eb)부분의 연결막 단부에 연결된 로프(r)를 지면에 핀(p)으로 인장되게 고정시키어 연결수단에 의하여 텐트의 유효공간을 확장한다. 이때 작은 텐트(t)의 지붕에 덮인 연결막(1)의 신축성 밴드(eb)는 자체 신축작용에 의하여 작은 텐트(t)의 지붕(R)에 밀착유지된다. 이로 인하여, 연결막(1)은 큰 텐트(T)와 작은 텐트(t) 사이에 고정되는 동시 연결막의 지붕(1a)은 팽팽하게 유지되며 바람에 팔락이지 않고 비가 와도 작은 텐트의 지붕에 흐르는 빗물이 확장된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는다.
큰 텐트(T)와 작은 텐트(t)의 고유공간이 연결수단(C)에 의하여 서로 연통되는 동시에 연결막(1)에 의해 하나의 공간으로 확장되어 각 텐트에 수용된 인원이 확장된 공간을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고 텐트 간의 왕래가 용이하고 비가 오는 경우에도 비를 맞지 않고 복수의 텐트 간을 상통할 수 있다.
텐트를 사용한 후에는 연결막을 분리하면 각각의 텐트로서 절첩하여 각자 간편하게 휴대하여 운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텐트의 구조의 변경 없이 복수의 텐트를 이용하여 연결수단의 간단한 부가에 의해 유효한 공간을 확장할 수 있기 때문에 텐트의 효용성이 증대되어 보다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측면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연결수단의 한 실시예의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연결수단이 텐트의 출입구에 접합되는 부분의 정면도
[도면중 중요한 부분의 부호설명]
1 : 연결막 1a : 지붕포 1b : 측면포 2 : 연접부 2a : 칼라플레이트
2b : 접합부 2c : 접합구 3 : 접합편 3c : 접합부
T :텐트 t : 작은 텐트 C : 연결수단 U :출입구 R :지붕 r :로프

Claims (3)

  1. 삭제
  2. 큰 텐트와 작은 텐트의 출입구를 마주하여 공간확장을 위한 간격을 두고 직렬로 설치하여 연결수단의 다른 쪽 단부는 큰 텐트의 출입구측에 연접하고 연결수단의 한쪽 단부에 부착된 신축성 밴드는 작은 텐트의 지붕에 밀착되도록 연결수단의 한쪽 단부에 연결된 로프를 지면에 고정시키어 텐트의 유효공간을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텐트의 연결확장수단.
  3. 제2항에 있어서, 연결수단(C)은 지붕포(1a)와 측면포(1b)로 된 ∩형 단면의 연결막(1)과, 연결막(1)의 좌우 양단부측에 형성되어 텐트(T)의 출입구(U)와 연접되는 칼라플레이트(2a)로 된 연접부(2)와, 연접부(2)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접합부(2b)와, 접합부(2b)에 형성된 접합구(2c)와, 연결막(1)의 좌우 양단부 측면에 세로로 부착된 접합부(3c)로 접합하는 접합편(3)과, 연결막(1)의 일 측 단부에 봉접된 신축성 밴드(eb)로 구성되어 복수의 텐트에 연접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텐트의 연결확장 수단.
KR1020080070397A 2008-07-21 2008-07-21 복수 텐트의 연결확장 수단 KR100997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397A KR100997147B1 (ko) 2008-07-21 2008-07-21 복수 텐트의 연결확장 수단
JP2009094060A JP5086297B2 (ja) 2008-07-21 2009-04-08 テント間の連結拡張部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397A KR100997147B1 (ko) 2008-07-21 2008-07-21 복수 텐트의 연결확장 수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665A KR20100009665A (ko) 2010-01-29
KR100997147B1 true KR100997147B1 (ko) 2010-11-30

Family

ID=41730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0397A KR100997147B1 (ko) 2008-07-21 2008-07-21 복수 텐트의 연결확장 수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086297B2 (ko)
KR (1) KR1009971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074B1 (ko) 2011-01-27 2013-01-21 이은수 하강식 비상탈출 구조대
KR20200060956A (ko) 2018-11-23 2020-06-02 장성우 비 차단 배수 및 전원컨센트 구비형 천막-텐트 구조물
US11834859B2 (en) 2021-08-12 2023-12-05 Shawn P. Reynolds Modular and portable shelter with integrated hub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42562B1 (en) 2007-04-16 2011-10-25 Mcdaniel Jr Michael D Portable shelters, related shelter systems, and methods of their deployment
GB2491555A (en) * 2011-04-11 2012-12-12 Gala Tent Ltd Marquee entrance and connection tunnel
KR101268221B1 (ko) * 2011-04-19 2013-05-27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텐트
KR101238847B1 (ko) 2011-09-26 2013-03-28 (주)라이브플렉스 텐트 대 텐트의 연결장치
KR200467934Y1 (ko) 2013-04-01 2013-07-11 반포산업 주식회사 캠핑용 타프
EP3048217A3 (en) 2015-01-07 2016-08-10 Reaction, Inc. Modular shelter and method for deploying the same
JP7382840B2 (ja) * 2020-01-16 2023-11-17 株式会社ディスコ 研削装置
KR102662407B1 (ko) * 2024-01-30 2024-04-30 삼덕상공(주) 연결 가능한 대형 천막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7535A (ja) * 1996-07-19 1998-02-10 Doushishiya:Kk フライ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8654A (ja) * 1998-04-24 2000-01-11 Nippon Yohin Kk テント構成材
JP4201450B2 (ja) * 2000-02-16 2008-12-24 基憲 北原 テントの取り付け構造
JP3579790B2 (ja) * 2000-06-08 2004-10-20 太陽工業株式会社 開閉式膜構造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7535A (ja) * 1996-07-19 1998-02-10 Doushishiya:Kk フライシー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074B1 (ko) 2011-01-27 2013-01-21 이은수 하강식 비상탈출 구조대
KR20200060956A (ko) 2018-11-23 2020-06-02 장성우 비 차단 배수 및 전원컨센트 구비형 천막-텐트 구조물
US11834859B2 (en) 2021-08-12 2023-12-05 Shawn P. Reynolds Modular and portable shelter with integrated hu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665A (ko) 2010-01-29
JP2010024818A (ja) 2010-02-04
JP5086297B2 (ja) 201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7147B1 (ko) 복수 텐트의 연결확장 수단
US10808416B2 (en) Roof-top tent for vehicle
EP1516981B1 (en) Screen room enclosure and method of attachment thereof
US7987863B2 (en) Modular pole tent and joining means
KR100459334B1 (ko) 원터치 절첩식 텐트의 착탈수단
KR20030053001A (ko) 팽창식 텐트
KR102116841B1 (ko) 차량용 텐트
US5709238A (en) Tent-frame construction
KR200448072Y1 (ko) 텐트
KR20160050015A (ko) 차량 연결 기능을 갖는 텐트
WO2019198906A1 (ko) 원터치 텐트용 플라이
KR200470393Y1 (ko) 탈 부착형 전실 텐트
US11434657B1 (en) Protective cover for frame tent fittings
EP0428297B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tents
KR20090078376A (ko) 복수 텐트의 연결확장 수단
KR200433027Y1 (ko) 완전 개폐형 환기창이 구비된 텐트
WO2022245107A1 (ko) 차량용 루프탑 텐트
KR920004480Y1 (ko) 승용차용 커버
KR102263652B1 (ko) Suv 차량용 원터치 도킹 텐트
KR102325701B1 (ko) 차량연결형 캠핑 텐트
KR101938561B1 (ko) 연결이 가능한 타프스크린과 이를 이용한 텐트
KR102662407B1 (ko) 연결 가능한 대형 천막
KR102233435B1 (ko) 텐트
KR20110109678A (ko) 스크린 타프
JPH10110559A (ja) テントの外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