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8561B1 - 연결이 가능한 타프스크린과 이를 이용한 텐트 - Google Patents

연결이 가능한 타프스크린과 이를 이용한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8561B1
KR101938561B1 KR1020170005121A KR20170005121A KR101938561B1 KR 101938561 B1 KR101938561 B1 KR 101938561B1 KR 1020170005121 A KR1020170005121 A KR 1020170005121A KR 20170005121 A KR20170005121 A KR 20170005121A KR 101938561 B1 KR101938561 B1 KR 101938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velcro
tuft
tent
conn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5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3108A (ko
Inventor
서충기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70005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8561B1/ko
Publication of KR20180083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3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8Closures; Awnings; Sunsh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0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립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면서 그와 동시에 다른 타프스크린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타프스크린과 타프스크린을 이용한 텐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프스크린의 연결부는 타프스크린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 1 연결부와 타단에 위치하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는 타프스크린의 내측 방향인 연결부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 1 벨크로부와 제 1 벨크로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 2 벨크로부 상기 연결부의 끝에 위치하고, 스냅단추를 포함하는 제 3 벨크로부 지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트는 위와 같은 타프스크린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결이 가능한 타프스크린과 이를 이용한 텐트{CONNECTABLE TARPSCREEN, TEN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타프스크린을 이용한 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서로 연결이 가능한 타프스크린과 이를 이용한 텐트에 관한 것이다.
캠핑 장비 중 타프는 비, 바람 및 태양광을 차단하는 천막을 말한다. 다만 타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타프의 측면이 노출되어 주거에는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타프의 폴에 타프스크린을 설치하여 타프의 측면을 가릴 수 있으며 이를 타프스크린 하우스라 한다. 타프스크린 하우스는 텐트처럼 사용할 수 있다.
타프스크린 하우스 형태의 텐트 뿐만 아니라 다른 텐트도 텐트를 단독으로 설치한다면, 면적이 제한되어 많은 인원이 거주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이 점을 보완하고자 2개의 텐트를 결합하는 발명이 다수 출원, 등록된 바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텐트 연결 방식은 별도의 부수기재가 있어 텐트 외의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거나 연결 가능한 텐트의 개수나 방향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타프스크린 하우스 형태 텐트는 그러한 발명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본 발명은 독립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면서도, 서로 연결이 가능한 타프스크린과 상기 타프스크린을 이용한 텐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프스크린은 측단부에 벨크로, 지퍼, 스냅단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프스크린의 연결부는 타프스크린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 1 연결부와 타단에 위치하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프스크린의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는 타프스크린의 내측 방향인 연결부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 1 벨크로부와 제 1 벨크로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 2 벨크로부 상기 연결부의 끝에 위치하고, 스냅단추를 포함하는 제 3 벨크로부 지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트는 위와 같은 타프스크린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프스크린과 이를 이용한 텐트는 그 자체로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 수 개의 텐트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텐트 연결 방식과 차이점을 두어 연결 가능한 텐트의 개수나 방향에 제한이 적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텐트의 타프스크린이 접힌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텐트의 타프스크린이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텐트 간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텐트 간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타프스크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타프스크린을 이용한 텐트 간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present invention)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 가운데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 가운데 “제 1,”“제2,”“첫째,”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이 본 발명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 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타프스크린을 이용한 텐트(200)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타프(210), 폴(220), 타프스크린(100), 타프스크린에 포함되는 연결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타프 및 타프스크린을 이용한 텐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타프는 텐트의 천장에 위치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텐트 아래의 공간에 빛, 바람, 비 등을 막을 수 있다. 상기 타프는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삼각기둥의 형태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삼각기둥의 삼각형은 이등변삼각형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타프의 프레임을 설치할 때, 삼각기둥에 있는 두 개의 삼각형이 타프스크린 텐트의 전방과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삼각형의 길이가 같은 두 변이 비스듬히 위치할 수 있고 밑변이 지면과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과 조립이 가능하며, 타프와 타프스크린을 지지하기 위한 폴이 있을 수 있고 텐트의 균형 및 형태의 고정을 위하여 텐트에 수 개의 폴이 포함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직사각형의 형태로 텐트를 설치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므로, 폴이 4개이지만, 이는 텐트를 설치하는 방식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타프스크린의 설치를 위하여 상기 폴은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 중에서 두 개 이상의 폴에 타프스크린을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타프스크린의 양 단에는 폴을 결합하여 타프스크린을 세워 고정할 수 있으며 텐트의 일면을 가리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기둥에 고정된 타프스크린을 텐트의 전방, 후방 및 좌/우측면에 세울 수 있으며, 이를 타프스크린 하우스라고 칭한다.
도 1에서는 타프의 형태를 렉타타프로 도시하고 있으나, 타프의 형태는 헥사타프나 그 외의 형태도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트의 타프와 타프스크린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있어, 상기 타프스크린은 렉타타프의 전면, 후면, 좌우측면에서 렉타타프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혹은 도면에는 미도시되어있지만, 타프와 타프스크린은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일 수 있으며, 이 때 연결 방식은 벨크로 테이프, 매듭, 스냅단추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벨크로 테이프, 매듭, 스냅단추 등은 타프와 타프스크린의 모서리에 위치할 수 있다. 타프와 타프스크린이 일체로 형성된 경우 상기 텐트의 타프스크린은 접어서 렉타타프에 고정하거나 펼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미도시되어있으나, 타프 혹은 타프스크린은 접혀진 타프스크린의 고정을 위하여 별도의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텐트의 타프스크린이 접혀 있는 형태를 도시한다. 도 1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타프스크린을 접어서 올리거나, 타프스크린을 분리하면 텐트를 시중에서 판매되는 렉타타프처럼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텐트의 타프스크린이 펼쳐 있는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타프스크린을 펼치고 폴에 고정시키면 타프스크린 하우스와 일체로 구성된 텐트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타프스크린은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타프스크린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제 2 연결부는 상기 타프스크린의 양 단에 위치할 수 있다. 각 연결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체결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체결 수단으로는 벨크로, 스냅단추, 지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체결 수단은 앞서 설명한 것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제 2연결부는 제 1 벨크로부, 제 2 벨크로부, 스냅단추를 포함하는 제 3 벨크로부, 지퍼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프스크린의 연결부는 타프스크린이 타프에 연결된 모서리를 기준으로 타프스크린의 좌, 우측 끝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는 타프스크린의 양단으로부터 일정 너비만큼의 공간을 차지할 수 있다. 타프스크린의 일단에 제 1 연결부가 위치한다면 타단에 제 2 연결부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텐트의 원활한 설치를 위하여,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 사이의 거리는 텐트의 폴과 폴 사이의 거리보다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제 2 연결부에 포함되는 체결 수단으로는 벨크로, 스냅단추, 지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프스크린의 연결부의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 1 벨크로부는 타프스크린의 끝으로부터 안쪽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 벨크로부는 상기 제 1 벨크로부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벨크로부와 제 2 벨크로부 사이의 거리는 이후 설명할 결합관계를 고려할 때, 폴 둘레의 절반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벨크로부와 제 2 벨크로부는 타프스크린간의 결합을 위하여 동일하지는 않으나 서로 상응하는 관계일 수 있다, 제 1 벨크로부가 걸림고리를 포함하고 있다면 제 2 벨크로부는 갈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3 벨크로부는 상기 제 2 벨크로부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타프스크린의 끝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3 벨크로부는 수 개의 스냅단추를 포함할 수 있다. 지퍼부는 상기 제 2 벨크로부와 제 3 벨크로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부의 각 구성요소들과 제 2 연결부의 각 구성요소들은 서로 동일하지는 않으나, 상응하는 관계일 수 있다. 제 1 연결부의 제 1 벨크로부가 걸림고리를 포함하고 있다면, 제 2 연결부의 제 1 벨크로부는 갈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연결부의 제 3 벨크로부가 갈고리를 포함하고 있다면, 제 2 연결부의 제 3 벨크로부는 걸림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연결부의 스냅단추가 볼 원반을 포함한다면 제 2 연결부의 스냅단추는 소켓 원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연결부의 지퍼부가 지퍼의 이를 포함한다면, 제 2 연결부의 지퍼부는 지퍼의 이, 슬라이드, 손잡이 및 막음쇠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타프스크린을 이용한 텐트 간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트와 타프스크린을 이용하여 수 개의 텐트를 연결할 때, 텐트와 텐트 사이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을 수 있다. 요약하자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트의 연결관계는, 텐트의 폴을 연결부의 일부분으로 감싼 후에, 그 위에 지퍼가 잠기고, 마지막으로 벨크로와 스냅단추방식으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타프스크린의 구체적인 결합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 1 텐트의 타프스크린과 제 2텐트의 타프스크린이 서로 인접하도록 제 1텐트와 제 2 텐트를 설치한다. 구체적으로는 서로 대응하는 연결부가 인접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 1 텐트 타프스크린의 제 1 연결부와 제 2 텐트 타프스크린의 제 2 연결부가 인접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상기 제 1텐트의 타프스크린과 제 2 텐트의 타프스크린은 동일한 타프스크린일 수 있다.
먼저 제 1 텐트의 제 1 벨크로부와 제 2 텐트의 제 1 벨크로부는 서로 상응하는 형태인 바, 각 텐트의 제 1 벨크로부를 연결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1, 제 2 텐트의 제 1 연결부의 양 쪽 방향으로 타프스크린이 연장되는 형태로 결합되어있을 수 있다. 상기 결합된 연결부로 폴을 감싼 후에 제 1 연결부의 제 2 벨크로부와 제 2 연결부의 제 2 벨크로부를 결합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1, 제 2 텐트의 제 1 벨크로부와 제 2 벨크로부는 서로 마주보는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결합된 제 1 벨크로부와 제 2 벨크로부 사이에는 타프스크린의 일부로 둘러싸인 공간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폴의 형상과 유사할 수 있다. 텐트의 폴은 상기 제 1, 제 2 벨크로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부의 제 1 벨크로부와 제 2 벨크로부가 연결되었다면, 제 1, 제 2 텐트의 지퍼부를 잠글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 1 텐트와 제 2 텐트의 제 3 벨크로부를 서로 결합한 후, 제 3 벨크로부에 있는 스냅단추를 결합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결합과정을 거친 결과, 두 개의 타프스크린을 서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텐트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트의 전면, 후면, 좌/우 측면에 있는 타프스크린 모두에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존의 일반적인 텐트의 연결방식을 이용하면, 텐트 2개 사이에 보조적 연결수단을 체결하며, 그 이상의 텐트를 연결하는 것은 다소 어려움이 따른다. 그에 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트를 이용하면,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세로방향으로 수 개의 텐트를 연결하거나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가로방향으로 수 개의 텐트를 일렬로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 혹은 세로 방향에 관계없이 수 개의 텐트를 연결할 수도 있다. 그리고, 연결된 텐트 내부의 스크린을 펼쳐서 공간을 나누는 칸막이처럼 활용할 수 있으며, 또는 스크린을 접어서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텐트간 연결의 자유도가 기존의 텐트 연결 방식보다 높을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 되어있지 않으나, 타프스크린의 연결부를 연결함에 있어 추가적인 연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가령 텐트와 연결부를 고정하기 위하여 연결부에 인접하게 세로 방향으로 일렬로 수개의 구멍을 배치할 수 있다. 타프스크린의 양 단은 노끈을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제 2 타프스크린의 결합을 완료한 뒤, 노끈으로 상기 구멍을 통과하여 연결부 주변을 둘러싼 후, 매듭을 지어 추가적인 결합을 하여 폴과 타프스크린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프스크린 연결부 내부에 고무줄과 같은 탄성력이 강한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타프스크린의 제1연결부와 제2타프스크린의 제2연결부 사이의 거리를 폴의 직경보다 짧게 한 후, 상기 제1타프스크린의 제1연결부와 상기 제2타프스크린의 제2연결부 사이에 고무줄과 같은 탄성력이 있는 부재를 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폴 주변의 타프스크린을 고정함에 있어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는 별개로 도면에는 미도시 되어있으나,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상기 제 1 텐트의 타프와 제 2 텐트의 타프를 연결하는 것 역시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 1 텐트와 제 2 텐트를 연결할 때 노끈, 매듭, 고무줄 등을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연결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100 - 타프스크린
110 - 제 1 연결부
111 - 제 1 벨크로부
112 - 제 2 벨크로부
113 - 제 3 벨크로부
114 - 스냅 단추
115 - 지퍼
120 - 제 2 연결부
121 - 제 1 벨크로부
122 - 제 2 벨크로부
123 - 제 3 벨크로부
124 - 스냅 단추
125 - 지퍼
200 - 텐트
201 - 제 1 타프스크린
202 - 제 2 타프스크린
210 - 타프
220 - 폴

Claims (5)

  1. 타프스크린에 있어,
    상기 타프스크린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타프스크린의 타단에 위치하는 제2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 각각은
    타프스크린의 내측방향인 연결부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1벨크로;
    상기 제1벨크로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벨크로;
    상기 제2벨크로와 일정거리 이격되며,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위치하고, 스냅단추를 포함하는 제3벨크로;
    상기 제2벨크로와 상기 제3벨크로 사이에 위치하는 지퍼;
    를 포함하고,

    제1타프스크린의 제1연결부와 제2타프스크린의 제2연결부 사이의 거리를 폴의 직경보다 짧게 한 후, 상기 제1타프스크린의 제1연결부와 상기 제2타프스크린의 제2연결부 사이에 고무줄과 같은 탄성력이 있는 부재; 및
    상기 타프스크린의 각 연결부 주변에 세로 방향으로 일렬로 수개의 구멍을 배치하고 양단에 노끈을 포함시켜 매듭을 지을 수 있도록 하는 추가적인 연결수단;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연결이 가능한 타프스크린.
  2. 삭제
  3. 타프스크린을 이용한 텐트에 있어,
    천장부에 위치하는 타프;
    상기 텐트와 상기 타프를 지지하는 폴;
    상기 타프와 일체로 구성되는 타프스크린;

    상기 타프스크린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타프스크린의 타단에 위치하는 제2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 각각은
    타프스크린의 내측방향인 연결부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1벨크로;
    상기 제1벨크로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벨크로;
    상기 제2벨크로와 일정거리 이격되며,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위치하고, 스냅단추를 포함하는 제3벨크로;
    상기 제2벨크로와 상기 제3벨크로 사이에 위치하는 지퍼;
    를 포함하고,

    제1타프스크린의 제1연결부와 제2타프스크린의 제2연결부 사이의 거리를 폴의 직경보다 짧게 한 후, 상기 제1타프스크린의 제1연결부와 상기 제2타프스크린의 제2연결부 사이에 고무줄과 같은 탄성력이 있는 부재; 및
    상기 타프스크린의 각 연결부 주변에 세로 방향으로 일렬로 수개의 구멍을 배치하고 양단에 노끈을 포함시켜 매듭을 지을 수 있도록 하는 추가적인 연결수단;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연결이 가능한 타프스크린을 이용한 텐트.
  4. 타프스크린을 이용한 텐트에 있어,
    천장부에 위치하며 모서리에 체결수단을 구비하는 타프;
    상기 텐트와 상기 타프를 지지하는 폴;
    상기 타프의 체결수단과 상응하는 체결수단을 상단부에 포함하는 타프스크린;

    상기 타프스크린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타프스크린의 타단에 위치하는 제2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 각각은
    타프스크린의 내측방향인 연결부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1벨크로;
    상기 제1벨크로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벨크로;
    상기 제2벨크로와 일정거리 이격되며,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위치하고, 스냅단추를 포함하는 제3벨크로;
    상기 제2벨크로와 상기 제3벨크로 사이에 위치하는 지퍼;
    를 포함하고,

    제1타프스크린의 제1연결부와 제2타프스크린의 제2연결부 사이의 거리를 폴의 직경보다 짧게 한 후, 상기 제1타프스크린의 제1연결부와 상기 제2타프스크린의 제2연결부 사이에 고무줄과 같은 탄성력이 있는 부재; 및
    상기 타프스크린의 각 연결부 주변에 세로 방향으로 일렬로 수개의 구멍을 배치하고 양단에 노끈을 포함시켜 매듭을 지을 수 있도록 하는 추가적인 연결수단;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연결이 가능한 타프스크린을 이용한 텐트.
  5. 삭제
KR1020170005121A 2017-01-12 2017-01-12 연결이 가능한 타프스크린과 이를 이용한 텐트 KR101938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121A KR101938561B1 (ko) 2017-01-12 2017-01-12 연결이 가능한 타프스크린과 이를 이용한 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121A KR101938561B1 (ko) 2017-01-12 2017-01-12 연결이 가능한 타프스크린과 이를 이용한 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108A KR20180083108A (ko) 2018-07-20
KR101938561B1 true KR101938561B1 (ko) 2019-01-16

Family

ID=63103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5121A KR101938561B1 (ko) 2017-01-12 2017-01-12 연결이 가능한 타프스크린과 이를 이용한 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856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025B1 (ko) * 2013-08-14 2014-03-24 주식회사 캠핑에이비씨 설치가 용이한 타프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7389A (ko) * 2010-12-16 2012-06-26 송문천 조립식 블록 텐트
KR20150002922U (ko) * 2014-01-20 2015-07-29 정병곤 모기장이 설치된 글램핑 텐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025B1 (ko) * 2013-08-14 2014-03-24 주식회사 캠핑에이비씨 설치가 용이한 타프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108A (ko) 2018-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3371A (en) Portable shelter
US7178537B2 (en) Ring and pole connector assembly for a tent corner
US20030084933A1 (en) Detachable means for instant setup foldable tent
US20070295378A1 (en) Tent Frame fitted for Multiple Canopies
US20060060310A1 (en) Portable privacy screen
WO2001048338A1 (en) Unitary, collapsible tri-panel structures__
US20190032339A1 (en) Privacy and weather protection barrier
US8573239B2 (en) Collapsible, portable structure
KR101938561B1 (ko) 연결이 가능한 타프스크린과 이를 이용한 텐트
US10119298B2 (en) Convenient tent
AU2017206272A1 (en) Frame for self-supporting shelter
KR102018104B1 (ko) 전실공간이 확보된 돔 익스텐션 원터치텐트
KR100926452B1 (ko) 텐트의 차양막 구조
KR20200000596U (ko) 차량용 텐트
US20070079857A1 (en) Tent assembly having a curtain
KR101440243B1 (ko) 자립형 타프
KR101999192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야전침대용 캐노피
US1969260A (en) Supporting fabrication for tents
KR101061823B1 (ko) 조립식 천막
JP5595570B1 (ja) 折畳み式テント
KR102662407B1 (ko) 연결 가능한 대형 천막
KR200215043Y1 (ko) 그늘망
CN220319249U (zh) 一种围栏式自动帐篷
US20150330098A1 (en) Portable tensegrity structure
KR20140003671U (ko) 타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