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4559A - 텐트 - Google Patents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4559A
KR20150144559A KR1020140073492A KR20140073492A KR20150144559A KR 20150144559 A KR20150144559 A KR 20150144559A KR 1020140073492 A KR1020140073492 A KR 1020140073492A KR 20140073492 A KR20140073492 A KR 20140073492A KR 20150144559 A KR20150144559 A KR 20150144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pole
support
tent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3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준식
Original Assignee
우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준식 filed Critical 우준식
Priority to KR1020140073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4559A/ko
Publication of KR20150144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45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2Supporting means, e.g. frames external type, e.g. frame outside cover
    • E04H15/425Flexible suppor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0P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2015/326Frame members connected by elastic co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텐트의 골격을 이루는 폴대가 바람이나 외력에 의해 꺾이지 않도록 하여 텐트의 변형,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텐트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텐트본체부, 상기 텐트본체부에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텐트본체부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폴대부, 일측이 상기 폴대부에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텐트본체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폴대부와 마주하는 다른 폴대부에 설치되어 상기 폴대부를 고정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텐트{tent}
본 발명은 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텐트는 사용자가 캠핑 또는 야외에서 임시로 거처할 수 있으며 바람, 비, 해충을 막아주는 외피와 다수개의 폴들로 구성되며, 이러한 외피를 다수개의 폴로 지지 및 연결하여 다양한 형태의 텐트를 형성하게 된다.
즉, 다수개의 폴을 상호 연결하여 직선 또는 곡선의 아치형을 이루어 그 골격을 형성하고, 외피를 펼쳐 폴에 연결하여, 폴이 형성하는 골격에 따라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텐트의 전체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폴을 복수개로 분할하여 보관 및 휴대하기 간편하게 구성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텐트에 바람이나 외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복수개로 분할된 폴의 연결부분이 꺾이게 되어, 결과적으로 텐트가 뒤틀려져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558356호(2006.02.28) 등록특허공보 제10-1268221호(2013.05.2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텐트의 골격을 이루는 폴대가 바람이나 외력에 의해 꺾이지 않도록 하여 텐트의 변형,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텐트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텐트본체부, 상기 텐트본체부에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텐트본체부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폴대부, 일측이 상기 폴대부에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텐트본체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폴대부와 마주하는 다른 폴대부에 설치되어 상기 폴대부를 고정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폴대부는,
두 개 이상으로 분할되고 일측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의 폴대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폴대부재들의 마주하는 부분을 연결하는 제1연결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폴대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1암연결부, 상기 폴대부재의 타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1수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암연결부는 내부에 제1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수연결부는 마주하는 다른 폴대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제1암연결부의 제1삽입홈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폴대부재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일부분이 상기 제1암연결부의 제1삽입홈을 통과하여 마주하는 폴대부재에 형성된 제1수연결부에 고정되며, 탄성력을 통해 상기 제1수연결부를 당겨 제1삽입홈에 고정시키는 탄성고정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일측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의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가 마주하는 부분을 연결하는 제2연결부,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의 일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부에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제1지지부재의 타측에 형성되며 내부에 제2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 상기 제2삽입홈과 연결되는 이동안내용홀이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안내용홀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는 제1스토퍼가 돌출형성되어 있는 제2암연결부, 상기 제2지지부재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2삽입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제2수연결부, 상기 제2수연결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안내용홀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이동안내부, 상기 이동안내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2암연결부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2암연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되며 일측에 상기 제1스토퍼의 일면을 타고 넘어가 그 반대면과 맞물려 고정되는 맞물림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수연결부의 내부에는 상기 제2암연결부의 제2삽입홈과 연결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이 상기 제2암연결부의 제2삽입홈 측벽에 결합되고 이와 반대되는 타측이 상기 제2수연결부의 삽입홈 측벽에 결합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 각각은 상기 장착부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가 마주하는 부분에 순차적으로 관통설치되어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가 상기 제2연결부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의 마주하는 부분을 지탱하기 위한 지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탱부는,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설치편, 상기 텐트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편, 상기 지지편을 관통하며 상기 관통하는 부분을 기준으로 일측이 상기 설치편에 연결되고 이와 반대되는 타측은 상기 지지편의 외부로 노출되는 지탱부재, 상기 지탱부재의 타측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편과 접촉되어 상기 지탱부재가 하강되지 않도록 하는 제2스토퍼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텐트는, 폴대부가 제1연결부를 통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연결부에 지지부가 결합되어 폴대부를 지지함에 따라, 바람이나 외력에 의해 폴대부가 꺾이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텐트의 파손을 방지하고 이상변형 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수반된다.
또한, 지지부가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로 분할되어 있고,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가 마주하는 부분이 회동가능함에 따라, 사용자는 텐트본체부의 내부 또는 외부로 출입하고자 할 경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가 마주하는 부분을 위로 올리기만 하면 텐트본체부에 출입할 수 있는 공간이 일시적으로 넓어지도록 할 수 있어 텐트본체부에 대한 출입이 용이하면서도 폴대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폴대부재,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가 서로 맞닿도록 접을 수 있음에 따라 텐트를 분리하여 보관장소에 보관할 경우나 텐트를 차량에 적재할 경우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텐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텐트에 적용된 폴대부재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텐트에 적용된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가 제2연결부를 통해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텐트에 적용된 제2연결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제2연결부를 통해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가 회동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텐트에 적용된 제2연결부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제2연결부를 통해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텐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텐트에 적용된 폴대부재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텐트에 적용된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가 제2연결부를 통해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텐트에 적용된 제2연결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이며,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제2연결부를 통해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가 회동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텐트에 적용된 제2연결부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제2연결부를 통해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텐트(1)는, 텐트본체부(10), 폴대부(20), 지지부(30)를 포함한다.
상기 텐트본체부(10)는 천정면(11), 측면(12), 바닥면(13)을 포함하여 내부에 사용자가 들어가거나 물건을 보관할 수 있는 수용공간(10a)이 형성된다.
상기 천정면(11)에는 가림막(미도시)이 별도의 폴대부(20)를 통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림막은 상기 텐트본체부(1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햇빛 또는 우천시 빗물이 상기 텐트본체부(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측면(12)의 각 테두리 부분에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삽입부(121)가 상기 측면(12)의 수직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어, 후술되는 폴대부(20)가 상기 텐트본체부(10)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12)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일반적인 텐트와 동일하게 개폐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수용공간(10a)으로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가 형성됨과 동시에 방충망(123)이 일체로 구비되어 여름철에 모기나 벌레 등의 해충이 상기 텐트본체부(10)의 수용공간(10a)에 들어가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충망(123)은 지퍼를 통해 상기 측면(12)에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방충망(123)이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측면(12)의 각 테두리 부분 중 최하단에는 상기 텐트본체부(1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편(122)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편(122)에는 텐트본체부(10)를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편(122)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형태로 맞닿도록 한 다음 대략 못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상부에 고리가 형성된 앵커(미도시)의 하부가 상기 관통홀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지면과 맞닿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앵커의 상단을 망치나 해머 등으로 타격하면 상기 앵커가 땅속에 박히면서 그 상단이 고정편(122)을 지면에 밀착시키게 되어, 상기 텐트본체부(10)가 지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면(13)은 방수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서, 우천시나 텐트(1)를 설치하기 위한 지면이 젖었을 경우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대부(20)는 상기 텐트본체부(10)를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측면(12)의 각 테두리에 형성된 삽입부(121)에 삽입되고, 그 하단이 지면과 맞닿는다.
이러한 폴대부(20)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텐트본체부(10)가 직선 또는 곡선의 아치형 등 일반적인 텐트형상을 이루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폴대부(20)는 두 개 이상으로 분할되면서 일측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의 폴대부재(21)를 포함하고, 상기 폴대부재(21)들의 마주하는 부분은 제1연결부(22)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1연결부(22)는 상기 폴대부재(21)들을 연결하는 기능 뿐만 아니라 상기 폴대부재(21)들이 접힘가능한 구조로도 구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다시 제1암연결부(221)와 제1수연결부(222)로 나뉘어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제1암연결부(221)는 각 폴대부재(21)의 일측에 형성되며 일측이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상기 개방된 부분과 연결되는 제1삽입홈(22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수연결부(222)는 상기 폴대부재(21)의 타측에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 삽입돌기(22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돌기(2221)는 마주하는 다른 폴대부재(21)에 형성되어 있는 제1암연결부(221)의 제1삽입홈(2211)에 삽입됨으로 인해, 상기 분할된 폴대부재(21)들이 연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제1암연결부(221)와 제1수연결부(222)는 후술되는 장착부(311,321)가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서로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폴대부재(21)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폴대부재(21)들의 연결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탄성고정부(40)가 더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고정부(40)는 고무줄 등과 같이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고정부(40)는 상기 폴대부재(21)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일부분이 상기 내부공간의 벽면에 고정되고 이와 반대부분은 상기 제1암연결부(221)의 제1삽입홈(2211)을 통과하여 상기 제1수연결부(222)의 삽입돌기(2221)에 고정된다.
이로 인해 폴대부재(21)들은 상기 탄성고정부(40)를 통해 결합된 구조가 된다.
이러한 탄성고정부(40)는 탄성력을 통해 상기 삽입돌기(2221)를 당겨 제1삽입홈(2211)에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 폴대부재(21)들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폴대부재(21)가 제1암연결부(221)와 제1수연결부(222)를 통해 분리 가능하고 상기 탄성고정부(40)를 기준으로 꺾임 가능한 구조로 구현됨에 따라, 텐트(1)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 양손으로 서로 다른 폴대부재(21)를 각각 잡은 다음 상기 폴대부재(21)들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탄성고정부(40)가 신장되면서 상기 삽입돌기(2221)가 제1삽입홈(2211)에서 인출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폴대부재(21)들의 측면이 서로 맞닿도록 꺾으면 상기 폴대부재(21)가 탄성고정부(40)를 기준으로 접히게 되며 고무링이나 밴드 등을 통해 상기 폴대부재(21)들의 접힘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상기 폴대부재(21)들을 접힘 가능한 구조로 구현할 수 있음에 따라 텐트를 분리하여 보관장소에 보관할 경우나 텐트를 차량에 적재할 경우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30)는 상기 폴대부재(21)의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상기 제1연결부(22)에 장착되어 상기 제1암연결부(221)와 제1수연결부(222)의 연결부위가 바람이나 외력에 의해 꺾이지 않고 부동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제1지지부재(31)와 제2지지부재(32)로 분할되어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31)와 제2지지부재(32)는 전체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직사각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폴대부재(21)를 지지하므로서 상기 제1암연결부(221)와 제1수연결부(222)의 연결부위가 꺾이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제1지지부재(31)와 제2지지부재(32)는 장착부(311,321)를 통해 상기 제1연결부(22)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일측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이고 상기 마주보는 부분은 제2연결부(50)를 통해 연결된다.
먼저 상기 장착부(311)는 상기 제1지지부재(31)와 제2지지부재(32)의 일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부(22)의 지름과 동일한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암연결부(221)와 제1수연결부(222)의 일부분을 동시에 감싸는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50)는 다시 제2암연결부(51)와 제2수연결부(52)와 이동안내부(53)와 고정부(54)로 나뉘어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제2암연결부(51)는 상기 제1지지부재(31)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지지부재(31)를 사이에 두고 상기 장착부(311)와 대칭되는 형태가 된다.
이러한 제2암연결부(51)의 내부에는 후술되는 제2수연결부(52)가 수용될 수 있는 제2삽입홈(511)이 형성되어 있고, 상측에 상기 제2삽입홈(511)과 연결되며 후술되는 이동안내부(53)의 왕복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이동안내용홀(512)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암연결부(51)의 상면에는 상기 이동안내용홀(512)과 일정간격 이격되며 후술되는 고정부(54)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1스토퍼(513)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2수연결부(52)는 상기 제2지지부재(32)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지지부재(32)를 사이에 두고 상기 장착부(321)와 대칭되는 형태가 된다.
이러한 제2수연결부(52)는 상기 제2삽입홈(511)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삽입홈(5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된다. 또한, 상기 제2수연결부(52)의 내부에는 상기 제2암연결부(51)의 제2삽입홈(511)과 연결되는 삽입홈(5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암연결부(51)의 제2삽입홈(511)과 제2수연결부(52)의 삽입홈(521)에는 코일스프링 형태의 탄성부(55)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탄성부(55)는 일부분이 상기 제2암연결부(51)의 제2삽입홈(511)에 수용된 상태에서 그 일단이 상기 제2삽입홈(511)의 측벽에 결합되고 나머지 일부분은 상기 제2수연결부(52)의 삽입홈(521)에 수용된 상태에서 그 일단이 상기 삽입홈(521)의 측벽에 결합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지지부재(31)와 제2지지부재(32)는 상기 탄성부(55)를 매개로 하여 연결된다.
상기 이동안내부(53)는 상기 제2수연결부(52)의 상면으로 돌출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안내용홀(512)에 수용된다. 상기 이동안내부(53)는 상측부분이 제2암연결부(51)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이동안내용홀(5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된다.
이때, 상기 이동안내부(53)는 후술되는 고정부(54)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재질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54)는 상기 제1지지부재(31)와 제2지지부재(32)의 연결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연결을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 저면이 상기 이동안내부(53)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안내부(53)가 이동안내용홀(5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할 경우 제2암연결부(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54)는 상기 이동안내부(53)의 상측에 결합됨으로 인해 상기 제2암연결부(51)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2암연결부(51)의 외면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해 상기 고정부(54)는 상기 이동안내부(53)를 기준으로 그 양측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54)의 일측에는 하부를 향해 절곡되는 형태의 맞물림돌기부(54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맞물림돌기부(541)는 상기 고정부(54)에 일체로 형성됨으로 인해, 상기 고정부(54)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로 인해 도 3과 같이 제1지지부재(31)와 제2지지부재(32)가 멀어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지지부재(31)와 제2지지부재(32)가 가까워지는 형태가 되도록 밀면, 상기 탄성부(55)가 압축되고 상기 맞물림돌기부(541)가 상기 제1스토퍼(513)와 가까워진다.
그리고 상기 맞물림돌기부(541)가 제1스토퍼(513)와 가까워지면 상기 고정부(54)를 손가락 등으로 눌러 상기 맞물림돌기부(541)가 상측으로 회동되도록 하면 상기 맞물림돌기부(541)가 제1스토퍼(513)보다 높은 곳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제1지지부재(31)와 제2지지부재(32)가 더 가까워지는 형태가 되도록 밀면 상기 맞물림돌기부(541)가 상기 제1스토퍼(513)의 상부로 통과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맞물림돌기부(541)가 상기 제1스토퍼(513)의 상부를 통과하면 상기 맞물림돌기부(541)가 원래의 위치로 회동복원되도록 하면 상기 맞물림돌기부(541)가 제1스토퍼(513)의 반대면과 맞물려 상기 제2암연결부(51)와 제2수연결부(52)가 연결되면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연결된 지지부(30)를 장착부(311,321)를 통해 제1연결부(22)에 장착하면 제1암연결부(221)와 제1수연결부(222)의 연결부위가 바람이나 외력에 의해 꺾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55)를 통해 제2암연결부(51)와 제2수연결부(52)가 연결되어 있음으로 인해 강한 바람이나 외력에 의해 상기 폴대부(20)에 충격이 가해져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꺾일 경우 상기 제2암연결부(51)와 제2수연결부(52)가 순간적으로 가까워지면서 상기 탄성부(55)를 압축시켰다가, 상기 탄성부(55)의 복원력의 의해 다시 원래의 형태로 멀어지게 된다.
즉, 상기 탄성부(55)는 폴대부(2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킴에 따라 폴대부(20)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여 수명이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텐트에 적용된 제2연결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제1지지부재(31)와 제2지지부재(32) 각각은 그 일측이 장착부(311,321)에 힌지를 통해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지지부재(31)와 제2지지부재(32)의 일측에는 중공을 갖는 힌지편(31a,32a)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착부(311,321)에는 상기 힌지편(31a,32a)과 마주하며 중공을 갖는 힌지편(3111,32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31)의 힌지편(31a)과 장착부(311)의 힌지편(3111)이 서로 맞닿도록 한 다음 상기 힌지편(31a,3111)의 중공에 볼트 형태의 회전축을 관통설치하고, 상기 관통된 부분에 너트 형태의 고정부재를 체결하면 상기 제1지지부재(31)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지지부재(32)의 힌지편(32a)과 장착부(321)의 힌지편(3211)이 서로 맞닿도록 한 다음 상기 힌지편(32a,3211)의 중공에 볼트 태의 회전축을 관통설치하고, 상기 관통된 부분에 너트 형태의 고정부재를 체결하면 상기 제2지짖부재(32)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부재(31)와 제2지지부재(32)가 마주하는 부분도 힌지를 통해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지지부재(31)와 제2지지부재(32)의 서로 마주하는 부분에는 중공을 갖는 힌지편(31b,32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31)의 힌지편(31b)과 제2지지부재(32)의 힌지편(32b)이 서로 맞닿도록 한 다음 상기 힌지편(31b,32b)에 볼트 형태의 제2연결부(70)를 관통설치하고, 상기 관통된 부분에 너트 형태의 고정부재를 체결하면 상기 제1지지부재(31)와 제2지지부재(32)는 상기 제2연결부(70)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지지부재(31)와 제2지지부재(32)의 마주하는 부분은 지탱부(60)를 통해 지탱된다.
상기 지탱부(60)는 다시 설치편(61), 지지편(62), 지탱부재(63), 제2스토퍼(64)로 나뉘어 구성된다.
먼저, 상기 설치편(61)은 상기 제1지지부재(31)와 제2지지부재(32) 중 어느 하나의 상면에 설치되며 설치되며 후술되는 지탱부재(63)가 설치될 수 있는 설치홀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편(62)은 상기 텐트본체의 상부에 접착재 또는 재봉 등을 통해 설치되며 상기 설치편(61)과 수직선상에 위치된다.
상기 지지편(62)에는 후술되는 지탱부재(63)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지탱부재(63)는 일반적인 끈 형태이고 상기 지지편(62)의 관통홀을 관통하며 일부분이 상기 관통홀에 걸쳐지는 형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지탱부재(63) 중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는 부분을 기준으로 일측이 상기 설치편(61)의 설치홀에 연결되고 이와 반대되는 타측은 상기 지지편(62)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지탱부재(63)는 상기 설치홀에 묶음 결합되거나 접착제 등의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토퍼(64)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튜브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2스토퍼(64)는 상기 지탱부재(63)의 타측, 즉 상기 지탱부재(63) 중 지지편(62)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의 외주연에 장착되며 일단이 상기 지지편(62)의 측면(12)과 접촉되어 상기 지탱부재(63)가 제1지지부재(31)와 제2지지부재(32)의 하중에 의해 하강되지 않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지탱부재(63)는 상기 제1지지부재(31)와 제2지지부재(32)를 지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외부에서 상기 텐트본체부(10)의 수용공간(10a)으로 들어가고자 할 경우, 또는 텐트본체부(10)의 수용공간(10a)에서 외부로 나가고자 할 경우 상기 제1지지부재(31)와 제2지지부재(32)가 마주하는 부분을 위로 올리게 되면 상기 마주하는 부분이 상부로 회동되어 텐트본체부(10)에 출입할 수 있는 공간이 일시적으로 넓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텐트본체부(10)에 출입이 완료되었을 경우 상기 제1지지부재(31)와 제2지지부재(32)에서 손을 떼면 상기 마주하는 부분이 하부로 회동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제2스토퍼(64)가 상기 지지편(62)과 접촉되어 상기 제1지지부재(31)와 제2지지부재(32)가 수평을 이루면서 상기 제1연결부(22)를 지지하므로서, 상기 폴대부(20)가 바람이나 외력에 의해 꺾이지 않도록 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지탱부재(63) 중 상기 지지편(62)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의 길이를 보다 길게 형성할 경우,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1지지부재(31)와 제2지지부재(32)의 마주하는 부분을 위로 올리는 대신 지탱부재(63)를 아래로 당겨 상기 마주하는 부분이 상부로 회동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텐트본체부(10)에 출입할 수 있는 공간이 일시적으로 넓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 상기 지탱부재(63) 중 상기 지지편(62)의 외부로 노출된 놓게 되면 상기 제1지지부재(31)와 제2지지부재(32)의 마주하는 부분이 하부로 회동되고, 이로 인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부재(31)와 제2지지부재(32)가 수평을 이루면서 상기 제1연결부(22)를 지지하므로서, 상기 폴대부(20)가 바람이나 외력에 의해 꺾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텐트에 적용된 제2연결부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제2연결부(80)는 다시 암연결부(81)와 수연결부(82)와 고정부(83)와 탄성부(84)로 나뉘어 구성된다.
먼저, 상기 암연결부(81)는 상기 제1지지부재(31)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지지부재(31)를 사이에 두고 상기 장착부(311)와 대칭되는 형태가 된다.
이러한 암연결부(81)의 내부에는 후술되는 수연결부(82)가 수용될 수 있는 삽입홈(811)이 형성되어 있고, 외면에는 후술되는 고정부(83)가 결합될 수 있는 고정홈(812)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고정홈(812)은 고정부(83)와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두 개가 한조를 이루어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수연결부(82)는 상기 제2지지부재(32)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지지부재(32)를 사이에 두고 상기 장착부(321)와 대칭되는 형태가 된다.
상기 수연결부(82)에는 후술되는 고정부(83)가 설치될 수 있는 두 개의 홈과, 탄성부(84)가 설치될 수 있는 두 개의 홈이 대칭형성되어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수연결부(82)의 일측에는 삽입돌기(8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돌기(821)는 상기 암연결부(81)의 삽입홈(811)에 삽입됨으로 인해 상기 제1지지부재(31)와 제2지지부재(32)가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부(83)는 단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수연결부(82)의 외면에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결합된다.
상기 고정부(83)의 일부분은 상기 수연결부(82)를 향해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된 부분은 상기 수연결부(81)의 홈에 힌지(100)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83)의 다른 부분은 상기 암연결부(81)의 외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마주한다. 상기 암연결부(81)의 외면과 마주하는 부분에는 고정돌기(831)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831)는 상기 암연결부(81)의 고정홈(812)에 삽입고정됨으로 인해, 상기 암연결부(81)와 수연결부(82)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84)는 상기 고정부(83)의 회동작동을 안내하는 것으로, 일부분이 상기 수연결부(82)의 각각의 홈에 수용되는 형태이며 나머지 부분은 상기 홈의 외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된 부분의 일단은 상기 고정부(84)의 일면과 결합된다.
이로 인해 상기 고정부(84)는 수연결부(82)의 외면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가 되어 상기 힌지(100)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도 9와 같이 상기 제1지지부재(31)와 제2지지부재(32)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지지부재(31)와 제2지지부재(32)를 결합하고자 할 경우, 상기 고정부(83) 중 탄성부(84)와 결합된 부분에 손가락을 갖다 댄 다음 화살표 방향으로 누른다.
이렇게 되면 상기 탄성부(84)가 압축되면서 고정부(83)가 힌지(100)를 기준으로 회동되는데, 상기 탄성부(84)와 결합된 부분은 상기 수연결부(82)과 가까워지고 상기 고정돌기(831)가 형성된 부분은 수연결부(82)와 멀어지게 되어 상기 암연결부(81)가 고정부(83)의 사이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암연결부(81)가 고정부(83)의 사이로 인입된 상태에서 삽입돌기(821)가 고정홈(812)에 삽입되도록 한 다음 상기 고정부(83) 중 탄성부(84)와 결합된 부분에서 손가락을 떼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84)가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어 상기 고정부(83)가 암연결부(81)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고정돌기(831)가 고정홈(812)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암연결부(81)와 수연결부(82)가 결합되며, 이로 인해 상기 제1지지부재(31)와 제2지지부재(32)가 연결되어 폴대부재(21)를 지지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제1지지부재(31)와 제2지지부재(32)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 상기 고정부(83) 중 탄성부(84)와 결합된 부분에 손가락을 갖다 댄 다음 화살표 방향으로 누른다.
이렇게 되면 상기 탄성부(84)가 압축되면서 고정부(83)가 힌지(100)를 기준으로 회동되는데, 상기 탄성부(84)와 결합된 부분은 상기 수연결부(82)과 가까워지고 상기 고정돌기(831)가 형성된 부분은 수연결부(82)와 멀어지게 되어 상기 고정부(83)의 고정돌기(831)가 암연결부(81)의 고정홈(812)에서 인출된다.
이 상태에서 제1지지부재(81)와 제2지지부재(82)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상기 삽입돌기(821)가 삽입홈(811)에서 인출되어 제1지지부재(81)와 제2지지부재(82)를 분리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암연결부(81)와 수연결부(82)는 탄성고정부(90)를 통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제1지지부재(81)와 제2지지부재(82)를 분리하였을 경우 접힘가능한 구조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고정부(90)는 상기 탄성고정부(40)와 같이 고무줄과 같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고정부(90)는 상기 제1지지부재(31)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일부분이 상기 내부공간의 벽면에 고정되고 이와 반대되는 부분은 상기 암연결부(81)의 삽입홈(811)을 통과하여 상기 수연결부(82)의 삽입돌기(831)에 고정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지지부재(31)와 제2지지부재(32)는 탄성고정부(90)를 통해 결합된 구조가 된다.
이러한 탄성고정부(90)는 탄성력을 통해 상기 삽입돌기(831)를 당겨 삽입홈(811)에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 제1지지부재(31)와 제2지지부재(32)가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제1지지부재(31)와 제2지지부재(32)가 암연결부(81)와 수연결부(82)를 통해 분리 가능하고 상기 탄성고정부(90)를 기준으로 꺾임 가능한 구조로 구현됨에 따라, 텐트(1)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 양손으로 제1지지부재(31)와 제2지지부재(32)를 각각 잡은 다음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탄성고정부(90)가 신장되면서 상기 삽입돌기(821)가 삽입홈(811)에서 인출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지지부재(31)와 제2지지부재(32)의 측면이 서로 맞닿도록 꺾으면 상기 제1지지부재(31)와 제2지지부재(32)가 탄성고정부(90)를 기준으로 접히게 되며 고무링이나 밴드 등을 통해 상기 제1지지부재(31)와 제2지지부재(32)의 접힘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상기 폴대부재(21)들 뿐만 아니라 제1지지부재(31)와 제2지지부재(32)를 접힘 가능한 구조로 구현할 수 있음에 따라 텐트를 분리하여 보관장소에 보관할 경우나 텐트를 차량에 적재할 경우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텐트 10 : 텐트본체부
10a : 수용공간 11 : 천정면
12 : 측면 121 : 삽입부
122 : 고정편 123 : 방충망
13 : 바닥면 20 : 폴대부
21 : 폴대부재 22 : 제1연결부
221 : 제1암연결부 2211 : 제1삽입홈
222 : 제1수연결부 2221,821 : 삽입돌기
30 : 지지부 31 : 제1지지부재
311,321 : 장착부 32 : 제2지지부재
40,90 : 탄성고정부 50,70,80 : 제2연결부
51 : 제2암연결부 511 : 제2삽입홈
512 : 이동안내용홀 513 : 제1스토퍼
52 : 제2수연결부 521 : 삽입홈
53 : 이동안내부 54,83 : 고정부
541 : 맞물림돌기부 55,84 : 탄성부
60 : 지탱부 61 : 설치편
62 : 지지편 63 : 지탱부재
64 : 제2스토퍼 81 : 암연결부
82 : 수연결부 831 : 고정돌기
100 : 힌지

Claims (9)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텐트본체부,
    상기 텐트본체부에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텐트본체부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폴대부,
    일측이 상기 폴대부에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텐트본체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폴대부와 마주하는 다른 폴대부에 설치되어 상기 폴대부를 고정시키는 지지부
    를 포함하는 텐트.
  2. 제1항에서,
    상기 각각의 폴대부는,
    두 개 이상으로 분할되고 일측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의 폴대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폴대부재들의 마주하는 부분을 연결하는 제1연결부
    를 포함하는 텐트.
  3. 제2항에서,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폴대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1암연결부,
    상기 폴대부재의 타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1수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암연결부는 내부에 제1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수연결부는 마주하는 다른 폴대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제1암연결부의 제1삽입홈에 삽입되는
    를 포함하는 텐트.
  4. 제3항에서,
    상기 폴대부재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일부분이 상기 제1암연결부의 제1삽입홈을 통과하여 마주하는 폴대부재에 형성된 제1수연결부에 고정되며, 탄성력을 통해 상기 제1수연결부를 당겨 제1삽입홈에 고정시키는 탄성고정부
    를 포함하는 텐트.
  5. 제3항에서,
    상기 지지부는,
    일측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의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가 마주하는 부분을 연결하는 제2연결부,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의 일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부에 장착되는 장착부
    를 포함하는 텐트.
  6. 제5항에서,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제1지지부재의 타측에 형성되며 내부에 제2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 상기 제2삽입홈과 연결되는 이동안내용홀이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안내용홀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는 제1스토퍼가 돌출형성되어 있는 제2암연결부,
    상기 제2지지부재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2삽입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제2수연결부,
    상기 제2수연결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안내용홀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이동안내부,
    상기 이동안내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2암연결부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2암연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되며 일측에 상기 제1스토퍼의 일면을 타고 넘어가 그 반대면과 맞물려 고정되는 맞물림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
    를 포함하는 텐트.
  7. 제6항에서,
    상기 제2수연결부의 내부에는 상기 제2암연결부의 제2삽입홈과 연결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이 상기 제2암연결부의 제2삽입홈 측벽에 결합되고 이와 반대되는 타측이 상기 제2수연결부의 삽입홈 측벽에 결합되는 탄성부
    를 포함하는 텐트.
  8. 제5항에서,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 각각은 상기 장착부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가 마주하는 부분에 순차적으로 관통설치되어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가 상기 제2연결부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텐트.
  9. 제8항에서,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의 마주하는 부분을 지탱하기 위한 지탱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탱부는,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설치편,
    상기 텐트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편,
    상기 지지편을 관통하며 상기 관통하는 부분을 기준으로 일측이 상기 설치편에 연결되고 이와 반대되는 타측은 상기 지지편의 외부로 노출되는 지탱부재,
    상기 지탱부재의 타측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편과 접촉되어 상기 지탱부재가 하강되지 않도록 하는 제2스토퍼
    를 포함하는 텐트.
KR1020140073492A 2014-06-17 2014-06-17 텐트 KR201501445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3492A KR20150144559A (ko) 2014-06-17 2014-06-17 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3492A KR20150144559A (ko) 2014-06-17 2014-06-17 텐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559A true KR20150144559A (ko) 2015-12-28

Family

ID=55084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3492A KR20150144559A (ko) 2014-06-17 2014-06-17 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45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8160A (ko) * 2021-02-18 2022-08-25 우준식 텐트 프레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8356B1 (ko) 2005-03-25 2006-03-10 김수환 자동 텐트의 프레임 및 이를 채용한 텐트
KR101268221B1 (ko) 2011-04-19 2013-05-27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텐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8356B1 (ko) 2005-03-25 2006-03-10 김수환 자동 텐트의 프레임 및 이를 채용한 텐트
KR101268221B1 (ko) 2011-04-19 2013-05-27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텐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8160A (ko) * 2021-02-18 2022-08-25 우준식 텐트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24310B (zh) 遮篷
US10494832B2 (en) Removably mountable roof frame for use with an expandable canopy
KR200149956Y1 (ko) 천과 프레임이 일체로 결합된 절첩식 대형 텐트 프레임
US10352064B2 (en) Stake
KR101709405B1 (ko) 차량용 텐트
KR101520901B1 (ko) 금속망을 이용한 안전 방충망 구조
CN113710861A (zh) 帐篷
US7025073B2 (en) Ring and pole connector assembly for a tent corner
US201900173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 and Installation of a Screen Assembly
KR20150144559A (ko) 텐트
KR101581366B1 (ko) 텐트용 폴
US3128781A (en) Tent
KR101922033B1 (ko) 비닐하우스 측창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널형 이중 비닐하우스 고정장치
KR101881112B1 (ko) 텐트
US20100018561A1 (en) Negative angle window for tent
CN211091028U (zh) 树木二杆支撑机构
CN207160735U (zh) 一种凉篷的连接结构
KR200490283Y1 (ko) 안전장치가 마련된 접이식 텐트
JP6404881B2 (ja) テント
JP7077917B2 (ja) 日よけ
KR200496553Y1 (ko) 타프용 폴대 체결구
KR102470310B1 (ko) 재난 원터치 파티션
KR200472444Y1 (ko) 수직이동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폴대
CN217106423U (zh) 一种无撑杆帐篷
KR20130018503A (ko) 텐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