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8372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8372A
KR20120118372A KR1020110035888A KR20110035888A KR20120118372A KR 20120118372 A KR20120118372 A KR 20120118372A KR 1020110035888 A KR1020110035888 A KR 1020110035888A KR 20110035888 A KR20110035888 A KR 20110035888A KR 20120118372 A KR20120118372 A KR 20120118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anel
display panel
support memb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5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6430B1 (ko
Inventor
이현석
박상련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5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430B1/ko
Priority to US13/338,720 priority patent/US9033533B2/en
Priority to CN201110454289.0A priority patent/CN102750879B/zh
Publication of KR20120118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8372A/ko
Priority to US14/699,358 priority patent/US1020110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7Intermediate frames, e.g. between backlight housing and front fra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품화하는데 필수구성으로 여겨졌던 케이스 및 세트 커버 부재 구성들의 일부를 과감하게 생략함으로써 두께를 최소화하고 혁신적인 디자인을 통해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측면 삽입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배면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패널 지지 부재; 상기 패널 지지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패널 지지 부재를 상호 결합시키는 접착 부재; 상기 패널 지지 부재를 지지하는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패널 지지 부재가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패널 지지 부재의 측면 삽입 공간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품화하는데 필수구성으로 여겨졌던 케이스 및 세트 커버 부재 구성들의 일부를 과감하게 생략함으로써 두께를 최소화하고 혁신적인 디자인을 통해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평판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평판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전계 방출 표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발광 표시 장치(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만, 양산화 기술, 구동수단의 용이성, 고화질의 구현이라는 장점에서 액정 표시 장치가 각광을 받고 있다.
최근에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기술적인 면의 연구개발과 더불어 수요자들에 보다 어필할 수 있는 제품의 디자인적인 면에서 연구개발의 필요성이 특히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최소화(슬림화)하는 노력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고, 수요자의 미적 감각에 호소하여 구매를 자극할 수 있는 미감이 증진된 디자인에 대한 요구가 점차로 증진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진행되어 온 디스플레이 장치의 슬림화 또는 미감 증진을 위한 디자인 개발은 종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그대로 채용하면서 그 구성요소의 구조를 변경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어 왔고,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슬림화나 새로운 디자인을 개발함에 있어서 어느 정도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에 있어서, 종래에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백 라이트 유닛을 수용하기 위해서,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가 필수적으로 사용되었고, 또한, 노트북, 모니터, 모바일 기기 또는 텔레비전 등으로 제품화하기 위해서 별도의 전면 세트 커버 부재와 후면 세트 커버 부재가 추가적으로 사용되었다. 이와 같이,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 및 이에 더하여 제품의 전면 및 후면 세트 커버 부재가 필수적으로 사용됨으로 인해서 액정 표시 장치의 두께를 줄이거나 디자인을 변경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특히, 상부 케이스 및 전면 세트 커버 부재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 가장자리를 필수적으로 덮게 되므로, 그로 인해서 액정 표시 장치의 두께가 두꺼워질 수밖에 없고, 또한 액정 표시 장치의 테두리 폭이 증가되고 테두리 부분의 단차로 인하여 다양하고 혁신적인 디자인을 고안하는데 장애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품화하는데 필수구성으로 여겨졌던 케이스 및 세트 커버 부재 구성들의 일부를 과감하게 생략함으로써 두께를 최소화하고 혁신적인 디자인을 통해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 및 세트 커버 부재 구성들의 생략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이 유동되지 않는 것에 의해 발생되는 빛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측면 삽입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배면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패널 지지 부재; 상기 패널 지지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패널 지지 부재를 상호 결합시키는 접착 부재; 상기 패널 지지 부재를 지지하는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패널 지지 부재가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패널 지지 부재의 측면 삽입 공간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 지지 부재는 상기 측면 삽입 공간과 상기 커버 부재 사이의 갭(Gap)에 의해 X축, Y축 및 Z축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유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 및 측면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과 커버 부재에 의해 감싸여지지 않고 외부로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 지지 부재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안착되는 프레임 안착부;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상기 프레임 안착부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부; 및 상기 프레임 안착부와 대향되도록 상기 수직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측면 삽입 공간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접착 부재가 형성되는 패널 안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패널 지지 부재의 측면 삽입 공간에 삽입되는 전면 커버; 및 상기 전면 커버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프레임 안착부의 측면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측면을 감싸는 측면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 커버는 상기 프레임 안착부와 상기 수직부 각각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측면 삽입 공간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 커버는 상기 패널 안착부와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측면 삽입 공간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가이드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 커버; 및 상기 커버 부재를 상기 지지 커버에 결합시키는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지지 커버의 배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측면 커버로부터 절곡된 후면 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후면 커버를 통해 상기 지지 커버에 체결되어 상기 커버 부재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지지 커버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을 제외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과 상기 커버 부재의 측면 커버를 감싸는 세트 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전면 커버의 상면 전체에 중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패널 안착부는 상기 전면 커버의 상면 전체에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지지 커버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을 제외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과 상기 커버 부재의 측면 커버를 감싸는 세트 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 지지 부재는 상기 프레임 안착부와 상기 수직부 및 상기 패널 안착부를 포함하도록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 지지 부재는 패널 안착부 및 상기 프레임 안착부 중 적어도 하나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슬릿(Slit)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 지지 부재는 상기 프레임 안착부와 상기 수직부 및 상기 패널 안착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접착 부재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장변 및 단변 각각의 가장자리 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지지되는 제 1 내지 제 4 지지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 지지 부재는 상기 접착 부재가 형성되는 제 1 내지 제 4 지지 브라켓 각각의 패널 안착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슬릿(Slit)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 지지 부재는 상기 프레임 안착부와 상기 수직부 및 상기 패널 안착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접착 부재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가장자리 부분에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지지되는 복수의 지지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접착 부재를 이용해 디스플레이 패널을 패널 지지 부재에 결합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된 패널 지지 부재를 가이드 프레임에 안착시킨 후, 커버 부재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된 패널 지지 부재를 유동 가능하게 감쌈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종래의 상부 케이스를 제거하여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디자인 측면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된 패널 지지 부재가 유동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이 유동되지 않는 것에 의해 발생되는 빛샘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이드 프레임, 패널 지지 부재, 접착 부재, 및 커버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패널 지지 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패널 지지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패널 지지 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패널 지지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측면 삽입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배면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패널 지지 부재(120), 패널 지지 부재(120)에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패널 지지 부재(120)를 상호 결합시키는 접착 부재(130), 패널 지지 부재(120)를 지지하는 가이드 프레임(140), 및 패널 지지 부재(120)가 유동될 수 있도록 패널 지지 부재(120)의 측면 삽입 공간(120s)에 삽입됨과 아울러 가이드 프레임(140)의 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커버 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대향 합착된 하부 기판(112)과 상부 기판(114)을 포함하여 구성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이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일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액정층(미도시)을 사이에 두고 대향 합착된 하부 기판(112)과 상부 기판(114), 하부 기판(112)에 부착된 하부 편광판(116), 및 상부 기판(114)의 전면에 부착된 상부 편광판(11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일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대향 합착된 하부 기판(112)과 상부 기판(11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경우에 따라서 상부 기판(114)의 전면에 부착된 상부 편광판(118)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의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하부 기판(112)에 부착된 복수의 회로 필름(미도시), 및 복수의 회로 필름에 부착된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복수의 회로 필름은 TAB(Tape Automated Bonding) 공정에 의해 하부 기판(112)과 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되는 것으로, TCP(Tape Carrier Package) 또는 COF(Chip On Flexible Board 또는 Chip On Film)가 될 수 있다.
패널 지지 부재(120)는 측면 삽입 공간(120s)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접착 부재(130)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배면 가장자리 부분에 결합된다. 이러한 패널 지지 부재(120)는 접착 부재(130)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 가장자리 부분에 결합되어 가이드 프레임(140) 상에 유동 가능하게 안착된다.
제 1 실시 예에 따른 패널 지지 부재(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한다. 이를 위해, 제 1 실시 예에 따른 패널 지지 부재(120)는 프레임 안착부(121), 수직부(123), 및 패널 안착부(1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 안착부(121)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가이드 프레임(140)에 안착된다.
수직부(123)는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프레임 안착부(121)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수직부(123)는 프레임 안착부(121)의 내측 끝단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패널 안착부(125)는 프레임 안착부(121)와 대향되도록 수직부(123)로부터 절곡되어 측면 삽입 공간(120s)을 형성한다. 이때, 측면 삽입 공간(120s)은 수직부(123)를 일측에 두고 대향되는 프레임 안착부(121)와 패널 안착부(125) 사이의 공간에 마련된다. 이러한 패널 안착부(125)의 상면에는 접착 부재(130)가 형성된다. 상술한 패널 안착부(125)의 상면에는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접착 부재(130)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는 한 쌍의 접착 부재 가이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접착 부재 가이드부는 접착 부재(130)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제 1 실시 예에 따른 패널 지지 부재(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안착부(121)와 패널 안착부(125) 중 적어도 하나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슬릿(Slit)(126a, 126b)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슬릿(126a, 126b) 각각은 프레임 안착부(121) 및/또는 패널 안착부(125)를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슬릿(126a, 126b)에 의해 분할된 프레임 안착부(121) 및/또는 패널 안착부(125) 각각은 소정의 탄성력을 가짐으로써 Z축 방향으로 유동된다.
제 2 실시 예에 따른 패널 지지 부재(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장변 및 단변 각각의 배면 가장자리 부분에 결합되어 가이드 프레임(140)에 지지되는 제 1 내지 제 4 지지 브라켓(120a, 120b, 120c, 120d)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내지 제 4 지지 브라켓(120a, 120b, 120c, 120d) 각각은 상술한 프레임 안착부(121)와 수직부(123) 및 패널 안착부(125)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가이드 프레임(140) 상에 안착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 프레임(140) 상에 안착된 제 1 내지 제 4 지지 브라켓(120a, 120b, 120c, 120d) 각각은 사각 프레임 형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제 2 실시 예에 따른 패널 지지 부재(1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4 지지 브라켓(120a, 120b, 120c, 120d) 각각의 프레임 안착부(121) 및/또는 패널 안착부(125)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슬릿(127a, 127b)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슬릿(127a, 127b) 각각은 제 1 내지 제 4 지지 브라켓(120a, 120b, 120c, 120d) 각각의 프레임 안착부(121) 및/또는 패널 안착부(125)를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슬릿(127a, 127b)에 의해 분할된 제 1 내지 제 4 지지 브라켓(120a, 120b, 120c, 120d) 각각의 프레임 안착부(121) 및/또는 패널 안착부(125) 각각은 소정의 탄성력을 가짐으로써 Z축 방향으로 유동된다.
제 3 실시 예에 따른 패널 지지 부재(1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장변 및 단변 각각의 배면 가장자리 부분을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브라켓(12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수의 지지 브라켓(128) 각각은 상술한 프레임 안착부(121)와 수직부(123) 및 패널 안착부(125)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가이드 프레임(140)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안착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일 경우, 가이드 프레임(140)에 일정한 간격으로 안착된 복수의 지지 브라켓(128) 사이의 공간에서 빛샘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지지 브라켓(128) 사이를 밀봉하는 복수의 패드(12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수의 패드(129) 각각은 복수의 지지 브라켓(128) 사이에 대응되는 가이드 프레임(140) 상에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에 접촉됨으로써 복수의 지지 브라켓(128) 사이를 밀봉한다.
다시 도 1 및 도 2에서, 접착 부재(130)는 패널 지지 부재(120)의 패널 안착부(125) 상에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패널 지지 부재(120)를 상호 결합시킨다. 이때, 접착 부재(130)는 도 3, 도 5,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단변 및 장변 각각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거나, 패널 지지 부재(120)의 구조에 따라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접착 부재(130)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상술한 제 1 내지 제 3 실시 예 중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패널 지지 부재(120)의 패널 안착부(125)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접착 부재(130)는 패널 안착부(125)에 부착되는 양면 테이프 또는 패널 안착부(125)에 도포되는 접착제가 될 수 있다.
가이드 프레임(140)은 패널 지지 부재(120)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지지부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된 가이드 측벽을 포함하도록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어 패널 지지 부재(120)를 지지한다. 즉, 가이드 프레임(140)은 "┓"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지지부를 통해 패널 지지 부재(120)를 유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가이드 프레임(14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커버(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지 커버(160)는 수납 공간을 가지도록 "U"자 형태로 형성되어 가이드 프레임(140)의 지지부를 지지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일 경우, 지지 커버(160)의 수납 공간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백 라이트 유닛(170)이 수납된다.
백 라이트 유닛(17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172), 반사 시트(174), 및 광학 부재(17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광판(172)은 입광면을 가지도록 평판(또는 쐐기) 형태로 형성되어 광원(미도시)으로부터 입광면을 통해 입사되는 광을 디스플레이 패널(110) 쪽으로 진행시킨다. 이때, 광원은 형광 램프 또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사 시트(174)는 도광판(172)의 배면에 배치되도록 지지 커버(160)의 바닥면에 배치되어 도광판(172)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디스플레이 패널(110) 쪽으로 반사시킨다.
광학 부재(176)는 도광판(172) 상에 배치되어 도광판(172)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10) 쪽으로 진행하는 광의 휘도 특성을 향상시킨다. 이를 위해, 광학 부재(176)는 하부 확산 시트, 하부 프리즘 시트, 상부 프리즘 시트, 및 상부 확산 시트 중 적어도 하나의 확산 시트 및 프리즘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커버 부재(15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결합된 패널 지지 부재(120)가 유동될 수 있도록 패널 지지 부재(120)의 측면 삽입 공간(120a)에 삽입됨과 아울러 패널 지지 부재(120)의 측면과 가이드 프레임(140)의 측면, 및 지지 커버(160)의 배면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상면 및 측면은 가이드 프레임(140)과 커버 부재(150)에 의해 감싸여지지 않고 외부로 노출된다. 즉,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접착 부재(130)를 이용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패널 지지 부재(120)에 결합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결합된 패널 지지 부재(120)를 가이드 프레임(140)에 안착시킨 후, 커버 부재(150)를 통해 패널 지지 부재(120)를 유동 가능하게 감쌈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가장자리 부분을 감싸는 종래의 상부 케이스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의 커버 부재(15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프레임(140)의 단변 및 장변 각각의 가장자리 부분에 안착되는 패널 지지 부재(120) 각각의 측면 삽입 공간(120s)에 삽입됨과 아울러 패널 지지 부재(120)의 프레임 안착부(121)와 가이드 프레임(140)의 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제 1 내지 제 4 커버 브라켓(150a, 150b, 150c, 150d)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내지 제 4 커버 브라켓(150a, 150b, 150c, 150d) 각각은 전면 커버(151), 측면 커버(153), 및 후면 커버(1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면 커버(151)는 패널 지지 부재(120)의 측면 삽입 공간(120s)에 삽입되도록 "-"자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전면 커버(151)의 길이는 프레임 안착부(121)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전면 커버(151)가 삽입된 측면 삽입 공간(120s)에는 패널 지지 부재(120)가 유동될 수 있는 하부 갭(LG; 도 2 참조) 및 측면 갭(SG; 도 2 참조)이 마련된다.
하부 갭(LG)은 전면 커버(151)와 프레임 안착부(121) 사이의 측면 삽입 공간(120s)에 1.5mm 미만의 높이를 가지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결합된 패널 지지 부재(120)는 하부 갭(LG) 내에서 Y축 및 Z축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유동된다.
측면 갭(SG)은 전면 커버(151)의 측면과 수직부(123) 사이의 측면 삽입 공간(120s)에 2mm 미만의 폭을 가지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결합된 패널 지지 부재(120)는 하부 갭(LG) 내에서 Y축 및 Z축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유동된다.
한편, 전면 커버(151)가 삽입된 측면 삽입 공간(120s)에는 패널 안착부(125)의 탄성력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Z축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상부 갭(UG; 도 2 참조)이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상부 갭(UG)은 전면 커버(151)와 패널 안착부(125) 사이에 1mm 미만의 높이를 가지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패널 지지 부재(120)에 결합된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패널 안착부(125)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 갭(UG) 내에서 Z축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측면 커버(153)는 전면 커버(151)의 외측 끝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패널 안착부(125)의 측면과 가이드 프레임(140)의 측면을 감싼다. 이때, 측면 커버(153)의 높이는 패널 지지 부재(120)의 측면 삽입 공간(120s)에 상술한 하부 갭(LG)이 마련되도록 지지 커버(160)의 배면에서부터 패널 지지 부재(120)의 프레임 안착부(121)의 상면까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즉, 측면 커버(153)의 높이(H2=H1+LG)는 지지 커버(160)와 패널 안착부(121)의 전체 높이(H1)보다 하부 갭(LG)만큼 더 높게 형성된다.
후면 커버(155)는 지지 커버(160)의 배면에 마주보도록 측면 커버(153)로부터 절곡된다. 이러한 후면 커버(155)는 후면 커버(155)를 통해 지지 커버(160)의 바닥면에 체결되는 체결 부재(180)에 의해 지지 커버(160)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결합된 패널 지지 부재(120)는 측면 삽입 공간(120s)에 삽입된 커버 부재(150)의 전면 커버(151)에 의해 마련되는 하부 갭(LG)과 측면 갭(SG) 내에서 X축, Y축 및 Z축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접착 부재(130)를 이용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패널 지지 부재(120)에 결합한 후,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결합된 패널 지지 부재(120)를 가이드 프레임(140)에 안착시킴으로써 종래의 상부 케이스를 제거할 수 있다. 이때, 패널 지지 부재(120) 대신에 접착 부재(130)를 이용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가이드 프레임(140)에 직접 결합할 수도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일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접착 부재(130)에 의해 가이드 프레임(140)에 고정되기 때문에 접착 부재(130)가 부착된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가해지는 외력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눌림에 의한 액정층의 변화 또는 접착 부재(130)에 의한 접착력에 의한 액정층의 변화로 인하여 빛샘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의 빛샘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유동되지 않는 것에 의해 발생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상술한 커버 부재(150)에 의해 패널 지지 부재(120)의 측면 삽입 공간(120s)에 마련된 하부 갭(LG)과 측면 갭(SG) 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결합된 패널 지지 부재(120)를 유동시킴으로써 빛샘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접착 부재(130)를 이용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패널 지지 부재(120)에 결합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결합된 패널 지지 부재(120)를 가이드 프레임(140)에 안착시킨 후, 패널 지지 부재(120)의 측면 삽입 공간(120s)에 커버 부재(150)를 삽입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결합된 패널 지지 부재(120)를 유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종래의 상부 케이스를 제거하여 두께를 최소화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디자인 측면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커버 부재(150)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결합된 패널 지지 부재(120)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유동되지 않는 것에 의해 발생되는 빛샘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는 디스플레이 패널(210), 측면 삽입 공간(120s)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배면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패널 지지 부재(220), 패널 지지 부재(220)에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10)과 패널 지지 부재(220)를 상호 결합시키는 접착 부재(130), 패널 지지 부재(220)를 지지하는 가이드 프레임(140), 및 패널 지지 부재(220)가 유동될 수 있도록 패널 지지 부재(220)의 측면 삽입 공간(120s)에 삽입됨과 아울러 가이드 프레임(140)의 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커버 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는 디스플레이 패널(210)과 패널 지지 부재(22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와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도 9에 도시된 점선 원과 같이, 커버 부재(150)의 전면 커버(151) 전체에 중첩되도록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패널 지지 부재(220)는 패널 안착부(125)가 전면 커버(151) 전체에 중첩되도록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패널 지지 부재(120)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한편, 커버 부재(150)의 전면 커버(151)는 패널 지지 부재(220)의 패널 안착부(125)와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중첩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이 커버 부재(150)의 전면 커버(151)에 중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기구물, 예를 들어, 세트 커버 없이도 텔레비전과 같은 디스플레이 제품을 구성할 수 있다. 반면에,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전면 커버(151)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제품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세트 커버와 같은 별도의 기구물이 필요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디스플레이 모듈, 예를 들어 액정 표시 모듈이 될 수 있는 반면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는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디스플레이 제품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와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패널(210)이 커버 부재(150)의 전면 커버(151)에 중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디자인 측면의 미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측면 삽입 공간(120s)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배면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패널 지지 부재(120), 패널 지지 부재(120)에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패널 지지 부재(120)를 상호 결합시키는 접착 부재(130), 패널 지지 부재(120)를 지지하는 가이드 프레임(340), 가이드 프레임(340)을 지지하는 지지 커버(360), 및 패널 지지 부재(120)가 유동될 수 있도록 패널 지지 부재(120)의 측면 삽입 공간(120s)에 삽입됨과 아울러 가이드 프레임(340)의 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커버 부재(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는 가이드 프레임(340), 지지 커버(360), 및 커버 부재(35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와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가이드 프레임(340)은 패널 지지 부재(120)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지지부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된 가이드 측벽을 포함하도록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어 패널 지지 부재(120)를 지지한다. 즉, 가이드 프레임(340)은 "┓"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지지부를 통해 패널 지지 부재(120)를 지지한다. 이러한 가이드 프레임(340)은 지지 커버(360)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가이드 프레임(340)은 지지 커버(360)에 대향되는 지지부에 형성된 제 1 결합 부재(3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결합 부재(342)는 지지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단턱부와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지지 커버(360)에 결합된다.
지지 커버(360)는 수납 공간을 가지도록 "U"자 형태로 형성되어 가이드 프레임(340)의 지지부를 지지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일 경우, 지지 커버(360)의 수납 공간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백 라이트 유닛(170)이 수납된다. 이러한 지지 커버(360)는 가이드 프레임(340)에 형성된 제 1 결합 부재(342)와 결합되는 제 2 결합 부재(3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2 결합 부재(362)는 가이드 프레임(340)을 지지하는 지지 측벽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가이드 프레임(340)에 형성된 제 1 결합 부재(342)의 단턱면을 구속함으로써 가이드 프레임(340)과 지지 커버(360)를 상호 결합시킨다.
커버 부재(35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결합된 패널 지지 부재(120)가 유동될 수 있도록 패널 지지 부재(120)의 측면 삽입 공간(120a)에 삽입됨과 아울러 패널 지지 부재(120)의 측면과 가이드 프레임(340)의 측면, 및 지지 커버(360)의 배면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상면 및 측면은 가이드 프레임(340)과 커버 부재(350)에 의해 감싸여지지 않고 외부로 노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부재(35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프레임(340)의 단변 및 장변 각각의 가장자리 부분에 안착되는 패널 지지 부재(120) 각각의 측면 삽입 공간(120s)에 삽입됨과 아울러 패널 지지 부재(120)의 프레임 안착부(121)와 가이드 프레임(340)의 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제 1 내지 제 4 커버 브라켓(350a, 350b, 350c, 350d)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내지 제 4 커버 브라켓(350a, 350b, 350c, 350d) 각각은 전면 커버(351), 및 측면 커버(3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면 커버(351)는 패널 지지 부재(120)의 측면 삽입 공간(120s)에 삽입되도록 "-"자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전면 커버(351)의 길이는 프레임 안착부(121)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전면 커버(351)가 삽입된 측면 삽입 공간(120s)에는 패널 지지 부재(120)가 유동될 수 있는 하부 갭(LG) 및 측면 갭(SG)이 마련된다.
하부 갭(LG)은 전면 커버(351)와 프레임 안착부(121) 사이의 측면 삽입 공간(120s)에 1.5mm 미만의 높이를 가지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결합된 패널 지지 부재(120)는 하부 갭(LG) 내에서 Y축 및 Z축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유동된다.
측면 갭(SG)은 전면 커버(351)의 측면과 수직부(123) 사이의 측면 삽입 공간(120s)에 2mm 미만의 폭을 가지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결합된 패널 지지 부재(120)는 하부 갭(LG) 내에서 Y축 및 Z축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유동된다.
한편, 전면 커버(351)가 삽입된 측면 삽입 공간(120s)에는 패널 안착부(125)의 탄성력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Z축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상부 갭(UG)이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상부 갭(UG)은 전면 커버(351)와 패널 안착부(125) 사이에 1mm 미만의 높이를 가지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패널 지지 부재(120)에 결합된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패널 안착부(125)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 갭(UG) 내에서 Z축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측면 커버(353)는 전면 커버(351)의 외측 끝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패널 안착부(125)의 측면과 가이드 프레임(340)의 측면을 감싼다. 이때, 측면 커버(353)의 높이는 패널 지지 부재(120)의 측면 삽입 공간(120s)에 상술한 하부 갭(LG)이 마련되도록 지지 커버(360)의 배면에서부터 패널 지지 부재(120)의 프레임 안착부(121)의 상면까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즉, 측면 커버(353)의 높이(H2=H1+LG)는 지지 커버(360)와 패널 안착부(121)의 전체 높이(H1)보다 하부 갭(LG)만큼 더 높게 형성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부재(35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어 가이드 프레임(340)의 단변 및 장변 각각의 가장자리 부분에 안착되는 패널 지지 부재(120) 각각의 측면 삽입 공간(120s)에 삽입됨과 아울러 패널 지지 부재(120)의 프레임 안착부(121)와 가이드 프레임(340)의 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즉,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부재(350)는 상술한 일 실시 예의 커버 부재(350)를 구성하는 제 1 내지 제 4 커버 브라켓(350a, 350b, 350c, 350d)가 상호 일체화되어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모두 동일하다.
이와 같은, 커버 부재(350)는 스크류(390)에 의해 측면 커버(353)가 가이드 프레임(340)의 가이드 측벽에 고정됨으로써 측면 커버(353)를 통해 패널 지지 부재(120)의 측면과 가이드 프레임(340)의 측면을 감쌈과 아울러 전면 커버(351)가 패널 지지 부재(120)의 측면 삽입 공간(120s)에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결합된 패널 지지 부재(120)는 커버 부재(350)의 전면 커버(351)에 의해 패널 지지 부재(120)의 측면 삽입 공간(120s)에 마련되는 하부 갭(LG)과 측면 갭(SG) 내에서 X축, Y축 및 Z축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와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40)는 디스플레이 패널(410), 측면 삽입 공간(120s)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410)에 배면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패널 지지 부재(420), 패널 지지 부재(420)에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410)과 패널 지지 부재(420)를 상호 결합시키는 접착 부재(130), 패널 지지 부재(420)를 지지하는 가이드 프레임(340), 가이드 프레임(340)을 지지하는 지지 커버(360), 및 패널 지지 부재(420)가 유동될 수 있도록 패널 지지 부재(420)의 측면 삽입 공간(120s)에 삽입됨과 아울러 가이드 프레임(340)의 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커버 부재(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40)는 디스플레이 패널(410)과 패널 지지 부재(42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와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 패널(410)은, 도 13에 도시된 점선 원과 같이, 커버 부재(350)의 전면 커버(351) 전체에 중첩되도록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의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패널 지지 부재(420)는 패널 안착부(125)가 전면 커버(351) 전체에 중첩되도록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의 패널 지지 부재(120)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한편, 커버 부재(350)의 전면 커버(351)는 패널 지지 부재(420)의 패널 안착부(125)와 디스플레이 패널(410)에 중첩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40)는 디스플레이 패널(410)이 커버 부재(350)의 전면 커버(351)에 중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기구물, 예를 들어, 세트 커버 없이도 텔레비전과 같은 디스플레이 제품을 구성할 수 있다. 반면에, 상술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는 커버 부재(350)의 전면 커버(351)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제품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세트 커버와 같은 별도의 기구물이 필요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술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40)는 디스플레이 모듈, 예를 들어 액정 표시 모듈이 될 수 있는 반면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디스플레이 제품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4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와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패널(410)이 커버 부재(350)의 전면 커버(351)에 중첩되도록 더 길게 형성됨으로써 디자인 측면의 미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5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측면 삽입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배면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패널 지지 부재(120), 패널 지지 부재(120)에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패널 지지 부재(120)를 상호 결합시키는 접착 부재(130), 패널 지지 부재(120)를 지지하는 가이드 프레임(140), 가이드 프레임(140)을 지지하는 지지 커버(160), 패널 지지 부재(120)가 유동될 수 있도록 패널 지지 부재(120)의 측면 삽입 공간(120s)에 삽입됨과 아울러 가이드 프레임(140)의 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커버 부재(150), 및 지지 커버(160)를 지지함과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을 제외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과 커버 부재(150)를 감싸는 세트 커버(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50)는 세트 커버(19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와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세트 커버(190)는 세트 플레이트(192), 및 세트 측벽(19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세트 플레이트(192)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 커버(160)와 커버 부재(150)를 지지한다. 이러한 세트 플레이트(192)는 제품화된 디스플레이 장치(50)의 배면 제품 커버 역할을 한다. 즉, 세트 플레이트(192)는 텔레비전 또는 노트북 컴퓨터 등의 디스플레이 제품의 배면 제품 커버가 될 수 있다.
세트 측벽(194)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을 제외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과 외부로 노출된 커버 부재(150)의 전면 커버와 측면 커버를 감싼다. 이를 위해, 세트 측벽(194)은 "┓"자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세트 플레이트(192)의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설치된다. 이때, 세트 측벽(194)은 세트 플레이트(192)를 통해 세트 측벽(194)에 체결되는 체결 나사(196)에 의해 세트 플레이트(192)에 결합된다. 이러한 세트 측벽(194)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테두리를 형성하며, 제품화된 디스플레이 장치(50)의 측면 제품 커버 역할을 한다. 즉, 세트 플레이트(192)는 텔레비전 또는 노트북 컴퓨터 등의 디스플레이 제품의 측면 제품 커버가 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세트 커버(190) 각각의 제조에 있어서, 제조 상의 공정 오차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과 세트 측벽(194) 사이에는 공정 오차에 따른 갭 공간이 존재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의 갭 공간을 통해 먼지 등의 이물질이 디스플레이 장치(50)의 내부로 침투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50)는 상기 갭 공간을 밀봉하는 밀봉 부재(19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밀봉 부재(195)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과 세트 측벽(194) 사이의 갭 공간을 밀봉함으로써 먼지 등의 이물질이 갭 공간을 통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밀봉 부재(195)는 세트 측벽(194)과의 색상 차이로 인한 미적 효과가 저하되지 않도록 세트 측벽(194)과 동일한 색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밀봉 부재(195)는 이중 사출 방식에 의해 세트 측벽(194)에 일체화되도록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과 세트 측벽(194) 사이의 갭 공간을 밀봉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밀봉 부재(195)는 링(Ring) 또는 핀(Pin) 형태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과 세트 측벽(194) 사이의 갭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갭 공간을 밀봉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50)는 세트 커버(190)를 이용해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측면과 배면을 감쌈으로써 두께가 최소화되고 미감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제품, 예를 들어 텔레비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60)는 디스플레이 패널(210), 측면 삽입 공간(120s)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배면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패널 지지 부재(220), 패널 지지 부재(220)에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10)과 패널 지지 부재(220)를 상호 결합시키는 접착 부재(130), 패널 지지 부재(220)를 지지하는 가이드 프레임(140), 가이드 프레임(140)을 지지하는 지지 커버(160), 패널 지지 부재(220)가 유동될 수 있도록 패널 지지 부재(220)의 측면 삽입 공간(120s)에 삽입됨과 아울러 가이드 프레임(140)의 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커버 부재(150), 및 지지 커버(160)를 지지함과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전면을 제외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과 커버 부재(150)를 감싸는 세트 커버(2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60)는 세트 커버(29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와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세트 커버(290)는 지지 커버(160)와 커버 부재(150)를 지지함과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을 제외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과 커버 부재(150)의 측면 커버를 감싼다. 이를 위해, 세트 커버(290)는 세트 플레이트와 세트 플레이트로부터 절곡된 세트 측벽을 포함하도록 "U'자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세트 커버(290)는 세트 측벽을 통해 커버 부재(150)에 체결되거나, 세트 플레이트를 통해 지지 커버(160)에 체결되는 체결 나사(미도시)에 의해 커버 부재(150) 또는 지지 커버(16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세트 커버(290)는 세트 측벽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전면 테두리를 형성하며, 제품화된 디스플레이 장치(60)의 배면 제품 커버 및 측면 제품 커버 역할을 한다. 즉, 세트 커버(290)는 텔레비전 또는 노트북 컴퓨터 등의 디스플레이 제품의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전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감싸도록 외부로 노출되는 제품 커버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60)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측면과 세트 커버(290)의 세트 측벽 사이의 갭 공간을 밀봉하는 밀봉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밀봉 부재는 이중 사출 방식에 의해 세트 측벽에 일체화되도록 형성되거나, 링(Ring) 또는 핀(Pin)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의 갭 공간을 밀봉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60)는 세트 커버(290)를 이용해 상술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측면과 배면을 감쌈으로써 두께가 최소화되고 미감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제품, 예를 들어 텔레비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7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측면 삽입 공간(120s)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배면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패널 지지 부재(120), 패널 지지 부재(120)에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패널 지지 부재(120)를 상호 결합시키는 접착 부재(130), 패널 지지 부재(120)를 지지하는 가이드 프레임(340), 가이드 프레임(340)을 지지하는 지지 커버(360), 패널 지지 부재(120)가 유동될 수 있도록 패널 지지 부재(120)의 측면 삽입 공간(120s)에 삽입됨과 아울러 가이드 프레임(340)의 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커버 부재(350), 및 지지 커버(360)를 지지함과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을 제외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과 커버 부재(350)를 감싸는 세트 커버(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7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50)의 세트 커버(190)를 이용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측면과 배면을 감싸도록 구성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70)는 세트 커버(190)를 이용해 상술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측면과 배면을 감쌈으로써 두께가 최소화되고 미감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제품, 예를 들어 텔레비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8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80)는 디스플레이 패널(410), 측면 삽입 공간(120s)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410)에 배면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패널 지지 부재(420), 패널 지지 부재(420)에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410)과 패널 지지 부재(420)를 상호 결합시키는 접착 부재(130), 패널 지지 부재(420)를 지지하는 가이드 프레임(340), 가이드 프레임(340)을 지지하는 지지 커버(360), 패널 지지 부재(420)가 유동될 수 있도록 패널 지지 부재(420)의 측면 삽입 공간(120s)에 삽입됨과 아울러 가이드 프레임(340)의 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커버 부재(350), 및 지지 커버(360)를 지지함과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전면을 제외한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측면과 커버 부재(350)를 감싸는 세트 커버(2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8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60)의 세트 커버(290)를 이용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40)의 측면과 배면을 감싸도록 구성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8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80)는 세트 커버(290)를 이용해 상술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40)의 측면과 배면을 감쌈으로써 두께가 최소화되고 미감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제품, 예를 들어 텔레비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디스플레이 장치 110: 디스플레이 패널
120: 패널 지지 부재 120s: 측면 삽입 공간
121: 프레임 안착부 123: 수직부
125: 패널 안착부 130: 접착 부재
140: 가이드 프레임 150: 커버 부재
151: 전면 커버 153: 측면 커버
155: 배면 커버 160: 지지 커버

Claims (23)

  1. 디스플레이 패널;
    측면 삽입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배면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패널 지지 부재;
    상기 패널 지지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패널 지지 부재를 상호 결합시키는 접착 부재;
    상기 패널 지지 부재를 지지하는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패널 지지 부재가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패널 지지 부재의 측면 삽입 공간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지지 부재는 상기 측면 삽입 공간과 상기 커버 부재 사이의 갭(Gap)에 의해 X축, Y축 및 Z축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유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 및 측면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과 커버 부재에 의해 감싸여지지 않고 외부로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지지 부재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안착되는 프레임 안착부;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상기 프레임 안착부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부; 및
    상기 프레임 안착부와 대향되도록 상기 수직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측면 삽입 공간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접착 부재가 형성되는 패널 안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패널 지지 부재의 측면 삽입 공간에 삽입되는 전면 커버; 및
    상기 전면 커버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프레임 안착부의 측면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측면을 감싸는 측면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는 상기 프레임 안착부와 상기 수직부 각각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측면 삽입 공간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는 상기 패널 안착부와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측면 삽입 공간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전면 커버와 상기 측면 커버에 의해 "⊂"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의 측면 커버를 통해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체결되어 상기 커버 부재를 고정하는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 커버; 및
    상기 커버 부재를 상기 지지 커버에 결합시키는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커버에 수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조사하는 백 라이트 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지지 커버의 배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측면 커버로부터 절곡된 후면 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후면 커버를 통해 상기 지지 커버에 체결되어 상기 커버 부재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커버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을 제외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과 상기 커버 부재의 측면 커버를 감싸는 세트 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 커버는,
    상기 지지 커버를 지지하는 세트 플레이트; 및
    상기 세트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을 제외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과 상기 커버 부재의 전면 커버 및 측면 커버를 감싸도록 "┓"자 형태로 형성된 세트 측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 측벽에 일체화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과 상기 세트 측벽 사이의 갭 공간을 밀봉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과 상기 세트 측벽 사이의 갭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갭 공간을 밀봉하는 갭 밀봉 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전면 커버의 상면 전체에 중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패널 안착부는 상기 전면 커버의 상면 전체에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커버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을 제외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과 상기 커버 부재의 측면 커버를 감싸는 세트 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지지 부재는 상기 프레임 안착부와 상기 수직부 및 상기 패널 안착부를 포함하도록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지지 부재는 패널 안착부 및 상기 프레임 안착부 중 적어도 하나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슬릿(Slit)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지지 부재는 상기 프레임 안착부와 상기 수직부 및 상기 패널 안착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접착 부재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장변 및 단변 각각의 가장자리 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지지되는 제 1 내지 제 4 지지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지지 부재는 상기 접착 부재가 형성되는 제 1 내지 제 4 지지 브라켓 각각의 패널 안착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슬릿(Slit)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지지 부재는 상기 프레임 안착부와 상기 수직부 및 상기 패널 안착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접착 부재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가장자리 부분에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지지되는 복수의 지지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 브라켓 사이에 대응되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 상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지지 브라켓 사이를 밀봉하는 복수의 패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10035888A 2011-04-18 2011-04-18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26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888A KR101926430B1 (ko) 2011-04-18 2011-04-18 디스플레이 장치
US13/338,720 US9033533B2 (en) 2011-04-18 2011-12-28 Display apparatus
CN201110454289.0A CN102750879B (zh) 2011-04-18 2011-12-30 显示设备
US14/699,358 US10201101B2 (en) 2011-04-18 2015-04-29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888A KR101926430B1 (ko) 2011-04-18 2011-04-18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372A true KR20120118372A (ko) 2012-10-26
KR101926430B1 KR101926430B1 (ko) 2018-12-10

Family

ID=47006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5888A KR101926430B1 (ko) 2011-04-18 2011-04-18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9033533B2 (ko)
KR (1) KR101926430B1 (ko)
CN (1) CN102750879B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9582A (ko) * 2012-02-29 2013-09-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71819A (ko) * 2012-12-04 2014-06-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40137131A (ko) * 2013-05-22 2014-12-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38875A (ko) * 2013-10-01 2015-04-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15199393A1 (en) * 2014-06-24 2015-12-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US9261721B2 (en) 2013-12-17 2016-02-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KR20160081648A (ko) * 2014-12-31 2016-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노트북 컴퓨터
WO2016159489A1 (en) * 2015-03-31 2016-10-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US9503671B2 (en) 2014-06-13 2016-11-2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9625748B2 (en) 2013-11-28 2017-04-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9798177B2 (en) 2015-03-24 2017-10-2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ouch panel fixing a display panel to a backlight unit
US9817260B2 (en) 2014-09-26 2017-11-1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10551700B2 (en) 2017-06-12 2020-02-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backlight assembl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7626A (ko) * 2012-11-27 2014-06-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955912B1 (ko) * 2012-12-24 2019-03-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EP2749933B1 (en) 2012-12-26 2015-10-07 L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960044B2 (ja) * 2012-12-26 2016-08-02 船井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3903516B (zh) * 2012-12-26 2017-10-31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US9538117B2 (en) 2013-01-07 2017-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pport fr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3972201A (zh) * 2013-01-30 2014-08-06 奇景光电股份有限公司 封装结构与显示模组
JP6415058B2 (ja) * 2013-02-19 2018-10-3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KR20140141400A (ko) 2013-05-29 2014-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TWI507792B (zh) * 2013-09-04 2015-11-11 Au Optronics Corp 背光模組
KR102107564B1 (ko) 2013-11-06 2020-05-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CN103792706B (zh) 2014-01-28 2016-05-11 北京京东方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无边框显示装置
KR20150093278A (ko) 2014-02-06 2015-08-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4235695B (zh) * 2014-09-19 2017-11-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背光模组及显示装置
CN105992623A (zh) * 2014-09-26 2016-10-05 堺显示器制品株式会社 显示装置以及显示装置的制造方法
CN106611752B (zh) * 2015-10-23 2019-06-18 茂邦电子有限公司 芯片正背面之间的电性连接结构及其制造方法
KR102451998B1 (ko) * 2015-11-03 2022-10-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38876B1 (ko) * 2016-08-04 2023-06-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0098245B2 (en) * 2017-01-09 2018-10-09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isplay assembly,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CN108653785A (zh) 2017-04-05 2018-10-16 深圳市里阳电子有限公司 一种香味生成装置、香薰装置及电子蜡烛
US10716223B2 (en) * 2017-04-17 2020-07-14 Google Llc Frame assembly for an electronic device display
CN109140367A (zh) 2017-06-17 2019-01-04 深圳市里阳电子有限公司 电子香薰蜡烛及香料容器
JP6588061B2 (ja) * 2017-09-21 2019-10-09 Nec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946023B1 (ko) * 2017-11-30 2019-0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200040057A (ko) * 2018-10-08 2020-04-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1708197B (zh) 2020-06-23 2023-12-2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显示设备及显示设备的制作方法
CN113223406B (zh) * 2021-05-10 2022-07-12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背光模组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30148B1 (en) 1999-01-13 2001-12-11 Lg. Philips Lcd Co., Ltd. Flat panel display module for computer
KR100471064B1 (ko) 2002-06-11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100867749B1 (ko) 2002-09-03 2008-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KR101318303B1 (ko) 2006-10-25 2013-10-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1349091B1 (ko) 2006-12-19 2014-0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수납모듈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1325913B1 (ko) * 2010-04-27 2013-11-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27743B1 (ko) 2010-04-27 2013-11-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83671B1 (ko) * 2011-04-21 2017-10-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9582A (ko) * 2012-02-29 2013-09-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71819A (ko) * 2012-12-04 2014-06-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40137131A (ko) * 2013-05-22 2014-12-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38875A (ko) * 2013-10-01 2015-04-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0162205B2 (en) 2013-11-28 2018-12-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omprising a display panel fixed to a lower chassis by a metal line
US9625748B2 (en) 2013-11-28 2017-04-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9261721B2 (en) 2013-12-17 2016-02-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9503671B2 (en) 2014-06-13 2016-11-2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15199393A1 (en) * 2014-06-24 2015-12-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US10310311B2 (en) 2014-06-24 2019-06-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US9817260B2 (en) 2014-09-26 2017-11-1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160081648A (ko) * 2014-12-31 2016-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노트북 컴퓨터
US9798177B2 (en) 2015-03-24 2017-10-2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ouch panel fixing a display panel to a backlight unit
WO2016159489A1 (en) * 2015-03-31 2016-10-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US9632235B2 (en) 2015-03-31 2017-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ght guide plate support structure for display apparatus
US10551700B2 (en) 2017-06-12 2020-02-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backlight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50879B (zh) 2014-09-03
CN102750879A (zh) 2012-10-24
US20150237746A1 (en) 2015-08-20
US9033533B2 (en) 2015-05-19
KR101926430B1 (ko) 2018-12-10
US20120262907A1 (en) 2012-10-18
US10201101B2 (en) 201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8372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118365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2774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2591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9770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정보 기기
KR101640471B1 (ko)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3727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34588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123767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71751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11980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0062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82156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2212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8199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04870B1 (ko) 바텀 커버와 이를 갖는 액정 표시 모듈 및 평판 표시 장치
KR10126504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71718A (ko) 패널 지지 부재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56932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77249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0458B1 (ko) 디스플레이용 가이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36691B1 (ko) 디스플레이용 가이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0495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100431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37716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