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8145A - 위치기반 서비스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기반 서비스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8145A
KR20120118145A KR1020110035547A KR20110035547A KR20120118145A KR 20120118145 A KR20120118145 A KR 20120118145A KR 1020110035547 A KR1020110035547 A KR 1020110035547A KR 20110035547 A KR20110035547 A KR 20110035547A KR 20120118145 A KR20120118145 A KR 20120118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information
customer
lo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5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순
Original Assignee
(주)성문프라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문프라자 filed Critical (주)성문프라자
Priority to KR1020110035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8145A/ko
Publication of KR20120118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81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기반 서비스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콜택시, 대리운전, 퀵서비스, 화물운송, 꽃배달, 심부름 및 음식배달서비스 등의 서비스에 대하여, 운전기사는 고객과 중간 대리점 회사를 통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운전기사와 고객의 위치 및 서비스 진행상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표시하고, 고객이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받고 싶다면 높은 요금을 제시하여 운전기사들에게 동기부여 할 수 있고, 운전기사 또는 고객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설치시 입력한 추천인에게 서비스 이용시마다 일정한 수당을 정산하여 주는 위치기반 서비스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객 단말기, 다수의 서비스제공자 단말기 및 운영자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위치기반 서비스 중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운영자서버에 서비스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운영자서버에서 최적서비스정보 및 서비스진행정보를 송수신하여 표시하는 고객 단말기; 상기 고객 단말기에서 서비스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서비스종류를 판단하고, 서비스종류에 따른 서비스제공자의 다수의 서비스제공자 단말기에 서비스정보를 전송하고, 서비스수행정보를 수신하고 최적서비스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고, 서비스제공자 단말기와 고객단말기의 서비스진행정보를 중계하는 운영자서버; 및 상기 운영자서버에서 서비스정보를 수신하여 서비스수행정보를 전송하고, 서비스요청신호가 있는 경우 서비스진행정보를 운영자서버와 송수신하는 서비스제공자 단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위치기반 서비스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RELAYING LOCATION-BASED SERVICE}
본 발명은 위치기반 서비스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넷북 등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콜택시, 대리운전, 퀵 서비스, 꽃배달 서비스, 음식배달 배달 서비스를 중간 대리점 회사를 통하지 않고 고객과 서비스제공자를 중계한다. 예를들어, 대리운전 요청이 중간 대리점 회사를 거치지 않고 운전기사의 단말기에 접수되면, 운전기사 및 고객이 실시간으로 서로의 위치와 서비스 진행 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위치기반 서비스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콜택시, 대리운전, 퀵 서비스, 음식배달 서비스 등은 사용자가 전화를 통하여 사용자가 인지하고 있는 서비스제공자에 고객 자신의 현재 위치, 목적지, 원하는 서비스 내용을 음성으로 말하여 서비스를 요청해 왔다.
이러한 위치기반 서비스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대한민국특허등록10-0712828호(발명의 명칭 :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대리운전 시스템 및 이의 방법)외에 다수 출원 및 등록되어있다.
선행발명에 따른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대리운전 시스템 및 이의 방법은, GPS신호에 의한 위치추적 및 교통정보를 수집하여 위성통신망을 통해 송ㅇ수신하는 GPS 위성; 대리운전서비스를 희망하는 고객이 콜센터로 전화 통화하여 접수하는 고객용 통신수단; 고객용 통신수단을 통해 대리운전 요청 전화를 접수하고, GPS제공수단을 통해 대리기사에 관한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고객의 현위치를 중심으로 일정 반경영역 내에 있는 대리기사에게 배차가 이루어지도록 운행 및 운영을 제어하는 콜센터; GPS 위성과 위치정보를 송수신하여 현위치를 콜센터로 전송하고, 배차 및 고객정보를 수신받아 고객의 현위치로 안내하는 네비게이션 기능이 구비된 기사용 통신수단; GPS 위성과 위치정보를 송수신하여 현위치를 콜센터로 전송하고, 콜센터와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지는 간선차량 및 합류차량에 구비되는 차량용 통신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대리운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콜센터는 고객의 대리운전서비스 요청 접수시, GIS제공수단을 통해 제공되는 지도이미지상에 고객의 위치 좌표값을 입력하여 표시되게 하고, GPS제공수단을 통해 제공되는 일정 반경영역 내에 위치한 대리기사와의 거리를 연산하여 거리정보를 제공하는 위치설정수단; 고객의 목적지까지 차량 운행시, 데이터베이스수단을 검색하여 이전의 운행경로에 대한 기록이 저장되어 있으면, 저장된 운행경로에 따라 네비게이션 기능이 실행되어 길안내하는 차량경로안내수단; 상기 기사용 통신수단으로부터 간선차량의 위치정보에 대한 요청 접수시, GPS제공수단을 통해 간선차량의 위치정보와 간선차량의 운행노선 정보를 전송하여 기사용 통신수단의 지도이미지상에 대리기사의 위치를 중심으로 일정 반경영역 내의 운행하는 간선차량의 위치정보를 표시되게 하는 간선차량위치표시수단; 상기 기사용 통신수단으로부터 합류차량의 위치정보에 대한 요청 접수시, GPS제공수단을 통해 합류차량의 운행하는 위치정보를 전송하여 기사용 통신수단의 지도이미지상에 대리기사의 위치를 중심으로 일정 반경영역 내의 운행하는 합류차량의 위치정보를 표시되게 하는 합류차량위치표시수단; 고객의 대리운전서비스 요청을 접수하여 고객의 현위치를 중심으로 일정 반경영역 내에 위치한 대리기사에게 배차정보를 전송하되, 고객의 현위치 정보를 전송하여 기사용 통신수단의 지도이미지상에 표시되게 제어하고, 고객의 목적지까지 차량 운행시, 데이터베이스수단에 저장된 이전의 운행경로를 검색하여 추출된 운행경로 정보를 제공하고, 기사용 통신수단으로 간선차량 및 합류차량의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위치기반기술을 이용한 대리운전서비스가 구현되게 해당 구성수단을 제어하는 시스템 운영수단; 으로 구성되어, 대리기사가 고객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그런데, 선행발명은 고객이 서비스의 진행과정을 실시간으로 알기 어려웠다. 또한, 운전기사 입장에서 고객의 현재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어려웠다.
또한, 운전기사는 고객이 설명하는 위치를 전화상으로 일일이 설명받기 때문에 현재상태에서 고객위치를 정확하게 판단하는데 어려움이 있었고, 절차상의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콜센터에서 상담원이 모두 통화중인 경우, 다른 고객들은 상담원과 통화가 가능할 때까지 기다리는 수 밖에 없었다.
또한, 기존 콜센터를 운영하는 중간 대리점 회사에서 운전기사에게 일정수당 대략 20% 내지 30%를 사업 운영관리비 및 홍보 등의 명목으로 과다하게 징수하여, 콜센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운전기사들에게 경제적 손해가 상당하였다. 따라서, 콜센터로부터 서비스를 중계받는 경우에는 운전기사에게 금전적 동기부여 효과가 미약하였다.
그리고, 운전기사에게 콜 서비스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누락되거나 잘못 전송되는 경우 고객은 무작정 기다리다가 다시 콜센터에 전화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콜택시, 대리운전, 퀵서비스, 화물운송, 꽃배달, 심부름 및 음식배달서비스 등의 서비스에 대하여, 운전기사는 중간 대리점 회사를 통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고객과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서로의 위치와 서비스 진행 상황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는 위치기반 서비스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기존에 유무선 전화를 통하여 서비스를 신청하던 방식은 전화상담 인건비 및 광고비가 과다하게 요구되는 것에 반하여, 본 발명은고객 단말기 및 서비스제공자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용을 절감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고객 또는 서비스제공자가 입력한 추천인에게 피추천인의 서비스 이용량에 따라 수당을 정산하여 주므로 서비스 중계 시스템의 이용에 동기부여를 제공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객 단말기, 다수의 서비스제공자 단말기 및 운영자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위치기반 서비스 중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운영자서버에 서비스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운영자서버에서 최적서비스정보 및 서비스진행정보를 송수신하여 표시하는 고객 단말기; 상기 고객 단말기에서 서비스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서비스종류를 판단하고, 서비스종류에 따른 서비스제공자의 다수의 서비스제공자 단말기에 서비스정보를 전송하고, 서비스수행정보를 수신하고 최적서비스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고, 서비스제공자 단말기와 고객단말기의 서비스진행정보를 중계하는 운영자서버; 및 상기 운영자서버에서 서비스정보를 수신하여 서비스수행정보를 전송하고, 서비스요청신호가 있는 경우 서비스진행정보를 운영자서버와 송수신하는 서비스제공자 단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운영자서버는, 고객 단말기와 서비스요청신호, 최적서비스정보 및 서비스진행정보를 송수신하고, 서비스제공자 단말기와 서비스정보, 서비스요청신호 및 서비스진행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고객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고객정보, 서비스제공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서비스제공자정보 및 과금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서비스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서비스 종류를 판단하고 관련 서비스제공자 단말기로 서비스정보를 전송하고, 다수의 서비스제공자 단말기로부터 서비스수행정보를 수신하여 최적서비스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서비스 추천인에게 일정 수당을 정산하기위한 정산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고객정보를 저장하는 고객DB; 서비스제공자정보를 저장하는 서비스제공자DB; 및 수당정보를 저장하는 수당D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고객정보는, 고객ID 및 추천인I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고객정보에 있어서, 추천인ID는 공백(Nul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서비스요청신호는, 고객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고객이 원하는 맞춤요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서비스요청신호는, 고객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 희망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서비스요청신호는, 고객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고객의 전화번호 및 기본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고객 단말기는, 운영자서버로부터 서비스진행정보를 송수신하여 고객의 위치 및 운전기사의 위치를 전자지도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고객 단말기는, 운영자서버로부터 서비스진행정보를 송수신하여 고객의 위치 및 운전기사의 위치를 전자지도상에 표시하고, 운전기사의 위치와 고객의 위치를 점선으로 연결하며 운전기사의 위치와 고객과의 거리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서비스제공자 단말기는, 운영자서버로부터 서비스진행정보를 송수신하여 고객의 위치 및 운전기사의 위치를 전자지도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서비스제공자 단말기는, 운영자서버로부터 서비스진행정보를 송수신하여 고객의 위치 및 운전기사의 위치를 전자지도상에 표시하고, 운전기사의 위치와 고객의 위치를 점선으로 연결하며 운전기사의 위치와 고객과의 거리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고객 단말기, 다수의 서비스제공자 단말기 및 운영자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위치기반 서비스 중계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운영자서버가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서비스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서비스종류를 판단하고 서비스종류에 따른 서비스제공자 단말기에 서비스정보를 전송하는 과정; (b) 상기 운영자서버가 상기 서비스제공자 단말기로부터 서비스수행정보를 수신하고, 최적서비스정보를 생성하여 고객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 (c) 상기 운영자서버가 서비스수행정보에 서비스 수행 가능하다고 회신해온 서비스제공자 단말기(20) 중에서 기 설정된 배차 기준에 따라 해당 서비스제공자 단말기(20)에 서비스요청신호를 전송하는 과정; 및 (d) 상기 운영자서버가 서비스진행정보를 고객 단말기와 서비스제공자 단말기사이에서 중계하는 과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a) 과정 이전에, (a-1) 상기 운영자서버가 서비스제공자 단말기로부터 서비스제공자정보를 수신하여 서비스제공자정보를 저장하는 과정; 및 (a-2) 상기 운영자서버가 고객 단말기로부터 고객정보를 수신하여 고객정보를 저장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d) 과정은, (d`) 상기 운영자서버가 서비스제공자ID를 상기 고객 단말기에게 정보를 전송하고 고객 단말기ID를 상기 서비스제공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와 서비스제공자 단말기가 중간 대리점 회사를 통하지 않고 직접 서비스 진행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d) 과정 이후에, (e) 상기 운영자서버가 일정주기마다 피추천인의 서비스 이용 횟수 및 이용 정도에 따라 수당을 정산하기 위해 추천인의 서비스제공자 단말기 또는 고객단말기와 수당정산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 단말기에서 손쉽게 콜택시, 대리운전, 퀵서비스, 화물운송, 꽃배달, 심부름 및 음식배달 서비스 등의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요청할 수 있고, 서비스제공자의 현재 위치 및 서비스 진행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서비스제공자 및 고객에게 변동사항이 있는 경우 직접 통화하여 서비스내용을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에 유무선 전화를 통하여 서비스를 신청하던 방식은 전화 인건비 및 광고비가 과다하게 요구되는 것에 반하여, 본 발명은 고객 단말기 및 서비스제공자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요청하는 고객과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운전기사를 중간 대리점 회사를 통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배차 및 배정 지시해 놓는 방식으로 비용을 절감하여 서비스제공자에게 서비스 수수료를 낮춰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제공자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서 고객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점선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운전기사와 고객이 만날 수 있는 거리까지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 또는 서비스제공자가 입력한 추천인에게 고객의 서비스 이용량에 따라 일정한 수당을 정산하여 주도록 하기 때문에 피추천인인 서비스제공자 또는 고객에게 추가적인 금전적 이득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고객 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 설치를 추천하도록 하여 광고효과까지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서비스 중계 시스템의 개략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영자서버의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부의 세부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서비스 중계방법의 흐름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객 단말기의 대리운전 서비스 신청 화면.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객 단말기의 대리운전 서비스 비교 선택 화면.
도 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객 단말기의 대리운전 서비스 진행 화면.
도 8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리운전기사 단말기의 대리운전 서비스 진행 화면.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서비스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8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서비스 중계 시스템의 개략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 단말기(10), 다수의 서비스제공자 단말기(20) 및 운영자서버(100)를 포함한다.
상기 고객 단말기(1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GPS폰, 테블릿PC 및 넷북 등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운영자서버(100)에 고객정보, 서비스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운영자서버(100)에서 최적서비스정보 및 서비스진행정보를 송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운영자서버(100)에서 수신한 최적서비스정보를 목록화하여 표시하고, 운영자서버 또는 서비스제공자로부터 서비스진행정보를 송수신하여 고객의 위치 및 운전기사의 위치를 전자지도상에 표시하고, 운전기사의 위치와 고객의 위치를 점선으로 연결하며 운전기사의 위치와 거리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고객정보는 고객ID, 추천인ID를 포함한다. 이때 추천인ID는 공백(null)일 수도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추천인은 위치기반 서비스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도록 고객 또는 서비스제공자에게 추천한 사람이다. 추천인제도는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추천한 사람에게 일정한 수당을 지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요청신호는 고객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콜택시, 대리운전, 퀵서비스, 화물운송, 꽃배달, 심부름 및 음식배달 서비스 등의 서비스 중에서 선택된 서비스, 고객의 현재 위치정보, 서비스 희망시간, 고객의 전화번호, 기본정보 및 맞춤요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고객이 원하는 요금을 정할 수 있도록 하여, 연말연시에 이용자들이 급증하여 정가의 요금을 제시하더라도 서비스제공자가 응하지 않는 경우, 고객이 정가의 2배를 제시하게 되면 신속하게 서비스제공자가 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객이 서비스를 받기를 원하는 희망시간을 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전에 예약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객이 직접 신청할 수 없는 경우 대리인을 통하여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하여, 실제 고객의 전화번호와 기본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서비스제공자 단말기(20)는 상기 운영자서버(100)에서 서비스정보를 수신하여 서비스수행정보를 전송하고, 서비스요청신호가 있는 경우 서비스진행정보를 상기 운영자서버(100) 또는 고객단말기와 송수신하고, 서비스 종료 후 서비스제공자정보를 운영자서버(100)에 전송하고, 운영자서버(100)로부터 수당정산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제공자정보는 서비스제공자ID, 추천인ID 및 소속업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추천인ID는 공백(null)일 수도 있다. 그리고, 서비스제공자의 추천인은 타 서비스제공자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피추천인의 서비스 이용정도에 따라 차후에 정산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서비스수행정보는 서비스제공자의 서비스제공여부, 서비스제공자의 위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서비스진행정보는 현재 서비스진행과정에 대한 서비스제공자의 위치 및 고객의 위치를 포함한다. 예를들면 대리운전 서비스의 경우, 고객이 대리운전 서비스를 요청하면 운전기사 및 고객이 현재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있도록 대리운전의 위치정보 및 고객의 위치를 서비스제공자 단말기 및 고객 단말기에 표시하고 또한 점선으로 연결시켜 놓아 서비스 진행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영자서버(100)의 구성도로서, 운영자서버(100)는 송수신부(110), 데이터베이스부(120), 제어부(130) 및 정산처리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고객 단말기(10)에서 서비스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서비스종류를 판단하고, 서비스종류에 따른 서비스제공자의 다수의 서비스제공자 단말기(20)에 서비스정보를 전송하고, 서비스수행정보를 수신하고 최적서비스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10)로 전송하고, 서비스제공자 단말기(20)와 고객 단말기(10)에 서비스진행정보를 중계한다.
상기 송수신부(110)는 고객 단말기(10)와 고객정보, 서비스요청신호, 최적서비스정보 및 서비스진행정보를 송수신하고, 서비스제공자 단말기(20)와 서비스제공자정보, 서비스정보, 서비스요청신호, 서비스진행정보 및 수당정산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20)는 도 3 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객정보를 저장하는 고객DB(121), 서비스제공자정보를 저장하는 서비스제공자DB(123) 및 수당정보를 저장하는 수당DB(125)를 포함하여, 고객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고객정보, 서비스제공자 단말기(20)로부터 수신한 서비스제공자정보 및 정산처리부(140)에서 정산한 수당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고객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서비스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서비스 종류를 판단하고 관련된 다수의 서비스제공자 단말기(20)로 서비스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다수의 서비스제공자 단말기(20)로부터 서비스수행정보를 수신하여 최적서비스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정보는 고객으로부터 수신한 서비스요청신호에 포함된 고객의 현재위치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최적서비스정보는 다수의 서비스제공자 단말기(20)로부터 수신한 서비스수행정보를 목록화한 것으로 고객 단말기(10)와 서비스제공자 단말기(20)의 거리, 서비스제공자가 희망하는 가격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정산처리부(140)는 데이터베이스부(120)의 고객DB(121)에서 고객정보에 함께 저장된 추천인에게 수당을 정산하기 위해, 고객 또는 서비스제공자가 서비스이용시마다 서비스이용내역과 사전에 설정된 수당정산 기준에 따라 추천인별로 수당DB(125)에 수당정보를 저장하고 추천인에 해당하는 고객 또는 서비스제공자와 수당정산신호를 송수신하여 추천인에게 사전에 설정된 수당을 지불 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위치기반 서비스 중계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서비스 중계방법의 흐름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운영자서버(100)의 송수신부(110)가 서비스제공자 단말기(20)로부터 서비스제공자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부(120)의 서비스제공자DB(123)에 서비스제공자정보를 저장하고(S100), 상기 운영자서버(100)의 송수신부(110)가 고객 단말기(10)로부터 고객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부(120)의 고객DB(121)에 고객정보를 저장한다(S200).
이후에, 상기 운영자서버(100)의 송수신부(110)가 상기 고객 단말기(10)로부터 서비스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제어부(130)가 수신된 서비스요청신호를 이용하여 서비스종류를 판단하고 서비스종류에 따라 관련된 서비스제공자를 데이터베이스부(120)의 서비스제공자DB(123)에서 추출하여 관련된 서비스제공자 단말기(20)에 서비스정보를 전송한다(S300). 또한, 상기 운영자서버(100)의 송수신부(110)가 상기 서비스제공자 단말기(20)로부터 서비스수행정보를 수신하고, 제어부(130)가 서비스수행정보에 포함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최적서비스정보를 생성하여 고객 단말기(10)에 전송하고(S400), 상기 운영자서버(100)의 송수신부(110)가 서비스수행정보에 서비스 수행 가능하다고 회신해온 서비스제공자 단말기(20) 중에서 기 설정된 배차 기준에 따라 해당 서비스제공자 단말기(20)에 서비스요청신호를 전송하고(S500), 상기 운영자서버(100)의 송수신부(110)가 상기 서비스제공자 단말기(20)와 고객단말기(10)에 서비스 진행정보를 중계한다(S600).
그 후에, 상기 운영자서버(100)의 정산처리부(140)가 고객DB(121)의 고객정보또는 서비스제공자DB(123)의 서비스제공자에 저장된 추천인ID에서 추천인을 확인하여 피추천인의 서비스 이용 횟수 및 이용 정도에 따라 수당을 정산하여 수당DB(125)에 저장하고, 일정 주기마다 추천인ID에 해당하는 고객단말기(10) 또는 서비스제공자 단말기(20)와 수당 정산처리신호를 송수신하여 추천인에게 비용을 지불한다(S700). 이때, 수당 정산은 월별, 분기별, 반기별, 년도별로 정산할 수 있다.
한편, S600 과정은 운영자서버가 서비스제공자ID를 상기 고객 단말기에게 정보를 전송하고 고객 단말기ID를 상기 서비스제공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와 서비스제공자 단말기가 중간 대리점 회사를 통하지 않고 직접 서비스 진행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고객입장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고객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넷북 등 휴대용 단말기 등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운영자서버(100)에 접속하고 콜택시, 대리운전, 퀵 서비스, 음식배달 서비스 등에서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한다.
고객이 대리운전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 도 5 에 표시된 바와 같이 대리운전 서비스 신청화면이 표시되고, 출발지, 목적지, 경유지, 고객맞춤요금설정, 도착희망시간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출발지는 기본적으로 현재 위치로 설정되고 다른 목적지, 경유지, 고객맞춤요금, 도착희망시간은 선택적 사항으로 입력하지 않아도 무관하다. 고객 단말기(10)에서 서비스요청을 하는 경우, 운영자서버(100)는 서비스의 종류는 대리운전 서비스로 판단하고 대리운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자에게 고객의 위치를 포함한 서비스정보를 전송한다.
이후에, 서비스제공자인 대리운전 운전기사는 고객의 위치를 확인하고 서비스 수행여부 및 운전기사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서비스수행정보를 운영자서버(100)로 전송한다. 운영자서버(100)는 다수의 서비스제공자로부터 서비스수행정보를 수신하여, 도 6 과 같이 고객의 위치로부터 최단거리의 대리운전기사부터 운전기사들의 정보를 목록화하여 최적서비스정보를 생성하고 고객 단말기(10)로 전송하고, 상기 운영자서버가 서비스수행정보에 서비스 수행 가능하다고 회신해온 서비스제공자 단말기(20) 중에서 기 설정된 배차 기준에 따라 해당 서비스제공자 단말기(20)에 서비스요청신호를 전송한다.
이어서, 서비스제공자 단말기(20)는 대리운전 서비스를 착수하고 대리운전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서비스진행정보를 운영자서버(100)로 연속적으로 전송하고, 운영자서버(100)는 수신된 대리운전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서비스진행정보를 고객 단말기(10)로 연속적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고객 단말기(10)도 운영자서버(100)를 거쳐 서비스제공자 단말기(20)에 서비스 진행정보를 연속적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고객단말기(10)과 서비스제공자 단말기(20)은 운영자서버(100)을 거치지 않고 직접 서비스 진행정보를 송수신 할 수도 있다.
따라서, 고객 단말기(10)에서 도 7 과 같이 고객의 현재위치 및 대리운전기사의 위치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고, 서비스제공자 단말기(20)에서도 도 8과 같이 고객의 현재위치 및 대리운전 기사의 위치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예상도착소요기간과 거리, 대리운전 기사의 정보를 표시하여 서비스신청이 누락되거나 변동사항이 있는 경우에도 대리운전기사와 바로 연락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바로 잡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후에, 서비스진행이 완료되면 운영자서버(100)는 서비스를 이용한 고객의 고객정보에서 추천인ID를 확인하여 추천인에게 일정한 수당을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매월 추천인별로 피추천인의 서비스이용량에 따라 수당을 정산한다.
따라서, 기존에 전화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요구하던 것은 인건비 및 광고비의 명목으로 중계수수료를 과다 징수하는 것에 반해,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중계수수료를 낮추고 추천인 제도를 활용하여 본 발명의 광고까지 장려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운전자 입장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운전기사가 운영자 서버를 통해 고객으로부터 대리운전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고객의 위치를 확인하고 서비스 수행여부 및 운전기사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서비스수행정보를 운영자서버(100)로 전송한다. 운영자서버(100)는 다수의 운전기사로부터 서비스수행정보를 수신하여, 고객의 위치로부터 최단거리의 대리운전기사부터 운전기사들의 정보를 목록화하여 최적서비스정보를 생성하고 고객 단말기(10)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운영자서버(100)가 서비스수행정보에 서비스 수행 가능하다고 회신해온 서비스제공자 단말기(20) 중에서 기 설정된 배차 기준에 따라 해당 서비스제공자 단말기(20)에 서비스요청신호를 전송한다.
이어서, 고객으로부터 선택된 운전기사는 대리운전 서비스를 착수하고 대리운전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서비스진행정보를 운영자서버(100)를 통하여 고객 단말기(10)로 연속적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고객 단말기(10)도 운영자서버(100)를 거쳐 서비스제공자 단말기(20)에 서비스 진행정보를 연속적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고객단말기(10)과 서비스제공자 단말기(20)은 운영자서버(100)을 거치지 않고 직접 서비스 진행정보를 송수신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운전기사는 서비스제공자 단말기(20)에서 도 8과 같이 고객의 현재위치 및 대리운전 기사의 위치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예상도착소요기간과 거리, 고객의 정보를 표시하여 고객에게 변동사항이 생긴 경우 바로 연락을 취하여 조정할 수 있다.
이후에, 서비스진행이 완료되면 운영자서버(100)는 서비스를 이용한 고객의 고객정보에서 추천인ID를 확인하여 추천인에게 일정한 수당을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매월 추천인별로 피추천인의 서비스이용량에 따라 수당을 정산한다.
따라서, 기존에 전화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요구하던 것은 인건비 및 광고비의 명목으로 중계수수료를 과다 징수하는 것에 반해,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중계수수료를 낮추고 추천인 제도를 활용하여 본 발명의 광고까지 장려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고객 단말기 20 : 서비스제공자 단말기
100 : 운영자서버 110 : 송수신부
120 : 데이터베이스부 121 : 고객DB
123 : 서비스제공자DB 125 : 수당DB
130 : 제어부 140 : 정산처리부

Claims (18)

  1. 고객 단말기, 다수의 서비스제공자 단말기 및 운영자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위치기반 서비스 중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운영자서버에 서비스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운영자서버에서 최적서비스정보 및 서비스진행정보를 송수신하여 표시하는 고객 단말기;
    상기 운영자서버에서 서비스정보를 수신하여 서비스수행정보를 전송하고, 서비스요청신호가 있는 경우 서비스진행정보를 운영자서버와 송수신하는 서비스제공자 단말기; 및
    상기 고객 단말기에서 서비스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서비스종류를 판단하고, 서비스종류에 따른 서비스제공자의 다수의 서비스제공자 단말기에 서비스정보를 전송하고, 서비스수행정보를 수신하고 최적서비스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고, 서비스제공자 단말기와 고객단말기의 서비스진행정보를 중계하는 운영자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중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자서버는,
    고객 단말기와 서비스요청신호, 최적서비스정보 및 서비스진행정보를 송수신하고, 서비스제공자 단말기와 서비스정보, 서비스요청신호 및 서비스진행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고객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고객정보, 서비스제공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서비스제공자정보 및 과금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서비스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서비스 종류를 판단하고 관련 서비스제공자 단말기로 서비스정보를 전송하고, 다수의 서비스제공자 단말기로부터 서비스수행정보를 수신하여 최적서비스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서비스 추천인에게 일정 수당을 정산하기위한 정산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중계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고객정보를 저장하는 고객DB;
    서비스제공자정보를 저장하는 서비스제공자DB; 및
    수당정보를 저장하는 수당D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중계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정보는,
    고객ID 및 추천인I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중계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정보에 있어서,
    추천인ID는 공백(Nul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중계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자정보는,
    서비스제공자ID 및 추천인I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중계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자정보에 있어서,
    추천인ID는 공백(Nul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중계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요청신호는,
    고객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고객이 원하는 맞춤요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중계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요청신호는,
    고객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 희망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중계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요청신호는,
    고객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고객의 전화번호 및 기본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중계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기는,
    운영자서버로부터 서비스진행정보를 송수신하여 고객의 위치 및 운전기사의 위치를 전자지도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중계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기는,
    운영자서버로부터 서비스진행정보를 송수신하여 고객의 위치 및 운전기사의 위치를 전자지도상에 표시하고, 운전기사의 위치와 고객의 위치를 점선으로 연결하며 운전기사의 위치와 고객과의 거리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중계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자 단말기는,
    운영자서버로부터 서비스진행정보를 송수신하여 고객의 위치 및 운전기사의 위치를 전자지도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중계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자 단말기는,
    운영자서버로부터 서비스진행정보를 송수신하여 고객의 위치 및 운전기사의 위치를 전자지도상에 표시하고, 운전기사의 위치와 고객의 위치를 점선으로 연결하며 운전기사의 위치와 고객과의 거리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중계 시스템.
  15. 고객 단말기, 다수의 서비스제공자 단말기 및 운영자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위치기반 서비스 중계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운영자서버가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서비스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서비스종류를 판단하고 서비스종류에 따른 서비스제공자 단말기에 서비스정보를 전송하는 과정;
    (b) 상기 운영자서버가 상기 서비스제공자 단말기로부터 서비스수행정보를 수신하고, 최적서비스정보를 생성하여 고객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
    (c) 상기 운영자서버가 서비스수행정보에 서비스 수행 가능하다고 회신해온 서비스제공자 단말기(20) 중에서 기 설정된 배차 기준에 따라 해당 서비스제공자 단말기(20)에 서비스요청신호를 전송하는 과정; 및
    (d) 상기 운영자서버가 서비스진행정보를 고객 단말기와 서비스제공자 단말기사이에서 중계하는 과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중계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a) 과정 이전에,
    (a-1) 상기 운영자서버가 서비스제공자 단말기로부터 서비스제공자정보를 수신하여 서비스제공자정보를 저장하는 과정; 및
    (a-2) 상기 운영자서버가 고객 단말기로부터 고객정보를 수신하여 고객정보를 저장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중계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d) 과정은,
    (d`) 상기 운영자서버가 서비스제공자ID를 상기 고객 단말기에게 정보를 전송하고 고객 단말기ID를 상기 서비스제공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와 서비스제공자 단말기가 중간 대리점 회사를 통하지 않고 직접 서비스 진행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중계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d) 과정 이후에,
    (e) 상기 운영자서버가 일정주기마다 피추천인의 서비스 이용 횟수 및 이용 정도에 따라 수당을 정산하기 위해 추천인의 서비스제공자 단말기 또는 고객 단말기와 수당정산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중계방법.
KR1020110035547A 2011-04-18 2011-04-18 위치기반 서비스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1181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547A KR20120118145A (ko) 2011-04-18 2011-04-18 위치기반 서비스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547A KR20120118145A (ko) 2011-04-18 2011-04-18 위치기반 서비스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145A true KR20120118145A (ko) 2012-10-26

Family

ID=47285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5547A KR20120118145A (ko) 2011-04-18 2011-04-18 위치기반 서비스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81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0204A (ko) * 2017-08-07 2019-02-28 김학태 클라이언트 서비스 지원 양방향 중개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0204A (ko) * 2017-08-07 2019-02-28 김학태 클라이언트 서비스 지원 양방향 중개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193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a transport service for drivers and users of a geographic region
JP6062641B2 (ja) タクシー運用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装置
CN107430008B (zh) 并入公共交通系统和订制交通服务的多模式旅行计划方法
KR101701406B1 (ko) 위치기반 자동차 자가정비 대행서비스 제공 방법
US20130246301A1 (en) Providing user feedback for transport services through use of mobile devices
KR101594395B1 (ko) 네트워크 상에서의 물품 배송자 중개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중개 서버
WO2011067741A1 (en) Method for ordering taxi services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2004310316A (ja) 配車処理装置、そのシステム、その方法、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する記録媒体
KR20120024135A (ko) 스마트폰의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대리운전 시스템 및 그의 운영방법
US7885643B2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KR20130142213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리운전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130128794A (ko) 스마트폰의 위치기반서비스 및 역경매 시스템을 활용한 배달대행 서비스 제공방법
KR101791980B1 (ko) 멀티 오더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2003168195A (ja) 配車サービス方法、配車サービスシステム、配車サービス装置、利用者用端末装置、事業者用端末装置、事業者用車載機
KR20120118145A (ko) 위치기반 서비스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140402A (ja) 車両の乗合サービス提供方法、システムおよび装置
KR100840340B1 (ko) 대리 운전 배차 정보 제공 방법
JP2002032629A (ja) 移動端末を利用した取引方法及び装置、システム並びに記録媒体
KR20080067722A (ko) 차량을 이용한 광고방법 및 그 광고 시스템
KR20130131547A (ko) 고유번호를 이용한 대리운전 운용시스템 및 그의 운용방법
AU2017203891B2 (en) System and method for arranging transport amongst parties through use of mobile devices
KR20140094263A (ko) 포인트를 이용한 콜 택시 서비스 방법
KR20130116853A (ko) 어플을 이용한 운송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230136380A (ko) 음식점에 일 소속되어 배달이 가능한 플랫폼 시스템 및 제공방법
JP2021086248A (ja) 目的地設定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