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7672A - 태블릿형 컴퓨터용 지지 홀더 및 이것을 구비한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태블릿형 컴퓨터용 지지 홀더 및 이것을 구비한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7672A
KR20120117672A KR1020120038360A KR20120038360A KR20120117672A KR 20120117672 A KR20120117672 A KR 20120117672A KR 1020120038360 A KR1020120038360 A KR 1020120038360A KR 20120038360 A KR20120038360 A KR 20120038360A KR 20120117672 A KR20120117672 A KR 20120117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ablet
computer
support member
type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8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로 세가와
Original Assignee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17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6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지지 홀더(1)는 태블릿형 컴퓨터의 배면에 맞닿음 가능한 지지면을 갖는 배면 지지 부재(10)와, 배면 지지 부재(10)의 상하 양단에서 단면이 대략 L자형으로 돌출하여 컴퓨터의 상하 양단을 홀딩 가능한, 적어도 일방이 가동식의 상부 및 하부 홀딩 부재(20, 20)와, 배면 지지 부재(10)의 좌우 양측에서 단면 대략 직선형으로 돌출하여 컴퓨터의 좌우 양측에 맞닿아서 지지하는, 적어도 일방이 가동식의 좌측부 및 우측부 지지 부재(30, 30)를 구비하고, 배면 지지 부재(10)의 지지면 위에, 양쪽 홀딩 부재(20, 20) 및 양측부 지지 부재(30, 30)에 의해 컴퓨터를 지지 고정한다. 이 지지 홀더는 지지 장치의 받침대로 하여, 태블릿형 컴퓨터를 사용하기 쉽게 설치한다.

Description

태블릿형 컴퓨터용 지지 홀더 및 이것을 구비한 지지 장치{SUPPORT HOLDER FOR TABLET PC AND SUPPORTING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사무실, 공장, 학교, 가정 등에서, 책상이나 테이블, 벽면, 또는 자동차 등의 각종 승용 수단의 내부 등, 태블릿형 컴퓨터를 설치하고자 하는 설치면에 설치 고정하는 각종 형식의 지지 장치의 받침대(臺座)로서 부착되어, 태블릿형 컴퓨터를 지지하는데 사용하는 태블릿형 컴퓨터용 지지 홀더 및 이것을 구비한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의 소형화 기술이나 액정 등을 이용한 표시 장치의 소형화 기술의 진전에 의해, 노트형 컴퓨터, 퍼스널 디지털 어시스턴트(PDA), 휴대전화 등의 휴대형 전자기기가 폭넓게 보급되고 있고, 최근은 또한, 액정 표시 장치와 입력 수단을 조합하여, 더 한층의 소형화를 도모한 태블릿형 컴퓨터가 등장하고 있다. 이 태블릿형 컴퓨터는 소형, 경량으로, 휴대 편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태블릿형 표시 장치로서의 액정 패널에 터치 패널 기능을 부가하여, 문자 입력 등의 주요 정보 입력을 키보드 등을 사용하지 않고 터치 패널을 통하여 행하기 때문에, 컴퓨터 본체의 크기나 형상의 자유도가 커, 디스플레이 표시의 열람성이 우수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태블릿형 컴퓨터는 항상 휴대하여 가는 곳마다 사용할 뿐만 아니라, 그것이 가지고 있는 정보처리 능력으로 때로는, 예를 들면, 데스크탑형 컴퓨터와 같이 한 군데에 설치하여, 데스크탑형 컴퓨터의 대용품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런데, 이러한 태블릿형 컴퓨터를, 예를 들면, 데스크탑형 컴퓨터와 같이 사무실, 공장, 학교, 가정 등에서 책상이나 테이블, 벽면, 또한 자동차를 포함하는 각종 승용 수단의 내부 등, 소정의 위치에 설치하려고 하는 경우, 태블릿형 컴퓨터를 지지 장치에 의해 설치하고, 사용할 때에 이 컴퓨터를 책상이나 테이블 위의 소정의 위치 혹은 벽면 위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당해 소정의 위치로부터 떨어져 방해되지 않는 적절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종류의 지지 장치가 JP-2003-67084-A에 의해 제안되어 있다.
이 문헌의 지지 장치는 부착 상태로 천판(天板) 위에 세워 설치되는 베이스부 샤프트와, 노트북 컴퓨터 등의 기기를 탑재 가능한 기기 재치대와, 재치대에 베이스부 샤프트와 평행하게 되는 상태로 세워 설치되는 가동 샤프트와, 가동 샤프트와 베이스부 샤프트 사이에 배열 설치되는 팬터그래프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노트북 컴퓨터 등의 기기를 탑재한 기기 재치대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탁상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후퇴 위치로 들어올려 격납하고, 사용시에 기기를 조작하기 쉬운 탁상면으로 끌어내어 하강시키도록 되어 있다.
(발명의 개요)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지지 장치에서는 기기 재치대가 메인 테이블과, 메인 테이블의 좌우 양측에 배열 설치되는 좌우 양측 위치 결정 테이블과, 메인 테이블 전측에 배열 설치되는 전측 위치 결정 테이블을 구비하고, 전체가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태블릿형 컴퓨터와 같은 박형의 평판 형상의 기기의 경우, 표시면을 위를 향하게 하여 올려놓을 수밖에 없고, 이와 같이 위를 향하게 한 것은 표시면을 보기 어렵고, 터치 패널의 조작도 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사무실, 공장, 학교, 가정 등에서 책상이나 테이블, 벽면, 또 자동차 등의 각종 승용 수단의 내부 등, 설치면에 설치 고정하는 각종 형식의 지지 장치의 받침대로서 부착하여, 이 컴퓨터의 표시면을 유저가 보기 쉽고, 터치 패널의 조작도 하기 쉬운 임의의 방향을 향하게 하여 당해 설치면 위에 설치할 수 있는 태블릿형 컴퓨터용 지지 홀더 및 이것을 구비한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책상이나 테이블, 벽면, 각종 승용 수단의 내부를 포함하는, 태블릿형 컴퓨터를 설치하고자 하는 설치면에 설치 고정하는 각종 형식의 지지 장치의 받침대로서 부착되어, 태블릿형 컴퓨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홀더로서, 태블릿형 컴퓨터의 배면에 맞닿음 가능한 지지면을 갖고, 상기 지지 장치에 부착되는 배면 지지 부재와,
상기 배면 지지 부재의 상하 양단에서 각각 전방을 향하여 단면이 대략 L자형으로 돌출하고, 태블릿형 컴퓨터의 상하 양단을 홀딩(抱持) 가능하게 형성되는 상부 홀딩 부재 및 하부 홀딩 부재이며, 적어도 일방은 가동식이고, 태블릿형 컴퓨터의 상부 또는 하부를 홀딩 가능한 위치와, 당해 위치로부터 이간(離間)하는 위치 사이를 진퇴 가능한, 상부 및 하부 홀딩 부재와,
상기 배면 지지 부재의 좌우 양측에서 각각 전방을 향하여 단면이 대략 직선형으로 돌출하고, 태블릿형 컴퓨터의 좌우 양측에 맞닿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좌측부 지지 부재 및 우측부 지지 부재이며, 적어도 일방은 가동식이고, 타방과의 사이의 간격을 조정 가능하게 상기 배면 지지 부재의 일방의 측부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변위 가능한, 좌측부 및 우측부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태블릿형 컴퓨터를, 상기 지지면 위에, 상기 상부 및 하부 홀딩 부재 및 상기 좌측부 및 우측부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 고정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또한 이 지지 홀더는 각 부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1) 배면 지지 부재의 이면(裏面)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되는 슬라이드 부재와, 슬라이드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과, 슬라이드 부재를 상하 방향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부 및 하부 홀딩 부재 중 가동식의 홀딩 부재는 슬라이드 부재의 상부 또는 하부에 일체로 단면이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고, 슬라이드 부재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다.
또한 상부 및 하부 홀딩 부재 중 가동식의 홀딩 부재는 단면이 대략 L자형의 단체로 이루어지고, 배면 지지 부재의 상부 또는 하부에 힌지를 통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해도 된다.
(2) 상부 및 하부 홀딩 부재 중 가동식의 홀딩 부재가 태블릿형 컴퓨터의 상부 또는 하부를 홀딩한 위치에서, 홀딩 부재의 움직임을 규제하여 잠그는 잠금(施錠) 부재를 더 구비한다.
(3) 좌측부 및 우측부 지지 부재 중 가동식의 측부 지지 부재는 배면 지지 부재의 이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선단이 배면 지지 부재의 일방의 측부로부터 돌출하는 회동 암과, 회동 암의 선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여 선단의 주위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지지 암을 갖고, 회동 암의 회동 위치에 의해, 양측부 지지 부재 간의 간격을 조정하고, 지지 암의 회동에 의해, 태블릿형 컴퓨터의 일방의 측부에 맞추어 각도를 조정한다.
또한 좌측부 및 우측부 지지 부재 중 가동식의 측부 지지 부재는 배면 지지 부재의 이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고 선단이 배면 지지 부재의 일방의 측부로부터 돌출하는 슬라이드 암과, 슬라이드 암의 선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지지 암을 갖고, 슬라이드 암의 슬라이드 위치에 의해 양측부 지지 부재 간의 간격을 조정하도록 해도 된다.
(4) 배면 지지 부재와, 그 상하 양단으로부터 각각 돌출하는 상부 및 하부 홀딩 부재와의 간격은, 태블릿형 컴퓨터에 사용하는 각종 보호 커버의 두께를 포함하여 태블릿형 컴퓨터의 두께보다도 크게 설정되고, 보호 커버를 벗겨낸 태블릿형 컴퓨터를 직접 지지하는 경우에, 배면 지지 부재의 지지면과 태블릿형 컴퓨터의 배면 사이에 개재시키는 간격 조정 부재가 지지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지지 장치는 상기에 기재된 태블릿형 컴퓨터용 지지 홀더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태블릿형 컴퓨터용 지지 홀더 및 이것을 구비한 지지 장치에 의하면, 상기의 구성에 의해, 배면 지지 부재가 지지면을 임의의 방향을 향하게 하여 지지 장치에 부착되고, 양쪽 홀딩 부재 및 양측부 지지 부재에 의해 태블릿형 컴퓨터를 지지면 위에 지지 고정하도록 했으므로, 사무실, 공장, 학교, 가정 등에서 책상이나 테이블, 벽면, 또 자동차 등의 각종 승용 수단의 내부 등, 태블릿형 컴퓨터를 설치하고자 하는 설치면에 설치 고정하는 각종 형식의 지지 장치의 받침대로서 부착하여, 당해 설치면 위에, 태블릿형 컴퓨터의 표시면을 유저가 보기 쉽고, 터치 패널의 조작도 하기 쉬운 임의의 방향을 향해서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가동식의 지지 장치를 채용함으로써, 태블릿형 컴퓨터를 사용할 때에 이 컴퓨터를 책상이나 테이블, 벽면, 또 각종 승용 수단 내 등의 원하는 위치에, 컴퓨터의 표시면을 유저가 사용하기 쉬운 소정의 방향을 향해서 배치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이 컴퓨터를 당해 소정의 위치로부터 떨어져 방해되지 않는 적절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태블릿형 컴퓨터용 지지 홀더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동 지지 홀더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저면도, (b)는 정면도, (c)는 측면도.
도 3은 동 지지 홀더가 구비하는 스토퍼 부재를, 잠금 부재의 일부와 함께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
도 4는 동 지지 홀더가 구비하는 상부 홀딩 부재 및 슬라이드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사시도, (b)는 단면도.
도 5는 동 지지 홀더가 구비하는 양측부 지지 부재의 회동 암과 지지 암의 부착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 단면도.
도 6은 동 지지 홀더가 구비하는 간격 조정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도 7은 동 지지 홀더의 사용예로서, 태블릿형 컴퓨터를 보호 커버에 넣은 채 지지 홀더에 세팅하는 경우의 태양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동 지지 홀더의 사용예로서, 태블릿형 컴퓨터에 보호 커버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지지 홀더에 세팅하는 경우의 태양을 도시하는 사시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도면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에 태블릿형 컴퓨터용 지지 홀더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고, 도 2 내지 도 6에 이 지지 홀더의 각 부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태블릿형 컴퓨터용 지지 홀더(1)는 책상이나 테이블, 벽면, 또한 각종 승용 수단의 내부(실내) 등, 태블릿형 컴퓨터를 설치하고자 하는 설치면에 설치 고정하는 각종 형식의 지지 장치의, 태블릿형 컴퓨터를 지지 고정하는 받침대로서 부착된다. 이 지지 홀더(1)는 태블릿형 컴퓨터의 배면에 맞닿음 가능한 지지면(11)을 갖고, 지지 장치에 부착되는 배면 지지 부재(10)와, 배면 지지 부재(10)의 상하 양단에서 각각 전방을 향하여 단면이 대략 L자형으로 돌출하고, 태블릿형 컴퓨터의 상하 양단을 각각 홀딩하도록 형성되는 상부 홀딩 부재(20) 및 하부 홀딩 부재(20)와, 배면 지지 부재(10)의 좌우 양측에서 각각 전방을 향하여 단면이 대략 직선형으로 돌출하고, 태블릿형 컴퓨터의 좌우 양측에 각각 맞닿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좌측부 지지 부재(30) 및 우측부 지지 부재(30)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 홀딩 부재(20) 및 하부 홀딩 부재(20)의 적어도 일방은 태블릿형 컴퓨터의 상측 또는 하측을 홀딩 가능한 위치와 당해 위치로부터 이간하는 위치 사이를 진퇴 가능한 가동식 홀딩 부재(20M)로서, 배면 지지 부재(10)의 상하 어느 한쪽에 부착된다. 상기 좌측부 지지 부재(30) 및 우측부 지지 부재(30)의 적어도 일방은 타방과의 사이의 간격을 조정 가능하게 배면 지지 부재(10)의 일방의 측부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변위 가능한 가동식 측부 지지 부재(30M)로서 배면 지지 부재(10)의 좌우 어느 한쪽에 부착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지지 홀더(1)는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재에 의해 형성되고, 다음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면 지지 부재(10)는 일반적인 사이즈의 태블릿형 컴퓨터의 배면에 맞닿을 수 있도록 당해 배면보다도 조금 작은 대략 장방형의 평판으로서 형성된다. 이 평판의 전면은 태블릿형 컴퓨터의 배면에 대한 지지면(11)이고, 이면은 배면 지지 부재(10)를 지지 장치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면(12)으로 되어 있고, 부착 부재(12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태양에서는, 이 평판의 중앙에, 원형의 구멍 부분(130)과 당해 구멍 부분(130)의 상하 가장자리에 깊이 잘라낸 홈(131)으로 이루어지는 걸림 구멍(13)이 뚫어져, 이 걸림 구멍(13)에 의해, 후술하는 간격 조정 부재(40)를 지지면(11)에 고정할 수 있다.
이 평판의 이면측의 부착 부재(120)는 수평 단면이 대략 모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배면 지지 부재(10)의 부착면(12)보다도 작은 대략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의 부착부(121)와, 이 부착부(121)의 좌우 양측에 각각 대략 직각으로 연장되는 단면 대략 L자형의 한 쌍의 고정부(122)를 갖는다. 부착 부재(121)는, 좌우 양측의 상하 소정의 위치에, 지지 장치와 결합하기 위한 나사 삽입통과 구멍을 갖는다. 부착부(121)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고정부(122)의 각 면의 하부의 소정 범위에는 개구(123)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이 부착 부재(120)에는 후술하는 슬라이드 부재(16)에 걸어맞춤 가능한 스토퍼 부재(14)와, 후술하는 상부 홀딩 부재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잠금 부재(15)가 설치된다. 스토퍼 부재(14)는 플라스틱재에 의해 형성되고,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긴 대략 장방형의 부착 베이스(141)와, 이 부착 베이스(141)의 하단으로부터 단면이 대략 J자형 또는 대략 L자형으로 돌출되고, 부착 베이스(141)를 향하여 경동(傾動) 가능한 스프링 작용을 갖는 암(142)과, 부착 베이스(141)와는 반대측의 암(142)의 면의 상부에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는 걸림 돌기(143)를 갖는다. 이 스토퍼 부재(14)는, 부착 부재(120)의 내면 중앙의 상부에, 후술하는 슬라이드 부재(16)의 스토퍼 걸어맞춤 부재(17)에 대향 가능하게, 나사 등에 의해 부착된다.
잠금 부재(15)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실시태양에서는 상부 홀딩 부재(20)인 가동식 홀딩 부재(20M)의 움직임을, 배면 지지 부재(10)의 상부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돌출하여 태블릿형 컴퓨터의 상측을 홀딩 가능한 위치로 규제하고 잠그는 것이다.
이 경우 잠금 부재(15)로서 정면의 열쇠 구멍(150)에 열쇠를 꽂아 넣고 돌림으로써 로터를 회전시키고, 이것에 연동하여 로킹 플레이트(151)을 로킹 위치와 언로킹 위치 사이에서 진퇴시키는 구조의 자물쇠 유닛이 채용된다. 이 자물쇠 유닛(15)은 스토퍼 부재(14)에 근접하고, 열쇠 구멍(150)을 부착 부재(120)의 외측으로 표출하여, 부착 부재(120)에 장착된다. 이렇게 하여 열쇠를 자물쇠 유닛(15)의 열쇠 구멍(150)에 꽂아 넣고 소정의 방향으로 돌림으로써,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킹 플레이트(151)가 스토퍼 부재(14)의 부착 베이스(141)와 암(142) 사이에 삽입되어, 암(142)의 전후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여 로킹하고, 또 열쇠를 그 반대로 돌림으로써, 로킹 플레이트(151)를 스토퍼 부재(14)의 부착 베이스(141)와 암(142) 사이로부터 이탈하여, 암(142)의 로킹을 해제하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태양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홀딩 부재(20, 20) 중, 상부 홀딩 부재(20)는 상하 방향으로 진퇴 가능한 가동식 홀딩 부재(20M)이며, 하부 홀딩 부재(20)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식 홀딩 부재(20P)로 되어 있다.
상부 홀딩 부재(20M)는 배면 지지 부재(10)의 이면에 부착되는 슬라이드 부재(16)의 상단에 일체로 단면이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된다. 슬라이드 부재(16)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 및 상하 방향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 수단을 통하여, 배면 지지 부재(10)의 이면에 배열 설치된다. 이것에 의해 상부 홀딩 부재(20M)는 슬라이드 부재(16)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 실시태양에서는, 슬라이드 부재(16)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홀더(1)의 각 부와 동일한 금속 재료에 의해, 배면 지지 부재(10)의 이면의 부착 부재(120)의 평면적보다도 작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평판으로 형성되고, 이 평판의 좌우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슬릿 형상의 한 쌍의 가이드 구멍(160)이 형성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16)의 표리 양측에 스러스트 와셔(180)를 사이에 두고 각 가이드 구멍(160)으로부터 배면 지지 부재(10)에 한 쌍의 가이드 핀(181)이 삽입통과되어 코킹되고, 슬라이드 부재(16)가 배면 지지 부재(10)의 이면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 한 쌍의 가이드 핀(181)의 일방은 배면 지지 부재(10)의 상부에 근접하는 소정의 위치에 삽입통과되고, 가이드 구멍(160)의 상부 가장자리부가 맞대기 이음됨으로써 슬라이드 부재(16)의 하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타방의 핀(181)은 상기 일방의 가이드 핀(181)의 위치보다 하방의 소정의 위치에 삽입통과되고, 가이드 구멍(160)의 하부 가장자리부가 맞대기 이음됨으로써 슬라이드 부재(16)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 구멍(160) 및 한 쌍의 가이드 핀(181)이 슬라이드 부재(16)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을 구성한다.
이 슬라이드 부재(16)의 하부 중앙에는 대략 직사각형의 홈(161)이 형성된다. 또한 이 슬라이드 부재(16)의 이면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 부재(120)에 설치되는 스토퍼 부재(14)에 걸어맞춤 가능한 스토퍼 걸어맞춤 부재(17)가 설치된다. 이 스토퍼 걸어맞춤 부재(17)는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긴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일방의 면에, 스토퍼 부재(14)의 걸림 돌기(143)가 걸어맞춤 가능한 파형 형상부(171)가 형성된다. 이 스토퍼 걸어맞춤 부재(17)는 슬라이드 부재(16)의 이면 중앙의 상부에 나사 등에 의해 부착된다. 이와 같이 스토퍼 걸어맞춤 부재(17)는, 스토퍼 부재(14)와 함께, 슬라이드 부재(16)를 상하 방향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 수단을 이룬다.
이러한 슬라이드 부재(16)의 상단에,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홀딩 부재(20M)가 대략 L자형으로 일체 형성된다. 이 상부 홀딩 부재(20M)는 슬라이드 부재(16)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수평면(201)과, 이 수평면(201)의 선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수직면(202)으로 이루어진다. 배면 지지 부재(10)와 그 상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상부 홀딩 부재(20)의 수직면(202)과의 간격은 태블릿형 컴퓨터에 사용하는 각종 보호 커버의 두께를 포함하여 태블릿형 컴퓨터의 두께보다도 크게 설정된다. 또한 수직면(202)의 길이는 태블릿형 컴퓨터의 정면측의 상부 가장자리부에 걸림 가능하게 적당한 치수가 설정된다. 이 상부 홀딩 부재(20M)의 내면에는 쿠션재(21)가 부착된다.
이렇게 하여 상부 홀딩 부재(20M)는, 배면 지지 부재(10)의 이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열 설치되는 슬라이드 부재(16)를 사이에 두고, 배면 지지 부재(10)의 상부에 상하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배치되고, 슬라이드 부재(16)의 스토퍼 걸어맞춤 부재(17)에 대하여, 배면 지지 부재(10)의 이면에 부착되는 부착 부재(120)의 스토퍼 부재(14)가 걸어 맞추어진다. 이러한 스토퍼 걸어맞춤 부재(17)와 스토퍼 부재(14)의 걸어맞춤에 의해, 상부 홀딩 부재(20M)를 상방으로 끌어올리거나 하방으로 밀어 내리거나 하면, 이 상부 홀딩 부재(20M)의 움직임에 따라, 슬라이드 부재(16)의 스토퍼 걸어맞춤 부재(17)의 파형 형상부(171)에 대하여 스토퍼 부재(14)의 걸림 돌기(143)가 암(142)의 스프링 작용에 의해 탄성적으로 걸리고 벗겨진다. 상부 홀딩 부재(20M)를 어느 높이에서 정지시키면, 그 위치에서 스토퍼 걸어맞춤 부재(17)의 파형 형상부(171)에 대하여 스토퍼 부재(14)의 걸림 돌기(143)가 탄성적으로 걸어맞추어져, 상부 홀딩 부재(20M)를 그 높이에 고정하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열쇠를 자물쇠 유닛(15)의 열쇠 구멍(150)에 꽂아 넣고 소정의 방향으로 돌림으로써, 로킹 플레이트(151)가 스토퍼 부재(14)의 부착 베이스(141)와 암(142) 사이에 삽입되고, 암(142)의 전후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여, 슬라이드 부재(16)의 상하 방향의 움직임, 즉 상부 홀딩 부재(20M)를 로킹할 수 있다.
한편, 하부 홀딩 부재(2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회동 암(31, 31)의 선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대략 ㄷ자형으로 돌출하여 선단의 주위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가동식의 한 쌍의 홀딩 부재(20P, 20P)이다. 회동 암(31, 31)의 회동 위치에 의해, 양쪽 홀딩 부재(20P, 20P)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고, 하부 홀딩 부재(20P, 20)P의 회동에 의해, 태블릿형 컴퓨터의 하단에 맞추어 각도를 조정하게 되어 있다. 이 실시태양에서는, 회동 암(31, 31)은 좌측부 및 우측부 지지 부재(30, 30)의 회동 암과 공통이므로, 후술하는 좌측부 및 우측부 지지 부재(30, 30)의 설명 속에서 아울러 설명한다. 하부 홀딩 부재(20P)는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재의 평판을 대략 ㄷ자형의 홈형으로 절곡 형성되고, 일방의 기립면에 축 삽입통과 구멍(203)이 뚫려 있다. 이 홀딩 부재(20P)의 내면에는 쿠션재(22)가 부착된다. 또한, 이 홀딩 부재(20P)의 홈폭은 전술의 배면 지지 부재(10)와 상부 홀딩 부재(20M)의 수직면(202)과의 사이에 대응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측부 및 우측부 지지 부재(30, 30)는 모두 좌우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가동식 측부 지지 부재(30M, 30M)로 되어 있고, 하부 홀딩 부재(20, 20(20P, 20P))와 함께 조립된다.
좌측부 및 우측부 지지 부재(30, 30)는 배면 지지 부재(10)의 이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선단이 당해 배면 지지 부재(10)의 양측으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회동 암(31, 31)과, 각 회동 암(31)의 선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여 선단의 주위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지지 암(32, 32)으로 이루어진다. 회동 암(31, 31)의 회동 위치에 의해, 좌측부 지지 부재(30)와 우측부 지지 부재(30)의 간격을 조정하고, 지지 암(32, 32)의 회동에 의해, 태블릿형 컴퓨터의 측부에 맞추어 각도를 조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태양에서는, 각 회동 암(31)은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재에 의해 가늘고 긴 평판으로 형성되고, 양단부의 소정의 범위가 각각 지지 암(32) 및 홀딩 부재(20P)의 부착부로 되어 있고, 중간부에 대하여 단차가 형성되어 보다 높고, 부착시의 상태에서 말하면, 중간부보다도 전방으로 돌출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일방의 단부 돌출면에 지지 암(32)을 축지지하기 위한 축 삽입통과부(311)가 뚫어지고, 타방의 단부 돌출면에 홀딩 부재(20P)를 축지지하기 위한 축 삽입통과부(312)가 뚫어지고, 또한 중간부의 타방의 단부측에 회동 암(31)을 서로 축지지하기 위한 축 삽입통과부(313)이 뚫어진다.
지지 암(32)은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재의 평판을 대략 L자형으로 절곡하여 형성되고, 절곡부를 경계로 일방의 평면부가 회동 암(31)으로의 부착부(321)이며, 축 삽입통과부(320)이 뚫어지고, 타방의 평면부가 태블릿형 컴퓨터를 위한 지지부(322)로 되어 있다. 이 지지 암(32)의 내면에는 쿠션재(23)가 부착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회동 암(31)의 일방의 단부에는, 이러한 지지 암(32)이 상호의 축 삽입통과부(320, 311)를 수지 와셔(36)를 사이에 두고 맞추고, 축(33)을 통과시켜 코킹함으로써, 당해 단부의 주위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전방을 향하여 돌출한다. 또 각 회동 암(31)의 타방의 단부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술한 홀딩 부재(20P)가, 상호의 축 삽입통과부(203, 312)를 맞추고, 축(34)을 통과시켜 코킹함으로써, 당해 단부의 주위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전방으로 돌출한다. 그리고 이 한 쌍의 회동 암(31, 31)은 대략 X형으로 교차하고, 마찰 저항을 갖는 와셔를 사이에 두고 상호의 축 삽입통과부(313)를 맞추고, 배면 지지 부재(10)의 이면 중앙 하방의 소정의 위치에 축(35)으로 삽입 부착되고,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와 같이 회동 암(31, 31), 지지 암(32, 32) 및 하부 홀딩 부재(20P, 20P)를 조립하고, 회동 암(31, 31)을 회동시킴으로써, 좌우 양측의 지지 암(32, 32) 사이의 간격 및 양쪽 하부 홀딩 부재(20P, 20P) 사이의 간격을 조정함과 아울러, 지지 암(32, 32) 및 하부 홀딩 부재(20P, 20P)를 회동시킴으로써, 태블릿형 컴퓨터의 각 측에 맞추어 지지 암(32, 32) 및 하부 홀딩 부재(20P, 20P)의 각도를 조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 지지 홀더(1)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배면 지지 부재(10)와 그 상하 양단으로부터 돌출하는 상부 및 하부 홀딩 부재(20, 20) 사이의 간격은 태블릿형 컴퓨터에 사용하는 각종 보호 커버의 두께를 포함하고, 태블릿형 컴퓨터의 두께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지만, 보호 커버를 벗겨낸 태블릿형 컴퓨터를 이 지지 홀더(1)로 직접 지지하는 경우에는, 배면 지지 부재(10)의 지지면(11)과 태블릿형 컴퓨터의 배면 사이에 개재시키는 간격 조정 부재(40)가 지지면(1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간격 조정 부재(40)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 플레이트(41)와, 이 부착 플레이트(41) 위에 겹쳐서 접합되는 쿠션재(42)로 구성된다. 부착 플레이트(41)는,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재에 의해, 배면 지지 부재(10)의 지지면(11)보다도 작은 가로로 긴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부착 플레이트(41)의 이면 중앙에는, 배면 지지 부재(10) 중앙에 설치한 걸림 구멍(13)에 걸어맞춤 가능한 걸림 부재(401)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 걸림 부재(401)는 걸림 구멍(13)의 원형의 구멍 부분(130)에 삽입통과 가능한 대응하는 원형의 축(402)과, 축(402) 단부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돌출하는, 걸림 구멍(13)의 각 홈(131)에 대응하는 돌출형상부(403)를 구비한다. 쿠션재(42)는 부착 플레이트(41)의 평면과 대략 동일한 크기이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상의 스폰지나 우레탄이며, 부착 플레이트(41)의 전면에 접착제에 의해 접합된다.
이 간격 조정 부재(40)를 배면 지지 부재(10)의 지지면(11)에 부착하는 경우, 도 2를 참조하여, 부착 플레이트(41)를 지지면(11)을 향하게 한 상태로부터, 걸림 부재(401)와 걸림 구멍(13)의 형상을 서로 맞추도록 간격 조정 부재(40)를 90도 회전시켜, 걸림 부재(401)를 걸림 구멍(13)에 삽입통과한 후, 간격 조정 부재(40)를 90도 되돌리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걸림 부재(401)의 좌우의 돌출형상부(403)를 걸림 구멍(13)의 좌우 가장자리부에 걸어, 지지면(11)에 설치한다. 또한 걸림 부재(401)를 걸림 구멍(13)에 걸었을 경우, 배면 지지 부재(10)의 이면측의 슬라이드 부재(16)의 동작 영역으로 돌출되지만, 슬라이드 부재(16)의 하부 중앙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대략 ㄷ자형의 홈(16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걸림 부재(401)가 슬라이드 부재(16)의 동작에 간섭하지는 않는다. 간격 조정 부재(40)를 지지면(11)에서 떼어내는 경우에는, 상기의 부착 조작과 반대의 조작을 행하면 된다.
지지 홀더(1)를 받침대로서 부착하는 지지 장치는 기존의 것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지만, 본원 출원인이 앞서 출원한 발명(일본 특허출원 제2010-247582호)의 시스템 레일 유닛에 사용되는 시스템 레일이나 지지 암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지지 홀더(1)는 시스템 레일이나 지지 암의 부착 플레이트에 나사에 의해 부착된다. 또한 지지 장치에는 기존의 각종 형식의 지지 암이 채용되어 있어도 되고, 그 경우, 배면 지지 부재(10) 이면의 부착면(12)의 구성을 적당히 변경하고, 지지 암의 선단에 주지의 경동식 또는 고정식의 연결 수단을 통하여 부착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사용하여 이 지지 홀더(1)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도 7에는 태블릿형 컴퓨터를 보호 커버에 넣은 채 지지 홀더(1)에 세팅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또한, 이 경우에는 간격 조정 부재(40)는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지지 홀더(1)로부터 떼어 둔다.
우선, 상부 홀딩 부재(20M)를 적당한 높이까지 상방으로 끌어올리고, 배면 지지 부재(10)의 상부를 개방한다. 이 때, 상부 홀딩 부재(20M)의 움직임에 따라, 슬라이드 부재(16)가 배면 지지 부재(10)의 이면에서 상방을 향하여 슬라이딩하고(도 3 참조), 스토퍼 부재(14)의 걸림 돌기(143)가 암(142)의 스프링 작용에 의해, 스토퍼 걸어맞춤 부재(17)의 파형 형상부(171)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걸리거나 벗겨지고, 상부 홀딩 부재(20M)를 적당한 높이에서 정지하면, 그 위치에서 파형 형상부(171)와 걸림 돌기(143)가 탄성적으로 걸어맞추어져, 상부 홀딩 부재(20M)가 당해 높이에 고정된다.
계속해서, 필요에 따라, 좌측부 및 우측부 지지 부재(30M, 30M)을 상하동시켜, 그 간격을 태블릿형 컴퓨터의 폭 정도 또는 그것보다 조금 큰 폭으로 벌린다. 여기에서, 양쪽 회동 암(31, 31)을 상방으로 회동함으로써, 양측부 지지 부재(30M, 30M) 사이의 간격을 좁게 할 수 있고, 반대로, 양쪽 회동 암(31, 31)을 하방으로 회동함으로써, 양측부 지지 부재(30M, 30M) 사이의 간격을 넓게 할 수 있다.
이어서 태블릿형 컴퓨터를, 표시면을 정면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배면 지지 부재(10)의 지지면(11)의 상방으로부터 양측부 지지 부재(30M, 30M) 사이에 끼워 넣고, 하부 홀딩 부재(20P)에 걸고, 컴퓨터의 배면과 지지면(11)을 맞닿게 한다. 계속해서, 필요하면, 양측부 지지 부재(30M, 30M)를 조금 상하동시켜, 그 간격을 태블릿형 컴퓨터의 폭에 맞추어 양측부에 맞닿게 한다. 그리고, 상부 홀딩 부재(20M)를 하방으로 밀어 내려, 수평면(201)을 컴퓨터의 상부에 맞닿게 하고, 수직면(202)을 컴퓨터 정면의 상부 가장자리부에 건다. 이 상태는 스토퍼 걸어맞춤 부재(17)의 파형 형상부(171)와 스토퍼 부재(14)의 걸림 돌기(143)의 탄성적 걸어맞춤에 의해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태블릿형 컴퓨터는, 배면 지지 부재(10)의 지지면(11) 위에, 상부 및 하부 지지 부재(20, 20) 및 좌측부 및 우측부 지지 부재(30, 30)에 의해 지지 고정되고, 지지 장치를 통하여, 원하는 설치면 위에, 컴퓨터의 표시면을 정면, 좌우 방향, 좌우 방향으로 비스듬히, 상하 방향, 상하 방향으로 비스듬히 등, 유저가 요구하는 임의의 방향을 향하여 설치된다. 이것에 의해, 컴퓨터의 표시면이 보기 쉽고, 터치패널의 조작도 하기 쉬워진다. 또한 가동식의 지지 장치를 채용함으로써, 태블릿형 컴퓨터를 사용할 때에는 유저가 사용하기 쉬운 소정의 위치에 임의의 방향을 향하여 배치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당해 소정의 위치로부터 떨어져서 방해되지 않는 적절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자물쇠 유닛(15)을 사용하여, 지지 홀더(1)에 설치된 태블릿형 컴퓨터가 사용자 이외의 사람에 의해 반출되지 않도록, 열쇠로 상부 홀딩 부재(20M)를 로킹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태블릿형 컴퓨터를 지지 홀더(1)에 세팅하여 방치해도, 지지 홀더(1)로부터 떼어낼 수 없어, 유저의 착오로 컴퓨터를 잘못 가져가거나, 도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지지 홀더(1)로부터 태블릿형 컴퓨터를 떼어내는 경우에는 상기와 반대의 조작을 행하면 된다. 즉, 자물쇠 유닛(15)을 사용하여 상부 홀딩 부재(20M)를 로킹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로킹을 해제한다. 계속해서, 지지 홀더(1)의 상부 홀딩 부재(20M)를 적당한 높이까지 상방으로 끌어올려, 배면 지지 부재(10)의 상부를 개방한다. 이 때, 양측부 지지 부재(30, 30)를 상하동시켜, 그 간격을 태블릿형 컴퓨터의 폭보다도 조금 크게 벌려 두면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태블릿형 컴퓨터를 양측부 지지 부재(30, 30) 사이에서 빼내어, 지지 홀더(1)로부터 떼어낸다.
도 8에는, 태블릿형 컴퓨터에 보호 커버를 사용하지 않고, 그 자체를 이 지지 홀더(1)에 직접 세팅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이 경우, 간격 조정 부재(40)를 배면 지지 부재(10)의 지지면(11)에 부착하고나서, 태블릿형 컴퓨터를 상기와 같이 세팅하면 된다. 이렇게 하여 세팅함으로써, 태블릿형 컴퓨터는 상부 및 하부 홀딩 부재(20, 20)의 쿠션재(21, 22), 좌측부 및 우측부 지지 부재(30, 30)의 쿠션재(23, 23), 및 간격 조정 부재(40)의 쿠션재(42)에 의해 탄성적으로 접촉 지지되어, 컴퓨터의 표면에 상처가 나거나 하지 않고 유지된다. 이 지지 홀더(1)로부터 컴퓨터를 떼어내는 경우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떼어내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지지 홀더(1) 및 이것을 사용한 지지 장치에서는, 상기의 구성에 의해, 배면 지지 부재가 지지면을 임의의 방향을 향하여 지지 장치에 부착되고, 양쪽 홀딩 부재 및 양측부 지지 부재에 의해 태블릿형 컴퓨터를 지지면 위에 지지 고정하도록 했으므로, 사무실, 공장, 학교, 가정 등에서 책상이나 테이블, 벽면, 또 자동차 등의 각종 승용 수단의 내부 등, 태블릿형 컴퓨터를 설치하고자 하는 설치면에 설치 고정하는 각종 형식의 지지 장치의 받침대로서 부착하여, 당해 설치면 위에, 태블릿형 컴퓨터의 표시면을 유저가 보기 쉽고, 터치패널의 조작도 하기 쉬운 임의의 방향을 향해서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가동식의 지지 장치를 채용함으로써, 태블릿형 컴퓨터를 사용할 때에 이 컴퓨터를 책상이나 테이블, 벽면, 또 각종 승용 수단 내 등의 원하는 위치에, 컴퓨터의 표시면을 유저가 사용하기 쉬운 소정의 방향을 향하여 배치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이 컴퓨터를 당해 소정의 위치로부터 떨어져서 방해되지 않는 적절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또 이 지지 홀더(1) 및 이것을 사용한 지지 장치에 의하면, 특히, 배면 지지 부재(10)의 이면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되는 슬라이드 부재(16)와, 슬라이드 부재(16)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160, 181)과, 슬라이드 부재(16)를 상하 방향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 수단(14, 17)을 더 준비하고, 가동식 상부 홀딩 부재(20M)는 슬라이드 부재(16)의 상부에 일체로 단면이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고, 슬라이드 부재(16)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므로, 상부 홀딩 부재(20M)를 상방으로 끌어올리거나 하방으로 밀어 내리거나 하여, 이 상부 홀딩 부재(20M)를 임의의 높이에 고정할 수 있다. 또 상부 홀딩 부재(20M)를 적당한 높이까지 상방으로 끌어올리고, 배면 지지 부재(10)의 상부를 개방함으로써, 이 지지 홀더(1)에 대하여 태블릿형 컴퓨터의 부착, 분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태블릿형 컴퓨터의 크기가 상이한 경우에도, 그 높이에 맞추어 상부 홀딩 부재(20M)를 밀어 내려, 컴퓨터의 상부를 확실하게 눌러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지지 홀더(1) 및 이것을 사용한 지지 장치에 의하면, 특히, 가동식의 양측부 지지 부재(30, 30)는 배면 지지 부재(10)의 이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선단이 당해 배면 지지 부재(10)의 양측으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회동 암(31, 31)과, 각 회동 암(31)의 선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고 당해 선단의 주위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한 쌍의 지지 암(32, 32)을 갖고, 회동 암(31, 31)의 회동 위치에 의해 양측부 지지 부재(30, 3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고, 지지 암(32, 32)의 회동에 의해, 태블릿형 컴퓨터의 측부에 맞추어 각도를 조정하도록 했으므로, 태블릿형 컴퓨터의 크기가 상이한 경우에도, 그 폭에 맞추어 양측부 지지 부재(30, 3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여, 컴퓨터의 양측을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더욱이 또한, 이 지지 홀더(1) 및 이것을 사용한 지지 장치에 의하면, 특히, 가동식의 상부 홀딩 부재(20M)가 태블릿형 컴퓨터의 상부를 홀딩한 위치에서, 상부 홀딩 부재(20M)의 움직임을 규제하여 잠그는 잠금 부재(15)를 구비하고, 지지 홀더(1)에 설치된 태블릿형 컴퓨터가 사용자 이외의 사람에 의해 반출되지 않도록, 열쇠에 의해 상부 홀딩 부재(20M)를 고정하도록 했으므로, 태블릿형 컴퓨터를 지지 홀더(1)에 세팅한 채 방치해도, 지지 홀더(1)로부터 떼어낼 수 없기 때문에, 유저끼리의 착오로 컴퓨터를 잘못 가져가거나, 도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이 지지 홀더(1) 및 이것을 사용한 지지 장치에 의하면, 특히, 배면 지지 부재(10)와, 그 상하 양단으로부터 각각 돌출하는 양쪽 홀딩 부재(20, 20)와의 간격은 태블릿형 컴퓨터에 사용하는 각종 보호 커버의 두께를 포함하여 태블릿형 컴퓨터의 두께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보호 커버를 벗겨낸 태블릿형 컴퓨터를 직접 지지하는 경우에, 배면 지지 부재(10)의 지지면(11)과 태블릿형 컴퓨터의 배면 사이에 개재시키는 간격 조정 부재(40)가 지지면(1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태블릿형 컴퓨터에 보호 커버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이 간격 조정 부재(40)에 의해, 태블릿형 컴퓨터를 직접, 지지 홀더(1)에 상기와 마찬가지로 지지 고정하여,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하부 홀딩 부재(2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식의 홀딩 부재(20P)로 했지만, 이 하부 홀딩 부재(20)를 배면 지지 부재(10)의 하단에 고정해도 된다. 또한 상부 홀딩 부재(20)를 배면 지지 부재(10)의 상단에 고정하고, 하부 홀딩 부재(20P)를 가동식으로 해도 된다. 이렇게 해도 상기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양측부 지지 부재(30, 30)는 한 쌍의 회동 암(31, 31)과 한 쌍의 지지 암(32, 32)에 의해 외측을 향하여 변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일방의 측부 지지 부재(30)만이 회동 암(31)과 지지 암(32)에 의해 외측을 향하여 변위 가능하게 구성되고, 타방부 지지 부재(30)가 배면 지지 부재(10)의 타방부에 고정되어도 된다. 이렇게 해도 상기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배면 지지 부재(10)의 이면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되는 슬라이드 부재(16)와, 슬라이드 부재(16)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160, 181)과, 슬라이드 부재(16)를 상하 방향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 수단(14, 17)를 구비하고, 가동식의 상부 홀딩 부재(20M)는 슬라이드 부재(16)의 상단에 일체로 단면이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고, 슬라이드 부재(16)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지만, 이 가동식의 홀딩 부재(20M)는 단면이 대략 L자형의 단체로 이루어지고, 배면 지지 부재(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힌지를 통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해도 된다. 그 경우, 이 가동식의 홀딩 부재(20M)가 태블릿형 컴퓨터의 상부 또는 하부를 홀딩한 위치에서, 홀딩 부재(20M)의 움직임을 규제하여 잠그는 잠금 부재(15)를 아울러 구비해도 된다. 이렇게 해도 상기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가동식의 양측부 지지 부재(30M, 30M)는 배면 지지 부재(10)의 이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선단이 배면 지지 부재(10)의 양측으로부터 돌출하는 회동 암(31, 31)과, 회동 암(31, 31)의 선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고 당해 선단의 주위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지지 암(32, 32)을 갖고, 회동 암(31, 31)의 회동 위치에 의해, 양측부 지지 부재(30, 3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고, 지지 암(32, 32)의 회동에 의해, 태블릿형 컴퓨터의 양측에 맞추어 각도를 조정하도록 했지만, 이 가동식의 측부 지지 부재는 배면 지지 부재의 이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고 선단이 배면 지지 부재의 일방의 측부로부터 돌출하는 슬라이드 암과, 슬라이드 암의 선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지지 암을 갖고, 슬라이드 암의 슬라이드 위치에 의해 양측부 지지 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렇게 해도 상기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태블릿형 컴퓨터용 지지 홀더
10 배면 지지 부재
11 지지면
12 부착면
120 부착 부재
121 부착부
122 지지 고정부
123 개구
13 걸림 구멍
130 원형의 구멍 부분
131 홈
14 스토퍼 부재
141 부착 베이스
142 암
143 걸림 돌기
15 잠금 부재(자물쇠 유닛)
150 열쇠 구멍
151 로킹 플레이트
16 슬라이드 부재
160 가이드 구멍
161 홈
17 스토퍼 걸어맞춤 부재
171 파형 형상부
180 스러스트 와셔
181 가이드핀
20 상부 및 하부 홀딩 부재
20M 가동식의 상부 홀딩 부재
201 수평면
202 수직면
20P 가동식의 하부 홀딩 부재
203 축 삽입통과 구멍
21 쿠션재
22 쿠션재
23 쿠션재
30 양측부 지지 부재(좌측부 지지 부재 및 우측부 지지 부재)
30M 가동식의 양측부 지지 부재
31 회동 암
311 축 삽입통과부
312 축 삽입통과부
313 축 삽입통과부
32 지지 암
320 축 삽입통과부
321 부착부
322 지지부
33 축
34 축
35 축
36 수지 와셔
40 간격 조정 부재
41 부착 플레이트
401 걸림 부재
402 축
403 돌출형상부
42 쿠션재

Claims (8)

  1. 태블릿형 컴퓨터를 설치하는 면에 설치 고정하는 지지 장치의 받침대로서 장착되어, 태블릿형 컴퓨터를 지지하는 태블릿형 컴퓨터용 지지 홀더로서,
    태블릿형 컴퓨터의 배면에 맞닿음 가능한 지지면을 갖고, 상기 지지 장치에 부착되는 배면 지지 부재와,
    상기 배면 지지 부재의 상하 양단에서 각각 전방을 향하여 단면이 대략 L자형으로 돌출하고, 태블릿형 컴퓨터의 상하 양단을 홀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상부 홀딩 부재 및 하부 홀딩 부재이며, 적어도 일방은 가동식이고, 태블릿형 컴퓨터의 상부 또는 하부를 홀딩 가능한 위치와, 당해 위치로부터 이간하는 위치 사이를 진퇴 가능한 상부 및 하부 홀딩 부재와,
    상기 배면 지지 부재의 좌우 양측에서 각각 전방을 향하여 단면이 대략 직선형으로 돌출하고, 태블릿형 컴퓨터의 좌우 양측에 맞닿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좌측부 지지 부재 및 우측부 지지 부재이며, 적어도 일방은 가동식이고, 타방과의 사이의 간격을 조정 가능하게 상기 배면 지지 부재의 일방의 측부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변위가능한 좌측부 및 우측부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태블릿형 컴퓨터를 상기 지지면 위에 상기 상부 및 하부 홀딩 부재 및 상기 좌측부 및 우측부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형 컴퓨터용 지지 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지지 부재의 이면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되는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과,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상하 방향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홀딩 부재 중 가동식의 홀딩 부재는 슬라이드 부재의 상단 또는 하단에 일체로 단면이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형 컴퓨터용 지지 홀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홀딩 부재 중 가동식의 홀딩 부재는 단면이 대략 L자형의 단체로 이루어지고, 배면 지지 부재의 상부 또는 하부에 힌지를 통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형 컴퓨터용 지지 홀더.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홀딩 부재 중 가동식의 홀딩 부재가 태블릿형 컴퓨터의 상부 또는 하부를 홀딩한 위치에서, 상기 홀딩 부재의 움직임을 규제하여 잠그는 잠금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형 컴퓨터용 지지 홀더.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부 및 우측부 지지 부재 중 가동식의 측부 지지 부재는 배면 지지 부재의 이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선단이 배면 지지 부재의 일방의 측부로부터 돌출하는 회동 암과, 상기 회동 암의 선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여 선단의 주위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지지 암을 갖고,
    상기 회동 암의 회동 위치에 의해 상기 양측부 지지 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고,
    상기 지지 암의 회동에 의해, 태블릿형 컴퓨터의 일방의 측부에 맞추어 각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형 컴퓨터용 지지 홀더.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부 및 우측부 지지 부재 중 가동식의 측부 지지 부재는 배면 지지 부재의 이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고 선단이 배면 지지 부재의 일방의 측부로부터 돌출하는 슬라이드 암과, 상기 슬라이드 암의 선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지지 암을 갖고,
    상기 슬라이드 암의 슬라이드 위치에 의해 상기 양측부 지지 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형 컴퓨터용 지지 홀더.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면 지지 부재와, 그 상하 양단으로부터 각각 돌출하는 상부 및 하부 홀딩 부재와의 간격은 태블릿형 컴퓨터에 사용하는 각종 보호 커버의 두께를 포함하여 태블릿형 컴퓨터의 두께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보호 커버를 벗겨낸 태블릿형 컴퓨터를 직접 지지하는 경우에, 상기 배면 지지 부재의 지지면과 태블릿형 컴퓨터의 배면 사이에 개재시키는 간격 조정 부재가 지지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형 컴퓨터용 지지 홀더.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태블릿형 컴퓨터용 지지 홀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
KR1020120038360A 2011-04-15 2012-04-13 태블릿형 컴퓨터용 지지 홀더 및 이것을 구비한 지지 장치 KR201201176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90939A JP5509136B2 (ja) 2011-04-15 2011-04-15 タブレット型コンピュータ用支持ホルダ及びこれを備えた支持装置
JPJP-P-2011-090939 2011-04-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672A true KR20120117672A (ko) 2012-10-24

Family

ID=47153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360A KR20120117672A (ko) 2011-04-15 2012-04-13 태블릿형 컴퓨터용 지지 홀더 및 이것을 구비한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509136B2 (ko)
KR (1) KR20120117672A (ko)
CN (1) CN102788231B (ko)
TW (1) TWI51088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0944B1 (ko) 2021-11-26 2023-04-13 주토스 주식회사 휴대용 태블릿 크래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08561B1 (ja) * 2013-03-16 2014-02-05 孝司 飯塚 タブレットホルダー
JP6257384B2 (ja) * 2014-03-06 2018-01-10 株式会社イトーキ 会議室などの部屋入口に設置される端末ホルダー
DE102014109928A1 (de) * 2014-07-15 2016-01-21 Recaro Aircraft Seating Gmbh & Co. Kg Fahrzeugsitzvorrichtung
CN104984543B (zh) * 2015-07-11 2018-05-04 鲁杨 一种便携式手机游戏手柄
CN104922904A (zh) * 2015-07-11 2015-09-23 鲁杨 一种新型平板电脑游戏手柄
CN104971496A (zh) * 2015-07-11 2015-10-14 鲁杨 一种手机游戏手柄
JP2017098444A (ja) * 2015-11-26 2017-06-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機器保持スタンド
US10473257B2 (en) 2015-11-26 2019-11-12 Seiko Epson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support stand
CN106224699A (zh) * 2016-07-29 2016-12-14 毛方生 一种新型承载锁定组件
CN106151789B (zh) * 2016-07-29 2017-12-12 张叶莎 一种多功能架承载锁定组件
CN106195583B (zh) * 2016-07-29 2017-12-12 叶利萍 一种稳固承载锁定组件
CN106015853A (zh) * 2016-07-29 2016-10-12 毛方生 一种可调的托架承载锁定组件
CN106195582B (zh) * 2016-07-29 2017-12-22 叶利萍 一种多用托架承载锁定组件
CN106151788B (zh) * 2016-07-29 2017-12-19 叶利萍 一种降噪托架承载锁定组件
CN106015881A (zh) * 2016-07-29 2016-10-12 毛方生 一种新型承载锁定装置
CN106122726A (zh) * 2016-07-29 2016-11-16 毛方生 一种防磨承载锁定装置
CN106015880A (zh) * 2016-07-29 2016-10-12 毛方生 一种承载锁定组件
CN106015206A (zh) * 2016-07-29 2016-10-12 毛方生 一种改进型承载锁定组件
CN106247092A (zh) * 2016-07-29 2016-12-21 毛方生 一种承载锁定装置
CN106402610B (zh) * 2016-10-31 2018-02-16 福建海佳彩亮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带可调式壁挂的液晶显示屏装置
KR101902827B1 (ko) 2017-03-29 2018-10-01 (주)에이스 힌지텍 모니터용 지지 브래킷
CN110094607A (zh) * 2018-01-31 2019-08-06 雅控科技有限公司 能稳固地抓持及锁定各种尺寸平板式电子装置的托架
CN108600479A (zh) * 2018-07-23 2018-09-28 张德军 车载手机重力支架
JP6994719B2 (ja) 2019-03-26 2022-01-14 株式会社ユピテル クレードル
WO2020239851A1 (de) * 2019-05-28 2020-12-03 Behr-Hella Thermocontrol Gmbh Anzeige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618476U1 (de) * 1996-10-23 1996-12-19 Tsay Wen Feng Klemmvorrichtung für Mobiltelefone
CN2519943Y (zh) * 2001-11-27 2002-11-06 华展科技股份有限公司 电脑支撑座
JP3093663U (ja) * 2002-10-25 2003-05-16 フウァン デイヴィッド 調整可能なクランプ装置
CN2704869Y (zh) * 2004-07-02 2005-06-15 大同股份有限公司 平板电脑与其底座的固定结构
US7551458B2 (en) * 2005-05-24 2009-06-23 Carnevali Jeffrey D Secure universal mounting apparatus
US7647676B2 (en) * 2005-07-28 2010-01-19 Carnevali Jeffrey D Thumb release mounting apparatus
JP2007116317A (ja) * 2005-10-19 2007-05-10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電話機用卓上ホルダ
US7918427B2 (en) * 2007-11-21 2011-04-05 Sallas Industrial Co., Ltd. Computer dock station
US8118272B2 (en) * 2008-09-17 2012-02-21 Portwell Inc. Link rod type adjustable screen fixing apparatus
CN201568693U (zh) * 2009-11-12 2010-09-01 连鋐科技股份有限公司 平板电脑支撑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0944B1 (ko) 2021-11-26 2023-04-13 주토스 주식회사 휴대용 태블릿 크래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10883B (zh) 2015-12-01
JP2012226419A (ja) 2012-11-15
CN102788231A (zh) 2012-11-21
CN102788231B (zh) 2016-02-10
JP5509136B2 (ja) 2014-06-04
TW201301001A (zh) 2013-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7672A (ko) 태블릿형 컴퓨터용 지지 홀더 및 이것을 구비한 지지 장치
US7349202B2 (en) Data processing device
US9201466B2 (en) Portable computer
US9374918B2 (en) Stand assemblie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7130186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668556B2 (en) Adjustable display housing assembly
EP2733568B1 (en) Information apparatus and link mechanism of information apparatus
US20060138298A1 (en) Adjustable support frame for a display screen
US7388758B2 (en) Computer enclosure with connecting device
TWI338212B (en) Notebook computer
US9025324B2 (en) Electronic device
KR20110138943A (ko) 서포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가지는 컴퓨터 디바이스
US20070253065A1 (en) Privacy screen mounting system
US8757569B2 (en) Supporting apparatus for monitor
US10443782B2 (en) Video wall mount
KR100839255B1 (ko) 전자 기기
TW201326588A (zh) 雙軸式樞轉機構及其電子裝置
EP1696169B1 (en) Adjustable support frame for a display screen
JP4474568B2 (ja) 電子機器および回動可能な表示部のロック装置
US20070075201A1 (en) Supporting bracket assembly
JP3211364U (ja) 携帯端末の車載用ホルダ
TW201427561A (zh) 電子裝置
GB2424446A (en) Bidirectional latching device for portable computer
US20110013350A1 (en) Friction Mechanisms For Computing Devices
US801855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