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7553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7553A
KR20120117553A KR1020110035367A KR20110035367A KR20120117553A KR 20120117553 A KR20120117553 A KR 20120117553A KR 1020110035367 A KR1020110035367 A KR 1020110035367A KR 20110035367 A KR20110035367 A KR 20110035367A KR 20120117553 A KR20120117553 A KR 20120117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image sensor
unit
coupled
camer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5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5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7553A/ko
Publication of KR20120117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5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Abstract

카메라 모듈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외부로부터 빛을 수광하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를 지지하는 하우징; 상기 렌즈부를 통해 수광된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부; 일면에 상기 이미지센서부가 결합되며, 상기 이미지센서부가 상기 렌즈부와 대향하도록 하우징과 결합되는 기판부;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이미지센서부 사이에 부유하는 이물질이 집진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집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은 예를 들어 휴대전화에 장착되어 소형 경량화된 사진기를 구성하는 부품으로서, 조립이 간단하도록 일체화된 제품을 말한다. 카메라 모듈은 크게 외부로부터 빛을 받아들이는 렌즈를 포함하는 수광부와, 이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한편, 카메라모듈 제작공정을 진행하는 모든 공정에서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이물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물질이 유동하여 이미지센서 또는 수광부 측에 안착되는 경우 영상 이미지에 흑점 등을 발생시켜 이미지 불량을 초래하거나, 기판 상의 회로패턴 또는 소자 간의 단락의 원인이 되어 카메라 모듈의 신뢰성을 저하시킬 수도 있다.
특히, 카메라 모듈의 수광부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내부와 이미지 센서가 결합되는 기판 상의 이물질은, 하우징과 기판을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이미지 센서 또는 적외선 필터에 부착되어 카메라 모듈의 불량의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이미지센서부에 이물질 부착으로 인한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빛을 수광하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를 지지하는 하우징; 상기 렌즈부를 통해 수광된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부; 일면에 상기 이미지센서부가 결합되며, 상기 이미지센서부가 상기 렌즈부와 대향하도록 하우징과 결합되는 기판부;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이미지센서부 사이에 부유하는 이물질이 집진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집진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집진부는 상기 이물질이 부착 가능한 접착성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집진부는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성 물질은 상기 부착부 상에 도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집진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이미지센서부와 대향하는 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 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이미지센서부와 대향하는 면에 결합되는 적외선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집진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적외선필터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집진부는 상기 적외선필터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환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센서부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방지하여 카메라 모듈의 불량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의 하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집진부의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0)은 렌즈부(100), 기판부(200), 이미지센서부(300) 및 하우징(400)을 포함한다.
렌즈부(100)는 이미지센서부(300)에 빛을 제공하기 위한 부분으로,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렌즈부(100)는 복수의 렌즈가 고정 설치되는 고정초점(fixed focus)방식 또는 복수의 렌즈 간의 거리가 조절되어 자동으로 초점을 형성하도록 엑츄에이터를 구비하는 자동초점(auto focus)방식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하우징(400)은 렌즈부(100)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렌즈부(100)와 후술할 이미지센서부(300) 간의 위치관계를 확정하도록, 렌즈부(100)의 외측을 둘러싸고, 후술할 기판부(20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하우징(400)은 그 중앙부의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부를 가지며, 이 관통부 내부에 원통형 형상의 렌즈부(100)가 결합된다. 하우징(400)의 외관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그 하부에는 이미지센서부(300)가 결합되는 공간이 마련된다.
하우징(400)의 중앙부의 하측, 즉 렌즈부(100)와 이미지센서부(300) 사이에는 자외선필터부(500)(IR filter)가 결합된다. 자외선필터는 렌즈부(100)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빛에 포함된 자외선이 이미지센서부(300)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한다. 자외선필터부(500)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의 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미지센서부(300)는 자외선필터부(500)를 통과한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부분이다. 이미지센서부(300)는 기판부(200) 상에 결합된다.
기판부(200)는 그 일면에 결합되는 이미지센서부(300)에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는 부분이며, 하우징(400)의 하부(410)에 결합된다. 기판부(200)의 일측에는 연성기판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부(210)가 결합되며, 연결부(210)는 카메라 모듈(1000)의 장착되는 전자기기와 카메라 모듈(1000) 간의 전기적 연경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기판부(200) 상에 이미지센서부(300)의 결합이 완료되고, 하우징(400)에 렌즈부(100)의 결합이 완료된 이후에, 렌즈부(100)가 결합된 하우징(400)과 이미지센서부(300)가 결합된 기판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00)의 하부(410)와 기판부(2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폐쇄되며, 이 공간 상에 존재하는 이물질은 조립과정에서 부유하여 이미지센서부(300) 또는 자외선필터부(500)에 부착될 수 있다.
집진부(600)는 하우징(400)의 하부(410)에 형성되는 바닥면(412) 또는 내벽(414)에 결합되어, 하우징(400)의 하부(410)와 기판부(200) 사이에 부유하는 이물질을 집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의 하우징(400)의 하부(41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부(600)는 하우징(400)의 하부(410)의 바닥면(412) 또는 내벽(414)의 어느 곳에나 결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자외선필터부(500)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되고 있다.
집진부(600)는 자외선필터부(500)의 가장자리의 하우징(400)의 바닥면(412)에 결합되며, 자외선필터부(500)가 직사각형이므로, 이에 대응하여 집진부(600)는 직사각형의 환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집진부(600)는 이물질의 부착이 용이하며 하우징(400) 상에 도포된 후 경화될 수 있는 접착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접착성 물질은 예를 들어 에폭시 계열의 접착제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의 집진부(600)의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부(600)는 하우징(400)의 하부(410)와 기판 사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그 표면에 부착시킴으로써, 이물질이 이미지센서부(300) 또는 자외선필터부(500)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집진부(600)는 자외선필터부(500)에 가장 인접한 부분인, 자외선필터부(5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띠의 형태를 가짐으로 인해, 자외선필터부(500)에 인접하여 비산하는 이물질이 보다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특히, 하우징(400)과 기판의 결합 공정에서 하우징(400)의 하부(410)와 기판에 부착되어 있던 이물질이 비산하여 집진부(600)에 부착됨으로써, 자외선필터부(500)와 이미지센서부(300)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집진부(600)는, 접착성 물질과 하우징(400) 사이에 개재되는 부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부착부는 접착성 물질이 하우징(400)에 보다 용이하게 부착되도록 하우징(400)의 바닥면(412)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즉, 집진부(600)는 접착성 물질과 부착부로 이루어지는 다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착부는 접착성 물질이 도포되는 영역 전체에 걸쳐 하우징(400)의 바닥면(412)에 결합될 수 있다.
부착부는 예를 들어 UV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부착부는 접착성 물질이 도포되기 이전에 하우징(400)에 부착됨으로써, 접착성 물질의 도포 영역을 규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100: 렌즈부
200: 기판부
300: 이미지센서부
400: 하우징
500: 자외선필터부
600: 집진부

Claims (7)

  1. 외부로부터 빛을 수광하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를 지지하는 하우징;
    상기 렌즈부를 통해 수광된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부;
    일면에 상기 이미지센서부가 결합되며, 상기 이미지센서부가 상기 렌즈부와 대향하도록 하우징과 결합되는 기판부;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이미지센서부 사이에 부유하는 이물질이 집진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집진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는
    상기 이물질이 부착 가능한 접착성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는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성 물질은 상기 부착부 상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이미지센서부와 대향하는 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이미지센서부와 대향하는 면에 결합되는 적외선필터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적외선필터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는 상기 적외선필터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110035367A 2011-04-15 2011-04-15 카메라 모듈 KR201201175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367A KR20120117553A (ko) 2011-04-15 2011-04-15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367A KR20120117553A (ko) 2011-04-15 2011-04-15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553A true KR20120117553A (ko) 2012-10-24

Family

ID=47285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5367A KR20120117553A (ko) 2011-04-15 2011-04-15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755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0460A1 (ko) * 2017-04-10 2018-10-18 주식회사 파트론 광학센서 패키지
KR20200037720A (ko) * 2018-09-27 2020-04-09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마이크 모듈 및 전자 기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0460A1 (ko) * 2017-04-10 2018-10-18 주식회사 파트론 광학센서 패키지
KR20200037720A (ko) * 2018-09-27 2020-04-09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마이크 모듈 및 전자 기기
US10834490B2 (en) 2018-09-27 2020-11-10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icrophone module, electronic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5359B1 (ko) 촬영모듈 및 그 몰드감광 어셈블리와 제조방법, 및 전자장치
WO2017143966A1 (zh) 具有捕尘结构的摄像模组
EP3477352A1 (en) Fixed-focus camera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110022279A (ko) 카메라 모듈
JP2014194585A (ja) ウエハーレベル光学部品を用いた自動焦点/ズームモジュール
US20080284897A1 (en) Camera module
JP2012060362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JP2009194556A (ja)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US20190170994A1 (en) Camera module
KR100616669B1 (ko) 광학 필터를 내장한 카메라 모듈용 렌즈 유닛
KR100771366B1 (ko) 카메라 모듈
US8786771B2 (en) Camera module
WO2011114847A1 (ja) 撮像装置及び携帯端末
CN110426807B (zh) 镜头模组
KR20120117553A (ko) 카메라 모듈
CN211669652U (zh) 薄型化光学指纹识别装置、封装件及电子设备
JP2008148253A (ja) カメラモジュール、撮像装置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JP2006245118A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製造方法
CN101361362B (zh) 摄像装置
JP2009044541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のゴミ対策構造
JP4407339B2 (ja) 撮像装置
JP2009003058A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台座マウント及び撮像装置
JP5152695B2 (ja) 撮像装置の製造方法
CN205647689U (zh) 成像模组及电子装置
JP2004260356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