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6666A -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6666A
KR20120116666A KR1020110034243A KR20110034243A KR20120116666A KR 20120116666 A KR20120116666 A KR 20120116666A KR 1020110034243 A KR1020110034243 A KR 1020110034243A KR 20110034243 A KR20110034243 A KR 20110034243A KR 20120116666 A KR20120116666 A KR 20120116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shing water
insertion slot
pip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4680B1 (ko
Inventor
차용훈
성백섭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호남범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호남범우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34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4680B1/ko
Publication of KR20120116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6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03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48Overflow-type cleaning, e.g. tanks in which the liquid flows over the tank in which the articles are plac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세척물 및 세척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 내에 상기 세척수가 일정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측에 오버플로우홀이 형성된 세척용기가 마련된 세척부와, 상기 수용공간에 공기방울을 분출하여 상기 세척물을 세척하기 위해 상기 세척용기에 공기를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세척용기에 연통되게 설치되는 공기공급관과, 상기 세척용기 내에 공기가 분출되도록 상기 공기공급관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공기를 펌핑하여 공급하는 공기펌핑부재가 마련된 공기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공급관은 외기가 유입되도록 단부에 형성된 공기유입구로 상기 세척용기로부터 내부로 유입된 상기 세척수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용기의 상기 오버플로우홀보다 높은 위치에 트랩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세척장치는 공기공급관이 세척용기의 오버플로우홀보다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공기공급관으로 유입된 세척수가 역류하여 공기 흡입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설치위치를 적시거나 공기 펌핑수단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세척장치{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과일 및 식기와 같은 세척물과 세척수가 수용된 수용용기에 다수의 공기방울을 분출하여 세척물을 세척하는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많은 양의 야채, 곡물, 과일 등의 세척대상물을 단시간 내에 세척하는 데 있어 특히 과일을 포함한 야채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농약, 기생충의 알,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때 물을 이용하여 손으로 비벼서 세척하든가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더욱 편리하게 세척하고 있으나 이러한 세척대상물을 청결하게 세척하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으며, 일일이 세척하는 것이 번거로워 세척시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상추나 배춧잎과 같이 다수의 잎으로 이루어진 것은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급되는 물에 송풍기를 사용하여 공기방울을 분출시킴으로써 세척대상물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공기방울이 표면에 접촉 및 주위에 와류되면서 분리, 제거하여 세척대상물의 파손 없이 단시간 내에 세척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식품 세척기가 개시되어 있다.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0-0100365호에서는 '야채 세척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야채세척기는 상부가 트여진 내통의 하부로 배수구를 형성하여 내통에 채워지는 세척수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케이스로 외부를 감싸지게 하는 몸체부와, 상기 내통의 내측 하부에 위치되어 속이 빈 단면형상을 갖는 분배판에 오물배출구가 관총되며, 기포공들이 다수개 분배판의 상부면에 뚫어져 내통에 배분토록 하는 기포분기부와, 상기 기포분기부에 연결된 공급관을 따라 소정의 압력과 양으로 기포를 공급토록 하는 기포발생기와 상기 분배판 및 내통의 하단에 위치되어 세척수의 배출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배수단속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야채세척기는 기기의 결함으로 인해 공급관 내로 세척수가 유입될 경우,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를 통해 세척수가 배출되어 몸체부가 설치된 위치를 적시거나 공기 펌핑수단에 유입되어 결함을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내부로 유입된 세척수가 내부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세척용기의 오버플로우홀보다 상방으로 연장형성된 공기공급관이 마련된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세척장치는 내부에 세척물 및 세척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 내에 상기 세척수가 일정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측에 오버플로우홀이 형성된 세척용기가 마련된 세척부와, 상기 수용공간에 공기방울을 분출하여 상기 세척물을 세척하기 위해 상기 세척용기에 공기를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세척용기에 연통되게 설치되는 공기공급관과, 상기 세척용기 내에 공기가 분출되도록 상기 공기공급관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공기를 펌핑하여 공급하는 공기펌핑부재가 마련된 공기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공급관은 외기가 유입되도록 단부에 형성된 공기유입구로 상기 세척용기로부터 내부로 유입된 상기 세척수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용기의 상기 오버플로우홀보다 높은 위치에 트랩부가 형성된다.
상기 세척용기는 하면에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세척부는 상기 세척용기의 하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슬롯이 마련되되, 상기 삽입슬롯은 상기 공기공급관과 연통되게 연결된 하우징과, 상기 삽입슬롯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관통구를 통해 삽입슬롯으로 배출된 상기 세척수를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과, 상기 공급관 및 배출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척용기는 상기 수용공간으로 상기 세척물 및 세척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세척부는 상기 세척용기의 상면을 덮어 상기 수용공간을 폐쇄하는 덮개와, 상기 세척용기 내에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세척수 공급부는 상기 덮개에 관통되게 고정되며, 내부에는 상기 세척수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유로를 통해 유동하는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분사공이 형성되며, 하단은 상기 덮개에 관통되게 고정되는 제1연결관과, 상기 제1연결관에 연통되게 연결된 제2연결관과, 상기 세척수를 상기 제2연결관을 통해 상기 제1연결관에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재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하우징은 상면에 상기 삽입슬롯이 형성된 베이스부재와, 상기 삽입슬롯에 대해 이격된 위치의 베이스부재 상면에 상방으로 연장형성된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상부에 상기 삽입슬롯의 중심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단부가 상기 삽입슬롯에 삽입되는 상기 수용용기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재로부터 상기 수용용기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 수평부재와, 상기 삽입슬롯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수평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관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속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이동슬롯이 형성된 슬라이딩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연결관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슬롯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누름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제1연결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연결관에 상방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누름부재 및 제1연결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누름부재가 하방으로 1회째 하강하면 상기 제1연결관의 하단에 설치된 상기 덮개가 상기 삽입슬롯에 삽입된 상기 세척용기의 상면을 덮는 폐쇄상태를 유지시키고, 상기 누름부재가 2회째 하강하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연결관이 상승하여 상기 덮개가 상기 세척용기로부터 분리되는 개방상태로 되는 노크부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척장치는 공기공급관이 세척용기의 오버플로우홀보다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공기공급관으로 유입된 세척수가 역류하여 공기 흡입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설치위치를 적시거나 공기 펌핑수단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척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세척장치에 대한 부분 단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세척장치에 대한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척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세척장치의 노크부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세척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세척장치(100)는 세척물 및 세척수를 수용하는 세척부(200)와, 상기 세척물이 수용된 수용공간(221)에 공기방울을 분출하여 상기 세척물을 세척하기 위해 세척부(200)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600)를 구비한다.
세척부(200)는 하우징(210)과, 하우징(210)에 결합되며, 내부에 세척물 및 세척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221)이 마련된 세척용기(220)와, 세척용기(220)의 상면을 덮는 덮개(230)와, 상기 세척용기(220)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300)와, 세척용기(220)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수를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400)과, 배출관(400) 및 후술되는 공기공급부(600)의 공기 공급관(61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500)를 구비한다.
하우징(210)은 베이스부재(212)와, 베이스부재(212)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수직부재(213)와, 수직부재(21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수직부재(213)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수평부재(214)를 구비한다.
베이스부재(212)는 내부에 개폐부(500), 공기공급부(600) 및 배출관(400)이 설치될 수 있도록 제1설치공간(215)이 마련되며, 상면에는 세척용기(220)의 하부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삽입슬롯(211)이 마련된다. 베이스부재(212)는 중량이 가벼우며, 소정의 강도를 갖고, 성형성이 우수한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슬롯(211)은 세척용기(220)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세척용기(220)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으로 형성되며, 중앙부분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며, 후술되는 개폐부(500)는 상기 관통공에 연통되게 연결된다. 이때, 삽입슬롯(211)은 세척용기(220)를 통해 배출된 세척수를 용이하게 수집하여 상기 관통공을 통해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게 형성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삽입슬롯(211)의 상측 내주면에는 삽입슬롯(211)과 세척용기(220) 사이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고무소재인 링형의 패킹소재가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된다.
수직부재(213)는 삽입슬롯(211)에 대해 후방의 베이스부재(212)의 상면에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수직부재(213)는 공기 공급관(610)이 설치될 수 있도록 베이스부재(212)의 제1설치공간(215)에 연통되게 제2설치공간(216)이 설치되며, 상면은 개방되게 형성된다.
수직부재(213)의 전방면은 삽입슬롯(211)에 결합된 세척용기(220)의 후방측 외주면을 감싸도록 오목하게 만곡형성된다. 수직부재(213)는 삽입슬롯(211)에 삽입된 세척용기(220)보다 높게 수평부재(214)를 지지할 수 있도록 베이스부재(212) 상면으로부터 세척용기(220)의 높이보다 높게 연장형성된다. 수직부재(213)는 소정의 강도를 갖고, 성형성이 우수한 플라시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부재(214)는 수직부재(213)의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직부재(213)의 상폐를 폐쇄하며, 수직부재(213)의 연장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수직부재(213)의 상면에 결합시 삽입슬롯(211)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삽입슬롯(211) 측으로 연장형성된다.
수평부재(214)는 내부에 후술되는 세척수 공급부(300)의 제1연결관(301) 및 제2연결관(302)이 설치될 수 있도록 제3설치공간(217)이 형성되며, 후방측 하면에는 제2연결관(302)이 설치될 수 있도록 수직부재(213)의 제2설치공간(216)에 연통되는 연통구(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연통구를 통해 제2연결관(302)은 제2설치공간(216)에서 제3설치공간(217)으로 연장형성되어 제1연결관(301)에 연결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수평부재(214)가 수직부재(213)의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수평부재(214)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수직부재(213)의 후방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세척용기(220)는 내부에 과일 또는 식기와 같은 세척물과 세척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221)이 마련된 원통으로 형성되며, 상면이 세척물 및 세척수가 수용공간(221)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개방되게 형성된다.
세척용기(220)는 바닥면에 공기공급부(600)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수용공간(221)으로 유입되거나 세척용기(220) 내에 세척수가 삽입슬롯(211)으로 배출되도록 다수의 관통구(2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세척용기(220)는 수용공간(221) 내에 세척수가 일정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오버플로우홀(223)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230)는 세척용기(220)의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세척용기(220)의 단면에 대응되는 단면으로 형성된다. 덮개(230)는 하부의 일부가 세척용기(220) 내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면이 단차지게 형성되며, 하부 외주면에는 세척용기(220)와의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무소재의 링형인 패킹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덮개(230)는 수평부재(214)에 고정된 후술되는 제1연결관(301)에 고정되어 수평부재(214)에 지지된다.
한편, 세척부(200)는 세척용기(220)의 오버플로우홀(223)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수를 수집하여 배출관(400)으로 배출하는 오버플로우관(240)을 더 구비한다.
오버플로우관(240)은 일단은 세척용기(220)의 오버플로우홀(223)에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삽입슬롯(211)에 결합된 세척용기(220)의 오버플로우홀(223)에 대향되는 위치의 수직부재(213) 전방면에 관통되게 설치되며, 타단은 배출관(400)에 연통된다. 이때, 오버플로우관(240)의 일단부는 세척용기(220)의 오버플로우홀(223)에 인입될 수 있도록 전방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척수 공급부(300)는 수직부재(213)에 관통되게 설치된 제1연결관(301)과, 제1연결관(301)에 연통되게 연결된 제2연결관(302)과, 세척수를 제2연결관(302)을 통해 제1연결관(301)에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재를 구비한다.
제1연결관(301)은 상하방향을 연장형성되며, 수평부재(214)가 수직부재(213)에 결합시, 삽입슬롯(211)의 상측에 대응되는 수평부재(214)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설치된다. 제1연결관(301)은 내부에 세척수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가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하면에는 유로를 통해 유동하는 세척수가 분사될 수 있도록 분사공이 형성된다.
제1연결관(301)은 분사공기 세척용기(220) 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단부가 덮개(230)에 관통되게 고정설치되며, 덮개(23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강성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연결관(301)은 수평부재(214)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단부에 사용자가 파지하여 수평부재(214)를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구형의 손잡이(303) 형성되어 있다.
제2연결관(302)은 일단은 수평부재(214)의 제3설치공간(217)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1연결관(301) 외주면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타단은 수직부재(213)의 제2설치공간(216)에 위치하도록 연장형성된다. 제2연결관(302)은 수평부재(214)의 착탈에 의해 용이하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척수 공급부재는 제2연결관(302)의 타단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제2연결관(302)을 통해 세척수를 공급한다. 세척수 공급부재는 세척수로 수돗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수도관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세척수 공급부재는 수돗물이 아니라 별도의 세척수를 사용할 경우, 세척수가 수용된 세척수 탱크 및 세척수 탱크에 수용된 세척수를 펌핑하여 제2연결관(302)에 공급하는 세척수 펌프를 구비할 수도 있다.
배출관(400)은 세척용기(220)로부터 배출된 세척수를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일단은 삽입슬롯(211)에 연통되도록 개폐부(500)에 연결되며, 타단은 베이스부재(212)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연장형성된다. 배출관(400)의 일측 외주면에는 세척부(200)의 오버플로우관(240)의 타단이 연통되게 연결된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배출관(400)의 타단은 집 또는 사무실과 같은 세척부(200)가 설치된 건축물의 하수구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부(500)는 3방 밸브로 구성되며, 상측에 형성된 제1유입부(미도시)는 삽입슬롯(211)에 형성된 관통공에 연통되게 베이스부재(212) 내에 설치되고, 측면에 형성된 제2 및 제3유입부(미도시)는 배출관(400)의 일단 및 후술되는 공기공급부(600)의 공기 공급관(610)이 연통되게 각각 연결되어 배출관(400) 및 공기 공급관(610)을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개폐부(500)는 공기공급부(600)를 통해 공기가 공급될 경우, 배출관(400)과 연결된 제2유입부를 폐쇄하고, 공기 공급관(610)과 연결된 제3유입부를 개방하여 공기 공급관(610)과 삽입슬롯(211)을 연통시킨다. 또한, 세척용기(220) 내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할 경우, 공기 공급관(610)과 연결된 제3유입부를 폐쇄하고, 배출관(400)과 연결된 제2유입부를 개방하여 삽입슬롯(211)과 배출관(400)을 연통시켜 삽입슬롯(211)에 유입된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공급부(600)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기공급부(600)는 세척용기(220)에 연통되게 설치되는 공기 공급관(610)과, 공기 공급관(610)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공기를 펌핑하여 공급하는 공기펌핑부재(620)를 구비한다.
공기 공급관(610)은 일단은 삽입슬롯(211)에 연통되도록 개폐부(500)에 연결된 연결부분(611)과, 연결부분(611)의 타단에 연통되며, 상방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분(612)과, 제1연장부분(612)의 단부에 연통되며, 상방으로 볼록하여 연장된 트랩부분(613)과, 트랩부분(613)의 단부에 연통되며, 하방으로 연장형성된 제2연장부분(614)을 구비한다.
연결부분(611)은 내부에 유로가 마련된 파이프형으로 형성되며, 베이스부재(212)의 제1설치공간(215)에 설치된다. 일단은 개폐부(500)로 연결되며,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형성된다.
제1연장부분(612)은 수직부재(213)의 제2설치공간(216)에 설치되며, 일단은 연결부분(611)의 타단에 연통되고, 타단은 상방으로 연장형성된다. 이때, 제1연장부분(612)은 타단이 삽입슬롯(211)에 결합된 세척용기(220)의 오버플로우홀(223)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수직부재(213) 전방면의 오버플로우관(240) 설치위치보다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랩부분(613)은 수직부재(213)의 제2설치공간(216)에 설치되며, 제1연장부분(612)의 상단에 연통되고, 뒤집어진 'U'자 형으로 형성된다. 제2연장부분(614)은 수직부재(213)의 제2설치공간(216)에 설치되며, 트랩부분(613)의 단부에 연통되고, 제1연장부분(612)과 나란하게 하방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공기 공급관(610)은 트랩부분(613)이 삽입슬롯(211)에 결합된 세척용기(220)의 오버플로우홀(223)보다 상측에 위치하므로 삽입슬롯(211)과 연결부분(611) 사이의 결함에 의해 연결부분(611)으로 세척수가 유입되더라도 제2연장부분(614)으로 세척수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공기펌핑부재(620)는 베이스부재(212)의 제1설치공간(215)에 설치되며, 제2연장부분(614)의 타단에 연통되게 연결된다. 공기펌핑부재(620)는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외부공기를 펌핑하여 공기 공급관(610)에 공급하는 블로어 모터로 구성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세척장치(100)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척용기(220) 내에 세척물을 넣고, 베이스부재(212)의 삽입슬롯(211)에 결합시킨다. 삽입슬롯(211)에 결합된 세척용기(220)의 상면에 덮개(230)를 덮어 수용공간(221) 내부를 폐쇄시킨다. 다음, 세척수 공급부(300)를 작동시켜 세척용기(220) 내로 세척수를 주입한다. 제1연결관(301)은 덮개(230)에 관통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세척수는 세척물의 상측에서 분사된다. 이때, 개폐부(500)는 삽입슬롯(211)의 관통공에 연결된 제1유입부를 폐쇄하여 세척용기(220)의 관통구(222)를 통해 배출된 세척수가 배출관(400) 및 공기 공급관(610)으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한다.
세척수 공급부(300)를 통해 세척용기(220) 내부로 세척수 공급이 완료되면, 개폐부(500)는 제1 및 제2유입부를 개방하여 공기 공급관(610)과 삽입슬롯(211)을 연통시키고, 공기 펌핑부재(620)를 작동시켜 삽입슬롯(211)으로 공기를 주입한다. 삽입슬롯(211)으로 주입된 공기는 세척용기(220)의 관통구(222)를 통해 세척용기(220) 내부에 다수의 공기방울을 형성하며 분출된다. 상기 공기방울은 세척물의 표면에 충돌하여 세척물을 세척한다.
공기방울에 대한 세척이 완료되면, 개폐부(500)는 제2유입구를 폐쇄하고, 제1 및 제3유입구를 개방하여 배출관(400)과 삽입슬롯(211)을 연통시켜 관통구(222)를 통해 세척용기(220)로부터 배출된 세척수를 배출관(400)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때, 공기 공급관(610)은 트랩부분(613)이 삽입슬롯(211)에 결합된 세척용기(220)의 오버플로우홀(223)보다 상측에 위치하므로 삽입슬롯(211)과 연결부분(611) 사이의 결함에 의해 연결부분(611)으로 세척수가 유입되더라도 제2연장부분(614)으로 세척수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 4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척장치(15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세척장치(150)는 수평부재(214) 및 수직부재(213)가 상호 고정되게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210)은 수평부재(214)에 관통되게 설치되며, 제1연결관(301)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부재(710)와, 제1연결관(301)의 상측의 슬라이딩부재(710)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누름부재(720)와, 슬라이딩부재(710)와 제1연결관(301)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725)와, 누름부재(720) 및 제1연결관(301) 사이에 설치되어 누름부재(720)가 하방으로 1회째 하강하면 제1연결관(301)의 하단에 설치된 상기 덮개(230)가 삽입슬롯(211)에 삽입된 세척용기(220)의 상면을 덮는 폐쇄상태를 유지시키고, 누름부재(720)가 2회째 하강하면 탄성부재(725)의 탄성력에 의해 제1연결관(301)이 상승하여 덮개(230)가 세척용기(220)로부터 분리되는 개방상태로 되는 노크부(730)를 더 구비한다.
슬라이딩부재(71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삽입슬롯(211)에 대향되는 위치의 수평부재(214)에 관통되게 설치된다. 슬라이딩부재(710)는 중앙부분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이동슬롯(711)이 형성되며, 상측 내주면에는 후술되는 누름부재(720)의 구속돌기(72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구속홈(7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속홈(74)은 다수개가 슬라이딩부재(710)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슬라이딩부재(710)는 외주면 가운데 부분에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연결관(301)에 연결된 제2연결관(302)이 관통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관통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관통홈(7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재(710)는 하단 내주면에 탄성부재(725)의 하단부가 거치될 수 있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중심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제1거치돌기(713)가 형성된다. 이때, 제1연결관(301)은 탄성부재(725)의 상단이 설치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제2거치돌기(715)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한편, 구속홈(74) 사이에 슬라이딩부재(710)의 내주면에는 교번적으로 후술되는 작동부재(732)의 캠부를 구속할 수 있도록 저지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저지부는 구속홈(74)의 하단에 대응되는 위치의 슬라이딩부재(710) 내주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누름부재(720)는 슬라이딩부재(710)의 이동슬롯(7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이동슬롯(711)의 단면에 대응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이동슬롯(711)에 삽입시 상단이 슬라이딩부재(710)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누름부재(720)는 구속홈(74)에 삽입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구속돌기(721)가 돌출형성된다. 구속홈(74)에 삽입된 구속돌기(721)에 의해 누름부재(720)는 회전이 구속되어 구속홈(74)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한편, 누름부재(720)의 하면에는 후술되는 노크부(730)의 작동부재(732)의 삽입돌기(734)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722)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재(725)는 제1연결관(301)의 하부가 삽입되게 설치된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양단부는 각각 제1 및 제2거치돌기(714,715)에 설치된다. 탄성부재(725)는 누름부재(720)에 의해 제1연결관(301)이 하강이 압축되며, 압축길이에 대응되게 상방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노크부(730)는 누름부재(720)의 하면에 형성된 톱니부(731)와, 누름부재(720)과 제1연결관(301) 사이의 이동슬롯(711)에 삽입되며, 상면에 톱니부(731)에 대응되는 캠부가 마련된 작동부재(732)를 구비한다.
톱니부(731)는 누름부재(720)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다수의 톱니를 구비한다.
작동부재(732)는 상면 중앙부분에 누름부재(720)의 삽입홈(72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방으로 돌출되게 삽입돌기(734)가 형성된다. 또한, 작동부재(732)의 상면에서는 톱니부(731)에 대응되는 다수의 캠부재(733)가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캠부재(733)의 상단은 톱니부(731)의 톱니에 대응되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캠부재(733)는 지지부의 개수에 대응되는 다수개가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누름부재(720)의 상단을 사용자가 파지하여 누르면, 누름부재(720)의 톱니부(731)는 전달부재의 캠부재(733)에 누름력을 전달하여 제1연결관(301)을 하강시킨다. 이어서, 누름력이 해제되면 하강된 전달부재의 캠부재(733)는 탄성부재(725)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승하다 슬라이딩부재(710)의 저지부(미도시)에 의하여 저지된다. 이때, 제1연결관(301)의 상승이 저지되고, 제1연결관(301)의 하단에 설치된 덮개(230)는 삽입슬롯(211)에 결합된 세척용기(220)의 상면을 덮도록 폐쇄상태를 유지한다.
덮개(230)가 세척용기(220)의 상면을 덮는 폐쇄상태에서 누름부재(720)를 누르게 되면, 톱니부(731)가 전달부재의 캠부재(733)에 누름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때, 캠부재(733)의 경사면에 의해 전달부재는 회전된다. 그리고 탄성부재(725)의 탄성력에 의하여 전달부재는 상승되고, 제1연결관(301)이 상승되면서 덮개(230)는 세척용기(220)의 상방으로 승강되어 개방상태로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세척장치
200: 세척부
210: 하우징
220: 세척용기
230: 덮개
300: 세척수 공급부
301: 제1연결관
302: 제2연결관
400: 배출관
500: 개폐부
600: 공기 공급부
610: 공기공급관
613: 트랩부분
620: 공기 펌핑부재

Claims (5)

  1. 내부에 세척물 및 세척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 내에 상기 세척수가 일정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측에 오버플로우홀이 형성된 세척용기가 마련된 세척부와;
    상기 수용공간에 공기방울을 분출하여 상기 세척물을 세척하기 위해 상기 세척용기에 공기를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세척용기에 연통되게 설치되는 공기공급관과, 상기 세척용기 내에 공기가 분출되도록 상기 공기공급관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기를 펌핑하여 공급하는 공기펌핑부재가 마련된 공기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공급관은 외기가 유입되도록 단부에 형성된 공기유입구로 상기 세척용기로부터 내부로 유입된 상기 세척수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용기의 상기 오버플로우홀보다 높은 위치에 트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용기는 하면에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세척부는
    상기 세척용기의 하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슬롯이 마련되되, 상기 삽입슬롯은 상기 공기공급관과 연통되게 연결된 하우징과;
    상기 삽입슬롯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관통구를 통해 삽입슬롯으로 배출된 상기 세척수를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과;
    상기 공급관 및 배출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세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용기는 상기 수용공간으로 상기 세척물 및 세척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세척부는
    상기 세척용기의 상면을 덮어 상기 수용공간을 폐쇄하는 덮개와;
    상기 세척용기 내에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세척수 공급부는
    상기 덮개에 관통되게 고정되며, 내부에는 상기 세척수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유로를 통해 유동하는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분사공이 형성되며, 하단은 상기 덮개에 관통되게 고정되는 제1연결관과;
    상기 제1연결관에 연통되게 연결된 제2연결관과;
    상기 세척수를 상기 제2연결관을 통해 상기 제1연결관에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면에 상기 삽입슬롯이 형성된 베이스부재와;
    상기 삽입슬롯에 대해 이격된 위치의 베이스부재 상면에 상방으로 연장형성된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상부에 상기 삽입슬롯의 중심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단부가 상기 삽입슬롯에 삽입되는 상기 수용용기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재로부터 상기 수용용기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 수평부재와;
    상기 삽입슬롯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수평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관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속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이동슬롯이 형성된 슬라이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연결관의 상측의 상기 이동슬롯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누름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제1연결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연결관에 상방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누름부재 및 제1연결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누름부재가 하방으로 1회째 하강하면 상기 제1연결관의 하단에 설치된 상기 덮개가 상기 삽입슬롯에 삽입된 상기 세척용기의 상면을 덮는 폐쇄상태를 유지시키고, 상기 누름부재가 2회째 하강하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연결관이 상승하여 상기 덮개가 상기 세척용기로부터 분리되는 개방상태로 되는 노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KR1020110034243A 2011-04-13 2011-04-13 세척장치 KR101404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243A KR101404680B1 (ko) 2011-04-13 2011-04-13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243A KR101404680B1 (ko) 2011-04-13 2011-04-13 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6666A true KR20120116666A (ko) 2012-10-23
KR101404680B1 KR101404680B1 (ko) 2014-06-09

Family

ID=47284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243A KR101404680B1 (ko) 2011-04-13 2011-04-13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46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631B1 (ko) * 2019-10-02 2020-02-20 이동하 초음파 세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240B1 (ko) * 1993-07-20 1996-01-04 오용호 야채 세척기
KR200449276Y1 (ko) * 2008-03-31 2010-06-28 주식회사 대신종합주방기구 다기능 식품 세척기
KR20100028282A (ko) * 2008-09-04 2010-03-12 심우종 식품 세척기
KR20110023595A (ko) * 2009-08-31 2011-03-08 박지태 식품류의 공기방울 세척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631B1 (ko) * 2019-10-02 2020-02-20 이동하 초음파 세척장치
WO2021066249A1 (ko) * 2019-10-02 2021-04-08 이동하 초음파 세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4680B1 (ko) 2014-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4718B2 (en) Dishwasher liquid delivery systems
US9795273B2 (en) Dishwasher
US9339167B2 (en) Dishwasher
US9717392B2 (en) Dishwasher
KR101127411B1 (ko) 푸시헤드를 갖춘 펌프디스펜서
US20080173338A1 (en) Dishwasher
KR101247049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의 에어 브레이크
KR200448312Y1 (ko) 내벽 세척 기능을 갖는 배수통 및 이를 포함하는 싱크대
KR20110004385U (ko) 페달식 손 소독기
WO2017032172A1 (zh) 家用扫地机的清洁箱结构
CN107088038B (zh) 刀篮及洗涤电器
KR20120116666A (ko) 세척장치
KR102343467B1 (ko) 식기 세척기
KR20050120463A (ko) 젖병세척기
CN213940649U (zh) 一种排水结构和奶瓶清洗机
KR20190024466A (ko) 식기세척기
CN211187101U (zh) 一种拖把清洗装置
KR100766302B1 (ko) 주방용 세척기
JP2006175156A (ja) 食器用ラック
CN220862277U (zh) 冲洗装置
KR100808260B1 (ko)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CN220967228U (zh) 清洁基站和清洁系统
CN117502995A (zh) 存储容器及清洁设备
KR102373124B1 (ko) 식기세척기의 세제 및 린스 자동 투입 장치
KR101980705B1 (ko) 식기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