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6333A - 팽창 밸브 - Google Patents

팽창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6333A
KR20120116333A KR1020120024933A KR20120024933A KR20120116333A KR 20120116333 A KR20120116333 A KR 20120116333A KR 1020120024933 A KR1020120024933 A KR 1020120024933A KR 20120024933 A KR20120024933 A KR 20120024933A KR 20120116333 A KR20120116333 A KR 20120116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expansion valve
valve
passage
evapo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4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사또시 히로따
신지 사에끼
다께시 가네꼬
다까나오 구마꾸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테지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테지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테지케
Publication of KR20120116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63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25B41/34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electric means, e.g. by piezoelectric actu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5/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 F25B5/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arranged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13Expansio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9Pressures
    • F25B2700/191Pressures near an expansion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mperature-Responsive Valv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2개의 증발기에 냉매를 분배 공급할 수 있는 저렴한 팽창 밸브를 제공한다. 액 냉매를 단열 팽창시키는 밸브부(3a)의 하류측에, 두 갈래로 이루어진 제1 냉매 통로(23) 및 제2 냉매 통로(24)가 설치되고, 각각에는, 제1 교축 부재(25) 및 제2 교축 부재(26)가 설치되어 있다. 제1 교축 부재(25) 및 제2 교축 부재(26)는, 원판의 중앙에 개구부(25a), (26a)를 갖는다고 하는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되어 있어, 팽창 밸브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2개의 증발기에 공급하는 냉매의 유량비는, 제1 교축 부재(25) 및 제2 교축 부재(26)의 개구부(25a, 26a)의 면적비에 의해 정해져 있다.

Description

팽창 밸브{EXPANSION VALVE}
본 발명은 팽창 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용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의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 액 냉매를 단열 팽창시켜 저온?저압의 증기 냉매로 하면서 증발기로 보내주는 증기 냉매의 유량을 증발기 출구의 냉매가 소정의 과열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팽창 밸브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에서는, 냉매를 압축하는 컴프레서와, 냉매를 응축하는 콘덴서와, 기액 혼합 냉매를 분리하는 리시버와, 냉매를 단열 팽창시키는 팽창 밸브와,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를 환형상으로 배관하여 냉동 사이클이 구성되어 있다.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 밸브로서는, 증발기 출구의 냉매의 온도 및 압력에 따라 증발기로 공급하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도록 한 온도식 팽창 밸브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차 실내의 공기와 열교환하는 증발기는, 차 실내에 설치되기 때문에, 콤팩트한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로 인해, 공기를 통과시키는 방향으로 박형화된 2개의 열교환기를 적층 배치하고, 냉매는, 그들의 열교환기를 직렬로 흐르도록 한 증발기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증발기는, 열교환기가 박형화됨에 따라, 냉매가 통과하는 내부의 통로가 좁게 되어 있고, 또, 그 통로가 2개의 열교환기에서 직렬로 연결되어 있어 길게 되어 있다. 그로 인해, 상기 구성의 증발기는, 냉매가 통과하는 통로에서의 압력 손실이 커져, 그만큼, 냉동 사이클의 효율이 저하되게 된다.
이에 대해, 2개의 열교환기를 독립시켜 각각의 열교환기에 냉매를 병렬로 공급하는 구성의 증발기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2 참조). 이 증발기에 따르면, 열교환기를 냉매가 통과할 때의 압력 손실이 저하하고, 냉동 사이클을 총계로 보았을 때의 정미 손실이 저하하여, 냉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허 문헌 1, 2에는, 이러한 증발기에 사용되는 팽창 밸브도 제안되어 있다.이 팽창 밸브에 따르면, 독립하여 냉매를 단열 팽창시킬 수 있는 2개의 밸브를 갖고, 열교환기를 나와서 합류한 증발기 출구의 냉매의 온도 및 압력에 따라 2개의 밸브를 연동 제어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0-38455호 공보, 도 5, 도 6 국제 공개 번호 WO2010/131918호 공보, 도 4, 도 7
그러나, 개시되어 있는 팽창 밸브는, 모두 2개 이상의 밸브 및 교축 통로를 구비하여, 병렬로 배치된 2개의 열교환기에 각각 팽창한 냉매를 분배 공급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팽창 밸브가 복잡하고 또한 제조 비용이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간단한 구성으로 냉매를 분배 공급할 수 있는 팽창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액 냉매를 팽창시켜 증기 냉매로 하는 밸브부와, 증발된 냉매의 온도 및 압력을 검출해서 상기 밸브부의 개방도를 제어하는 파워 엘리먼트를 구비한 팽창 밸브이며, 상기 밸브부의 하류로부터 분기되어 복수의 저압 출구 포트에 각각 연통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냉매 통로와, 상기 냉매 통로의 각각에 배치되어 냉매 유량비에 따른 면적의 개구부를 갖는 교축 통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팽창 밸브에 따르면, 밸브부에서 단열 팽창된 증기 냉매는, 각각 냉매 통로의 교축 통로를 통과할 때, 그들의 개구부의 면적에 따른 유량비로 분배되어, 증발기에 안정된 분배비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팽창 밸브는, 증기 냉매의 분배를, 냉매 통로에 배치한 간단한 구조의 교축 통로로 행하도록 했으므로,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 팽창 밸브는, 단열 팽창된 증기 냉매를 안정된 분배비로 증발기의 복수의 열교환기에 병렬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증발기에 있어서의 압력 손실이 저하하여, 증발기에서의 열교환량이 최적화되어, 적용하는 냉동 사이클의 냉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팽창 밸브를 적용한 냉동 사이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팽창 밸브의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면에 대하여 직각 방향의 면에서 본 제1 의 실시 형태에 따른 팽창 밸브의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팽창 밸브의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면에 대하여 직각 방향의 면에서 본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팽창 밸브의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팽창 밸브의 중앙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팽창 밸브를 적용한 냉동 사이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자동차용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의 냉동 사이클은, 컴프레서(1)와, 콘덴서(2)와, 팽창 밸브(3)와, 증발기(4)를 환형상으로 배관하여 구성되어 있다. 컴프레서(1)는, 순환하는 냉매를 압축해서 콘덴서(2)로 보낸다. 콘덴서(2)는, 냉각 팬(5)에 의해 외기가 강제적으로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컴프레서(1)에 의해 고온?고압이 된 냉매를 외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응축한다. 콘덴서(2)의 출구에는, 응축된 냉매를 저류해 두는 리시버가 구비되어 있고, 따라서 기액 분리된 액 냉매가 팽창 밸브(3)로 공급된다.
팽창 밸브(3)는, 액 냉매를 단열 팽창시키는 밸브부(3a)를 구비한 일반적인 온도식 팽창 밸브이지만, 그 출구가 밸브부(3a)에서 단열 팽창된 냉매를 2분배해서 송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증발기(4)는, 팬(6)의 하류측 송풍로에 적층 배치된 제1 열교환기(4a) 및 제2 열교환기(4b)를 구비하고 있다. 팬(6)측의 제1 열교환기(4a) 및 분출구측의 제2 열교환기(4b)는, 팽창 밸브(3)에서 단열 팽창되어 2분배된 증기 냉매가 공급되어, 팬(6)에 의해 송풍된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증기 냉매를 증발시킨다. 제1 열교환기(4a) 및 제2 열교환기(4b)를 나온 냉매는 합류되고, 그 후, 팽창 밸브(3)를 통해서 컴프레서(1)에 복귀된다. 증발기(4)로부터 되돌아온 냉매가 팽창 밸브(3)를 통과할 때, 팽창 밸브(3)는, 복귀 냉매의 온도 및 압력, 즉, 증발기 출구 냉매의 과열도를 감시하고 있고, 그 과열도에 따라 밸브부(3a)의 개방도를 제어한다.
증발기(4)에 있어서는, 팬(6)측의 제1 열교환기(4a)는, 보다 고온의 공기에 의해 열교환이 행해지고, 분출구측의 제2 열교환기(4b)는, 제1 열교환기(4a)에 의해 차가워진 공기에 의해 열교환이 행해진다. 이로 인해, 팽창 밸브(3)는, 제1 열교환기(4a)로 송출하는 냉매의 유량이 제2 열교환기(4b)로 송출하는 냉매의 유량보다도 많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팽창 밸브(3)는, 팬(6)측의 제1 열교환기(4a)와 분출구측의 제2 열교환기(4b)의 냉매 유량비가 2:1이 되도록 증기 냉매를 분배하도록 하고 있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팽창 밸브의 중앙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면에 대하여 직각 방향의 면에서 본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팽창 밸브의 중앙 종단면도이다.
이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팽창 밸브는, 직육면체의 보디(11)를 갖고, 그 일측면(도 3의 우측면)의 도면의 하방에 고압의 액 냉매가 공급되는 고압 입구 포트(12)가 설치되어 있다. 보디(11)의 고압 입구 포트(12)가 설치된 측면에 인접하는 측면(도 2의 좌우 측면)의 도면의 하방에는, 제1 저압 출구 포트(13) 및 제2 저압 출구 포트(1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제1 저압 출구 포트(13)는, 증발기(4)의 팬(6)측의 제1 열교환기(4a)로 배관되고, 제2 저압 출구 포트(14)는, 증발기(4)의 분출구측의 제2 열교환기(4b)로 배관된다. 보디(11)는, 또한, 제1 저압 출구 포트(13)가 설치된 측면의 도면의 상방에, 복귀 냉매 입구 포트(15)가 설치되고, 고압 입구 포트(12)가 설치된 측면의 도면의 상방에 복귀 냉매 출구 포트(16)가 설치되어 있다.
보디(11)의 도면의 상단부면에는, 증발기(4)로부터 복귀된 냉매의 과열도를 감지하는 파워 엘리먼트(17)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 파워 엘리먼트(17)의 직하의 보디(11) 내에는, 샤프트(18), 밸브부(3a), 압축 코일 스프링(19) 및 어저스트 나사(20)가 동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밸브부(3a)는, 볼 형상의 밸브체(21)와, 보디(11)에 형성된 밸브 시트(22)를 갖고, 이 밸브 시트(22)에는, 밸브 구멍이 천공되어 있다. 밸브부(3a)의 하류측은, 제1 냉매 통로(23) 및 제2 냉매 통로(24) 두 갈래로 분기되어, 각각 제1 저압 출구 포트(13) 및 제2 저압 출구 포트(14)에 연통되어 있다.
제1 냉매 통로(23)는, 제1 저압 출구 포트(13)와의 경계부에 제1 교축 부재(25)가 끼워 맞춤에 의해 배치되어, 제1 교축 통로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제2 냉매 통로(24)는, 제2 저압 출구 포트(14)와의 경계부에 제2 교축 부재(26)가 끼워 맞춤에 의해 배치되어, 제2 교축 통로를 구성하고 있다. 제1 교축 부재(25) 및 제2 교축 부재(26)는, 원판의 중앙에 개구부(25a, 26a)를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25a, 26a)는, 냉매 유량비에 따른 면적으로 개방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교축 부재(25)가 흐르게 하는 유량과 제2 교축 부재(26)가 흐르게 하는 유량의 비를 2:1로 했으므로, 제l의 교축 부재(25)의 개구부(25a)와 제2 교축 부재(26)의 개구부(26a)의 면적비는, 2:1로 하고 있다.
밸브부(3a)의 밸브체(21)는, 고압 입구 포트(12)에 연통되어 있는 밸브실 내에 밸브 시트(22)에 대하여 접속,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고, 또한, 지지 부재(27)를 통해서 압축 코일 스프링(19)에 의해 밸브 폐쇄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압축 코일 스프링(19)은, 보디(11)에 나사 결합된 어저스트 나사(20)에 의해 수용되어 있고, 압축 코일 스프링(19)의 하중은, 어저스트 나사(20)의 나사 삽입량을 조절함으로써 조정된다. 이 조정은, 이 팽창 밸브가 제어하려고 하는 과열도의 설정에 상당한다. 어저스트 나사(20)의 보디(11)에의 나사 결합부는, O 링(28)에 의해 기밀하게 시일되어 있다.
파워 엘리먼트(17)는, 보디(11)의 도면의 상방의 면에 개방된 설치 구멍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파워 엘리먼트(17)의 설치 구멍은, 복귀 냉매 입구 포트(15)와 복귀 냉매 출구 포트(16) 사이에 형성된 냉매 복귀 통로(29)에 연통되어 있어, 냉매 복귀 통로(29)를 통과하는 냉매를 파워 엘리먼트(17)로 도입할 수 있게 하고 있다.
파워 엘리먼트(17)는, 다이어프램(30)을 어퍼 하우징(31)과 로어 하우징(32)으로 끼움 지지하고, 이들의 외주를 함께 용접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다이어프램(30)과 어퍼 하우징(31)에 의해 둘러싸인 밀폐 공간에는, 냉매와 비슷한 특성의 가스가 충전되어 있고, 감온실을 구성하고 있다. 로어 하우징(32)에는, 다이어프램(30)의 변위를 밸브부(3a)의 밸브체(21)로 전달하는 디스크(33)가 배치되어 있다. 디스크(33)는, 홀더(34)에 의해 보유된 샤프트(l8)의 상단부와 끼워 맞춰져, 로어 하우징(32) 내에서 샤프트(18)에 의해 얼라인되어 있다.
홀더(34)는, 그 상부가 파워 엘리먼트(17)의 설치 구멍에 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18)에 대하여 횡 하중을 부여하도록 압축 코일 스프링(35)이 수용되어 있다. 샤프트(18)는, 압축 코일 스프링(35)에 의해 횡 하중이 부여됨으로써 축 방향의 운동이 제약되므로, 고압 입구 포트(12)에 도입되는 액 냉매가 압력 변동을 일으켰다고 해도, 밸브체(21)가 축선 방향으로 진동해서 이음을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홀더(34)는, 또한, 냉매 복귀 통로(29)를 관통해서 수하되어 있고, 그 하단부는, 제1 냉매 통로(23) 및 제2 냉매 통로(24)와 냉매 복귀 통로(29) 사이에서 샤프트(18)의 둘레에 설치된 O 링(36)을 누르고 있다. 이 O 링(36)은, 증발기(4)에 가지 않고 제1 냉매 통로(23) 및 제2 냉매 통로(24)로부터 냉매 복귀 통로(29)로 냉매가 누설되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의 팽창 밸브에 의하면, 컴프레서(1)가 정지 또는 최소 용량 운전을 하고 있을 때, 냉매 복귀 통로(29)의 압력이 높게 되어 있어, 이 압력을 감지한 파워 엘리먼트(17)에서는, 다이어프램(30)이 감온실측으로 변위하고 있다. 이에 의해, 밸브체(21)는, 압축 코일 스프링(19)에 의해 밸브 폐쇄 방향으로 가압되어 밸브 시트(22)에 착좌하고 있으므로, 밸브부(3a)는, 밸브 폐쇄 상태로 되어 있다.
컴프레서(1)가 냉매의 압축을 개시하면, 냉매 복귀 통로(29)의 압력이 저하해서 파워 엘리먼트(17)의 다이어프램(30)이 밸브부(3a)의 측으로 변위하게 되고, 고압 입구 포트(12)에는, 고압의 냉매가 도입되게 된다. 이윽고, 밸브부(3a)가 파워 엘리먼트(17)에 의해 밸브 개방되어, 고압 입구 포트(12)에 콘덴서(2)에서 응축된 액 냉매가 도입되게 된다. 밸브실에 도입된 액 냉매는, 밸브부(3a)에서 단열 팽창되어 저온?저압의 증기 냉매로 되어, 제1 냉매 통로(23) 및 제2 냉매 통로(24)로 유입한다. 제1 냉매 통로(23)에 유입한 증기 냉매는, 제1 교축 부재(25)를 통과하여, 제1 저압 출구 포트(13)로부터 증발기(4)의 제1 열교환기(4a)로 보내진다. 제2 냉매 통로(24)로 유입한 증기 냉매는, 제2 교축 부재(26)를 통과하여, 제2 저압 출구 포트(14)로부터 증발기(4)의 제2 열교환기(4b)로 보내진다. 증기 냉매는, 제1 교축 부재(25) 및 제2 교축 부재(26)를 통과할 때, 제l 교축 부재(25) 및 제2 교축 부재(26)의 개구부(25a, 26a)의 면적비의 2:1로 분배된다.
증발기(4)에서는, 제1 열교환기(4a) 및 제2 열교환기(4b)에 도입된 증기 냉매는, 팬(6)에 의해 송풍된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증발되고, 그 후 합류되어 복귀 냉매 입구 포트(15)로 복귀된다. 팬(6)에 의해 송풍되어 증발기(4)를 통과한 공기는, 제습되어 차가워지고, 그 후, 적당히 온도 조정되고 나서 차 실내로 분출된다.
복귀 냉매 입구 포트(15)로 도입된 냉매는, 냉매 복귀 통로(29)를 통과하여, 복귀 냉매 출구 포트(16)로부터 컴프레서(1)로 복귀된다. 증발기(4)로부터의 냉매가 냉매 복귀 통로(29)를 통과할 때, 그 냉매의 과열도가 파워 엘레멘트(17)에 의해 감지되고, 그 과열도에 따라 밸브부(3a)의 밸브 리프트가 제어된다. 이에 의해, 밸브부(3a)에서 냉매의 유량이 제어되어, 소정의 분배비로 증발기(4)의 제1 열교환기(4a) 및 제2 열교환기(4b)로 공급된다. 밸브부(3a)를 증발기(4) 출구의 냉매의 과열도로 귀환 제어하고 있으므로, 이 팽창 밸브는, 증발기(4)로 보내는 증기 냉매의 유량을 증발기 출구의 냉매가 압축 코일 스프링(19)에 의해 설정된 과열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있다.
도 4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팽창 밸브의 중앙 종단면도, 도 5는 도 4의 면에 대하여 직각 방향의 면에서 본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팽창 밸브의 중앙 종단면도이다. 또한, 이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구성 요소와 동일 또는 균등한 구성 요소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팽창 밸브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팽창 밸브와 비교하여, 제2 저압 출구 포트(14)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고 있다. 즉, 이 팽창 밸브에서는, 제2 저압 출구 포트(14)는, 보디(11)의 고압 입구 포트(12)가 설치된 측면과 반대측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저압 출구 포트(13) 및 제1 냉매 통로(23)와 제2 저압 출구 포트(14) 및 제2 냉매 통로(24)는, 복귀 냉매 입구 포트(15) 및 복귀 냉매 출구 포트(16)와 마찬가지로, 보디(11) 내에서 L자 형상으로 굴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냉매 통로(23) 및 제2 냉매 통로(24)에는, 제1 교축 부재(25) 및 제2 교축 부재(26)가 설치되고, 밸브부(3a)에 의해 팽창된 증기 냉매는, 제1 교축 부재(25) 및 제2 교축 부재(26)를 각각 통과한다. 이때, 그 증기 냉매는, 제1 교축 부재(25) 및 제2 교축 부재(26)의 개구부(25a, 26a)의 면적비에 의해 결정되는 유량비로 제1 저압 출구 포트(13) 및 제2 저압 출구 포트(14)로부터 유량이 분배된 상태에서 증발기(4)로 송출된다.
도 6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팽창 밸브의 중앙 종단면도이다. 또한, 이 도 6에 있어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구성 요소와 동일 또는 균등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팽창 밸브는, 도 6의 면에 대하여 직각 방향의 면에서 본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팽창 밸브의 중앙 종단면도는, 도 4와 동일하므로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이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팽창 밸브는, 제1 냉매 통로(23) 및 제2 냉매 통로(24)의 어느 한쪽에만, 교축 부재를 배치하여,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팽창 밸브 보다도 제조 비용을 저감하고 있다. 즉, 도시의 예에서는, 제1 냉매 통로(23)에만 제1 교축 부재(25)를 설치하고, 제2 냉매 통로(24)는, 제2 교축 부재(26)의 개구부(26a)의 개구 면적에 거의 동등한 통로 단면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 팽창 밸브는,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팽창 밸브와 동일한 유량비로 냉매가 분배되어, 증발기(4)의 제1 열교환기(4a) 및 제2 열교환기(4b)로 공급된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 특정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열교환기(4a) 및 제2 열교환기(4b) 2개의 열교환기를 구비한 증발기(4)에 적용하는 팽창 밸브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이 팽창 밸브는, 적용하는 증발기(4)가 갖는 열교환기의 수에 따른 수의 냉매 통로 및 교축 부재를 구비할 수 있고, 교축 부재는, 각각 냉매 유량비에 따른 면적의 개구부를 갖게 된다.
1 : 컴프레서
2 : 콘덴서
3 : 팽창 밸브
3a : 밸브부
4 : 증발기
4a : 제1 열교환기
4b : 제2 열교환기
5 : 냉각 팬
6 : 팬
11 : 보디
12 : 고압 입구 포트
13 : 제1 저압 출구 포트
14 : 제2 저압 출구 포트
15 : 복귀 냉매 입구 포트
16 : 복귀 냉매 출구 포트
17 : 파워 엘리먼트
18 : 샤프트
19 : 압축 코일 스프링
20 : 어저스트 나사
21 : 밸브체
22 : 밸브 시트
23 : 제1 냉매 통로
24 : 제2 냉매 통로
25 : 제1 교축 부재
25a : 개구부
26 : 제2 교축 부재
26a : 개구부
27 : 지지 부재
28 : O 링
29 : 냉매 복귀 통로
30 : 다이어프램
31 : 어퍼 하우징
32 : 로어 하우징
33 : 디스크
34 : 홀더
35 : 압축 코일 스프링
36 : O 링

Claims (3)

  1. 액 냉매를 팽창시켜 증기 냉매로 하는 밸브부와, 증발된 냉매의 온도 및 압력을 검출해서 상기 밸브부의 개방도를 제어하는 파워 엘리먼트를 구비한 팽창 밸브이며,
    상기 밸브부의 하류로부터 분기되어 복수의 저압 출구 포트에 각각 연통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냉매 통로와,
    상기 냉매 통로의 각각에 배치되어 냉매 유량비에 따른 면적의 개구부를 갖는 교축 통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축 통로는, 원판의 중앙에 상기 개구부를 갖는 교축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축 통로는, 상기 개구부와 동일한 통로 단면적을 갖는 통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KR1020120024933A 2011-04-12 2012-03-12 팽창 밸브 KR201201163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88455 2011-04-12
JP2011088455A JP2012220140A (ja) 2011-04-12 2011-04-12 膨張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6333A true KR20120116333A (ko) 2012-10-22

Family

ID=47271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4933A KR20120116333A (ko) 2011-04-12 2012-03-12 팽창 밸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2220140A (ko)
KR (1) KR2012011633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91871B2 (ja) * 2012-04-05 2016-09-14 株式会社不二工機 膨張弁
JP7074322B2 (ja) * 2018-03-19 2022-05-24 株式会社不二工機 膨張弁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0931A (ja) * 1998-03-24 1999-10-05 Sanyo Electric Co Ltd 膨張弁
JP2000320929A (ja) * 1999-05-06 2000-11-24 Hitachi Ltd 冷媒分流器
JP2001133078A (ja) * 1999-11-09 2001-05-18 Koa Seisakusho:Kk 管状部材の接続構造及びその管接続部形成方法並びにその接続構造を用いた流体分流器
JP2004183955A (ja) * 2002-12-02 2004-07-02 Sharp Corp 冷媒分流器
JP2005331166A (ja) * 2004-05-20 2005-12-02 Tgk Co Ltd 膨張弁
JP5083106B2 (ja) * 2008-08-05 2012-11-28 株式会社デンソー 膨張弁及びそれを備えた蒸気圧縮式冷凍サイク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220140A (ja) 2012-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1815B1 (ko) 팽창 밸브
USRE42908E1 (en) Vapor-compression-type refrigerating machine
US20070163296A1 (en) Vapor compression refrigerating systems and modules which comprise a heat exchanger disposed within a gas-liquid separator
US7254961B2 (en) Vapor compression cycle having ejector
JP2007240041A (ja) 膨張弁
US20070169510A1 (en) Unit for refrigerant cycle device
US10174975B2 (en) Two-phase refrigeration system
JP2007315687A (ja) 冷凍サイクル
JPH04214157A (ja) 流体流量調整装置
US10816246B2 (en) Expansion valve using shape memory alloy spring and air conditioner system for vehicle using the same
KR20120116333A (ko) 팽창 밸브
JP6007369B2 (ja) 制御弁
US20140096552A1 (en) Expansion valve for a vapour compression system with reversible fluid flow
KR20120116334A (ko) 팽창 밸브
JP2016090067A (ja) 膨張弁
US20020170308A1 (en) Refrigeration manifold
JP2006234207A (ja) 冷凍サイクル用減圧装置
JP2019066047A (ja) 膨張弁
JP5369259B2 (ja) 膨張弁
JP2007315727A (ja) 膨張弁
JP3920059B2 (ja) 膨張弁
US20030131622A1 (en) Refrigeration manifold
JP4187055B2 (ja) エジェクタサイクル
KR20090117480A (ko) 투시가능한 냉동장치용 팽창밸브
JP7175247B2 (ja) 絞り装置および冷凍サイクル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