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3772A - 전지 팩 - Google Patents

전지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3772A
KR20120113772A KR20127020690A KR20127020690A KR20120113772A KR 20120113772 A KR20120113772 A KR 20120113772A KR 20127020690 A KR20127020690 A KR 20127020690A KR 20127020690 A KR20127020690 A KR 20127020690A KR 20120113772 A KR20120113772 A KR 20120113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battery pack
battery
bus bar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7020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이스케 나이토
마사토시 나가야마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113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37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6Means within the gas flow to guide the flow around one or more cells, e.g. manifolds, baffles or other b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5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 single busb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21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522Inorganic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전지 팩은, 복수의 소(素)전지(1)가 수용되며, 또, 일정한 틈새(S)를 두고 제 1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배열된 복수의 전지블록(6)과, 인접하는 전지블록(6)의 제 1 면(s1)에 접하고 설치되며, 인접하는 전지블록(6)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평판의 버스바(bus bar)(7)를 구비한다. 버스바(7)에는, 틈새(S)와 연이어 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O)가 형성된다. 버스바(7)는, 틈새(S)를 향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볼록부(8)를 가진다. 제 1 볼록부(8)는, 인접하는 전지블록(6)의 틈새(S) 내에 노출되는 제 2 면(s2)에 접촉한다.

Description

전지 팩{BATTERY PACK}
본 발명은, 인접하는 전지블록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버스바(bus bar)를 구비한 전지 팩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동원동기(電動原動機) 장착 자전거, 순정(純正) 전기자동차(PEV) 또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등의 이동체용의 전원으로써, 다수의 소(素)전지를 이용한 전지 팩(조(組)전지)이 사용되고 있다.
소전지를 냉각시키는 것이 가능한 전지 팩으로써,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한 전지 팩이 제안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지 팩에 대해, 도 20, 도 21 그리고 도 22(a) 및 (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0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지 팩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지 팩에 포함되는 단위전지블록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a) 및 (b)는, 단위전지블록에 포함되는 전지홀더를 구성하는 홀더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0에 나타내듯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지 팩은, 제 1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3개)의 단위 전지블록(101)을 구비하고 있다.
단위전지블록(101)은, 도 21에 나타내듯이, 복수(16개)의 소전지(102)와, 복수의 소전지(102)를 유지하는 전지홀더(103)를 구비하고 있다. 전지홀더(103)는, 한 쌍의 홀더부재(103x 및 103y)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4개)의 소전지(101) 열의 일단(一端)이, 홀더부재(103x)에 고정되어 있는 한편, 소전지(101) 열의 타단(他端)이, 홀더부재(103y)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방향은, 도 21에 나타내듯이, 제 1 방향과 직교(直交)하는 방향이다.
도 22(a)에 나타내듯이, 홀더부재(103x)의 다른 홀더부재(103x)와 접합하는 접합단면(端面)(104x)에는, 오목부(105x)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 22(b)에 나타내듯이, 홀더부재(103y)의 다른 홀더부재(103y)와 접합하는 접합단면(104y)에는, 오목부(105y)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20에 나타내듯이, 제 1 방향으로 인접하는 단위 전지블록(101)끼리 사이에, 냉각풍이 도입되는 통기로(106)가 형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지 팩에서는, 통기로(106)로 도입되는 냉각풍을, 소전지(102)에 공급하여, 소전지(102)를 냉각시킨다.
일본 특허공개 2007-328927호 공보
그런데, 본원 출원인은, 소전지를 냉각시키는 것이 가능한 전지 팩으로써, 이하의 전지 팩을 검토하고 있다. 이 전지 팩에 대해서, 도 1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9는, 전지 팩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원 출원인이 검토하고 있는 전지 팩은, 도 19에 나타내듯이, 복수의 소전지가 수용되며, 또, 일정한 틈새(S)를 두고 제 1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배열된 복수의 전지블록(201)과, 인접하는 전지블록(201)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평판의 버스바(202)를 구비한다. 버스바(202)에는, 틈새(S)와 연이어 통하는 개구부(開口部)(O)가 형성된다. 개구부(O) 및 틈새(S)에 의해, 냉각풍이 흐르는 유로(流路)가 형성된다. 유로를 흐르는 냉각풍에 의해, 인접하는 전지블록(201)에 수용된 소전지를 냉각시킨다.
그러나, 본원 출원인이 검토하고 있는 전지 팩에는, 이하에 나타내는 문제가 있다.
전류는, 인접하는 전지블록(201) 중 한쪽에서부터, 버스바(202)를 개재하고 인접하는 전지블록(201) 중 다른 쪽을 향해 흐른다.
버스바(202)에 흐르는 전류는, 개구부(O)를 우회하고 흐르므로, 버스바(202)의 개구부(O) 제 2 방향의 측방(側方)에 위치하는 영역으로, 전류가 집중한다는 문제가 있다(이하, 이 영역을 "전류집중 영역(R)"이라 함). 따라서, 전류집중으로 인해, 전류집중 영역(R)의 전기저항이 높아져, 전류집중 영역(R)에서의 전압강하가 발생한다. 이와 함께, 전류집중으로 인해, 전류집중 영역(R)이 발열한다. 그리고, 제 2 방향은, 도 19에 나타내듯이, 제 1 방향과 직교(直交)하는 방향이다. "전압강하"란, 저항의 양단(兩端)에 전위 차가 생기는 현상(전류가 저항을 흐르면 전압이 강하하는 현상)을 말한다.
또한, 버스바(202)의 개구부(O) 주위 영역의 강도(强度)가 저하된다(이하, 이 영역을 "저강도 영역"이라 함). 때문에, 전지블록(201)이 충격 등의 힘을 받으면, 버스바(202)의 개구부(O) 주위 영역(즉, 저강도 영역)에서, 버스바(202)가 굴곡되거나 또는 버스바(202)가 절단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인접하는 전지블록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버스바를 구비한 전지 팩에 있어서, 버스바의 특정 영역에 전류가 집중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버스바의 굴곡 또는 절단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전지 팩은, 복수의 소전지가 수용되며, 또, 일정한 틈새를 두고 제 1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배열된 복수의 전지블록과, 인접하는 전지블록의 제 1 면에 접하고 배치되며, 인접하는 전지블록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평판의 버스바를 구비하고, 버스바에는, 틈새와 연이어 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되며, 버스바는 틈새를 향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볼록부를 가지며, 제 1 볼록부는, 인접하는 전지블록의 틈새 내에 노출되는 제 2 면에 접촉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전지 팩에 있어서, 제 1 볼록부는, 개구부의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의 양단(兩端) 중 적어도 하나의 단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전지 팩에 의하면, 버스바의 특정 영역(구체적으로는, 버스바의 개구부 제 2 방향의 측방에 위치하는 영역)에 전류가 집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버스바의 개구부 주위 영역에서, 버스바가 굴곡되거나 또는 버스바가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 팩에 사용되는 소전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a) 및 (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 팩에 포함되는 전지블록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고, 도 2(a)는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2(a)에 나타내는 IIb-IIb선의 단면도이다.
도 3(a) 및 (b)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 팩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고, 도 3(a)은 사시도이며, 도 3(b)은 제 2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 팩에 포함되는 버스바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다른 예에 관한 전지 팩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관한 전지 팩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관한 전지 팩에 포함되는 버스바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a) 및 (b)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관한 전지 팩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고, 도 8(a)은 사시도이며, 도 8(b)은 제 2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관한 전지 팩에 포함되는 버스바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에 관한 전지 팩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고, 도 10(a)은 사시도이며, 도 10(b)은 도 10(a)에 나타내는 Xb-Xb선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에 관한 전지 팩에 포함되는 버스바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예에 관한 전지 팩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예에 관한 전지 팩에 포함되는 버스바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다른 예에 관한 전지 팩에 포함되는 버스바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 팩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 팩에 포함되는 버스바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다른 예에 관한 전지 팩에 포함되는 버스바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홀더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전지 팩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지 팩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지 팩에 포함되는 단위 전지블록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a) 및 도 22(b)는, 단위 전지블록에 포함되는 전지홀더를 구성하는 홀더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각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단순한 예시 형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요지(要旨)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또는 변경이 가능하며, 이 변형예 및 이 변경예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도시에 적합한 치수 비율로 도시되며, 도시한 치수 비율은, 실제의 치수 비율과는 다른 경우가 있다.
(제 1 실시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 팩에 대해, 도 1, 도 2, 도 3(a) 및 (b) 그리고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소전지-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 팩에 사용되는 소전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듯이, 소전지(1)는, 예를 들어, 원통형 리튬이온 이차전지이다. 이와 같이, 노트형 PC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으로써 사용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환언하면, 고성능의 범용(汎用)전지를, 소전지(1)로써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소전지가 수용된 전지블록의 고성능화 및 저원가화를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내듯이, 양극(11)과 음극(12)이 이들 사이에 세퍼레이터(13)를 개재하고 권회(捲回)된 전극군(14)이, 비수전해액과 함께, 전지케이스(15)에 수용된다. 전극군(14)의 상단(上端) 및 하단(下端)에는, 각각, 절연판(16 및 17)이 배치된다. 양극(11)은, 양극리드(18)를 개재하고, 양극단자를 겸하는 단자판(23)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필터(20)에 접속된다. 음극(12)은, 음극리드(19)를 개재하고, 음극단자를 겸하는 전지케이스(15)의 저부(底部)에 접속된다.
필터(20)는, 이너캡(inner cap)(21)에 접속된다. 이너캡(21)의 돌기부는, 금속제 밸브판(22)에 접속된다. 밸브판(22)은, 단자판(23)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단자판(23), 밸브판(22), 이너캡(21) 및 필터(20)는 일체로 형성된다. 일체로 형성된 단자판(23), 밸브판(22), 이너캡(21) 및 필터(20)가, 가스켓(24)을 개재하고 전지케이스(15)의 개구부를 밀봉한다.
소전지(1)는, 소전지(1) 내에 발생한 가스를 소전지(1) 밖으로 배출하는 안전기구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소전지(1)에 내부단락(短絡) 등이 발생하여, 소전지(1) 내에 가스가 발생하고, 소전지(1) 내의 압력이 상승하면, 밸브판(22)이 단자판(23)을 향해 팽창되고, 이너캡(21)의 돌기부와 밸브판(22)과의 접속이 어긋나면, 전류경로가 차단된다. 또한, 소전지(1) 내의 압력이 상승하면, 밸브판(22)이 파단(破斷)된다. 이에 따라, 소전지(1) 내에 발생한 가스는, 필터(20)의 개구부(20o), 이너캡(21)의 개구부(21o), 밸브판(22)의 파단부 및 단자판(23)의 개구부(23o)를 통해, 소전지(1) 밖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소전지(1) 내에 발생한 가스를 소전지(1) 밖으로 배출하는 안전기구는, 도 1에 나타내는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구조라도 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전지로써,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이용하는 경우를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전지로써, 원통형 전지를 이용하는 경우를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각형전지를 이용해도 된다.
-전지블록-
도 2(a) 및 (b)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 팩에 포함되는 전지블록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고, 도 2(a)는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2(a)에 나타내는 IIb-IIb선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 팩에 포함되는 복수의 전지블록(6)은, 후술하는 도 3(a) 및 (b)에 나타내듯이, 제 1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배열된다. 제 1 방향은, 도 3(a) 및 (b)에 나타내듯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지블록(6)이 배열되는 방향이다.
도 2(a) 및 (b)에 나타내듯이, 전지블록(6)은, 복수의 소전지(1)와, 각 소전지(1)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갖는 홀더(2)와, 홀더(2)가 수용되는 케이스(3)와, 복수 소전지(1)의 한쪽 단부(端部)(양극단자측)에 설치된 양극 집전판(4)과, 복수 소전지(1)의 다른 쪽 단부(음극단자측)에 설치된 음극 집전판(5)을 구비한다.
양극 집전판(4)에 의해, 각 소전지(1)의 양극단자가 전기적으로 병렬 접속된다. 한편, 음극 집전판(5)에 의해, 각 소전지(1)의 음극단자가 전기적으로 병렬 접속된다.
홀더(2)에는, 홀더(2)를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각 관통공에는, 소전지(1)가 삽입된다. 환언하면, 홀더(2)는, 복수의 수용부(즉, 관통공 주위 부분)를 가지며, 각 수용부에는, 소전지(1)가 수용된다.
수용부의 내측면(內側面)은, 소전지(1)의 외측면(外側面)과 접촉 가능한 형상을 갖는다. 소전지(1)가, 예를 들어, 원통형 전지인 경우, 수용부의 내주면(內周面)은, 원주형(圓周型)이며, 소전지(1)의 외주면(外周面)은, 수용부의 내주면과 접촉한다.
홀더(2)는, 예를 들어, 열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홀더(2)는, 알루미늄(Al) 또는 구리(Cu), 또는 산화알루미늄, 산화티타늄 또는 질화알루미늄이 첨가된 수지로 이루어진다.
-전지 팩-
도 3(a) 및 (b)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 팩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고, 도 3(a)은 사시도이며, 도 3(b)은 제 2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제 2 방향은, 도 3(a)에 나타내듯이,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 팩에 포함되는 버스바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 및 (b)에 나타내듯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 팩은, 일정한 틈새(S)(특히, 도 3(b) 참조)를 두고 제 1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배열된 복수의 전지블록(6)과, 인접하는 전지블록(6)의 제 1 면(s1)에 접하고 설치되며, 인접하는 전지블록(6)끼리를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접속하는 평판의 버스바(7)를 구비한다.
버스바(7)에는, 틈새(S)와 연이어 통하는 개구부(O)(특히 도 3(a) 참조)가 형성된다. 개구부(O) 및 틈새(S)에 의해, 냉각풍 또는 온풍이 흐르는 유로가 형성된다. 유로를 흐르는 냉각풍에 의해, 전지블록(6)에 수용된 소전지(1)를 냉각시킬 수 있다. 한편, 유로를 흐르는 온풍에 의해, 전지블록(6)에 수용된 소전지(1)를 가온(加溫)시킬 수 있다.
버스바(7)는, 틈새(S)를 향해 돌출되는 제 1 볼록부(8)를 가진다. 제 1 볼록부(8)는, 인접하는 전지블록(6)의 틈새(S) 내에 노출되는 제 2 면(s2)(특히, 도 3(b) 참조)에 접촉한다.
도 4에 나타내듯이, 개구부(O)는, 제 2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버스바(7), 복수(예를 들어 2개)의 제 1 볼록부(8)를 가지며, 복수의 제 1 볼록부(8)는, 개구부(O) 제 2 방향의 양단(兩端)에 위치한다. 제 1 볼록부(8)는, 개구부(O) 제 2 방향의 일단(一端)에서, 버스바(7)의 제 2 방향의 일단까지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방향에서 본 제 1 볼록부(8)의 평면형상은, 도 3(b)에 나타내듯이, 예를 들어 직사각형이다. 환언하면, 제 1 볼록부(8)의 형상은, 그 돌출단을 향해 제 1 방향의 폭이 예를 들어 일정한 형상이다.
도 3(b)에 나타내듯이, 틈새(S)의 제 1 방향의 틈새 폭은, 제 1 볼록부(8) 제 1 방향의 폭과 동일하다. 도 4에 나타내듯이, 개구부(O)의 제 1 방향의 개구 폭은, 제 1 볼록부(8)의 제 1 방향의 폭(=틈새(S)의 제 1 방향의 틈새 폭)과 예를 들어 동일하다.
도 3(b)에 나타내듯이, 버스바(7)에 의해, 좌측에 도시한 전지블록(6)의 양극 집전판(4)과, 우측에 도시한 전지블록(6)의 음극 집전판(5)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좌측에 도시한 전지블록(6)의 제 1 면(s1)은, 양극 집전판(4)의 표면에 상당한다. 한편, 우측에 도시한 전지블록(6)의 제 1 면(s1)은, 음극 집전판(5)의 표면에 상당한다.
전류는, 양극 집전판(4)에서부터 버스바(7)를 개재하고, 음극 집전판(5)을 향해 흐른다.
버스바(7)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버스바(7)는, 구리(Cu), 알루미늄(Al), 니켈(Ni), 은(Ag) 및 금(Au)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개구부(O) 제 2 방향의 양단에 위치하는 제 1 볼록부(8)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버스바(7)의 개구부(O) 제 2 방향 측방(側方)에 위치하는 영역(도 19:전류집중 영역(R) 참조)에, 제 1 볼록부(8)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이 영역의 단면적(斷面績)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이 영역으로 전류가 집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류집중으로 인해, 이 영역의 전기저항이 높아져, 이 영역에서의 전압강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전류집중으로 인해, 이 영역이 발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볼록부(8)를, 인접하는 전지블록(6)의 제 2 면(s2)에 접촉시킨다. 이에 따라, 인접하는 전지블록(6)의 위치를 결정함과 동시에, 틈새(S)의 제 1 방향의 틈새 폭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O) 제 2 방향의 양단에 위치하는 제 1 볼록부(8)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버스바(7)의 개구부(O) 주위 영역 일부에, 제 1 볼록부(8)를 형성할 수 있다. 때문에, 이 영역의 단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이 영역의 강도(强度)를 높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지블록(6)이 충격 등의 힘을 받아, 힘을 받은 전지블록(6)의 제 1 면(s1)과 접촉한 버스바(7)에 응력이 발생하는 일이 있더라도, 버스바(7)의 개구부(O) 주위 영역에서, 버스바(7)가 굴곡되거나 또는 버스바(7)가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볼록부(8)를, 인접하는 전지블록(6)의 제 2 면(s2)에 접촉시킨다. 이에 따라, 전지블록(6)이 제 1 방향의 힘을 받는 일이 있더라도, 전지블록(6)이 제 1 방향(즉, 힘을 받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버스바(7)의 개구부(O) 주위 영역에서의, 버스바(7)의 굴곡 또는 버스바(7)의 절단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 팩에 포함되는 전지블록(6)의 개수가, 2개인 경우를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지 팩은, 실제로는, 보다 다수 개의 전지블록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전지 팩이, 예를 들어 4개의 전지블록을 포함하는 경우, 전지 팩의 중심부에 열이 차기 쉽다. 때문에, 개구부 및 틈새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로, 예를 들어 냉각풍을 보내, 전지블록에 수용된 소전지를 냉각시킬 필요가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a) 및 도 4에 나타내듯이, 제 1 볼록부(8)를 갖는 평판의 버스바(7)의 형상이, 직사각형인 경우를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버스바의 형상은, 인접하는 전지블록을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접속 가능한 형상이면 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내듯이, 제 1 볼록부(8)가, 개구부(O) 제 2 방향의 일단에서, 버스바(7) 제 2 방향의 일단까지 연장되는 경우, 환언하면, 제 1 볼록부(8)가, 전류집중 영역(도 19:(R) 참조) 전체에 존재하는 경우를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볼록부는, 적어도, 전류집중 영역의 일부에 존재하면 된다. 버스바에 개구부를 형성했기 때문에 소실(消失)된, 전류가 흐르는 부분을 보상하도록, 제 1 볼록부는, 적어도, 개구부를 우회한 전류가 흐르는 영역의 일부에 존재하면 된다. 이에 따라, 제 1 볼록부에, 개구부를 우회한 전류가 흐를 수 있으므로, 전류집중 영역에 전류가 집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
이하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관한 전지 팩에 대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변형예에 관한 전지 팩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변형예에 관한 전지 팩에 포함되는 버스바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에서,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 구성요소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 설명을 적당히 생략한다.
본 변형예와 제 1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은, 이하의 점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도 7에 나타내듯이, 개구부(Oa) 제 1 방향의 개구부폭이, 제 1 볼록부(8) 제 1 방향의 폭(=틈새(S)의 제 1 방향의 틈새 폭)보다 작다.
이에 반해,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내듯이, 개구부(O)의 제 1 방향의 개구 폭이, 제 1 볼록부(8) 제 1 방향의 폭(=틈새(S)의 제 1 방향의 틈새 폭)과 동일하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경우, 도 4에 나타내듯이, 제 1 볼록부(8)로 흘러 들어가는 전류의 입구(G)는, 비교적 좁다. 때문에, 입구(G)로 집중하여 흐르는 전류로 인해, 입구(G) 근방에 위치하는 전지블록(6)의 코너부 온도가 상승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변형예에서는, 제 1 볼록부(8)의 제 1 방향의 폭을, 개구부(Oa) 제 1 방향의 개구 폭보다 크게 한다. 이에 따라, 도 7에 나타내듯이, 제 1 볼록부(8)로 흘러 들어가는 전류의 입구(Gx)를 새로 설치할 수 있다. 때문에, 전지블록(6)의 코너부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
이하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관한 전지 팩에 대해, 도 8(a) 및 (b) 그리고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8(a)은, 본 변형예에 관한 전지 팩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고, 도 8(a)는 사시도이며, 도 8(b)은 제 2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변형예에 관한 전지 팩에 포함되는 버스바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a) 및 (b) 그리고 도 9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 구성요소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 설명을 적당히 생략한다.
본 변형예와 제 1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은, 이하의 점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도 8(a) 및 (b)에 나타내듯이, 전지블록(6)의 제 2 면(s2)의 단부(端部)는, 만곡면부(灣曲面部)이다. 제 1 볼록부(8b)는, 만곡면부에 접촉하고, 제 1 볼록부(8b) 제 1 방향의 측면은, 만곡면부와 끼워 결합되는 만곡면이다. 제 1 볼록부(8b)의 형상은, 그 돌출단을 향해 제 1 방향의 폭이 작아지는 형상이다.
이에 반해,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3(a) 및 (b)에 나타내듯이, 전지블록(6)의 제 2 면(s2)은, 평판의 버스바(7)의 평면에 대해 수직인 면이다. 제 2 면(s2)의 단부와 접촉하는 제 1 볼록부(8) 제 1 방향의 측면은, 평판의 버스바(7)의 평면에 대해 수직인 면이다. 제 1 볼록부(8)의 측면은, 그 돌출단을 향해 제 1 방향의 폭이 일정한 형상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도 9에 나타내듯이, 제 1 볼록부(8b)의 돌출단(상단(上端))의 제 1 방향의 폭(Wu)은, 제 1 볼록부(8b) 하단(下端)의 제 1 방향의 폭(Wl)보다 작다. 도 8(b) 및 도 9에 나타내듯이, 제 1 볼록부(8b) 상단의 제 1 방향의 폭(Wu)은, 틈새(Sb)의 제 1 방향의 틈새 폭(특히, 도 8(b) 참조) 및 개구부(Ob) 제 1 방향의 개구 폭(특히, 도 9 참조)과 동일하다.
이에 반해,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내듯이, 제 1 볼록부(8) 상단의 제 1 방향의 폭과 제 1 볼록부(8) 하단의 제 1 방향의 폭은, 동일하다. 도 3(b) 및 도 4에 나타내듯이, 제 1 볼록부(8) 상단의 제 1 방향의 폭 및 제 1 볼록부(8) 하단의 제 1 방향의 폭은, 틈새(S)의 제 1 방향의 틈새 폭(특히, 도 3(b) 참조) 및 개구부(O) 제 1 방향의 개구 폭(특히, 도 4 참조)과 동일하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와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변형예에서는, 전지블록(6) 제 2 면(s2)의 단부(端部)를 만곡면부로 하고, 만곡면부와 접촉하는 제 1 볼록부(8b) 상단의 제 1 방향의 폭(Wu)을, 개구부(Ob) 제 1 방향의 개구 폭과 동일하게 하는 한편, 제 1 볼록부(8b) 하단의 제 1 방향의 폭(Wl)을, 개구부(Ob)의 제 1 방향의 개구 폭보다 크게 한다. 이에 따라, 도 9에 나타내듯이, 제 1 볼록부(8b)로 흘러 들어가는 전류의 입구(Gy)를 새로 설치할 수 있다. 이로써, 전지블록(6)의 코너부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
이하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 제 3 변형예에 관한 전지 팩에 대해, 도 10(a) 및 (b) 그리고 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0(a) 및 (b)는, 본 변형예에 관한 전지 팩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고, 도 10(a)은 사시도이며, 도 10(b)은 도 10(a)에 나타내는 Xb-Xb선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변형예에 관한 전지 팩에 포함되는 버스바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a) 및 (b) 그리고 도 11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 구성요소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 설명을 적당히 생략한다.
본 변형예와 제 1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은, 이하의 점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도 11에 나타내듯이, 평판의 버스바(7)는, 한 쌍의 제 1 볼록부(8)와, 한 쌍의 제 2 볼록부(9)를 가진다. 개구부(Oc) 제 1 방향의 개구 폭은, 제 1 볼록부(8) 제 1 방향의 폭(=틈새(Sc)의 제 1 방향의 틈새 폭)보다 작다.
이에 반해,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내듯이, 평판의 버스바(7)는, 한 쌍의 제 1 볼록부(8)만을 갖는다. 개구부(8) 제 1 방향의 개구 폭은, 제 1 볼록부(8) 제 1 방향의 폭(=틈새(S)의 제 1 방향의 틈새 폭)과 동일하다.
도 11에 나타내듯이, 한 쌍의 제 2 볼록부(9)는, 개구부(Oc)의 제 1 방향의 양단에 위치한다. 도 10(b)에 나타내듯이, 한 쌍의 제 2 볼록부(9) 각각은, 틈새(Sc)를 향해 돌출된다.
도 11에 나타내듯이, 제 2 볼록부(9) 제 2 방향의 일단부(一端部)는, 한 쌍의 제 1 볼록부(8) 중 한쪽에 접촉한다. 한편, 제 2 볼록부(9) 제 2 방향의 타단부(他端部)는, 한 쌍의 제 1 볼록부(8) 중 다른 쪽에 접촉한다.
도 11에 나타내듯이, 제 1 볼록부(8) 제 1 방향의 측면과, 제 2 볼록부(9) 제 1 방향의 측면과는, 동일 평면이다. 도 10(a)에서 알 수 있듯이, 제 1 볼록부(8) 제 1 방향의 양 측면은, 인접하는 전지블록(6)의 제 2 면(s2)에 접촉한다. 도 10(b)에 나타내듯이, 제 2 볼록부(9)의 제 1 방향의 측면은, 전지블록(6)의 제 2 면(s2)에 접촉한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버스바(7)의 개구부(O) 제 2 방향의 측방(側方)에 위치하는 영역(도 19:전류집중 영역(R) 참조)에, 제 1 볼록부(8)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이 영역의 단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이 영역에 전류가 집중이 집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볼록부(9)에 의해, 이하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제 1 볼록부(8)만이 아니라, 개구부(Oc) 제 1 방향의 양단(兩端)에 위치하는 제 2 볼록부(9)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제 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버스바(7)의 개구부(Oc) 주위 영역의 단면적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이 영역의 강도(强度)를 더욱 높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버스바(7)의 개구부(Oc) 주위 영역에서의, 버스바(7)의 굴곡 또는 버스바(7)의 절단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볼록부(8)만이 아니라, 인접하는 전지블록(6)의 제 2 면(s2)에 접촉하는 제 2 볼록부(9)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전지블록(6)이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Oc) 제 1 방향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 2 볼록부(9)에 의해, 버스바(7)의 개구부(Oc) 제 1 방향의 측방에 위치하는 영역에 전류가 집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볼록부(8)와 접촉하는 제 2 볼록부(9)에 의해, 제 2 볼록부(9)로부터 제 1 볼록부(8)를 향해 전류를 흘려 보내, 제 1 볼록부(8)에 전류가 흐르기 쉽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변형예에서는, 도 11에 나타내듯이, 제 2 볼록부(9) 제 2 방향의 단부가, 제 1 볼록부(8)에 접촉하는 경우를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변형예에서는, 도 11에 나타내듯이, 제 2 볼록부(9) 제 1 방향의 측면과, 제 1 볼록부(8) 제 1 방향의 측면이 동일 평면인 경우를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 2 볼록부 제 1 방향의 측면이, 제 1 볼록부 제 1 방향의 측면보다 내측(內側)(개구부측)에 위치하여도 된다. 단, 본 변형예와 같이, 제 2 볼록부(9) 제 1 방향의 측면을, 제 1 볼록부(8) 제 1 방향의 측면과 동일 평면으로 한 경우, 상술과 같이, 전지블록(6)이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변형예에서는, 도 10(b) 및 도 11에 나타내듯이, 제 2 볼록부(9)의 형상이, 이 돌출단을 향해 제 1 방향의 폭이 일정한 형상인 경우를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듯이, 제 2 볼록부(9d)의 형상은, 이 돌출단을 향해 제 1 방향의 폭이 작아지는 형상이라도 된다. 환언하면, 도 12에 나타내듯이, 제 2 볼록부(9d)의 틈새(Sd) 내에 노출되는 면은, 개구부(Od)로부터 틈새(Sd)를 향해 경사지는 경사면이라도 된다.
이에 따라, 개구부(Od)로 유입된 냉각풍 또는 온풍을, 제 2 볼록부(9d)의 경사면을 따라 흘려보내고, 전지블록(6)의 제 2 면(s2)에 냉각풍 또는 온풍을 효과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전지블록(6)에 수용된 소전지(1)를 효과적으로 냉각 또는 가온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 1 실시형태 및 이 제 1?제 3 변형예에서는, 개구부의 개수가 1개인 경우를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4에 나타내듯이, 개구부(Oe)의 개수는 복수개(예를 들어 3개)라도 된다. 복수의 개구부(Oe)는, 제 2 방향(도 14 지면(紙面)의 상하방향)으로 배열된다. 이 경우, 제 1 볼록부(8e)는, 인접하는 개구부(Oe)끼리의 사이, 가장 상측(上側)에 위치하는 개구부(Oe)의 상단(上端), 및 가장 하측(下側)에 위치하는 개구부(Oe)의 하단(下端)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제 1 볼록부(8e)의 개수를, 예를 들어 2개에서 4개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써, 이하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전류집중 영역(즉, 버스바(7)의 복수 개구부(Oe) 제 2 방향의 측방에 위치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제 1 볼록부(8e)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써, 이 영역의 단면적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이 영역에 전류가 집중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저강도 영역(즉, 버스바(7)의 복수 개구부(Oe)의 주위 영역)에 형성되는 제 1 볼록부(8e)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때문에, 이 영역의 단면적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이 영역의 강도를 더욱 높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버스바(7)의 복수 개구부(Oe)의 주위 영역에서의 버스바(7)의 굴곡 또는 버스바(7)의 절단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인접하는 전지블록(6)의 제 2 면에 접촉하는 제 1 볼록부(8e)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써, 전지블록(6)이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 팩에 대해,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5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 팩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 팩에 포함되는 버스바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5 및 도 16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 구성요소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 설명을 적당히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와 제 1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은, 이하의 점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6에 나타내듯이, 버스바(7)에는, 복수(예를 들어 2개)의 개구부(Of)가 형성된다. 복수의 개구부(Of) 중 한쪽은, 버스바(7) 제 2 방향의 일단(一端)에서 중앙을 향해 길게 형성되는 노치(notch)부이다. 한편, 복수의 개구부(Of) 중 다른 쪽은, 버스바(7)의 제 2 방향의 타단(他端)에서 중앙을 향해 길게 형성되는 노치부이다. 제 1 볼록부(8f)는, 제 2 방향에 인접하는 개구부(Of)끼리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에 반해,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내듯이, 버스바(7)에는, 예를 들어 1개의 개구부(O)가 형성된다. 개구부(O)는, 제 2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슬릿부이다. 제 1 볼록부(8)는, 개구부(O)의 제 2 방향 양단(兩端)에 위치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6에 나타내듯이, 버스바(7) 제 2 방향의 일단 및 타단의 각각으로부터 중앙을 향해 길게 형성되는 2개의 개구부(Of)(노치부)를 형성하는 경우를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7에 나타내듯이, 버스바(7)의 제 2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해 길게 형성되는 1개의 개구부(Og)(노치부)를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제 1 볼록부(8g)는, 개구부(Og)의 제 2 방향 일단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볼록부(8f) 제 1 방향의 폭이, 개구부(Of) 제 1 방향의 개구 폭과 동일한 경우를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와 같이, 제 1 볼록부 제 1 방향의 폭을, 개구부의 제 1 방향 개구 폭보다 크게 하여도 된다. 이에 따라,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와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전지블록(6)의 제 2 면이, 평판의 버스바(7)의 평면에 대해 수직인 면이며, 제 1 볼록부(8f) 상단 제 1 방향의 폭 및 제 1 볼록부(8f) 하단 제 1 방향의 폭이, 개구부(Of) 제 1 방향의 폭과 동일한 경우를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 1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와 같이, 전지블록의 제 2 면의 단부를, 만곡면부로 하여, 제 1 볼록부 상단의 제 1 방향의 폭을 개구부 제 1 방향의 개구 폭과 동일하게 하는 한편, 제 1 볼록부 하단의 제 1 방향의 폭을 개구부 제 1 방향의 개구 폭보다 크게 해도 된다. 이에 따라, 제 1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와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볼록부(8f)만을 형성하는 경우를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 1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와 같이, 개구부 제 1 방향의 양단에 위치하는 제 2 볼록부를 형성해도 된다. 이에 따라, 제 1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와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제 1 실시형태 및 이 제 1 ?제 3 변형예, 그리고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내듯이, 홀더(2)를 절연성 케이스(3)에 수용하는 경우를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홀더는, 반드시 케이스에 수용될 필요는 없다. 단, 홀더를 케이스에 수용한 경우, 가령, 제 1 방향으로 인접하는 전지블록끼리가 접촉하는 일이 있어도, 제 1 방향으로 인접하는 케이스끼리가 접촉하는 것에 지나지 않으며, 제 1 방향에 인접하는 홀더끼리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일은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제 1 볼록부에 의해, 전지블록이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 1 방향으로 인접하는 전지블록끼리가 접촉하는 일은 거의 없다.
그리고 제 1 실시형태 및 이 제 1 ?제 3 변형예, 그리고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내듯이, 홀더로써,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홀더(2)를 이용하는 경우를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8에 나타내듯이, 중공(中空) 통형의 복수 파이프(2x)(수용부)를 갖는 홀더(2X)를 이용해도 된다. 인접하는 파이프(2x)끼리는, 서로 결합된다.
그리고, 제 1 실시형태 및 이 제 1?제 3 변형예, 그리고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내듯이, 각각에 복수의 소전지(도 2(b):(1) 참조)가 수용된 복수의 전지블록(6)과, 인접하는 전지블록(6)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버스바(7)를 구비한 전지 팩을 이용하는 경우를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소전지(1)가 수용된 전지블록(6) 대신에, 전지를 이용하여, 복수의 전지와, 인접하는 전지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버스바를 구비한 전지 팩을 이용해도 된다. 이 경우도, 제 1 실시형태 및 제 1?제 3 변형예, 그리고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전지는, 일정한 틈새를 두고 제 1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배열된다. 버스바에는, 틈새와 연이어 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된다. 버스바는, 인접하는 전지의 제 1 면에 접하고 설치되며, 또, 틈새를 향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볼록부를 갖는다. 제 1 볼록부는, 인접하는 전지의 틈새 내에 노출되는 제 2 면에 접촉한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버스바에 있어서 특정 영역에 전류가 집중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버스바의 굴곡 또는 절단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인접하는 전지블록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버스바를 구비한 전지 팩에 유용하다.
1 : 소전지 2, 2X : 홀더
2x : 파이프 3 : 케이스
4 : 양극 집전판 5 : 음극 집전판
6 : 전지블록 7 : 버스바
8, 8b, 8e, 8f, 8g : 제 1 볼록부 9, 9d : 제 2 볼록부
O, Oa, Ob, Oc, Od, Oe, Of, Og : 개구부
S, Sb, Sc, Sd : 틈새
s1 : 제 1 면 s2 : 제 2 면
G, Gx, Gy : 입구 Wu, Wl : 폭
11: 양극 12 : 음극
13 : 세퍼레이터 14 : 전극군
15 : 전지케이스 16, 17 : 절연판
18 : 양극리드 19 : 음극리드
20 : 필터 21 : 이너캡
22 : 밸브판 23 : 단자판
24 : 가스켓 20o, 21o, 23o : 개구부

Claims (17)

  1. 복수의 소(素)전지가 수용되며, 또, 일정한 틈새를 두고 제 1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배열된 복수의 전지블록과,
    인접하는 상기 전지블록의 제 1 면에 접하고 설치되어, 인접하는 상기 전지블록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평판의 버스바(bus bar)를 구비하며,
    상기 버스바에는, 상기 틈새와 연이어 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버스바는, 상기 틈새를 향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볼록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볼록부는, 인접하는 상기 전지블록의 상기 틈새 내에 노출되는 제 2 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볼록부는, 상기 개구부의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直交)하는 제 2 방향의 양단(兩端) 중 적어도 하나의 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상기 제 1 방향의 개구 폭은, 상기 틈새의 상기 제 1 방향의 틈새 폭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팩.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상기 제 1 방향의 개구 폭은, 상기 틈새의 상기 제 1 방향의 틈새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팩.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블록의 상기 제 2 면의 단부(端部)는, 만곡면부(灣曲面部)이며,
    상기 제 1 볼록부는, 상기 만곡면부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팩.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상기 개구부의 상기 제 1 방향의 양단에 위치하며, 또, 각각이 상기 틈새를 향해 돌출되는 한 쌍의 제 2 볼록부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팩.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볼록부는, 상기 전지블록의 상기 제 2 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팩.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볼록부의 형상은, 그 돌출단을 향해 상기 제 1 방향의 폭이 작아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팩.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블록은, 상기 제 1 면측에 설치되며, 또, 상기 복수 소전지의 단자를 전기적으로 병렬 접속하는 집전판을 구비하고,
    상기 버스바에 의해, 인접하는 상기 전지블록의 상기 집전판끼리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팩.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볼록부는, 상기 개구부의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의 일단(一端)으로부터, 상기 버스바의 상기 제 2 방향의 일단까지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팩.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노치(notch)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팩.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개수는, 복수개이며,
    복수의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팩.
  13. 일정한 틈새를 두고 제 1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배열된 복수의 전지와,
    인접하는 상기 전지의 제 1 면에 접하고 설치되며, 인접하는 상기 전지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평판의 버스바를 구비하며,
    상기 버스바에는, 상기 틈새와 연이어 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버스바는, 상기 틈새를 향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볼록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볼록부는, 인접하는 상기 전지의 상기 틈새 내에 노출되는 제 2 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팩.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볼록부는, 상기 개구부의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의 양단 중 적어도 하나의 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팩.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상기 제 1 방향의 개구 폭은, 상기 틈새의 상기 제 1 방향의 틈새 폭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팩.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상기 제 1 방향의 개구 폭은, 상기 틈새의 상기 제 1 방향의 틈새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팩.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의 상기 제 2 면의 단부는, 만곡면부이며,
    상기 제 1 볼록부는, 상기 만곡면부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팩.
KR20127020690A 2011-01-07 2011-12-22 전지 팩 KR201201137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01747 2011-01-07
JPJP-P-2011-001747 2011-01-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772A true KR20120113772A (ko) 2012-10-15

Family

ID=46457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7020690A KR20120113772A (ko) 2011-01-07 2011-12-22 전지 팩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011710A1 (ko)
JP (1) JPWO2012093452A1 (ko)
KR (1) KR20120113772A (ko)
CN (1) CN102823024A (ko)
WO (1) WO201209345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4587A (ko) 2019-02-27 2020-09-04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버스바 터미널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902B1 (ko) * 2013-04-29 2015-05-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KR102249504B1 (ko) 2017-03-21 2021-05-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6348U (ko) * 1988-10-17 1990-04-24
JPH0265868U (ko) * 1988-11-08 1990-05-17
JP3344231B2 (ja) * 1996-08-21 2002-11-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池の接続構造
EP1376734A3 (en) * 1997-03-24 2004-11-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oling device for battery power source
JP3848565B2 (ja) * 2001-11-27 2006-11-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池間接続構造および電池モジュール並びに電池パック
US7875375B2 (en) * 2004-08-05 2011-01-25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battery module
JP5005183B2 (ja) * 2005-04-14 2012-08-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間接続構造
EP2193563A1 (en) * 2007-09-27 2010-06-09 Kabushiki Kaisha Toshiba Bus bar
KR101082862B1 (ko) * 2008-10-14 2011-1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단자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4587A (ko) 2019-02-27 2020-09-04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버스바 터미널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2093452A1 (ja) 2014-06-09
US20130011710A1 (en) 2013-01-10
WO2012093452A1 (ja) 2012-07-12
CN102823024A (zh) 201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63773B (zh) 电极构件及集电板、电池组
US9985259B2 (en) Battery pack
US10115954B2 (en) Battery module
JP5345648B2 (ja) 2次電池および電池モジュール
EP3664187A1 (en) Cylindrical battery cell assembly with improved space utilization and safety,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same
KR101913786B1 (ko) 단자 플레이트 및 bms가 직접 연결된 구조의 전지모듈
CN105304838B (zh) 电池模块
US20130136969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assembly used in battery module
EP2793289A2 (en) Battery module
KR100542238B1 (ko) 전지 모듈
EP2744015A1 (en) Battery block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same
US8927126B2 (en) Protection circuit assembly and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KR101749509B1 (ko) 용접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20210194100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having same
JP6990780B2 (ja) 電池モジュール
US20140356664A1 (en) Battery module
US11843128B2 (en) Cell module
CN114651370B (zh) 具有汇流条的电池模块、电池组和车辆
KR20160120996A (ko) 배터리 팩
US11469467B2 (en) Battery module
US20220231382A1 (en) Battery pack with enhanced structure for preventing short circuit and shock
KR20120113772A (ko) 전지 팩
CN105990601B (zh) 电池组
US9012059B2 (en) Secondary battery
US9831486B2 (en) Battery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