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3517A - 전원장치가 구비된 거치대 - Google Patents

전원장치가 구비된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3517A
KR20120113517A KR1020110031264A KR20110031264A KR20120113517A KR 20120113517 A KR20120113517 A KR 20120113517A KR 1020110031264 A KR1020110031264 A KR 1020110031264A KR 20110031264 A KR20110031264 A KR 20110031264A KR 20120113517 A KR20120113517 A KR 20120113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ower supply
vehicle
adsorptio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1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9705B1 (ko
Inventor
왕종문
Original Assignee
왕종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종문 filed Critical 왕종문
Priority to KR1020110031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705B1/ko
Publication of KR20120113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3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6Windows, e.g. windscre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6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uction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63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adhesive means, e.g. hook and loop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9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motoriz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2011/0294Apparatus with multi-functionalities, e.g. radio and tele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장치가 구비된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원장치가 구비된 거치대는 자동차의 전기공급장치에서 공급된 전기에너지에 의해 구동되는 자동차용 액세서리가 장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가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자동차용 액세서리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공급기 및 차량의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전달하는 메인전선을 포함하는 전원부; 상기 하우징이 장착 위치가 고정되도록 차량의 앞 유리창에 부착되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자동차용 액세서리가 안착되는 거치판과 상기 자동차용 액세서리를 상부에서 눌러주는 고정후크가 구비되되, 상기 거치판의 후면에는 상기 고정후크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는 상기 고정후크와 인력이 작용하는 자성체가 내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따른 전원장치가 구비된 거치대를 사용함으로써,

Description

전원장치가 구비된 거치대{SUPPORT DEVICE WITH POWER SUPPLY}
본 발명은 전원장치가 구비된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가지 크기 및 여러 가지 종류의 자동차용 액세서리를 장착할 수 있고, 자동차용 액세서리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장치가 구비된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자동차용 액세서리를 장착하는 거치대는, 자동차용 액세서리를 결합시키는 구조가 각 자동차용 액세서리마다 상이하기 때문에 하나의 거치대에 한 종류의 자동차용 액세서리를 장착할 수밖에 없었다. 게다가 이러한 자용차용 액세서리의 경우, 별도의 충전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고, 자동차에서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구동이 된다. 따라서, 자동차 대시보드에 시거잭이 구비된다. 시거라이터는 내측에 열선 코일이 형성되며 그 내주면에는 접점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시거잭에 끼움 고정된 시거라이터의 열선 코일에 전원이 인가되면 열선 코일이 가열되어 담배에 불을 붙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근래에 들어서는 시거잭이 단순히 시거라이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자동차의 내부에 전원을 사용하는 기타 장치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더욱 많이 사용되고 있다. 즉,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하여 자동차용 액세서리에 사용되는 전원케이블은 양 단이 각각 자동차용 액세서리의 전원입력구와 시거잭에 결합되어 있다. 이때 자동차용 액세서리의 경우, 운전자의 시야각도 내에 위치하도록 대시보드의 상부면에 일반적으로 장착되는데, 시거잭은 일반적으로 센터페시아의 하부 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자동차용 액세서리에 전원을 공급하고자 할 경우, 전원케이블이 대시보드의 센터페시아를 가로질러 구비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센터페시아에 장착된 온도조절기나 오디오 및 기어 등을 운전자가 조작하는 중에 센터페시아를 가로질러 위치하는 전원케이블이 운전자에 손에 걸리면서 조작에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운전자의 손에 걸린 전원케이블을 푸는 과정에서 전원케이블이 시거잭으로부터 탈착되면 자동차용 액세서리의 전원이 꺼지게 된다. 자동차용 액세서리가 네비게이션인 경우, 전원이 꺼지게 되면 급작스럽게 길안내가 중단되기 때문에 운전자가 목적지를 충분히 숙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경로를 이탈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뿐만 아니라, 전원케이블이 운전자의 손에 걸리게 되면 한 손으로 운전을 진행해야하기 때문에 운전 도중에 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이 증가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차용 액세서리의 전원 케이블이 앞유리창측 대시보드를 거쳐 대시보드의 외주면을 돌아 구비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자동차 내에 장착하는 자동차용 액세서리의 종류가 증가하게 되면, 대시보드의 외주면을 돌아 장착하게 되는 전원 케이블의 개수도 증가하기 때문에 여러 종류의 전원케이블이 대시보드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장착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운행중에 여전히 전원 케이블이 센터페시아를 가리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네비게이션 장치 등과 같이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자동차용 액세서리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대시보드의 센터페시아에 구비된 장치를 조작할 때, 운전을 방해받지 않는 위치에 전원케이블을 위치시킬 수 있으며, 여러 종류의 자동차용 액세서리를 장착할 수 있는 전원장치가 구비된 거치대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네비게이션이나 스마트폰과 같이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여러 가지 종류의 자동차 액세서리를 자동차 내에 장착시키며, 자동차 액세서리와 전원과의 거리를 최소화하여 전원케이블가 짧아질 수 있도록 하는 전원장치가 구비된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전기공급장치에서 공급된 전기에너지에 의해 구동되는 자동차용 액세서리가 장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가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자동차용 액세서리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공급기 및 차량의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전달하는 메인전선을 포함하는 전원부;
상기 하우징이 장착 위치가 고정되도록 차량의 앞 유리창에 부착되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자동차용 액세서리가 안착되는 거치판과 상기 자동차용 액세서리를 상부에서 눌러주는 고정후크가 구비되되,
상기 거치판의 후면에는 상기 고정후크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는 상기 고정후크와 인력이 작용하는 자성체가 내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가 구비된 거치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원부의 상기 전원공급기는, 공급 소켓, USB 단자 및 시거잭 단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기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있는 하우징 연결대와, 상기 하우징 연결대에 결합되며 자동차 앞유리에 탈부착되는 흡착판이 구비된 흡착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 연결대는 상기 하우징과 결합된 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회동구와, 상기 회동구로부터 돌출형성된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체결홀이 길게 천공된 한 쌍의 체결빔을 포함하고,
상기 흡착대의 상기 흡착판은, 앞 유리창과 접촉하는 흡착면이 구비되고, 상기 흡착면의 반대쪽 면에 돌출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체결홀이 길게 천공된 길이조절빔을 포함하되,
상기 길이조절빔은, 상기 한 쌍의 체결빔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 연결대는 상기 하우징과의 결합된 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회동구와, 상기 회동구로부터 돌출형성된 바 형상의 체결빔을 포함하고,
상기 흡착대의 상기 흡착판은, 앞 유리창과 접촉하는 흡착면이 구비되고, 상기 흡착면의 반대쪽 면에 돌출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체결홀이 길게 천공된 한 쌍의 길이조절빔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상기 체결빔 말단과 상기 길이조절빔의 체결홀이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길이조절빔 사이에 상기 체결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 연결대는 상기 하우징과의 결합된 각도가 조절되고,
상기 흡착대는 상기 하우징 연결대의 말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 액세서리가 장착되는 것과 동시에, 자동차 액세서리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부가 구비되어있기 때문에 자동차 액세서리와 전원부 간의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 액세서리의 전원케이블이 대시보드를 가로질러 구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운전 중에 대시보드의 센터페시아에 구비된 장치를 조작하면서 자동차 액세서리의 전원케이블이 손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고정부와 하우징 하부에 위치한 결합부에 의해 하우징의 장착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전원장치가 구비된 거치대에 자동차 액세서리를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안착부에 여러 가지 종류의 자동차 액세서리를 장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장치가 구비된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장치가 구비된 거치대의 일부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의 회로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 따른 전원장치가 구비된 거치대의 측면도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차량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인구가 증가하면서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여러 종류의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단순히 차량 내부를 인테리어하는 소품뿐만 아니라 음악을 듣는 MP3 기기나 길 안내 등을 위하여 차량에 장착되는 네비게이션 등 여러 가지 자동차용 액세서리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자동차용 액세서리가 장착되는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착부(110)에 여러 종류의 자동차용 액세서리를 번갈아가며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착부(110)에 장착되는 자동차용 액세서리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장치가 구비된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자동차용 액세서리란 단순히 자동차에 탑승할 때만 사용되는 기기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과 같이 평상시에 운전자가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장치들도 포함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는 차량의 운행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지 않더라도 운전을 하는 동안 운전자의 편의를 위하여 구동되는 장치나 자동차에서 발생되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구동되는 장치들을 모두 자동차용 액세서리로 본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장치가 구비된 거치대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장치가 구비된 거치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전기공급장치에서 공급된 전기에너지에 의해 구동되는 자동차용 액세서리가 장착되는 안착부(110);
상기 안착부(110)가 결합되는 하우징(120);
상기 하우징(120)에 설치되며, 자동차용 액세서리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공급기 및 차량의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전달하는 메인전선을 포함하는 전원부(130);
상기 하우징(120)이 장착 위치가 고정되도록 차량의 앞 유리창에 부착되며 상기 하우징(120)에 결합되는 고정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110)는 상기 자동차용 액세서리가 안착되는 거치판(112)과 상기 자동차용 액세서리를 상부에서 눌러주는 고정후크(114)가 구비되되,
상기 거치판(112)의 후면에는 상기 고정후크(114)가 삽입되는 삽입홈(116)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16)에는 상기 고정후크(114)와 인력이 작용하는 자성체(118)가 내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원장치가 구비된 거치대(100)는 차량용 액세서리를 장착하는 거치대 역할을 함과 동시에 차량용 액세서리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한다. 따라서, 차량용 액세서리의 전원 케이블을 센터페시아 하부에 위치한 시거잭에 연결할 필요없이 전원부(130)의 전원공급기에 연결함으로써, 차량용 액세서리의 전원케이블의 양단 사이 거리가 가까워지게 된다. 즉, 전기에너지를 공급받기 위하여 전원케이블이 자동차의 센터페시아를 가리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운전자가 운전 도중에 센터페시아에 장착된 장치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20)의 하부면에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재질(125)을 구비함으로써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감쇠되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하우징(120)의 하부면에 점착제(127)를 도포하는 등, 하우징이 대시보드의 상부면에 결합시킬 수 있는 부착장치를 구비함으로써, 고정부(140)에 의해 고정되는 것과 동시에 이중으로 하우징(120)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안착부(110)에 장착된 차량용 액세서리의 무게에 의해 하우징(120)이 장착된 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원장치가 구비된 거치대(100)는, 하우징(120)에 안착부(110)와 고정부(140)가 각각 결합되어 있고, 전원부(130)는 하우징(120) 내에 삽입되어 메인전선을 통해 차량의 전원공급장치의 전기에너지를 공급받는다. 안착부(110)에는 스마트폰이나 네비게이션, MP3 등과 같은 차량용 액세서리가 장착되는데, 특히 안착부(110)의 거치판(112)에 차량용 액세서리가 장착되면, 위치 조절 가능한 고정후크(114)에 의해 거치판(112)에 장착된 차량용 액세서리의 상부면이 고정된다. 즉, 고정후크(114)가 거치판(112)에 형성된 삽입홈(116) 내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크기가 다른 차량용 액세서리가 거치판(112)에 안착되더라도 고정후크(114)의 위치를 조절하면서 차량용 액세서리의 상부면을 눌러줄 수 있다. 또한, 고정후크(114)가 차량용 액세서리를 눌러준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삽입홈(116) 내에는 자성체(118)가 구비된다. 여기서 자성체(118)와 고정후크(114) 간에 서로 인력이 작용하도록 고정후크(114)의 재질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고정후크(114)가 삽입되는 삽입홈(116)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후크(114)의 두께보다 공간이 넓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후크(114)를 자성체(118)로부터 탈착시키고자 할 때, 거치판(112) 쪽으로 고정후크(114)를 당겨서 자성체(118)와 고정후크(114)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렇게 분리된 자성체(118)와 분리된 고정후크(114)는 위치를 조절한 뒤 다시 자성체(118)에 부착시킴으로써, 차량용 액세서리의 상부면을 견고하게 눌러줄 수 있다. 또한, 고정후크(114)를 자성체(118)로부터 탈착시키지 않더라도, 자성체(118)가 고정후크(114)에 부착된 상태에서도 위치를 슬라이딩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차량의 진동에 의해 자동차용 액세서리에 상하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고정후크(114)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되, 운전자에 의해서는 고정후크(114)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삽입홈(116)에 장착되는 자성체(118)의 자력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장치가 구비된 거치대의 일부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의 회로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전원장치가 구비된 거치대(100)는 전원부(130)가 하우징(120)에 장착되기 때문에 차량용 액세서리와 차량용 액세서리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공급기 사이의 거리가 종래에 비하여 짧아진다. 즉, 차량용 액세서리와 전원부(130)에 각각 결합되는 전원 케이블 양단 사이에 대시보드의 센터페시아가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센터페시아에 위치한 구동장치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운전과 센터페시아에 위치한 구동장치를 조작하는 행위를 동시에 수행할 때 전원케이블이 손에 걸리면서 차량용 액세서리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기를 하우징(120)의 측면에 구비함으로써, 전원 케이블이 대시보드의 센터페시아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전원공급기가 측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전원 케이블이 하우징(120)의 측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전원 케이블이 센터페시아에 위치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20)의 측면은 전원장치가 구비된 거치대(100)가 자동차에 장착될 때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측을 향한 면을 가리키는 것으로 운전자 측에 형성된 면은 하우징(120)의 전면이라 하고 앞유리와 마주보는 면을 하우징(120)의 배면이라고 한다. 특히 하우징(120)의 배면은, 상기 전면과 수평한 수평배면과, 하우징(120)의 상부면에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배면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장치가 구비된 거치대(100)의 측면에 각각 공급 소켓(132), USB 단자(134) 및 시거잭 단자(136)로 구성된 전원공급기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0)의 좌측면에는 한 쌍의 USB 단자(134)와 공급 소켓(13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20)의 우측면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거잭 단자(13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0)에 구비된 전원공급기의 종류 및 개수는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USB 단자(134)는 5V의 전원을 공급하고 공급 소켓(132) 및 시거잭 단자(136)에서는 12V의 전원을 공급한다고 할 때, 각각의 전원공급기가 자동차의 전기공급장치와 연결되는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략하게 표현할 수 있다. 즉, 메인전선(138)에 의해 전원부(130)에 연결된 자동차의 전원공급장치에서는 12V의 전기를 공급하기 때문에, 공급 소켓(132) 및 시거잭 단자(136)에는 자동차의 전원공급장치에서 발생하는 전기에너지가 바로 공급된다. 이때, USB에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는 12V의 전압을 5V로 전환해주는 컨버터(C)를 거친 후 USB 단자(134)에 공급된다. 여기서 공급전압(Vcc)은 병렬로 연결된 세 개의 퓨즈(F)에 결합되고, 상기 퓨즈(F)는 각각 시거잭 단자(136), 공급소켓(132), 컨버터(C)의 +극과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시거잭 단자(136), 공급소켓(132), 컨버터(C)의 -극과 그라운드(GND)를 연결함으로써, 각각의 전원공급기에 전기에너지가 공급되도록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 따른 전원장치가 구비된 거치대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전원장치가 구비된 거치대(100)는 하우징(120)의 바닥면에 점착제(127) 등을 이용하여 대시보드의 상부면에 하우징(120)을 고정시키는 것 외에도, 자동차의 앞유리창에 부착되는 고정부(140)를 구비함으로써, 하우징(120)을 이중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120)을 견고히 고정시키게 되면, 하우징(120)에 결합되어 있는 안착부(110) 역시 안정적으로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운전중 자동차에서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전원장치가 구비된 거치대(100)가 대시보드의 상부면(U.D)에서 탈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원장치가 구비된 거치대는 하우징(120)의 상부면의 전면측에 안착부(110)가 편심되게 결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자동자용 액세서리가 안착부(110)가 장착될 때 전원장치가 구비된 거치대(100)의 무게중심(x)이 하우징(120)의 전면측으로 이동하면서 안착부(110)가 하우징(120) 전면 하부측 방향(y1)으로 힘을 받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120)의 경사배면에 돌출결합되어 있는 흡착대(144)는 무게중심(x)을 기준으로 하우징 경사배면의 상부측 방향(y2)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게 된다. 이때 흡착대(144)가 이동하려는 방향에는 자동차 앞유리창(g)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로 흡착대(144)가 하우징 경사배면의 상부측 방향(y2)으로 이동하게 되면, 흡착판(144a)과 앞유리창(g)이 더욱 견고하게 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안착부(110)가 하우징 전면 하부측 방향(y1)으로 힘을 받게 되더라도 자동차용 액세서리가 안착부(110)에 장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20)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부(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140)는, 공통적으로 상기 하우징(120)에 결합되어 있는 하우징 연결대(142)와, 상기 하우징 연결대(142)에 결합되며 자동차 앞유리에 탈부착되는 흡착판(144a)이 구비된 흡착대(144)를 포함한다.
먼저, 고정부(14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연결대(142)는 상기 하우징(120)과 결합된 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하우징(120)에 설치된 회동구(142a)와, 상기 회동구(142a)로부터 돌출형성된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체결홀(h1)이 길게 천공된 한 쌍의 체결빔(142b)을 포함하고,
상기 흡착대(144)의 상기 흡착판(144a)은, 앞 유리창과 접촉하는 흡착면(α)이 구비되고, 상기 흡착면(α)의 반대쪽 면에 돌출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체결홀(h1)이 길게 천공된 길이조절빔(144b)을 포함하되,
상기 길이조절빔(144b)은, 상기 한 쌍의 체결빔(142b) 사이에 구비되도록 고정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40)는 한 쌍의 체결빔(142b) 사이에 흡착대(144)의 길이조절빔(144b)이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되는 것으로 체결빔(142b)에 형성된 체결홀(h1)과 길이조절빔(144b)에 형성된 체결홀(h2)을 동시에 관통하는 나사를 구비함으로써, 흡착대(144)와 하우징(12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즉, 길이조절빔(144b)이 체결빔(142b)의 체결홀(h1)의 어느 위치에 고정되는지에 따라 흡착대(144)와 하우징(12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체결빔(142b)과 자동차의 앞유리창 사이의 간격에 따라 길이조절빔(144b)에 형성된 체결홀(h2)에서 나사(146)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흡착면(α)이 앞유리창에 부착되는 각도는 길이조절빔(144b)과 체결빔(142b)에 체결된 나사(146)를 풀어준 뒤, 흡착대(144)를 회동시켜 조절할 수도 있고, 하우징(120)과 결합된 회동구(142a)의 결합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앞유리창에 부착되는 흡착면(α')의 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고정부(14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연결대(142')는 상기 하우징(120)과의 결합된 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하우징(120)에 설치된 회동구(142'a)와, 상기 회동구(142'a)로부터 돌출형성된 바 형상의 체결빔(142b')을 포함하고,
상기 흡착대(144')의 상기 흡착판(144'a)은, 앞 유리창과 접촉하는 흡착면(α')이 구비되고, 상기 흡착면(α')의 반대쪽 면에 돌출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체결홀(h2')이 길게 천공된 한 쌍의 길이조절빔(144'b)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140')는 상기 체결빔(142'b) 말단과 상기 길이조절빔(144'b)의 체결홀(h2)이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길이조절빔(144'b) 사이에 상기 체결빔(142'b)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빔(142'b)은 바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한 쌍의 길이조절빔(144'b)의 이격된 공간 사이에 체결빔(142'b)을 삽입한다. 이때 나사(146') 등과 같이 길이조절빔(144'b)의 체결홀(h2)과 체결빔(142'b)의 말단을 동시에 관통하는 체결도구를 구비함으로써, 체결빔(142'b)의 말단 위치가 길이조절빔(144'b)의 체결홀(h2')을 따라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빔(142'b)의 말단이 길이조절빔(144'b)의 체결홀(h2')을 따라 이동하면서 하우징(120)과 흡착대(144')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흡착면(α')이 앞유리창에 부착되는 각도는 길이조절빔(144'b)과 체결빔(142'b)에 체결된 나사(146')를 풀어준 뒤, 흡착대(144')를 회동시켜 조절할 수도 있고, 하우징(120)과 결합된 회동구(142'a)의 결합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고정부(140")를 별도의 길이조절 없이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흡착면(α")이 앞유리창에 부착되는 각도를 결정할 경우에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연결대(142")와 흡착대(144")를 각각 하우징(120)과 하우징 연결대(142")의 말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즉, 하우징(120)에 결합된 하우징 연결대(142")를 회동시키거나 하우징 연결대(142")에 결합된 흡착대(144")를 회동시킴으로써, 앞유리창에 부착되는 흡착면(α")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여러 가지 형상으로 고정부(140, 140' ,140")의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전원 장치가 구비된 거치대가 대시보드의 상부면 중 어느 위치에 부착되어 있는지에 따라 흡착판(144a, 144'a, 144"a)의 위치를 조절하여 자동차의 앞유리창에 흡착면(α, α', α")을 부착할 수 있다. 여기에 적용되는 흡착판(144a, 144'a, 144"a)은 진공흡착방식인 것을 사용하지만,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의 것을 사용하여 흡착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또는 변경은 모두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10: 안착부 112: 거치판
114: 고정후크 116: 삽입홈
118: 자성체 120: 하우징
130: 전원부 132: 공급소켓
134: USB 단자 136: 시거잭 단자
140: 고정부 142: 하우징 연결대
142a: 회동구 142b: 체결빔
144: 흡착대 144a: 흡착판
144b: 길이조절빔 C: 컨버터
F: 퓨즈 h1, h2: 체결홀

Claims (7)

  1. 자동차의 전기공급장치에서 공급된 전기에너지에 의해 구동되는 자동차용 액세서리가 장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가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자동차용 액세서리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공급기 및 차량의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전달하는 메인전선을 포함하는 전원부;
    상기 하우징이 장착 위치가 고정되도록 차량의 앞 유리창에 부착되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자동차용 액세서리가 안착되는 거치판과 상기 자동차용 액세서리를 상부에서 눌러주는 고정후크가 구비되되,
    상기 거치판의 후면에는 상기 고정후크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는 상기 고정후크와 인력이 작용하는 자성체가 내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가 구비된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의 상기 전원공급기는, 공급 소켓, USB 단자 및 시거잭 단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가 구비된 거치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기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가 구비된 거치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있는 하우징 연결대와, 상기 하우징 연결대에 결합되며 자동차 앞유리에 탈부착되는 흡착판이 구비된 흡착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가 구비된 거치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연결대는 상기 하우징과 결합된 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회동구와, 상기 회동구로부터 돌출형성된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체결홀이 길게 천공된 한 쌍의 체결빔을 포함하고,
    상기 흡착대의 상기 흡착판은, 앞 유리창과 접촉하는 흡착면이 구비되고, 상기 흡착면의 반대쪽 면에 돌출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체결홀이 길게 천공된 길이조절빔을 포함하되,
    상기 길이조절빔은, 상기 한 쌍의 체결빔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가 구비된 거치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연결대는 상기 하우징과의 결합된 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회동구와, 상기 회동구로부터 돌출형성된 바 형상의 체결빔을 포함하고,
    상기 흡착대의 상기 흡착판은, 앞 유리창과 접촉하는 흡착면이 구비되고, 상기 흡착면의 반대쪽 면에 돌출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체결홀이 길게 천공된 한 쌍의 길이조절빔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상기 체결빔 말단과 상기 길이조절빔의 체결홀이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길이조절빔 사이에 상기 체결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가 구비된 거치대.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연결대는 상기 하우징과의 결합된 각도가 조절되고,
    상기 흡착대는 상기 하우징 연결대의 말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가 구비된 거치대.
KR1020110031264A 2011-04-05 2011-04-05 전원장치가 구비된 거치대 KR101389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264A KR101389705B1 (ko) 2011-04-05 2011-04-05 전원장치가 구비된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264A KR101389705B1 (ko) 2011-04-05 2011-04-05 전원장치가 구비된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517A true KR20120113517A (ko) 2012-10-15
KR101389705B1 KR101389705B1 (ko) 2014-04-29

Family

ID=47283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1264A KR101389705B1 (ko) 2011-04-05 2011-04-05 전원장치가 구비된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97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665B1 (ko) * 2020-02-27 2021-07-26 이호섭 휴대용 단말기용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2971A (ko) * 2004-10-26 2006-08-23 리히터 하랄트 소형 컴퓨터, 핸드폰 및 유사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다목적중간 지지부재를 가지는 모듈형 기기홀더
KR200393474Y1 (ko) * 2005-04-29 2005-08-22 정제영 이동 단말기용 거치대
KR200441168Y1 (ko) * 2007-08-03 2008-07-30 팅크웨어(주) 디스플레이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665B1 (ko) * 2020-02-27 2021-07-26 이호섭 휴대용 단말기용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9705B1 (ko) 201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6125B2 (en) Camera device
US7515709B2 (en) Modular apparatus holder with multipurpose intermediate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minicomputers, cell phones and similar apparatus
JP3003456U (ja) 自動車用電波受信器
US9296325B2 (en) Vehicle USB port
KR200477762Y1 (ko) 스마트폰 충전겸용 거치대
JP2015217937A (ja) 車両用スマートフォン据置台
KR200494536Y1 (ko) 이륜차량용 휴대폰 무선충전 거치대
FR2924390B1 (fr) Raccordement electrique d'un element d'amenagement interieur d'un vehicule automobile
KR101389705B1 (ko) 전원장치가 구비된 거치대
US20080318517A1 (en) Universal electronic device with hands-free module and/or with gps navigation system and bluetooth module, especially for automobile vehicles
CN101474973B (zh) 车载设备连接结构
EP2915704A1 (en) Airbag module with an electrical plug- or socket-type connector
CN201300779Y (zh) 一种带有阅读灯的内后视镜
KR20150146164A (ko) 무접점 충전기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KR200353977Y1 (ko) 차량용 통신 단말기 거치대
US11027670B1 (en) Seat-mounted wireless rechargeable tool holder
ITMI20000069A1 (it) Corredo viva voce universale per cellulare
JP2013085345A (ja) コネクタホルダ及び充電スタンド
KR101479465B1 (ko) 교체용 도어 미러 어셈블리
JP2006123901A (ja) ミニコンピュータ、携帯電話及び同様な装置を支持するための多目的中間支持部材を有するモジューラ型装置ホルダー
JPH11214099A (ja) 携帯電話端末ホルダ付きプラグ
JP2022106632A (ja) 車載音響装置
GB2443669A (en) Mobile phone vehicle mounting kit
CN215267734U (zh) 对讲机车载充电器及具有其的车辆
CN212627321U (zh) 车载手机放置槽及具有其的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