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3393A - 자립식 낙하방지유닛 - Google Patents
자립식 낙하방지유닛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13393A KR20120113393A KR1020110031085A KR20110031085A KR20120113393A KR 20120113393 A KR20120113393 A KR 20120113393A KR 1020110031085 A KR1020110031085 A KR 1020110031085A KR 20110031085 A KR20110031085 A KR 20110031085A KR 20120113393 A KR20120113393 A KR 2012011339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ece
- unit
- self
- connection
- coupl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6—Consoles; 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 중인 건축물의 철골빔 등에 간편하게 장착하여 안전망 등과 같은 부가 가시설물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고정유닛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I빔의 상부 일측 외향된 엣지(edge)부에 결합되는 결합유닛과, 상기 결합유닛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지지강봉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유닛 및 상기 I빔의 길이방향에 수직방향으로 가로질러 상기 결합유닛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립식 낙하방지유닛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시공 중인 건축물의 기초 프레임을 이루는 철골빔 등에 설치되는 안전용 가시설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신축 및 개수 또는 보수 시 건축구조물 상의 철골빔 등과 같은 가설부재에 부착되는 자립식 낙하방지유닛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신축 시나 개수 및 보수 시에는 주변에 가설 고정유닛(안전브라켓 등)을 설치한 후, 가설 고정유닛을 이용 발판 등을 설치하거나 안전망 등을 설치하여 작업 공간의 안전을 도모하고 이동통로 및 작업 공간 등도 확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가설 고정유닛은 건축 기초물인 철골빔 등이나 별도로 마련되는 난간지주에 로프를 수평으로 묶어 주거나, 용접 등을 통하여 결합되도록 하여 작업자의 추락 위험을 막아주거나 안전한 작업장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준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가설 고정유닛은 철골빔 등에 별도의 용접 작업이나 복잡한 결합과정을 거쳐 결합하게 되므로 그 설치작업에 많은 시간과 수고를 요하였으며, 또한 이와 같이 설치된 가설 고정유닛을 다시 분리하는 데에도 상당한 노력을 요하였다.
특히, 다양한 크기를 지니는 철골빔 등에 안전을 위한 가설 고정유닛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크기에 맞는 철골빔에 적용 시마다 고정유닛의 형상을 변경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보다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면서도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이룸과 동시에 해체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다양한 크기의 철골빔에 호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고정유닛의 개발이 시급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기초 건물 프레임으로 사용되는 철골빔 등에 보다 쉽게 설치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한 자립식 낙하방지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설치가 완료된 후에 철골빔 등에 안정적인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자립식 낙하방지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이동 및 보관이 간편한 자립식 낙하방지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I빔과 같은 철골빔에 호환적으로 적용 가능한 자립식 낙하방지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I빔의 상부 일측 외향된 엣지(edge)부에 결합되는 결합유닛과, 상기 결합유닛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지지강봉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유닛 및 상기 I빔의 길이방향에 수직방향으로 가로질러 상기 결합유닛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립식 낙하방지유닛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유닛은 일측이 개구된 "ㄷ"자 형태로 이루어져 내측으로 상기 I빔의 일측 엣지부가 안착되도록 하는 결합브라켓과, 상기 결합브라켓의 상측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가압공 및 상기 가압공에 회전방식에 의하여 결합되어 상기 안착된 I빔을 가압하도록 하는 가압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브라켓에 있어 상기 가압공이 위치된 부위로 상기 가압볼트가 회전방식에 의하여 이동하도록 하는 가이드너트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결합브라켓의 개구된 부위 타측인 폐쇄부 외측으로 소정 이격 간격을 지니며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편과, 상기 한 쌍의 지지편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지지편에 수직방향으로 연결공이 구비된 고정편과, 상기 한 쌍의 지지편 사이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연결편이 구비되며, 상기 제1연결편의 상부로 상기 몸체부에 소정 이격된 간격으로 설치되며 각각 대응되는 위치로 제2연결공이 구비된 한 쌍의 제2연결편이 구비됨과 동시에 내부에 상기 지지강봉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및 고정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몸체부 및 상기 고정편과 상기 몸체부 사이를 가변 가능하게 연결하는 가변편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변편은 일측부는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는 가변로드가 형성되며, 타측부는 상기 제2연결편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제2연결공을 연결하는 제2연결볼트가 관통하는 회전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연결편 사이로 상기 몸체부는 장슬릿이 구비되며, 상기 제2연결편의 제2연결공을 관통하는 제2연결볼트 및 제2연결너트에 의하여 상기 제2연결편이 상기 강봉연결부 내측에 설치되는 강봉을 가압하여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지지대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브라켓의 개구부에 대면되는 형상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는 안착브라켓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브라켓에는 상기 수평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압볼트가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결합공 및 가이드너트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자립식 낙하방지유닛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결합브라켓 부분과 수평지지대 및 지지강봉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게 구성되어, 구성들의 부피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상황에 따라서 분리 및 이동이 편리하게 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철골빔의 양측으로 결합되는 브라켓을 이용 시공용 안전장치가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식으로 지지강봉이 결합됨과 동시에 지지강봉의 길이방향에 따른 이동이 가능하여 다양한 크기의 I빔에도 각각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식 낙하방지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강봉연결부의 전면도;
도 3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가변편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고정편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립식 낙하방지유닛의 결합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식 낙하방지유닛의 측면도;
도 7은 I빔에 설치된 본 발명 자립식 낙하방지유닛을 나타낸 측면도;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식 낙하방지유닛에 지지유닛을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강봉연결부의 전면도;
도 3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가변편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고정편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립식 낙하방지유닛의 결합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식 낙하방지유닛의 측면도;
도 7은 I빔에 설치된 본 발명 자립식 낙하방지유닛을 나타낸 측면도;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식 낙하방지유닛에 지지유닛을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이하 설명에서는 구성 및 기능이 거의 동일하여 동일하게 취급될 수 있는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특정될 수 있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식 낙하방지유닛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강봉연결부의 전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가변편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고정편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립식 낙하방지유닛(1)은 결합유닛, 회전유닛, 지지강봉(250) 및 수평지지대(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유닛은 건축물 등의 기초를 이루는 철골빔(이하, "I빔"으로 통일하여 호칭 함)의 상부 일측 외향된 엣지(edge)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결합유닛은 일측이 개구된 "ㄷ"자 형태로 이루어져 내측으로 상기 I빔의 상부 일측 엣지부가 내부에 안착되도록 하는 결합브라켓(151)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결합브라켓(151)의 상측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가압공(152) 및 상기 가압공(152)에 회전방식에 의하여 결합되어 상기 안착된 I빔을 가압하도록 하는 가압볼트(15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브라켓(151)에 있어 상기 가압공(152)이 위치된 부위로 상기 가압볼트(157)가 회전방식에 의하여 이동하도록 하는 가이드너트(154)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너트(154)는 상기 가압공(152) 위치로 용접결합되도록 하여 별도의 가압볼트(157)를 위한 탭 형성 작업이 필요없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결합유닛의 외측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유닛은 지지편(210), 고정편(220), 강봉연결부(230) 및 가변편(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지지편(210)은 상기 결합브라켓(151)의 개구된 부위의 반대측인 폐쇄부 외측으로 소정 이격 간격을 지니며 한 쌍이 결합된 형태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지지편(210)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로 지지공(215)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고정편(220)은 상기 한 쌍의 지지편(210)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지지편(210)에 수직방향으로 연결공(225)이 구비된 형상을 이룬다(도 4 참조).
이때, 상기 지지편(210)의 상측으로 상기 고정편(220)은 용접결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편(220)은 양측으로 보강부(221)가 구비되고, 상기 보강부(221) 내측으로 상기 연결공(225)이 형성된 지지부(222)가 구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봉연결부(230)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부(231)와, 상기 몸체부(231)의 일측으로 상기 한 쌍의 지지편(210) 사이로 상기 지지공(215)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제1연결공(235)이 구비된 제1연결편(232)이 구비되며, 상기 제1연결편(232)의 상부로 상기 몸체부(231)에 소정 이격된 간격으로 설치되며 각각 대응되는 위치로 제2연결공(238)이 구비된 한 쌍의 제2연결편(237)이 구비됨과 동시에 내부에 상기 지지강봉(250)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및 고정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연결편(237) 사이로 상기 강봉연결부(230)의 몸체부(231)에는 장슬릿(233: 도 3 참조)이 구비되며, 상기 제2연결편(237)의 제2연결공(238)을 관통하는 제2연결볼트(257) 및 제2연결너트(258)에 의하여 상기 제2연결편(237)이 상기 강봉연결부(230) 내측에 설치되는 지지강봉(250)을 가압하여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장슬릿(233)의 길이는 상기 한 쌍의 제2연결편(238)의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일정 폭 가변이 가능할 정도의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변편(240)은 상기 고정편(220)과 상기 강봉연결부(230) 사이를 가변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가변편(240)의 일측부는 상기 관통공(225)을 관통하며 외부 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가변로드(241)가 형성되며, 타측부는 상기 제2연결편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제2연결편(237)의 제2연결공(238)을 연결하는 제2연결볼트(257)가 관통하는 회전공(243)이 구비된 회전부(242)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수평지지대(110)는 I빔의 길이방향에 수직방향으로 가로질러 상기 결합유닛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평지지대(110)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브라켓(251)의 개구부에 대면되는 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ㄴ"자 형상의 안착브라켓(149)이 구비되며, 상기 수평지지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압볼트(157)가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결합공(147) 및 가이드너트(154)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자립식 낙하방지유닛의 결합과정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립식 낙하방지유닛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식 낙하방지유닛의 측면도이며, 도 7은 I빔에 설치된 본 발명 자립식 낙하방지유닛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먼저, 상기 강봉연결부(230)의 제1연결편(232)을 상기 결합브라켓(251)에 고정된 한 쌍의 지지편(210) 사이에 위치시킨 후, 상기 지지편(210)의 지지공(215)과 상기 제1연결공(235)을 모두 관통하도록 제1연결볼트(217)를 관통시킨다. 그리고, 관통된 상기 제1연결볼트(217)에는 제1연결너트(218)를 체결하여 상기 제1연결편(232)과 지지편(210)이 상기 제1연결볼트(217)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를 이루도록 한다.
다음으로는 상기 가변편(240)의 가변로드(241)를 상기 고정편(220)의 연결공(225)을 관통시킨 상태로 배치시킨다. 이때, 상기 고정편(220)의 연결공(225) 사이 양측으로 상기 가변로드(241)에는 가변너트(277)가 회전방식에 의하여 가변로드(241)를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체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변편(240)의 회전부(242)의 회전공(243) 및 상기 제2연결편(237)의 제2연결공(238)을 모두 관통하도록 제2연결볼트(257) 및 제2연결너트(258)를 체결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연결공(225)으로부터의 상기 가변로드(241)의 길이 가변에 따라서 상기 강봉연결부(230)가 상기 제1연결볼트(217)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회전이 가능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 자립식 낙하방지유닛에 있어서 상기 수평브라켓(210)의 안착브라켓(149) 내측으로 I빔의 엣지부가 내설되도록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수평브라켓(210)이 타측에 위치된 제3연결공(115)이 상기 결합브라켓(251)의 가압공(152)에 대응되도록 위치시킨 후, 가압너트(157)를 이용하여 상기 가이드너트(154)과 제3연결공(115)을 동시에 관통하여 I빔을 관통하는 형태를 이루도록 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3연결공(115)에는 미리 나사탭 및 별도의 가이드너트(154)가 결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는 상기 지지강봉(250)을 강봉연결부(230)의 몸체부(231)에 삽입시킨 후, 상기 제1연결볼트(217)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상기 지지강봉(250)의 하단부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I빔의 하부 플랜지 내측 모서리에 위치되도록 회전시킴과 동시에 몸체부(231) 내측에서의 삽입 정도를 설정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제2연결볼트(257)와 제2연결너트(258)를 이용하여 상기 제2연결편(237)이 서로 대면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하여 체결시킨다.
이렇게 되면, 상기 지지강봉(250)이 상기 강봉연결부(230)에 완전히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가변너트(277)를 상기 고정편(220) 양측에 고정되도록 한다.
설치가 완료된 본 발명 자립식 낙하방지유닛의 모습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설치가 완료된 자립식 낙하방지유닛은 철골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어 인접된 낙하방지유닛 사이를 별도의 안전케이블 등이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공사 중인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뿐 아니라, 시설물 낙하를 방지하여 공사중인 건축물의 아래를 지나가는 사람들의 안전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식 낙하방지유닛에 지지유닛을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립식 낙하방지유닛을 좌우측에서 지지하는 지지유닛은 I빔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브라켓(310), 지지프레임(320), 연결후크부(330) 및 슬라이딩체결부(34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브라켓(310)의 일측으로는 체결공(313)이 구비된 보조체결편(315)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체결부(341)의 양측으로는 체결공(333)이 구비된 연결체결편(342)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연결후크부(330)는 상기 지지프레임(320) 내측에 체결되도록 하는 스크류부(332)와 후크부(331)로 구성된 아이볼트 형상을 이루며, 상기 지지프레임(320)은 양측으로 상기 스크류부(332)가 회전 방식에 의하여 체결되도록 하는 탭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지지유닛은 먼저 상기 고정브라켓(310)을 상기 결합브라켓(151)의 양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로 I빔에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고정브라켓(310)은 결합브라켓(151)과 마찬가지로 가압볼트(157) 및 가이드너트(154)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320) 양측으로 일정 깊이로 스크류부(332)를 체결시킨 후, 상기 후크부(331)를 상기 보조체결편(315) 및 연결체결편(342)에 걸어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지지유닛을 이용 본 발명 자립식 낙하방지유닛을 양측으로 고정시키게 되면 좌우 양측으로 큰 힘이 걸리게 되는 경우에도 자립식 낙하방지유닛의 설치구조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 8의 지지유닛은 하나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다양한 변형된 형태의 지지유닛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자립식 낙하방지유닛에 의하면 I빔과 같은 철골빔에 설치가 착탈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수평지지대의 양측이 철골빔에 고정되도록 하여 안정적인 설치 구조를 이루게 됨은 물론 착탈이 가능하여 재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식으로 지지강봉이 결합됨과 동시에 지지강봉의 길이방향에 따른 이동이 가능하여 다양한 크기의 I빔에도 각각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10: 수평지지대 115: 제3연결공
147: 가압공 149: 안착브라켓
151: 결합브라켓 154: 가이드너트
157: 가압볼트 210: 지지편
215: 지지공 217: 제1연결볼트
230: 강봉연결부 231: 몸체부
232: 제1연결편 237: 제2연결편
238: 제2연결공 240: 가변편
241: 가변로드 242: 회전부
243: 회전공 250: 지지강봉
147: 가압공 149: 안착브라켓
151: 결합브라켓 154: 가이드너트
157: 가압볼트 210: 지지편
215: 지지공 217: 제1연결볼트
230: 강봉연결부 231: 몸체부
232: 제1연결편 237: 제2연결편
238: 제2연결공 240: 가변편
241: 가변로드 242: 회전부
243: 회전공 250: 지지강봉
Claims (8)
- I빔의 상부 일측 외향된 엣지(edge)부에 결합되는 결합유닛;
상기 결합유닛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지지강봉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유닛; 및
상기 I빔의 길이방향에 수직방향으로 가로질러 상기 결합유닛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지지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립식 낙하방지유닛.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유닛은,
일측이 개구된 "ㄷ"자 형태로 이루어져 내측으로 상기 I빔의 일측 엣지부가 안착되도록 하는 결합브라켓;
상기 결합브라켓의 상측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가압공; 및
상기 가압공에 회전방식에 의하여 결합되어 상기 안착된 I빔을 가압하도록 하는 가압볼트;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식 낙하방지유닛.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브라켓에 있어 상기 가압공이 위치된 부위로 상기 가압볼트가 회전방식에 의하여 이동하도록 하는 가이드너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식 낙하방지유닛.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결합브라켓의 개구된 부위 타측인 폐쇄부 외측으로 소정 이격 간격을 지니며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편;
상기 한 쌍의 지지편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지지편에 수직방향으로 연결공이 구비된 고정편;
상기 한 쌍의 지지편 사이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연결편이 구비되며, 상기 제1연결편의 상부로 상기 몸체부에 소정 이격된 간격으로 설치되며 각각 대응되는 위치로 제2연결공이 구비된 한 쌍의 제2연결편이 구비됨과 동시에 내부에 상기 지지강봉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및 고정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몸체부; 및
상기 고정편과 상기 몸체부 사이를 가변 가능하게 연결하는 가변편;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식 낙하방지유닛.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편은,
일측부는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는 가변로드가 형성되며, 타측부는 상기 제2연결편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제2연결공을 연결하는 제2연결볼트가 관통하는 회전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자립식 낙하방지유닛.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편 사이로 상기 몸체부는 장슬릿이 구비되며,
상기 제2연결편의 제2연결공을 관통하는 제2연결볼트 및 제2연결너트에 의하여 상기 제2연결편이 상기 몸체부 내측에 설치되는 강봉을 가압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식 낙하방지유닛.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대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브라켓의 개구부에 대면되는 형상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는 안착브라켓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식 낙하방지유닛.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브라켓에는 상기 수평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압볼트가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결합공 및 가이드너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식 낙하방지유닛.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1085A KR101346725B1 (ko) | 2011-04-05 | 2011-04-05 | 자립식 낙하방지유닛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1085A KR101346725B1 (ko) | 2011-04-05 | 2011-04-05 | 자립식 낙하방지유닛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13393A true KR20120113393A (ko) | 2012-10-15 |
KR101346725B1 KR101346725B1 (ko) | 2014-01-03 |
Family
ID=47282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31085A KR101346725B1 (ko) | 2011-04-05 | 2011-04-05 | 자립식 낙하방지유닛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4672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016753A (zh) * | 2021-11-08 | 2022-02-08 | 上海建工一建集团有限公司 | 悬挑式卸料钢平台的安全通道及其使用方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08460B1 (ko) * | 2016-11-28 | 2017-12-14 | 주식회사 국제기계금속 | 데크로드의 조립식 난간 구조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35549Y1 (ko) * | 2001-03-30 | 2001-10-10 | (주)하우드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 철골 구조물의 임시 난간 장치 |
JP3311742B1 (ja) | 2001-10-30 | 2002-08-05 | 株式会社協和ロープ | 傾斜調整可能な親綱支柱 |
-
2011
- 2011-04-05 KR KR1020110031085A patent/KR101346725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016753A (zh) * | 2021-11-08 | 2022-02-08 | 上海建工一建集团有限公司 | 悬挑式卸料钢平台的安全通道及其使用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46725B1 (ko) | 2014-01-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528285B2 (en) | Safety barrier netting system with rigid panel net supports and stopper mechanisms | |
JP2010185185A (ja) | 仮設手摺およびその施工方法 | |
KR20130042117A (ko) | 낙하방지용 안전망장치 | |
KR101346725B1 (ko) | 자립식 낙하방지유닛 | |
JP2008035953A (ja) | 安全ロープ張設用支持金具 | |
JP2016065409A (ja) | 2部材の連結構造、およびそれを備える仕切装置 | |
JP2016006271A (ja) | 建築用受具 | |
JP3180696U (ja) | 手摺取付金具 | |
KR101879679B1 (ko) | 수직형 추락 방망 설치구 | |
JP6170229B1 (ja) | 親綱張設具 | |
KR101552951B1 (ko) | 건축용 수직 안전망 | |
EP1972739A2 (en) | Extendable safety guardrail | |
KR20150004455U (ko) | 안전 난간대 | |
KR20080001844U (ko) | 엘리베이터 홀의 보호망 설치구 | |
AT515215B1 (de) | Montagerahmen, insbesondere für im Raum freihängende Schallschutzpaneele | |
DE102012010076A1 (de) | Anschlagsystem zum Halten und Sichern mindestens einer Person | |
JP2015010375A (ja) | フェンス | |
KR101251051B1 (ko) | 철골 빔 설치용 안전난간대 | |
KR20150003850U (ko) | 생명줄 고정장치 | |
KR20120044047A (ko) | 수직지지대를 가지는 착탈식 고정유닛 | |
KR20050049460A (ko) | 추락방지망 설치구조 | |
JP3182950U (ja) | 墜落防止用安全ネットの取付け治具 | |
KR200172587Y1 (ko) | 건축용 안전망의 지지구조체 | |
KR101965114B1 (ko) | 이중바닥구조물의 안전결속장치 | |
JPH0711236Y2 (ja) | 足場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