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1844U - 엘리베이터 홀의 보호망 설치구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홀의 보호망 설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1844U
KR20080001844U KR2020060031484U KR20060031484U KR20080001844U KR 20080001844 U KR20080001844 U KR 20080001844U KR 2020060031484 U KR2020060031484 U KR 2020060031484U KR 20060031484 U KR20060031484 U KR 20060031484U KR 20080001844 U KR20080001844 U KR 200800018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frame
elevator hall
variabl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14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경모
Original Assignee
유경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경모 filed Critical 유경모
Priority to KR20200600314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1844U/ko
Publication of KR200800018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84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홀의 보호망 설치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홀의 내부에 가설되어지는 보호망 설치구에 있어서, 상기 설치구는 절첩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가변 프레임이 삽입되어 고정볼트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절첩 프레임과 가변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보호망이 펼쳐지도록 결합되어지되, 상기 절첩 프레임은 중공형태를 갖는 고정로드 하부의 단부측에 경사지도록 절단된 형태를 갖는 힌지편이 결합되어지며 상기 고정로드의 상부에 나사홈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볼트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힌지편에 다른 고정로드에 형성된 힌지편이 겹쳐지도록 맞대어 와셔가 끼워진 힌지볼트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가변 프레임에 고정구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홀의 내부에서 보호망이 최대한 넓게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홀을 통하여 작업자가 추락되어지거나 도구 등이 낙하되어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보호망의 설치 및 해체 그리고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홀, 보호망, 절첩 프레임, 가변 프레임, 고정로드, 고정구

Description

엘리베이터 홀의 보호망 설치구{The guard net arranging apparatus of the elevator hall}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보호망 설치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호망 설치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호망 설치구가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보호망 설치구의 고정로드가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보호망 설치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설치구 110:절첩 프레임
111,111':고정로드 112,112':힌지편
113:나사홈 120:가변 프레임
130:고정볼트 140:와셔
150:힌지볼트 160:고정구
170:보호망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홀의 보호망 설치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엘리베이터 홀의 입구측에서 엘리베이터 홀의 내부로 고정로드 및 고정로드에 결합된 가변로드에 의하여 넓이가 다른 엘리베이터 홀의 내부에서 보호망이 최대한 넓게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건축 구조물의 엘리베이터 홀을 통하여 작업자가 추락되어지거나 도구 등이 낙하되어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축 공사중인 건축 구조물의 엘리베이터 홀에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측을 통해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엘리베이터 홀의 출입구측에 별도의 난간 등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난간 등은 출입구측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홀로 추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반면 기타의 작업 도구가 낙하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등록실용신안 제20-0398912 (2005.10.10)호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보호망 어셈블리가 제안되었고, 제안된 보호망 어셈블리는 힌지로 고정된 프레임에 의하여 그물망이 펼쳐진 상태로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경사지게 설치되어지고, 상기 프레임에 결합된 고정구가 승강로의 출입구 측벽에 설치된 고정구에 의하여 결합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자 및 작업 도구 등이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통해 추락하거나 낙하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그물망의 가장자리를 잡아 당겨 펼쳐지도록 하는 프레임이 힌지에 고정된 상태로 있음에 따라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넓이 즉, 폭과 길이가 다른 승강로 에는 승강로 보호망을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현장에서 분해 조립이 불가능함에 따라 승강로 보호망의 설치 및 해체가 어려우며 이를 운반 및 보관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 홀의 입구측에서 엘리베이터 홀의 내부로 고정로드 및 고정로드에 결합된 가변로드에 의하여 넓이가 다른 엘리베이터 홀의 내부에서 보호망이 최대한 넓게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신축공사중인 건축 구조물의 엘리베이터 홀을 통하여 작업자가 추락되어지거나 도구 등이 낙하되어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보호망의 설치 및 해체 그리고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홀의 보호망 설치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홀의 내부에 가설되어지는 보호망 설치구에 있어서, 상기 설치구(100)는 절첩 프레임(110)의 양측에 각각 가변 프레임(120)이 삽입되어 고정볼트(130)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절첩 프레임(110)과 가변 프레임(120) 사이의 공간에 보호망(170)이 펼쳐지도록 결합되어지되, 상기 절첩 프레임(110)은 중공형태를 갖는 고정로드(111) 하부의 단부측에 경사지도록 절단된 형태를 갖는 힌지편(112)이 결합되어지며 상기 고정로드(111)의 상부에 나사홈(113)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볼트(130)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힌지편(112)에 다른 고정로드(111')에 형성된 힌지편(112')이 겹쳐지도록 맞대어 와 셔(140)가 끼워진 힌지볼트(150)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가변 프레임(120)에 고정구(160)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변 프레임(120)은 중공형태의 절곡된 가변로드(121)(122)가 절단되어 서로 끼워져 고정나사(130)로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지되, 상기 가변로드(121)가 끼워진 일측이 절첩 프레임(110)의 고정로드(111) 외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볼트(130)로 고정되어지며 타측이 다른 절첩 프레임(110')의 고정로드(111")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볼트(130)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160)는 디귿형태를 갖는 고정프레임(161)에 핸들(162)이 끼워진 나사축(163)이 결합되어지되, 상기 나사축(163)에 가압편(164)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나사축(163)과 대향되는 고정 프레임(161) 모서리를 연장시켜 클램프(165)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홀의 안전망 설치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홀의 보호망 설치구(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홀(200)의 넓이 즉, 폭과 길이에 따라 자유롭게 길이조절이 용이하도록 하여 보호망(170)이 가장 넓게 펼쳐질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설치구(100)는 절첩 프레임(110)의 양측에 각각 가변 프레임(120)이 삽입되어지며 절첩 프레임(110)에 삽입된 가변 프레임(120)은 고정볼트(130)에 의하여 임의 위치(길이)에서 고정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절첩 프레임(110)은 파이프와 동일한 중공형태를 갖는 고정로드(111)의 상부에 나사홈(113)을 형성하여 고정볼트(130)가 결합되어지며 상기 고정로드(111)의 하부 단부측에 경사지도록 절단된 형태를 갖는 힌지편(112)이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편(112)에 다른 고정로드(111')에 형성된 힌지편(112')이 겹쳐지도록 맞대어 와셔(140)가 끼워진 힌지볼트(150)로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가변 프레임(120)에는 고정구(160)가 결합되어 엘리베이터 홀(200)의 출입구(220) 양측으로 시공된 출입구 측벽(210)에 고정되어지도록 구성되어지며 상기 절첩 프레임(110)과 가변 프레임(120) 사이의 공간에는 보호망(170)이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변 프레임(120)은 절곡된 중공형태를 갖는 가변로드(121)(122)가 서로 절단되어 끼워지며 서로 끼워진 가변로드(121)(122)는 고정볼트(130)에 의하여 임의 길이로 맞춘 후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변로드(121)가 끼워진 일측은 절첩 프레임(110)의 고정로드(111) 외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볼트(130)로 고정되어지며 가변로드(122)가 끼워진 타측은 다른 절첩 프레임(110')의 고정로드(111") 내측으로 삽입되어 또 다른 고정볼트(130)로 고정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구(160)는 고정로드(111)(111')에 고정볼트(130)로 고정된 가변 프레임(120)을 출입구(200)의 측벽(210)에 직접 고정되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디귿형 태를 갖는 고정프레임(161)에 핸들(162)이 끼워진 나사축(163)이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나사축(163)에 가압편(164)이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축(163)과 대향되는 고정 프레임(161)에는 그 모서리를 소정 길이로 연장시켜 클램프(165)가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엘리베이터 홀의 보호망 설치구를 건축 구조물의 엘리베이터 홀에 설치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엘리베이터 홀(200)의 길이보다 더 길어지도록 가변로드(121)(122)의 길이를 맞추어 고정볼트(130)로 고정되어지도록 한 후 엘리베이터 홀(200)의 폭과 거의 같아지도록 가변 프레임(120)의 가변로드(121)(122)가 절첩프레임(110)의 고정로드(111)(111')(111")에 끼워지도록 한 후 각각의 결합부위에 고정볼트(130)를 이용하여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다음, 절첩 프레임(110)과 가변 프레임(120) 사이에 보호망(170)의 가장자리가 걸려지도록 한다. 이때 보호망(170)은 철사나 케이블 타이 또는 별도의 걸고리 등을 이용하여 걸려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출입부(220)의 측벽(210)에 디듣형태를 갖는 고정 프레임(161)이 끼워지도록 한 후 핸들(162)을 회전시킴에 따라 나사축(163)이 회전하면서 나사축(163)에 결합된 가압편(164)이 측벽(210)을 가압시킴에 따라 고정구(160)가 측벽(210)에 고정되어지게 된다.
다음, 접혀진 상태로 있는 절첩 프레임(110)과 가변 프레임(120)을 들어 출입부(220)의 측벽(210) 사이를 통해 엘리베이터 홀(200)로 이동시켜 가변로드(121) 가 고정 프레임(161)의 클램프(165)에 걸려지도록 한 후 힌지편(112)과 힌지볼트(150)에 의하여 접혀진 상태로 있는 다른 고정로드(111')를 펼쳐 타측에 있는 다른 클램프(165)에 고정되어지도록 한다.
다음, 클램프(165)에 의하여 결합되어진 타측이 엘리베이터 홀(200)의 출입구(220) 반대측에 시공되어진 엘리베이터 홀(200) 내벽에 닿도록 서서히 놓음에 따라 보호망(170)이 경사지게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홀의 출입구를 통해 작업자 및 작업도구가 하부로 추락하거나 낙하되어지면서 발생되어지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홀의 입구측에서 엘리베이터 홀의 내부로 고정로드 및 고정로드에 결합된 가변로드에 의하여 넓이가 다른 엘리베이터 홀의 내부에서 보호망이 최대한 넓게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홀을 통하여 작업자가 추락되어지거나 도구 등이 낙하되어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보호망의 설치 및 해체 그리고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3)

  1. 엘리베이터 홀의 내부에 가설되어지는 보호망 설치구에 있어서,
    상기 설치구(100)는 절첩 프레임(110)의 양측에 각각 가변 프레임(120)이 삽입되어 고정볼트(130)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절첩 프레임(110)과 가변 프레임(120) 사이의 공간에 보호망(170)이 펼쳐지도록 결합되어지되, 상기 절첩 프레임(110)은 중공형태를 갖는 고정로드(111) 하부의 단부측에 경사지도록 절단된 형태를 갖는 힌지편(112)이 결합되어지며 상기 고정로드(111)의 상부에 나사홈(113)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볼트(130)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힌지편(112)에 다른 고정로드(111')에 형성된 힌지편(112')이 겹쳐지도록 맞대어 와셔(140)가 끼워진 힌지볼트(150)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가변 프레임(120)에 고정구(160)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홀의 보호망 설치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프레임(120)은 중공형태의 절곡된 가변로드(121)(122)가 절단되어 서로 끼워져 고정나사(130)로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지되, 상기 가변로드(121)가 끼워진 일측이 절첩 프레임(110)의 고정로드(111) 외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볼트(130)로 고정되어지며 타측이 다른 절첩 프레임(110')의 고정로드(111")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볼트(130)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홀의 보호망 설치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160)는 디귿형태를 갖는 고정프레임(161)에 핸들(162)이 끼워진 나사축(163)이 결합되어지되, 상기 나사축(163)에 가압편(164)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나사축(163)과 대향되는 고정 프레임(161) 모서리를 연장시켜 클램프(165)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홀의 안전망 설치구.
KR2020060031484U 2006-12-12 2006-12-12 엘리베이터 홀의 보호망 설치구 KR2008000184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484U KR20080001844U (ko) 2006-12-12 2006-12-12 엘리베이터 홀의 보호망 설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484U KR20080001844U (ko) 2006-12-12 2006-12-12 엘리베이터 홀의 보호망 설치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844U true KR20080001844U (ko) 2008-06-17

Family

ID=41325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1484U KR20080001844U (ko) 2006-12-12 2006-12-12 엘리베이터 홀의 보호망 설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1844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279Y1 (ko) * 2010-06-07 2011-02-16 유은상 엘리베이터 홀 추락방지장치
CN103526919A (zh) * 2013-10-21 2014-01-22 中山市奥美森工业有限公司 一种电梯井道封口平台装置
KR101944311B1 (ko) 2018-10-01 2019-01-31 유종길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추락 방지 시스템
KR101944307B1 (ko) 2018-10-01 2019-01-31 유종길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추락 방지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279Y1 (ko) * 2010-06-07 2011-02-16 유은상 엘리베이터 홀 추락방지장치
CN103526919A (zh) * 2013-10-21 2014-01-22 中山市奥美森工业有限公司 一种电梯井道封口平台装置
CN103526919B (zh) * 2013-10-21 2015-09-09 中山市电梯厂有限公司 一种电梯井道封口平台装置
KR101944311B1 (ko) 2018-10-01 2019-01-31 유종길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추락 방지 시스템
KR101944307B1 (ko) 2018-10-01 2019-01-31 유종길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추락 방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54393A1 (en) Modular safety railing system
KR101263002B1 (ko) 낙하방지용 안전망장치
KR20080001844U (ko) 엘리베이터 홀의 보호망 설치구
KR20110110494A (ko) 지지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낙하방지용 안전망 지지장치
KR101904832B1 (ko) 건축물 공사용 천막 가설공법
KR102024302B1 (ko) 외단열 시공구조
KR101205611B1 (ko) 전주용 안전 네트
KR101951634B1 (ko) 갱폼 건축현장용 작업효율 증진을 위한 슬라브 차광망 시공장치
KR20200126688A (ko) 층간 슬라브용 개구부 차폐틀
KR102127867B1 (ko) 갱폼 일체형 접이식 낙하물 방지장치
KR100885110B1 (ko)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
KR102362725B1 (ko) 창호 시공용 낙하방지망 조립체
KR100631322B1 (ko) 추락방지망 설치구조
KR20170000701U (ko) 건축용 수직형 안전방망
KR0124583Y1 (ko) 커튼형 개폐식 추락 및 낙하물 방지막
KR100607681B1 (ko) 추락방지망 설치구조
EP1972739A2 (en) Extendable safety guardrail
KR101295860B1 (ko) 안전 난간대 및 그 고정장치
KR101077983B1 (ko) 휘장망 설치구
KR101346725B1 (ko) 자립식 낙하방지유닛
KR20090002041U (ko) 낙하방지망 설치 브래킷
AU2009100947A4 (en) An edge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an edge protection system
KR200300595Y1 (ko) 안전발판장치
KR20060088083A (ko) 낙하물 방지망 구조
KR200495121Y1 (ko) 비계설치부와 건물면의 간격에 설치되는 안전쪽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