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4311B1 -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추락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추락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4311B1
KR101944311B1 KR1020180116842A KR20180116842A KR101944311B1 KR 101944311 B1 KR101944311 B1 KR 101944311B1 KR 1020180116842 A KR1020180116842 A KR 1020180116842A KR 20180116842 A KR20180116842 A KR 20180116842A KR 101944311 B1 KR101944311 B1 KR 101944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levator
hoistway
fall
fall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종길
Original Assignee
유종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종길 filed Critical 유종길
Priority to KR1020180116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43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8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ar or cage and w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추락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고층에서 사람이 추락하더라도 추락시 발생하는 충격을 줄여주어 부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감지하지 못한 비상상황에서도 작동하도록 하여 추락자를 보호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추락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가 이동하는 승강로의 공간에 설치되는 추락방지장치와, 엘리베이터의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상기 추락방지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추락방지장치는 승강로의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에 힌지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고정 브라켓과 프레임을 연결하는 링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추락 방지 시스템{a fall-prevention system for an elevator hoist way}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추락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고층에서 사람이 추락하더라도 추락시 발생하는 충격을 줄여주어 부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감지하지 못한 비상상황에서도 작동하도록 하여 추락자를 보호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추락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승객 또는 화물을 신속히 이송시켜 편리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운송 수단의 일종으로서, 승객 또는 화물(이하, 설명의 편의상 승객이라고 칭함)을 이동시키기 위한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포함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케이지는 건축물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승강로에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각 층의 탑승장에 있는 승객은 도어가 열리면 그 층에 도달된 엘리베이터 케이지에 탑승한 후, 원하는 층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승강로의 바닥에는 완충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각종 안전사고로 인하여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낙하하는 경우 충격이 흡수됨으로써,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파손되거나 승객이 부상당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런데, 엘리베이터의 오작동 등의 원인으로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정지되어야 할 탑승장에 도달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도어가 열려 승객이 승강로로 발을 내딛는 경우, 승객을 보호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승객이 완충장치에 부딪히거나 승강로의 바닥으로 떨어지는 경우를 대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4878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승객 또는 화물을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케이지(10)가 상하 이동되기 위한 엘리베이터 승강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15)의 바닥(14)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10)가 낙하할 때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장치(30)가 마련되고, 상기 완충장치(30)의 상부 영역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10)가 탑승장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에서 개방된 탑승구를 통해 승객이 추락할 때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망 유닛(50)이 설치되고, 상기 안전망 유닛(50)은 외곽을 형성하는 프레임(51)과, 상기 프레임(51)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어 승객이 추락할 때 상기 완충장치(30)에 닿지 않을 정도의 탄성을 가지는 그물망(52)과, 상기 프레임(51)의 둘레에 마련되어 승강로의 내벽에 설치된 걸림편(65)에 걸리는 후크(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4878호에 기재된 기술은 승객이 승강로에 추락하는 경우 승객의 안전을 어느 정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추락하는 승객의 안전을 위한 안전망 유닛(50)이 바닥(14)에 근접하게 위치하기 때문에 상부에서 추락할 경우 승객의 부상을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20-2008-0004878 한국공개실용신안 20-2008-0001844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이동하는 승강로의 내측에 층간마다 추락방지장치를 설치하여, 고층에서 사람이 추락하더라도 최대 1층 높이의 충격만이 가해지게 되므로 추락방지장치와 충돌시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추락자의 부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추락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강로에 설치되는 추락방지장치를 승강로의 전부와 후부에 한 쌍으로 설치하거나, 전부에만 설치함으로써, 승강로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에 의해 추락방지장치가 펼쳐지는 것을 방해받지 않도록 하여 긴급 상황에서 신속하고 안전하게 추락방지장치가 펼쳐지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추락자를 보호할 수 있게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추락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승강로의 내측면에 층간마다 추락하는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추락 감지 센서와 추락방지장치가 펼쳐지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펼침 감지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받는 상태 정보에서 비상신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더라도, 추락하는 사람을 감지하거나 사람이 추락하는 과정에서 추락방지장치를 잡아 강제로 추락방지장치가 펼쳐질 경우, 모든 추락방지장치가 펼쳐지도록 하여 추락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추락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가 이동하는 승강로의 공간에 설치되는 추락방지장치와, 엘리베이터의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상기 추락방지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추락방지장치는 승강로의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에 힌지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고정 브라켓과 프레임을 연결하는 링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추락방지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와이어와, 승강로의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를 제어하는 절첩 실린더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크는 고정 브라켓에 힌지결합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제1링크부재와, 일측 단부는 상기 제1링크부재의 단부에 힌지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프레임에 힌지결합되는 제2링크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링크부재는 상기 제1링크부재와 힌지결합된 단부에는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링크부재를 좌우로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바에 의해 연장부가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브라켓의 상부에는 프레임의 펼침을 방지하기 위한 펼침 방지 장치가 구비되되, 상기 펼침 방지 장치는 프레임의 전단을 지지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의 이동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은 상기 고정 브라켓에 힌지 결합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2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링크는 고정 브라켓과 제1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링크와, 상기 고정 브라켓과 제2프레임을 연결하는 제2링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절첩 실린더는 제1프레임의 단부와 연결되는 와이어를 제어하는 상부 실린더와, 상기 제2프레임의 단부와 연결되는 와이어를 제어하는 하부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고정 브라켓에 힌지 결합되는 제3프레임과, 상기 제3프레임을 따라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4프레임과, 상기 제3프레임과 제4프레임을 연결하여 제4프레임의 이동을 제어하는 가변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추락방지장치에는 프레임의 절첩상태를 감지하는 펼침 감지 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로의 내측면에는 추락물을 감지하는 추락 감지 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펼침 감지 센서에서 프레임이 펼쳐진 것을 감지하거나 추락 감지 센서에서 추락물을 감지할 경우, 승강로에 설치된 추락방지장치를 작동시키되,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위치한 부분의 추락방지장치는 작동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펼침 감지 센서에서 프레임이 펼쳐진 것을 감지하거나, 추락 감지 센서에서 추락물을 감지할 경우,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 비상 정지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이동하는 승강로의 내측에 층간마다 추락방지장치를 설치하여, 고층에서 사람이 추락하더라도 최대 1층 높이의 충격만이 가해자게 되므로 추락방지장치와 충돌시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추락자의 부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승강로에 설치되는 추락방지장치를 승강로의 전부와 후부에 한 쌍으로 설치하거나, 전부에만 설치함으로써, 승강로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에 의해 추락방지장치가 펼쳐지는 것을 방해받지 않도록 하여 긴급 상황에서 신속하고 안전하게 추락방지장치가 펼쳐지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추락자를 보호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로의 내측면에 층간마다 추락하는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추락 감지 센서와 추락방지장치가 펼쳐지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펼침 감지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받는 상태 정보에서 비상신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더라도, 추락하는 사람을 감지하거나 사람이 추락하는 과정에서 추락방지장치를 잡아 강제로 추락방지장치가 펼쳐질 경우, 모든 추락방지장치가 펼쳐지도록 하여 추락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추락 방지를 위한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추락 방지를 위한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구조의 안전망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추락 방지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추락 방지 시스템의 비상시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추락 방지 시스템의 추락방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추락 방지 시스템의 추락방지장치의 프레임의 펼쳐진 상태의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추락 방지 시스템의 링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추락 방지 시스템의 추락방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의 펼쳐진 상태의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추락 방지 시스템의 추락방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의 펼쳐진 상태의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추락 방지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추락 방지 시스템의 비상시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추락 방지 시스템의 추락방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추락 방지 시스템의 추락방지장치의 프레임의 펼쳐진 상태의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추락 방지 시스템의 링크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추락 방지 시스템의 추락방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의 펼쳐진 상태의 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추락 방지 시스템의 추락방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의 펼쳐진 상태의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추락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건물(100)의 내측에 엘리베이터가 이동하는 승강로(110)의 각 층간의 공간에 설치되는 추락방지장치(300)와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부터 엘리베이터의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제어부(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상태 정보를 통하여 상기 추락방지장치(300)를 제어하게 되는데,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정상 상태일때는 추락방지장치(300)가 대기 상태로 유지하게 하여 엘리베이터 케이지(120)가 승강로(110)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며, 승객이 수용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120)가 정지하는 등과 같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에는 상기 추락방지장치(300)를 작동시켜 승객 또는 승강로(110)의 외부에서 들어온 사람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엘리베이터 케이지(120)가 정상 위치가 아닌 위치에서 멈추게 되면 엘리베이터 케이지(120)와 승강장 도어(130) 사이에 틈이 많아 탈출을 시도하던 승객이 엘리베이터 케이지(120)와 승강장 도어(130)의 틈 사이로 추락하는 경우나, 승강장 도어(130)가 오작동으로 개방되어 각 층에서 기다리던 대기자가 추락하는 경우에 이들을 안전하게 보호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추락방지장치(300)는 승강로(110)의 내측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310)과 상기 고정 브라켓(310)에 힌지결합되는 프레임(340)과 상기 고정 브라켓(310)과 프레임(340)을 연결하는 링크(35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 브라켓(310)은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와 하부에는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벽면 고정부(312)가 각각 형성되어 나사 등을 사용하여 벽면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상기 벽면 고정부(312)는 일정 두께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 브라켓(310)은 벽면과 이격되어 이격 공간(314)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 브라켓(310)의 측부에는 추락방지장치(300)를 구성하는 절첩 실린더(33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절첩 실린더(330)의 단부에는 와이어(336)의 일측단부가 연결되고, 와이어(336)의 타측 단부는 프레임(340)과 연결되는데, 상기 와이어(336)는 벽면과 고정 브라켓(310) 사이의 이격 공간(314)을 통하여 프레임(340)과 연결되며, 상기 이격 공간(314)에는 상기 와이어(336)이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수단(미도시)이 구비된다.
그래서, 상기 절첩 실린더(330)가 와이어(336)을 당기게 되면, 펼쳐진 상태의 프레임(340)이 당겨지게 되어, 고정 브라켓(310)의 하부와 힌지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접혀지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 브라켓(310)과 프레임(340)을 연결하는 링크(3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브라켓(310)에 힌지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는 제1링크부재(352)와 일측 단부는 제1링크부재(352)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프레임(340)에 힌지결합되는 제2링크부재(354)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상기 프레임(340)이 펼쳐질 경우 제1링크부재(352)와 제2링크부재(354)로 이루어지는 링크(350) 역시 펼쳐지게 되는데, 상기 링크(350)는 프레임(340)을 상부에서 지지하여, 사람이 추락하더라도 프레임(340)이 하부로 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링크부재(352)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링크부재(354)는 상기 제1링크부재(352)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상기 제2링크부재(354)는 제1링크부재(352)와 힌지결합된 단부에 연장부(355)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링크부재(352)에는 연장부(355)의 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공(353)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353)에는 지지바(359)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연장부(355)의 단부에는 상기 지지바(359)가 삽입되는 걸림홈(357)이 형성되고, 걸림홈(357)의 외측에는 지지턱(358)이 형성되어, 제2링크부재(354)가 완전히 펼쳐지면 상기 걸림홈(357)에 지지바(359)가 삽입되고, 상기 지지턱(358)에 의해 지지바(359)가 지지되어 더이상 펼쳐지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지지바(359)의 양단부에는 스프링(356)의 일측 단부가 연결되어 지지바(359)를 힌지결합부 방향으로 탄성지지하게 되어, 상기 지지바(359)가 걸림홈(357)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제1링크부재(352)와 제2링크부재(354)가 임의로 절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브라켓(310)의 상부 전면에는 펼침 방지 장치(320)가 구비되는데, 상기 펼침 방지 장치(320)는 상기 프레임(340)의 전면을 지지하는 고정바(322)와 상기 고정 브라켓(310)의 상부에 고정되어 고정바(322)의 이동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부(324)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상기 절첩 실린더(330)의 작용으로 프레임(340)이 절첩되면 상기 솔레노이드부(324)가 작동하여 고정바(322)가 프레임(340)의 전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프레임(340)이 임의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절첩 실린더(330)를 구동시키는 힘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프레임(340)은 하부에 힌지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자중에 의하여 프레임(340)이 펼쳐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지만, 상기 고정바(322)에 의해 절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가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부터 비상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상기 솔레노이드부(324)를 제어하여 고정바(322)를 프레임(340)의 전방에서 이동시킬 경우, 프레임(340)은 자중에 의해 신속하게 펼쳐지게 되어 추락하는 사람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는 실시간으로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부터 엘리베이터의 상태 신호를 수신하기 때문에 정상상태일 경우에는 상기 프레임(340)이 절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엘리베이터 케이지(120)가 승강로(110)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며, 비상시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펼침 방지 장치(320)를 구동시켜 프레임(340)이 펼쳐지도록 하여 추락하는 사람을 보호하게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가 에스컬레이터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받은 정보에는 현재 에스컬레이터 케이지(120)의 위치정보도 포함되어 있어, 각 층간에 설치된 추락방지장치(300)를 모두 작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현재 엘리베이터 케이지(120)가 위치한 추락방지장치(300)를 제외한 추락방지장치(300)를 작동시키도록 한다.
그래서, 추락방지장치(300)의 프레임(340)이 펼쳐지는 과정에서 엘리베이터 케이지(120)가 손상되거나, 엘리베이터 케이지(120)에 설치된 각종 장치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추가적인 사고를 예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승강로(110)의 내측면에는 각 층간 공간에 추락물을 감지하기 위한 추락 감지 센서(42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추락 감지 센서(420)는 적외선, 레이저, 초음파 등을 이용하여 물체의 근접을 확인하여 물체가 추락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상기 제어부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부터 비상신호가 전송되지 않더라도 사람이나 물체가 추락할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추락방지장치(300)에는 상기 프레임(340)의 절첩 상태를 감지하는 펼침 감지 센서(41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펼침 감지 센서(410)는 리미트 스위치로 이루어지고, 승강로 벽면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펼침 감지 센서(410)는 프레임(340)과 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340)이 절첩된 상태일 때, 펼침 감지 센서(410)의 레버를 작동시켜 절첩된 상태임을 확인하게 된다.
이때, 다양한 이유로 사람이 추락하게 될 경우, 사람은 추락하지 않기 위하여 물체를 잡게 되는데, 그 중에서 상기 추락방지장치(300)의 프레임(340)을 잡을 경우 펼침 방지 장치(320)가 프레임(340)을 지지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사람의 하중에 의해 프레임(340)이 강제적으로 펼쳐지게 된다.
그래서, 제어부는 상기 펼침 감지 센서(410)를 통하여 프레임(340)이 임의로 펼쳐질 경우 추락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추락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는 비상신호가 전송되지 않더라도, 상기 추락 감지 센서(420)나 펼침 감지 센서(410)를 통하여 추락을 감지할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전술한 비상상태와 동일하게 엘리베이터 케이지(120)가 위치한 부분의 추락방지장치(300) 이외의 모든 추락방지장치(300)를 작동시켜 추락자를 보호하게 된다.
또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는 정상상태로 표시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 비상 상황에 대한 신호를 전송하여 엘리베이터 케이지(120)의 이동을 멈추도록 하여 상황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건물(100)의 각층에는 엘리베이터 케이지(120)에 탑승하기 위한 승강장 도어(130)가 구비되는데, 상기 승강장 도어(130)의 측부에는 비상버튼(미도시)이 구비된다.
즉, 엘리베이터 케이지(120)가 도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승강장 도어(130)가 개방될 경우나, 아이들이 장난치다가 승강장 도어(130)를 밀어서 강제 개방되어 사람이 승강로(110)로 추락하거나, 추락할 위험에 처해진 경우, 이를 목격한 사람이 상기 비상버튼을 누르게 되면, 제어부에서는 비상상황임을 감지하여 엘리베이터 케이지(120)가 위치한 부분의 추락방지장치(300) 이외의 모든 추락방지장치(300)를 작동시켜 추락자를 보호하게 된다.
물론, 목격한 사람이 비상버튼을 누를 경우, 비상신호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도 전송되어 엘리베이터 케이지(120)의 이동을 멈추게 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추락방지장치(300)는 상황에 따라 격층이나 다층 간격으로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락방지장치(300)는 승강로(110)의 내측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310)과 상기 고정 브라켓(310)에 힌지결합되는 프레임(340')과 상기 고정 브라켓(310)과 프레임(340')을 연결하는 링크(35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340')은 상기 고정 브라켓(310)에 힌지 결합되는 제1프레임(342)과 상기 제1프레임(342)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2프레임(344)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링크(350')는 고정 브라켓(310)과 제1프레임(342)을 연결하는 제1링크(350a)와 상기 고정 브라켓(310)과 제2프레임(344)을 연결하는 제2링크(350b)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상기 제1링크(350a)와 제2링크(350b)가 펼쳐지게 되면, 상기 제1링크(350a)와 연결된 제1프레임(342)과 제2링크(350b)와 연결된 제2프레임(344) 역시 펼쳐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절첩 실린더(330)는 제1프레임(342)의 단부와 연결되는 와이어(336)를 제어하는 상부 실린더(332)와 제2프레임(344)의 단부와 연결되는 와이어(336)를 제어하는 하부 실린더(33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부 실린더(332)와 하부 실린더(334)는 고정 브라켓(310)의 측부에 위치하되, 상부 실린더(332)는 고정 브라켓(310)의 상부에 위치하고, 하부 실린더(334)는 고정 브라켓(310)의 하부에 위치한다.
그래서, 상기 제1프레임(342)은 상부 실린더(332)에 의해 고정 브라켓(310)의 하부에 힌지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상부로 절첩되게 되고, 상기 제2프레임(344)은 하부 실린더(334)에 의해 제1프레임(342)과 힌지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하부로 절첩되게 된다.
한편, 다른 구성들은 전술한 구성들과 동일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10 및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락방지장치(300)는 승강로(110)의 내측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310)과 상기 고정 브라켓(310)에 힌지결합되는 프레임(340")과 상기 고정 브라켓(310)과 프레임(340")을 연결하는 링크(35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340")은 상기 고정 브라켓(310)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3프레임(346)과 상기 제3프레임(34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4프레임(348)과 상기 제3프레임(346)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4프레임(348)의 이동을 제어하는 가변 실린더(36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4프레임(348)의 양측은 상기 제3프레임(346)의 양측부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삽입되어, 상기 제3프레임(346)의 양측에 설치된 가변 실린더(360)의 실린더 로드의 단부에 연결됨으로써, 가변 실린더(360)의 제어에 의해 제4프레임(348)의 돌출된 정도를 제어하게 된다.
한편, 나머지 구성들은 전술한 구성들과 동일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추락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고층에서 사람이 추락하더라도 추락시 발생하는 충격을 줄여주어 부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감지하지 못한 비상상황에서도 작동하도록 하여 추락자를 보호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추락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100 : 건물 110 : 승강로
120 : 엘리베이터 케이지 300 : 추락방지장치
310 : 고정 브라켓 320 : 펼침 방지장치
330 : 절첩 실린더 340,340',340" : 프레임
350 : 링크 410 : 펼침 감지 센서
420 : 추락 감지 센서

Claims (3)

  1. 엘리베이터가 이동하는 승강로의 공간에 설치되는 추락방지장치와,
    엘리베이터의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상기 추락방지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추락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추락방지장치는 승강로의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에 힌지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고정 브라켓과 프레임을 연결하는 링크와,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와이어와, 승강로의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를 제어하는 절첩 실린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은 고정 브라켓에 힌지 결합되는 제3프레임과,
    상기 제3프레임을 따라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4프레임과,
    상기 제3프레임과 제4프레임을 연결하여 제4프레임의 이동을 제어하는 가변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추락 방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고정 브라켓에 힌지결합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제1링크부재와,
    일측 단부는 상기 제1링크부재의 단부에 힌지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프레임에 힌지결합되는 제2링크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링크부재는 상기 제1링크부재와 힌지결합된 단부에는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링크부재를 좌우로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바에 의해 연장부가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추락 방지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의 상부에는 프레임의 펼침을 방지하기 위한 펼침 방지 장치가 구비되되,
    상기 펼침 방지 장치는 프레임의 전단을 지지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의 이동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추락 방지 시스템.
KR1020180116842A 2018-10-01 2018-10-01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추락 방지 시스템 KR101944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842A KR101944311B1 (ko) 2018-10-01 2018-10-01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추락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842A KR101944311B1 (ko) 2018-10-01 2018-10-01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추락 방지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125A Division KR101905610B1 (ko) 2018-03-07 2018-03-07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추락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4311B1 true KR101944311B1 (ko) 2019-01-31

Family

ID=65323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842A KR101944311B1 (ko) 2018-10-01 2018-10-01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추락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43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91685A (zh) * 2021-12-28 2022-04-08 住友富士电梯有限公司 一种具有防坠落结构的电梯
KR102443566B1 (ko) 2022-05-04 2022-09-15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수직개폐형 도어패널의 추락을 방지하고 도어 개폐시간을 단축시킨 대형 및 초대형 엘리베이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1844U (ko) 2006-12-12 2008-06-17 유경모 엘리베이터 홀의 보호망 설치구
KR20080004878U (ko) 2007-04-20 2008-10-23 최정일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구조
KR20110008104U (ko) * 2010-02-10 2011-08-18 유상현 가구용 접이식 다리의 자유낙하 방지장치
CN204416827U (zh) * 2015-02-04 2015-06-24 郭剑辉 垂直电梯的防坠装置
KR101561800B1 (ko) * 2015-02-12 2015-10-19 오성식 건축물에서 추락하는 사람을 구조하기 위한 안전망 장치
KR20150129434A (ko) * 2014-05-12 2015-11-20 김정호 중량물 상,하차용 화물차의 리프트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1844U (ko) 2006-12-12 2008-06-17 유경모 엘리베이터 홀의 보호망 설치구
KR20080004878U (ko) 2007-04-20 2008-10-23 최정일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구조
KR20110008104U (ko) * 2010-02-10 2011-08-18 유상현 가구용 접이식 다리의 자유낙하 방지장치
KR20150129434A (ko) * 2014-05-12 2015-11-20 김정호 중량물 상,하차용 화물차의 리프트장치
CN204416827U (zh) * 2015-02-04 2015-06-24 郭剑辉 垂直电梯的防坠装置
KR101561800B1 (ko) * 2015-02-12 2015-10-19 오성식 건축물에서 추락하는 사람을 구조하기 위한 안전망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91685A (zh) * 2021-12-28 2022-04-08 住友富士电梯有限公司 一种具有防坠落结构的电梯
KR102443566B1 (ko) 2022-05-04 2022-09-15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수직개폐형 도어패널의 추락을 방지하고 도어 개폐시간을 단축시킨 대형 및 초대형 엘리베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2108B2 (en) Elevator having a limit switch for controlling power to the drive system as an elevator car approaches a shallow pit or a low overhead
KR101905610B1 (ko)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추락 방지 시스템
RU2380311C2 (ru) Система безопасности лифта
US8136637B2 (en) Safety device for securing minimum spaces at the top or bottom of an elevator shaft being inspected, and elevator having such safety devices
KR101944311B1 (ko)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추락 방지 시스템
JP4664370B2 (ja) エレベータかごの安全停止装置
JP5778722B2 (ja) 浅いピットおよび/または低いオーバヘッドを備えたエレベータ
IL215654A (en) Folding apron for elevator with moving floor in pit with reduced depth
US11655121B2 (en) Elevator car
KR101944307B1 (ko)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추락 방지 시스템
CN114829282A (zh) 电梯轿厢可枢转栏杆及电梯的维护方法
JP2012035922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およびその災害時の運転方法
EP2328826B1 (en) Safety devices for elevators with reduced clearances
KR101262991B1 (ko) 사다리차용 승강기
KR100817906B1 (ko) 철도 차량을 위한 비상 탈출용 램프
JP2008024409A (ja) エレベータのピットはしご装置
KR20140117030A (ko) 화재 대피용 안전 난간대
EP3530605B1 (en) Elevator car toe guard system
KR101771712B1 (ko)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
KR101771711B1 (ko)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
KR101324093B1 (ko)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및 제어방법
CN109476457B (zh) 电梯装置
US4024928A (en) Fire escape installation
JP4071018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CN210813575U (zh) 一种电梯井逃生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