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2829A - 유중 수형 유화 자외선 차단 화장료 - Google Patents

유중 수형 유화 자외선 차단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2829A
KR20120112829A KR1020127022218A KR20127022218A KR20120112829A KR 20120112829 A KR20120112829 A KR 20120112829A KR 1020127022218 A KR1020127022218 A KR 1020127022218A KR 20127022218 A KR20127022218 A KR 20127022218A KR 20120112829 A KR20120112829 A KR 20120112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ater
acid
sunscreen cosmetic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2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4270B1 (ko
Inventor
카즈히로 야마구치
사와코 이시토비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120112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2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4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42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46Imidazol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benzimidazo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과제) 유중 수형 유화 자외선 차단 화장료를 변취가 발생하지 않고, 유화 안정성이 뛰어난 것으로 한다.
(해결 수단) 유중 수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를 페닐벤지미다졸술폰산과,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및/또는 2-아미노-2-(히드록시메틸)프로판-1,3-디올과,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중 수형 유화 자외선 차단 화장료{WATER-IN-OIL EMULSION SUNSCREEN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유중 수형 유화 자외선 차단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통상, 자외선 차단 화장료에는 피부에의 자외선 조사를 차단해서 높은 SPF(Sun Protection Factor)값을 얻기 위해서 자외선 흡수제를 배합하거나 자외선 산란제(산화아연, 이산화티탄 등)를 배합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옥틸트리아존과 페닐벤지미다졸술폰산을 조합시킨 자외선 차단 화장료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출원인은 뛰어난 자외선 차폐 효과를 갖고, 경시에 의한 변취 방지?억제 안정성이 뛰어난 것으로서, 특허문헌 2에 있어서 옥토크릴렌, 소수화 처리를 실시한 이산화티탄 및/또는 산화아연, 페닐벤지미다졸술폰산 및 페닐벤지미다졸술폰산의 중화염으로 이루어지는 유중 수형 유화 자외선 차단 화장료를 제안하고 있다.
상기 페닐벤지미다졸술폰산은 수산화나트륨이나 트리에탄올아민에 의해 중화염으로 함으로써 수용으로 되는 소수의 유효한 자외선 흡수제이고, 물 함유 화장료에 배합하는데 적합한 것이다. 그러나, 페닐벤지미다졸술폰산은 범용의 자외선 흡수제이지만, 유중 수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에 있어서 소수화 처리를 실시한 자외선 산란제(산화아연, 이산화티탄 등)와 병용함으로써 경시에 의해 변색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출원인은 특허문헌 3에 있어서 소수화 처리를 실시한 산화티탄 및/또는 산화아연, 페닐벤지미다졸술폰산, 트리에탄올아민 및 트리메틸실록시규산의 함유량을 조정한 유중 수형 유화 자외선 차단 화장료를 제안하고 있다.
자외선은 파장이 320~400nm인 장파장 자외선(UVA), 290~320nm인 중파장 자외선(UVB) 및 290nm 이하인 단파장 자외선(UVC)으로 분류되고, 자외선 흡수제의 대부분은 주로 각각의 파장 영역에 대하여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유중 수형 유화 자외선 차단 화장료에는 UVA부터 UVB까지 폭넓은 영역의 자외선을 흡수할 수 있도록, 또한 다른 자외선 흡수제와의 병용에 의한 자외선 방지 효과 향상을 기대하여 복수 종류의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시키는 것이 시험되고 있다.
최근 UVA 흡수제로서 디에틸아미노히드록시벤조일벤조산 헥실이나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UVB 흡수제로서 옥틸트리아존 등이 개발되어 있지만, 이들은 실온에서 고형이고, 에스테르유나 액상의 계피산 에스테르계 자외선 흡수제(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등)에 용해해서 배합할 필요가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 10-12054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7-21737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7-217380호 공보
그런데, 본 발명자들이 트리에탄올아민으로 중화염으로 한 페닐벤지미다졸술폰산과 에스테르유로 용해한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를 조합한 유중 수형 유화 자외선 차단 화장료를 조정한 바, 경시에 의해 변취가 생기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산화나트륨으로 중화염으로 한 페닐벤지미다졸술폰산의 경우에는 변취는 생기지 않지만 유화 안정성이 나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변취가 생기는 일이 없고, 또한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페닐벤지미다졸술폰산과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를 함유하는 유중 수형 유화 자외선 차단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중 수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는 페닐벤지미다졸술폰산과,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및/또는 2-아미노-2-(히드록시메틸)프로판-1,3-디올과,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유중 수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는 에스테르 유분을 10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UVA 흡수제를 0.1~10질량%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중 수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는 실질적으로 향료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향료를 함유하지 않는다는 것은 의도적으로 향료를 첨가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고, 유중 수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의 원료로부터 유래되는 자연의 향기까지도 함유하지 않는다고 하는 의도는 아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유중 수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는 페닐벤지미다졸술폰산과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과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를 포함하고, 페닐벤지미다졸술폰산을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및/또는 2-아미노-2-(히드록시메틸)프로판-1,3-디올에 의해 중화염으로 함으로써 변취가 생기는 일이 없고, 또한 유화 안정성이 뛰어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UVA 흡수제를 0.1~10질량% 함유시킴으로써 UVA부터 UVB까지 폭넓은 영역의 자외선을 흡수할 수 있고, 페닐벤지미다졸술폰산,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와의 병용에 의한 높은 자외선 방지 효과를 갖는 유중 수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중 수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는 변취가 생기는 일이 없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향료를 함유하지 않는 무향료의 유중 수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중 수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는 페닐벤지미다졸술폰산과,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이하, AMPD라고도 한다) 및/또는 2-아미노-2-(히드록시메틸)프로판-1,3-디올(일반적으로 Tris라고 생략해서 칭해지기 때문에 이하 Tris라고도 한다)과,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MPD나 Tris는 페닐벤지미다졸술폰산의 중화제이고, 페닐벤지미다졸술폰산은 AMPD나 Tris에 의해 중화됨으로써 수용성이 된다. 이것에 의해, 에스테르계 자외선 흡수제인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를 병용해도 이취가 생기는 일이 없고, 유화 안정성도 얻을 수 있다.
페닐벤지미다졸술폰산과 AMPD 및/또는 Tris의 비율은 4:1~2:1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3:1~2:1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페닐벤지미다졸술폰산과 AMPD의 비율은 4:1~2:1의 범위를 벗어나면 중화가 충분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페닐벤지미다졸술폰산의 함유량은 유중 수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전량에 대하여 0.01~5질량%, 바람직하게는 0.1~4질량%, 0.4~3질량%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페닐벤지미다졸술폰산의 함유량이 0.01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자외선 방지 효과가 충분하게 발휘되지 않고, 5질량%보다 많으면 끈적임이 발생하거나 완전히 용해되지 않아 결정이 석출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AMPD, Tris는 각각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양자를 혼합해서 사용해도 되며, AMPD 및/또는 Tris의 함유량(양자를 병합해서 사용할 경우에는 그 합계 함유량)은 0.01~2.5질량%, 바람직하게는 0.025~2질량%, 0.2~1.5질량%의 범위가 더욱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중 수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는 보다 폭넓은 영역의 자외선을 흡수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UVA 흡수제를 0.1~10질량%, 바람직하게는 1~5질량%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UVA 흡수제의 함유량이 0.1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자외선 방지 효과가 충분하게 발휘되지 않고, 10질량%보다 많으면 끈적임이 발생하거나 완전히 용해되지 않아 결정이 석출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UVA 흡수제로서는 디에틸아미노히드록시벤조일벤조산 헥실, UVB 파장 영역에도 흡수를 갖는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등을 적합하게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적당하게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UVA 흡수제는 실온에서 고형이기 때문에 에스테르유나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등에 용해해서 배합할 필요가 있고, 트리에탄올아민이나 수산화나트륨을 중화제로서 사용해서 페닐벤지미다졸술폰산과 병용했을 경우, 이취가 생기거나 유화 안정성이 나빠지지만, 본 발명의 유중 수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에서는 중화제로서 AMPD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들을 병용해서 사용해도 이취가 생기는 일이 없고,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유중 수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유중 수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에 함유되는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는 액상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임과 아울러 에스테르 유분이기도 하다.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를 포함한 에스테르 유분은 화장료 전량에 대하여 1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80질량%, 15~50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에스테르 유분이 10질량% 미만에서는 안정적으로 유화될 수 없다. 한편, 80질량%보다 많으면 물의 배합량이 적어져 충분한 청량감이 얻어지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유중 수형 유화 자외선 차단 화장료에는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상기에서 기재한 UVA 흡수제 이외에 기타 액상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옥토크릴렌(2-에틸헥실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레이트), 살리실산 옥틸, 살리실산 호모멘틸, 디메티코디에틸벤잘말로네이트 및 트리메톡시계피산 메틸비스(트리메틸실록시)실릴이소펜틸 등을 함유시킬 수 있다. 이들은 각각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적당하게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복수 종류의 자외선 흡수제를 조합함으로써 폭넓은 영역의 자외선을 흡수할 수 있고, 병용에 의해 자외선 방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및 UVA 흡수제도 포함한 액상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 전체의 배합량은 유중 수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전체에 대하여 0.3~15질량%, 바람직하게는 1~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액상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의 배합량이 0.3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자외선 방지 효과가 충분하게 발휘되지 않고, 15질량%보다 많으면 자외선 흡수제로부터 유래된 끈적임이 제제에 발현되어 버리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유중 수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에는 상기 성분 이외에 본 발명의 목적?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한에서, 통상 화장품에 사용되는 다른 성분을 필요에 따라서 적당하게 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으로서는 수용성 고분자, 유용성 고분자, 고분자 분말, 유화제, 납(wax)류, 알코올류, 액체 유지, 에스테르유(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이외), 탄화수소유, 실리콘유, 지방산, 고급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약제, 자외선 흡수제(페닐벤지미다졸술폰산,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상기에서 설명한 UVA 흡수제 이외), 자외선 산란제, 유기 변성 점토 광물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이하, 「AMPS」라고 약기한다)의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를 들 수 있다. 코폴리머는 비닐피롤리돈, 아크릴산 아미드, 아크릴산 나트륨, 아크릴산 히드록시에틸 등의 코모노머로 이루어지는 코폴리머이다. 즉, AMPS 호모폴리머, 비닐피롤리돈/AMPS 공중합체, 디메틸 아크릴아미드/AMPS 공중합체, 아크릴산 아미드/AMPS 공중합체, 아크릴산 나트륨/AMPS 공중합체 등이 예시된다.
또한,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폴리아크릴산 암모늄,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아크릴산 나트륨/아크릴산 알킬/메타크릴산 나트륨/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카라기난, 펙틴, 만난, 커드란, 콘드로이틴황산, 전분, 글리코겐, 아라비아검, 히알루론산 나트륨, 트래거캔스검, 잔탄검, 뮤코이틴황산, 히드록시에틸구아검, 카르복시메틸 구아검, 구아검, 덱스트란, 케라토황산, 로커스트빈검, 석시노글루칸(succinoglucan), 키틴, 키토산, 카르복시메틸키틴, 한천 등이 예시된다.
유용성 고분자로서는 트리메틸실록시규산, 알킬 변성 실리콘, 폴리아미드 변성 실리콘 등이 예시된다.
고분자 분말로서는 디메티콘 크로스폴리머,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 크로스 폴리머,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폴리에틸렌,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등이 예시된다.
납류로서는, 예를 들면 밀랍, 칸데릴라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라놀린, 액상 라놀린, 호호바 왁스 등이 예시된다.
유화제로서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실리콘계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로서는 유중 수형 유화 타입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실리콘쇄 분기형 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알킬쇄 분기형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알킬쇄?실리콘쇄 분기형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가교형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알킬기 함유 가교형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분기형 폴리글리세린 변성 실리콘, 가교형 폴리글리세린 변성 실리콘, 알킬기 함유 가교형 폴리글리세린 변성 실리콘, 알킬기 분기형 폴리글리세린 변성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류로서는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저급 알코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옥틸도데카놀, 헥실데카놀 등의 고급 알코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부틸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등이 예시된다.
액체 유지로서는, 예를 들면 아보카도유, 동백유, 거북이유, 마카데미아넛유, 옥수수유, 밍크유, 올리브유, 유채씨유, 난황유, 참깨유, 퍼식유, 밀배아유, 사산쿠아유, 피마자유, 아마인유, 홍화유, 면실유, 들깨유, 대두유, 낙화생유, 차씨유(tea seed oil), 육두구유, 미강유, 중국 오동유, 일본 오동유, 호호바유, 배아유, 트리글리세린 등이 예시된다.
에스테르유로서는, 예를 들면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 옥탄산 세틸, 미리스트산 옥틸도데실, 팔미트산 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 부틸, 라우르산 헥실, 미리스트산 미리스틸, 올레산 세틸, 올레산 데실, 디메틸옥탄산 헥실데실, 락트산 세틸, 락트산 미리스틸, 아세트산 라놀린, 스테아르산 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 이소세틸, 이소노난산 이소노닐,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콜레스테릴, 디-2-에틸헥산산 에틸렌글리콜, 디펜타에리스리톨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이소스테아르산 N-알킬글리콜, 디카프르산 네오펜틸글리콜, 말산 디이소스테아릴, 디-2-헵틸운데칸산 글리세린, 트리-2-에틸헥산산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 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 펜타에리스리톨, 트리-2-에틸헥산산 글리세린, 트리옥탄산 글리세린, 트리이소팔미트산 글리세린, 트리이소스테아르산 트리메틸롤프로판, 세틸2-에틸헥사노에이트, 2-에틸헥실팔미테이트, 트리미리스트산 글리세린, 트리-2-헵틸운데칸산 글리세리드, 피마자유 지방산 메틸에스테르, 올레산 올레일, 아세토글리세리드, 팔미트산 2-헵틸운데실, 아디프산 디이소부틸,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2-옥틸도데실에스테르, 아디프산 디-2-헵틸운데실, 에틸라우레이트, 세바스산 디-2-에틸헥실, 미리스트산 2-헥실데실, 팔미트산 2-헥실데실, 아디프산 2-헥실데실, 세바스산 디이소프로필, 석신산 2-에틸헥실, 시트르산 트리에틸 등이 예시된다.
탄화수소유로서는 유동 파라핀, 지랍, 스쿠알란, 프리스탄, 파라핀, 세레신, 스쿠알렌, 바셀린,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피셔-트롭쉬 왁스 등이 예시된다.
실리콘유로서는 디메틸폴리실록산, 옥타메틸실록산, 데카메틸테트라실록산,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헥사메틸시클로트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등이 예시된다.
지방산으로서는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아라키돈산 등이 예시된다.
고급 알코올로서는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아랄킬아코올, 바틸알코올, 키밀알코올, 카르나우빌알코올, 세릴알코올, 코리아닐알코올(koryanyl alcohol), 미리실알코올, 락세릴알코올, 엘라이딜알코올, 이소스테아릴글리세릴에테르, 옥틸알코올, 트리아콘틸알코올, 세라킬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올레일알코올, 라놀린알코올, 수소 첨가 라놀린알코올, 헥실데카놀, 옥틸데카놀 등이 예시된다.
지방산 에스테르로서는 미리스트산 미리스틸, 팔미트산 세틸, 스테아르산 콜레스테릴, 밀랍 지방산 2-옥틸도데실 등이 예시된다.
약제로서는 L-아스코르브산 및 그 유도체의 염, 글리시리즈산 디칼륨, 글리시리즈산 모노암모늄 등의 글리시리즈산 및 그 유도체, 글리시레틴산 스테아릴 등의 글리시레틴산 및 그 유도체, 알란토인, 트라넥삼산 및 그 유도체의 염, 알콕시 살리실산 및 그 유도체의 염, 글루타티온 및 그 유도체의 염, 알란토인, 아줄렌 등이 예시된다.
페닐벤지미다졸술폰산,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상기에서 설명한 UVA 흡수제 이외의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면 메톡시계피산 이소프로필, 메톡시계피산 이소아밀 등의 계피산 유도체; 파라-아미노벤조산(이하, 「PABA」로 약기), 에틸PABA, 에틸-디히드록시프로필PABA, 에틸헥실-디메틸PABA, 글리세릴PABA 등의 PABA 유도체; 디프로필렌글리콜살리실레이트, TEA 살리실레이트 등의 살리실산 유도체; 벤조페논-1, 벤조페논-2, 벤조페논-3 또는 옥시벤존, 벤조페논-4, 벤조페논-5, 벤조페논-6, 벤조페논-8, 벤조페논-9, 벤조페논-12 등의 벤조페논 유도체; 3-벤질리덴캠퍼, 4-메틸벤질리덴캠퍼, 벤질리덴캠퍼술폰산, 메토황산 캠퍼벤잘코늄,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술폰산, 폴리아크릴아미드메틸벤질리덴캠퍼 등의 벤질리덴캠퍼 유도체; 아니소트리아진, 에틸헥실트리아존, 디에틸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2,4,6-트리스(디이소부틸-4'-아미노벤잘말로네이트)-s-트리아진 등의 트리아진 유도체; 페닐디벤지미다졸테트라술폰산 이나트륨 등의 페닐벤지미다졸 유도체; 드로메트리졸(Drometrizole) 트리실록산,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등의 페닐벤조트리아졸 유도체; 안트라닐산 멘틸 등의 안트라닐 유도체; 에틸헥실디메톡시벤질리덴디옥소이미다졸린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이미다졸린 유도체; 벤잘말로네이트 관능기를 갖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 등의 벤잘말로네이트 유도체; 1,1-디카르복시(2,2'-디메틸프로필)-4,4-디페닐부타디엔 등의 4,4-디아릴부타디엔 유도체 등이 예시된다.
자외선 산란제로서는 소수화 처리를 실시한 이산화티탄, 산화아연의 무기 안료 등이 예시된다.
유기 변성 점토 광물로서는 제4급 암모늄염형 양이온 변성 점토 광물 등이 예시된다.
본 발명의 유중 수형 유화 자외선 차단 화장료는 유액상 제품이나 크림상 제품이 있다. 이들 제품은 상기 필수 성분 및 화장료에 통상 배합되는 성분을 혼합해서 상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처방(표 1에 나타내는 수치는 질량부이다)에 의해 이하의 순서에 따라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를 조제했다. 우선, 수용성 자외선 흡수제(페닐벤지미다졸술폰산)에 중화제를 첨가해서 반응시킨 뒤, 물, 알코올, 보습제를 첨가해서 균일하게 분산시켜 수상 성분을 조정했다. 한편, 유분에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 등의 다른 성분을 첨가해서 균일하게 분산키고, 여기에 앞서 조정한 수용성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수상 성분을 서서히 첨가해 유화시켜 유중 수형 유화 자외선 차단 화장료를 조제했다.
(평가 방법)
(자외선 방지 효과)
일본 화장품 공업 연합회에서 책정한 「SPF 측정법 기준」(2007년 개정판)에 준하여 실시예 2,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시료의 SPF값을 측정했다.
(변취 억제 효과)
40℃에서 한 달간 정치한 각 시료를 여성 패널(10명)이 실제로 사용하게 하여 도포시의 냄새의 유무를 평가하고, 변취가 없는 것을 양호, 이취가 발생한 것을 이취 있음이라고 평가했다.
(유화 안정성)
40℃에서 한 달간 정치한 각 시료를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유화 입자가 균일하고, 합일이나 응집이 보이지 않았던 것을 안정이라고, 유화 입자에 합일이나 응집이 보인 것을 합일이라고 평가했다.
Figure pct00001
표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중 수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인 실시예 1 및 실시예 2는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에 의해 페닐벤지미다졸술폰산이 중화염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변취가 생기는 일이 없고, 유화 안정성이 얻어졌다. 한편, 중화제로서 트리에탄올아민을 사용한 비교예 3은 유화 안정성은 얻어졌지만 이취가 생기고, 중화제로서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한 비교예 4 및 비교예 5에서는 이취는 생기지 않았지만 유화 입자에 합일이 보여 유화 안정성이 얻어지지 않았다. 또한, 중화제로서 아미노메틸프로판올을 사용한 비교예 6 및 비교예 7에서는 유화 안정성은 얻어졌지만 이취가 생겼다.
또한, 실시예 2와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SPF값의 비교로 부터, 페닐벤지미다졸술폰산을 포함하지 않는 유중 수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보다 높은 SPF값이 얻어졌다. 이들 실시예로부터 분명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페닐벤지미다졸술폰산과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를 포함하는 유중 수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의 경우,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및/또는 2-아미노-2-(히드록시메틸)프로판-1,3-디올을 중화제로서 사용함으로써 변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음과 아울러 유화 안정성을 얻을 수 있고,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이외의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자외선 방지 효과를 갖는 유중 수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를 얻을 수 있다.
하기 표 2에 본 발명의 유중 수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의 처방예를 게시한다(표 2에 나타내는 수치는 질량부이다). 처방예 1~3에 나타내는 유중 수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는 이하와 같이 해서 조정했다.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 유분, 피막제, 계면활성제를 균일하게 용해 혼합하고, 증점제, 자외선 산란제, 분말을 첨가해서 호모믹서로 분산하여 유상을 조정했다. 이온 교환수에 중화제를 첨가하고, 수용성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해서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고, 킬레이트제, 보습제, 방부제, 알코올을 첨가하여 수상을 조정했다. 유상으로 교반하면서 수상을 첨가하여 호모믹서로 교반하여 자외선 차단 화장료를 조정했다. 얻어진 자외선 차단 화장료는 40℃에서 한 달 이상 보존하여도 변취는 발생하지 않았다.
Figure pct00002
또한, 상기 실시예나 처방예에서는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2-아미노-2-(히드록시메틸)프로판-1,3-디올을 각각 단독으로 사용한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들 양쪽을 병합해도 마찬가지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페닐벤지미다졸술폰산과,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및/또는 2-아미노-2-(히드록시메틸)프로판-1,3-디올과,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 수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2. 제 1 항에 있어서,
    에스테르 유분을 10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 수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UVA 흡수제를 0.1~10질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 수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향료를 함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 수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KR1020127022218A 2010-01-26 2011-01-13 유중 수형 유화 자외선 차단 화장료 KR1013042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13772 2010-01-26
JP2010013772A JP5123333B2 (ja) 2010-01-26 2010-01-26 油中水型乳化日焼け止め化粧料
PCT/JP2011/000153 WO2011093018A1 (ja) 2010-01-26 2011-01-13 油中水型乳化日焼け止め化粧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2829A true KR20120112829A (ko) 2012-10-11
KR101304270B1 KR101304270B1 (ko) 2013-09-05

Family

ID=44319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2218A KR101304270B1 (ko) 2010-01-26 2011-01-13 유중 수형 유화 자외선 차단 화장료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492689B2 (ko)
EP (1) EP2529727B1 (ko)
JP (1) JP5123333B2 (ko)
KR (1) KR101304270B1 (ko)
CN (1) CN102791249B (ko)
AU (1) AU2011210400B2 (ko)
ES (1) ES2538010T3 (ko)
HK (1) HK1178080A1 (ko)
TW (1) TWI491411B (ko)
WO (1) WO20110930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8736A1 (ja) * 2012-01-20 2013-07-25 花王株式会社 化粧料組成物
JP6266951B2 (ja) * 2012-11-05 2018-01-24 株式会社コーセー 油中水型乳化組成物
US9415243B2 (en) * 2014-02-18 2016-08-16 Micdermco, L.L.C. Particle-free microdermabrasion formulations
ES2816774T3 (es) * 2014-03-11 2021-04-05 Doc Japan Co Ltd Composición oleosa acondicionadora cosmética y producto cosmético
JPWO2016068300A1 (ja) * 2014-10-31 2017-08-10 株式会社 資生堂 日焼け止め化粧料
WO2016068298A1 (ja) * 2014-10-31 2016-05-06 株式会社 資生堂 油中水型乳化日焼け止め化粧料
JP6263244B2 (ja) * 2015-10-09 2018-01-17 株式会社 資生堂 噴霧型日焼け止め化粧料
CN109069394B (zh) 2016-04-28 2021-08-24 株式会社资生堂 油包水型乳化化妆品
KR101957585B1 (ko) * 2016-09-23 2019-03-14 씨제이제일제당 (주) 화장품용 지방산 에틸 에스테르
JP6948830B2 (ja) * 2017-05-17 2021-10-13 花王株式会社 乳化化粧料
KR102648547B1 (ko) * 2017-06-08 2024-03-18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유중 수형 유화 화장료
JP7084166B2 (ja) * 2018-03-08 2022-06-14 株式会社 資生堂 離漿防止用油中水型化粧料組成物
TW202034890A (zh) * 2018-09-14 2020-10-01 日商資生堂股份有限公司 油中水型皮膚外用組成物
CN111956513A (zh) * 2020-09-11 2020-11-20 广州芊植本草化妆品有限公司 一种防晒乳及其制备方法
US20230047813A1 (en) * 2021-07-28 2023-02-16 Elc Management Ll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CN117940104A (zh) * 2021-10-13 2024-04-26 株式会社资生堂 化妆料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0577A (en) * 1988-04-25 1990-07-10 Lipo Chemicals Inc. Ester based water-in-oil cosmetic microemulsions
DE19643515A1 (de) 1996-10-22 1998-04-23 Basf Ag Kosmetische Mittel enthaltend eine Kombination von UV-Absorbern
DE19845914C2 (de) * 1998-10-06 2000-08-24 Bosch Gmbh Robert Antriebsvorrichtung
DE19849514C2 (de) * 1998-10-27 2003-04-30 Bundesrep Deutschland Sonnenschutzmittel
JP5268213B2 (ja) * 2001-09-28 2013-08-21 株式会社 資生堂 消臭剤組成物及び化粧料
EP1539206A1 (de) * 2002-09-07 2005-06-15 Beiersdorf AG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mit einem gehalt an anti-freezing proteinen und/oder anti-freezing glycoproteinen
ITFI20030070A1 (it) * 2003-03-18 2004-09-19 Berlin Chemie Ag Formulazioni topiche stabilizzate contenenti ketoprofene
FR2854799A1 (fr) * 2003-05-16 2004-11-19 Cognis France Sa Utilisation d'extraits des graines de plantes appartenant au genre adenanthera pour la fabrication de preparations cosmetiques et/ou dermatologiques
JP2007500590A (ja) 2003-07-31 2007-01-18 ゾル−ゲ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ティーディー. 活性成分が充填されたマイクロカプセ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4606324B2 (ja) * 2005-12-28 2011-01-05 花王株式会社 消臭剤組成物
JP5240967B2 (ja) 2006-02-20 2013-07-17 株式会社 資生堂 油中水型乳化日焼け止め化粧料
JP5288521B2 (ja) * 2006-02-20 2013-09-11 株式会社 資生堂 油中水型乳化日焼け止め化粧料
JP4968706B2 (ja) * 2006-02-20 2012-07-04 株式会社 資生堂 低粘度油中水型乳化化粧料
DE102007005334A1 (de) * 2007-02-01 2008-08-07 Beiersdorf Ag Piperazinderivate in diolhaltigen kosmetischen Zubereitungen
WO2009020067A1 (ja) * 2007-08-03 2009-02-12 Kose Corporation 液状化粧料
JP5382904B2 (ja) 2008-02-19 2014-01-08 株式会社 資生堂 油中水型乳化日焼け止め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1210400B2 (en) 2013-11-21
CN102791249B (zh) 2014-03-26
JP5123333B2 (ja) 2013-01-23
CN102791249A (zh) 2012-11-21
EP2529727A4 (en) 2013-11-27
WO2011093018A1 (ja) 2011-08-04
EP2529727A1 (en) 2012-12-05
TWI491411B (zh) 2015-07-11
US20120288458A1 (en) 2012-11-15
US9492689B2 (en) 2016-11-15
TW201141531A (en) 2011-12-01
JP2011153079A (ja) 2011-08-11
ES2538010T3 (es) 2015-06-16
EP2529727B1 (en) 2015-03-04
HK1178080A1 (en) 2013-09-06
KR101304270B1 (ko) 2013-09-05
AU2011210400A1 (en) 201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4270B1 (ko) 유중 수형 유화 자외선 차단 화장료
KR101354795B1 (ko)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JP5382904B2 (ja) 油中水型乳化日焼け止め化粧料
JP5288521B2 (ja) 油中水型乳化日焼け止め化粧料
KR101371808B1 (ko)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JP6535329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ES2641520T3 (es) Composición de emulsión de agua en aceite
JP2007246521A (ja) 油中水型乳化日焼け止め化粧料
JP2007204459A (ja) 油中水型乳化日焼け止め化粧料
CN112566616A (zh) 乳化化妆品
JP2007217393A (ja) 低粘度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2021095349A (ja) 化粧料
CN111818902B (zh) 用于防止脱水收缩的油包水型化妆料组合物
WO2022054823A1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2023112790A (ja) 水中油型日焼け止め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