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0004A - 코어, 트랜스, 초크 코일 및 스위칭 전원 장치 - Google Patents

코어, 트랜스, 초크 코일 및 스위칭 전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0004A
KR20120110004A KR1020120018334A KR20120018334A KR20120110004A KR 20120110004 A KR20120110004 A KR 20120110004A KR 1020120018334 A KR1020120018334 A KR 1020120018334A KR 20120018334 A KR20120018334 A KR 20120018334A KR 20120110004 A KR20120110004 A KR 20120110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coil
members
transformer
choke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8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타로 모리
가츠시 야스하라
마사히로 가모우
쇼지 수사
마사히코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10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00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030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characterised by unspecified or heterogeneous hardness or specially adapted for magnetic hardness transitions
    • H01F1/0311Compounds
    • H01F1/0313Oxidic compounds
    • H01F1/0315Ferr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H01F27/10Liquid coo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열량이 적어, 온도 특성이 우수한 코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코어(10)는, 트랜스 또는 초크 코일 등에 사용되는 페라이트 소결체의 코어이다. 코어(10)는, 코일(12)이 둘러싸는 영역을 코일(12)의 축선 방향으로 확장한 범위(Ca)를 지나고, 또한 코일(12)의 축선 방향을 따라 코어(10)를 복수로 분할하는 복수의 코어 부재(10B)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복수의 코어 부재(10B)끼리는 적어도 1지점에서 접촉하고 있다. 또한, 복수의 코어 부재(10B) 중, 적어도 2개는 자기 저항적으로 병렬이 되도록 분할되어 있다.

Description

코어, 트랜스, 초크 코일 및 스위칭 전원 장치{CORE, TRANSFORMER, CHOKE COIL AND SWITCHING POWER SUPPLY}
본 발명은 트랜스나 초크 코일에 사용하는 코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발열을 저감시켜 온도 특성이 개선된 코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코어를 사용한 트랜스나 초크 코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트랜스나 초크 코일을 사용한 스위칭 전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위칭 전원 장치 등에 사용되는 트랜스나 초크 코일은, 동작시에 있어서 발열되기 때문에, 발열량이 적어 방열 특성이 우수한 코어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가 고온이 되지 않기 위하여 생각할 수 있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제1 방법으로는, 코어 자체를 발열시키지 않기 위하여 코어에 저손실의 자성 재료를 사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코어 자체를 발열시키지 않는 제1 방법의 다른 방법으로서, 코어 형상을 발열하기 어려운 형상으로 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E형 코어는, 중심 각부(脚部)의 단면적을 외측 각부의 단면적보다 크게 함으로써 축열(蓄熱)하기 쉬운 중심 각부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고 되어 있다. 또한, 코어를 고온으로 하지 않기 위한 제2 방법으로는, 발열된 코어로부터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에 방열용 부재 혹은 냉매를 접촉시켜 전열에 의하여 방열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효율적으로 방열하는 제2 방법의 다른 방법으로서, 코어를 방열하기 쉬운 형상으로 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코어는, 중심 각부에 방열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방열용 구멍 내의 외기(外氣)를 통하여 방열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방열용 구멍에 열전도율이 높은 방열용 부재를 삽입하여 방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고 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코어는, 상측 들보부에서 발생하는 열의 방열 루트를 확대함으로써, 코어의 방열 특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고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2-20372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9-88250호
그러나, 상기 서술한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기술을 이용하여도, 특히 발열량이 큰 트랜스나 초크 코일에 있어서는, 온도 상승의 억제가 불충분해지는 문제가 있어, 코어의 발열 저감을 위한 추가적인 개선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발열량이 적어, 온도 특성이 우수한 코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코어를 사용한 트랜스 및 초크 코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트랜스 및 초크 코일을 사용한 스위칭 전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코일이 권회되는 소결체의 코어로서, 상기 코일이 둘러싸는 영역을 상기 코일의 축선 방향으로 확장한 범위에서, 또한 상기 코일의 축선 방향을 따라 상기 코어를 복수로 분할하는 복수의 코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코어 부재끼리는 적어도 1지점에서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이다.
이 코어는, 코일의 축선 방향을 따라 발생한 자속이 가장 집중되는, 상기 코일이 둘러싸는 영역을 상기 코일의 축선 방향으로 확장한 범위 내에 위치하는 상기 코어를, 분할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이 코어는, 소성시에 발생한 변형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코어의 자기 손실이 저감되어, 발열량이 저감되므로, 코어의 온도 상승이 억제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코어 부재 중, 적어도 2개는 자기 저항적으로 병렬이 되도록 분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코어에 의하면, 분할하는 방향을 자기 저항적으로 병렬로 함으로써, 분할한 것에 의한 변형의 저감과 아울러, 코어 내부에 발생하는 와전류에 의한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코어의 자기 손실이 저감되어, 코어의 온도 상승이 억제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결체는 페라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소결체를 페라이트로 함으로써, 본래 자기 손실이 작은 페라이트의 손실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코어의 발열량은 더욱 저감되어, 온도 상승이 더욱 억제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코어 부재 중 적어도 1개는 방열용 부재 또는 냉매에 접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코어에 의하면, 분할된 코어 부재 중 적어도 1개가 방열용 부재 또는 냉매에 접하여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분할한 것에 의한 변형의 저감과 아울러, 코어의 방열 특성이 향상된다. 그 결과, 코어의 자기 손실의 저감에 의한 발열량의 저감과 아울러, 코어의 방열 특성의 개선과의 상승(相乘) 효과에 의해, 온도 상승이 더욱 억제된다.
본 발명은, 상기 코어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이다. 상기 코어를 사용함으로써, 발열량이 적은 트랜스가 제공되기 때문에, 트랜스가 전송하는 전력을 늘리거나, 트랜스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코어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크 코일이다. 상기 코어를 사용함으로써, 발열량이 적은 초크 코일이 제공되기 때문에, 초크 코일에 축적되는 전력을 늘리거나, 초크 코일을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트랜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전원 장치이다. 이 스위칭 전원 장치에 의하면, 트랜스가 발생하는 열량이 저감되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은 스위칭 전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초크 코일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전원 장치이다. 이 스위칭 전원 장치에 의하면, 초크 코일이 발생하는 열량이 저감되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은 스위칭 전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발열량이 적어, 온도 특성이 우수한 코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코어를 사용한 트랜스 및 초크 코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트랜스 및 초크 코일을 사용한 스위칭 전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관련된 코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관련된 코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코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코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 1의 변형예에 관련된 코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 2에 관련된 코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 2의 변형예에 관련된 코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 3에 관련된 코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 3에 관련된 코어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4에 관련된 코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 4의 변형예에 관련된 코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비교예 및 평가예의 온도 상승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형태에 기재한 내용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 기재한 구성 요소에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상정할 수 있는 것,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 균등한 범위인 것이 포함된다. 또한, 이하에 기재한 구성 요소는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 요소의 다양한 생략, 치환 또는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실시형태 1)
도 1은, 실시형태 1에 관련된 코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관련된 코어의 평면도이다. 코어(10)는, 코일(12)이 권회되는 소결체의 코어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코어(10)는, 페라이트의 소결체인데, 코어(10)의 재료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코어(10)는, 1개의 E형 코어를 복수로 분할한 복수의 코어 부재(10B)를 가지고, 이들을 조합한 것이다. 각각의 코어 부재(10B)는, 모두 E형 형상이다. 2개의 코어 부재(10B)가 조합되어 1개의 E형 코어가 된다. 2개의 상기 E형 코어를 1세트로 하여, 각각의 개구부를 마주보게 하여 코어(10)가 조립된다. 즉, 코어(10)는, 4개의 코어 부재(10B)를 가진다. 조립된 코어(10)를 트랜스 또는 초크 코일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코어(10)의 주각부(主脚部)(11)에 코일(12)을 권회한다. 그리고, 코일(12)의 축선 방향을 따라 발생한 자속(13)을 들보부(14)로부터 측각부(側脚部)(15)로 주회(周回)시켜 자기 회로를 형성한다.
복수의 코어 부재(10B)는, 도 2에 나타내는 코일(12)이 코어(10)를 둘러싸는 영역(Cc)을 코일(12)의 축선 방향으로 확장한 범위(Ca)(도 1 참조)를 지나고, 또한 코일(12)의 축선 방향을 따라 코어(10)를 복수로 분할한 것이다. 복수의 코어 부재(10B)끼리는, 적어도 1지점에서 접촉하고 있다. 복수의 코어 부재(10B)끼리의 접촉 면적은 가능한 한 큰 것이 바람직하고, 복수의 코어 부재(10B)끼리가 간극 없이 접촉하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자속의 통로의 분단이 억제되므로, 코어(10)의 성능 저하가 억제된다. 이 경우, 코어 부재(10B)끼리가 접촉하는 면은, 연마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코어 부재(10B)끼리의 접촉 면적을 보다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코어(10)의 성능 저하를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복수의 코어 부재(10B) 중, 적어도 2개는 자기 저항적으로 병렬이 되도록 분할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일(12)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코어(10)에 형성되어 코일(12)이 권회되는 2개의 구멍(16)이 관통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2개의 코어 부재(10B, 10B)가, 자기 저항적으로 병렬이 되도록 분할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자기의 통로가 분단되는 지점을 적게 할 수 있으므로, 코어(10)의 성능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코어 부재가 자기 저항적으로 병렬이 되도록 분할되는 점은, 이하의 변형예 및 실시형태 등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도 3은, 종래의 코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코어의 평면도이다.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코어(100)는, 주각부(111)에 권회된 코일(12)이 코어(100)를 둘러싸는 영역(Cc)을 코일(112)의 축선 방향으로 확장한 영역(Ca)에서, 코일(112)의 축선 방향을 따라 분할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종래의 코어(100)는, 발열이 컸다.
코어(10)는, 코일(12)이 둘러싸는 영역(Cc)을 코일(12)의 축선 방향으로 확장한 범위(Ca) 내에서, 코일(12)의 축선 방향을 따라 발생한 자속이 가장 집중된다. 본 실시형태의 코어(10)는, 코일(12)이 둘러싸는 영역(Cc)을 코일(12)의 축선 방향으로 확장한 범위(Ca)의 코어(10)를, 복수의 코어 부재(10B)로 분할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소성시에 발생한 코어(10)의 변형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코어(10)의 자기 손실이 저감되어, 발열량이 저감되므로, 코어(10)의 온도 상승이 억제된다.
코어(10)를 사용한 트랜스는, 발열량이 적어진다. 이 때문에, 코어(10)를 사용한 트랜스는, 전송 가능한 전력의 증가,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코어(10)를 사용한 초크 코일은, 발열량이 적어진다. 이 때문에, 코어(10)를 사용한 초크 코일은, 축적되는 전력의 증가,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코어(10)는, 주로 1개의 트랜스 또는 초크 코일 등에 사용된다. 코어(10)를 사용한 트랜스 또는 코어(10)를 사용한 초크 코일이 탑재된 스위칭 전원 장치는, 트랜스 또는 초크 코일이 발생하는 열량이 저감되기 때문에, 신뢰성이 향상된다.
도 5는, 실시형태 1의 변형예에 관련된 코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코어(10')는, 상기 서술한 코어(10)와 동일하지만, 분할 수가 다르다. 즉, 코어(10')는, E형 형상을 한 복수의 코어 부재(10J)를 가지고 있고, 3개의 코어 부재(10J)가 조합되어 1개의 E형 코어가 된다. 2개의 상기 E형 코어를 1세트로 하여, 각각의 개구부를 마주보게 하여 코어(10')가 조립된다. 즉, 코어(10')는, 6개의 코어 부재(10J)를 가진다. 코어(10')도, 상기 서술한 코어(10)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본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의 구성은, 이하에 있어서도 적절히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은, 본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실시형태 2)
도 6은, 실시형태 2에 관련된 코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 2의 변형예에 관련된 코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코어(10a)는, E형의 2개의 코어 부재(10C)와, I형의 2개의 코어 부재(10D)를 가진다. 2개의 E형의 코어 부재(10C)는, 각각이 중첩된다. 또한, 2개의 I형의 코어 부재(10D)는, 각각이 중첩된다. 중첩된 코어 부재(10C)는, 개구부가 중첩된 코어 부재(10D)를 향하여 조합된다. 이와 같이 하여, 코어(10a)가 조립된다.
도 7에 나타내는 코어(10b)는, E형의 2개의 코어 부재(10C)와, I형의 1개의 코어 부재(10I)를 가진다. 2개의 E형의 코어 부재(10C)는, 각각이 중첩되어, 개구부가 코어 부재(10I)를 향하여 조합된다. 이와 같이 하여, 코어(10b)가 조립된다.
코어(10a)도, 실시형태 1의 코어(10)와 마찬가지로, 코일(12)이 코어(10a)를 둘러싸는 영역을 코일(12)의 축선 방향으로 확장한 범위를 지나고, 또한 코일(12)의 축선 방향을 따라 코어(10a)를 복수로 분할하는 복수의 코어 부재(10C, 10D)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코어(10b)도, 코일(12)이 코어(10b)를 둘러싸는 영역을 코일(12)의 축선 방향으로 확장한 범위를 지나고, 또한 코일(12)의 축선 방향을 따라 코어(10b)를 복수로 분할하는 복수의 코어 부재(10C, 10I)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코어(10a, 10b)는, 소성시에 발생한 코어(10a, 10b)의 변형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코어(10a, 10b)의 자기 손실이 저감되어, 발열량이 저감되므로, 코어(10a, 10b)의 온도 상승이 억제된다.
복수의 코어 부재(10C, 10D)끼리 또는 코어 부재(10C, 10I)끼리가 적어도 1지점에서 접촉하고 있는 것, 복수의 코어 부재(10C, 10D)끼리 또는 코어 부재(10C, 10D)끼리의 접촉 면적은 가능한 한 큰 것이 바람직한 것, 복수의 코어 부재(10C, 10D)끼리 또는 코어 부재(10C, 10D)끼리가 간극 없이 접촉하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의 구성은, 이하에 있어서도 적절히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은, 본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실시형태 3)
도 8은, 실시형태 3에 관련된 코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 3에 관련된 코어의 평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코어(10c)는, 1개의 E형 코어를 2개로 분할한 U형의 코어 부재(10E)를 복수 가지고 있고, 이들을 조합한 것이다. 각각의 코어 부재(10E)는, 모두 U형 형상이다. 복수의 코어 부재(10E)는, 도 9에 나타내는 코일(12)이 코어(10c)를 둘러싸는 영역(Cc)을 코일(12)의 축선 방향으로 확장한 범위(Ca)(도 8 참조)를 지나고, 또한 코일(12)의 축선 방향을 따라 코어(10c)를 복수로 분할한 것이다.
2개의 코어 부재(10E)가 조합되어 1개의 E형 코어가 된다. 2개의 상기 E형 코어를 1세트로 하여, 각각의 개구부를 마주보게 하여 코어(10c)가 조립된다. 이와 같이, 코어(10c)는, 4개의 코어 부재(10E)를 가진다. 복수의 코어 부재(10E)끼리가 적어도 1지점에서 접촉하고 있는 것, 복수의 코어 부재(10E)끼리의 접촉 면적은 가능한 한 큰 것이 바람직하고, 복수의 코어 부재(10E)끼리가 간극 없이 접촉하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은, 실시형태 1, 2와 동일하다. 조립된 코어(10c)를 트랜스 또는 초크 코일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코어(10c)의 주각부(11c)에 코일(12)을 권회한다.
본 실시형태의 코어(10c)도, 상기 서술한 코어(10, 10a) 등과 마찬가지로, 코일(12)이 코어(10c)를 둘러싸는 영역을 코일(12)의 축선 방향으로 확장한 범위를 지나고, 또한 코일(12)의 축선 방향을 따라 코어(10c)를 복수로 분할하는 복수의 코어 부재(10E)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코어(10c)도, 상기 서술한 코어(10, 10a) 등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본 실시형태의 구성은, 이하에 있어서도 적절히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은, 본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실시형태 4)
도 10은, 실시형태 4에 관련된 코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코어(10d)는, 1개의 E형 코어를 2개로 분할한 U형의 코어 부재(10F)와, 각각의 코어 부재(10F)의 개구부와 조합되는 복수의 I형 형상의 코어 부재(10G)를 가지고 있고, 이들을 조합한 것이다. 즉, 코어(10d)는, 코어 부재(10F)의 개구부를 코어 부재(10G)를 향하여 조합하여 1개의 코어로 하고, 이들을 2개 조합함으로써 조립된다. 복수의 코어 부재(10E, 10G)는, 코일(12)이 코어(10d)를 둘러싸는 영역을 코일(12)의 축선 방향으로 확장한 범위를 지나고, 또한 코일(12)의 축선 방향을 따라 코어(10d)를 복수로 분할하고 있다.
코어(10d)는, 복수의 코어 부재(10F, 10G)끼리가 적어도 1지점에서 접촉하고 있는 것, 복수의 코어 부재(10F, 10G)끼리의 접촉 면적은 가능한 한 큰 것이 바람직하고, 복수의 코어 부재(10F, 10G)끼리가 간극 없이 접촉하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은, 실시형태 1 내지 3과 동일하다. 이 점은, 후술하는 변형예에서도 동일하다. 조립된 코어(10d)를 트랜스 또는 초크 코일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코어(10d)의 주각부(11c)에 코일(12)을 권회한다.
본 실시형태의 코어(10d)도, 상기 서술한 코어(10, 10a) 등과 마찬가지로, 코일(12)이 코어(10d)를 둘러싸는 영역을 코일(12)의 축선 방향으로 확장한 범위를 지나고, 또한 코일(12)의 축선 방향을 따라 코어(10d)를 복수로 분할하는 복수의 코어 부재(10F, 10G)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코어(10d)도, 상기 서술한 코어(10, 10a) 등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도 11은, 실시형태 4의 변형예에 관련된 코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변형예의 코어(10e)는, 1개의 E형 코어를 2개로 분할한 U형의 코어 부재(10F)를 가지는 점은 실시형태 4의 코어(10d)와 동일하지만, 각각의 코어 부재(10F)의 개구부와는, 1개의 I형 형상의 코어 부재(10I)가 조합되는 점이 다르다. 다른 점은, 코어(10d)와 동일하다. 이 때문에, 코어(10e)도, 코어(10d)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본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은, 본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 서술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코어 단체(單體)의 형상의 개선에 의한 온도 상승 저감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코어에 방열용 부재 또는 냉매를 접촉시키고, 코어로부터 냉매로의 전열에 의해 방열시키는 방법을 병용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코어가 보다 냉각되므로 코어의 온도 상승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
(평가예)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의 코어를 평가하였다. 먼저, 비교예로서, Mn-Zn계 페라이트의 재질 A 및 Mn-Zn-Ti계 페라이트의 재질 B를 사용하여, 도 3, 도 4에 나타내는 종래의 코어(100)의 온도 상승을 측정하였다. 온도 상승은, 다음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먼저, 코어의 초기 온도를 100℃로 하고, 상기 초기 온도가 안정된 후, 코어(100)의 주각부(111)에서 최대 자속 밀도 230mT를 발생시키고, 주파수 100kHz로 연속하여 코어(100)를 여자하여 코어(100)의 온도가 안정된 시점에서, 열전대로 코어(100)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이에 의해, 코어(100)의 온도 상승을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평가예로서, 비교예와 마찬가지로 재질 A 및 재질 B를 사용하여, 도 5에 나타내는 코어(10')의 온도 상승을 측정하였다. 코어(10')의 온도 상승은, 비교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온도 상승률 ΔT로 나타낸다. 비교예, 평가예의 온도 상승률 ΔT는, 코어(100, 10')의 재질마다, 각각 비교예의 온도 상승을 1로 하였을 때의 비율로 나타냈다.
도 12는, 비교예 및 평가예의 온도 상승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질 A에 있어서, 평가예는, 비교예에 대하여 온도 상승률 ΔT가 0.43으로서, 코어의 온도 상승을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 있었다. 또한, 재질 B에 있어서도, 평가예는, 비교예에 대하여 온도 상승률 ΔT가 0.78로서, 코어의 온도 상승을 저감시킬 수 있었다.
10, 10', 10a, 10b, 10c, 10d, 10e, 100 코어
10B, 10C, 10D, 10E, 10F, 10G, 10I, 10J, 100A 코어 부재
11, 11c, 11d, 111 주각부
12, 112 코일
13 자속
14 들보부
15 측각부
16 구멍

Claims (8)

  1. 코일이 권회되는 소결체의 코어로서,
    상기 코일이 둘러싸는 영역을 상기 코일의 축선 방향으로 확장한 범위에서, 또한 상기 코일의 축선 방향을 따라 상기 코어를 복수로 분할하는 복수의 코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코어 부재끼리는 적어도 1지점에서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코어 부재 중, 적어도 2개는 자기 저항적으로 병렬이 되도록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결체는 페라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코어 부재 중 적어도 1개는 방열용 부재 또는 냉매에 접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코어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코어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크 코일.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코어를 사용한 트랜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전원 장치.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코어를 사용한 초크 코일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전원 장치.
KR1020120018334A 2011-03-28 2012-02-23 코어, 트랜스, 초크 코일 및 스위칭 전원 장치 KR201201100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71080A JP2012204814A (ja) 2011-03-28 2011-03-28 コア、トランス、チョークコイル及び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JP-P-2011-071080 2011-03-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004A true KR20120110004A (ko) 2012-10-09

Family

ID=46948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334A KR20120110004A (ko) 2011-03-28 2012-02-23 코어, 트랜스, 초크 코일 및 스위칭 전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2204814A (ko)
KR (1) KR20120110004A (ko)
CN (1) CN10272317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74833B2 (ja) * 2012-11-02 2016-08-23 Tdk株式会社 コイル装置
JP5974832B2 (ja) * 2012-11-02 2016-08-23 Tdk株式会社 コイル装置
JP6094251B2 (ja) * 2013-02-19 2017-03-15 Tdk株式会社 コイル装置
KR101510334B1 (ko) * 2013-12-03 2015-04-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변압기의 방열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915U (ja) * 1981-07-16 1983-01-27 勝山 慎治 高周波大容量変圧器用鉄心
DE19627585A1 (de) * 1996-07-09 1998-01-15 Thomson Brandt Gmbh Hochspannungstransformator für einen Fernsehempfänger
JPH10289825A (ja) * 1997-04-14 1998-10-27 Fuji Electric Co Ltd 静止誘導電器
JP2001015350A (ja) * 1999-04-27 2001-01-19 Tdk Corp コイル装置
JP3692281B2 (ja) * 2000-06-21 2005-09-07 三誠産業株式会社 高周波トランス
JP2005228858A (ja) * 2004-02-12 2005-08-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溶接トランス
JP5601661B2 (ja) * 2009-09-11 2014-10-08 Fdk株式会社 大電力用インダクタン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204814A (ja) 2012-10-22
CN102723174A (zh)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1532B1 (ko) 트랜스포머
JP5601661B2 (ja) 大電力用インダクタンス装置
US20140368059A1 (en) Transformer,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former
KR20120110004A (ko) 코어, 트랜스, 초크 코일 및 스위칭 전원 장치
JP2008021688A (ja) リアクトル用コア
JP6490355B2 (ja) リアクトル部品及びリアクトル
JP5844766B2 (ja) カップルドインダクタ
JP6064943B2 (ja) 電子機器
JP5527121B2 (ja) 誘導機器の放熱構造
JPWO2017208333A1 (ja) 磁性部品
JP2012156351A (ja) 磁気コア
US9941043B2 (en) Core for an electrical induction device
JP2013131540A (ja) コア、トランス、チョークコイル及び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08186904A (ja) リアクトルおよび空調機
JP2016025273A (ja) 巻線部品
JP2005045057A (ja) 変圧器の巻線構造
JP6781528B1 (ja) リアクトル及び電力変換装置
WO2017159010A1 (ja) コイル部品の放熱構造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コイル部品
JP5516923B2 (ja) リアクトル、およびコンバータ
US11798724B2 (en) Core
US9721716B1 (en) Magnetic component having a core structure with curved openings
JP6081181B2 (ja) トランス用コアおよびトランス
US20220406509A1 (en) Transformer arrangement
JP2010192742A (ja) リアクトル
JP2009290061A (ja) 誘導電磁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