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9454A - 증기 기포 침투식 가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열 방법 - Google Patents

증기 기포 침투식 가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9454A
KR20120109454A KR1020120104429A KR20120104429A KR20120109454A KR 20120109454 A KR20120109454 A KR 20120109454A KR 1020120104429 A KR1020120104429 A KR 1020120104429A KR 20120104429 A KR20120104429 A KR 20120104429A KR 20120109454 A KR20120109454 A KR 20120109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pace
container
closed space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4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창근
신이슬
Original Assignee
신이슬
신창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이슬, 신창근 filed Critical 신이슬
Priority to KR1020120104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9454A/ko
Publication of KR20120109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94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20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 F24H1/201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3/00Stoves or rang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heatin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06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using electrically heated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Abstract

용기, 이 용기의 내부 공간을 닫힌 공간과 열린 공간으로 나누며,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이들 두 공간을 잇는 다수의 미세 구멍이 형성되는 다공 벽체, 용기의 닫힌 공간에 놓이는 전기 히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증기 기포 침투식 가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열 방법이 개시된다. 닫힌 공간 내부에는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별도의 물 투입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 장치를 이용한 가열 방법은 가열 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열린 공간에는 액상의 가열 대상물이 수용되어 닫힌 공간의 수증기가 다공 벽체를 통해 열린 공간에 방출될 때 미세 기포 형태로 방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수중 히터를 통한 가열에서 닫힌 공간 내부에서는 히터에 의해 큰 수증기 기포가 발생하여 다공 벽체를 통과하면서 미세 기포의 형태로 조리 용기 내의 가열 대상 속으로 방출되어 물과 닿는 표면적이 늘어나게 되고, 미세 기포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더 많은 열이 가열 대상 물질로 전달되므로 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증기 기포 침투식 가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열 방법{heating apparatus using water vapour bubbl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리기구나 보일러와 같은 가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효율을 높일 수 있는 내부 가열식 전기 히터를 가지는 가열장치 및 가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열기구에서 열효율은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가열기구에서 용기 내에 가열 대상물, 가령, 조리 재료를 넣고 외부에서 용기를 가열하는 방식에서는 가열 과정에서 가열에 사용되지 않는 열이 많아 연료비용이 많이 든다.
또한, 가열에 사용되지 않는 열과 증기에 의해 조리실 내의 온도와 습도가 높아져 조리실의 조리 환경을 열악하고 비위생적으로 만든다.
가열기구 내의 물 속에 전기 히터를 넣어 외부 가열에 비해 조리상의 열효율을 높일 수 있는 수중(내부 가열) 히터가 사용될 수 있다. 수중 히터는 물을 포함하는 식재료를 용기 내부에서 직접 가열하므로 주변으로의 열누출이 줄어들고, 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내부 가열 히터는 용기 바닥 전체를 가열하여 식재료(물)에 열을 전달하는 외부 가열 방식에 비해 좁은 히터 면에서 집중적으로 식재료에 열을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히터 주변의 한정된 부분에서만 집중적으로 온도가 높아져 수증기 기포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수증기 기포는 비중차에 의해 떠오르면서 주변의 물과 열교환을 하여 일부는 다시 물이 되지만 대부분의 증기는 물 밖으로 나가고, 용기 밖으로 나가게 된다. 이때 증기는 많은 기화열을 포함하므로 재료 가열에 이용되는 열의 양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는 난방의 용도로 물을 가열하는 난방용 보일러 장치 등에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제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수중 히터를 이용한 조리 장치나 난방 장치에서의 열효율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중 히터로 가열 대상을 가열할 때 부분적으로 큰 기포가 발생하여 열이 가열 대상의 온도 증가를 위해 충분히 전달되지 못하고 가열 대상 밖으로 누출되어 열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줄일 수 있는 전기 가열장치 및 가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열장치는, 용기,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을 닫힌 공간과 열린 공간으로 나누며,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이들 두 공간(닫힌 공간과 열린 공간)을 잇는 다수의 미세 구멍이 형성되는 다공 벽체(다공 판), 용기의 닫힌 공간에 놓이는 전기 히터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가열장치에서 다공 벽체에 의한 닫힌 공간 내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별도의 물 투입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전기 히터가 놓이는 닫힌 공간에 물을 공급하기 물 투입 수단은, 단순히 닫힌 공간 폐쇄 전에 물을 공급하도록 닫힌 공간을 둘러싸는 다공 벽체나 용기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여 닫힌 공간 내로 외부의 물이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개폐장치나 기타 물 공급장치, 가열이 이루어지는 중에도 닫힌 공간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여 외부의 물을 투입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센서, 물 공급 파이프 및 밸브 장치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열 장치에서 다공 벽체는 용기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기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용기는 오목하게 이루어져 가열 대상을 수용할 수 있는 단일의 용기이거나, 상하가 개방된 대략 통형을 이루는 측면 벽체(측벽) 하부에 가열 대상이 아래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도록 결합되는 저면 벽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용기일 수 있다.
다공 벽체는 다수의 미세 구멍을 통해 닫힌 공간 내부의 수증기를 열린 공간에 있는 가열 대상물 내에 기포 형태로 배출시킬 수 있는 재질이나 가공체로 이루어진다. 다공 벽체로는 금속판에 미세한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열 방법은 상기 가열 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열린 공간에는 액상의 가열 대상물이 수용되어 닫힌 공간의 수증기가 다공 벽체를 통해 열린 공간에 방출될 때 미세 기포 형태로 방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중 히터를 통한 가열에서 닫힌 공간 내부에서는 히터에 의해 수증기가 많이 발생하여도 이 수증기는 다공 벽체를 통해 미세 기포의 형태로 조리 용기 내의 가열 대상(물) 속으로 방출되고, 방출되는 수증기 전체 체적이 같다면 개별 기포가 미세할수록 물과 닿는 표면적이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미세 기포는 가열 대상 물질 속에서 상승하는 과정에서 대부분의 열을 대상 물질로 전달하고 물로 환원되므로 수증기 형태로 가열 대상물질 밖으로 빠져나가, 외부로 열에너지가 쉽게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높은 열효율로 다량의 열수를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으므로 열수를 필요로하는 조리장의 조리기구나 전기 보일러 등에 특히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물과 수증기의 접촉면적이 넓어 가열 효과를 즉시 얻을 수 있으므로 예열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가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구분공간 내의 수량(水量) 자동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 블럭도,
도3 및 도4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가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1을 참조하면, 가열장치의 용기는 용기상부(511)와 용기하부(513)가 다공 벽체(520)가 설치된 부분을 기점으로 나뉘고, 용기상부(511)는 다공 벽체와 함께 열린 공간을, 용기하부(513)는 다공 벽체(520)와 함께 닫힌 공간을 이룬다. 전체적으로 용기 상단 입구 면적, 다공 벽체 면적, 용기의 하단 바닥면 면적은 거의 같다.
닫힌 공간에는 용기하부(513)의 측면을 관통하는 히터(530)와 보충수 배관(551)이 설치된다. 히터(530)를 설치하기 위한 용기 측면의 홀은 나사의 너트와 같은 역할을 하며, 히터(530)의 결합부(531)는 백열전구를 소켓에 끼우기 위한 나사형성부와 같이 볼트의 역할을 한다. 용기 측면의 홀 부분은 패킹(527)이나 실링재 등을 이용하여 기밀을 유지하도록 밀봉된다.
용기상부(511)와 용기하부(513)를 가진 전체 용기는 측면과 저면이 전기밥솥의 외솥과 같은 외부 용기(500)에 의해 감싸져 열이 전체 용기 저면 및 측면을 통해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외부 용기(500)에는 힌지 구조(610)에 의해 뚜껑(600)이 결합된다. 뚜껑(600)은 잘 알려진 전기밥솥의 뚜껑과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온, 단열의 기능과 일정 압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힌지 구조(600)를 통해 미도시된 스위치를 장착하여 뚜껑(600)이 외부 용기(500)에 밀착되어 닫힐 때에만 전기 히터(530)에 전기가 통하도록 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명확히 표시되지 않지만, 다공 벽체(520)와 결합된 용기상부(511)와 용기하부(513)가 착탈되거나, 다공 벽체(520) 자체가 용기로부터 착탈되거나, 용기하부(513)의 저면이 용기하부의 측면으로부터 착탈되어 닫힌 공간의 내부에 대한 세정과 정비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방법을 보면, 다공 벽체(520)와 용기하부(513) 내면으로 둘러싸인 닫힌 공간에 물이 공급되고, 열린 공간에 가열 대상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히터(530)를 가동하여 가열을 시작한다.
먼저 히터(530) 표면의 고온에 의해 커다란 수증기 기포(431)가 닫힌 공간 내의 물층(430)에서 형성된다. 기포(431)가 부상하여 닫힌 공간 상층에는 수증기층(420)이 형성된다. 가열이 계속되면 계속 기포가 발생하고, 내부 압력이 높아져 닫힌 공간을 덮는 다공 벽체(520)의 미세 구멍을 통해 수증기가 방출된다. 이때 수증기는 다공 벽체(520)를 통과하면서 미세 구멍에 의해 미세 기포(411)가 되어 가열 대상물(410) 속으로 침투된다.
가열 대상물(410) 속에서는 미세 기포(411)를 이루는 수증기는 밀도차에 의해 상승하지만 그 과정에서 표면을 통해 가열 대상물(410)에 열을 전달하면서 상당부분이 기화열을 잃고 물이 된다. 미세 기포(411)는 매우 많은 숫자로 발생하므로 그 전체 표면적은 매우 넓다. 따라서 기포와 가열 대상물의 열전달 면적이 넓어지며, 이들 사이의 열전달을 방해하는 매개체는 없으므로 효율적 열전달이 이루어진다.
또한, 열린 공간의 저면 면적이 다공 벽체(520) 면적이 되므로 기포는 가열 대상물에 내에 고르게 분포하게 된다. 따라서, 기포를 통한 열전달이 가열 대상물 전체에 고르게 이루어지고, 더욱 효율적인 열전달을 할 수 있다.
히터(530)의 결합부(531)는 외부 전원과의 연결을 위한 도선(541) 등 전기 접속부를 가진다. 히터(530)는 여러 가지 형태로 제작될 수 있지만 니크롬선과 같은 저항체(532)를 코일형태로 두 전기전극에 연결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음식물 성분과 함께 닿아 코일이 부식되거나, 인체에 해로운 성분이 만들어지고 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스 히터(sheath heater) 형태로 표면에 스테인레스관(533)이 저항체(532)를 감싸고 있다. 히터 코일을 감싸는 보호관으로 스테인레스 외의 다른 재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도시되지 않지만 보호관 없이 세라믹 캡이나 코팅을 저항체 외측에 씌우는 것도 가능하다.
다공 벽체(520)는 가령, 0.1 내지 0.4mm 두께의 금속판에 에칭으로 0.1 내지 0. 3mm 폭의 홀이나 슬릿을 다수 형성하고 이 금속판을 성형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혹은, 금속망체로서 0.1mm 내지 0. 3mm 폭의 슬릿이 다수 형성된 것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런 홀이나 슬릿은 미세 기포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매우 작아 이 구멍을 통과한 수증기는 열린 공간 내의 물과 같은 액상 물질을 통과할 때에는 초기 직경이 작은 가령, 1~2mm의 기포가 될 수 있고, 그 크기는 히터 용량 조절 등을 통해 닫힌 공간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여 변동될 수 있다.
다공 벽체로서 금속판은 내구성이나 세척 편의성을 위해 바람직하며, 금속판에 다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에칭외에도 금속 밴드를 병렬로 배열하고 그 사이를 군데군데 용접하여 밴드 사이의 용접되지 않은 틈으로 증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도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닫힌 공간(20) 내에 설치되는 히터(30) 및 물 공급 장치와 이를 가동하기 위한 주변 구성이 개념적으로 나타나 있다.
물 공급 장치로서 보충수 배관(51)은 외부의 온수 배관이나 수도 배관과 연결될 수 있으며, 배관 상에는 자동조절 밸브(65)가 설치된다. 닫힌 공간(20) 내부에는 수위센서나 온도센서 형태의 센서(61)가 설치된다. 센서(61)는 자동조절 밸브(65)와 직접 연결될 수 있지만 여기서는 콘트롤러(63)를 통해 자동조절 밸브(65)와 연결된다. 경보장치(67)로는 부저와 같은 소리 신호기, LED 깜빡이와 같은 시각 신호기가 단독으로 혹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히터 가열이 진행되어 닫힌 공간 내에서 물이 소진되어 센서(61)가 물 밖으로 드러나게 되면 센서(61)는 수위나 온도를 감지한다. 센서(61)에서 외부로 인출되는 신호선은 콘트롤러(63)를 통해 물부족 신호를 보내고, 콘트롤러(63)는 자동조절 밸브(65)를 열어 보충순 배관(51)을 통해 보충수를 닫힌 공간 내부로 유입시킨다. 자동조절 밸브(65)가 고장난 경우나, 외부 보충수 배관(51)이 단수된 경우에는 물보충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센서(61)는 물부족 신호를 계속 보내게 되고, 콘트롤러(63)는 신호 기간을 감지하여 경보장치(67)를 가동하는 한편으로 전원과 히터(30)를 잇는 도선(41) 상에 있는 전기 차단기를 작동시켜 가열(조리)를 중단하게 된다.
히터(30)는 닫힌 공간 가운데 하부에 설치되면서 용기 저면에 닿지 않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닫힌 공간 내에서 가열이 이루어질 때 히터가 쉽게 물 밖으로 드러나지 않게 되며, 직접적인 열전도를 통해 열이 용기에 전달되면서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센서(61)는 히터(30) 인근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터가 물 속에 잠겨있는 경우, 물의 증발열에 의해 히터의 온도는 일정 이하로 유지되지만, 물이 부족한 상태에서 수증기에 노출되면 히터의 온도 및 수증기의 온도는 그 일정 온도를 넘어 상승하게 된다.
도시되지 않지만 히터와 직렬로 PTC(positive thermal coefficient) 소자나 바이메탈을 설치하면 이들은 센서인 동시에 전기 차단기의 작용을 할 수도 있다.
도3 및 도4는 본 발명 장치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용기의 측벽(110)은 원통형 일체로 이루어지고, 다공 벽체(120)는 원판 형태로 용기 측벽(110) 내면에 결합되어 그 상부를 열린 공간, 그 하부를 닫힌 공간으로 구분하고 있다. 용기 측벽(110) 하단에는 용기 측벽과 별도로 이루어진 용기 저면(140)이 결합되어 용기 저면(140)은 닫힌 공간을 감싸는 벽체 일부를 이루고 있다.
용기 측벽(110)과 용기 저면(140)은 결합부(160)에서 결합되어 전체가 용기를 이루고 있다. 결합부(160)는 슬리브 이음이나 별도의 탈부착 장치를 이용한 여러 가지 형태로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저면(140)의 주변부에 상향 설치된 슬리브(sleeve) 구조체의 외측면과 용기 측벽(110) 하단 내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사 결합을 하고, 경계부에는 밀봉을 위한 패킹(161)을 두고 있다.
히터(130)의 구성이나, 물보충 배관(150)은 위 실시예에서 살펴본 형태와 유사하되 설치 편의를 위하여 용기 저면(140)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이런 경우, 용기 측벽과 용기 저면을 분리하면 내부 세정이나 이들 구성 요소의 유지 보수가 쉽게 된다.
단, 이 실시예에서는 히터(130)를 용기 저면(140)에 설치하기 위해 히터를 이루는 히터 코일(132) 및 이을 감싸고 있는 스테인레스관(133) 대부분이 수직하게 설치되는 히터 소켓(131) 부분에서 절곡되어 수평으로 설치된다.
이 실시예에서도 직접 도시되지 않지만 도2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센서, 콘트롤러, 조절 밸브, 전기 차단기, 경보장치 등이 닫힌 공간 내부 및 주변에 더 설치될 수 있으며, 다공 벽체나 히터의 세부 구성과 용기 내에서 가열 대상물이 가열되는 작용, 효과는 이전 실시예와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4를 참조하면, 용기 측면(210)이나 용기 저면(240)의 구성은 도3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이루어진다. 단, 여기서는 결합부(260)에서 용기 측면과 용기 저면은 슬리브 이음으로 결합되며, 경계부에는 패킹이 설치되고, 용기 외측에 걸이쇠와 같은 별도의 착탈 보조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도4의 실시예에서는 다공 벽체(220) 및 히터(230)의 설치 구조가 이전 실시예들과 많은 차이를 가진다. 우선, 히터는 일측에서 용기 측벽(210)을 따라 수직으로 뻗어 있고, 용기 측벽(210)과 함께 이 히터를 측방에서 감싸면서 용기 측벽(210), 용기 저면(240)과 함께 닫힌 공간 내에 별도의 증기 발생 공간(280)을 형성하고 있는 보조 벽체(270)가 설치된다. 보조 벽체는 용기 저면이나 용기 측벽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되어 용기 저면이나 측벽에 결합될 수도 있다.
보조 벽체(270) 상단은 히터 상단보다 위쪽으로 설치되고, 증기 발생 공간을 이루는 용기 저면에는 히터(230)와 물보충 배관(250)이 결합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도 직접 도시되지 않지만 증기 발생 공간(280) 내와 그 주변부에 도2의 실시예와 같이 저수위 센서, 콘트롤러, 조절 밸브, 전기 차단기, 경보장치 등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단, 닫힌 공간 내에서도 증기 발생 공간에만 보충수가 투입되도록 하고, 보조 벽체를 넘어서 닫힌 공간의 나머지 부분에는 보충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별도의 고수위 센서를 보조 벽체(270) 상단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 벽체(220)는 증기 발생 공간(280)을 그 하부에 두기 위해 증기 발생 공간 부근에서는 주변보다 높게 단차 부분을 이루게 된다. 단차 부분(224)을 이루는 측벽과 상단 평면 부분은 미세 구멍이 포함되지 않고, 면적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저단 평면 부분(222)만 미세 다공(221)을 가지도록 한다.
이 실시예에서의 가열이 이루어지는 예시적 과정을 보면, 먼저, 증기 발생 공간(280)에 물보충 배관(250)을 통해 물이 공급된다. 히터의 코일에 전원이 인가되어 가열이 시작된다. 고온의 히터 표면에서 물이 수증기로 되어 상승하면 닫힌 공간 내에서 다공 벽체(200)의 단차 부분(224)으로 감싸진 상단부터 수증기가 채워진다. 가열이 계속되면 닫힌 공간에서 수증기로 채워진 공간이 증가하게 된다. 즉, 수증기는 단차 부분(224) 측벽과 보조 벽체(270) 사이의 공간을 모두 채우 내려가고, 다공 벽체의 저단 평면 부분(222) 하부 공간에도 조금씩 수증기층을 형성하게 된다. 이 수증기층은 다공 벽체의 저단 평면 부분(222)에 있는 미세 구멍을 통해 열린 공간의 가열 대상물 속으로 미세 기포 형태로 침투하게 된다.
이 과정이 계속되면서 저단 평면 부분(222) 하부 공간에 가열 과정 처음부터 존재하여 잔류하는 액상의 물질이 있다면 증기 발생 공간에서 유입된 고온 고압이 수증기층에 의해 조금씩 수증기를 형성하게 되고, 이 수증기는 증기 발생 공간에서 공급된 수증기와 함께 다공 벽체의 미세구멍을 통해 열린 공간의 가열 대상물에 기포 형태로 침투하여 대상물을 가열하게 된다.
한편, 가열이 종료되면 열린 부분의 가열 대상 액상물질은 역으로 다공 벽체의 미세구멍을 통해 닫힌 부분으로 유입될 수 있지만 단차 부분(224)의 측벽과 보조 벽체(270) 사이의 공간에 채워진 기체의 압력에 의해 증기 발생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증기 발생 공간으로의 유입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서는 보조 벽체(270) 상단이 용기 측면(210)의 상단과 거의 같은 준위에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6)

  1. 용기,
    상기 용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을 닫힌 공간과 열린 공간으로 나누며,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상기 열린 공간과 상기 닫힌 공간을 연결하는 다수의 미세 구멍이 형성되는 다공 벽체, 상기 용기의 닫힌 공간에 놓이는 전기 히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증기 기포 침투식 가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 벽체는 상기 미세 구멍으로서 홀(hole)이나 슬릿(slit)이 다수 형성된 금속판 또는 금속망체로 이루어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기포 침투식 가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닫힌 공간 내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별도의 물 투입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기포 침투식 가열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물 투입 수단으로 보충수 배관이 구비되고,
    상기 보충수 배관에는 자동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닫힌 공간 내부에는 상기 닫힌 공간 내의 물 양의 부족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센서가 물 양의 부족을 감지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면 상기 신호에 의해 상기 자동 밸브가 열려 상기 닫힌 공간 내부로 보충수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기포 침투식 가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히터는 상기 용기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용기의 저면은 상기 용기의 측면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기포 침투식 가열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3항, 제 5항 가운데 어느 한 항의 증기 기포 침투식 가열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상기 열린 공간에는 액상의 가열 대상물이 수용되도록 하여 상기 닫힌 공간의 수증기가 상기 다공 벽체의 미세 구멍을 통해 상기 열린 공간에 방출될 때 기포 형태로 방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기포 침투식 가열장치의 사용방법.
KR1020120104429A 2012-09-20 2012-09-20 증기 기포 침투식 가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열 방법 KR201201094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429A KR20120109454A (ko) 2012-09-20 2012-09-20 증기 기포 침투식 가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429A KR20120109454A (ko) 2012-09-20 2012-09-20 증기 기포 침투식 가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열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5918A Division KR101222567B1 (ko) 2010-03-23 2010-03-23 증기 기포 침투식 가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9454A true KR20120109454A (ko) 2012-10-08

Family

ID=47280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4429A KR20120109454A (ko) 2012-09-20 2012-09-20 증기 기포 침투식 가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945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48359A (zh) * 2015-03-25 2015-07-01 胡振强 高效锅炉
KR20190025179A (ko) * 2017-08-31 2019-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차량의 냉각수 가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48359A (zh) * 2015-03-25 2015-07-01 胡振强 高效锅炉
KR20190025179A (ko) * 2017-08-31 2019-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차량의 냉각수 가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58798B1 (en) Steam generator for cooking apparatus
CN104603536B (zh) 蒸汽发生装置
WO2010143678A1 (ja) 蒸気調理器
CA2690268A1 (en) Steam generator, cooking device, method for the operation and manufacture of a steam generator and method for cooling of a heating device
KR101222567B1 (ko) 증기 기포 침투식 가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열 방법
KR20120109454A (ko) 증기 기포 침투식 가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열 방법
KR101224626B1 (ko) 자동 수위 조절이 가능한 중탕기
CN111035231B (zh) 蒸发器设备以及具有蒸发器设备的电气器具
KR101264271B1 (ko) 면류 조리기
CN112971516A (zh) 操作蒸汽发生器的方法、蒸汽发生器和具有蒸汽发生器的烹饪装置
CN217218775U (zh) 蒸汽发生装置和具有其的烹饪装置
KR101615261B1 (ko) 스팀 프라이팬
JP4186821B2 (ja) 炊飯器
JP3902772B2 (ja)
JP2018136052A (ja) 蒸気発生装置
KR20150019454A (ko) 하부 직가열타입 히팅수단이 구비된 구이용 로스터
CN215424105U (zh) 电热蒸汽桶
KR200238469Y1 (ko) 찜통기
JP3059146U (ja) 蒸気式調理器
KR102698285B1 (ko) 조리기용 스팀 공급장치
JP2005152196A (ja) 炊飯器
CN100579426C (zh) 一种电蒸笼
ES2828056T3 (es) Caldera
KR20080002340U (ko) 스팀 보일러 급수시스템
WO2020135980A1 (en) A steam generator for steam ov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