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7393A - 용지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용지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7393A
KR20120107393A KR1020110025060A KR20110025060A KR20120107393A KR 20120107393 A KR20120107393 A KR 20120107393A KR 1020110025060 A KR1020110025060 A KR 1020110025060A KR 20110025060 A KR20110025060 A KR 20110025060A KR 20120107393 A KR20120107393 A KR 20120107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housing
fixed
adsorpt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1439B1 (ko
Inventor
임효진
Original Assignee
임효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효진 filed Critical 임효진
Priority to KR1020110025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1439B1/ko
Publication of KR20120107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7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8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pneumatic force
    • B65H3/0808Suction grippers
    • B65H3/0816Suction grippers separating from the top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1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pusher, needles, friction, or like devices adapted to feed single articles along a surface or 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 B65H2301/42324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from top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65H2403/41Rack-and-pinion, cogwheel in cog rail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5/00Actuating means
    • B65H2555/10Actuating means lin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지를 한 장씩 신속하고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용지공급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적층된 최 상측에 위치하는 용지의 외곽부 측에 밀착되어 흡착이 실시되는 제1흡착판과, 상기 용지의 중앙부 측에 밀착되고 상기 제1흡착판의 흡착이 실시된 이후 흡착이 실시되는 제2흡착판으로 이루어진 리프트수단; 상기 리프트수단과 함께 상승된 상기 용지의 일측 단부를 밀어 가공위치까지 교대로 전달하도록 교번으로 왕복운동하는 한 쌍의 공급수단; 및 상기 공급수단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됨으로써, 한 장의 용지씩 신속하게 정확하게 리프팅 되고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용지공급장치{APPARATUS FOR PAPER SUPPLY}
본 발명은 용지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지를 공급할 때 흡착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한번에 한 장씩 정확하게 분리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용지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이재 원단을 이용한 제품으로는 포장박스 등이 널리 이용되며, 이러한 포장박스의 경우 인쇄는 물론 적정 규격으로의 절곡과 절취를 위한 가공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이 가공장치로 용지를 지속적이고 균일하게 공급하기 위해 다양한 구성의 공급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흡착수단을 통해 용지를 흡착하여 공급하는 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흡착을 통해 용지를 공급하는 장치는 용지를 흡착하는 흡착수단과 용지를 밀어주는 공급부재가 단일로 구비된다. 따라서 흡착수단은 용지를 흡착한 뒤 흡착된 용지를 공급부재가 밀어 가공장치로 전달하고, 공급부재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 올 때까지 정지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에 따라 공급부재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면 흡착부재는 다음 용지를 흡착하고 공급부재는 용지를 가공장치로 전달한다. 이러한 반복적인 동작에 의해 용지를 가공장치로 전달하는데 공급부재가 단일로 구비됨으로써 흡착수단의 작동정지시간이 발생하여 작업의 효율이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2009년 8월21일자로 출원된 "용지공급장치(등록번호 10-0959200)"를 통해 가공장치로 용지를 공급함에 있어 연속적인 공급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공급부재가 구비되는 용지공급장치를 개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구조의 용지공급장치는 리프트수단을 이루는 흡착판이 용지에 동시에 흡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용지가 여러장이 흡착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한 장의 용지만 정확하게 흡착하여 이동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급하고자 하는 용지가 정확하게 한 장씩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용지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장의 용지가 한꺼번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한 장의 용지만 정확하게 흡착할 수 있도록 하는 용지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용지공급장치는 적층된 최 상측에 위치하는 용지의 외곽부 측에 밀착되어 흡착이 실시되는 제1흡착판과, 상기 용지의 중앙부 측에 밀착되고 상기 제1흡착판의 흡착이 실시된 이후 흡착이 실시되는 제2흡착판으로 이루어진 리프트수단; 상기 리프트수단과 함께 상승된 상기 용지의 일측 단부를 밀어 가공위치까지 교대로 전달하도록 교번으로 왕복운동하는 한 쌍의 공급수단; 및 상기 공급수단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프트수단은 프레임에 고정되는 하우징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의 일측 끝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1흡착판을 승하강시키는 제1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1액추에이터와 간격을 두고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며 상기 제2흡착판을 승하강시키는 제2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수단은 서로 평행을 이루며 길이방향으로 왕복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각 단부에 서로 다른 상기 공급수단이 고정되는 한 쌍의 래크; 상기 래크 사이에 맞물리도록 위치되어 상기 래크를 이동시키는 피니언; 및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급수단은 상기 래크의 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용지의 너비방향으로 연장되고 양 끝단이 하부로 절곡된 홀더; 및 상기 홀더의 끝단에 결합되며 상기 용지의 일측이 끼워지는 절곡부가 구비된 걸림부재; 로 이루어진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급수단은 상기 래크 중 상기 피니언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래크에 고정되는 제1공급수단과, 상기 피니언의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래크에 고정되는 제2공급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공급수단의 홀더 폭은 상기 제2공급수단의 홀더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1공급수단의 홀더 사이로 상기 제2공급수단의 홀더가 이동가능하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홀더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승하강축; 및 상기 승하강축의 끝단에 탄성지지되는 상기 절곡부로 구성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곡부는 양 끝단이 같은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단; 상기 절곡단을 상기 승하강축 끝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단; 및 상기 승하강축과 상기 절곡단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절곡단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 을 포함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적층된 용지를 상승시키는 승강수단; 및 상기 브래킷의 양 끝단부에 장착되고 용지가 여러장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용지의 측면에 위치되며 상기 용지에 접촉되는 다수개의 브러쉬가 구비된 지지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회동축의 일측에는 방사형으로 돌출되는 회동암이 돌출되고, 상기 회동암에는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동암을 회동시키는 회동수단이 연결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회동모터; 상기 회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기어; 및 일측인 상기 기어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회동암의 끝단에 고정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회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를 당겨 상기 회동축에 고정된 상기 하우징을 선택적으로 회동시킨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동수단에는 상기 하우징의 회동이 완료되면 상기 회동모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스토퍼부재가 더 포함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토퍼부재는 상기 기어의 회전에 연동되는 나사선 스크류; 상기 나사선 스크류에 체결되어 상기 나사선 스크류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사각나사; 및 상기 사각나사가 감지되면 상기 회동모터의 작동을 멈추게 하는 정지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센서; 를 포함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양측에 스토퍼가 돌출되고, 상기 하우징이 작업위치 상태와 작업 위치를 이탈한 상태를 일시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동축에는 방사형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토퍼에 접촉되는 고정축이 형성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회동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가 장착되고, 상기 회동축에는 랙이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일측에는 상기 랙에 맞물리는 피니언이 형성된 회전손잡이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용지공급장치는 공급하고자 하는 용지가 한 장씩 확실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에어실린더로 구성되었던 기존의 구동수단을 전기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모터로 변경함으로써 공급속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기존의 에어실린더는 저온에서 에어라인 내의 습기가 얼어 작동 오류가 발생되는 경우가 있었으나, 구동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작동 오류가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수동작업을 원하는 경우 하우징 자체를 회동시켜 위치를 이동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수작업을 진행할 수 있을 정도의 공간확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용지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을 세부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하우징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하우징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용지공급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
도 6은 리프트수단이 작동되는 과정을 도시한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용지공급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용지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을 세부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하우징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하우징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용지공급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6은 리프트수단이 작동되는 과정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용지공급장치(10)는 프레임(13)과, 프레임(13)의 상하방향으로 승강되어 가공할 용지(1)를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승강수단(11)과, 지정된 위치에 정지된 용지(1)를 들어올리는 리프트수단(100)과, 일측이 들어올려진 용지(1)의 단부를 밀어 가공위치까지 교대로 전달하는 한 쌍의 공급수단(200)와, 공급수단(200)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300)과, 용지(1)를 지지하는 지지수단(400)과, 하우징(14)을 틸팅시키는 회동수단(500)으로 구성된다.
승강수단(11)은 용지가 올려진 상태에서 상승되어 용지(1)를 후술할 리프트수단(100)의 리프트위치로 이동시킨다. 승강수단(11)에 올려진 용지(1)가 모두 공급되면 승강수단(11)은 하강되어 별도의 이송수단(12)에 의해 이송된 용지가 승강수단(11)에 안착된다.
이송수단(12)은 컨베이어와 같은 레일로 이루어지며, 팔레트에 용지(1)가 적재된 상태로 이송수단(12)에 의해 이송되어 승강수단(11)에 안착될 수 있다. 한편, 별도의 팔레트없이 적재된 용지(1)가 직접이송수단(12)으로 이송되어 승강수단(11)에 안착될 수도 있다.
승강수단(11)에 안착된 용지(1)는 상부에 위치된 용지(1)부터 리프트수단(100)과 공급수단에 의해 한 장씩 별도의 가공장치로 공급된다. 가공장치 내에도 롤러와 같은 별도의 전달수단(미도시)이 구비되어 용지공급장치(10)에서 한 장 씩 공급되는 용지(1)를 가공위치로 전달한다.
즉, 적층된 용지(1)를 이동시키는 승강수단(11)은 적층된 용지 중 최상단의 용지(1-1)가 가공장치로 공급되면 이동된 용지(1) 의 두께만큼 리프트수단(100)과 가까워지도록 상승 이동됨으로써 용지(1)를 리프트 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시되진 않았지만, 승강수단(11)은 별도로 구비된 승하강수단에 의해 상하로 이동된다.
리프트수단(100)은 적층된 용지(1)의 외곽부 측에 밀착되어 흡착이 실시되는 제1흡착판(111)과, 용지(1)의 중앙부 측에 밀착되고 제1흡착판(111)의 흡착이 실시된 이후 흡착이 실시되는 제2흡착판(121)이 구비된다.
또한 리프트수단(100)은 프레임(13)에 고정되는 하우징(14)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브래킷(101)과, 브래킷(101)의 일측 끝단부에 장착되며 제1흡착판(111)을 승하강시키는 제1액추에이터(112)와, 제1액추에이터(112)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되도록 하우징(14)에 장착되며 제2흡착판(121)을 승하강시키는 제2액추에이터(122)로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흡착판(111)과 제1액추에이터(112) 및 제2흡착판(121)과 제2액추에이터(122)는 일측 끝단과 중앙부에 각각 하나씩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제1흡착판(111)과 제1액추에이터(112) 및 제2흡착판(121)과 제2액추에이터(122)가 짝을 이루어 용지(1)의 원활한 흡착을 위해 하우징(14)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위치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액츄에이터(112)는 후술할 지지수단(400)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착된 용지(1)가 공급수단(200)의 걸림부재(220)에 걸쳐지면 흡착판(111, 121)이 흡착을 해제하여 용지(1)를 흡착판(111, 121)에서 떨어뜨린다.
상기 구동수단(300)은 서로 평행을 이루며 길이방향으로 왕복 가능하도록 하우징(14) 내부에 고정되고, 각 단부에 서로 다른 공급수단(200)이 고정되는 한 쌍의 래크(310)와, 래크(310) 사이에 맞물리도록 위치되어 래크(310)를 이동시키는 피니언(320)과, 하우징(14) 내부에 장착되어 피니언(32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30)로 구성된다. 피니언(320)의 외주면과 피니언(320)에 접촉되는 래크(310)의 일측면에는 서로 맞물리는 치차가 형성된다. 래크(310)는 피니언(320)을 중심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래크(311)와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래크(312)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급수단(200)은 각각의 래크(310) 단부에 고정되며 용지(1)의 너비방향으로 연장되고 양 끝단이 용지(1)를 향해 절곡된 홀더(210)와, 홀더(210)의 끝단에 결합되며 용지의 일측이 걸쳐지는 절곡부(221)가 형성된 걸림부재(220)로 구성된다. 이때, 공급수단(200)은 상부래크(311)에 고정되는 제1공급수단(201)과 하부래크(312)에 고정되는 제2공급수단(202)로 구성된다.
제1공급수단(201)의 홀더(210) 폭은 제2공급수단(202)의 홀더(210) 폭 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1공급수단(201) 홀더(210) 사이로 제2공급수단(202)의 홀더(210)의 이동이 가능하다.
걸림부재(220) 홀더(210)의 끝단에 승하강 가능하게 장착되는 승하강축(222)과, 승하강축(222) 끝단에 탄성지지되는 절곡부(221)로 이루어진다. 승하강축(222)에는 장공이 형성되고 홀더(210)에는 장공에 삽입되는 핀이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승하강축(220)이 장공을 따라 승하강된다. 절곡부(221)는 양끝단이 같은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단(221a)과, 절곡부(221a)를 승하강축(220) 끝단이 용지를 미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단(221c)과, 절곡단(221a)과 승하강축(220) 사이에 개재되어 절곡단(221a)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221c)으로 구성된다. 절곡부(221)의 아랫단이 용지(1)와 수평을 이루어 절곡부(221) 위에 용지(1)가 안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지지수단(400)에는 가이드(411)가 장착되고, 가이드(411)는 브래킷(101)의 양 끝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용지의 크기에 따라 그 폭이 조절된다. 지지수단(400)은 가이드(411)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스프링(420)에 의해 탄성지지된다. 그리고 지지수단(400)에는 용지(1)의 양측면을 향해 돌출되는 다수개의 브러쉬(410)가 장착되어 용지(1)가 한번에 한 장씩만 리프팅 될 수 있도록 용지(1)의 양측면에 접촉된다.
또한, 하우징(14)은 프레임(13)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축(5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회동축(510)의 일측에는 방사형으로 돌출되는 회동암(520)이 돌출되고, 회동암(520)을 회동축(510)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회동수단(500)이 회동암(520)에 연결된다. 회동수단(500)은 프레임(13)에 고정되는 회동모터(501)와 회동모터(501)의 회전축에 고정되는 기어(502)와, 일측은 기어(502)에 고정되고 타측은 회동암(520)의 끝단에 고정되는 연결부재(503)로 구성된다. 기어(502)인 경우에 연결부재(503)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기어(502) 대신에 풀리가 장착되는 경우에는 연결부재(503)는 벨트나, 와이어, 로프 및 체인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또한 프레임(13)에는 회동축(510)을 중심으로 일측에 스토퍼(535)가 돌출되고, 회동축(510)에는 방사형으로 돌출되어 일시적으로 스토퍼(535)에 지지되는 고정축(534)이 돌출된다. 이러한 회동수단(500)의 작동에 의해 하우징(14)은 작업 위치에서 작업 위치를 이탈한 위치로의 틸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회동암(520)이 일측의 스토퍼(535)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며 작업을 실시하는 중에 작업자가 수동으로 용지공급을 실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회동모터(501)를 작동시키면 기어(502)가 회전되면서 연결부재(503)를 당기게 된다. 이때 회동암(520)이 회동되면서 회동축(510)이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하우징(14)이 작업위치에서 벗어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기어(502)의 회전과 함께 나사선 스크류(531)도 회전하게 되고, 사각나사(532)의 이동이 시작된다. 나사선 스크류(531)의 회전에 의해 사각나사(532)가 감지센서(533) 측으로 이동되고, 감지센서(533)가 사각나사(532)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까지의 이동이 완료되는 시점은 하우징(14)의 이탈이 완료되는 시점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감지센서(533)가 사각나사(532)를 감지하면 정지신호를 발생시켜 회동모터(501)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그에 따라 하우징(14)을 작업위치에서 이탈 시키는 동작이 종료된다.
또한 고정축(534)의 끝단에는 회동축(510)과 평행을 이루는 축이 더 설치되고, 하우징(14)에는 회동축(510)과 상기 축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511)가 설치된다. 회동축(510)에는 랙(512)이 장착되고, 하우징(14)에는 일측에는 랙(512)에 맞물리는 피니언이 형성된 회전손잡이(513)가 설치된다. 회전손잡이(513)를 돌리면 피니언이 회전하면서 랙(512)을 따라 하우징(14)이 이동된다. 즉, 용지크기에 맞게 하우징(14)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용지공급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같이 공급될 용지(1)가 안착된 승강수단(11)은 리프트수단(100)에 의해 흡착가능한 위치로 상승된다. 이때 용지(1)가 공급되는 방향을 진행방향으로 볼 때, 피니언(320)에는 상부래크(311)의 후단과 하부래크(312)의 선단이 맞물리도록 위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5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수단(11)의 상승으로 용지(1)가 흡착가능한 위치에 놓이면 리프트수단(100)의 흡착판(111, 121)이 최상단에 위치된 제1용지(1-1)를 흡착한다.
이때의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1)의 외곽 모서리 측에 위치한 제1흡착판(111)이 하강되고, 제1흡착판(111)이 용지(1)에 밀착된 상태에서 흡착이 실시된다. 제1흡착판(111)의 흡착이 완료되면 상승이 시작되면서 제2흡착판(121)의 하강이 실시되고, 제2흡착판(121)이 용지(1)에 밀착된 상태에서 흡착이 실시된다. 그리고 제1액추에이터(112)와 제2액추에이터(122)가 작동되어 제1흡착판(111) 및 제2흡착판(121)의 상승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흡착판(111)의 흡착이 실시되고 상승되면서 제2흡착판(121)이 하강하고 흡착되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실시되기 때문에 적층되어 있던 용지(1) 중에서 최상단의 제1용지(1-1)만이 쉽게 분리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1흡착판(111)의 흡착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2흡착판(121)의 하강이 실시되는 순서로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제2흡착판(121)이 하강된 후, 제1흡착판(111)과 제2흡착판(121)의 흡착이 순차적으로 실시되고 시간차를 두고 상승하여 최상단의 제1용지(1-1) 한 장만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흡착할 수 있는 과정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제1흡착판(111)과 제2흡착판(121)에 제1용지(1-1)가 흡착되면 도 5 'c'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 및 제2액추에이터(112, 122)가 제1 및 제2흡착판(111, 121)을 상방향으로 상승시킨다. 동시에 승강수단(11)은 적재된 용지(1)를 상승된 용지의 두께만큼 상승시킨다.
도 5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용지(1-1)가 상승되어 제2공급부재(202)의 걸림부재(220)에 걸림 가능한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구동모터(330)가 회전되어 상부 래크(311)는 후진하면서, 하부래크(312)는 전진한다. 즉, 제2공급부재(202)의 걸림부재(220)에 제1용지(1-1)가 안착되면 제1 및 제2흡착판(111, 121)의 흡착이 해제되며 하부래크(312)에 고정된 제2공급부재(202)가 제1용지(1-1)를 밀어 가공장치 측으로 공급한다.
또한 제2공급부재(202)에 제1용지(1-1)가 걸려 공급됨과 동시에 리프트수단(100)이 작동된다. 이때도 마찬가지로 앞서 설명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흡착판(111)과 제1액추에이터(112) 및 제2흡착판(121)과 제2액추에이터(122)가 순차적으로 작동되면서 제2용지(1-2)를 흡착한다.
도 5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용지(1-2)의 흡착이 완료되면 제1 및 제2액추에이터(112, 122)가 작동되어 제2용지(1-2)가 상승된다. 제2용지(1-2)가 상승되어 제1공급부재(201)의 걸림부재(220)에 걸림 가능한 위치에 놓이게 되면 구동모터(330)가 재 작동되어 상부래크(311)는 전진하게 되고 하부래크(312)는 후진하게 된다.
그에 따라 도 5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래크(311)에 고정된 제1공급부재(201)가 제2용지(1-2)를 가공장치 측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다음 용지(1)를 리프팅 시킬 준비를 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동작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용지(1)를 가공장치 측으로 공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용지공급장치는 구동모터(330)에 의해 피니언(320)이 작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종래의 구동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구조에 비하여 공압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공압이 저감되는 겨울철에도 구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먼지가 덜 발생되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용지공급장치는 제1흡착판(111)과 제2흡착판(121)이 시간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용지(1)를 흡착하고, 또한 제1흡착판(111)이 상승되면서 제2흡착판(121)의 흡착이 시작되기 때문에 적층되어 있는 다수개의 용지 중에서 최상단에 위치한 한 장의 용지(1)만을 쉽게 분리시켜 흡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지며, 용지(1)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지지수단(400)의 브러쉬(410)에 의해 한 장의 용지(1) 만을 분리하여 흡착시키는 효과가 추가적으로 상승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용지공급장치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용지 이송작업을 진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작업 위치에 있던 하우징(14)을 회동축(510)을 중심으로 틸팅 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수작업을 진행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하우징(14)의 회동은 스토퍼부재(530)의 작동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되므로 사용의 편의성이 증가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 : 용지 13 : 프레임
100 : 리프트수단 101 : 브래킷
111 : 제1흡착판 112 : 제1액추에이터
121 : 제2흡착판 122 : 제2액추에이터
200 : 공급수단 210 : 홀더
220 : 걸림부재 300 : 구동수단
310 : 래크 311 : 상부래크
312 : 하부래크 320 : 피니언
330 : 구동모터 400 : 지지수단
500 : 회동수단

Claims (15)

  1. 적층된 최 상측에 위치하는 용지의 외곽부측에 밀착되어 흡착이 실시되는 제1흡착판(111)과, 상기 용지의 중앙부 측에 밀착되고 상기 제1흡착판(111)의 흡착이 실시된 이후 흡착이 실시되는 제2흡착판(121)으로 이루어진 리프트수단(100);
    상기 리프트수단(100)과 함께 상승된 상기 용지의 일측 단부를 밀어 가공위치까지 교대로 전달하도록 교번으로 왕복운동하는 한 쌍의 공급수단(200); 및
    상기 공급수단(200)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수단(100)은
    프레임(13)에 고정되는 하우징(14)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브래킷(101);
    상기 브래킷(101)의 일측 끝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1흡착판(111)을 승하강시키는 제1액추에이터(112); 및
    상기 제1액추에이터(112)와 간격을 두고 상기 하우징(14)에 장착되며 상기 제2흡착판(121)을 승하강시키는 제2액추에이터(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300)은
    서로 평행을 이루며 길이방향으로 왕복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14)에 고정되고, 각 단부에 서로 다른 상기 공급수단(200)이 고정되는 한 쌍의 래크(310);
    상기 래크(310) 사이에 맞물리도록 위치되어 상기 래크(310)를 이동시키는 피니언(320); 및
    상기 하우징(14)에 장착되고 상기 피니언(32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200)은
    상기 래크(310)의 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용지의 너비방향으로 연장되고 양 끝단이 하부로 절곡된 홀더(210); 및
    상기 홀더(210)의 끝단에 결합되며 상기 용지의 일측이 끼워지는 절곡부(221)가 구비된 걸림부재(22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200)은 상기 래크 중 상기 피니언(320)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래크(311)에 고정되는 제1공급수단(201)과, 상기 피니언(320)의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래크(312)에 고정되는 제2공급수단(20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수단(201)의 홀더 폭은 상기 제2공급수단(202)의 홀더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1공급수단(201)의 홀더 사이로 상기 제2공급수단(202)의 홀더가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장치.
  7.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220)는
    상기 홀더(210)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승하강축(222); 및
    상기 승하강축(222)의 끝단에 탄성지지되는 상기 절곡부(22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221)는
    양 끝단이 같은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단(221a);
    상기 절곡단(221a)을 상기 승하강축(222) 끝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단(221c); 및
    상기 승하강축(222)와 상기 절곡단(221a)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절곡단(221a)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3)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적층된 용지를 상승시키는 승강수단(11); 및
    상기 브래킷(101)의 양 끝단부에 장착되고 용지가 여러장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용지의 측면에 위치되며 상기 용지에 접촉되는 다수개의 브러쉬(410)가 구비된 지지수단(4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장치.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4)은 상기 프레임(13)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축(5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회동축(510)의 일측에는 방사형으로 돌출되는 회동암(520)이 돌출되고,
    상기 회동암(520)에는 상기 회동축(510)을 중심으로 상기 회동암(520)을 회동시키는 회동수단(500)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500)은
    상기 프레임(13)에 고정되는 회동모터(501);
    상기 회동모터(501)에 의해 회전되는 기어(502); 및
    일측인 상기 기어(502)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회동암(520)의 끝단에 고정되는 연결부재(503);를 포함하여,
    상기 회동모터(501)의 작동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503)를 당겨 상기 회동축(510)에 고정된 상기 하우징(14)을 선택적으로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500)에는
    상기 하우징(14)의 회동이 완료되면 상기 회동모터(501)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스토퍼부재(53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재(530)는
    상기 기어(502)의 회전에 연동되는 나사선 스크류(531);
    상기 나사선 스크류(531)에 체결되어 상기 나사선 스크류(5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사각나사(532); 및
    상기 사각나사(532)가 감지되면 상기 회동모터(501)의 작동을 멈추게 하는 정지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센서(5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3)에는
    상기 회동축(510)을 중심으로 양측에 스토퍼(532)가 돌출되고, 상기 하우징(14)이 작업위치 상태와 작업 위치를 이탈한 상태를 일시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동축(510)에는 방사형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토퍼(535)에 접촉되는 고정축(53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장치.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4)에는
    상기 회동축(5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511)가 장착되고,
    상기 회동축(510)에는 랙(512)이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14)에는 일측에는 상기 랙(512)에 맞물리는 피니언이 형성된 회전손잡이(513)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장치.
KR1020110025060A 2011-03-21 2011-03-21 용지공급장치 KR101191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060A KR101191439B1 (ko) 2011-03-21 2011-03-21 용지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060A KR101191439B1 (ko) 2011-03-21 2011-03-21 용지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393A true KR20120107393A (ko) 2012-10-02
KR101191439B1 KR101191439B1 (ko) 2012-10-16

Family

ID=47279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060A KR101191439B1 (ko) 2011-03-21 2011-03-21 용지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143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2621A (ko) * 2015-05-11 2016-11-21 김민호 책자형 인쇄물의 표지 인쇄기
CN110482277A (zh) * 2019-08-26 2019-11-22 瑞安市万德利印刷机械有限公司 上往下数纸式新型数纸机
CN110539918A (zh) * 2019-08-15 2019-12-06 河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烟包分层调头装置
KR102523504B1 (ko) * 2022-10-17 2023-04-19 성우에이피(주) 원단 흡착 이송 시스템
KR102574162B1 (ko) * 2022-08-22 2023-09-05 박광석 멀칭비닐의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48619B2 (en) 2005-12-05 2010-07-06 Coinstar, Inc. Card dispensing apparatuses and associated methods of operation
KR100959200B1 (ko) 2009-08-21 2010-05-24 김선녀 용지공급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2621A (ko) * 2015-05-11 2016-11-21 김민호 책자형 인쇄물의 표지 인쇄기
CN110539918A (zh) * 2019-08-15 2019-12-06 河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烟包分层调头装置
CN110539918B (zh) * 2019-08-15 2024-05-10 河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烟包分层调头装置
CN110482277A (zh) * 2019-08-26 2019-11-22 瑞安市万德利印刷机械有限公司 上往下数纸式新型数纸机
CN110482277B (zh) * 2019-08-26 2024-02-13 瑞安市万德利印刷机械有限公司 上往下数纸式新型数纸机
KR102574162B1 (ko) * 2022-08-22 2023-09-05 박광석 멀칭비닐의 제조장치
KR102523504B1 (ko) * 2022-10-17 2023-04-19 성우에이피(주) 원단 흡착 이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1439B1 (ko) 2012-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1439B1 (ko) 용지공급장치
US7942403B2 (en) Sheet lifting with corner projections
WO2020124908A1 (zh) 图文送纸切割机的控制方法
CN101648454A (zh) 自动网版印刷生产线的卡匣装置
US7597319B2 (en) Sheet handling using a ramp and grippers on an endless belt
CN211439980U (zh) 一种用于料片的桁架提升手臂
CN112477092B (zh) 真空自吸附盒成型装置及成型方法
KR101115978B1 (ko) 피딩 장치
KR101336573B1 (ko) 포대 자동 인쇄장치
KR100959200B1 (ko) 용지공급장치
JP5898008B2 (ja) コンベアマガジン式空袋供給装置
KR101237004B1 (ko) 하급지형 골판지 자동급지기계
JP6032968B2 (ja) 包装袋供給装置
CN210417159U (zh) 包装机送袋装置及挂面自动包装机
KR101431784B1 (ko) 마감테이프 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캐리어 권취장치
KR101799671B1 (ko) 롤러 구동형 급지장치
CN112172336B (zh) 一种uv印刷机
JP4551886B2 (ja) 傘ラベルの装着装置
CN210850496U (zh) 旋转式裁切堆叠设备
CN211895120U (zh) 一种玻璃上片机
KR101764778B1 (ko) 유연 제함 시스템의 박스 전달 장치
CN216686571U (zh) 吸附式推板器
CN211366336U (zh) 一种翻折机送纸结构
CN213264789U (zh) Uv印刷机的上料机构
CN220350088U (zh) 一种包装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