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6408A - 광활성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광활성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6408A
KR20120106408A KR1020110024502A KR20110024502A KR20120106408A KR 20120106408 A KR20120106408 A KR 20120106408A KR 1020110024502 A KR1020110024502 A KR 1020110024502A KR 20110024502 A KR20110024502 A KR 20110024502A KR 20120106408 A KR20120106408 A KR 20120106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resin composition
photosensitive resin
photosensitive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4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진
김성현
최경수
유상문
홍복기
김미애
박지영
류장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10024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6408A/ko
Publication of KR20120106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640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045Photosensitive materials with organic non-macromolecular light-sensitive compou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issolution inhibi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047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additives for obtaining a metallic or ceramic pattern, e.g. by fir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구조를 가지는 광활성 화합물과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서, 감광재의 휘도 및 현상성을 동시에 개선시키는 광활성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활성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PHOTOACTIVE COMPOUND AND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규한 구조를 가지는 광활성 화합물과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서, 감광재의 휘도 및 현상성을 동시에 개선시키는 광활성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광활성 화합물은 빛을 흡수하고 분해하여 화학적으로 활성을 지닌 원자 또는 분자를 생성하는 물질로서, 감광성 수지 조성물 등에 널리 사용된다. 상기 화학적으로 활성을 지닌 물질의 예로는 산이나 염기 그리고 라디칼 등이 있다.
최근 들어 LED 백라이트유닛(BLU)의 사용 및 소비전력 감소에 대한 요구에 따라 고색재현율을 요구하면서 높은 휘도 특성을 요구하는 성능 높은 감광성 조성물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고색재현율과 높은 휘도는 서로 반대되는 특성으로 색재현율을 높일 경우, 휘도가 떨어지고 현상성도 떨어지는 특성을 가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적절한 광활성 화합물의 선택 및 순도를 조정하여 색재현율과 휘도의 특성을 모두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a)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광활성 화합물, b)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중합성 화합물, c) 알칼리 가용성 바인더 수지 및 d) 용매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 에서, R1은 수소, C1 ~ C20의 알킬기, C6 ~ C30의 아릴기, C1 ~ C20의 알킬술포닐기 및 C6 ~ C30의 아릴술포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2는 C1 ~ C6의 알킬기; C1 ~ C6의 할로알킬기; NL2, OL 및 SL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로 치환된 C1 ~ C6의 알킬기; C1 ~ C6의 알킬기, 할로겐, 니트릴기, OH 및 COOH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 및 C2 ~ C5의 알킬 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L은 수소 또는 C1 ~ C6의 알킬기이고,
R3 내지 R5는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C1 ~ C6의 알킬렌기 또는 C6 ~ C30의 아릴렌기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활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고색재현율을 나타낼 뿐 아니라, 휘도 및 현상성을 함께 높일 수 있고, 특히 녹색 감광재에서 더욱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광활성 화합물은 a)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광활성 화합물, b)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중합성 화합물, c) 알칼리 가용성 바인더 수지 및 d) 용매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메틸기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학식 1에서 R2는 노광 시에 활성종인 라디칼이 분해가 되는 부분으로, 특별히 구조상의 제약은 받지 않으나, 메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메틸기는 구조가 단순하고 움직임이 좋아 광개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화학식 1에서 R3는 페닐렌기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학식 1에서 R4는 페닐렌기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학식 1에서 R5는 에틸렌기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광활성 화합물의 순도는 70 내지 99.9%인 것이 바람직하며, 90 내지 99.9%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95 내지 99.9%인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화학식 1의 광활성 화합물의 순도를 70 내지 99.9%로 하여야 감광성 조성물에 포함하여 사용한 경우, 휘도 개선의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난다. 특히, 녹색 감광재에서 그 효과가 더욱 우수하게 나타난다.
본 발명에 따른 감광성 조성물에서, 상기 b)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중합성 화합물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기의 수가 2 내지 14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2-트리스아크릴로일옥시메틸에틸프탈산, 프로필렌기의 수가 2 내지 14인 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의 산성 변형물과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상품명으로 일본 동아 합성사의 TO-2348, TO-2349) 등의 다가 알콜을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으로 에스테르화하여 얻어지는 화합물;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글리시딜에테르아크릴산 부가물,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아크릴산 부가물 등의 글리시딜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에 (메타)아크릴산을 부가하여 얻어지는 화합물; β-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의 프탈산디에스테르, β-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 등의 수산기 또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과 다가카르복실산과의 에스테르 화합물,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의 부가물;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및 9,9'-비스[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로만 한정되지 않고 당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는 화합물들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이들 화합물에 실리카 분산체를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Hanse Chemie 社제 Nanocryl XP series(0596, 1045, 21/1364)와 Nanopox XP series(0516, 0525)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감광성 조성물에서, 상기 c) 알칼리 가용성 바인더 수지는 산기(acid functional group)를 포함하는 모노머와 이 모노머와 공중합 가능한 필름강도를 주는 모노머의 공중합체, 또는 이 공중합체가 에폭시기를 함유한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과 고분자 반응을 통하여 제조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알칼리 가용성 수지 바인더는 산가가 30 내지 300 KOH mg/g 정도이며, 중량평균 분자량은 1,000 내지 200,0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분자량이 5,000 내지 100,000의 범위의 바인더이다.
상기 산기를 포함하는 모노머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메타)아크릴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모노메틸 말레인산, 이소프렌 술폰산, 스티렌술폰산, 5-노보넨-2-카르복실산, 모노-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 프탈레이트, 모노-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 숙시네이트, ω-카르복시 폴리카프로락톤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다.
산기를 포함하는 모노머와 공중합가능한 모노머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퍼프릴(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클로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아실옥틸옥시-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3-메톡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트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트리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틸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디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p-노닐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p-노닐페녹시폴리프 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1,1,1,3,3,3-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옥타플루오로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헵타데카플루오로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브로모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 α-히드록시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α-히드록시메틸 아크릴레이트, 프로필 α-히드록시메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α-히드록시메틸 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 옥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 옥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불포화 카르복시산 에스테르류; 스티렌, α-메틸스티렌, (o,m,p)-비닐톨루엔, (o,m,p)-메톡시 스티렌, (o,m,p)-클로로 스티렌과 같은 방향족 비닐류; 비닐 메틸 에테르, 비닐 에틸 에테르, 알릴 글리시딜 에테르와 같은 불포화 에테르류; N-비닐 피롤리돈, N-비닐 카바졸, N-비닐 모폴린과 같은 N-비닐 삼차아민류; N-페닐 말레이미드, N-(4-클로로페닐) 말레이미드, N-(4-히드록시페닐) 말레이미드, N-시클로헥실 말레이미드와 같은 불포화 이미드류; 무수 말레인산, 무수 메틸 말레인산과 같은 무수 말레인산류; 알릴 글리시딜 에테르,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불포화 글리시딜 화합물류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다.
상기 에폭시기를 함유한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로는, 알릴 글리시딜 에테르,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5-노보넨-2-메틸-2-카복실레이트(엔도, 엑소 혼합물), 1,2-에폭시-5-헥센, 및 1,2-에폭시-9-데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감광성 조성물에서, 상기 d)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메틸에틸 케톤,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에틸렌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 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 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메틸에틸 에테르, 2-에톡시 프로판올, 2-메톡시 프로판올, 3-메톡시 부탄올, 시클로헥사논, 시클로펜타논, 프로필렌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3-메톡시부틸 아세테이트,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 에틸 셀로솔브아세테이트, 메틸 셀로솔브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및 디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감광성 조성물은, 염료 또는 녹색 안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녹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녹색 안료로서는 구리 프탈로시아닌 계열인 G7, G36과 아연 프탈로시아닌 계열인 G58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종래의 녹색 염료, 녹색 안료 또는 이들의 조합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감광성 조성물은, 상기 구성성분 외에 필요에 따라 제 2 광활성 화합물, 안료분산액, 경화촉진제, 열 중합 억제제, 가소제, 접착 촉진제, 충전제 또는 계면활성제 등의 첨가제를 1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광활성 화합물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2,4-트리클로로메틸-(4'-메톡시페닐)-6-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메틸-(4'-메톡시스티릴)-6-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메틸-(피플로닐)-6-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메틸-(3',4'-디메톡시페닐)-6-트리아진, 3-{4-[2,4-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6-일]페닐티오}프로판산, 2,4-트리클로로메틸-(4'-에틸비페닐)-6-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메틸-(4'-메틸비페닐)-6-트리아진 등의 트리아진계 화합물; 2,2'-비스(2-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 비이미다졸, 2,2'-비스(2,3-디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비이미다졸 등의 비이미다졸 화합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4-이소프로필페닐)-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 (2-히드록시)프로필 케톤, 1-히드록시시클로헥실 페닐 케톤, 2,2-디메톡시-2-페닐 아세토페논, 2-메틸-(4-메틸티오페닐)-2-몰폴리노-1-프로판-1-온(Irgacure-907),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몰폴리노페닐)-부탄-1-온(Irgacure-369) 등의 아세토페논계 화합물; Ciba Geigy 社의 Irgacure OXE 01, Irgacure OXE 02와 같은 O-아실옥심계 화합물; 4,4'-비스(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화합물; 2,4-디에틸 티옥산톤, 2-클로로 티옥산톤, 이소프로필 티옥산톤, 디이소프로필 티옥산톤 등의 티옥산톤계 화합물; 2,4,6-트리메틸벤조일 디페닐포스핀 옥사이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 옥사이드, 비스(2,6-디클로로벤조일) 프로필 포스핀 옥사이드 등의 포스핀 옥사이드계 화합물; 3,3'-카르보닐비닐-7-(디에틸아미노)쿠마린, 3-(2-벤조티아졸일)-7-(디에틸아미노)쿠마린, 3-벤조일-7-(디에틸아미노)쿠마린, 3-벤조일-7-메톡시-쿠마린, 10,10'-카르보닐비스[1,1,7,7-테트라메틸-2,3,6,7-테트라하이드로-1H,5H,11H-Cl]-벤조피라노[6,7,8-ij]-퀴놀리진-11-온 등의 쿠마린계 화합물 등이 있다.
상기 안료분산액은 안료, 분산제, 분산조제, 수지, 용매 등을 포함하며, 당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는 것들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경화촉진제의 예로는, 2-머캡토벤조이미다졸, 2-머캡토벤조티아졸, 2-머캡토벤조옥사졸, 2,5-디머캡토-1,3,4-티아디아졸, 2-머캡토-4,6-디메틸아미노피리딘,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3-머캡토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 스(3-머캡토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2-머캡토아세테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스(2-머캡토아세테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2-머캡토아세테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3-머캡토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올에탄 트리스(2-머캡토아세테이트), 및 트리메틸올에탄 트리스(3-머캡토프로피오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들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는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 중합 억제제로는, p-아니솔, 히드로퀴논, 피로카테콜(pyrocatechol), t-부틸카테콜(t-butyl catechol), N-니트로소페닐히드록시아민 암모늄염, N-니트로소페닐히드록시아민 알루미늄염 및 페노티아진(phenothiaz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들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는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가소제, 접착 촉진제, 충전제 및 계면활성제 등도 종래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모든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감광성 조성물은, 롤 코터(roll coater), 커튼 코터(curtain coater), 스핀 코터(spin coater), 슬롯 다이 코터, 각종 인쇄 또는 침적 등에 사용되며, 금속, 종이 또는 유리 플라스틱 기판 등의 지지체 상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필름 등의 지지체 상에 도포한 후 기타 지지체 상에 전사하거나 제 1의 지지체에 도포한 후 블랭킷 등에 전사, 다시 제 2의 지지체에 전사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 적용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감광성 조성물을 경화시키기 위한 광원으로는, 예컨대 파장이 250 내지 450 ㎚의 광을 발산하는 수은 증기 아크(arc), 탄소 아크 또는 Xe 아크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한 감광성 조성물은 감광성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a)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광활성 화합물 0.1 내지 5 중량%,
b)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중합성 화합물 0.5 내지 30 중량%,
c) 알칼리 가용성 바인더 수지 1 내지 30 중량%, 및
d) 용매 40 내지 9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성분 이외에 다른 성분들을 첨가할 경우, 제 2 광활성 화합물은 감광성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 그 외 나머지 첨가제는 각각 감광성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감광재를 제공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감광성 조성물은 TFT LCD 컬러 필터 제조용 안료분산형 감광재, TFT LCD 혹은 유기발광다이오드의 블랙 매트릭스 형성용 감광재, 오버코트층 형성용 감광재, 컬럼 스페이서 감광재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광경화성 도료, 광경화성 잉크, 광경화성 접착제, 인쇄판, 인쇄배선반용 감광재, 기타 투명 감광재, 및 PDP 제조 등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용도에 제한을 특별히 두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 실시예 1>
알칼리 가용성 바인더 수지 BzMA/MAA(몰비:70/30, Mw:24,000) 8g,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중합성 화합물인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16g, 접착 촉진제인 KBM-503 0.5g, 계면활성제인 BYK-307 0.05g, 광활성 화합물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1g, 안료분산액으로서 S社의 제품 3g, 유기 용매인 PGMEA 79g을 쉐이커를 이용하여 3시간 동안 혼합시켜 감광성 수지 조성물(이하 샘플명 S20)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안료분산액으로서 S社의 제품 대신에 E社의 제품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감광성 수지 조성물(이하 샘플명 E16)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광활성 화합물로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대신에 Irgacure OXE-02 1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감광성 수지 조성물(이하 샘플명 S19)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안료분산액으로서 S社의 제품 대신에 E社의 제품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감광성 수지 조성물(이하 샘플명 E15)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
물성 평가
상기 각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휘도 측정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pat00003
또한 각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현상성 측정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pat00004

상기 표 1 및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기존의 광활성 화합물을 사용했을 때보다 휘도 및 현상성의 면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냈다.

Claims (18)

  1. a)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광활성 화합물,
    b)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중합성 화합물,
    c) 알칼리 가용성 바인더 수지 및
    d) 용매
    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 1 에서, R1은 수소, C1 ~ C20의 알킬기, C6 ~ C30의 아릴기, C1 ~ C20의 알킬술포닐기 및 C6 ~ C30의 아릴술포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2는 C1 ~ C6의 알킬기; C1 ~ C6의 할로알킬기; NL2, OL 및 SL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로 치환된 C1 ~ C6의 알킬기; C1 ~ C6의 알킬기, 할로겐, 니트릴기, OH 및 COOH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기; 및 C2 ~ C5의 알킬 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L은 수소 또는 C1 ~ C6의 알킬기이고,
    R3 내지 R5는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C1 ~ C6의 알킬렌기 또는 C6 ~ C30의 아릴렌기이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R1 및 R2는 메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R3 및 R4는 페닐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R5는 에틸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pat00006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광활성 화합물의 순도는 70 내지 99.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광활성 화합물의 순도는 90 내지 99.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광활성 화합물의 순도는 95 내지 99.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가용성 바인더 수지는 산가 30 내지 300 KOH mg/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가용성 바인더 수지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2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11. 청구항 1에 있어서, 감광성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a) 화학식 1의 광활성 화합물 0.1 내지 5 중량%,
    b)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중합성 화합물 0.5 내지 30 중량%,
    c) 알칼리 가용성 바인더 수지 1 내지 30 중량%, 및
    d) 용매 40 내지 95 중량%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녹색 염료 또는 녹색 안료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추가로 트리아진계 화합물, 비이미다졸계 화합물, 아세토페논계 화합물, O-아실옥심계 화합물, 벤조페논계 화합물, 티옥산톤계 화합물, 포스핀 옥사이드계 화합물 및 쿠마린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2광활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2광활성 화합물을 감광성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광성 조성물은 안료분산액, 경화촉진제, 열 중합 억제제, 가소제, 접착 촉진제, 충전제 또는 계면활성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경화촉진제, 열 중합 억제제, 가소제, 접착 촉진제, 충전제 또는 계면활성제는 각각 감광성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17. 청구항 1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감광재.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감광재는 컬러필터 제조용 안료분산형 감광재, 블랙 매트릭스 형성용 감광재, 오버코트층 형성용 감광재, 컬럼 스페이서 감광재 및 인쇄배선반용 감광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재.
KR1020110024502A 2011-03-18 2011-03-18 광활성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201201064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502A KR20120106408A (ko) 2011-03-18 2011-03-18 광활성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502A KR20120106408A (ko) 2011-03-18 2011-03-18 광활성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6408A true KR20120106408A (ko) 2012-09-26

Family

ID=47113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4502A KR20120106408A (ko) 2011-03-18 2011-03-18 광활성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640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7925A (ko) * 2013-05-24 2014-12-0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절연막
KR101710409B1 (ko) * 2015-10-16 2017-02-27 애경화학 주식회사 감광성 인 함유 불포화 아크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7925A (ko) * 2013-05-24 2014-12-0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절연막
KR101710409B1 (ko) * 2015-10-16 2017-02-27 애경화학 주식회사 감광성 인 함유 불포화 아크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4231B1 (ko) 옥심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트리아진계 광활성 화합물을포함하는 투명한 감광성 조성물
JP5780618B2 (ja) 高分子およびそれを含む感光性樹脂組成物{polymerandphotosensitiveresincompositioncomprisingthesame}
US8182979B2 (en)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containing unsaturated double bond and oxime ester group and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20100072162A (ko) 신규한 고분자 수지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20130016043A (ko) 광활성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JP5420527B2 (ja) 架橋性化合物及びそれを含む感光性組成物
KR20120054540A (ko)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감광성조성물
US20140234774A1 (en) Photoactive compound and light-sensitive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same
KR101498776B1 (ko) 신규한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조성물 및 감광재
KR101315511B1 (ko) 알칼리 가용성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20120106408A (ko) 광활성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101384478B1 (ko) 광활성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101273140B1 (ko)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조성물
KR20130091866A (ko) 감광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감광재
KR101611657B1 (ko) 고분자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조성물
KR20130135010A (ko) 아크릴계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101601361B1 (ko) 실록산계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조성물 및 감광제
KR101445906B1 (ko) 알칼리 가용성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101261618B1 (ko) 가교성 화합물과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조성물
KR101623624B1 (ko) 광활성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감광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58191A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재
KR100781873B1 (ko) 광활성 옥심 에스테르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조성물
KR20110083411A (ko) 재용해성이 우수한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20140025019A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로 제조된 감광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02195A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 before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