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6199A - 환봉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환봉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6199A
KR20120106199A KR1020110024149A KR20110024149A KR20120106199A KR 20120106199 A KR20120106199 A KR 20120106199A KR 1020110024149 A KR1020110024149 A KR 1020110024149A KR 20110024149 A KR20110024149 A KR 20110024149A KR 20120106199 A KR20120106199 A KR 20120106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ound bar
case
base frame
suppor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4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7297B1 (ko
Inventor
이영식
Original Assignee
이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식 filed Critical 이영식
Priority to KR1020110024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297B1/ko
Publication of KR20120106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6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8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by passing between rollers or through a curved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14Spinning
    • B21D22/18Spinning using tools guided to produce the required prof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봉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송기가 구비되는 일측 프레임으로 투입되는 연질재료의 스테인레스 환봉을 베이스프레임에 형성되는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스테인레스 육각봉으로 성형하여, 타측 프레임에 구비되는 클램프로 당겨내는 환봉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측 프레임(500)에 이송기(510)와 타측 프레임(600)에 클램프(610)가 구비되고, 상기 타측 프레임(600) 끝단부에는 성형장치(100)가 구비되는 환봉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성형장치(100)는 중앙부에 통공(115)이 형성되는 일측 프레임(500) 방향의 베이스프레임(110) 일면에는
Figure pat00005
형상의 내부틀이 형성되도록 케이스(111)가 돌출되며, 상기 케이스(111) 내부에는 60°간격으로 6개의 성형롤(120)이 설치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블럭(130)으로 고정되며, 상기 지지블럭(130)을 지지하는 고정브라켓(140)과 서로 이웃하는 지지블럭(130)간 체결이 이루어지는 연결브라켓(150)이 체결되어 일측 프레임(500)으로부터 이송되는 스테인레스 환봉(700) 외주면이 성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질재료의 스테인레스 환봉을 베이스프레임 전면에 형성되는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한 번의 작업공정만으로 스테인레스 육각봉으로 성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환봉 성형장치{Manufacturing apparatus for a shaft}
본 발명은 환봉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세부적으로는 이송기가 구비되는 일측 프레임으로 투입되는 연질재료의 스테인레스 환봉을 베이스프레임에 형성되는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스테인레스 육각봉으로 성형하여, 타측 프레임에 구비되는 클램프로 당겨내는 환봉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지된 기술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669049호(명칭: 파이프 인발기)에는 공급다이와 이송다이 사이에 설치되면서 내부에 다이스구멍이 형성된 인발기본체와, 케이스부재와 인발팁의 결합체로 구성되면서 상기 다이스구멍으로 끼워져서 설치되는 인발다이스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파이프 인발기에 있어서, 상기 다이스구멍은 공급다이를 향하는 입구에서 상기 이송다이를 향하는 출구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다이스구멍으로 끼워지는 케이스부재는 그 외측둘레면이 상기 다이스구멍과의 사이에 유격공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다이스구멍과 동일한 경사각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내측둘레면은 상기 입구에서 출구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인발팁은 전체형상이 상기 케이스부재를 축소시킨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면서 그 외측둘레면이 상기 케이스부재의 내측둘레면과 유격 공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분리 가능하게 끼워져서 결합되는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의 파이프 인발기는 다이스구멍이 공급다이를 향하는 입구에서 이송다이를 향하는 출구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직경과, 상기 다이스구멍에 삽입되는 케이스부재 역시 다이스구멍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파이프를 사용자가 요구하는 규격(외경, 내경 및 두께)에 맞도록 정밀 소성가공하는 것으로, 파이프의 외경과 내경 및 두께의 소성가공은 가능하지만 파이프의 형상을 사용자는 원하는 형상(다각형)으로는 가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연질재료의 스테인레스 환봉을 베이스프레임 전면에 형성되는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한 번의 작업공정만으로 스테인레스 육각봉으로 성형할 수 있는 환봉 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으로는 일측 프레임에 이송기와 타측 프레임에 클램프가 구비되고, 상기 타측 프레임 끝단부에는 성형장치가 구비되는 환봉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성형장치는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되는 일측 프레임 방향의 베이스프레임 일면에는
Figure pat00001
형상의 내부틀이 형성되도록 케이스가 돌출되며,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60°간격으로 6개의 성형롤이 설치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블럭으로 고정되며, 상기 지지블럭을 지지하는 고정브라켓과 서로 이웃하는 지지블럭간 체결이 이루어지는 연결브라켓이 체결되어 일측 프레임으로부터 이송되는 스테인레스 환봉 외주면이 성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질재료의 스테인레스 환봉을 베이스프레임 전면에 형성되는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한 번의 작업공정만으로 스테인레스 육각봉으로 성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봉 성형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봉 성형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봉 성형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봉 성형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봉 성형장치의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인레스 환봉의 성형과정을 나타낸 참고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봉 성형장치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봉 성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봉 성형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봉 성형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봉 성형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인레스 환봉의 성형과정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환봉 성형장치의 전체 구성도로써, 일측 프레임(500)에 이송기(510)와 타측 프레임(600)에 클램프(610)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타측 프레임(600) 끝단부에는 성형장치(100)가 구비되어, 상기 이송기(510)에 의해 연질재료의 스테인레스 환봉(700)을 성형장치(100)에 공급하고, 상기 성형장치(100)를 통과하는 스테인레스 육각봉(800)의 선단부를 타측 프레임(600)에 구비되는 클램프(610)에 물리도록 하여 상기 타측 프레임(600)에 구비되는 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해 당겨내는 구성이다.
상기 투입되는 스테인레스 환봉(700)의 선단부 일정구간은 도 1의 확대도와 같이, 밀링 또는 선반 작업에 의해 직경을 작게 가공하여 상기 성형장치(100)를 통과시키고, 상기 성형장치(100)를 통과한 스테인레스 육각봉(800)의 상기 직경을 작게 가공한 선단부 일정구간은 타측 프레임(600)에 구비되는 클램프(610)에 삽입하여 고정시킨 후 당겨내는데, 상기 클램프(610)에 삽입되는 스테인레스 육각봉(800)의 선단부는 작업이 완료되면 제거하게 된다.
성형장치(100)는 도 2의 사시도와 도 3의 정면도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10) 일면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중앙부에 통공(115)이 형성되는 일측 프레임(500) 방향의 베이스프레임(110) 일면에
Figure pat00002
형상의 내부틀이 형성되도록 케이스(111)가 돌출되며, 상기 케이스(111) 내부에는 60°간격으로 6개의 성형롤(120)이 설치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블럭(130)으로 고정되며, 상기 지지블럭(130)을 지지하는 고정브라켓(140)과 서로 이웃하는 지지블럭(130)간 체결이 이루어지는 연결브라켓(150)이 체결되어 일측 프레임(500)으로부터 이송되는 스테인레스 환봉(700) 외주면이 성형된다.
도 4는 상기 성형장치(100)의 측면도를 도시하는 것으로, 상기 성형장치(100)의 구성이 베이스프레임(110) 전면에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도 5는 상기 성형장치(100)의 분해도로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은 돌출되는 케이스(111) 돌출면에 체결공(112)이 형성되며, 케이스(111) 내부로는 체결공(112)이 각각 형성되는 바닥면(113)과 삽입구(114)가 차례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113) 내측 모서리에는 상기 케이스(111) 돌출 높이와 동일한 기둥(116)이 돌출되어 상부면에 체결공(112)이 형성된다.
상기 성형롤(120) 양단에는 롤축(121)이 돌출되며, 상기 성형롤(120) 양단에 구비되는 지지블럭(130) 내면에는 상기 롤축(121)이 삽입되도록 삽입구(131)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블럭(130) 전면 상단부에는 볼트(B) 체결이 가능하도록 체결공(132)이 형성되며, 전면 하단부에도 대각선 방향으로 체결공(132)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브라켓(140)은 지지블럭(130) 상부 일측면에 맞닿도록 하단 내측면에 돌출면(141)이 일정구간 형성되며, 상단에는 체결공(142)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11) 상부면에 형성되는 체결공(112)에 체결된다.
상기 성형롤(120) 양단의 롤축(121)에 지지블럭(130)이 삽입되고, 고정브라켓(140)이 상기 지지블럭(130) 상부 일측면에 맞닿도록 조립된 다음, 상기 성형롤(120)을 베이스프레임(110)의 케이스(111) 내부 삽입구(114)에 위치시키게 되면, 양단의 지지블럭(130)은 케이스(111) 내부 바닥면(113)에 안착되어, 지지블럭(130)과 바닥면(113)에 형성되는 체결공(132,112)으로 볼트(B)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성형롤(120)과 지지블럭(130) 및 고정브라켓(140)으로 이루어지는 여섯 쌍의 구조물이 베이스프레임(110) 내부의 케이스(111)에 체결되면 연결브라켓(150)이 서로 이웃하는 지지블럭(130)간 체결력 향상을 위해 체결되는데, 상기 연결브라켓(150)의 양단 체결공(151)에 있어, 내측 체결공(151)은 케이스(111) 내부에 구비되는 기둥(116)의 체결공(112)으로 볼트(B) 체결되며, 외측 체결공(151)은 돌출되는 케이스(111) 상부면에 형성되는 체결공(112)에 볼트(B) 체결된다.
또한, 상기 연결브라켓(150)의 중앙부 상하단에 형성되는 각각 2개씩의 체결공(151)들은 상하단 각각 이웃되는 지지블럭(130)의 전면 하단부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체결공(132)에 볼트(B) 체결되어 지지블럭(13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도 6은 상기 스테인레스 환봉(700)의 성형과정을 나타낸 참고도로서, 도 6(a)는 성형전 스테인레스 환봉(700)의 형상을 나타내며, 도 6(b)는 상기
Figure pat00003
형상의 내부틀을 갖는 케이스(111) 내부에 구비되는 성형롤(120)을 통과하여 성형된 스테인레스 육각봉(800)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연질재료의 스테인레스 환봉(700)을 성형장치(100)로 투입시켜 스테인레스 육각봉(800)으로 성형하는 것으로, 상기 일측 프레임(500)에 구비되는 이송기(510)에 의해 성형장치(100)로 스테인레스 환봉(700)을 투입시켜 육각형상으로 성형하고, 상기 성형장치(100)를 통과하는 성형된 스테인레스 육각봉(800)의 선단부를 클램프(610)에 물리도록 당겨낸다.
또한, 투입되는 스테인레스 환봉(700)은 여섯 쌍의 성형롤(120)을 통과하면서 성형됨에 있어, 상기 성형롤(120) 내부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베어링(미도시)이 구비되어, 상기 베어링에 의해 스테인레스 환봉(700)의 진행방향 즉, 클램프(610)가 구비되는 타측 프레임(600) 방향으로 성형롤(120)이 회전되면서 무부하 운동에 의해 스테인레스 육각봉(800)으로 성형하게 된다.
상기 무부하 운동으로 회전되는 성형장치(100)에는 모터(미도시)를 부가적으로 구비하여 성형롤(120)의 회전을 모터에 의해 구동되도록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자동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질재료의 스테인레스 환봉(700)을 베이스프레임(110) 전면에 형성되는 성형장치(100)를 이용하여 한 번의 작업공정만으로 스테인레스 육각봉(800)으로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성형장치 110 : 베이스프레임
111 : 케이스 112 : 체결공
113 : 바닥면 114 : 삽입구
115 : 통공 116 : 기둥
120 : 성형롤 121 : 롤축
130 : 지지블럭 131 : 삽입구
132 : 체결공 140 : 고정브라켓
141 : 돌출면 142 : 체결공
150 : 연결브라켓 151 : 체결공
500 : 일측 프레임 510 : 이송기
600 : 타측 프레임 610 : 클램프
700 : 스테인레스 환봉 800 : 스테인레스 육각봉

Claims (4)

  1. 일측 프레임(500)에 이송기(510)와 타측 프레임(600)에 클램프(610)가 구비되고, 상기 타측 프레임(600) 끝단부에는 성형장치(100)가 구비되는 환봉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성형장치(100)는 중앙부에 통공(115)이 형성되는 일측 프레임(500) 방향의 베이스프레임(110) 일면에는
    Figure pat00004
    형상의 내부틀이 형성되도록 케이스(111)가 돌출되며, 상기 케이스(111) 내부에는 60°간격으로 6개의 성형롤(120)이 설치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블럭(130)으로 고정되며, 상기 지지블럭(130)을 지지하는 고정브라켓(140)과 서로 이웃하는 지지블럭(130)간 체결이 이루어지는 연결브라켓(150)이 체결되어 일측 프레임(500)으로부터 이송되는 스테인레스 환봉(700) 외주면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봉 성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은 돌출되는 케이스(111) 돌출면에 체결공(112)이 형성되며, 케이스(111) 내부로는 체결공(112)이 형성되는 바닥면(113)과 삽입구(114)가 차례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113) 내측 모서리에는 상기 케이스(111) 돌출 높이와 동일한 기둥(116)이 돌출되어 체결공(1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봉 성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롤(120) 양단에는 롤축(121)이 돌출되며, 상기 성형롤(120) 양단에 구비되는 지지블럭(130)에는 상기 롤축(121)이 삽입되도록 삽입구(131)와 볼트(B) 체결이 가능하도록 체결공(132)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케이스(111) 내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봉 성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140)은 지지블럭(130) 상부 일측면에 맞닿도록 돌출면(141)이 하부방향으로 일정구간 형성되어, 베이스프레임(110)의 케이스(111) 돌출면에 볼트(B)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봉 성형장치.
KR1020110024149A 2011-03-18 2011-03-18 환봉 성형장치 KR101227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149A KR101227297B1 (ko) 2011-03-18 2011-03-18 환봉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149A KR101227297B1 (ko) 2011-03-18 2011-03-18 환봉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6199A true KR20120106199A (ko) 2012-09-26
KR101227297B1 KR101227297B1 (ko) 2013-01-29

Family

ID=47112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4149A KR101227297B1 (ko) 2011-03-18 2011-03-18 환봉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72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6602A1 (ko) * 2015-08-13 2017-02-16 이영식 환봉 가변 성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42715A (en) * 1981-02-27 1982-09-03 Mitsugi Motomura Manufacture of finned shape tube by multiple rolls
KR950010993A (ko) * 1993-10-15 1995-05-15 한춘섭 다각파이프성형기
KR100799264B1 (ko) * 2007-08-16 2008-01-29 주식회사 한영기계 환봉 성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6602A1 (ko) * 2015-08-13 2017-02-16 이영식 환봉 가변 성형장치
CN107921494A (zh) * 2015-08-13 2018-04-17 (株)韩荣机械 圆棒可变成形装置
JP2018528863A (ja) * 2015-08-13 2018-10-04 ハンヨン マシナリーHanyoung Machinery 丸棒可変成形装置
US10695807B2 (en) 2015-08-13 2020-06-30 Hanyoung Machinery Device for forming round bar into variable shap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7297B1 (ko) 2013-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25884A (ko) 사각 파이프 표면 브러싱 장치
TWI648208B (zh) 輸送帶裝置和輸送帶裝置的調整方法
KR100799264B1 (ko) 환봉 성형장치
KR101227297B1 (ko) 환봉 성형장치
KR101063611B1 (ko) 환봉 성형장치
EP3636814A3 (en) Yarn feeding device
KR101254919B1 (ko) 이격 브라켓과 성형 롤을 포함한 환봉 성형장치
CN106111855B (zh) 用于成型机的供给装置
KR101570810B1 (ko) 비닐하우스용으로 파이프를 다각형으로 성형하는 파이프 정형기
CN106425576A (zh) 一种带安装定位基准的工件固定模具
JP2007209389A (ja) 被縫製物折曲げガイド
JP5883608B2 (ja) モジュラープラスチックベルトコンベアの駆動装置
KR200463295Y1 (ko) 덕트용 보강철판제조장치
KR100912285B1 (ko) 환봉 성형장치
JP2012055521A5 (ko)
US10695807B2 (en) Device for forming round bar into variable shapes
CN213081225U (zh) 一种排污管对接辅助装置
JP2012171795A (ja) 食肉移送用スクリューコンベヤ
CN210002882U (zh) 一种建筑施工柱模紧固件
CN205599612U (zh) 一种板材表面清洁装置
US9061438B2 (en) Device and method for artificial aging of stones
KR101047452B1 (ko) 모티브 정렬장치
KR20120126187A (ko) 금속판재의 찬넬 제조장치
CN220390453U (zh) 一种纸盖的定型装置
KR101671345B1 (ko) 환봉 가변 성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