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4648A -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4648A
KR20120104648A KR1020100104683A KR20100104683A KR20120104648A KR 20120104648 A KR20120104648 A KR 20120104648A KR 1020100104683 A KR1020100104683 A KR 1020100104683A KR 20100104683 A KR20100104683 A KR 20100104683A KR 20120104648 A KR20120104648 A KR 20120104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user
recommendation
recomme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4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환
최문일
정학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00104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4648A/ko
Publication of KR20120104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46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기술과 서비스가 단순히 주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상황에만 기반하여 주변 상호 정보의 일방적인 제공에 그치는 한계를 넘어, 사용자의 현재 위치, 날씨·온도 및 사용 시각·요일과 같은 상황 정보,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 사용 이력 정보, 소셜 네트워크 정보 및 컨텐츠의 실시간 인기도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현재 상황, 취향 그리고 소셜 네트워크 상의 관계있는 인맥의 컨텐츠 추천, 컨텐츠의 실시간 조회수에 기반한 인기도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최적으로 맞춤화된 컨텐츠를 추출한 후 맞춤형으로 추천하기 위한,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장치에 있어서,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추천 대상 컨텐츠 중에서 현재 상황에 따른 추천 컨텐츠 그룹을 추출하기 위한 상황 정보 분석부;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상황 정보 분석부에서 추출된 컨텐츠 중에서 사용자 프로파일에 따른 추천 컨텐츠 그룹을 추출하기 위한 프로파일 분석부; 사용 이력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프로파일 분석부에서 추출된 컨텐츠 중에서 사용 이력 정보에 따른 추천 컨텐츠 그룹을 추출하기 위한 사용 이력 분석부;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이 추천한 컨텐츠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프로파일 분석부에서 추출된 컨텐츠 중에서 소셜 네트워크 인맥의 추천 정보에 따른 컨텐츠를 추출하기 위한 인맥 추천 분석부; 및 상기 추천 대상 컨텐츠 중에서 조회수에 따른 인기 컨텐츠를 추출하기 위한 인기도 분석부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 이력 분석부와 상기 인맥 추천 분석부와 상기 인기도 분석부에서 추출된 개인 맞춤형 컨텐츠를 단말장치로 날짜순, 거리순, 추천순, 인기순으로 추천한다.

Description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시스템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person tailored contents and its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위성항법장치(GPS), 이동통신 기지국 및 무선 인터넷 액세스 포인트(AP) 사용 정보를 활용한 위치 등 스마트폰 사용자의 현재 상황 정보(위치, 날씨·온도 및 사용 시각·요일),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성별 및 연령),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 이력(컨텐츠 조회 빈도 및 후기와 평점 작성 활동이 높은 컨텐츠 분야로 사용자의 취향을 파악),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정보(인맥이 추천한 컨텐츠) 및 현재의 실시간 조회수에 기반한 인기도(실시간 화제 거리)를 바탕으로 개인 맞춤형 컨텐츠를 추천하는 장치 및 방법과 그를 이용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스마트폰 사용자의 현재 위치, 날씨·온도 및 사용 시각·요일 상황 정보를 토대로 추천 컨텐츠 그룹을 우선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의 성별과 연령 프로파일에 적합 컨텐츠 그룹을 추출하며,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 이력(컨텐츠 조회 빈도 및 후기와 평점 작성 활동이 높은 컨텐츠 분야로 사용자의 취향을 파악), 상기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이 추천하고 공유한 컨텐츠 및 컨텐츠의 실시간 조회수에 기반한 인기도에 의하여 개인 맞춤형 컨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황과 취향에 가장 적합한 뉴스 등 실시간 정보, 사진, 영상, 음성(음악, 벨소리 등 각종 사운드) 컨텐츠를 날짜순, 거리순, 인기순, 추천순의 방식으로 추천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자신의 현재 상황과 프로파일, 사용 이력에 기반한 취향 및 소셜 네트워크 상에서 취향이 유사하고 관계가 깊은 인맥의 추천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가장 최적화된 컨텐츠를 추천받을 수 있고, 컨텐츠 생성자와 제공자는 상기 사용자가 특정 상황에서 원하는 맞춤형 컨텐츠와 현재 실시간으로 인기있는 컨텐츠를 자동 추천함으로써 컨텐츠의 전체적인 사용률을 높일 수 있는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의 활성화와 함께 위성항법장치(GPS), 이동통신 기지국 및 무선 인터넷 액세스 포인트(AP)를 활용한 사용자의 위치 측정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스마트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다양한 위치기반서비스(LBS : Location Base Service)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 Social Networking Service, 사회관계망형성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출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 사용자가 현재의 위치에 기반한 주변 상호 및 이의 상세 정보(예 : 주변 음식점의 전화번호, 경로, 영업시간 등)를 얻기를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직접 자신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 사용을 승인한 후 자신이 필요로 하는 주변 상호 등의 정보를 검색함으로써, 사용자 주변의 정보를 쉽게 획득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하여 사용자는 원하는 정보와 컨텐츠에 대한 사전지식을 갖고 이와 관련된 검색 키워드를 스마트폰의 화면과 문자 입력기로 직접 입력한 후, 검색된 여러 컨텐츠 중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해야 하는데, 대부분의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스마트폰의 작은 스크린 화면과 문자 입력기로 인하여 이동 중에 정확한 검색 키워드를 입력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그리고 비록 스마트폰 사용자가 직접 검색 키워드를 입력한 후 제공받은 여러 컨텐츠 중 원하는 컨텐츠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사용자의 취향에 맞고 관심 사항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검색 키워드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컨텐츠는 접하지 못하게 되는 불편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알고 있는 사전 지식 범위 내의 컨텐츠 키워드를 사용해서만 컨텐츠를 검색하여 컨텐츠를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밖에 없으며, 직접 검색 키워드를 입력하는 불편과 이렇게 제공받은 여러 컨텐츠 중에 원하는 컨텐츠를 찾고 선택하기 위한 시간을 낭비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컨텐츠 제공자들은 사용자가 직접 검색 키워드를 입력하지 않아도 컨텐츠의 실시간 조회수가 높아 인기있는 컨텐츠를 자동 제공하거나, 사용자가 즐겨보는 컨텐츠와 유사한 종류와 분야의 컨텐츠 목록을 추천하는 기능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컨텐츠 제공자가 사용자의 위치 등 상황 정보와 사용자의 연령, 성별과 같은 프로파일 정보 및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의 인맥의 추천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사용자가 기 입력하여 설정한 선호 정보를 사용하여 취향에 어울리는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상황 인지에 기반한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방법의 경우, 개인의 상황 정보, 이력, 프로파일과 소셜 네트워크 상의 추천을 위주로 제공하여, 현재 인기있는 실시간 조회수를 반영하지 않아 사회적으로 현재 시점에서 화제가 되고 있는 컨텐츠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기가 어려웠다.
한편, 사용자가 미리 자신이 선호하는 다양한 선호 정보를 시스템상에 직접 등록하여 원하는 컨텐츠를 제공받는 방법의 경우, 사용자의 선호도가 변경되면 일일이 시스템상에 새로운 선호 정보를 매번 변경해야 하고, 선호 정보에 포함되지는 않았지만 대다수의 다른 사용자들이 사용했거나 사용자와 소셜 네트워크로 연결된 유사한 취향을 가진 인맥들이 많이 사용한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가 기 설정한 선호 정보에 포함되지 않아 상기 사용자에게는 제공되지 않는 제약이 있다.
이처럼 종래의 위치기반서비스와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사용자의 다양한 주변 상황, 사용자의 사용 이력과 소셜 네트워크 상의 추천, 실시간 조회수가 반영된 컨텐츠의 인기도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지 않고 단순히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기 설정한 선호 정보, 그리고 개인의 상황 정보만을 기준으로 주변의 상호 및 컨텐츠 정보만을 제공받는 한계가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의 선호도가 바뀌면 다시 기 설정한 선호 분야를 변경해야 하는 불편이 있으며, 주변 상호 정보 외에 뉴스 등 실시간 정보, 사진, 영상, 음성(음악, 벨소리, 목소리, 사운드 등) 등 다양한 형태의 맞춤화된 컨텐츠를 사용하려는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켜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컨텐츠 사용자의 요구뿐만 아니라, 컨텐츠 생성자와 제공자 또한 사용자의 현재 상황, 프로파일과 사용 이력 기반의 취향, 소셜 네트워크 정보, 컨텐츠의 인기도와 상관없이 사용자에 맞춤화되지 않은 컨텐츠를 해당 사용자에 일방적으로 대량 공급할 뿐 맞춤형으로 선별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컨텐츠 생성자와 제공자는 사용자의 현재 상황, 프로파일과 사용 이력에 기반한 취향, 소셜 네트워크 정보, 컨텐츠의 인기도에 따라 사용자에 최적으로 맞춤화된 컨텐츠를 선별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컨텐츠의 사용률을 늘리고자 하는 요구가 크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 요구에 부응하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과 서비스가 단순히 주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상황에만 기반하여 주변 상호 정보의 일방적인 제공에 그치는 한계를 넘어, 사용자의 현재 위치, 날씨·온도 및 사용 시각·요일과 같은 상황 정보,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 사용 이력 정보, 소셜 네트워크 정보 및 컨텐츠의 실시간 인기도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현재 상황, 취향 그리고 소셜 네트워크 상의 관계있는 인맥의 컨텐츠 추천, 컨텐츠의 실시간 조회수에 기반한 인기도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최적으로 맞춤화된 컨텐츠를 추출한 후 맞춤형으로 추천하기 위한,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최적으로 맞춤화된 컨텐츠를 추출한 후 추천하는 것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맞춤형 컨텐츠 사용 편의성을 위하여 맞춤형 컨텐츠를 날짜순, 거리순, 인기순 및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이 추천한 순의 방식으로 제공하는,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최적으로 맞춤화된 컨텐츠를 추출한 후 추천하는 것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컨텐츠 이용 및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에게로 추천과 공유하는 정보를 갱신하고 저장하여 더욱 정교한 맞춤형 컨텐츠를 추천하기 위한,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장치에 있어서,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추천 대상 컨텐츠 중에서 현재 상황에 따른 추천 컨텐츠 그룹을 추출하기 위한 상황 정보 분석부;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상황 정보 분석부에서 추출된 컨텐츠 중에서 사용자 프로파일에 따른 추천 컨텐츠 그룹을 추출하기 위한 프로파일 분석부; 사용 이력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프로파일 분석부에서 추출된 컨텐츠 중에서 사용 이력 정보에 따른 추천 컨텐츠 그룹을 추출하기 위한 사용 이력 분석부;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이 추천한 컨텐츠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프로파일 분석부에서 추출된 컨텐츠 중에서 소셜 네트워크 인맥의 추천 정보에 따른 컨텐츠를 추출하기 위한 인맥 추천 분석부; 및 상기 추천 대상 컨텐츠 중에서 조회수에 따른 인기 컨텐츠를 추출하기 위한 인기도 분석부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 이력 분석부와 상기 인맥 추천 분석부와 상기 인기도 분석부에서 추출된 개인 맞춤형 컨텐츠를 단말장치로 날짜순, 거리순, 추천순, 인기순으로 추천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방법에 있어서,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추천 대상 컨텐츠 중에서 현재 상황에 따른 추천 컨텐츠 그룹을 추출하는 제 1 추천 컨텐츠 추출 단계;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 1 추천 컨텐츠 추출 단계에서 추출된 컨텐츠 중에서 사용자 프로파일에 따른 추천 컨텐츠 그룹을 추출하는 제 2 추천 컨텐츠 추출 단계; 사용 이력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 2 추천 컨텐츠 추출 단계에서 추출된 컨텐츠 중에서 사용 이력 정보에 따른 추천 컨텐츠 그룹을 추출하는 제 3 추천 컨텐츠 추출 단계;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이 추천한 컨텐츠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 2 추천 컨텐츠 추출 단계에서 추출된 컨텐츠 중에서 소셜 네트워크 인맥의 추천 정보에 따른 컨텐츠를 추출하는 제 4 추천 컨텐츠 추출 단계; 상기 추천 대상 컨텐츠 중에서 조회수에 따른 인기 컨텐츠를 추출하는 제 5 추천 컨텐츠 추출 단계; 및 상기 제 3, 제 4 및 제 5 추천 컨텐츠 추출 단계에서 추출된 개인 맞춤형 컨텐츠를 조합하여 추천 컨텐츠 목록을 날짜순, 거리순, 추천순, 인기순으로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방법은, 사용자의 컨텐츠 조회, 후기 및 평점 작성, 소셜 네트워크의 인맥에게 컨텐츠 추천에 따라 상기 사용 이력 정보와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에게 추천한 컨텐츠 정보가 갱신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장치가 컨텐츠 사용을 요청함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수집하여 컨텐츠 추천부로 전달하기 위한 상황 정보 수집부; 상기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 이력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이 추천한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컨텐츠 추천부로 전달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 저장부; 및 컨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상황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 이력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이 추천한 컨텐츠 정보와 컨텐츠의 인기도에 기반하여 개인 맞춤형 컨텐츠를 추출한 후에 상기 추출된 개인 맞춤형 컨텐츠를 상기 단말장치로 날짜순, 거리순, 추천순, 인기순으로 추천하기 위한 상기 컨텐츠 추천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방법에 있어서, 단말장치가 컨텐츠 사용을 요청함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수집하여 컨텐츠 추천부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 이력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이 추천한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컨텐츠 추천부로 전달하는 단계; 및 추천 대상 컨텐츠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상황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 이력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이 추천한 컨텐츠 정보와 컨텐츠의 인기도에 기반하여 개인 맞춤형 컨텐츠를 추출한 후에 상기 추출된 개인 맞춤형 컨텐츠를 상기 단말장치로 날짜순, 거리순, 추천순, 인기순으로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사용자의 컨텐츠 조회, 후기 및 평점 작성, 소셜 네트워크의 인맥에게 컨텐츠 추천에 따라 상기 사용 이력 정보와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에게 추천한 컨텐츠 정보가 갱신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 사용자는 현재 상황 정보, 프로파일 정보,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의 추천 컨텐츠 정보, 사용 이력 및 컨텐츠의 실시간 인기도에 의하여 사용자별로 맞춤형 컨텐츠(뉴스 등 실시간 정보, 사진, 영상, 음악과 사운드 등 음성)를 제공받을 수 있고, 이렇게 추천받은 컨텐츠를 날짜순, 거리순, 인기순, 추천순의 방식으로 사용하고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에 전송하여 공유할 수 있다. 이처럼, 스마트폰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를 통하여 맞춤형 컨텐츠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면서 사용자의 사용 이력과 소셜 네트워크에 기반한 컨텐츠의 추천 및 공유 정보가 축적됨에 따라 개인 맞춤형 컨텐츠 제공 방식이 더욱 정교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현재 위치, 날씨·온도 및 사용 시각·요일과 같은 상황 정보, 사용자의 성별과 연령과 같은 프로파일 정보, 컨텐츠 사용 이력 정보(컨텐츠 조회 빈도 및 후기와 평점 작성 활동이 높은 컨텐츠 분야) 및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이 추천한 컨텐츠 정보, 컨텐츠의 실시간 조회수에 기반한 컨텐츠의 인기도 정보를 분석하여 추출한 후에 날짜순, 거리순, 인기순, 추천순의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의미있는 개인 맞춤형 컨텐츠를 추천하는 서비스가 가능해져 사용자의 컨텐츠 검색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여 주고, 컨텐츠 사용 편의성을 높여 줄 수 있으며, 비록 사용자에 맞춤화되지 않았더라도 현재 사회적으로 화제가 되고 있는 컨텐츠가 무엇인지 확인해 볼 수 있도록 하여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조회한 컨텐츠에 대한 후기와 평점 작성 및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에게 상기 조회한 컨텐츠를 추천하면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 이력이 축적되면서 맞춤형 컨텐츠 추출 과정이 지속적으로 더 정교해지고, 점차적으로 사용자에게 더욱 맞춤화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렇게 사용자가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에게 추천하거나 인맥으로부터 추천받은 컨텐츠 정보가 지속적으로 갱신되고 인맥의 명칭을 컨텐츠 정보에 표시함으로써, 누구로부터 추천받고 추천했는지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맞춤형 컨텐츠 사용자와 컨텐츠 생성자 및 컨텐츠 제공자와의 소통 또는 공유가 더욱 활발해지며, 사용자가 컨텐츠를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으로부터 추천받고, 사용자가 조회한 컨텐츠를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들에 추천함으로써, 보다 쉽게 인간관계를 형성할 수 있고 컨텐츠에 대한 의견 교환이 가능해지며, 소셜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의 공유가 더욱 고도화되어 인맥 간의 공유와 소통의 기회를 넓히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여 컨텐츠 생성자와 컨텐츠 제공자는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최적으로 맞춤화된 컨텐츠와 실시간으로 인기있는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게 됨으로써, 컨텐츠의 사용률을 한층 증가시키면서 사용자의 취향을 파악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다양한 형태의 타겟형 광고와 스마트폰을 사용한 상거래 등의 부가 서비스로 연계하여 더 큰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컨텐츠 추천부(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장치)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추천부의 동작 과정(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전체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사용자의 상황 정보와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기반하여 주요 추천 컨텐츠 그룹을 추출하는 테이블의 일예시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텍스트 형태의 맞춤형 뉴스 컨텐츠를 날짜순으로 추천하는 화면에 대한 일예시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사진 컨텐츠를 근접 거리순으로 추천하는 화면에 대한 일예시도,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영상 컨텐츠를 최고 인기순으로 추천하는 화면에 대한 일예시도,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음성 컨텐츠를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들이 추천한 순으로 추천하는 화면에 대한 일예시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스마트폰 사용자의 상황 인지와 사용자의 프로파일 및 사용 이력,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정보 및 컨텐츠의 실시간 조회수에 따른 인기도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맞춤형 컨텐츠를 추천하는 시스템에 대한 전체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시스템은, 무수한 컨텐츠(텍스트 형식의 실시간 정보 등 뉴스, 사진, 영화나 UCC 등의 영상, 음악이나 사운드 등의 음성) 중 스마트폰 사용자의 컨텐츠 요청이 있을 경우 사용자의 상황, 프로파일, 사용 이력, 소셜 네트워크 정보 및 컨텐츠의 실시간 인기도에 따라 최적으로 맞춤화된 컨텐츠를 추출하여 사용자에 추천한다.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으로 컨텐츠 사용을 요청할 때 사용자가 선호하는 분야를 직접 설정하지 않아도 무수히 많은 컨텐츠 중에서 사용자의 상황 조건에 따라 추출한 컨텐츠와, 사용자의 프로파일과 사용 이력에 따른 취향을 분석하여 추출한 컨텐츠와,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이 추천한 컨텐츠와, 사용자가 선호하지 않거나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들로부터 추천받지 못하였더라도 다른 전체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실시간 조회수를 파악하여 인기도가 높은 컨텐츠를 사용자 개인 맞춤형으로 추천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사용자의 상황, 프로파일 및 취향에 따라, 그리고 관계있는 인맥의 추천 및 조회수가 높아 사용할 만한 가치가 있는 컨텐츠를 추천받아 컨텐츠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직접 선호도를 설정하거나 검색어를 입력하여 컨텐츠를 검색할 필요없이 원하는 컨텐츠와 실시간으로 인기 있는 컨텐츠를 자동으로 추천받을 수 있는 편리함을 누릴 수 있다.
스마트폰 사용자가 컨텐츠를 사용할 때, 사용자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컨텐츠를 제공할 경우, 사용자에게 의미없고 불필요한 무수한 컨텐츠가 일방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 날씨·온도 및 사용 시각·요일과 같은 상황을 인지하여 사용자의 상황에 적합한 추천 컨텐츠 그룹을 추출함으로써, 사용자에 의미있는 컨텐츠를 추천할 수 있게 된다. 도 6a 내지 도 6d는 사용자의 상황 조건과 성별 및 연령 프로파일에 따른 주요 추천 컨텐츠 그룹의 예시이며, 이에 대해서는 도 6a 내지 도 6d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1에 도시된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황 정보 수집부(110)는 스마트폰 사용자가 스마트폰 단말장치(10)에서 컨텐츠를 사용하려는 현재의 위치, 날씨·온도 및 사용 시각·요일과 같은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컨텐츠 추천부(140)에 전달함으로써, 스마트폰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컨텐츠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황 정보 수집부(110)의 위치 정보 수집부(111)에서는 스마트폰 사용자가 스마트폰 단말기(10)에서 컨텐츠 사용을 요청하는 현재의 위치 정보를 위성항법장치(GPS), 무선 인터넷 액세스 포인트(AP) 및 기지국을 통하여 수집하여 스마트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날씨 정보 수집부(112)에서는 스마트폰 사용자가 컨텐츠 사용을 요청하는 현재 위치의 날씨와 온도 정보를 수집하여 날씨와 계절을 파악하며, 시간 정보 수집부(112)에서는 스마트폰 사용자가 컨텐츠 사용을 요청하는 현재 시각과 요일 정보를 수집하여 파악한다.
그리고 사용자 정보 저장부(120)는 사용자가 스마트폰 단말장치(10)에서 컨텐츠를 요청할 때 사용자의 성별과 연령 프로파일 정보,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 이력 정보(컨텐츠 조회 빈도 및 후기와 평점 작성 활동이 높은 컨텐츠 분야),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이 추천한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정보 저장부(120)의 프로파일 저장부(121)에서는 사용자가 스마트폰 단말장치(10)에서 컨텐츠를 요청할 때 사용자의 회원 여부를 파악한 후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DB)(124)로부터 사용자의 성별과 연령 프로파일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한다.
사용 이력 저장부(122)에서는 사용자가 컨텐츠를 요청하면 사용자가 그동안 다양한 컨텐츠를 조회하고 상기 조회한 컨텐츠에 후기와 평점을 작성한 활동 정보를 사용 이력 데이터베이스(DB)(125)로부터 수집하여 저장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그동안 조회한 컨텐츠 빈도 수와 활동 정보를 통하여 사용자가 선호하고 즐겨찾는 컨텐츠 분야와 취향을 자동으로 파악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는, 본 발명에 따라 개발된 맞춤형 컨텐츠 서비스의 인맥맺기 기능을 통하여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장치(10)의 전화번호부 상의 인맥, 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맺은 인맥, 이메일 계정으로 맺은 인맥을 호출하여 인맥맺기와 인맥에 컨텐츠를 추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소셜 네트워크 정보 저장부(123)에서는 사용자가 컨텐츠를 요청하면 SNS(소셜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DB)(126)로부터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이 사용자에게 추천한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한다. 소셜 네트워크 정보 저장부(123)를 통하여 사용자는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들로부터 어떤 컨텐츠를 추천받았는지, 상기 추천받은 컨텐츠를 추천한 인맥이 누구인지, 추천한 인맥이 총 몇 명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상황 정보 수집부(110)와 사용자 정보 저장부(120)가 각각 수집하고 저장한 상황 정보와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 컨텐츠 사용 이력 정보,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이 추천한 컨텐츠 정보를 컨텐츠 추천부(140)로 전송하면, 컨텐츠 추천부(140)에서는 각 정보를 분석하여 그에 따른 컨텐츠를 추출하여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장치(10)로 맞춤화된 컨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저장부(130)에서는 컨텐츠 수집부(131)가 텍스트 형식의 뉴스 컨텐츠를 뉴스 데이터베이스(DB)(133)로부터 수집하고, 사진 형식의 컨텐츠를 사진 데이터베이스(DB)(134)로부터 수집하며, 동영상 형식의 컨텐츠를 영상 데이터베이스(DB)(135)로부터 수집하고, 음악과 사운드 형식의 컨텐츠를 음성 데이터베이스(DB)(136)로부터 수집한다.
컨텐츠 분류부(132)에서는 상기 컨텐츠 수집부(131)에서 수집한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가 생성된 지역과 상기 컨텐츠의 내용과 관련있는 지역에 따라 위치별로 분류하고, 상기 컨텐츠가 생성된 날짜를 파악하여 최신 날짜별로 분류하며, 상기 컨텐츠의 실시간 조회수를 파악하여 컨텐츠의 인기도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어, 도 6b에 도시된 화면 예시도와 같이 수집한 무수한 컨텐츠들 중에서 부산의 해운대 해수욕장 지역에서 생성한 컨텐츠와 해운대에 대한 내용을 다룬 컨텐츠를 분류하여 저장해 놓으면, 스마트폰 사용자가 부산의 해운대 해수욕장에서 컨텐츠를 요청할 때 상기 분류하여 저장한 컨텐츠 중 부산의 해운대에서 생성되었거나 해운대와 관련있는 내용의 컨텐츠를 부산의 해운대 해수욕장에서 근접한 순으로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 추천부(140)는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시스템의 중요 구성 요소로서, 상기 컨텐츠 저장부(130)에 저장된 컨텐츠 중에서 사용자의 상황 정보와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와 사용자의 사용 이력 정보와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이 추천한 컨텐츠 정보와 컨텐츠의 실시간 조회수에 기반한 컨텐츠의 인기도에 기반하여 사용자 맞춤형 컨텐츠를 추출한 후에 상기 추출된 사용자 맞춤형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날짜순, 거리순, 인기순, 추천순의 방식으로 추천한다.
이때, 상황 정보 분석부(141)에서는 상기 상황 정보 수집부(110)로부터 전달받은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컨텐츠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중에서 사용자의 현재 상황에 필요한 추천 컨텐츠 그룹을 추출하고, 프로파일 분석부(142)에서는 상기 사용자 정보 저장부(120)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의 성별과 연령 프로파일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상황 정보 수집부(110)에서 추출된 컨텐츠 중에서 사용자에게 적합한 추천 컨텐츠 그룹을 추출하며, 사용 이력 분석부(143)에서는 상기 사용자 정보 저장부(120)로부터 전달받은 사용 이력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프로파일 분석부(142)에서 추출된 컨텐츠 중에서 사용자가 즐겨찾는 컨텐츠 분야를 추출하고, 인맥 추천 분석부(143)에서는 상기 사용자 정보 저장부(120)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이 추천한 컨텐츠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프로파일 분석부(142)에서 추출된 컨텐츠 중에서 컨텐츠를 추출하며, 인기도 분석부(145)에서는 상기 컨텐츠 저장부(130)로부터 추천 대상 컨텐츠 중 실시간 조회수가 높은 인기 컨텐츠를 추출한 후에, 상기 추출된 사용자 맞춤형 컨텐츠를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장치(10)로 날짜순, 거리순, 인기순, 추천순의 방식으로 추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컨텐츠 추천부(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장치)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컨텐츠 추천부(140)는, 상황 정보 수집부(110)로부터 전달받은 상황 정보(사용자의 현재 위치, 날씨·온도 및 사용 시각·요일)를 분석하여 컨텐츠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중에서 사용자의 현재 상황에 필요한 추천 컨텐츠 그룹을 추출하기 위한 상황 정보 분석부(141), 사용자 정보 저장부(120)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의 성별과 연령과 같은 프로파일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상황 정보 분석부(141)에서 추출된 컨텐츠 중에서 사용자에게 적합한 추천 컨텐츠 그룹을 추출하기 위한 프로파일 분석부(142), 상기 사용자 정보 저장부(120)로부터 전달받은 사용 이력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프로파일 분석부(142)에서 추출된 컨텐츠 중에서 사용자가 즐겨찾는 컨텐츠 그룹을 추출하기 위한 사용 이력 분석부(143), 상기 사용자 정보 저장부(120)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이 추천한 컨텐츠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프로파일 분석부(142)에서 추출된 컨텐츠 중에서 컨텐츠를 추출하기 위한 인맥 추천 분석부(143), 및 상기 컨텐츠 저장부(130)로부터 추천 대상 컨텐츠 중 실시간 조회수가 높은 인기 컨텐츠를 추출하기 위한 인기도 분석부(145)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 이력 분석부(143)와 인맥 추천 분석부(143)와 인기도 분석부(145)에서 추출된 사용자 맞춤형 컨텐츠를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장치(10)로 날짜순, 거리순, 인기순, 추천순의 방식으로 추천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추출 과정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컨텐츠 추천부(140)의 상황 정보 분석부(141)에서 스마트폰 사용자의 현재 위치, 날씨·온도 및 사용 시각·요일과 같은 상황 정보를 분석한 후, 컨텐츠 저장부(130)에서 수집되어 분류된 뉴스, 사진, 영상, 음성의 컨텐츠 중에서 스마트폰 사용자의 현재 상황에 가장 적합하고 의미있는 추천 컨텐츠 그룹을 추출한다. 이때,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기반한 반경 거리의 설정은 본 발명에 의한 맞춤형 컨텐츠 추천 시스템에서 미리 설정하거나, 컨텐츠 생성자와 제공자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점에 설정하거나, 스마트폰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폰 단말장치(10)에서 개별적으로 스스로 설정할 수도 있다. 추천 컨텐츠 그룹을 추출하는 조건은 도 5의 실시예 테이블을 참조한다.
그리고 프로파일 분석부(142)에서는 사용자의 성별과 연령과 같은 프로파일 정보를 분석한 후, 상기 상황 정보 분석부(141)에서 추출한 컨텐츠 그룹 중에서 사용자의 성별과 연령에 적합한 컨텐츠 그룹만을 추출하고, 사용자의 프로파일에 부적합한 컨텐츠는 자동으로 제거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미성년자일 경우에는 19세 미만이 사용 불가한 성인용 컨텐츠를 자동으로 추천대상에서 제외하는 추출 과정을 거친다. 추천 컨텐츠 그룹을 추출하는 조건은 도 5의 실시예 테이블을 참조한다.
그리고 사용 이력 분석부(143)에서는 사용자의 조회 빈도가 높고 조회한 컨텐츠에 대한 후기와 평점을 작성한 컨텐츠 분야를 분석한 후에, 상기 프로파일 분석부(142)에서 추출한 컨텐츠 그룹 중에서 사용자가 즐겨찾고 관심있어 하는 컨텐츠 그룹을 자동으로 추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직접 선호 정보를 일일이 설정하고 입력할 필요없이 자주 조회하고 관심있는 분야의 컨텐츠를 자동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그리고 인맥 추천 분석부(144)에서는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인맥을 파악하고 취향이 비슷하거나 관계있는 인맥이 사용자에게 추천한 컨텐츠를 상기 프로파일 분석부(142)에서 추출한 컨텐츠 그룹 중에서 추출한다. 이처럼, 인맥 추천 분석부(144)를 통하여 비록 사용자는 관심이 부족하더라도 사용자와 취향이 유사하거나 사회적 관계가 있는 인맥이 많이 추천한 컨텐츠를 사용자가 접하여 컨텐츠를 공유함으로써 해당 인맥과의 소통이 깊어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인기도 분석부(145)에서는 사용자의 상황, 프로파일, 사용 이력 및 소셜 네트워크와는 상관없지만 전체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실시간 조회수가 높은 인기있는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저장부(130)로부터 추출한다. 이처럼, 인기도 분석부(145)를 통하여 비록 사용자와 사용자 인맥의 관심이 부족하더라도 전체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실시간 조회수가 높은 인기있는 컨텐츠를 사용자가 접하여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실시간으로 인기있는 컨텐츠에 대한 추출은 현재 인기있는 실시간 조회수에 따라 분류할 수 있어 스마트폰 사용자가 인기있는 컨텐츠뿐만 아니라 현재의 사회적인 이슈를 쉽게 바로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추출 과정을 거쳐 사용자의 상황에 필요하고, 성별과 연령 프로파일에 적합하며, 사용 이력에 근거한 취향에 어울리고, 취향이 비슷하거나 관계있는 사용자의 인맥이 추천하며, 실시간 조회수가 높아 인기있는 컨텐츠를 사용자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고 인기있는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컨텐츠 생성자와 제공자는 컨텐츠를 사용자에 맞춤화하여 제공함으로써 컨텐츠 사용률을 보다 높일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컨텐츠 추출 과정과 달리, 인맥 추천 분석부(144)가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인맥을 파악하고 취향이 비슷하거나 관계있는 인맥이 사용자에 추천한 컨텐츠를 상기 프로파일 분석부(142)에서 추출한 컨텐츠 그룹 중에서 추출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상황 정보 분석부(141)에서 추출한 컨텐츠 그룹 중에서 추출하거나, 상기 컨텐츠 저장부(130)로부터 추출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상황에 필요하고, 성별과 연령 프로파일에 적합하며, 사용 이력에 근거한 취향에 어울리고, 취향이 비슷하거나 관계있는 사용자의 인맥이 추천하며, 실시간 조회수가 높아 인기있는 컨텐츠를 사용자의 상황 정보,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 사용 이력 정보, 소셜 네트워크 정보 및 컨텐츠의 실시간 인기도를 바탕으로 여러 조합으로 추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추천부(140)의 동작 과정(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스마트폰 사용자의 단말장치(10)에서 컨텐츠 사용을 요청함에 따라 컨텐츠 추천부(140)가 사용자에 맞춤화된 컨텐츠를 추천하는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마트폰 사용자가 스마트폰 단말장치(10)로 컨텐츠 사용을 요청하면, 상황 정보 수집부(110)가 사용자가 컨텐츠를 사용하려는 현재 위치, 날씨·온도 및 사용 시각·요일과 같은 상황 정보를 인지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301).
사용자가 컨텐츠를 사용하려는 현재의 위치, 날씨·온도 및 사용 시각·요일과 같은 상황 정보를 인지한 후(S301), 컨텐츠 추천부(140)가 사용자의 현재 상황에 적합한 추천 컨텐츠 그룹을 추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302).
이후, 사용자의 회원 여부를 파악하여(S303), 회원이 맞으면 사용자의 성별과 연령과 같은 프로파일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상황 정보에 따라 추출된 추천 컨텐츠 그룹 중에서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에 적합한 추천 컨텐츠 그룹을 추출하고(S304), 회원이 아닐 경우 사용자에게 회원 가입 요청을 안내한다(S350).
이후, 사용자의 컨텐츠 조회 분야, 조회 후 후기 및 평점 작성의 활동(사용 이력 정보)이 많은 컨텐츠를 분석하여(S305) 상기 프로파일 정보에 기반하여 추출된 추천 컨텐츠 그룹 중에서, 자주 조회하고 후기 및 평점 작성의 활동이 많은 컨텐츠 분야에 속한 컨텐츠를 추출한다(S306).
그리고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에 속한 인맥과 인맥이 추천한 컨텐츠를 분석하여(S307) 상기 프로파일 정보에 기반하여 추출된 추천 컨텐츠 그룹 중에서, 인맥이 많이 추천한 컨텐츠를 추출한다(S308).
그리고 전체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실시간 조회수(인기도)를 분석하여(S309) 컨텐츠 저장부(130)가 수집하고 분류한 추천 대상 컨텐츠 중에서, 인기있는 컨텐츠를 추출한다(S310).
상기의 각 방식과 기준에 의하여 추출된 컨텐츠(S306, S308, S310)를 조합하여 사용자에 맞춤화된 최종 추천 컨텐츠 목록을 생성한다(S311).
상기 맞춤형 최종 추천 컨텐츠 목록을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컨텐츠가 생성된 날짜순으로 제공하거나(S312),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근접한 거리에서 생성되거나 현재 위치와 연관성있는 내용의 컨텐츠를 근접한 거리순으로 제공하거나(S313),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이 많이 추천한 컨텐츠를 추천순으로 제공하거나(S314), 전체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실시간 조회수가 높은 컨텐츠를 인기순으로 제공함으로써(S315), 사용자가 컨텐츠를 사용하기를 원하는 다양한 의도에 따라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자신에게 맞춤화된 컨텐츠를 추천받아 선택하여 조회하고, 조회 후 후기 및 평점을 작성하고,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의 인맥과 공유하고 싶은 컨텐츠를 사용자의 인맥에게 추천하면(S316), 사용자의 사용 이력과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에게 추천한 컨텐츠 정보가 갱신되고(S317) 저장된다(S318). 이러한 맞춤형 컨텐츠 사용 과정이 지속적으로 반복되고 정보가 누적되면서 점차적으로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컨텐츠를 더욱 정교하게 추천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전체 흐름도이다.
스마트폰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장치(10)에서 컨텐츠 사용을 요청함에 따라 컨텐츠 추천부(140)가 사용자에 맞춤화된 컨텐츠를 추천하는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마트폰 사용자가 스마트폰 단말장치(10)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사용하고자 하면, 스마트폰 단말장치(10)가 현재의 위치, 날씨·온도 및 사용 시각·요일과 같은 상황 정보를 상황 정보 수집부(110)로 전송한다(S11). 그러면, 상황 정보 수집부(110)에서는 상황 정보를 수집하여(S111) 컨텐츠 추천부(140)로 전송한다(S112).
그리고 사용자 정보 저장부(120)에서도 사용자의 프로파일, 사용 이력,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이 추천한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S121) 이를 컨텐츠 추천부(140)로 전송한다(S122).
그러면, 컨텐츠 추천부(140)에서는 수신한 사용자의 상황 정보에 기반하여 도 5와 같이 개인 맞춤형 컨텐츠 시스템에서 정의한 상황별 추천 컨텐츠 그룹 추출 기준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상황에 적합한 컨텐츠 그룹을 추출한다(S141).
또한, 컨텐츠 추천부(140)에서는 수신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프로파일, 사용 이력,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이 추천한 컨텐츠를 참조하여 맞춤형 컨텐츠를 추출하고, 전체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실시간 조회수가 높은 인기있는 컨텐츠를 조합하여 추출한다(S142).
그리고 컨텐츠 추천부(140)에서는 상기 과정에 따라 추출한 컨텐츠를 컨텐츠 종류(뉴스, 사진, 영상, 음성)에 따라 날짜순, 거리순, 추천순, 인기순으로 분류하여(S143),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장치(10)로 개인 맞춤형 컨텐츠를 추천한다(S144).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폰 단말장치(10)에 컨텐츠 종류(뉴스, 사진, 영상, 음성)별로 날짜순, 거리순, 추천순, 인기순으로 추천받은 맞춤형 컨텐츠 중 하나를 선택하면(S12) 컨텐츠 추천부(140)로 컨텐츠 사용 요청을 전송한다(S13).
그러면, 컨텐츠 추천부(140)에서는 컨텐츠 사용 요청 정보를 받고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장치(10)로 제공한다(S145).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 단말장치(10)에서 선택한 컨텐츠를 제공받아 조회하고, 조회 후 컨텐츠에 대한 감상 후기를 남기거나 상기 조회한 컨텐츠에 대한 평점을 매길 수 있고, 또는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에게 공유하고 싶은 컨텐츠를 추천해 줄 수 있다(S14).
사용자가 컨텐츠를 조회하고 후기 및 평점을 작성한 사용 이력 정보와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에게 컨텐츠를 추천한 소셜 네트워크 정보를 사용자 정보 저장부(120)로 전송하여(S15)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 이력 및 소셜 네트워크 정보가 갱신되어 저장됨에 따라(S123) 사용자가 다음번에 컨텐츠를 사용할 때 갱신된 사용자의 사용 이력과 소셜 네트워크 정보가 적용되어 사용자는 점차적으로 더욱 정교한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사용자의 상황 정보와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기반하여 주요 추천 컨텐츠 그룹을 추출하는 테이블의 일예시도로서, 테이블 상의 조건별 조합에 따라 각 사용자별로 각자 다른 컨텐츠를 추천받게 된다. 도 5의 테이블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며 다양한 변형 예가 가능하다. 사용자마다 생활 양식이 다르기 때문에 테이블 상의 실시예는 특수한 사례가 아닌 일반적인 생활 양식 사례를 고려하여 작성된 일실시예임을 주지하여야 한다.
사용자의 상황은 첫 번째로 위치를 상업·문화 지역, 여행·유원지 및 주거지역으로 구분한다. 상업·문화 지역에서는 상권 내에서 일반적인 경제 및 문화 활동과 관련한 컨텐츠 그룹을 주로 추천한다. 예를 들어, 백화점과 쇼핑몰, 대형 마트가 많아 구매활동과 관련있는 쇼핑, 패션, 미용 컨텐츠를 추천하며, 극장과 공연장이 많아 여가생활과 관련있는 문화 컨텐츠를 추천하며, 회사와 기관이 많아 경제 컨텐츠를 추천하며, 식당이 많아 음식 컨텐츠를 주로 추천한다. 여행·유원지에서는 야외 여가 활동과 관련있는 여행, 날씨, 레져, 오락, 쇼핑, 음식 컨텐츠와 유원지와 관련한 문화 컨텐츠를 주로 추천한다. 집이 많은 주거지역에서는 교육, 청소와 세탁 등의 집 관리, 주변 교통 상황, 의료, 요리, 운동 등 일반 생활과 관련한 컨텐츠를 주로 추천한다.
두 번째로, 사용자의 사용 시각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 시각을 오전, 점심, 저녁, 밤으로 구분한다. 오전에는 일상 생활의 시작에 필요한 날씨, 교통 상황, 정치, 경제 및 사회 등의 뉴스 컨텐츠를 주로 제공하며, 점심에는 음식, 요리, 디저트와 운동, 쇼핑, 미용과 관련한 컨텐츠를 주로 추천한다. 저녁에는 일상 생활 후의 일반적인 생활을 고려하여 귀가를 위한 교통 상황, 음식, 요리, 디저트, 오락, 쇼핑, 교육, 방송 등의 컨텐츠를 주로 추천한다.
세 번째로, 사용자의 요일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하는 요일을 평일과 주말로 구분한다. 평일에는 일상 생활과 관련있는 교육, 경제, 정치, 사회, 교통 등이 주요 추천 컨텐츠 그룹이나, 주말에는 여가 생활과 관련있는 여행, 레져, 쇼핑, 문화 생활, 미용, 교통, 운동 등 휴식과 관련된 컨텐츠를 주로 추천한다.
네 번째로, 사용자의 날씨 정보에 기반하여 맑은 날에는 야외 활동과 관련있는 여행, 레져, 쇼핑, 수상 스포츠 등의 컨텐츠를 주로 추천하며, 비 오는 날에는 날씨, 교통, 실내 이벤트와 행사 등의 컨텐츠를, 눈 오는 날에도 날씨, 교통, 실내 이벤트, 겨울과 관련한 스키와 스케이트 등의 겨울 스포츠 관련 컨텐츠를 주로 추천한다.
다섯 번째로, 사용자의 온도 정보에 기반하여 25도 이상일 경우를 여름이라 가정하고 날씨, 여행, 수상 스포츠, 쇼핑, 문화, 휴가 등과 관련있는 컨텐츠를, 0도 이하일 경우를 겨울이라 가정하고 날씨, 여행, 교통, 겨울 스포츠, 건강, 실내 이벤트 등의 컨텐츠를 주로 추천한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성별과 연령과 같은 프로파일 조건에 따라 적합한 컨텐츠 그룹을 추천한다. 첫 번째로, 사용자의 성별 정보에 기반하여 남성일 경우에는 스포츠, 정치, 경제, 자동차, 교육, 문화, 오락, 음식, 주류 관련 컨텐츠 등의 일반적인 남성의 주요 관심 분야의 컨텐츠를 주로 추천하며, 여성의 경우에는 패션, 미용, 디저트, 요리, 육아, 쇼핑, 교육, 연예, 문화 등의 일반적인 여성의 주요 관심 분야의 컨텐츠를 주로 추천한다.
두 번째로, 사용자의 연령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미성년일 경우에는 성인 컨텐츠가 자동으로 제외되며, 일반적으로 미성년자인 학생의 신분에 적합한 교육, 학습, 도서, 운동, 건강 등의 학업 및 신체 성장 관련 컨텐츠와 미성년자의 주요 취미인 게임, 스포츠, 방송, 연예, 문화 컨텐츠를 주로 추천한다. 20대~60대의 성인일 경우에는 경제, 정치, 취업, 문화, 쇼핑, 교통, 미용, 교육, 오락, 여행, 음식 등과 같이 주로 생산과 여가 활동과 관련있으면서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 대부분의 컨텐츠를 추천한다. 60대 이상의 성인일 경우에는 건강, 의료, 운동, 경제, 자산관리, 여행, 문화, 쇼핑, 오락, 정치 등 주로 노후 생활과 관련하여 건강 관리, 노후 대비 자산 관리, 여가 생활과 관련한 컨텐츠를 추천한다.
이와 같은 주요 추천 컨텐츠 그룹은 일반적인 사용자의 생활 양식에 근거하였으므로 절대적이고 고정된 실시예가 아니며, 다양한 변형 예가 가능하다. 또한, 여러 상황과 프로파일 별로 조건을 더욱 세분화시킬 수도 있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컨텐츠를 도 5의 테이블에 근거하여 스마트폰 사용자의 단말장치(10)로 제공한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여기서는 스마트폰 사용자가 2010년 8월 20일 저녁 18시에 맑은 여름 날에 부산의 해운대에 있는 상황에서 사용자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받는 실시예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텍스트 형태의 맞춤형 뉴스 컨텐츠를 날짜순으로 추천하는 화면에 대한 일예시도이다.
도 6a는 사용자가 2010년 8월 20일 저녁 18시에 부산의 해운대 해수욕장에 위치한 경우에 제공받은 뉴스 컨텐츠를 날짜순으로 제공받은 화면 예시로서, 최신 날짜일수록 최상단에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해운대 해수욕장에서 근접한 거리순으로 추출된 뉴스 컨텐츠를 컨텐츠가 생성된 최신 날짜순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주말 직전의 여름날 저녁에 여행지에 있어 주로 여행과 음식 관련 컨텐츠를 제공받는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사진 컨텐츠를 근접 거리순으로 추천하는 화면에 대한 일예시도이다.
도 6b는 사용자가 동일 시간과 장소에서 사진 컨텐츠를 거리순으로 제공받은 화면 예시로서, 가장 근접한 위치일수록 최상단에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해운대 해수욕장에서 생성되었거나 이와 관련있는 내용의 사진 컨텐츠를 근접한 위치순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주말 직전의 여름날 저녁에 여행지에 있어 주로 여행과 음식, 문화, 교통과 관련한 사진 컨텐츠를 제공받는다.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영상 컨텐츠를 최고 인기순으로 추천하는 화면에 대한 일예시도이다.
도 6c는 사용자가 동일 시간과 장소에서 영상 컨텐츠를 실시간 인기순으로 제공받은 화면 예시로서, 현재 가장 조회수가 많아 인기있는 컨텐츠일수록 최상단에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해운대 해수욕장에서 생성되었거나 이와 관련있는 내용의 영상 컨텐츠를 실시간 조회수가 높은 순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주말 직전의 여름날 저녁에 여행지에 있어 주로 문화, 오락, 여행과 관련한 영상 컨텐츠를 제공받는다.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음성 컨텐츠를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들이 추천한 순으로 추천하는 화면에 대한 일예시도이다.
도 6d는 사용자가 동일 시간과 장소에서 음성 컨텐츠를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이 많이 추천한 순으로 제공받은 화면 예시로서, 사용자의 인맥들이 많이 추천할수록 최상단에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해운대 해수욕장과 관련하여 인맥들이 많이 추천한 음악과 사운드 형식의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주말 직전의 여름날 저녁에 여행지에 있어 주로 부산과 관련한 음악이나 해수욕장과 관련한 노래와 사운드 등의 음성 컨텐츠를 제공받는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 사용자의 상황 정보와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에 기반한 사용자의 취향, 그리고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정보를 고려하여 사용자에 최적화된 맞춤형 컨텐츠를 추천함으로써, 무수히 많은 컨텐츠 중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만을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하고 컨텐츠 사용률을 높이는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하여 추천받는 맞춤형 컨텐츠를 지속적으로 사용함에 따라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 이력이 축적되면서 사용자가 관심있는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수월해지고, 사용자와 관계있는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들과의 상호 컨텐츠 추천이 늘어남으로써, 사용자 간의 공유와 소통이 활발해진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호도와 관심분야를 미리 등록해야 하는 기존의 추천 방식보다 시스템적으로 구현이 편리하고,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자동으로 인지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설정을 직접 하지 않고도 특정 상황에 필요로 하는 컨텐츠만 쉽게 추천받을 수 있어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컨텐츠 생성자와 제공자로서도 사용자들에게 무수한 컨텐츠를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것보다 사용자들의 맞춤형 컨텐츠 소비에 대한 욕구를 자극하고 사용자 상호 간의 컨텐츠 공유와 이에 기반한 소통이 활발해짐으로써 컨텐츠의 전파를 늘려 그 사용률을 높이는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컨텐츠 생성자와 제공자가 사용자에게 추천되는 개인 맞춤형 컨텐츠에 컨텐츠의 내용과 연관있는 광고 또는 커머스 등의 메시지를 첨가하여 상거래 활동을 촉진시킴으로써, 향후 스마트폰을 활용한 맞춤형 광고와 상거래를 더욱 활성화시키는 등에 이용될 수 있다.
10 : 스마트폰 단말장치 110 : 상황 정보 수집부
111 : 위치 정보 수집부 112 : 날씨 정보 수집부
113 : 시간 정보 수집부 120 : 사용자 정보 저장부
121 : 프로파일 저장부 122 : 사용 이력 저장부
123 : 소셜 네트워크 정보 저장부 124 :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DB)
125 : 사용 이력 데이터베이스(DB) 126 : SNS 데이터베이스(DB)
130 : 컨텐츠 저장부 131 : 컨텐츠 수집부
132 : 컨텐츠 분류부 133 : 뉴스 데이터베이스(DB)
134 : 사진 데이터베이스(DB) 135 : 영상 데이터베이스(DB)
136 : 음성 데이터베이스(DB) 140 : 컨텐츠 추천부
141 : 상황 정보 분석부 142 : 프로파일 분석부
143 : 사용 이력 분석부 144 : 인맥 추천 분석부
145 : 인기도 분석부

Claims (14)

  1.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장치에 있어서,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추천 대상 컨텐츠 중에서 현재 상황에 따른 추천 컨텐츠 그룹을 추출하기 위한 상황 정보 분석부;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상황 정보 분석부에서 추출된 컨텐츠 중에서 사용자 프로파일에 따른 추천 컨텐츠 그룹을 추출하기 위한 프로파일 분석부;
    사용 이력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프로파일 분석부에서 추출된 컨텐츠 중에서 사용 이력 정보에 따른 추천 컨텐츠 그룹을 추출하기 위한 사용 이력 분석부;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이 추천한 컨텐츠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프로파일 분석부에서 추출된 컨텐츠 중에서 소셜 네트워크 인맥의 추천 정보에 따른 컨텐츠를 추출하기 위한 인맥 추천 분석부; 및
    상기 추천 대상 컨텐츠 중에서 조회수에 따른 인기 컨텐츠를 추출하기 위한 인기도 분석부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 이력 분석부와 상기 인맥 추천 분석부와 상기 인기도 분석부에서 추출된 개인 맞춤형 컨텐츠를 단말장치로 날짜순, 거리순, 추천순, 인기순으로 추천하는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컨텐츠 조회, 후기 및 평점 작성, 소셜 네트워크의 인맥에게 컨텐츠 추천에 따라 상기 사용 이력 정보와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에게 추천한 컨텐츠 정보가 갱신되는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정보 분석부는,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의 현재 위치, 날씨·온도 및 사용 시각·요일과 같은 상황 정보를 분석한 후, 컨텐츠 저장부에서 수집되어 분류된 뉴스, 사진, 영상, 음성의 컨텐츠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황에 따른 추천 컨텐츠 그룹을 추출하는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분석부는,
    상기 사용자의 성별과 연령과 같은 프로파일 정보를 분석한 후, 상기 상황 정보 분석부에서 추출한 추천 컨텐츠 그룹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성별과 연령에 적합한 컨텐츠 그룹만을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의 성별과 연령에 부적합한 컨텐츠를 자동으로 제거하는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이력 분석부는, 상기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를 조회한 빈도수와 조회한 컨텐츠에 대하여 후기와 평점을 작성한 컨텐츠 분야와 같은 사용 이력을 분석한 후에, 상기 프로파일 분석부에서 추출한 추천 컨텐츠 그룹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사용 이력에 따른 추천 컨텐츠 그룹을 자동으로 추출하고,
    상기 인맥 추천 분석부는, 상기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정보를 분석하여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이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한 컨텐츠를 상기 프로파일 분석부에서 추출한 추천 컨텐츠 그룹 중에서 추출하며,
    상기 인기도 분석부는, 상기 추천 대상 컨텐츠에 대한 조회수에 따른 인기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저장부로부터 추출하는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장치.
  6.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방법에 있어서,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추천 대상 컨텐츠 중에서 현재 상황에 따른 추천 컨텐츠 그룹을 추출하는 제 1 추천 컨텐츠 추출 단계;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 1 추천 컨텐츠 추출 단계에서 추출된 컨텐츠 중에서 사용자 프로파일에 따른 추천 컨텐츠 그룹을 추출하는 제 2 추천 컨텐츠 추출 단계;
    사용 이력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 2 추천 컨텐츠 추출 단계에서 추출된 컨텐츠 중에서 사용 이력 정보에 따른 추천 컨텐츠 그룹을 추출하는 제 3 추천 컨텐츠 추출 단계;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이 추천한 컨텐츠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 2 추천 컨텐츠 추출 단계에서 추출된 컨텐츠 중에서 소셜 네트워크 인맥의 추천 정보에 따른 컨텐츠를 추출하는 제 4 추천 컨텐츠 추출 단계;
    상기 추천 대상 컨텐츠 중에서 조회수에 따른 인기 컨텐츠를 추출하는 제 5 추천 컨텐츠 추출 단계; 및
    상기 제 3, 제 4 및 제 5 추천 컨텐츠 추출 단계에서 추출된 개인 맞춤형 컨텐츠를 조합하여 추천 컨텐츠 목록을 날짜순, 거리순, 추천순, 인기순으로 추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컨텐츠 조회, 후기 및 평점 작성, 소셜 네트워크의 인맥에게 컨텐츠 추천에 따라 상기 사용 이력 정보와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에게 추천한 컨텐츠 정보가 갱신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방법.
  8.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장치가 컨텐츠 사용을 요청함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수집하여 컨텐츠 추천부로 전달하기 위한 상황 정보 수집부;
    상기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 이력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이 추천한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컨텐츠 추천부로 전달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 저장부; 및
    컨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상황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 이력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이 추천한 컨텐츠 정보와 컨텐츠의 인기도에 기반하여 개인 맞춤형 컨텐츠를 추출한 후에 상기 추출된 개인 맞춤형 컨텐츠를 상기 단말장치로 날짜순, 거리순, 추천순, 인기순으로 추천하기 위한 상기 컨텐츠 추천부
    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추천부는,
    상기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컨텐츠 저장부의 추천 대상 컨텐츠 중에서 현재 상황에 따른 추천 컨텐츠 그룹을 추출하기 위한 상황 정보 분석부;
    상기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상황 정보 분석부에서 추출된 컨텐츠 중에서 사용자 프로파일에 따른 추천 컨텐츠 그룹을 추출하기 위한 프로파일 분석부;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 이력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프로파일 분석부에서 추출된 컨텐츠 중에서 컨텐츠 사용 이력 정보에 따른 추천 컨텐츠 그룹을 추출하기 위한 사용 이력 분석부;
    상기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이 추천한 컨텐츠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프로파일 분석부에서 추출된 컨텐츠 중에서 소셜 네트워크 인맥의 추천 정보에 따른 컨텐츠를 추출하기 위한 인맥 추천 분석부; 및
    상기 컨텐츠 저장부의 추천 대상 컨텐츠 중에서 조회수에 따른 인기 컨텐츠를 추출하기 위한 인기도 분석부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 이력 분석부와 상기 인맥 추천 분석부와 상기 인기도 분석부에서 추출된 개인 맞춤형 컨텐츠를 상기 단말장치로 날짜순, 거리순, 추천순, 인기순으로 추천하는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정보 수집부는,
    상기 단말장치가 컨텐츠 사용을 요청하는 현재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위치 정보 수집부;
    상기 단말장치가가 컨텐츠 사용을 요청하는 현재 위치의 날씨와 온도 정보를 수집하여 날씨와 계절을 파악하기 위한 날씨 정보 수집부; 및
    상기 단말장치가 컨텐츠 사용을 요청하는 현재 시각과 요일 정보를 수집하여 파악하기 위한 시간 정보 수집부
    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저장부는,
    상기 단말장치가 컨텐츠를 요청할 때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성별과 연령과 같은 프로파일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기 위한 프로파일 저장부;
    상기 단말장치가 컨텐츠를 요청하면 사용 이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 이력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기 위한 사용 이력 저장부; 및
    상기 단말장치가 컨텐츠를 요청하면 소셜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이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한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기 위한 소셜 네트워크 정보 저장부
    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시스템.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컨텐츠 조회, 후기 및 평점 작성, 소셜 네트워크의 인맥에게 컨텐츠 추천에 따라 상기 사용 이력 정보와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에게 추천한 컨텐츠 정보가 갱신되는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시스템.
  13.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방법에 있어서,
    단말장치가 컨텐츠 사용을 요청함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수집하여 컨텐츠 추천부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 이력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이 추천한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컨텐츠 추천부로 전달하는 단계; 및
    추천 대상 컨텐츠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상황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 이력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이 추천한 컨텐츠 정보와 컨텐츠의 인기도에 기반하여 개인 맞춤형 컨텐츠를 추출한 후에 상기 추출된 개인 맞춤형 컨텐츠를 상기 단말장치로 날짜순, 거리순, 추천순, 인기순으로 추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컨텐츠 조회, 후기 및 평점 작성, 소셜 네트워크의 인맥에게 컨텐츠 추천에 따라 상기 사용 이력 정보와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인맥에게 추천한 컨텐츠 정보가 갱신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방법.
KR1020100104683A 2010-10-26 2010-10-26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1046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683A KR20120104648A (ko) 2010-10-26 2010-10-26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683A KR20120104648A (ko) 2010-10-26 2010-10-26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4648A true KR20120104648A (ko) 2012-09-24

Family

ID=47111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4683A KR20120104648A (ko) 2010-10-26 2010-10-26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4648A (ko)

Cited B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614B1 (ko) * 2012-11-02 2014-08-1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25260A (ko) * 2013-04-18 2014-10-2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상황 인지 기반의 사용자 활동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459568B1 (ko) * 2012-11-01 2014-11-07 주식회사 케이티 컨텐츠를 추천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475439B1 (ko) * 2013-02-18 2014-12-24 주식회사 솔트룩스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관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02311A (ko) * 2013-06-28 2015-01-07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관리 서버 및 그의 주문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003071A (ko) * 2013-06-29 2015-01-08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관리 서버 및 그의 주문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005804A (ko) * 2013-07-05 2015-01-1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사용자 피드백을 제공하는 음악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비스 장치
KR20150015061A (ko) * 2013-07-30 2015-02-10 주식회사 케이티 음악 컨텐츠를 추천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494363B1 (ko) * 2014-07-21 2015-02-24 (주)문화마케팅연구소 지역별 호감도에 따른 관광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
KR20150024465A (ko) * 2013-08-26 2015-03-09 네이버 주식회사 사용자 특성정보 및 상호작용 기반의 컨텐츠 추천 시스템,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20150131421A (ko) * 2014-05-14 2015-11-25 전자부품연구원 상황 기반 서비스 지원 기술
KR101626953B1 (ko) * 2015-01-27 2016-06-02 주식회사 솔트룩스 사용자 성향 기반 아이템 추천 시스템 및 방법
WO2016093825A1 (en) * 2014-12-09 2016-06-16 Facebook, Inc. Customizing third-party content using beacons on online social networks
KR20160083037A (ko) * 2013-11-12 2016-07-11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미디어 콘텐츠의 제안들을 제시하기 위한 방법들, 시스템들 및 매체들
KR101639987B1 (ko) * 2015-01-19 2016-07-18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혼합 필터링 기반의 영화추천 방법 및 장치
KR20160093489A (ko) * 2015-01-29 2016-08-08 주식회사 솔트룩스 컨텐츠 수집,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04067A (ko) * 2013-12-31 2016-09-02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뉴스 타임라인 및 추천된 뉴스 에디션들의 발생
WO2016140498A1 (ko) * 2015-03-02 2016-09-09 우정현 날씨 콘텐츠정보 생성장치
KR20160106510A (ko) 2015-03-02 2016-09-12 우정현 날씨 콘텐츠정보 생성장치
KR101666970B1 (ko) * 2015-09-15 2016-10-17 주식회사 칸마루 홍보이벤트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9692838B2 (en) 2014-12-09 2017-06-27 Facebook, Inc. Generating business insights using beacons on online social networks
US9729667B2 (en) 2014-12-09 2017-08-08 Facebook, Inc. Generating user notifications using beacons on online social networks
WO2019059435A1 (ko) * 2017-09-22 2019-03-28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위치 데이터가 포함된 컨텐츠를 이용한 추천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41571B1 (ko) * 2018-12-31 2019-11-27 주식회사 데이터몬스터즈 사용자에게 현실 공간에 기반한 게임을 추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02193B1 (ko) * 2019-01-30 2020-04-22 (주)인더스트리미디어 준거집단 내 영향력 증대를 위한 학습 콘텐츠 추천 장치 및 방법
WO2021085812A1 (ko) * 2019-10-30 2021-05-06 삼성전자(주)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210302592A1 (en) * 2020-03-26 2021-09-30 Mcafee, Llc Crowdsourced Reputations for Wireless Networks
KR102339377B1 (ko) * 2021-03-29 2021-12-13 김지혜 사용자 맞춤형 문화 예술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20052785A (ko) * 2020-10-21 2022-04-28 주식회사 카카오 컨텐츠 추천 목록 제공 방법 및 서버
WO2022158932A1 (ko) * 2021-01-22 2022-07-28 삼성전자 주식회사 개인화된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KR102436215B1 (ko) * 2022-03-07 2022-08-25 주식회사 클라우다이크 인공지능 기반의 파일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13054A (ko) 2022-01-21 2023-07-28 주식회사 소셜그라운드 사용자의 esg 지식별 맞춤형 봉사활동 컨텐츠 및 esg 컨텐츠 추천 서비스 시스템
KR20230150697A (ko) 2022-04-22 2023-10-31 주식회사 지에스아이티엠 개인 별 여행이력 통합 및 여행정보 추천 시스템
KR102650337B1 (ko) * 2022-12-26 2024-03-25 쿠팡 주식회사 추천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17931958A (zh) * 2024-03-21 2024-04-26 山东山科世鑫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人工智能的数据仓库管理系统及方法

Cited B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568B1 (ko) * 2012-11-01 2014-11-07 주식회사 케이티 컨텐츠를 추천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429614B1 (ko) * 2012-11-02 2014-08-1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475439B1 (ko) * 2013-02-18 2014-12-24 주식회사 솔트룩스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관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25260A (ko) * 2013-04-18 2014-10-2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상황 인지 기반의 사용자 활동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50002311A (ko) * 2013-06-28 2015-01-07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관리 서버 및 그의 주문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003071A (ko) * 2013-06-29 2015-01-08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관리 서버 및 그의 주문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005804A (ko) * 2013-07-05 2015-01-1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사용자 피드백을 제공하는 음악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비스 장치
KR20150015061A (ko) * 2013-07-30 2015-02-10 주식회사 케이티 음악 컨텐츠를 추천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50024465A (ko) * 2013-08-26 2015-03-09 네이버 주식회사 사용자 특성정보 및 상호작용 기반의 컨텐츠 추천 시스템,방법 및 그 기록매체
US11381880B2 (en) 2013-11-12 2022-07-05 Google Llc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suggestions of media content
KR20160083037A (ko) * 2013-11-12 2016-07-11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미디어 콘텐츠의 제안들을 제시하기 위한 방법들, 시스템들 및 매체들
US10880613B2 (en) 2013-11-12 2020-12-29 Google Llc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suggestions of media content
KR20160104067A (ko) * 2013-12-31 2016-09-02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뉴스 타임라인 및 추천된 뉴스 에디션들의 발생
US10152724B2 (en) 2014-05-14 2018-12-11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Technology of assisting context based service
KR20150131421A (ko) * 2014-05-14 2015-11-25 전자부품연구원 상황 기반 서비스 지원 기술
KR101494363B1 (ko) * 2014-07-21 2015-02-24 (주)문화마케팅연구소 지역별 호감도에 따른 관광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
WO2016093825A1 (en) * 2014-12-09 2016-06-16 Facebook, Inc. Customizing third-party content using beacons on online social networks
US10917481B2 (en) 2014-12-09 2021-02-09 Facebook, Inc. Generating business insights using beacons on online social networks
US10382916B2 (en) 2014-12-09 2019-08-13 Facebook, Inc. Generating user notifications using beacons on online social networks
US9692838B2 (en) 2014-12-09 2017-06-27 Facebook, Inc. Generating business insights using beacons on online social networks
US9729643B2 (en) 2014-12-09 2017-08-08 Facebook, Inc. Customizing third-party content using beacons on online social networks
US9729667B2 (en) 2014-12-09 2017-08-08 Facebook, Inc. Generating user notifications using beacons on online social networks
KR101639987B1 (ko) * 2015-01-19 2016-07-18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혼합 필터링 기반의 영화추천 방법 및 장치
KR101626953B1 (ko) * 2015-01-27 2016-06-02 주식회사 솔트룩스 사용자 성향 기반 아이템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93489A (ko) * 2015-01-29 2016-08-08 주식회사 솔트룩스 컨텐츠 수집,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06510A (ko) 2015-03-02 2016-09-12 우정현 날씨 콘텐츠정보 생성장치
KR20180084684A (ko) 2015-03-02 2018-07-25 (주) 아펙시 날씨 콘텐츠정보 생성장치
WO2016140498A1 (ko) * 2015-03-02 2016-09-09 우정현 날씨 콘텐츠정보 생성장치
KR101666970B1 (ko) * 2015-09-15 2016-10-17 주식회사 칸마루 홍보이벤트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2133400A (ja) * 2017-09-22 2022-09-13 Line株式会社 位置データを含むコンテンツを利用する推薦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21503111A (ja) * 2017-09-22 2021-02-04 Line株式会社 位置データを含むコンテンツを利用する推薦方法およびシステム
WO2019059435A1 (ko) * 2017-09-22 2019-03-28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위치 데이터가 포함된 컨텐츠를 이용한 추천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41571B1 (ko) * 2018-12-31 2019-11-27 주식회사 데이터몬스터즈 사용자에게 현실 공간에 기반한 게임을 추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02193B1 (ko) * 2019-01-30 2020-04-22 (주)인더스트리미디어 준거집단 내 영향력 증대를 위한 학습 콘텐츠 추천 장치 및 방법
WO2021085812A1 (ko) * 2019-10-30 2021-05-06 삼성전자(주)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210302592A1 (en) * 2020-03-26 2021-09-30 Mcafee, Llc Crowdsourced Reputations for Wireless Networks
KR20220052785A (ko) * 2020-10-21 2022-04-28 주식회사 카카오 컨텐츠 추천 목록 제공 방법 및 서버
WO2022158932A1 (ko) * 2021-01-22 2022-07-28 삼성전자 주식회사 개인화된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US11829408B2 (en) 2021-01-22 2023-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personalized media content
KR102339377B1 (ko) * 2021-03-29 2021-12-13 김지혜 사용자 맞춤형 문화 예술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30113054A (ko) 2022-01-21 2023-07-28 주식회사 소셜그라운드 사용자의 esg 지식별 맞춤형 봉사활동 컨텐츠 및 esg 컨텐츠 추천 서비스 시스템
KR102436215B1 (ko) * 2022-03-07 2022-08-25 주식회사 클라우다이크 인공지능 기반의 파일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50697A (ko) 2022-04-22 2023-10-31 주식회사 지에스아이티엠 개인 별 여행이력 통합 및 여행정보 추천 시스템
KR102650337B1 (ko) * 2022-12-26 2024-03-25 쿠팡 주식회사 추천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17931958A (zh) * 2024-03-21 2024-04-26 山东山科世鑫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人工智能的数据仓库管理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04648A (ko)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102948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xt enhanced mapping
US11238466B2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bluetooth and other nearby-communications technologies to help governments and health agencies reduce the spread of novel corona viruses and other highly-contagious diseases, with user privacy and security central to the design
US20150112963A1 (en) Time and location based information search and discovery
US885616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xt based query augmentation
CN109376313B (zh) 信息推荐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JP3567849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
KR102067278B1 (ko) 친구 추천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및 단말
KR101351199B1 (ko) 컨텍스트 확장 메시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5479673B2 (ja) 仮想コンテンツのフィルタリング方法
TWI417800B (zh) 以興趣為基礎之目標銷售的使用者介面
US201200305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xt enhanced mapping within a user interface
US201000824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xt Enhanced Ad Creation
US20130311270A1 (en) Mood-based searching and/or advertising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CN111279328A (zh) 预测对于特定场境的搜索的意图
GB2448874A (en) Context based media recommender
JP2010531626A (ja) モバイルコンテンツの一部に関連するコンテキストデータ及び挙動データに基づくモバイル通信設備へのコンテンツの提供
WO2014043849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users to obtain content
KR20190033719A (ko) 개인방송 컨텐츠 추천방법
KR20190047200A (ko) 빅 데이터 분석 기법을 기반으로 한 맞춤형 문화 관광 콘텐츠 제공 플랫폼의 운영방법
JP2007094560A (ja) サービス提供方法、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装置、サービス提供端末及びサービス提供プログラム
JP5996749B1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提供方法
KR102007504B1 (ko) 사용자별 맞춤형 콘텐츠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tankov et al. Should Festival Be Smarter?: ICT on Mass Events–The Case of the Exit Festival (Novi Sad, Serbia)
KR20140037534A (ko) 지능형 카테고리를 이용한 에스엔에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