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9614B1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9614B1
KR101429614B1 KR1020120123409A KR20120123409A KR101429614B1 KR 101429614 B1 KR101429614 B1 KR 101429614B1 KR 1020120123409 A KR1020120123409 A KR 1020120123409A KR 20120123409 A KR20120123409 A KR 20120123409A KR 101429614 B1 KR101429614 B1 KR 101429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terest
social network
contents
network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3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6927A (ko
Inventor
신우영
유병철
이상윤
김혜령
차동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3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9614B1/ko
Publication of KR20140056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6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9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9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컨텐츠 등록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컨텐츠 등록 정보에 포함된 컨텐츠의 분야를 확인하여 해당 분야의 보드에 상기 컨텐츠를 등록하고, 특정 사용자 단말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해당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관심분야에 대한 인기 컨텐츠를 선정하여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관심분야에 대한 인기 컨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ocial Network Service}
본 발명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컨텐츠 등록 정보를 수집하고, 그 수집된 컨텐츠 등록 정보에 포함된 컨텐츠를 해당 분야에 등록하며, 특정 사용자 단말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해당 사용자의 관심분야에 대한 인기 컨텐츠를 선정하여 특정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의 급격한 발달로 인하여 모바일 장치, 특히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폰은 단순히 전화통화를 하는 정도의 단순한 기능에서 벗어나 멀티 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 변모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모바일 장치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통신 기술의 발달로 개인들은 PC를 이용하여 인터넷상에서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장소와 시간적 제약을 동시에 해결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개인이 인터넷상의 가상공간에서 타인과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서비스, 즉,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하고 다양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가 대두되었는데, 이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라 한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대표적인 형태는 싸이월드, 네이버, 다음 등이 제공하는 미니홈피, 블로그, 카페 등이었고, 최근에는 트위터, 미투데이, 페이스북 등 그 형태도 새롭게 진화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트위터 등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경우, Following한 사용자의 컨텐츠만을 제공받게 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44742호, 발명의 명칭 '오브젝트간 관계 설정을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제공 방법 및 제공 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단말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 해당 사용자의 관심분야에 대한 인기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사용자가 웹/왑 페이지 등의 컨텐츠를 자신의 SNS로 등록시, 분야별로 컨텐츠 등록 정보를 수집하고, 분야별로 보드를 생성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컨텐츠 등록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컨텐츠 등록 정보에 포함된 컨텐츠의 분야를 확인하여 해당 분야의 보드에 상기 컨텐츠를 등록하고, 특정 사용자 단말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해당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관심분야에 대한 인기 컨텐츠를 선정하여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관심분야에 대한 인기 컨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현재 출력된 컨텐츠에 대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록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등록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제공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컨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출력부에 출력된 컨텐츠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록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등록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컨텐츠 등록 요청부, 기 저장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관심분야에 대한 인기 컨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애플리케이션 실행 처리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이 제공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관심분야가 입력된 경우, 상기 관심분야의 등록을 요청하는 사용자 정보 등록 요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분야별 컨텐츠가 저장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사용자별 관심분야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컨텐츠 등록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수신된 컨텐츠 등록 정보에 포함된 컨텐츠의 분야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분야의 보드에 상기 컨텐츠를 등록하는 컨텐츠 등록부, 특정 사용자 단말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관심분야에 대한 인기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확인된 관심분야들의 컨텐츠들을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관심분야별 컨텐츠들을 방문횟수 또는 댓글 수가 많은 순으로 정렬하여, 상위에 정렬된 일정 개수의 컨텐츠를 인기 컨텐츠로 선정하여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분야별로 등록된 컨텐츠들을 각 분야별로 방문횟수 또는 댓글 수가 많은 순으로 정렬하고, 상위에 정렬된 일정 개수의 컨텐츠들을 인기 컨텐츠로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인기 컨텐츠 등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관심분야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등록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사용자 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사용자 정보 등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컨텐츠 등록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수신된 컨텐츠 등록 정보에 포함된 컨텐츠의 분야를 확인하여 해당 분야의 보드에 상기 컨텐츠를 등록하는 단계,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 단말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해당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관심분야에 대한 인기 컨텐츠를 선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관심분야에 대한 인기 컨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해당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확인된 관심분야에 대한 인기 컨텐츠를 선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컨텐츠 등록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수신된 컨텐츠 등록 정보에 포함된 컨텐츠의 분야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분야의 보드에 상기 컨텐츠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확인된 관심분야들의 컨텐츠들을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관심분야별 컨텐츠들을 방문횟수 또는 댓글 수가 많은 순으로 정렬하여, 상위에 정렬된 일정 개수의 컨텐츠를 인기 컨텐츠로 선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사용자 단말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해당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확인된 관심분야에 대한 인기 컨텐츠를 선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된 전자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 사용자의 관심분야에 대한 인기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관심분야의 Hot issue를 통합적으로 조망할 수 있고, 관심 분야에 대한 전문가 및 고수를 간편하게 발견하고, 인맥을 확장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사용자가 웹/왑 페이지 등의 컨텐츠를 자신의 SNS로 등록 시, 분야별로 컨텐츠 등록 정보를 수집하고, 분야별로 보드를 생성하여 컨텐츠를 관리함으로써, 사용자의 관심분야에 대한 인기 컨텐츠를 쉽게 획득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심분야별 인기 컨텐츠 제공 화면의 예시도.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서비스 제공 장치(20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SNS)에 가입하고, 관심분야가 입력된 경우, 입력된 관심분야를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 등록한다. 여기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대표적인 형태는 미니홈피, 블로그, 카페, 트위터, 미투데이, 페이스북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그 형태도 새롭게 진화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부터 관심분야에 대한 인기 컨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현재 출력된 컨텐츠에 대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록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등록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 전송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 컨텐츠를 등록한다. 여기서, 컨텐츠는 웹/왑 페이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00)은 통신 기능 및 근거리 통신 기능을 탑재한 사용자 장치라면 어느 것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트북, 무선통신 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 PMP(Portable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타블렛 PC(Tablet PC), 셋탑박스(Set-top box), 스마트 TV 등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기로 한다.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관심분야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등록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관심분야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컨텐츠 등록 정보가 수신된 경우, 수신된 컨텐츠 등록 정보에 포함된 컨텐츠의 분야를 확인하고, 확인된 분야의 보드에 컨텐츠를 등록한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특정 사용자 단말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해당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확인하고, 확인된 관심분야에 대한 인기 컨텐츠를 선정하여 특정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출력부(130), 저장부(140), 컨텐츠 등록 요청부(150), SNS 애플리케이션 실행 처리부(160), 사용자 정보 등록 요청부(17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100)과 서비스 제공 장치를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시키는 통신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이동통신, 위성통신 등의 무선 통신모듈, 인터넷 등의 유선 통신모듈,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 단말(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사용자 요청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의 요청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문자, 숫자, 텍스트, 소리, 움직임, 촉각, 시각 등을 입력받는 입력 수단으로 예컨대, 입력 수단은 키보드, 키패드, 터치 스크린, 시각 감지 수단, 촉각 감지 수단, 움직임 감지 수단, 소리 감지 수단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웹/왑 페이지를 표시한다. 또한, 출력부(130)는 애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른 화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이러한 출력부(13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 소형 평판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술한 입력부(120)와 겹쳐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사용자 단말(100)의 동작 제어 시 필요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40)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있다.
컨텐츠 등록 요청부(150)는 출력부(130)에 출력된 컨텐츠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록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등록 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해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전송한다. 즉, 사용자가 현재 출력된 웹/왑 페이지를 자신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하기를 원하면, 그 웹/왑 페이지를 선택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록 명령을 입력한다. 그러면, 컨텐츠 등록 요청부(150)는 선택된 웹/왑 페이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식별정보 등을 포함하는 컨텐츠 등록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전송한다. 여기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식별정보는 미니홈피, 블로그, 카페, 트위터, 미투데이, 페이스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SNS 애플리케이션 실행 처리부(16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관심분야에 대한 인기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한다. 사용자는 출력부(130)에 표시된 관심분야에 대한 인기 컨텐츠를 보고, 자신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분야에 대한 현재의 Hot issue를 통합적으로 조망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등록 요청부(170)는 입력부(120)를 통해 관심분야가 입력된 경우, 관심분야의 등록을 서비스 제공 장치에 요청한다. 즉, 사용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회원 가입할 때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관심분야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정보 등록 요청부(170)는 입력된 관심분야의 등록을 서비스 제공 장치에 요청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210), 데이터베이스(220), 컨텐츠 등록부(230), 컨텐츠 제공부(240), 인기 컨텐츠 등록부(250), 사용자 정보 등록부(260)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220)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22)와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24)를 포함한다.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22)에는 분야별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분야는 tech, design, IT, 엔터테인먼트 등을 말한다.
또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22)에는 각 분야별 인기 컨텐츠가 등록되어 있다.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24)에는 사용자 식별정보, 각 사용자의 관심분야 등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컨텐츠 등록부(23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컨텐츠 등록 정보가 수신된 경우, 수신된 컨텐츠 등록 정보에 포함된 컨텐츠의 분야를 확인하고, 확인된 분야의 보드에 컨텐츠를 등록한다.
즉, 컨텐츠 등록부(230)는 컨텐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식별정보 등을 포함하는 컨텐츠 등록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의 분야를 판단한다. 이때, 컨텐츠 등록부(230)는 컨텐츠를 텍스트 마이닝, 메타 데이터 분석 등의 방법으로 분석하여 키워드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들이 포함되는 분야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등록부(230)는 컨텐츠에 분야가 포함된 경우, 컨텐츠의 분야를 바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런 후, 컨텐츠 등록부(230)는 판단된 분야에 대한 보드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컨텐츠 등록부(230)는 판단된 분야에 대한 보드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보드에 컨텐츠를 등록하고, 존재하지 않은 경우 판단된 분야에 대한 보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보드에 컨텐츠를 등록한다.
또한, 컨텐츠 등록부(230)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등록할 수도 있다. 이는 서비스 제공 장치가 복수 개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합 관리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컨텐츠 제공부(240)는 특정 사용자 단말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24)를 검색하여 해당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확인하고, 확인된 관심분야에 대한 인기 컨텐츠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로(222)부터 획득하여 특정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이때, 컨텐츠 제공부(240)는 사용자의 관심분야들에 해당하는 컨텐츠들을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22)로부터 각각 추출하고, 추출된 관심분야별 컨텐츠들을 방문횟수 또는 댓글 수가 많은 순으로 정렬하여, 상위에 정렬된 일정 개수의 컨텐츠를 인기 컨텐츠로 선정하여 특정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부(240)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22)에 분야별 인기 컨텐츠가 등록된 경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22)로부터 사용자의 관심분야에 대한 인기 컨텐츠를 획득하여 특정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인기 컨텐츠 등록부(250)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22)에 분야별로 등록된 컨텐츠들을 각 분야별로 방문횟수 또는 댓글 수가 많은 순으로 정렬하고, 상위에 정렬된 일정 개수의 컨텐츠들을 인기 컨텐츠로 선정하여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22)에 등록한다.
또한, 인기 컨텐츠 등록부(250)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22)의 업데이트가 감지된 경우, 업데이트된 컨텐츠를 반영하여 인기 컨텐츠를 재선정하고,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22)에 등록된 인기 컨텐츠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등록부(260)는 통신부(210)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관심분야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등록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24)에 등록한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식별정보, 관심분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심분야별 인기 컨텐츠 제공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컨텐츠 등록 정보가 수신된 경우(S402), 수신된 컨텐츠 등록 정보에 포함된 컨텐츠의 분야를 확인하고(S404), 확인된 분야의 보드에 컨텐츠를 등록한다(S406). 그러면, 서비스 제공 장치에는 각 분야별로 컨텐츠가 등록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된다.
단계 S406의 수행 후, 사용자 단말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S408),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확인한다(S410). 즉,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확인한다.
그런 후, 서비스 제공 장치는 확인된 관심분야에 대한 인기 컨텐츠를 선정하여(S41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S414). 즉,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의 관심분야들에 해당하는 컨텐츠들을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각각 추출하고, 추출된 관심분야별 컨텐츠들을 방문횟수 또는 댓글 수가 많은 순으로 정렬하여, 상위에 정렬된 일정 개수의 컨텐츠를 인기 컨텐츠로 선정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분야별 인기 컨텐츠가 등록된 경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용자의 관심분야에 해당하는 인기 컨텐츠를 획득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단계 S414가 수행되면, 사용자 단말에는 관심분야별 인기 컨텐츠가 표시된다(S416). 이때, 사용자 단말은 도 5와 같이 관심분야별 인기 컨텐츠를 표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관심분야별 인기 컨텐츠 제공 화면(500)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관심분야에 대한 인기 컨텐츠가 표시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tech, Design, social media, lifestyle을 관심분야로 등록한 경우, 사용자 단말에는 tech, Design, social media, lifestyle의 각 분야에 대한 인기 컨텐츠(510)가 표시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관심 분야에 대한 전문가 및 고수를 간편하게 발견하고, 인맥을 확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사용자 단말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해당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확인된 관심분야에 대한 인기 컨텐츠를 선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된 전자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이러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프로그램은 전자장치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전자장치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사용자가 웹/왑 페이지 등의 컨텐츠를 자신의 SNS로 등록시, 분야별로 컨텐츠 등록 정보를 수집하고, 분야별로 보드를 생성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도록 하고, 사용자 단말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 사용자의 관심분야에 대한 인기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관심 분야의 Hot issue를 통합적으로 조망할 수 있고, 관심 분야에 대한 전문가 및 고수를 간편하게 발견하고, 인맥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
100 : 사용자 단말 110, 210 :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출력부
140 : 저장부 150 : 컨텐츠 등록 요청부
160 : SNS 애플리케이션 실행 처리부
170 : 사용자 정보 등록 요청부 200 : 서비스 제공 장치
220 : 데이터베이스 222 :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224 :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230 : 컨텐츠 등록부
240 : 컨텐츠 제공부 250 : 인기 컨텐츠 등록부
260 : 사용자 정보 등록부

Claims (13)

  1.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컨텐츠 등록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컨텐츠 등록 정보에 포함된 컨텐츠의 분야를 확인하여 해당 분야의 보드에 상기 컨텐츠를 등록하고, 특정 사용자 단말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해당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관심분야에 대한 인기 컨텐츠를 선정하여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관심분야에 대한 인기 컨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현재 출력된 컨텐츠에 대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록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등록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제공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컨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출력부에 출력된 컨텐츠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록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등록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컨텐츠 등록 요청부; 및
    기 저장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관심분야에 대한 인기 컨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애플리케이션 실행 처리부; 및
    관심분야가 입력된 경우, 상기 관심분야의 등록을 요청하는 사용자 정보 등록 요청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4. 삭제
  5.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분야별 컨텐츠가 저장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사용자별 관심분야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컨텐츠 등록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수신된 컨텐츠 등록 정보에 포함된 컨텐츠의 분야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분야의 보드에 상기 컨텐츠를 등록하는 컨텐츠 등록부; 및
    특정 사용자 단말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관심분야에 대한 인기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컨텐츠 제공부;
    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 현재 출력된 컨텐츠에 대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록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등록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확인된 관심분야들의 컨텐츠들을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관심분야별 컨텐츠들을 방문횟수 또는 댓글 수가 많은 순으로 정렬하여, 상위에 정렬된 일정 개수의 컨텐츠를 인기 컨텐츠로 선정하여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분야별로 등록된 컨텐츠들을 각 분야별로 방문횟수 또는 댓글 수가 많은 순으로 정렬하고, 상위에 정렬된 일정 개수의 컨텐츠들을 인기 컨텐츠로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인기 컨텐츠 등록부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관심분야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등록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관심분야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사용자 정보 등록부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9. 서비스 제공 장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컨텐츠 등록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컨텐츠 등록 정보에 포함된 컨텐츠의 분야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분야의 보드에 상기 컨텐츠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 단말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해당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관심분야에 대한 인기 컨텐츠를 선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관심분야에 대한 인기 컨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컨텐츠 등록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컨텐츠 등록 정보에 포함된 컨텐츠의 분야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분야의 보드에 상기 컨텐츠를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10. 서비스 제공 장치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해당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상기 확인된 관심분야에 대한 인기 컨텐츠를 선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컨텐츠 등록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컨텐츠 등록 정보에 포함된 컨텐츠의 분야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분야의 보드에 상기 컨텐츠를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확인된 관심분야들의 컨텐츠들을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관심분야별 컨텐츠들을 방문횟수 또는 댓글 수가 많은 순으로 정렬하여, 상위에 정렬된 일정 개수의 컨텐츠를 인기 컨텐츠로 선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13. (a) 사용자 단말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해당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상기 확인된 관심분야에 대한 인기 컨텐츠를 선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컨텐츠 등록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컨텐츠 등록 정보에 포함된 컨텐츠의 분야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분야의 보드에 상기 컨텐츠를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된 전자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123409A 2012-11-02 2012-11-02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429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409A KR101429614B1 (ko) 2012-11-02 2012-11-02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409A KR101429614B1 (ko) 2012-11-02 2012-11-02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927A KR20140056927A (ko) 2014-05-12
KR101429614B1 true KR101429614B1 (ko) 2014-08-13

Family

ID=50887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3409A KR101429614B1 (ko) 2012-11-02 2012-11-02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961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4606A (ko) * 2007-04-13 2007-05-29 주식회사 다나와 인터넷 게시물의 분류별 등록 방법
KR20100006752A (ko) * 2008-07-10 2010-01-21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컨텐츠 유통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15734A (ko) * 2009-08-10 2011-02-17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사용자 맞춤형 게시판 서비스 방법 및 게시판 서비스 시스템
KR20120104648A (ko) * 2010-10-26 2012-09-24 주식회사 케이티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4606A (ko) * 2007-04-13 2007-05-29 주식회사 다나와 인터넷 게시물의 분류별 등록 방법
KR20100006752A (ko) * 2008-07-10 2010-01-21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컨텐츠 유통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15734A (ko) * 2009-08-10 2011-02-17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사용자 맞춤형 게시판 서비스 방법 및 게시판 서비스 시스템
KR20120104648A (ko) * 2010-10-26 2012-09-24 주식회사 케이티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927A (ko) 201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80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recommendation service
KR101953303B1 (ko) 브라우징 액티비티에 기초하여 정합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기법
US8943440B2 (en) Method and system for organizing applications
CN104272306B (zh) 向前翻
EP2843529A1 (en)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based on contents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70091142A (ko) 웹 콘텐츠 태깅 및 필터링
US20130042171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d managing annotation in electronic book
KR101955463B1 (ko) 컨텐츠 분석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추천 시스템 및 방법
US20140359519A1 (en) Determination of Intended Navigation Destination Based on User-Generated and Analysis-Based Information
US1024199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on electronic device
CN101512293A (zh) 给导航装置添加目的地
US10303723B2 (en) Systems and methods involving search enhancement features associated with media modules
KR101514039B1 (ko) 태그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US9723101B2 (en) Device and method for recommending content based on interest information
KR20140056635A (ko) 컨텐츠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5130865A1 (en) Information interface generation and/or population
KR20140056633A (ko) 관심분야 기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39509A (ko) 마크업 언어 기반의 문맥 인식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170193062A1 (en) Combining Search Results to Generate Customized Software Application Functions
KR102081232B1 (ko) 태그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생성 지원을 위한 장치
KR20110020206A (ko) 컨택 아이템 정보 관리 방법, 이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유저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KR101429614B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160057193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server apparatus and methods of providing, by the user terminal apparatus and the server apparatus, continuous play service
KR101242878B1 (ko) 전자책 상에서 애너테이션이 작성된 항목을 추출 및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60004929A (ko) 전자 장치에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