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3648A - 음향 계수 및 음향 파워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음향 계수 및 음향 파워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3648A
KR20120103648A KR1020127015823A KR20127015823A KR20120103648A KR 20120103648 A KR20120103648 A KR 20120103648A KR 1020127015823 A KR1020127015823 A KR 1020127015823A KR 20127015823 A KR20127015823 A KR 20127015823A KR 20120103648 A KR20120103648 A KR 20120103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oustic
determining
sound
iac
i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5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9601B1 (ko
Inventor
와이스브랜드 한스 위지넌트
Original Assignee
우니베르지태트 트벤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NL2003832A external-priority patent/NL2003832C2/nl
Application filed by 우니베르지태트 트벤테 filed Critical 우니베르지태트 트벤테
Publication of KR20120103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3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9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9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3/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by using a detector in a fluid
    • G01H3/10Amplitude; Pow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3/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by using a detector in a fluid
    • G01H3/10Amplitude; Power
    • G01H3/12Amplitude; Power by electr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9/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using radiation-sensitive means, e.g. optical means
    • G01H9/002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using radiation-sensitive means, e.g. optical means for representing acoustic field distribu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44Processing the detected response signal, e.g.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1N29/46Processing the detected response signal, e.g.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by spectral analysis, e.g. Fourier analysis or wavelet analysi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사운드를 방출하는 소스의 구동 및/또는 상기 소스에 의해 방출되는 음향 파워로 인한 특정 사운드 필드인 공간상의 선택된 포지션에서 음향 흡수 계수 및/도는 투과 계수를 결정하는 방법은 (a) 상기 공간상의 선택된 포지션에서 음압 p(t) 및 입자 속도 v(t)를 측정하는 단계; (b) p(t), v(t)의 퓨리에 변환 P(f), V(f)를 계산하는 단계; (c) P(f) 및 V(f)를 기초로 하여, 관련 표면에서 노말 벡터인 벡터 n으로 표시된 방향으로 시간-평균 활성 강도 Iac(f), 및 벡터 n으로 표시된 방향으로 시간-평균 전체 강도 Itot(f)를 계산하는 단계; (d) n 방향으로 시간-평균 입사 사운드 강도를 결정하는 단계: Iin(f) = ½(Iac(f) + Itot(f)); 및 이하의 단계: (e) n 방향으로 시간-평균 흡수 계수를 결정하는 단계:
Figure pct00036
= Iac(f)/Iin(f); 및/또는 이하의 단계: (f) 기계적인 흡수를 무시하고, n 방향으로 장벽에 대한 투과 계수
Figure pct00037
= Iac(f)/Iin(f)를 결정하는 단계; 및/또는 이하의 단계: (q) 상기 사운드를 방출하는 소스 주변에서 인벨롭핑 표면을 정의하는 단계; 및 (r) 상기 인벨롭핑 표면 상에서 Iin(f)을 통합함으로써 상기 방출 음향 파워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와 관련된다.

Description

음향 계수 및 음향 파워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COUSTIC COEFFICIENTS AND ACOUSTIC POWER}
본 발명은 사운드를 방출하는 소스(sound-emitting source)의 구동 및/또는 소스에 의해 방출된 음향 파워(acoustic power)로 인한 특정 사운드 필드와 같은 공간상의 선택된 포지션에서 음향 흡수 계수(acoustic absorption coefficient) 및/또는 음향 투과 계수(acoustic transmission coefficient)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와 관련된다.
재료(material)(음향)의 상기 음향 계수를 결정하기 위한 측정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이다. 상기 음향 계수는 공간상의(in a space) 결정된 포지션(position)에서 결정된 표면에 의하여 흡수되는(absorbed) 입사 사운드 강도/파워의 분수(fraction)로 정의된다. 하지만, 이것은 활성 사운드 강도/파워, 이를 테면, 상기 입사 사운드 강도/파워 빼기(minus) 반사 사운드 강도/파워, 및(and) 입사 사운드 강도/파워를 측정하는 것에 의해서 측정될 수 있다.
이러한 측정은 실제로 문제가 되며, 항상 간단하고 빠른 방법으로 수행할 수 없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상기 활성 사운드 강도/파워의 측정은 가능하지만, 상기 입사 사운드 강도/파워를 결정하는 것은 이전에는(heretofore) 이를 테면, 평면파(flat waves), 구면파(spherical waves) 또는 확산 음장(diffuse sound field)과 같은 알려진 단순한 사운드 필드에서 결정된 몇몇에 대해서만 가능했다는 것이다. 이것은 얻은 측정 결과가 이러한 사운드 필드에서만 적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임의의 사운드 필드를 위한 현실적인 조건의 결과에 대하여 그것들은 모든 조건 하에서 완벽하게 대표하지 않는다. 이를 테면, 패널(panel)과 같은 음향 장벽(acoustic barrier)의 투과 계수를 결정하기 위한 측정은 일반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았다(less generally known).
상기 투과 계수는 공간상의 결정된 표면에 의해 결정된 포지션에서 전송되는 상기 입사 사운드 강도/파워(incident sound intensity/power)의 분수로 정의된다. 상기 투과 계수는 또한 상기 활성 사운드 강도/파워(active sound intensity/power) 및 상기 입사 사운드 강도/파워의 측정에 의해서만 측정될 수 있다.
이러한 측정은 실제로 문제가 되며, 항상 간단하고 빠른 방법으로 수행할 수 없다. 여기에서도, 이제까지 상기 입사 사운드 강도/파워를 결정하는 것은 단순한 사운드 필드에서 결정된 몇몇에 대해서만 가능했다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테면, 일반적으로 반향실(reverberant room) 및 무반향실(anechoic room)로 각각 언급되는, 울림 공간(echoing space) 및 비울림 공간(non-echoing space)과 음향학상 하드(acoustically hard) 사이의의 결합의 형태인 윈도우에서 수신되는, 전송이 결정되어야만 하는 패널과 같은 음향 환경(acoustic environment)이 이용된다.
실험실에서만 수행할 수 있는 이러한 측정들은, 매우 특정한 측정 셋업이(setups) 필요하기 때문에,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든다. 게다가, 얻은 측정 결과는 실질적으로(substantially) 음산 확장(diffuse sound field)에 대응하는 현실적인 조건에서 측정된 패널로 깨달은 결과에 대하여, 모든 조건 하에서 완벽하게 대표하지 않는다.
음향 소스에서 방출된 상기 음향 파워를 결정하기 위한 측정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것은 비울림 공간(non-echoing space)에서 상기 방출 음향 파워를 결정하는 것만이 가능하다. 왜냐하면, 울림 공간의 경우, 공간에서 음향 반사로 인하여, 일반적인 방식으로 결정된 방출되는 파워가 과소 평가되기(underestimated) 때문이다.
또한, 이것은 상기 환경에서 반사가 실제로 존재하는 상황에서, 이러한 방법으로 결정된 방출 파워는 상기 소스의 파워가 아닌 것으로 명시된다. 그러므로, 상기 획득한 결과는 상기 비울림 상황에만 적용되며, 현실적인 조건의 결과에 대하여 모든 조건 하에서 완벽하게 대표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음향 소스의 상기 방출 파워를 결정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실험 환경에서만 수행되어야 한다.
상기에 비추어, 본 발명의 목적은 앞에서 언급하고 설명된 단점을 갖지 않는 것을 기초로 하여(based thereon), 저렴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현실에서 적용가능 한 매우 간단한 측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임의의 사운드 필드에 적용할 수 있고, 거의 동일한 물리적 크기(physical dimensions)와 일반적으로 알려지고 흔한 휴대용 사운드 압력 측정기 또는 사운드 강도 측정기와 같은 중량(weight)을 갖는 휴대용 장치의 형태로 쉽게 구현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도면과 함께 사운드를 방출하는 소스(sound-emitting source)의 구동, 및/또는 상기 소스에 의해 방출되는 음향 파워(acoustic power)에 의한 특정 사운드 필드와 같은 공간상의 선택된 포지션에서 음향 흡수 계수 및/도는 음향 투과 계수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성된다:
(a) 공간상의 상기 선택된 포지션에서 음압 p(t) 및 입자 속도 v(t)를 측정하는 단계;
(b) p(t), v(t)를 퓨리에 변환 P(f), V(f)로 계산하는 단계;
(c) P(f) 및 V(f)를 기초로 하여, 관련된 표면 상의 노말 벡터인 벡터 n으로 표시된 방향에서(in the direction indicated) 시간-평균 활성 강도 Iac(f), 및 벡터 n으로 표시된 방향에서 시간-평균 전체 강도 Itot(f)를 계산하는 단계;
(d) n 방향으로의 시간-평균 입사 사운드 강도를 결정하는 단계:
Iin(f) = ½(Iac(f) + Itot(f)); 및 이하의 단계:
(e) n 방향으로의 시간-평균 흡수 계수(time-averaged absorption coefficient)를 결정하는 단계:
Figure pct00001
= Iac(f)/Iin(f); 및/또는 이하의 단계:
(f) 장벽에 대하여 기계적 흡수(mechanical absorption)를 무시하고(disregarded) n 방향으로의 투과 계수
Figure pct00002
= Iac(f)/Iin(f)를 결정하는 단계;
(q) 상기 사운드를 방출하는 소스(sound-emitting source) 주위의(around) 인벨롭핑 표면(enveloping surface)을 정의하는 단계; 및
(r) 상기 인벨롭핑 표면 상에서(over) Iin(f)를 통합함으로써 상기 방출 음향 파워 Pin(f)를 결정하는 단계.
전체 강도(total intensity)인 Itot(f)는 지금까지 결정된 적이 없지만(has never been determined), 임의의 사운드 필드(random sound field)에서 측정이 가능한 수량(quantity)이다.
활성 또는 넷 강도(active or net intensity)는 입사파의 강도(intensity of the incident wave) 및 반사파의 강도(that of the reflected wave) 간의 차이다:
Iac(f) = Iin(f) - Irefl(f).
상기 전체 강도는 상기 입사파의 강도와 상기 반사파의 강도를 더한 것이다(sum):
Itot(f) = Iin(f) + Irefl(f).
이것은 상기 (d), (e) 및 (f)를 따름으로써, 상기 흡수 계수/ 투과 계수를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q) 및 (r)을 따름으로써, 상기 방출 음향 파워를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벡터는 굵은 글씨로(in bold) 프린트된 기호로 표시되고, 스칼라(scalars)는 일반적으로 인쇄된 기호로 표시된다.
위에서:
n = 흡수 또는 전송 계수가 결정되어야 하는 방향으로 포인팅하는 방향 벡터;
t = 시간;
f = 주파수.
또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명시된 타입의 방법을 제공한다:
(g) 관계를 기초로(on the basis of the relations) 단계 (c)를 수행하는 단계: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
위에서:
Figure pct00005
= P의 복소공액(complex conjugate);
Figure pct00006
= V의 복소공액;
△ = 공기의 밀도;
c = 위상 속도 또는 "사운드의 속도".
상기 명시된 타입의 대안의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h) 벡터 n으로 표시된 방향으로 P(f) 및 V(f)를 기초로 하여 시간-평균 반응 강도(time-averaged reactive intensity)를 계산하는 단계, 이를 테면
Figure pct00007
;
(i) 관계를 기초로 하여(on the basis of the relations) 단계(c)를 수행하는 단계: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여기서,
Figure pct00010
은 단계 (h)에서 결정되는 것으로(as determined), 강도의 반응 부분(reactive part)이다.
상기 활성 또는 전체 사운드 강도는 또한 이른바 크로스-스펙트라(cross-spectra) 및 오토-스펙트라(auto-spectra)를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패널의 기계적인 흡수(mechanical absorption)를 무시할 수 없을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패널의 양쪽에서(on both sides of the panel) 측정을 수행하고(performing), 상기 패널의 기계적인 흡수를 결정함으로써(determining) 확장될 수 있다(extended).
사용은 이른바 선량계(intensitometer)로 만들 수 있다. 선량계는 이를 테면,
Figure pct00011
강도 프로브(intensity probe)와 같은 두 개의 압력 마이크로폰(pressure microphones)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은 또한 압력 마이크로폰과 결합하여 Microflown®입자 속도 측정기(particle velocity meter)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다음과 같은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단계(steps)로 구성된 제공한다:
(j) 상기 공간상의 상기 표면 가까이의 음압 p(t) 및 상기 공간상의 복수의 선택된 포지션(a number of chosen positions)에서 입자 속도 v(t)를 측정하는 단계;
(k) p(t), v(t)의 퓨리에 변환 P(f), V(f)를 계산하는 단계;
(l) P(f) 및 V(f)를 기초로 하여, 상기 관련 표면 상에서(over the relevant surface), (g) 또는 (I)에서 결정되는 것으로 Iac(f)의 통합(integration)에 의해 획득된(obtained) 시간 평균 활성 파워(time-averaged active power) Pac(f) 및 상기 관련 표면 상에서(over) (d)에서 결정되는 것으로 Iin(f)를 통합에 의해 획득된 시간-평균 입사 파워(time-averaged incident power) Pin(f)를 계산하는 단계, 여기서 n은 상기 관련 표면상의 노말 벡터이다,
(n) 공간적으로 평균된 흡수 계수(spatially averaged absorption coefficient)
Figure pct00012
= Pac(f)/Pin(f)를 결정하는 단계; 및/또는
(o) 장벽에 대하여 공간적으로 평균된 투과 계수(spatially averaged transmission coefficient) = Pac(f)/Pin(f)를 결정하는 단계, 여기서 기계적인 흡수(mechanical absorption)는 무시된다(disregarded),
(s) 입사 파워(incident power)와 방출 흡수 파워(emitted acoustic power)를 동일시함으로써(by equating) 상기 방출 음향 파워(emitted acoustic power)를 결정하는 단계.
대안적으로(Alternatively), 상기 방법은 단계를 포함한다:
(p) 입사 속도 센터와 함께 형성되어(together form) 배치된(disposed) 두 개의 압력 센서를 사용하여 상기 입자 속도를 측정함으로써 단계(a) 또는 단계 (j)를 수행하는 단계, 및 이러한 두 개의 압력 센서들 중 하나 또는 두 개로 상기 음압 p(t) 을 측정하는 단계, 후자의 경우에는 상기 두 개의 음압의 평균으로 결정된다(in which latter case the average of the two sound pressures is determined).
주로, 동일한 결과(same results)는 이러한 변형(variant)을 사용하여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의 이점은 압력 캡슐이 입자 속도 센서(a particle velocity sensor) 보다 단순하고, 저렴하다는 것이다(simpler and less expensive).
본 발명은 상기 음향 흡수 계수 및/또는 상기 음향 투과 계수 및/또는 소스에 의해 방출된 상기 음향 파워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와 더 관련되며, 위에서 설명된 방법의 구현(implementation of the above described method)으로 형성되는 장치와 더 관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장치는 다음을 포함한다:
- 상기 음압 p(t)를 측정하기 위한 사운드 압력 측정 수단(sound pressure measuring means);
- 상기 입자 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입자 속도 측정 수단(particle velocity measuring means), 상기 입자 속도 측정 수단은 상기 사운드 압력 측정 수단의 바로 인근에(immediate vicinity) 배치된다(disposed);
- p(t), v(t)의 퓨리에 변환 P(f), V(f)를 계산하기 위한 퓨리에 변환 수단(Fourier transforming means);
- p(t) 및v(t)를 기초로 하여 활성 강도(active intensity) Iac(f) 및 시간-평균 전체 강도(time-averaged total intensity) Itot(f)를 계산하기 위한 제1 계산 수단(first calculating means); 및
- 입사 강도/입사 파워를 결정하기 위한 제2 계산 수단(second calculating means), 이것은 후에 방출 음향 파워, 및/또는 시간-평균 파워 Pac(f)가 동일해진다(this latter being equal to the emitted acoustic power, and/or the time-averaged power Pac(f)); 및
- 흡수 계수
Figure pct00014
= Iac(f)/Iin(f) 및/또는 부분적으로 평균된 흡수 계수(spatially averaged absorption coefficient)
Figure pct00015
= Pac(f)/Pin(f) 및/또는 투과 계수
Figure pct00016
= Iac(f)/Iin(f) 및/또는 부분적으로 평균된 투과 계수(spatially averaged transmission coefficient)
Figure pct00017
= Pac(f)/Pin(f)를 결정하기 위한 제3 계산 수단.
이러한 장치는 상기 입자 속도 측정 수단이 두 개의 압력 센서(pressure sensors)를 포함하고, 상기 사운드 압력 측정 수단이 이러한 두 개의 압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at least one of these two pressure sensors)을 포함함으로써, 유리하게 구현할 수 있다.
흡수 또는 투과(absorption or transmission)를 측정하기 위한 일반적인 측정 방법에 비해 다른 것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에 있어서(for use) 명시된 특징(specified properties)을 갖는 음향 소스로 만들어 지는 것이(to be made of an acoustic source)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측정이 수행되는 공간에 존재하는 사운드 필드는 충분하며(It is sufficient that a sound field be present in the space in which the measurement is performed), 사운드 강도(sound intensity)는 본 발명에 따라서 중요한 측정(significant measurement)을 수행 가능하기에 충분하다.
회의장에서 벽면 흡수 계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이를 테면, 공공 어드레스 시스템의 선택적으로 보조된(optionally assisted by a public address system) 스피커는 측정하는 동안 소스로 작동할 수 있다(could function). 수행된 측정(performed measurement)은 이를 테면, 대략 200 Hz - 3 kHz로, 인간 목소리의 관련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상기 흡수 계수(absorption coefficient)와 관련된다.
정규화된 사운드 소스(normalized sound source)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specific applications)에 대한 흡수 또는 투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측정 방법을 기초로 고려하는 것이 가능하다. 회의장 측정의 전술한 논의에 따르면, 관련 공간에서 사운드 필드를 생성할 수 있는 잡음과 같은 소스(a noise-like source)가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관련 공간의 평균 스펙트럼 성분이 적어도 대략(at least roughly) 실제에서 적용되는 이를 테면, 대략 200Hz 내지 3kHz의 주파수 범위를 커버하는 위에서 언급된 스피커와 같은 소스에 해당한다.
퓨리에 변환 수단은, 그 자체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방법에 기반한 것이며, 이를테면 패스트 퓨리에 변환(FFT)과 같이 컴퓨터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한 디지털 수학적 연산에 기반한다. 위에서 명시된 추가 구동 및 계산(further operations and calculations)은 또한 프로세서에 의해 디지털 방식으로 수행된다.
결국 상기 흡수 계수
Figure pct00018
또는 상기 투과 계수
Figure pct00019
를 계산하는 상기 제3 계산 수단으로, 추가 처리 및/또는 디스플레이에 대하여(for further processing and/or display), 상기 흡수 계수를 대표하는(representative of)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출력(a signal output)을 추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은 이를 테면, 계량기(meter), 또는 LED 디스플레이, 또는
Figure pct00020
또는
Figure pct00021
의 값을 한눈에 읽을 수 있는 것과 같은 것에 적용할 수 있다.
알려진 특성(known properties)을 갖는 사운드 소스를 적용할 필요가 없는(not necessary) 본 발명에 따라, 흡수 또는 투과의 측정을 위해 필수 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하지만, 이것은 상기 측정 결과(measurement results)가 결정된 어플리케이션(determined application)에 특정될 수 있다는(be specific) 것에 의하여 여전히 가능하다(still possible).
소소의 음향 파워의 결정(determination)은, 이를 테면, 진동하는 물건, 제품, 기계와 같은 것은(a vibrating object, product, machine or the like), 현재 구체적으로 실시예된 음향 환경(specifically embodied acoustic environments)에서 이루어진다(done). 특히 울림이 없는(anechoic), 어느 정도-울림이 없는(semi-anechoic) 또는 반향(echoic)에서, 관련된 측정 공간은 반드시 잘 명시된 조건을 준수해야 한다. 원 위치의 상황에서(in an in situ situation) 상기 방출 음향 파워를 결정하는 것은 선행 기술에서 불가능하다. 이것은 상기 발광 소스(emitting source) 부근에서(in the vicinity) 물체에 의한(by objects) 반사의 효과(effect of reflections)를 결정하기 위해 지금까지 불가능 했던(has not been possible) 사실의 결과이다.
위에서 명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공간상의 임의의 위치에서(random location) 임임의 방향으로(random direction), 상기 반사된 강도 Irefl에서의(in the reflected intensity) 상기 활성 강도(active intensity) Iac, 상기 전체 강도(total intensity) Itot, 상기 입사 강도(incident intensity) Iin를 계산하는 것은 가능하다.
상기 발광 소스 주변의(around) 인벨롭핑 표면(enveloping surface)에서의 충분한 복수의 위치에서(sufficient number of locations) 현재 상기 활성 강도 및 상기 전체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이러한 위치에서의 상기 입사 강도 또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소스에서 본 것과 같이(As seen from the source), 상기 입사 강도는 발광된 강도(emitted intensity)와 동일하다(equal). 이것은 상기 인벨롭핑 표면 상에서(over) 상기 소스에 의해 발광된 파워를 상기 입사 강도를 통합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을 내포한다(implies). 그러므로 상기 방출 파워는 원 위치의 상황에서(in the in situ situation) 결정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이러한 방법을 도시한다. 소스(2)는 사운드를 방출한다. 이를 테면, 구(sphere)와 같은, 가상 인벨롭핑 표면(1)은 소스(2)의 주변으로 정의된다. 위에서 언급한 강도들(intensities)은 화살표와 함께 상징적으로 표시된다. 도면에서 임의로 배열된(random configuration) 두 개의 반사 벽(reflecting walls)(3, 4)이 배치된(arranged) 것이 여기에 언급되었다(noted). Iin 및 관련된(associated) Irefl은 벽(4)과 관련되어(relative to) 정의된다. 상기 반사되는 물체의 주변에서, 이러한 경우 Iin - Irefl이 되는, 반사 벽(3 및 4), Iac은 실질적으로 0에 이르는 것은 명백하다(in this case the reflecting walls 3 and 4, Iac, being Iin - Irefl, substantially amounts to 0). 공간상의 반사 물체로부터의 거리에서, Iac는 크고, Irefl는 작다. 원 위치의 상황에서(in the in situ situation) 소스(1)의 의해 방출된 파워는 상기 인벨롭핑 표면(2) 상에서(over) Iin을 통합함으로써(by integrating) 결정될 수 있다.

Claims (7)

  1. 사운드를 방출하는 소스(sound-emitting source)의 구동, 및/또는 상기 소스에 의해 방출된 음향 파워로 인한 특정 사운드 필드와 같은 공간상의 선택된 포지션에서, 음향 흡수 계수(acoustic absorption coefficient) 및/또는 음향 투과 계수(acoustic transmission coefficient)를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공간의 상기 선택된 포지션에서 음압(sound pressure) p(t) 및 입자 속도 v(t)를 측정하는 단계;
    (b) p(t), v(t)의 퓨리에 변환인 P(f), V(f)를 계산하는 단계;
    (c) 관련 표면 상에서 노말 벡터가 되는 벡터 n으로 표시된 방향으로, P(f) 및 V(f)를 기초로 하여 시간-평균 활성 강도(time-averaged active intensity) Iac(f), 및 벡터 n으로 표시된 방향으로, 시간-평균 전체 강도(time-averaged total intensity) Itot(f)를 계산하는 단계;
    (d) 방향 n으로 시간-평균 입사 사운드 강도(time-averaged incident sound intensity)를 결정하는 단계:
    Iin(f) =½(Iac(f) + Itot(f)); 및 이하의 단계:
    (e) 방향 n으로 시간-평균 흡수 계수(time-averaged absorption coefficient)를 결정하는 단계:
    Figure pct00022
    = Iac(f)/Iin(f); 및/또는 이하의 단계:
    (f) 장벽(barriers)에 대하여 방향 n으로 상기 투과 계수
    Figure pct00023
    = Iac(f)/Iin(f)를 결정하는 단계 - 기계적인(mechanical) 흡수는 무시됨 -; 및/또는 이하의 단계:
    (q) 상기 사운드를 방출하는 소스 주변의 인벨롭핑 표면(enveloping surface)을 정의하는 단계; 및
    (r) 상기 인벨롭핑 표면 상에서(over) Iin으로 통합됨으로써 방출된 음향 파워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선택된 포지션에서 음향 흡수 계수 및/또는 음향 투과 계수를 결정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g) 관계(the relations)를 기초로 하여 단계(C)를 수행하는(performing) 단계:
    Figure pct00024


    Figure pct00025

    를 포함하는 선택된 포지션에서 음향 흡수 계수 및/또는 음향 투과 계수를 결정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h) 벡터 n으로 표시된 방향에서 P(f) 및 V(f)를 기초로 하여 시간-평균 반응 강도(time-averaged reactive intensity)를 계산하는 단계 - 이를 테면,
    Figure pct00026
    ; 및
    (i) 관계를 기초로 하여 단계(c)를 수행하는 단계:
    Figure pct00027


    Figure pct00028

    -
    Figure pct00029
    는 상기 강도의 반응 부분(reactive part)임 -
    를 포함하는 선택된 포지션에서 음향 흡수 계수 및/또는 음향 투과 계수를 결정하는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j) 상기 공간에서 상기 표면 가까이의 음압 p(t) 및 상기 공간에서 선택된 복수의 포지션에서의 입자 속도 v(t)를 측정하는 단계;
    (k) p(t), v(t)의 퓨리에 변환 P(f), V(f)를 계산하는 단계;
    (l) P(f) 및 V(f)를 기초로 하여, 상기 관련 표면 상에서(over) (g) 또는 (I)에서 결정된 것으로(as determined under) Iac(f)를 통합하여 획득한(obtained) 시간-평균 활성 파워(time-averaged active power) Pac(f), 및 상기 관련 표면 상에서 (d)에서 결정된 것으로 Iin(f)를 통합하여 획득한 시간-평균 입사 파워(time-averaged incident power) Pin(f)를 계산하는 단계 - n은 상기 관련된 표면의 노말 벡터임 -,
    (n) 공간적으로 평균 흡수 계수
    Figure pct00030
    = Pac(f)/Pin(f)를 결정하는 단계(determining the spatially averaged absorption coefficient); 및/또는
    (o) 장벽(barriers)에 대하여 공간적으로 평균 투과 계수
    Figure pct00031
    = Pac(f)/Pin(f)를 결정하는 단계(determining the spatially averaged transmission coefficient) - 기계적인 흡수는 무시됨-,
    (s) 상기 입사 파워의 상기 방출된 음향 파워를 동일시함으로써 상기 방출 음향 파워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선택된 포지션에서 음향 흡수 계수 및/또는 음향 투과 계수를 결정하는 방법.
  5. 상기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 입자 속도 센서에 함께 배치되는 두 개의 압력 센서를 사용하여 상기 입자 속도 v(t)를 측정함으로써 단계(a) 또는 단계(j)를 수행하는 단계, 및 하나 또는 두 개의 이러한 두 개의 압력 센서(one or two of these two pressure sensors)를 이용하여, 두 개의 사운드 압력의 평균으로 결정되는 상기 음압 p(t)를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선택된 포지션에서 음향 흡수 계수 및/또는 음향 투과 계수를 결정하는 방법.
  6. 음압(sound pressure) p(t)를 측정하는 음압 측정 수단;
    입자 속도 v(t)를 측정하는 입자 속도 측정 수단 - 상기 입자 속도 측정 수단은 상기 음압 측정 수단에 이웃하여(immediate vicinity) 배치됨 -;
    p(t), v(t)의 퓨리에 변환 P(f), V(f)를 계산하는 퓨리에 변환 수단;
    p(t) 및 v(t)를 기초로 하여 시간-평균 활성 강도 Iac(f) 및 시간-평균 전체 강도 Itot(f)를 계산하는 제1 계산 수단; 및
    상기 순간(incident) 입사 강도/상기 순간 입사 파워를 결정하는 제 2 계산 수단 - 상기 후자는 방출 음향 파워 및 시간-평균 활성 파워 Pac(f)와 동일함; 및
    상기 흡수 계수
    Figure pct00032
    = Iac(f)/Iin(f) 및/또는 공간적으로(spatially) 평균 흡수 계수
    Figure pct00033
    = Pac(f)/Pin(f) 및/또는 투과 계수
    Figure pct00034
    = Iac(f)/Iin(f) 및/또는 공간적으로 평균 투과 계수
    Figure pct00035
    = Pac(f)/Pin(f) 를 결정하는 제3 계산 수단
    를 포함하는 음향 흡수 계수 및/또는 음향 투과 계수 및/또는 소스에 의해 방출되는 음향 파워를 결정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 속도를 측정하는 수단이 두 개의 압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음압을 측정하는 수단은 적어도 이러한 두 개의 압력 센서 중 하나를(at least one of these two pressure sensors) 포함하는 음향 흡수 계수 및/또는 음향 투과 계수 및/또는 소스에 의해 방출되는 음향 파워를 결정하는 장치.
KR1020127015823A 2009-11-19 2010-11-19 음향 계수 및 음향 파워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8996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03832 2009-11-19
NL2003832A NL2003832C2 (nl) 2009-11-19 2009-11-19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bepalen van de akoestische absorptie- en transmissie-coefficient, in het bijzonder op een gekozen positie in een ruimte.
NL2004628 2010-04-29
NL2004628A NL2004628C2 (nl) 2009-11-19 2010-04-29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bepalen van de akoestische absorptie- en transmissie-coefficient, in het bijzonder op een gekozen positie in een ruimte.
PCT/NL2010/050776 WO2011062493A1 (en) 2009-11-19 2010-11-19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coustic coefficients and acoustic pow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648A true KR20120103648A (ko) 2012-09-19
KR101899601B1 KR101899601B1 (ko) 2018-09-17

Family

ID=43598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5823A KR101899601B1 (ko) 2009-11-19 2010-11-19 음향 계수 및 음향 파워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261399B2 (ko)
EP (1) EP2502035B1 (ko)
JP (1) JP5712409B2 (ko)
KR (1) KR101899601B1 (ko)
CN (1) CN102741669B (ko)
DK (1) DK2502035T3 (ko)
ES (1) ES2587081T3 (ko)
NL (1) NL2004628C2 (ko)
PL (1) PL2502035T3 (ko)
WO (1) WO20110624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043B1 (ko) 2012-07-30 2013-10-0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의 액슬 기어 소음의 음질평가 방법 및 장치
CN102890116A (zh) * 2012-10-23 2013-01-23 中原工学院 一种声压移向测量吸声系数的方法
CN104198032B (zh) * 2014-08-14 2016-08-31 合肥工业大学 一种矩形开口声传递率及声传递损失计算方法
CN104198584B (zh) * 2014-09-18 2016-05-25 合肥工业大学 一种获得圆形开口声传递率及声传递损失的方法
JP7387530B2 (ja) 2020-05-21 2023-11-28 株式会社小野測器 音響パワーレベルの推定方法
EP4002889A1 (en) 2020-11-20 2022-05-25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Method for determining a sound field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5016A (en) * 1972-10-16 1975-10-28 Arun G Jhaveri Means and a method for determining an acoustical property of a material
JPS61228317A (ja) * 1985-04-02 1986-10-11 Fuji Electric Co Ltd 音響パワ−レベル測定装置
US4655086A (en) * 1985-04-30 1987-04-07 Iow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Method and means for measuring sound intensity
JPS62115326A (ja) * 1985-11-14 1987-05-27 Isuzu Motors Ltd 音響放射状態の予測方法
JPS62161021A (ja) * 1986-01-10 1987-07-17 Mitsubishi Heavy Ind Ltd 吸音率計測装置
JPS63153433A (ja) * 1986-12-17 1988-06-25 Fuji Electric Co Ltd 音響パワ−レベル測定方法
JPS63218855A (ja) * 1987-03-09 1988-09-12 Mitsubishi Heavy Ind Ltd 吸音特性計測方法
US5679899A (en) * 1995-03-06 1997-10-21 Holograph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non-destructive testing of structures
US6173074B1 (en) * 1997-09-30 2001-01-09 Lucent Technologies, Inc. Acoustic signature recognition and identification
NL1008006C1 (nl) * 1998-01-09 1999-07-12 Microflown Technologies B V Deeltjessnelheidssensor.
JP2000121427A (ja) 1998-10-19 2000-04-28 Kawasaki Steel Corp 音響管
JP2003083805A (ja) * 2001-09-12 2003-03-19 Toru Ozuru 音響インピーダンス及び吸音率の測定手法
JP2007292667A (ja) * 2006-04-26 2007-11-08 Isuzu Motors Ltd 音響特性測定装置
JP4876287B2 (ja) * 2008-03-27 2012-02-15 国立大学法人 大分大学 音響インピーダンス及び吸音率の測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41669B (zh) 2015-01-28
EP2502035A1 (en) 2012-09-26
US20120296600A1 (en) 2012-11-22
DK2502035T3 (en) 2016-08-29
PL2502035T3 (pl) 2016-11-30
CN102741669A (zh) 2012-10-17
JP2013511712A (ja) 2013-04-04
US9261399B2 (en) 2016-02-16
WO2011062493A1 (en) 2011-05-26
EP2502035B1 (en) 2016-05-11
JP5712409B2 (ja) 2015-05-07
NL2004628C2 (nl) 2011-05-23
KR101899601B1 (ko) 2018-09-17
ES2587081T3 (es) 2016-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9601B1 (ko) 음향 계수 및 음향 파워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acobsen et al. Near field acoustic holography with particle velocity transducers
Marchetto et al. Vibroacoustic response of panels under diffuse acoustic field excitation from sensitivity functions and reciprocity principles
Zhang et al. Near field acoustic holography based on the equivalent source method and pressure-velocity transducers
Jacobsen Sound intensity
Torras-Rosell et al. An acousto-optic beamformer
Shang et al. Measurement of radiated sound power from a complex underwater sound source in a non-anechoic pool based on spatial averaging
Wijnant et al.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new method for the in-situ measurement of sound apsorption
Crocker et al. Fundamentals of the direct measurement of sound intensity and practical applications
Hickling et al. Determining the direction to a sound source in air using vector sound-intensity probes
Kumar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SODAR antenna structure
Lin et al. In situ measurement of the absorption coefficient based on a time-domain subtraction technique with a particle velocity transducer
Jacobsen et al. Measurement of the sound power incident on the walls of a reverberation room with near field acoustic holography
Sakuma et al. A laboratory method for measuring normal-incidence scattering coefficients of architectural surfaces
Barrera-Figueroa et al. On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two microphones in free-field reciprocity calibration
Santoni et al. Experimental setup for acoustic and mechanical characterisation of lightweight building elements
Bacon et al. Determination of radiated sound power from acoustic sources using the VBSP method and a mylar boundary
Jacobsen Intensity techniques
Pindoriya et al. Desig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Low Cost Acoustic Chamber for Electric Machines
Guidorzi et al. Reflection index measurement on noise barriers with the Adrienne method: source directivity investigation and microphone grid implementation
Omoto et al. Evaluation method of artificial acoustical environment: Visualization of sound intensity
Sujatha Experiments in Acoustics
Juhl et al. A comparison of SONAH and IBEM for near-field acoustic holography
Metzger et al. Simultaneous Calibration Method for a 3D Particle Velocity Sensor
NL2003832C2 (nl)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bepalen van de akoestische absorptie- en transmissie-coefficient, in het bijzonder op een gekozen positie in een ruim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