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3117A - 고성능 융착식 도료를 이용한 차선 도색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고성능 융착식 도료를 이용한 차선 도색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3117A
KR20120103117A KR1020110021176A KR20110021176A KR20120103117A KR 20120103117 A KR20120103117 A KR 20120103117A KR 1020110021176 A KR1020110021176 A KR 1020110021176A KR 20110021176 A KR20110021176 A KR 20110021176A KR 20120103117 A KR20120103117 A KR 20120103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road
weight
lane
road ma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1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0259B1 (ko
Inventor
김보석
Original Assignee
김보석
주식회사 경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보석, 주식회사 경풍 filed Critical 김보석
Priority to KR1020110021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0259B1/ko
Publication of KR20120103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3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163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marking-out the location of the markings; Guiding or steering devices for marking apparatus, e.g. s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166Means for dispensing particulate material on to freshly applied markings or into the marking material after discharge thereof, e.g. reflective beads, grip-improving p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성능 융착식 도료를 이용한 차선 도색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로의 노면 상에 융착식 도로표시용 용융도료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갖는 도로 표시선으로 시공하고, 이 시공된 도로 표시선의 표면에 고굴절 글라스 비드를 살포하여 시공함으로써, 상기 도로 표시선의 돌출부와 이에 살포된 고굴절 글라스 비드에 의해 주, 야간은 물론 우천시 수막현상을 방지하여 시인성을 크게 향상할 수 있어 운전자와 보행자에 안전을 도모함은 물론, 상기 도로 표시선의 시인성을 향상하는 돌출부 상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차륜의 마찰 단면적을 높여 미끄러짐 방지 및 마찰 슬립에 의해 쉽게 마모, 멸실, 파손, 노후 방지하게 되어 수명을 장구히 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시각 장애인들로 하여금 쉽게 인식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특히 횡단 보도의 경우 안전하게 건너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고성능 융착식 도료를 이용한 차선 도색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FOR PAINTING TRAFFIC LANE USING A HIGH PERFORMANCE THERMOPANE TYPE OF PAINTS}
본 발명은 고성능 융착식 도료를 이용한 차선 도색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도로상에 차량의 안전 주행 및 보행자의 안전 보행을 위해 도색되는 차선 및 횡단보도선에 시인성을 향상하여 운전자 및 보행자에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고성능 융착식 도료를 이용한 차선 도색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차량의 진행방향 및 차량의 주행간격을 용이하게 식별하여 안전한 차량운행을 할 수 있도록 차선 및 보행자가 안전하게 도로를 횡단할 수 있도록 횡단보도선을 도색하여 운전자 및 보행자가 안전하게 운전 및 횡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차선 및 횡단보도선은 주간에는 식별이 용이하지만, 야간 또는 우천시에는 운전자가 충분히 식별할 수 있을 정도로 식인성이 없어, 야간 및 우천 운전시 위험성을 가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차선 및 횡단보도선은 운전자 및 보행자로 하여금 주행 및 정지를 용이하게 식별하여 안전을 유도하는 대단히 중요하다.
그래서 최근에는 도로의 노면 상에 그어지는 차선 및 횡단보도선의 도료에 글라스비드(glass bead)를 함유시켜 도색하여 야간 및 우천시 차량의 전조등 또는 가로등에서 조사되는 빛을 상기 글라스비드로 반사시켜 운전자 및 보행자가 차선 및 횡단보도선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도로의 노면 상에 글라스비드가 함유되어 도색된 차선 및 횡단 보도선은 통상적으로 평면적으로 도색되어 있거나, 또는 단면이 사각형태로 돌출된 돌출부로 도색한 것이 있으나, 상기 평면적으로 도색된 경우에는 차륜의 마찰슬립에 의해 미끄러짐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우천시에는 수막현상에 의해 차선의 글라스비드로 빛이 조사되는 것이 원활하지 않아 차선의 시인성이 확보되지 않아 안전운행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사각형태의 돌출부로 도색된 차선 및 횡단보도선의 경우에는 상기 돌출부에 의해 야간 및 우천시 빛의 조사가 원활하고, 수막현상도 방지할 수 있어 시인성을 향상할 수 있으나, 반면에 상기 돌출부는 단면이 평면형상으로 인하여 차륜의 마찰슬립에 의해 돌출면 및 끝단면 부위의 마모, 멸실, 노후가 쉽게 일어나 수명이 짧아 자주 도색하여야 하는데 따른 비용이 많이 들어가게 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그래서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도로의 노면 상에 도료를 압축 분사하고 이 압축 분사된 도료에 글라스비드를 살포하되 상기 글라스비드가 도료 표면에 울퉁불퉁하게 살포하여, 상기 울퉁불퉁 살포된 글라스비드에 의해 반사율을 높여 시인성을 향상하고 차륜의 마찰슬립 방지하도록 하였으나, 상기 글라스비드는 비중이 커서 상기 도료에 침전현상으로 소정의 목적을 발휘하는데 어려운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게 되었다.
물론, 상기 글라스비드를 우천, 강우시 양호한 시인성을 갖는 우천형 글라스 비드로 살포하여 시인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으나, 상기 우천형 글라스비드는 도료에 쉽게 침착되지 않아, 차륜의 마찰슬립에 의해 쉽게 마모 및 이탈되게 됨으로써, 마모율이 높아 수명이 짧고, 미끄러짐 역시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의 노면에 도색되는 차선, 횡단보도선, 노선, 방향, 속도표시의 도로표시선에 라인돌출부를 형성하여, 주, 야간에 시인성 향상, 우천시 수막 방지 및 차륜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 및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로의 노면 상에 도색되는 라인돌출부를 갖는 도로표시선에 내마모성을 갖도록 구비함으로써, 도로표시선의 수명을 장구히 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석유수지 14~16 중량%, 보강수지 2~4 중량%, 안료 2~6 중량%, 돌로마이드 및 실리카, 석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골재 23~42 중량%, 분말(충진안료) 15~20 중량%, 비드 10~30 중량%, 가소제 1.5~3 중량%, 실리카를 포함하는 요변제 0.5~1 중량%를 포함하는 융착식 도로 표시용 용융도료를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도로 표시용 용융도료를 노면 상에 도로의 진행방향을 따라 도로표시선을 도색 시공하는 차선을 도색하는 차선 도색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색 시공되는 도표 표시선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라인돌출부를 갖는 도로표시선으로 시공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라인돌출부 및 도로표시선의 표면에 고굴절 글라스비드를 공기압으로 살포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살포된 고굴절 글라스비드를 상온에서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도로표시선은 차선, 횡단보도선, 노선, 방향, 속도 표시로 한다.
상기 라인돌출부는 상면이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라인돌출부는 도색된 도로표시선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도로의 노면 상에 융착식 도로표시용 용융도료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라인돌출부를 갖는 도로표시선으로 시공하고, 이 시공된 도로표시선의 표면에는 고굴절 글라스비드를 살포하여 도색 시공함으로써, 상기 도로표시선의 돌출부와 이에 살포된 고굴절 글라스비드에 의해 주, 야간은 물론 우천시 수막현상을 방지하여 시인성을 크게 향상할 수 있어 운전자와 보행자에 안전을 도모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로표시선의 시인성을 향상하는 라인돌출부 상면을 곡면으로 형성하여 차륜의 마찰 단면적을 높여 미끄러짐 방지 및 마찰슬립에 의해 쉽게 마모, 멸실, 파손, 노후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을 장구히 하고, 나아가서는 시각 장애인들로 하여금 쉽게 인식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특히 횡단보도의 경우 안전하게 건너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고성능 융착식 도료를 이용한 차선 도색 시공방법에 대한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 고성능 융착식 도료를 이용한 차선 도색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도로표시선의 측면도.
도 3은 고성능 융착식 도료를 이용한 차선 도색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도로표시선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고성능 융착식 도료를 이용한 차선 도색 시공방법의 도로표시선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융착식 도로 표시용 용융도료 준비단계(11), 도로표시선 시공단계(12), 고굴절 글라스비드 살포단계(13), 경화단계(14)를 포함한다.
상기 융착식 도로 표시용 용융도료 준비단계(11)는 한국 표준규격 KS M 6080에 의해 도로표지용 도료는 교통 표지선을 그리는데 사용되는 도료로서, 안료, 수지, 유리알, 충진용 재료 등을 원료로 사용하게 되고, 상기 도료의 성상과 시공방법의 차이에 따라 4종인 융착식 도로 표지용 도료를 사용하게 되며, 상기 4종인 융착식 도로 표지용 도료는 착색안료, 체질안료, 유리구슬, 충전용 재료 및 합성수지를 주원료로 시공시 가열 융해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4종인 융착식 도로 표지용 도료는 유리알의 함유량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상기의 유리알의 함유량에 따른 분류에 의해 4종의 융착식 도로표지용 도료의 1호는 분체상 도료 중에 유리구슬을 15~18중량% 함유한 것이고, 2호는 분체상 도료 중에 유리구슬을 20~23중량% 함유한 것이며, 3호는 분체상 도료 중에 유리구슬을 25중량% 이상 함유한 것으로 구분한다.
본 발명에서는 석유수지 14~16 중량%, 보강수지 2~4 중량%, 안료 2~6 중량%, 돌로마이드 및 실리카, 석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골재 23~42 중량%, 분말(충진안료) 15~20 중량%, 비드 10~30 중량%, 가소제 1.5~3 중량%, 실리카를 포함하는 요변제 0.5~1 중량%로 이루어지는 도로표지용 융착식 도료, 및 고굴절 글라스 비드를 준비하게 된다.
석유수지(petroleum resin)는 석유의 정제과정이나 석유화학공업의 부산물(副産物)로서 생기는 유분(溜分)으로 올레핀이나 디올레핀을 함유하는 것을 원료로 여러 가지 방법으로 중합시킨 플라스틱을 총칭하며, 상기 석유수지는 안료를 감싸고 도막을 형성해주는 물질로서, 수지류, 유지류처럼 액상 또는 고상의 물질을 말하는 것으로, 모든 도료의 기본적인 물성을 부여하는 바인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보강수지로는 탄성을 부여하는 SEBS(Styrene Ethylene Butylene Styrene 공중합체), EVA(Ethylene VinylAcetate 공중합체)와, 유연성 및 점착력 보강하는 APO (Amorphous Poly-α-olefines) 등의 합성수지가 사용된다.
상기 안료는 착색안료와 충진안료로 대별할 수 있는데, 착색안료는 색상을 부여하고, 충진안료는 분말상의 흰색으로 도료 내에 중량효과와 도막의 강도 또는 점도 등의 물성에 기여한다.
골재는 분말과 같이 혼합되어 도막의 내마모성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의 골재는 800㎛~1500㎛의 입자크기로 비교적 큰 골재를 분말에 혼합하여 돌출효과에 의해 마찰력을 증대시키고 난반사로 인하여 주간 시인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돌로마이트 또는 실리카 등이 사용된다.
글라스비드는 입자가 850㎛~1500㎛ 정도의 비교적 대구경의 유리알(glass bead)을 말하는 것으로, 유리알은 도로 표지용 도료에 있어서 차량의 전조등 불빛 등으로 재귀반사를 일으키기 위해서 주로 사용된다.
가소제(Plastizer)는 가소성을 부여하는 물질로서 왁스(Wax)와 같이 유동성을 향상시키는 첨가제와 혼합되어 사용하는 것으로, DOP, Soya oil, Alkyd resin, Process oil 등이 사용된다.
요변제는 분말 상의 제품을 열을 주어 액상시, 요변성(Thixotropy)을 주어 작업성을 도와주고 굵은 골재 또는 대구경 등의 커다란 알맹이의 침전을 막아준다.
이러한 요변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내열성이 좋고 강력한 요변성을 요구하기 때문에 퓸드 실리카(fumed silica)(Aerosil #200) 등을 사용한다.
상기 고굴절 글라스비드는 입도가 10?1000 ㎛ 인 유리분말을 고굴절율 물질인 티탄, 바륨 또는 납을 포함하는 유기금속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용액에 혼합 및 함침시킨 후 건조시켜 굴절율이 1.8 이상인 것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 도로표시선 시공단계(12)는 융착식 도로 표시용 용융도료 준비단계(11)에서 준비된 도료를 도료탱크 및 가열기가 구비된 도료공급부, 상기 도료공급부에서 공급된 도료를 노면상에 차선을 도색하는 도색유니트, 상기 도색유니트로 차선도색시 라인돌출부를 형성하는 라인도출형성부, 차선 및 라인도출부에 고굴절 글라스비드를 에어분사기의 공기압으로 도포하는 비드살포부를 구비한 차량용 차선 도색장치를 이용하여, 준비된 도료를 도로의 노면 상에 도포되기 전까지 액상으로 유지시켜 가면서,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의 진행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도색유니트와 라인돌출형성부를 통해서 도로의 노면 상에 소정의 두께로 도로 표시선(20)을 도색 시공하게 된다.
이때 도로표시선(20)은 상기 라인돌출형성부에 의해 차선, 횡단보도선, 노선, 방향, 속도 표시선의 종류 및 폭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라인돌출부(21)가 형성되게 되고, 상기 라인돌출부(21)는 상면이 곡면을 갖고, 도색된 도로표시선(2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시공하게 된다
상기 고굴절 글라스 비드 살포단계(13)는 도로 표시선 시공단계(12)에서 도로의 노면 상에 도색된 도로표시선(20)과 하나 이상의 라인돌출부(21)의 표면에 비드살포부에서 공기압으로 고굴절 글라스비드(22)를 살포하게 되는데, 이때 고굴절 글라스비드(23)는 비드 살포부에 구비된 에어분사기로 살포하게 되며, 살포되는 고굴절 글라스비드(22)는 공기압에 의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색된 도로표시선(20)과 라인돌출부(21)의 표면에 강력 결합하게 된다.
상기 경화단계(14)는 고굴절 글라스 비드 살포단계(13)에서 도로표시선(20)과 하나 이상의 라인돌출부(21)의 상면에 살포된 고굴절 글라스비드(22)를 상온에 경화시켜 고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표면에 고굴절 글라스비드(22)가 살포된 도로표시선(2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라인돌출부(21)에 의해, 주간은 물론, 야간에 차량의 전조등 또는 가로등에서 조사되는 빛을 고굴절시켜 반사율을 크게 향상해 주게 되므로 주,야간은 물론, 우천 및 강우시에도 시인성을 크게 하여 운전자와 보행자에 안전을 도모하게 된다.
11; 융착식 도로 표시용 용융도료 준비단계
12; 도로표시선 시공단계
13; 고굴절 글라스 비드 살포단계
14; 경화단계
20; 도로표시선 21; 라인돌출부
22; 고굴절 글라스비드

Claims (4)

  1. 석유수지 14~16 중량%, 보강수지 2~4 중량%, 안료 2~6 중량%, 돌로마이드 및 실리카, 석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골재 23~42 중량%, 분말(충진안료) 15~20 중량%, 비드 10~30 중량%, 가소제 1.5~3 중량%, 실리카를 포함하는 요변제 0.5~1 중량%를 포함하는 융착식 도로 표시용 용융도료를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도로 표시용 용융도료를 노면 상에 도로의 진행방향을 따라 도로표시선을 도색 시공하는 차선을 도색하는 차선 도색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색 시공되는 도표 표시선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라인돌출부를 갖는 도로표시선으로 시공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라인돌출부 및 도로표시선의 표면에 고굴절 글라스비드를 공기압으로 살포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살포된 고굴절 글라스비드를 상온에서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성능 융착식 도료를 이용한 차선 도색 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표시선은 차선, 횡단보도선, 노선, 방향, 속도 표시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융착식 도료를 이용한 차선 도색 시공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돌출부는 상면이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융착식 도료를 이용한 차선 도색 시공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돌출부는 도색된 도로표시선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고성능 융착식 도료를 이용한 차선 도색 시공방법.



KR1020110021176A 2011-03-10 2011-03-10 고성능 융착식 도료를 이용한 차선 도색 시공방법 KR101260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176A KR101260259B1 (ko) 2011-03-10 2011-03-10 고성능 융착식 도료를 이용한 차선 도색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176A KR101260259B1 (ko) 2011-03-10 2011-03-10 고성능 융착식 도료를 이용한 차선 도색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117A true KR20120103117A (ko) 2012-09-19
KR101260259B1 KR101260259B1 (ko) 2013-05-20

Family

ID=47111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1176A KR101260259B1 (ko) 2011-03-10 2011-03-10 고성능 융착식 도료를 이용한 차선 도색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02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3271A1 (ko) * 2017-11-27 2019-05-31 로드켐 주식회사 차선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3336B1 (ko) 1995-08-02 1999-06-15 서윤진 도로 표지선의 난-슬립 시공 방법
KR100914853B1 (ko) 2009-04-21 2009-09-04 홍종일 노면표지용 열 접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3271A1 (ko) * 2017-11-27 2019-05-31 로드켐 주식회사 차선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0259B1 (ko) 2013-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0296B1 (ko) 노면표시용 열가소성 핫멜트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K2504492T3 (en) PREFORMED THERMOPLASTIC ROAD MARKING MARKETING AND PROCEDURE UNDER APPLICATION OF LARGE AGGREGATE FOR IMPROVED LONG TIME SAFETY AND REDUCED MARKET TREASURY
KR100832922B1 (ko) 도로표지용 융착식 도료 조성물
KR102261217B1 (ko) 우천시 및 야간시 시인성이 향상된 테이프형 차선의 제조방법
KR101045007B1 (ko) 노면 표시 선의 시공방법
KR100316083B1 (ko) 미끄럼방지도로의시공방법
KR20140001652A (ko) 고휘도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인성이 향상된 노면표시선 시공방법
CA2730631C (en) Reflective substrate surface system, reflective assembly, and methods of improving the visibility of a substrate surface
KR100858900B1 (ko) 용융형 도로표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줄무늬형 기능성도로표지선의 시공 방법
KR101468040B1 (ko) 시인성이 향상된 노면시트와 이의 시공방법
KR101044311B1 (ko) 재귀반사성이 양호한 도로표지용 도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18864A (ko) 도로상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포장재
KR102005362B1 (ko) 도로표지용 도료조성물
KR101260259B1 (ko) 고성능 융착식 도료를 이용한 차선 도색 시공방법
KR200399107Y1 (ko) 도로상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포장재가 도포된과속방지턱
KR100888704B1 (ko) 노면표시용 융착식 스프레이 도료
US20060062965A1 (en) Retroflectiv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KR101182672B1 (ko) 도로용 미끄럼방지 포장재의 시공방법
KR20200038622A (ko) 하이드로카본 수지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를 주원료로 하여 점착력을 향상시킨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 부착형 건조 도막 형성장치
KR200427777Y1 (ko) 횡단보도를 포함한 노면 표시와 미끄럼 방지부를 시공하는장치
KR101424743B1 (ko) 도로용 융착식 도료, 이를 이용한 도로 부착용 테이프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0254884A (ja) 路面塗装材および塗装方法
KR100919248B1 (ko) 포장도로상의 노면표지 구조체 시공방법
RU2447227C1 (ru) Горизонтальная дорожная разметка
KR20210136560A (ko) 차선용 도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