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2831A - 에폭시계 도료 및 알키드계 도료에 대해 내성을 갖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에폭시계 도료 및 알키드계 도료에 대해 내성을 갖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2831A
KR20120102831A KR1020110017163A KR20110017163A KR20120102831A KR 20120102831 A KR20120102831 A KR 20120102831A KR 1020110017163 A KR1020110017163 A KR 1020110017163A KR 20110017163 A KR20110017163 A KR 20110017163A KR 20120102831 A KR20120102831 A KR 20120102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resin
weight
parts
resin composition
plastic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7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0739B1 (ko
Inventor
김성진
이호균
남수석
김종희
성찬용
김동훈
Original Assignee
넥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쌍 filed Critical 넥쌍
Priority to KR1020110017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0739B1/ko
Priority to EP12305182A priority patent/EP2492312A1/en
Publication of KR20120102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2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7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H01B3/443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from vinylhalogenides or other halogenoethylenic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3/2279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ntimon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8Bor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2Esters; Ether-esters of cyclic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프탈레이트 계열의 가소제를 사용한 신규한 고분자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에폭시와 알키드계 도료에 대한 내성을 가지며 친환경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고분자수지재, 특히 선박 등에 사용되는 케이블 또는 전선에 관한 것이며, 이는 종래의 선박용 피복 재료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에폭시계 도료 및 알키드계 도료에 대해 내성을 갖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POLYMER RESIN COMPOSITION HAVING RESISTANCE TO EPOXY BASED PAINT AND ALKYD BASED PAINT}
본 발명은 에폭시계 도료 및 알키드계 도료에 대해 내성을 갖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분자수지재에 관한 것이다.
선박 주조시에 에폭시계 도료 및 알키드계 도료는 선박 표면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선박에 도포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도료는 선박에 설치된 전선 위에 도포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경우 에폭시계 도료 및 알키드계 도료가 전선의 시스체에 직접 접촉하게 됨에 따라, 시스체의 주 성분인 폴리비닐클로라이드에 기계적 및/또는 물리적 변화를 야기하며, 궁극적으로는 전선의 노화가 촉진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는 결국 전선의 수명을 크게 단축하는 원인이 된다.
또한, 기존 선박용 피복 재료로 사용되는 대부분의 PVC 컴파운드에는 가소제가 필수적으로 포함되며, 그 중에서도 DEHP, DBP, BBP, DINP, DIDP와 같은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의 사용빈도가 가장 높다. 이러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PVC를 부드럽고 유연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동물이나 사람의 체내에 들어가서 호르몬의 작용을 방해하거나 혼란시키는 내분비계 교란물질로 의심되고 있으며, 동물 모델에 대한 실험결과에 따르면 간, 신장, 심장, 허파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여성 불임, 정자수 감소 등과 같이 생식기관에 유해한 독성물질로 보고되고 있다.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의 영향에 관한 추가 연구 및 조사는 계속되고 있으며, 아직까지도 서로 상충되는 연구결과들이 계속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의 논란이 지속됨에 따라, 환경부는 '제조·수입 또는 사용 등을 금지하거나 제한하는 화학물질에 관한 규정'에서 2007년 10월부터 DEHP 등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와 이를 일정 함량으로 함유하는 혼합물질이 일부 어린이용품 및 수액백, 혈액백에 사용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에폭시계 도료 및 알키드계 도료에 의한 전선의 폴리비닐클로라이드의 기계적 및/또는 물리적 변화를 방지하고, 이에 따라 전선 또는 케이블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의 필요성이 업계에서 요구되고 있다. 이와 동시에, 내분비계 교란물질로서 현재까지 논란이 되고 있으며 환경부에서 특정 함량으로 일부 품목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 등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포함하지 않으며 비프탈레이트(phthalate-free)계 가소제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로서, 에폭시계 도료 및 알키드계 도료에 대해 내성을 갖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수지를 베이스 수지로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비프탈레이트(phthalate-free)계 가소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가소제 10 내지 60 중량부; 납계, 금속 비누계, 금속 복합계 및 유기 주석계 물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안정제 1 내지 15 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마그네슘 카르보네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난연제 10 내지 60 중량부; 안티몬계 화합물, 할로겐계 화합물 및 붕소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난연조제 1 내지 20 중량부; 및 에틸렌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인 극성 고분자 수지 1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성분의 단일물 또는 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가소제로서, 내분비계 교란물질로서 논란이 되고 있으며 환경부에서 특정 함량에 대해 일부 품목에 금지하고 있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사용하지 않고 비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비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C8-C20 알코올계, 에스테르계, 카르복실레이트계, 지방족계 및 벤조에이트계 가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단일물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물이다. 상기 비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가소제의 예에는 인산 에스테르 가소제, 폴리에스테르 가소제, 테트라브로모프탈산 비스 에스테르, 알킬아릴포스페이트 에스테르 등이 포함되며, 상기 비프탈레이트계 카르복실레이트 가소제의 예에는 디노닐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레이트 등이 포함되며, 상기 비프탈레이트계 지방족 가소제에는 DOA, DOS 등이 포함되며, 상기 비프탈레이트계 벤조에이트 가소제의 예에는 Benzoflex®와 같은 벤조에이트 에스테르 가소제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비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1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고분자수지재의 인장강도, 신장율 및 유연성이 저하된다. 또한, 비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3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도 고분자수지재에서 원하는 정도의 인장강도 및 신장율을 얻지 못한다.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안정제는 바람직하게는 납계, 금속 비누계, 금속 복합계 및 유기 주석계 물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단일물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물이다. 상기 납계 안정제의 예에는 TLS(Tribasic Lead Sulfate), DLS(Dibasic Lead Stearate), DLP(Dibasic Lead Phosphite) 등이 포함되며, 상기 금속 비누계 안정제의 예에는 Ba-St(sterate), Ca-St, Zn-St 등이 포함되며, 상기 금속 복합계 안정제의 예에는 Ca-Zn-Mg, Ca-Zn-Al, Ba-Cd-Zn 등이 포함되며, 상기 유기 주석계 안정제의 예에는 메르캅티드계, 말레이트계, 카르복실레이트계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난연조제는 바람직하게는 안티몬계 화합물, 할로겐계 화합물 및 붕소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단일물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물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삼산화안티몬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는, 상기 난연조제는 브롬계 또는 염소계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롬계 난연조제에는 테트라브로모프탈산 비스에스테르가 포함되며, 이는 브롬계 RoHS 규제물질인 PBB 또는 PBDE에 포함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는, 상기 난연조제는 징크보레이트 또는 수산화보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은 상기 기재된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고분자수지재, 특히 케이블 또는 전선의 피복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제조된 고분자수지재는 에폭시계 도료 및 알키드계 도료에 대해 저항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이다. 상기 에폭시계 도료에는 EP 1240, EP 1760, ET 5740 등이 포함되며, 상기 알키드계 도료에는 MP-120, LT-313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고분자수지재, 특히 케이블 또는 전선은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온에서 인장강도 및 신장율이 우수하며, 고온에서 가열한 후에도 인장잔율 및 신장잔율이 높아 내열성이 우수하며 중량이 크게 감소되지 않는다. 또한, 내유성, 난연성 및 내한성과 같은 기계적 물성도 역시 우수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뿐만 아니라, 에폭시계 도료 및 알키드계 도료를 도포한 경우에도 고온에서 가열 후에 인장잔율 및 신장율이 우수하며, U자형 벤딩 시험에 대해 갈라짐 현상이 발견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에폭시계 도료 및 알키드계 도료 모두에 대해 저항성을 갖는다.
하기의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예시적으로 제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다양한 변형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1. 도료 준비
하기의 표 1에 기재된 에폭시계 도료 EP 1240, EP 1760 및 ET 5740과 알키드계 도료 MP-120 및 LT-313은 선반 주조를 포함한 다양한 적용분야에서 자주 사용되는 도료이다.
함유량(중량%)
에폭시계 도료 알키드계 도료
EP 1240 EP 1760 ET 5740 MP-120 LT-313
에폭시 수지 31~40 11~20
에폭시 1~10 11~20
알키드 10~20 21~30
크실렌 10~20 11~20 11~20 5~9 1~10
경방향족 화합물용 나프타 1~10 1~10 21~30
N-부틸 알코올 1~40 1~10 5~9
이산화티타늄 10~20 11~20 21~30 11~20
탈크 31~40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1~10 1~10
쿼츠 11~20
활석, 비석면 형태 11~20 11~20
메틸이소부틸 케톤 1~10
에피클로로하이드린-비스페놀 수지 1~10
탈취등유 21~30
탄산칼슘 21~30
인산아연 10~20
기타 1~4 1~10 1~10 5~9 1~10
2. 고분자 수지 조성물의 준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각각 실시예 1 내지 7로 나타내었으며,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각각 비교예 1 내지 4로 나타내었다. 고분자 수지 조성물의 구체적인 성분 및 함량(중량부)은 하기의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7 1 2 3 4
폴리비닐클로라이드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염화 폴리에틸렌 50 50
니트릴고무(NBR) 50 50
에틸렌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40 40 50 60 50 30 60
디노닐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레이트 30 30 30 20 30 30 30 30 30 40
테트라브로모프탈산 비스 에스테르 5 10 15 10
알킬 아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20 5 15
TOTM(트리옥틸 트리멜리테이트) 10 30
칼슘 스테아레이트 7 7 7 7 7 7 7 7 7 7 7
수산화마그네슘 20 20
수산화알루미늄 60 40 40 40 40 40 60 40 40 40 40
수산화마그네슘 카르보네이트 10 20 20 10 20
삼산화 안티몬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수산화 보레이트 10 10 10
징크 보레이트 10 10 10
3. 시험 방법 및 평가 결과
(1) 도료를 도포하지 않은 경우 시험 방법
상기 실시예 1 내지 6의 조성물과 비교예 1 내지 3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공장의 압출기를 통해 케이블의 피복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케이블에 대해 도료를 도포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편을 채취하였으며, 이에 대해 하기의 기준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평가하였다.
가. 상온 특성 기준
IEC 60811-1-1에 따라 인장속도 500mm/min으로 측정하였을 때, 인장강도는 1.25 kgf/mm2 이상이어야 하며, 신장율은 150% 이상이어야 한다.
나. 가열 특성 기준
시편을 121℃에서 168시간 동안 방치한 후, 시편의 인장강도와 신장율의 변화율을 측정하였다. 변화율의 비교는 상온의 인장강도 및 신장율을 기준으로 하며, 잔율이 75% 이상의 값을 나타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JIS-C-3410에서는 가열 특성 기준의 온도를 100℃로 규정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보다 높은 수준의 내열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121℃의 온도를 사용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다. 내유 특성 기준
시편을 70℃에서 4시간 동안 IRM 902 오일(oil)에 방치한 후, 인장강도와 신장율의 변화율을 측정하였을 때 인장잔율이 80% 이상이어야 하며, 신장잔율이 60% 이상이어야 한다.
라. 가열 감량 기준
시편을 100℃에서 168시간 동안 방치한 후, 시편의 단위 표면적에 대해 가열 후 감량된 중량이 1.5mg/cm2 이하여야 한다.
마. 난연성 시험
시편을 IEC 60332-2 Cat.A의 난연 시험 규격에 따라 시험하였다. ASTM D 2863에 따라 재료의 난연성을 측정하였으며, 산소지수가 30% 이상이어야 한다.
바. 내한성 시험
시편을 CSA C 22.2 No.3에 따라 준비하였다. 저온 타격 시험은 CAS C 22.2 No.3의 cold impact(-35℃) 시험 규격에 따라 수행하였다. 저온 권부 시험은 CAS C 22.2 No.3의 cold bending(-40℃) 시험 규격에 따라 수행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1 2 3
상온 인장강도(kgf/mm2) 1.65 1.69 1.71 1.78 1.45 1.79 1.82 1.84 1.78
신장율(%) 251 262 220 286 195 291 205 201 188
가열 인장잔율(%) 93 97 94 94 92 98 122 115 88
신장잔율(%) 83 85 88 84 89 97 45 57 69
내유성 인장잔율(%) 94 91 92 94 95 96 95 94 56
신장잔율(%) 83 80 83 82 81 75 82 87 35
가열감량(mg/cm2) 0.42 0.46 0.42 0.51 0.08 0.53 0.44 0.15 0.41
난연성 산소지수(%) 31 35.5 35 37 36 34 27 29 30
내한성 저온타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불합격 불합격 불합격
저온권부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불합격 불합격 불합격
상기 표 3에 실시예 1 내지 6과 비교예 1 내지 3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케이블의 시편을 이용하여 수득한 값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내지 6의 시편은 상온에서의 인장강도 및 신장율 뿐만 아니라 121℃의 온도에서 가열한 후에도 인장잔율 및 신장잔율이 모두 평가기준을 만족하였다. 그러나, 비교예 1 내지 3의 시편은 121℃의 온도에서 가열되었을 때 신장잔율이 모두 75%보다 훨씬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평가기준에 미달하였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6의 시편은 내유성, 가열감량, 난연성 및 내한성의 평가기준을 모두 만족하였다. 그러나, 비교예 1 및 2의 시편은 난연성 평가에서 30% 미만의 값을 나타내어 평가기준에 미달하였으며, 내한성 평가의 저온타격 및 저온권부 시험 모두에서 불합격되었다. 비교예 3의 시편은 내유성 평가에서 인장잔율이 80%보다 훨씬 낮은 56%의 값을 나타내고 신장잔율이 60%보다 훨씬 낮은 35%의 값을 나타내어 평가기준에 미달하였으며, 내한성 평가의 저온타격 및 저온권부 시험 모두에서 불합격되었다.
추가 실험으로, 비교예 5로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케이블 시편을 제조하였으며, 이에 대해 상기 기재된 시험방법에 따라 그 성질 및 효과를 평가하였다. 하기의 표 4에 비교예 5의 고분자 수지 조성물의 성분 및 함량(중량부)을 나타내었다. 평가 결과에 따르면,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포함하는 비교예 5의 고분자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고분자수지재는 내한성 평가의 저온타격 및 저온권부 시험 모두에서 불합격되었음이 확인되었다.
PVC 폴리비닐클로라이드 100
가소제 DIDP(di-iso-decylphthalate) 50
TOTM(trioctyltrimellitate) 30
안정제 TLS(Tribasic Lead Sulfate) 7
DBL(Dibasic Lead Stearate) 0.8
충전제 탈크 30
난연제 Sb2O3 10
상기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내한성 면에서 요구되는 효과를 충족시키는 반면,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내한성 면에서 요구되는 효과를 충족시키지 못 하였다.
(2) 도료를 도포한 경우 도료에 대한 저항성 평가
상기 실시예 7의 조성물과 비교예 4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케이블에 대해 시스를 제거한 후 길이 방향으로 얇게 슬라이스하여 시편을 준비하였다. 이 시편의 외표면에 에폭시계 도료 EP 1240, EP 1760 및 ET 5740과 알키드계 도료 MP-120 및 LT-313을 각각 도포하였다. 그 후, 각 시편에 대해 하기의 기준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평가하였다.
가. 가열 특성 기준
시편을 100℃에서 168시간 동안 방치한 후, 인장강도와 신장율의 변화율을 측정하였을 때 잔율이 75% 이상이어야 한다. 여기서, 변화율의 비교는 도료를 도포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온의 인장강도 및 신장율을 기준으로 한다.
나. U자형 벤딩(bending) 시험
상기 실시예 7의 조성물 및 비교예 4의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케이블 시스로 피복된 완성 케이블을 U자형(벤딩 반경: 6D)으로 굽힌 후, 에폭시계 도료 및 알키드계 도료를 각각 그 위에 도포하였다. 그 후, 상기 케이블을 100℃에서 168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케이블을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때 갈라짐(crack) 현상이 없어야 한다.
하기 표 5 및 6에 각각 실시예 7과 비교예 4의 조성물로부터 제조한 케이블의 도료 저항성 평가 결과를 나타내었다.
에폭시계 도료 알키드계 도료
EP 1240 EP 1760 EP 5740 MP 120 LT 313
상온 인장강도(kgf/mm2) 1.50 1.50 1.50 1.50 1.50
신장율(%) 385 385 385 385 385
가열 인장잔율(%) 97 94 94 109 108
신장잔율(%) 92 89 83 91 96
U자형 벤딩 시험 갈라짐 현상 없음 갈라짐 현상 없음 갈라짐 현상 없음 갈라짐 현상 없음 갈라짐 현상 없음
에폭시계 도료 알키드계 도료
EP 1240 EP 1760 EP 5740 MP 120 LT 313
상온 인장강도(kgf/mm2) 1.69 1.69 1.69 1.69 1.69
신장율(%) 340 340 340 340 340
가열
인장잔율(%) 61 49 30 96 88
신장잔율(%) 84 82 67 98 97
U자형 벤딩 시험 갈라짐 현상이 발견됨 갈라짐 현상이 발견됨 갈라짐 현상이 발견됨 갈라짐 현상이 발견됨 갈라짐 현상이 발견됨
상기 표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7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케이블은 에폭시계 도료와 알키드계 도료 모두에 대해 상온에서 인장강도와 신장율이 모두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었으며, 100℃로 가열한 후에도 인장잔율과 신장잔율이 모두 75% 이상의 값을 나타내었다. 뿐만 아니라, U자형 벤딩 시험에서 에폭시계 도료와 알키드계 도료 모두에 대해 갈라짐 현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반면, 상기 표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4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케이블은 에폭시계 도료 EP 1240 및 EP 1760을 각각 도포한 후 100℃로 가열하였을 때 인장잔율이 75%를 넘지 못하였으며, 에폭시계 도료 EP 5740을 도포한 후 100℃로 가열하였을 때 인장잔율과 신장잔율 모두 75%를 넘지 못하였다. 뿐만 아니라, 비교예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케이블은 모두 U자형 벤딩 시험에서 갈라짐 현상이 관찰되었다.

Claims (7)

  1.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를 베이스 수지로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폭시계 도료 및 알키드계 도료에 대해 내성을 갖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비프탈레이트(phthalate-free)계 가소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가소제 10 내지 60 중량부;
    납계, 금속 비누계, 금속 복합계 및 유기 주석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안정제 1 내지 15 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마그네슘 카르보네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난연제 10 내지 60 중량부;
    안티몬계 화합물, 할로겐계 화합물 및 붕소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난연조제 1 내지 20 중량부; 및
    에틸렌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인 극성 고분자 수지 1 내지 60 중량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C8-C20 알코올계 가소제, 에스테르계 가소제, 카르복실레이트계 가소제, 지방족계 가소제 및 벤조에이트계 가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조제가 안티몬계 화합물인 삼산화안티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조제가 할로겐계 화합물인 브롬계 또는 염소계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조제가 붕소계 화합물인 징크보레이트 또는 수산화보레이트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분자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고분자수지재.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분자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케이블 또는 전선.
KR1020110017163A 2011-02-25 2011-02-25 에폭시계 도료 및 알키드계 도료에 대해 내성을 갖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KR101270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163A KR101270739B1 (ko) 2011-02-25 2011-02-25 에폭시계 도료 및 알키드계 도료에 대해 내성을 갖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EP12305182A EP2492312A1 (en) 2011-02-25 2012-02-17 Polymer resin composition having resistance to epoxy based paint and alkyd based pai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163A KR101270739B1 (ko) 2011-02-25 2011-02-25 에폭시계 도료 및 알키드계 도료에 대해 내성을 갖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2831A true KR20120102831A (ko) 2012-09-19
KR101270739B1 KR101270739B1 (ko) 2013-06-07

Family

ID=45819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7163A KR101270739B1 (ko) 2011-02-25 2011-02-25 에폭시계 도료 및 알키드계 도료에 대해 내성을 갖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2492312A1 (ko)
KR (1) KR1012707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38201C2 (ru) * 2012-12-26 2015-01-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Делтекс"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модифицированного поливинилхлорида
CN105761844B (zh) * 2016-04-11 2018-01-23 江苏亨通电力特种导线有限公司 用于架空电力传输导线的防腐油涂覆装置
JP2019070066A (ja) * 2017-10-06 2019-05-09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難燃性硬質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電力ケーブルの防食層、難燃性電力ケーブルおよび難燃性簡易遮水電力ケーブル
CN110951189B (zh) * 2019-12-12 2021-05-14 上海凯波电缆特材股份有限公司 一种聚氯乙烯材料及其制备方法
RU2730509C1 (ru) * 2020-02-28 2020-08-24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Химиндустрия-Инвест" Антикоррозионная лакокрасочная система на алкидных связующих с эффектом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ржавчины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365893B (ko) * 1969-05-28 1974-04-01 Montedison Spa
GB8406083D0 (en) * 1984-03-08 1984-04-11 Bicc Plc Insulated wires
US5036121A (en) * 1988-09-06 1991-07-30 The B. F. Goodrich Company Flame and smoke retardant cable insulation and jacketing compositions
US6043312A (en) * 1989-06-27 2000-03-28 The Furon Company Low flame and smoke compositions for plenum cables
WO1998057920A2 (en) * 1997-06-18 1998-12-23 Great Lakes Chemical Corporation Novel flame retardant plasticizers
KR100341114B1 (ko) * 1999-12-30 2002-06-20 권문구 고난연 시스 재료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KR100627241B1 (ko) * 2005-04-08 2006-09-25 (주)티엠씨 선박용 케이블
DE102005059143A1 (de) * 2005-12-08 2007-06-14 J. S. Staedtler Gmbh & Co. Kg Modelliermasse sowie deren Verwendung
KR100742867B1 (ko) * 2006-03-03 2007-07-2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에폭시계 도료에 대한 내성을 갖는 고분자수지 조성물 및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분자수지재
US20090022462A1 (en) * 2007-07-20 2009-01-22 Polymer Products Company, Inc. Fire resistant jacket composition for electrical coaxial and fiber optic c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0739B1 (ko) 2013-06-07
EP2492312A1 (en) 201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0739B1 (ko) 에폭시계 도료 및 알키드계 도료에 대해 내성을 갖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JP4793178B2 (ja) 電線・ケーブル
KR101457612B1 (ko) 비할로겐계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고분자수지재
JP2013129776A (ja) 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電線およびケーブル
WO2014070355A1 (en) Use of polycaprolactone plasticizers in poly(vinyl chloride) compounds
WO2017104362A1 (ja) 難燃性樹脂組成物、これを用いたメタルケーブル、光ファイバケーブル及び成形品
KR20150103715A (ko) 내열 가교 전선
WO2015047999A1 (en) Sustainable poly(vinyl halide) mixtures for thin-film applications
JP6316343B2 (ja) コルゲートチューブ(corrugate tube)用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て製造された成形品
US20180355157A1 (en) Flame-retardant resin composition and metal cable, optical fiber cable, and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US20080161466A1 (en) Composition For Production Flame Retardant Insulating Material of Halogen Free Type Using Nano-Technology
CA2903335C (en) Synergistic blends of calcium carbonate and calcined clay
WO2014084313A1 (ja) 塩化ビニル系樹脂用可塑剤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WO2016101979A1 (en) Flame-retardant heavy metal-free coating for an electrical cable
TW201811896A (zh) 難燃性樹脂組成物、使用該組成物之絕緣電線、金屬電纜、光纖電纜及成形品
EP2093249A1 (en) Unplasticized PVC composition
JP6239081B1 (ja) 難燃性樹脂組成物、これを用いた絶縁電線、メタルケーブル、光ファイバケーブル及び成形品
JP6461530B2 (ja) 難燃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KR102563549B1 (ko) 염화비닐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전선 및 케이블
JP6503947B2 (ja) 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電線及びケーブル
KR102563545B1 (ko) 염화비닐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전선 및 케이블
JPH08109298A (ja) 電線被覆用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RU2550400C2 (ru) Высоконаполненная поливинилхлоридная композиция
KR20190114359A (ko) 멀티코어튜브 필러용 조성물
RU2629175C2 (ru) Электроизоляционный материа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7